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042A -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042A
KR20170004042A KR1020170000255A KR20170000255A KR20170004042A KR 20170004042 A KR20170004042 A KR 20170004042A KR 1020170000255 A KR1020170000255 A KR 1020170000255A KR 20170000255 A KR20170000255 A KR 20170000255A KR 20170004042 A KR20170004042 A KR 20170004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nano
tube
metal
rust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준
신항수
정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000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042A/ko
Publication of KR20170004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0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01M2/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2/1094
    • H01M2/3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1Methods or arrangement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방청제(VCI; Volatile Corrosion Inhibitor)와 베이스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청 튜브는 전지 셀의 녹 발생 또는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ORROSION RESISTANCE TUB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기화성 방청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그러한 이차전지 중 높은 에너지 밀도와 방전 전압의 리튬 이차전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행해졌고,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원통형 이차전지는 캔과, 상기 캔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캔의 상단개부에 결합되는 캡(cap) 조립체; 및 상기 캡 어셈블리의 상단에 장착되는 와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통형 이차전지는 캔 외면을 절연성 외피로 피복(튜빙; tubing)하여, 절연기능, 캔의 고정기능, 로트 넘버의 인쇄 기능 등의 역할과 함께, 전지셀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전지셀 상단에 장착되는 부재들에 대한 기계적 강도를 보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전지 셀의 부식 및 PCM(전류차단 소자) 등과 같은 전자소자들의 부식으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전지의 내부단락을 방지하여 전지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원통형 이차전지의 캔 외면 피복 시에는 테이프나 PET 재질과 같은 열수축 수지로 이루어진 튜브를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Drop test 중의 지속적이거나 순간적 강한 충격으로 튜빙은 쉽게 부서질 뿐만 아니라, 고온 고습의 가혹한 분위기에 노출되면 녹이 발생하여, 이차전지의 수명 및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 극복하기 위하여, 튜빙 재질의 개발, 튜빙의 디자인 변경 또는 튜빙 이외의 이차전지 표면의 절연 방법 등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온 다습한 환경하에서 전지의 부식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화성 방청제(VCI; Volatile Corrosion Inhibitor)와 베이스 수지(base resin)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이차전지로서, 전극조립체가 내장된 금속 캔의 개방 상단에 장착되는 캡 어셈블리의 상단에 와셔(washer)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전극조립체가 내장된 금속 캔 표면이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로 피복되어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화성 방청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를 이용해 원통형 이차전지의 캔 외면을 피복(튜빙)함으로써, 고온 다습 환경에 전지가 노출 시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지의 수명 및 안전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청 튜브로 피복(튜빙)되기 전의 원통형 전지의 실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청 튜브로 피복(튜빙)된 후의 원통형 전지의 실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청 튜브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화성 방청제(VCI; Volatile Corrosion Inhibitor)와 베이스 수지(base resin)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는 방청성이 우수하여 고온 다습 환경에 원통형 이차전지가 노출 시에 캔 외면에서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방청성이란 금속 표면에서 수산화물 또는 산화물을 주체로 하는 화합물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성질로서, 금속 표면에서 부패 생성물의 발생을 방지하는 성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에 있어서, 상기 기화성 방청제는 상온에서 승화성이 있고, 방청성을 가지는 NaNO2 또는 NaNO3 또는 그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화성 방청제는 고분자 수지 및 NaNO2 또는 NaNO3를 포함한다.
상기 기화성 방청제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전지 외벽 보호 및 양극 단자 (top cap)와 음극 단자(can)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고분자 수지 또는 고분자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테플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레이온, 혼방사, 폴리비스코스 및 폴리노직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기화성 방청제 내에서 상기 NaNO2 또는 NaNO3는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 대비 10 중량부 이내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 내에서 상기 기화성 방청제는 베이스 수지의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2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2 중량부 미만인 경우 방청에 효과가 없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제작 공정상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고분자 수지 또는 고분자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의 제조 과정을 일례로서 도 2에 나타내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살펴보면, NaNO2 또는 NaNO3를 균일한 성상을 이를 때까지 곱게 분쇄시킨다. 분쇄된 NaNO2 또는 NaNO3를 고분자 수지와 혼합하여 기화성 방청제를 얻을 수 있다. 이를 베이스 수지와 혼합한 후, 인발(drawing)하여 원통형 이차전지의 캔 외면에 피복하여 방청 튜브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는 원통형 이차전지 셀 표면에 비도전성 물질을 피복하는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를 제조한 다음, 상기 방청 튜브에 원형 이차전지를 삽입시키고 열풍을 가하여 튜브가 열에 의해 수축되면서 원형 이차전지를 감싸는 열수축 튜브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NaNO2 또는 NaNO3의 분쇄 공정은 상온 및 상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NaNO2 또는 NaNO3가 균일한 상태로 고루 분산되어야 균일한 기화성 방청제를 함유하는 방청 튜브를 생산할 수 있어서, 전지의 방청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분쇄된 NaNO2 또는 NaNO3를 용융된 고분자 수지, 바람직하게는 용융된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혼합한다. 이때, 혼합시 용매 및 기타 첨가제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당 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기화성 방청제는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펠렛화 시킬 수 있으며, 이는 상온, 상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청 튜브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매 및 기타 첨가제를 추가로 첨가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일례에 불과할 뿐, 이들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이차전지로서,
전극조립체가 내장된 금속 캔의 개방 상단에 장착되는 캡 어셈블리의 상단에 와셔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전극조립체가 내장된 금속 캔 표면은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로 피복되어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방청 튜브의 피복 두께는 0.05 내지 0.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청 튜브는 하기와 같은 원리에 의해 방청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NaNO2 또는 NaNO3는 방청 튜브 내부에 크리스탈(crystal) 상태로 분산될 수 있으며, NaNO2 (sodium nitrite)는 공기중에서 천천히 산화되어 일부는 NaNO3 (sodium nitrate)를 형성함으로써, 방청 튜브 내부에 NaNO2와 NaNO3가 공존할 수 있다. 상기 NaNO2와 NaNO3는 공기 중의 수분과 만나서 HNO2 (nitrous acid; 아질산)와 HNO3 (nitric acid; 질산)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HNO3는 이차전지의 금속 캔의 금속 표면을 미세하게 산화시킴으로써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들 HNO2와 HNO3는 예를 들어, 금속 캔의 철 표면과 반응할 경우, VCI 가스(gas) 작용으로 금속 캔 끝단에 10Å 내지 1000Å 두께로 감마 삼산화철(γ-Fe2O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금속 캔 끝단에 형성된 감마 삼산화철(γ-Fe2O3)은 추가적으로 전지셀의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 캔은 원통형 캔일 수도 있고, 각형 캔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는 이차전지는, 원통형 캔인 경우, 상기 캡 어셈블리에는 전극조립체에 연결된 양극 돌출 단자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캡 플레이트는 양극 단자와 연결되고, 캔은 음극 단자를 형성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각형 캔인 경우, 상기 캡 어셈블리에는 전극단자에 연결된 음극 돌출 단자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각형 캔과 캡 플레이트는 상기 음극 단자와 절연된 상태에서 양극 단자를 형성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접착 방식 또는 기계적 결합 방식으로 캡 어셈블리의 상단 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방청 튜브와 마찬가지로 기화성 방청제와 베이스 수지를 포함하는 방청성 와셔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방청성 와셔를 구성하기 위하여 제공된 각각의 구성 요소, 즉 방청성 와셔용 기화성 방청제와 베이스 수지는 본 발명의 방청 튜브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성분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차전지는 바람직하게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및 출력 안정성의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 그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분리막, 리튬염 함유 비수 전해액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극은, 예를 들어,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충진제를 더 첨가하기도 한다. 상기 음극은 또한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재료를 도포, 건조하여 제작되며, 필요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성분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분리막은 음극과 양극 사이에 개재되며, 이러한 분리막으로는 높은 이온 투과도와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절연성의 얇은 박막이 사용된다.
리튬염 함유 비수계 전해액은, 비수 전해액과 리튬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비수 전해액으로는 액상 비수 전해액, 고체 전해질, 무기 고체 전해질 등이 사용된다.
상기 집전체, 전극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충진제, 분리막, 전해액, 리튬염 등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즉, 양극과 음극 사이에 다공성 분리막을 삽입하고 거기에 전해액을 주입하여 제조할 수 있다.
양극은,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극 활물질로서의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 활물질과 도전재 및 바인더를 함유한 슬러리를 집전체 위에 도포한 후 건조 및 압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음극은,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극 활물질로서 탄소 활물질과 도전재 및 바인더를 함유한 슬러리를 얇은 집전체 위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도 1은 방청 튜브가 (a) 피복되기 전, (b)후의 원통형 전지의 실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a) 및 (b)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원통형 전지는 캔의 내부에 발전소자로서의 전극조립체를 삽입하고, 여기에 전해액을 주입하며, 캔의 상단 개구부에 캡 어셈블리를 장착한다. 상기 캡 어셈블리는 선택적으로 과전류 방지용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 및 전지 내부 압력을 정상적인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안전벤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캔의 상부 비딩부에 실장되는 기밀유지용 가스켓 내부에, 상단 캡으로의 과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PTC 소자 및/또는 안전벤트가 밀착되어 설치된다. 상단 캡은 중앙이 상향 돌출되어 있어서 외부 회로와의 접속에 의한 양극 단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안전벤트는 그것의 하단이 전류차단부재 및 양극리드를 통해 발전소자의 양극에 연결되어 있다. 이어서, 캡 어셈블리의 상단 캡을 감싸면서 비딩부 상부에 탑재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원판 구조의 와셔를 형성한다.
그 다음으로, 와셔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캡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캔 외면에 방청 튜브가 피복(튜빙)되어 감싸면서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소정의 열을 가하여 방청 튜브를 경화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1. 원통형 이차전지 제조)
Ni을 도금한 SPCE(냉간압연강판)을 사용하여 상단 캡 및 원통형 캔을 제작하였고, 원통형 캔에 전극조립체를 장착한 다음, 방청성 와셔를 캡 어셈블리의 상단 캡을 감싸면서 비딩부 상단에 탑재하고, 캡 어셈블리의 상단부를 밀봉하여 원통형 이차전지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 방청 튜브의 제조)
NaNO2를 상온, 상압에서 균일한 성상을 이를 때까지 잘 섞은 후 곱게 분쇄시켰다. 상기 분쇄된 NaNO2 (3 중량%) 용융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97 중량%)와 혼합시켜 기화성 방청제(VCI)를 얻었다.
그 다음, 상기 기화성 방청제를 베이스 수지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약 5:100 (중량부) 비율로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성형 틀을 이용해 튜브 형태로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방청 튜브에 상기 제조예 1의 원통형 이차전지를 삽입시키고, 열풍을 가하면, 튜브가 열에 의해 수축되면서 원형 이차전지 표면에 방청 튜브가 피복된 원통형 이차전지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기화성 방청제를 포함하지 않고, 베이스 수지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만을 이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청 튜브가 피복된 원통형 이차전지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기화성 방청제를 포함하지 않고, 베이스 수지로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만을 이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청 튜브가 피복된 원통형 이차전지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1)
비교예 1과 2 및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원통형 전지를 비닐에 밀봉한 상태로 항온항습 챔버에서 약 65℃, 90% R.H 조건으로 7일 동안 보관한 후, 전지의 녹 발생 개수를 살펴보고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일 보관 후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 비교예 1의 전지는 50개 중 46개 정도 녹발생 현상이 일어났으며, 비교예 2의 전지는 44개 정도 녹발생 현상이 일어났다. 반면, 본 발명의 방청 튜브가 피복된 원통형 이차전지의 경우 14개 정도 밖에 녹 발생 현상이 일어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방청 튜브는 우수한 방청 기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4)

  1. 기화성 방청제(Volatile Corrosion Inhibitor)와 베이스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나일론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화성 방청제는 NaNO2 및 NaNO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과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테플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레이온, 혼방사, 폴리비스코스 및 폴리노직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NaNO2 또는 NaNO3는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 이내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화성 방청제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
  7.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이차전지로서,
    상기 전극조립체가 내장된 금속 캔의 개방 상단에 장착되는 캡 어셈블리의 상단에 와셔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전극조립체가 내장된 금속 캔 표면은 청구항 1 기재의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로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의 두께는 0.05mm 내지 0.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금속 캔의 끝단에 감마 삼산화철(γ-Fe2O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감마 삼산화철은 10Å 내지 1000Å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금속 캔은 원통형 캔이며, 상기 캡 어셈블리에는 전극조립체에 연결된 양극 돌출 단자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금속 캔은 각형 캔이며, 상기 캡 어셈블리에는 전극단자에 연결된 음극 돌출 단자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접착 방식 또는 기계적 결합 방식으로 캡 어셈블리의 상단 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4.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기화성 방청제와 베이스 수지(base resin)를 포함하는 방청성 와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KR1020170000255A 2017-01-02 2017-01-02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700040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255A KR20170004042A (ko) 2017-01-02 2017-01-02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255A KR20170004042A (ko) 2017-01-02 2017-01-02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468A Division KR20160040018A (ko) 2014-10-02 2014-10-02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042A true KR20170004042A (ko) 2017-01-10

Family

ID=57811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255A KR20170004042A (ko) 2017-01-02 2017-01-02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04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2982A (ko) 2017-07-31 2019-02-11 신두호 이차전지용 기화성 방청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용 방청와셔, 방청튜브 및 이차전지
KR20190068220A (ko) * 2017-12-08 2019-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기계적 강도를 갖는 외장재를 포함하는 전지 캔
WO2019164371A1 (ko) * 2018-02-23 2019-08-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개스킷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EP3544077A4 (en) * 2017-05-22 2020-05-06 LG Chem, Ltd. CYLINDRICAL CELL COMPRISING AN ANTI-RUST SEAL
CN111448682A (zh) * 2018-02-23 2020-07-24 株式会社Lg化学 用于二次电池的垫圈和包括用于二次电池的垫圈的二次电池
KR20200123067A (ko) * 2017-01-13 2020-10-28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화성 방청제를 포함하는 전지셀 트레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067A (ko) * 2017-01-13 2020-10-28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화성 방청제를 포함하는 전지셀 트레이
EP3544077A4 (en) * 2017-05-22 2020-05-06 LG Chem, Ltd. CYLINDRICAL CELL COMPRISING AN ANTI-RUST SEAL
KR20190012982A (ko) 2017-07-31 2019-02-11 신두호 이차전지용 기화성 방청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용 방청와셔, 방청튜브 및 이차전지
KR20190068220A (ko) * 2017-12-08 2019-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기계적 강도를 갖는 외장재를 포함하는 전지 캔
WO2019164371A1 (ko) * 2018-02-23 2019-08-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개스킷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CN111448682A (zh) * 2018-02-23 2020-07-24 株式会社Lg化学 用于二次电池的垫圈和包括用于二次电池的垫圈的二次电池
US11631915B2 (en) 2018-02-23 2023-04-18 Lg Energy Solution, Ltd. Gasket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4042A (ko)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60040018A (ko) 이차전지용 방청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JP6007447B2 (ja) 二次電池
KR101685871B1 (ko) 방청성 와셔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EP1671382B1 (en) Nonaqueous cell with improved thermoplastic sealing member
TW504854B (en) Flat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AU685708B2 (en) Alkaline battery
JP6542529B2 (ja) 角形二次電池及びそれを用いた組電池
KR102209880B1 (ko) 방청성 개스킷을 포함하는 원통형 전지
KR102137697B1 (ko) 리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보호회로모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셀
JP2008204839A (ja) 円筒形電池用封口板
WO2018217017A2 (ko) 방청성 개스킷을 포함하는 원통형 전지
CN111164814B (zh) 圆筒形二次电池
JP5095213B2 (ja) 改良型熱可塑性シーリング部材を備えた非水セル
JP3030263B2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2007207640A (ja) 筒形非水電解液一次電池
JP2002298862A (ja) アルミニウム電池
JP4581378B2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CN111448682B (zh) 用于二次电池的垫圈和包括该用于二次电池的垫圈的二次电池
JP2001297762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20230344048A1 (en) Energy storage element and production method
JP3185644B2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封口板
JPH05198292A (ja) 非水電解質電池
JPH10284020A (ja) アルカリ電池
KR20190101912A (ko) 개스킷용 방청제,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개스킷, 상기 이차전지용 개스킷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29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323

Effective date: 2019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