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447U - 도난 방지와 조명 기능을 가진 자전거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난 방지와 조명 기능을 가진 자전거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447U
KR20170003447U KR2020160001641U KR20160001641U KR20170003447U KR 20170003447 U KR20170003447 U KR 20170003447U KR 2020160001641 U KR2020160001641 U KR 2020160001641U KR 20160001641 U KR20160001641 U KR 20160001641U KR 20170003447 U KR20170003447 U KR 201700034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wire
main body
locking device
the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276Y1 (ko
Inventor
강성원
Original Assignee
강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원 filed Critical 강성원
Priority to KR2020160001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276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4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4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2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2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003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using chain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2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indicating unauthorised use, e.g. acting on signa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2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4Rear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79Locks with audio features
    • E05B17/0083Sound emitting devices, e.g. loudspea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0Illuminating devices on or for locks or keys; Transparent or translucent lock parts; Indicator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1/00Locks specially adapted for bicycles, other than pad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맞물리게 고정하여 잠금장치로 사용하는 양쪽 본체 부분을 각각 전조등과 후미등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여 야간에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고, 게다가 이들 전조등과 후미등 기능을 하는 두 개의 본체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이 와이어가 잘렸을 때 경고수단을 통해 도난 경고를 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여러 가지 기능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난 방지와 조명 기능을 가진 자전거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 두 개의 본체가 열쇠 방식이나 번호 방식으로 잠금과 해제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자전거를 이용하지 않을 때는 쉽고 신속하게 와이어로 자전거를 고정할 수 있고 때에 따라 편리하게 잠금을 해제하여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게 한 도난 방지와 조명 기능을 가진 자전거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도난 방지와 조명 기능을 가진 자전거용 잠금장치{LOCKING DEVICE FOR BICYCLE WITH ANTI-THIEF AND LIGHTINGS}
본 고안은 자전거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를 탈 때는 전조등과 후미등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자전거를 보관할 때는 잠금 기능을 하며, 자전거가 도난당했을 때는 이를 경고할 수 있게 하여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도난 방지와 조명 기능을 부가한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자동차와 달리 손으로도 들고 가거나 잠금장치를 자르고서 타고 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으로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이러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실용 제20-2015-0001840호
자전거를 거치시 다양한 크기의 자전거 거치대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벽면 혹은 바닥면에 전자석 힘으로 부착시키거나 금속 면이 없을 시 전자석 양면을 서로 겹쳐 잠겨질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전자석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측 면이 자전거프레임 및 자전거바퀴를 구속하기 위해 복수로 구비되는 관절 몸체와, 상기 관절 몸체에 힌지 결합하여 관절 작동되도록 하는 관절 결합구, 상기 관절 몸체의 두 끝단에 전자석을 작동시킬 수 있는 잠금 몸체와 전원부가 형성되고, 잠금 몸체의 끝단 면에는 전자석이 구성되어 금속 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 자전거 잠금장치이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525604호
차륜의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전거가 개시된다. 개시된 차륜의 잠금장치는, 프레임에 고정된 차축(axle); 상기 차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허브; 상기 허브가 상기 차축에 대하여 상기 차축의 축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차축의 한쪽 끝에 고정 설치되는 제1 방지 캡과, 상기 차축의 다른 한쪽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방지 캡을 포함하는 분리 방지 캡; 상기 차축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열쇠에 의해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잠금 유닛; 상기 허브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잠금 유닛의 회전시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고정 부재; 및 상기 제2 방지 캡이 상기 차축의 다른 한쪽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잠금 유닛의 회전시 상기 차축의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601205호
자전거 부착형 간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단을 중심축으로 회동 가능하되 타단 일부가 안쪽 방향으로 꺾인 모양으로 형성된 잠금부, 상기 잠금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잠금부의 일단이 회동되어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하단이 자전거에 장착되는 부착부, 그리고 상기 부착부의 한쪽에서 상기 잠금부의 삽입 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이에, 알루미늄 재질의 잠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절단에 의한 자전거 도난을 방지하는 동시에, 자전거 바퀴에 부착되는 방식의 잠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부착된 잠금장치에 사용자가 한번의 작동 모션을 수행함으로써 자전거 잠금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자전거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기존 잠금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잠금 기능을 하는 잠금장치가 결합하는 부분이 쉽게 분리하거나 강제로 잠금을 해제할 수 없게 하는 구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2) 하지만, 자전거용 잠금장치는 이처럼 서로 맞물리게 하는 잠금 부분의 구성도 중요하나, 잠금 부분을 연결하는 구성, 예를 들어서 와이어나 체인과 같은 연결 구성을 절단기로 잘라서 자전거를 훔치는 경우도 많이 늘고 있다.
(3) 또한, 잠금장치는 잠금 작용 이외에 다른 기능을 부가하지 않으므로, 예를 들어서 전조등과 후미등 등을 따로 제작하여 장착해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더 많이 필요하다.
한국공개실용 제20-2015-0001840호 (공개일 : 2015.05.14) 한국등록특허 제1525604호 (등록일 : 2015.05.28) 한국등록특허 제1601205호 (등록일 : 2016.03.02)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자전거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맞물리게 고정하여 잠금장치로 사용하는 양쪽 본체 부분을 각각 전조등과 후미등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여 야간에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고, 게다가 이들 전조등과 후미등 기능을 하는 두 개의 본체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이 와이어가 잘렸을 때 경고수단을 통해 도난 경고를 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여러 가지 기능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난 방지와 조명 기능을 가진 자전거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 두 개의 본체가 열쇠 방식이나 번호 방식으로 잠금과 해제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자전거를 이용하지 않을 때는 쉽고 신속하게 와이어로 자전거를 고정할 수 있고 때에 따라 편리하게 잠금을 해제하여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게 한 도난 방지와 조명 기능을 가진 자전거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도난 방지와 조명 기능을 가진 자전거용 잠금장치는, 서로 맞물려서 잠금 기능을 할 수 있는 제1 본체(100) 및 제2 본체(200)가 도난 방지를 위한 와이어(300)로 연결한 자전거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100)는 핸들 또는 핸들을 연결하는 스텀(S)에 끼워서 고정하거나 잡아당겨서 뺄 수 있는 탄성 편(110)과 전방을 비출 수 있게 전조등(120)을 갖추고;, 상기 제2 본체(200)는 자전거의 시트 포스트나 프레임(P)에 고정 설치하고, 한쪽에 구성한 후미등(210), 전조등(120)과 후미등(210)에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장치(220), 상기 제1 본체(100)와 연결한 와이어(300)의 절단 감지를 위한 전기회로, 그리고 와이어 절단으로 상기 전기회로에서 출력한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경고수단(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 본체(100)는 번호로 잠금을 해제하거나 열쇠로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뭉치(130)를 갖추고, 상기 제2 본체(100)는 상기 잠금 뭉치(130)에 걸리도록 걸림 고리(241)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조등(120)과 후미등(210)은,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경고수단(230)은, 전자음을 발생하는 피에조 버저, 후미등(210)을 이용한 점멸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 본체(100)와 제2 본체(200)는, 상기 전조등(120)과 후미등(210)이 서로 마주하게 장착하여 결합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도난 방지와 조명 기능을 가진 자전거용 잠금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통상 자전거를 이용할 때는 자전거에 거치해 놓는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전조등과 후미등으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전조등과 후미등을 구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자전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2) 또한, 전조등과 후미등 사이를 연결하여 도난을 방지하고 전조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와이어를 자르면 이를 감지하여 경고수단을 통해 경고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도난 사고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3) 그리고, 경고수단은 후미등의 점멸 신호를 통한 시각적 신호와 전자음을 발생하는 피에조 버저를 통한 청각적 신호를 이용하므로 도난 장소 주변에 있는 이들에게 경고 효과를 높여 도난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4) 잠금 기능을 하는 두 개의 본체를 번호 맞춤 방식이나 키 뭉치를 이용하여 잠금 작용이 이루어지게 구성하므로, 누구든지 쉽게 번호를 맞춰서 잠금을 해제하거나 키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어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5) 전조등과 후미등에 LED를 이용하므로 직진성이 좋아 빛이 멀리 조사되므로 자전거를 이용할 때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도난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는 경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잠금장치를 적용한 자전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장치를 적용한 자전거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본체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장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본체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브래킷을 분해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본체와 제2 본체의 잠금 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결합 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라 키 뭉치 방식으로 잠금 작용하게 하는 제1 본체와 제2 본체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잠금장치로 자전거를 도난당하지 않게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고안에 따른 도난 방지와 조명 기능을 가진 자전거용 잠금장치는,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전조등 기능을 하는 제1 본체(100), 후미등 기능을 하는 제2 본체, 그리고 제1 본체(100)와 제2 본체(200)를 연결하며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케이블 역할과 도난 방지 역할을 하는 와이어(3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특히, 후미등 기능을 하는 제2 본체(200)는 후미등과 전조등에 필요한 전원 공급을 하고, 와이어(300)가 끊어진 것을 감지하여 도난 방지 상태를 검출하며, 도난 상태로 판단하면 이를 경고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전조등 기능을 하는 제1 본체(100)는 자전거를 사용할 때는 스텀(S)에 장착하여 전조등으로 사용하고, 자전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제2 본체(200)에 맞물리게 장착하여 잠금 기능을 하게 함으로써, 자전거를 안전하게 보관하여 도난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3] 그리고 [도 5] 및 [도 6]과 같이, 자전거의 핸들을 장착할 수 있는 곳이라면 어느 곳이라도 장착할 수 있다. 즉, 제1 본체(100)는 전조등(120)을 구성하여 자전거를 이용할 때 야간에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에, 제1 본체(100)는 자전거 핸들이라든가 이 핸들을 장착하기 위한 스텀(S)에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이처럼 장착하는 스텀(S)에 끼울 수 있게 장착 홈(140)을 형성한다. 이때, 장착 홈(140)은 스텀(S)에 끼웠을 때 그 외주에 밀착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한다. 도면에서, 스텀(S)은 폭 단면이 원기둥 형태로 제작한 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에 상기 장착 홈(140)은 원기둥을 그 축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태를 예로 보여준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처럼 원기둥 형태의 스텀(S)에 장착하는 경우, 상기 장착 홈(140)은 스텀(S) 외주의 반원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하여 제1 본체(100)를 강제로 스텀(S)에 강제로 끼워서 설치하고 강제로 빼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본체(100)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장착 홈(140)의 양쪽 끝에 각각 탄성 편(11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편(110)은 장착 홈(140)을 스텀(S) 외주에 맞닿게 하고 제1 본체(100)를 눌렀을 때, 변형되면서 스텀(S)이 장착 홈(140) 안으로 들어가게 하고, 이처럼 들어간 뒤에는 탄성 편(110)이 원래 상태로 되돌아오면서 장착 홈(140)에서 스텀(S)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본체(100)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전조등(120)을 구성한다. 이때, 전조등(120)은 LED를 이용함으로써 직진성이 좋고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조등(120)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술한 장착 홈(140)을 형성한 양쪽에 인접한 면에 장착하여 후술할 제2 본체(200)와 마주하게 구성하여 제1 본체(100)와 제2 본체(200)로 잠금 기능을 하게 결합했을 때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하여 전조등(120)을 보호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 본체(100)는, [도 6]과 같이, 후술할 제2 본체(200)와 잠금 작용을 할 수 있도록 잠금 뭉치(130)를 구성한다. 이때, 잠금 뭉치(130)는, [도 6]과 같이 키를 이용하여 잠금을 해제하게 하거나,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번호를 이용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통상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키를 이용한 잠금 뭉치(130)로서, 키를 끼워서 돌리면 길이 방향을 따라 반대로 움직이는 두 개의 걸쇠(131)로 제2 본체(200)의 걸림 고리(241)를 고정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이때, 잠금 뭉치(130)는 키를 꽂는 부분이 제1 본체(100) 외부에 노출되고, 걸쇠(131)는 본체(100) 내부에서 동작하므로 본체(100)에는 걸림 고리(241)가 끼워질 수 있도록 두 개의 삽입 구멍(150)을 형성한다.
제2 본체(200)는, [도 1]·[도 2]·[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상술한 전조등(120)과 후술할 후미등(21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전원공급장치(220)를 포함한다. 특히, 이 전원공급장치(220)는 충방전할 수 있는 통상의 기술로 이루어진 배터리나 일회용 건전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장치(22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폭 단면이 "U"자 형태로 이루어진 장착 브래킷(240)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장착 브래킷(240)은 안장을 장착하는 시트 포스트나 프레임(P)에 장착하며, 시트 포스트나 프레임이 봉 형태로 이루어지면 "U"자 형태로 제작하나 시트 포스트나 프레임이 사각 빔 형태면 "┗┛"자 형태로 제작하여 그 아랫부분이 시트 포스트나 프레임(P)의 외주를 감싸고 그 상부에 전원공급장치(220)가 놓이게 하여 설치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 브래킷(240)은,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서로 마주하는 양쪽 끝의 테두리 중간 부분이 바깥으로 돌출하게 돌출 부분(24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돌출 부분(242)은 상술한 장착 홈(140)의 형상과 같게 돌출 성형하여, [도 5] 및 [도 6]과 같이, 제1 본체(100)를 제2 본체(200)에 결합할 때 장착 홈(14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구성하여 파손 등을 쉽게 할 수 없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2 본체(200)는 후미등(210)을 구성한다. 후미등(210)은 상술한 전조등(120)과 마찬가지로 LED로 제작하여 전원공급장치(22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특히, 상기 후미등(210)은, [도 6]과 같이, 제1 본체(100)를 제2 본체(200)에 결합하였을 때 외부에서 보이도록 제2 본체(200)에 구성함으로써 도난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이 후미등(210)이 점멸 작용하게 하여 경고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본체(200)는 후술할 와이어(300)의 절단 감지를 검출하기 위한 전기회로를 포함한다. 즉, 전조등(120)에 전원 공급에 사용하는 와이어의 길이를 알면 그 저항을 알 수 있고, 사용하는 전조등(120)의 사용 가능한 전류와 전압의 세기를 쉽게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전기회로는 이러한 저항과 전류 그리고 전압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세기가 미리 입력된 세기와 비교하게 하거나 와이어(300)에서 검출한 검출 신호를 연산기를 통해 연산하게 하여 와이어(300)의 절단 여부를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2 본체(200)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경고수단(230)을 포함한다. 경고수단(230)은 와이어(300)를 절단하면 이를 상술한 전기회로에서 검출함에 따라 작동하여 도난 상태를 경고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경고수단(230)은 전자음을 발생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경고하는 데 많이 사용하는 피에조 버저와 같이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고, 후미등(210)을 점멸하게 하여 경광 효과를 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피에조 버저나 후미등(21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시각적 효과나 청각적 효과를 통해 경고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300)는, [도 1]·[도 2] 및 [도 7]과 같이, 제1 본체(100)와 제2 본체(200)를 연결하여 서로 이탈하지 않게 연결한다. 특히, 상기 와이어(300)는 제1 본체(100)와 제2 본체(200) 사이에서 쉽게 절단하지 못하도록 소정의 강도를 가진 금속 재질 등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그 안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케이블 등을 설치하여 전원공급장치(220)의 전원이 전조등(120)에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쉽게 자르지 못하게 하면서 내부에 전원을 이용한 와이어(300)는 통상의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항상 자전거의 시트 포스트나 프레임(P)에 제2 본체(200)를 고정하고 제1 본체(100)를 핸들이나 스텀(S)에 끼워서 전조등과 후미등 기능을 하게 사용한다. 또한, 때에 따라, [도 7]과 같이, 스텀(S)에서 제1 본체(100)를 빼낸 다음 제2 본체(200)와 마주하여 결합하여 체결함에 따라 도난 방지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100 : 본체
110 : 탄성 편
120 : 전조등
130 : 잠금 뭉치
140 : 장착 홈
150 : 삽입 구멍
200 : 제2 본체
210 : 후미등
220 : 전원공급장치
230 : 경고 수단
240 : 장착 브래킷
241 : 장착 고리

Claims (4)

  1. 서로 맞물려서 잠금 기능을 할 수 있는 제1 본체(100) 및 제2 본체(200)가 도난 방지를 위한 와이어(300)로 연결한 자전거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100)는 핸들 또는 핸들을 연결하는 스텀(S)에 끼워서 고정하거나 잡아당겨서 뺄 수 있는 탄성 편(110)과 전방을 비출 수 있게 전조등(120)을 갖추고;,
    상기 제2 본체(200)는 자전거의 시트 포스트나 프레임(P)에 고정 설치하고, 한쪽에 구성한 후미등(210), 전조등(120)과 후미등(210)에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장치(220), 상기 제1 본체(100)와 연결한 와이어(300)의 절단 감지를 위한 전기회로, 그리고 와이어 절단으로 상기 전기회로에서 출력한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경고수단(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방지와 조명 기능을 가진 자전거용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100)는 번호로 잠금을 해제하거나 열쇠로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뭉치(130)를 갖추고,
    상기 제2 본체(100)는 상기 잠금 뭉치(130)에 걸리도록 걸림 고리(241)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방지와 조명 기능을 가진 자전거용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조등(120)과 후미등(210)은,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방지와 조명 기능을 가진 자전거용 잠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수단(230)은,
    전자음을 발생하는 피에조 버저, 및 후미등(210)을 이용한 점멸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방지와 조명 기능을 가진 자전거용 잠금장치.
KR2020160001641U 2016-03-28 2016-03-28 도난 방지와 조명 기능을 가진 자전거용 잠금장치 KR2004852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641U KR200485276Y1 (ko) 2016-03-28 2016-03-28 도난 방지와 조명 기능을 가진 자전거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641U KR200485276Y1 (ko) 2016-03-28 2016-03-28 도난 방지와 조명 기능을 가진 자전거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447U true KR20170003447U (ko) 2017-10-12
KR200485276Y1 KR200485276Y1 (ko) 2018-01-18

Family

ID=60407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641U KR200485276Y1 (ko) 2016-03-28 2016-03-28 도난 방지와 조명 기능을 가진 자전거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2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267A (ko) 2018-07-18 2020-01-30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하여 잠금기능을 실행하는 자전거 자물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9770A (en) * 1995-12-21 2000-08-29 Kim Charles Illuminating or light signalling device, particularly for bicycles and the like
KR200380983Y1 (ko) * 2005-01-21 2005-04-08 (주)오리엔트텔레콤 오작동 및 작동불량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경보기
KR20150001840U (ko) 2013-11-06 2015-05-14 신종길 자전거 전자석 잠금 장치
KR101525604B1 (ko) 2014-01-15 2015-06-04 박효승 차륜의 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KR101601205B1 (ko) 2014-08-13 2016-03-08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전거 부착형 간편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9770A (en) * 1995-12-21 2000-08-29 Kim Charles Illuminating or light signalling device, particularly for bicycles and the like
KR200380983Y1 (ko) * 2005-01-21 2005-04-08 (주)오리엔트텔레콤 오작동 및 작동불량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경보기
KR20150001840U (ko) 2013-11-06 2015-05-14 신종길 자전거 전자석 잠금 장치
KR101525604B1 (ko) 2014-01-15 2015-06-04 박효승 차륜의 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KR101601205B1 (ko) 2014-08-13 2016-03-08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전거 부착형 간편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267A (ko) 2018-07-18 2020-01-30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하여 잠금기능을 실행하는 자전거 자물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276Y1 (ko)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0421B2 (en) Bicycle handlebar with integral lighting system
US6109770A (en) Illuminating or light signalling device, particularly for bicycles and the like
US7232244B2 (en) Vehicle safety warning signal devices and system for use on a bicycle, motorcycle or like vehicle
US6533438B2 (en) Bicycle or scooter safety light
KR200485276Y1 (ko) 도난 방지와 조명 기능을 가진 자전거용 잠금장치
KR101667573B1 (ko) 자전거용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
JP2013144517A (ja) 車両用灯具,その収納保持具,車両
CN203127029U (zh) 一种车把灯
JP3162062U (ja) 自転車用錠
CN207433690U (zh) 一种自锁式防盗车把
ES2812173T3 (es) Vehículo con luz de freno controlable y método de control electrónico de la luz de freno
US7220031B1 (en) Automobile wheel lighting system
JP4235771B2 (ja) ヘッドランプを兼用する自転車用錠
GB2458308A (en) Rear view mirror and indicator accessory for a bicycle
JP2012197015A (ja) 自転車無施錠警告装置
CN220500865U (zh) 一种把堵转向装置及自行车
JP2007076435A (ja) 自転車用錠前、及びこれを備えた自転車
JP4478839B2 (ja) 二輪車用錠前
JP2005132319A (ja) 自転車用ワイヤー錠内蔵反射鏡
JP3156988U (ja) 防犯ブザー付き自転車用前照灯
US20060000249A1 (en) Disc lock reminder
WO2006021781A1 (en) Security device
TWM376480U (en) Burglarproof illuminating device for bicycle
CN205131435U (zh) 可拆式防盗灯锁
GB2494124A (en) Bike horn having a sound pressure level of at least 120 decib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