KR20170004576A -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576A
KR20170004576A KR1020150095119A KR20150095119A KR20170004576A KR 20170004576 A KR20170004576 A KR 20170004576A KR 1020150095119 A KR1020150095119 A KR 1020150095119A KR 20150095119 A KR20150095119 A KR 20150095119A KR 20170004576 A KR20170004576 A KR 20170004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ness
conveyor belt
identification
vision camera
def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2260B1 (ko
Inventor
조호상
이상용
Original Assignee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몽솔루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몽솔루션(주) filed Critical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95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260B1/ko
Publication of KR20170004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5Investigating moving fluids or granular sol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R3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6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distinguishing or length mar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송부와, 암실챔버와, 비전카메라와, 조명부 및 컨트롤러부를 포함하는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로써, 상기 반송부는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여 구성함과 더불어 상기 비전카메라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반송되는 하네스를 촬영한 후 컨트롤러부의 판독에 의해 불량 여부가 검사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표면 형상에 대한 개선을 통해 하네스의 각 전선에 대한 식별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auto conveying type vision inspection device for a harness}
본 발명은 비전 검사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검사하고자 하는 하네스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불량 여부를 정확히 검사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네스(harness)는 차량이나 대형 장비 혹은, 가전 제품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에 적용되면서 각종 신호의 전달이나 전원의 전달 등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부품이다.
이와 같은 하네스는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 부품에의 연결을 위한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전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각 전선의 경우는 결선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되고 있음과 더불어 상기 단자부의 경우는 각 전선의 연결 부위에 다양한 알파벳 등의 문자가 표기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하네스의 각 전선은 그의 잘못된 연결이 이루어지게 될 경우 전자 제품의 동작 오류나 손상을 야기하기 때문에 출하전 불량 검사를 수행하여야만 한다.
이와 같은 하네스의 불량 검사 중 결선 오류에 대한 검사의 경우는 통상 수작업으로 진행되었으나, 이러한 수작업의 경우 대량의 하네스 불량 검사를 수행하는 도중 작업자의 착시 현상이나 부주의 등에 의한 오검사의 발생 우려가 존재하였다.
이로써 최근에는 하네스용 비전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하네스에 대한 비전 검사를 통해 전선의 역삽 여부, 핀의 미삽 여부 및 하우징의 역삽 검사 등을 수행하여 자동으로 양품과 불량품을 분류해 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515242호, 제10-515252호, 등록특허 제10-723967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상기 하네스용 비전 검사장치는 하네스의 불량 검사시 흑색 혹은, 백색의 전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하네스의 경우는 그의 색상 구분에 따른 오류가 자주 발생되었던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빈 홀(hole) 부위에 대한 파악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른 검사 불량이 발생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즉, 비전 검사를 위한 하네스의 촬영시 그의 배경이 되는 부위가 백색 혹은, 흑색으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백색과 흑색의 확인에 혼돈을 줄 우려가 있는 색상으로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판독 불량 현상이 발생될 수밖에 없고, 이로써 불량 검출의 오류가 야기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로써, 종래에는 하네스의 불량 검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고 개별적으로만 수행할 수밖에 없어서 불량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도하게 오래 걸릴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사하고자 하는 하네스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불량 여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하여 검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또한 각 전선에 대한 색상 구분이 더욱 명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검사 불량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는 하네스가 얹힌 상태로 반송됨과 더불어 표면에는 상기 하네스의 각 전선에 대한 색상 식별을 위한 복수의 식별라인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컨베이어벨트; 외부 조명으로부터 차단된 암실을 제공하며, 하네스의 반송 방향측 두 벽면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가 통과되도록 통과공이 각각 관통 형성된 암실챔버; 상기 암실챔버 내에 설치되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얹혀 반송되는 하네스의 영상을 촬영하는 비전카메라; 상기 암실챔버 내에 설치되면서 상기 비전카메라의 촬영 부위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 그리고, 상기 비전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판독하여 해당 하네스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컨트롤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표면에 형성되는 식별라인은 흑색의 식별라인 및 백색의 식별라인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하네스의 반송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반복하면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실챔버 내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얹혀 반송되는 하네스의 감지를 위한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부는 상기 감지센서에 의한 하네스의 감지를 토대로 검사 수량의 카운트 및 불량으로 판단된 하네스의 위치 인지가 이루어지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표면에는 불량으로 판단된 하네스의 취출을 위한 취출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취출부는 일단이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표면에 얹혀 반송되는 하네스를 가로막도록 위치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외측편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가림막과, 상기 가림막을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표면에 인접 혹은, 이격되도록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는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반송되는 하네스를 촬영하여 해당 하네스에 대한 결선 불량, 연결 위치 불량, 문자 색상 불량, 문자 표기 불량 등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함과 더불어 검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는 컨베이어벨트에 형성되는 암실챔버 및 각 식별라인에 의해 각 전선에 대한 색상 구분이 더욱 명확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검사 불량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하네스의 일반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는 첨부된 커넥터 혹은, 터미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단자부(11) 및 상기 단자부(11)에 연결되는 복수의 전선(12)으로 이루어진 하네스(10)의 불량 여부에 대한 확인을 비전 검사로 수행하는 장치임을 그 예로 한다. 이때 상기 각 전선(12)은 각각의 고유 색상을 갖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이러한 색상은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제공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는 크게 반송부(100)와, 암실챔버(200)와, 비전카메라(300)와, 조명부(400) 및 컨트롤러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반송부(100)는 컨베이어벨트(120)를 포함하여 구성함과 더불어 상기 비전카메라(300)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에 의해 반송되는 하네스(10)를 촬영한 후 컨트롤러부(500)의 판독에 의해 불량 여부가 검사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의 표면 형상에 대한 개선을 통해 하네스(10)의 각 전선에 대한 식별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반송부(100)는 하네스(10)의 반송을 위한 부위이다.
이와 같은 반송부(100)는 몸체를 이루는 메인프레임(110)과,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상면을 따라 설치되면서 하네스(10)가 얹힌 상태로 반송되는 컨베이어벨트(120)와,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의 동작을 위한 구동롤러(131) 및 종동롤러(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벨트형 컨베이어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의 표면에 복수의 식별라인(121,122)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복수의 식별라인(121,122)은 상기 하네스(10)의 각 전선(12)에 대한 색상 식별을 위해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의 표면에 프린팅되거나 혹은, 테이프로 만들어져서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의 표면에 부착되어 형성되며, 흑색(黑色)의 식별라인(121) 및 백색(白色)의 식별라인(122)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한 복수의 식별라인(121,122)은 하네스의 안착 방향에 따라 배치가 달라지도록 구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네스의 전선 인출 방향이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반송되는 반송 방향과 동일하게 안착되도록 함을 그 예로 함과 더불어 상기 각 식별라인은 상기 하네스(10)의 반송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반복하면서 형성됨을 그 예로 한다.
즉, 상기 흑색의 식별라인(121) 혹은, 백색의 식별라인(122) 중 어느 한 색상의 식별라인(121,122)으로만 프린팅될 경우 하네스(10)를 이루는 흑색 혹은, 백색으로 이루어진 전선(12) 중 어느 한 색상의 전선에 대하여는 그의 식별에 따른 판단 오류가 발생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전선(12)의 특성상 길이 방향으로 곧게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좌 혹은, 우로의 휘어진 경우가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이러한 휜 상태의 전선(12)들에 대한 정위치 여부 및 누락 여부에 대한 판단 오류가 발생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전술된 흑색 및 백색의 식별라인(121,122)이 하네스(10)의 반송 방향을 따라 반복하면서 서로 평행하게 프린팅함으로써 판단 오류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각 식별라인(121,122)은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의 전 부위에 걸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후술될 비전카메라(300)의 촬영 영역에 해당되는 부위(예컨대, 컨베이어벨트의 중앙측 부위)만 상기 각 식별라인(121,122)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암실챔버(200)는 외부 조명으로부터 차단된 암실을 제공하기 위한 부위이다.
즉, 외부 환경에 노출된 장소에서 하네스(10)의 촬영이 이루어질 경우 외부 조명 등에 의해 빛의 산란이나 다양한 색상의 빛에 의한 교란이 발생되어 각 전선(12)의 정확한 색상 구별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판독 불량이 야기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네스(10)의 촬영이 외부 조명으로부터 차단된 암실챔버(200)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하네스(10)의 단자부(11)에 표기된 문자나 각 전선(12)에 대한 정확한 색상 구분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암실챔버(200)는 외부 조명으로부터 차단된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체로 형성되어 상기 반송부(100)를 이루는 컨베이어벨트(120)의 중앙측 부위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특히, 상기한 암실챔버(200)의 각 벽면 중 하네스(10)의 반송 방향측에 위치되는 두 벽면(도 2를 기준으로 볼 때 좌측 및 우측 벽면)에는 통과공(210,220)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120)가 상기 통과공(210,220)을 통해 상기 암실챔버(200)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통과공(210,220)은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의 상면에 얹혀 반송되는 하네스(10)의 두께를 고려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해 해당 통과공(210,220)으로부터 암실챔버(200) 내의 공간으로 외부 조명이 비쳐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비전카메라(300)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에 얹혀 반송되는 하네스(10)의 영상을 촬영하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비전카메라(300)는 상기 암실챔버(200) 내의 상측 공간 중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에 얹혀 반송되는 하네스(10)의 직상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에 얹혀 반송되는 하네스(10)의 단자부(11) 및 각 전선(12)들을 일괄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조명부(400)는 상기 비전카메라(300)의 촬영 부위로 조명을 제공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조명부(400)는 상기 암실챔버(200) 내에 설치되며, 특히 하네스(10)의 반송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암실챔버(200) 내의 하네스 반입측 및 하네스 반출측에 각각 위치되면서 상기 비전카메라(300)의 촬영 부위로 조명을 제공하도록 구성됨이 그림자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명부(400)는 LED 램프로 구성됨이 특정 지점으로의 균일한 빛의 조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컨트롤러부(500)는 상기 비전카메라(3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판독하여 해당 하네스(10)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부(500)는 상기 비전카메라(3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설정된 영역 내의 각 구성요소(단자부 및 각 전선)를 검출하도록 판독하는 판독프로그램을 가짐과 더불어 이 판독프로그램에 의해 판독된 각 구성요소의 색상을 인식하여 분류하는 에이다부스트(AdaBoost) 분류기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암실챔버(200) 내에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에 얹혀 반송되는 하네스(10)의 감지를 위한 감지센서(6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부(500)는 상기 감지센서(600)에 의한 하네스(10)의 감지를 토대로 검사 수량의 카운트 및 불량으로 판단된 하네스(10)의 위치 인지가 이루어지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이루어짐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와 같은 감지센서(600)는 상기 암실챔버(200) 내의 하네스 반입측이나 하네스 촬영 부위 혹은, 하네스 반출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제공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의 표면에는 불량으로 판단된 하네스(10)의 취출을 위한 취출부(70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즉, 상기한 취출부(700)의 추가적 제공을 통해 특정 하네스(10)의 불량 판독시 작업자가 해당 하네스(10)를 배출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취출부(10)에 의해 상기 하네스(10)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취출부(700)는 일단이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의 표면에 얹혀 반송되는 하네스(10)를 가로막도록 위치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의 외측편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가림막(710)과, 상기 가림막(710)을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의 표면에 인접 혹은, 이격되도록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7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예로 한다.
한편, 미설명 부호 510은 모니터로써 상기 비전카메라(3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컨트롤러부(500)에서 판독된 불량 여부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기기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를 이용한 하네스(10)의 불량 판단 과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작업자는 검사하고자 하는 하네스(10)의 종류를 결정한 후 이 결정된 종류를 컨트롤러부(500)에 입력한다.
이로써, 상기 컨트롤러부(500)는 상기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정상적인 하네스(10)의 각 부위별 색상이나 문자 등을 취득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네스(10)의 불량 여부에 대한 기준이 결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네스(10)의 각 부위별 색상이라 함은 하네스(10)를 이루는 각 전선(12)의 위치별 색상이고, 상기 하네스(10)의 각 부위별 문자라함은 하네스(10)를 이루는 단자부(11)의 표면에 표기되는 문자 및 이 문자의 색상이다.
이와 같은 초기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검사하고자 하는 하네스(10)를 컨베이어벨트(120)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하네스(10)는 그 반송 방향측을 기준으로 볼 때 단자부(11)가 전방에 위치되도록 함과 더불어 각 전선(12)은 후방에 위치되도록 안착시킴으로써, 상기 하네스(10)가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의 표면에 형성된 각 식별라인(121,122)과는 수직한 배치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의 상태에서 상기 반송부(100)를 이루는 구동롤러(13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벨트(120)는 상기 구동롤러(131)와 종동롤러(132)의 안내를 받아 반복적으로 선회하며, 이로 인해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의 상면에 얹힌 하네스(10)의 반송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컨베이어벨트(120)의 동작에 따른 하네스(10)의 반송이 이루어지는 도중 상기 하네스(10)가 암실챔버(200)의 통과공(210)을 통과하여 암실챔버(200) 내로 진입되면 감지센서에 의한 센싱이 이루어지며, 계속해서 조명부(400)에 의한 조명의 제공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비전카메라(300)에 의한 촬영이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와 같이 비전카메라(300)에서 촬영된 영상은 컨트롤러부(500)로 제공되며, 상기 컨트롤러부(500)에서는 해당 영상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하네스의 단자부(11)에 표기된 문자의 불량 검사와, 각 전선(12)에 대한 존재 유무 및 위치 검사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며, 이로써 하네스(10)의 불량 여부를 판독하게 된다.
즉, 상기 컨트롤러부(500)는 단자부(11)의 넓이를 핀수(전선 수)만큼 영역을 분할한 후 이 분할된 영역 좌표값을 각각 저장함과 더불어 상기 좌표값에 해당하는 부분에 전선(12)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후 전선(12)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빈 홀로 판단하고, 상기 각 전선(12)들은 그 색상의 판독을 통해 각 전선(12)에 대한 정위치 여부를 검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선(12)의 존재 여부나 색상에 대한 판단시 상기 비전카메라(30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에는 컨베이어벨트(120) 표면의 흑색의 식별라인(121) 및 백색의 식별라인(122)도 함께 포함되며, 상기 각 식별라인(121,122)은 전선(12)을 가로지르면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컨트롤러부(500)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통한 각 전선(12)의 위치나 존재 유무 및 색상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컨트롤러부(500)에 의한 해당 하네스(10)의 불량 여부가 판독되면 그 판독 결과를 토대로 취출부(700)의 선택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불량으로 판단된 하네스(10)를 별도로 배출하게 된다.
즉, 상기한 컨트롤러부(500)에 의한 판독 결과 해당 하네스(10)가 정상일 경우에는 취출부(700)가 동작되지 않고 컨베이어벨트(120)에 얹힌 상태로 해당 컨베이어벨트(120)의 타단측으로 이동된 후 배출되고, 상기한 컨트롤러부(500)에 의한 판독 결과 해당 하네스(10)가 불량일 경우에는 취출부(700)가 동작되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에 얹혀 반출되는 하네스(10)를 가림막(710)으로 가로막아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의 측부(도면상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은 컨트롤러부(500)에 의해 판독된 하네스(10)의 불량 여부에 대한 정보는 모니터(5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면서 해당 작업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는 컨베이어벨트(120)에 의해 반송되는 하네스(10)를 촬영하여 해당 하네스(10)에 대한 결선 불량, 연결 위치 불량, 문자 색상 불량, 문자 표기 불량 등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함과 더불어 검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는 컨베이어벨트(120)에 형성되는 각 식별라인(121,122)에 의해 각 전선(12)에 대한 색상 구분이 더욱 명확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검사 불량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는 전술된 실시예로만 실시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취출부(700)의 경우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의 경우 하네스(10)의 불량이 판독되면 컨베이어벨트(120)를 임시적으로 정지시켜 작업자가 직접 취출하면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취출부(700)는 전술된 실시예의 구조와는 다른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감지센서(600)에 의한 하네스(10)의 감지가 이루어지면 컨트롤러부(500)는 상기 감지센서(600)의 감지 신호를 토대로 검사한 하네스(10)의 수량을 카운트하도록 프로그래밍됨이 바람직하며, 이와 함께 불량으로 판단된 하네스(10)도 그의 수량이 카운트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듯, 본 발명의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는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한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10. 하네스 11. 단자부
12. 전선 100. 반송부
110. 메인프레임 120. 컨베이어벨트
121,122. 식별라인 131. 구동롤러
132. 종동롤러 200. 암실챔버
210,220. 통과공 300. 비전카메라
400. 조명부 500. 컨트롤러부
510. 모니터 600. 감지센서
700. 취출부 710. 가림막
720. 승강실린더

Claims (5)

  1. 단자부 및 이 단자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전선으로 이루어진 하네스의 불량 검사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가 얹힌 상태로 반송됨과 더불어 표면에는 상기 하네스의 각 전선에 대한 색상 식별을 위한 복수의 식별라인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컨베이어벨트;
    외부 조명으로부터 차단된 암실을 제공하며, 하네스의 반송 방향측 두 벽면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가 통과되도록 통과공이 각각 관통 형성된 암실챔버;
    상기 암실챔버 내에 설치되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얹혀 반송되는 하네스의 영상을 촬영하는 비전카메라;
    상기 암실챔버 내에 설치되면서 상기 비전카메라의 촬영 부위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 그리고,
    상기 비전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판독하여 해당 하네스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컨트롤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표면에 형성되는 식별라인은 흑색의 식별라인 및 백색의 식별라인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하네스의 반송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반복하면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실챔버 내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얹혀 반송되는 하네스의 감지를 위한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부는 상기 감지센서에 의한 하네스의 감지를 토대로 검사 수량의 카운트 및 불량으로 판단된 하네스의 위치 인지가 이루어지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표면에는 불량으로 판단된 하네스의 취출을 위한 취출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는
    일단이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표면에 얹혀 반송되는 하네스를 가로막도록 위치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외측편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가림막과,
    상기 가림막을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표면에 인접 혹은, 이격되도록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
KR1020150095119A 2015-07-03 2015-07-03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 KR101742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119A KR101742260B1 (ko) 2015-07-03 2015-07-03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119A KR101742260B1 (ko) 2015-07-03 2015-07-03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576A true KR20170004576A (ko) 2017-01-11
KR101742260B1 KR101742260B1 (ko) 2017-05-31

Family

ID=57832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119A KR101742260B1 (ko) 2015-07-03 2015-07-03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2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948A (ko) 2019-06-05 2020-12-15 (주) 미래테크원 머신비전기반 하네스 불량 검사방법
CN114104570A (zh) * 2021-09-30 2022-03-01 苏州艾隆科技股份有限公司 出药控制装置的质检装置及具有其的质检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923B1 (ko) * 2011-11-21 2013-05-2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피엘씨 칩의 자동 검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948A (ko) 2019-06-05 2020-12-15 (주) 미래테크원 머신비전기반 하네스 불량 검사방법
CN114104570A (zh) * 2021-09-30 2022-03-01 苏州艾隆科技股份有限公司 出药控制装置的质检装置及具有其的质检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2260B1 (ko)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378B1 (ko) 조명 유닛, 결함 검사 장치, 및 조명 방법
US8872912B2 (en) High speed distributed optical sensor inspection system
KR101669862B1 (ko) 다중배선 터미널블럭형 하네스용 비전 검사장치
US20120327215A1 (en) High speed optical sensor inspection system
WO2013048093A2 (ko) 비접촉식 부품검사장치 및 부품검사방법
WO2020175752A1 (ko) 가전제품 외관 검사 장치
KR101802843B1 (ko) 자동 비전 검사 시스템
KR101742260B1 (ko) 자동이송식 하네스 비전 검사장치
KR101505547B1 (ko) 3차원 측정기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검사방법
KR101496993B1 (ko)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방법
KR20190020589A (ko) 다중 방식의 제품 검사시스템
KR101374880B1 (ko) 엘이디 검사장치
WO2016024648A1 (ko) 대면적 평면 검사 장치
KR101641099B1 (ko) 하네스용 비전 검사장치
CN115511791A (zh) 一种液晶光栅功能检测方法及系统
CN112275665B (zh) 一种应用于pcb电测的防混板方法
KR101015808B1 (ko) 본딩 전극 선폭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0763240B1 (ko) 액정 모니터용 내부케이스의 나사홀 불량검사방법
JPS60100771A (ja) ワイヤハ−ネスの電線群配列順序検査装置
KR102410920B1 (ko) 인쇄회로기판의 회수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스캔검사장치
KR20110117371A (ko) 패턴 검사 장치
KR100602052B1 (ko) 핸들러의 피시험 소자 배치 상태 검사 장치
KR20190138939A (ko) 일련의 비전 검사 수단을 이용하는 인서트 너트 선별 장치
CN209764742U (zh) 一种插件线炉前自动光学检测机构
KR101714720B1 (ko) 기판 조명 검사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