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573B1 - 자전거용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573B1
KR101667573B1 KR1020140195638A KR20140195638A KR101667573B1 KR 101667573 B1 KR101667573 B1 KR 101667573B1 KR 1020140195638 A KR1020140195638 A KR 1020140195638A KR 20140195638 A KR20140195638 A KR 20140195638A KR 101667573 B1 KR101667573 B1 KR 101667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lock
bicycle
body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3542A (ko
Inventor
김동하
김슬민
Original Assignee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95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573B1/ko
Publication of KR20160083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4Rear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1/00Locks specially adapted for bicycles, other than pad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전거에 장착하여 방향지시등으로 사용하다가 자전거를 보관 시 잠금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자전거용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운전자로부터 방향지시 명령을 입력받아 무선신호로 전송하는 송신유닛이 구비된 리모트 컨트롤러와, 상기 송신유닛으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받아 이동방향을 지시하는 표시유닛이 구비된 바디 어셈블리와, 상기 바디 어셈블리의 양측에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고, 대상물을 양쪽에서 둘러싸서 구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샤클 및 상기 샤클의 마주하는 양쪽 자유단부에 대상물과의 고정을 위해 형성되고, 일측에 조임요크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조임요크에 고정구멍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클램프를 포함하는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자전거용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COMBINATION LOCK AND DIRECTIONAL SIGNAL FOR BICYCLE}
본 발명은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 등의 이동 및 운송수단에 장착하여 방향지시등으로 사용하다가 그 이동 및 운송수단을 보관 시에는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자물쇠 형태의 잠금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자전거용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전거 전용도로 등 인프라 확충과 더불어 환경오염을 줄이고 레저 및 스포츠 활동을 즐기면서 건강 및 체력을 증진시키는 운동효과로 인해 자전거 이용인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자전거는 차체가 가볍고 이동이 용이하여 도난에 취약한 특성이 있기 때문에 대개 와이어형 자물쇠와 같은 각종 도난 방지용 잠금장치를 별도로 휴대하고 다니다가 이를 이용하여 자전거 거치대나 보관대 등에 묶어 보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자전거를 주행 중에는 대부분이 이러한 잠금장치를 자전거 손잡이나 프레임 등에 걸고 다니므로 운전에 방해 및 거치적거리는 데다 미관상으로도 상당히 좋지 않을 수밖에 없고, 자칫 분실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통상적인 자전거는 주행 중 운전자가 방향전환에 따른 의사표시를 후방에서 뒤따르는 다른 자전거 등 이동 및 운송수단의 운전자에게 미리 할 수 있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특히 어두운 장소나 야간 등에 주행할 경우 돌발적인 추돌이나 충돌에 의한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자전거 주행 중 운전자가 의도한 자전거의 방향전환 사실을 미리 알려 후방의 다른 자전거 등 이동 및 운송수단의 운전자에게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지시등이 제안된 바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8298호에 개시된 자전거 주행 보조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52068호에 개시된 '자전거용 안전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5551호에 개시된 '자전거용 방향등'은 자전거의 시트(안장) 하측이나 짐받이 또는 후륜의 흙받이 등에 장착하고,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좌우 점멸등을 화살표 모양으로 점멸되도록 함으로써 후방의 다른 자전거 등 이동 및 운송수단의 운전자에게 방향전환을 미리 알려줄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자전거용 방향지시등은 후방에서 뒤따르는 다른 자전거 등 이동 및 운송수단의 운전자에게 방향전환을 미리 알려주는 용도로만 사용 가능할 뿐 그외에 별다른 기능이 없기 때문에 활용성이 다소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63947(2012.07.06)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53911(2013.04.16)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32845(2012.12.10)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37813(2013.04.17)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05551(2012.01.05)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136195(2010.12.2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10402(2009.08.04)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52068(2005.06.0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0-0008298(2010.08.20)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감안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사용자의 선택 및 필요에 따라 자전거 등의 이동 및 운송수단에 장착하여 방향지시등으로 사용할 수 있고, 자전거 등 이동 및 운송수단을 보관 시에는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 및 구조의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서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은 자전거 등 이동 및 운송수단의 방향지시등과 잠금장치로 겸용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과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양태는, 운전자로부터 방향지시 명령을 입력받아 무선신호로 전송하는 송신유닛이 구비된 리모트 컨트롤러와, 상기 송신유닛으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받아 이동방향을 지시하는 표시유닛이 구비된 바디 어셈블리와, 상기 바디 어셈블리의 양측에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고, 대상물을 양쪽에서 둘러싸서 구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샤클 및 상기 샤클의 마주하는 양쪽 자유단부에 대상물과의 고정을 위해 형성되고, 일측에 조임요크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조임요크에 고정구멍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이나 필요에 따라 자전거 등 이동 및 운송수단의 방향지시등과 그 이동 및 운송수단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장치로 겸용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과 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는, 상기 클램프의 고정구멍을 통해 상기 클램프들 간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해제시키는 로크 바디 및 로크 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더욱 간편하고 용이하게 자전거 등의 이동 및 운송수단에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방향지시등으로 사용 시에도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양태는, 상기 로크 핀에 힌지 이음으로 결합되어 그 힌지를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임요크들의 간격을 조절하는 릴리즈 레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더욱 신속하고 견고하게 자전거 등의 이동 및 운송수단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로크 바디는 키 조작으로 잠금 및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키실린더 방식이나 번호조합으로 잠금 및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다이얼 방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으로써 분실이나 도난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송신유닛은 좌우 위치전환이나 조작에 따른 좌향신호 및 우향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의 좌향신호 및 우향신호를 상기 표시유닛으로 전송하는 신호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표시유닛은 상기 바디 어셈블리의 바깥쪽 면 둘레 양쪽에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특정한 패턴과 속도로 점멸되는 좌향 및 우향발광부와, 상기 신호전송부로부터 좌향신호 및 우향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및 상기 신호수신부의 수신 신호에 따라 상기 좌향 및 우향발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점멸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송신유닛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양쪽에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점멸되는 좌향 및 우향램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운전자가 현재 방향지시등의 점멸 상태나 지시방향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송신유닛과 상기 표시유닛은 블루투스, 지그비, RF 방식 중 어느 하나로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클램프들의 대향하는 양측면 중 상기 바디 어셈블리와 가까운 일측면에 서로 대응하여 결합되는 연결홈과 연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클램프들의 대향하는 안쪽 면 둘레에 대상물과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탄성패드가 부착됨으로써 자전거의 시트 포스트나 시트 스테이, 체인 스테이, 튜브, 포크 등과 같은 대상물과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결합력을 크게 높여 더욱 안정적이고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대상물에 부착할 수 있도록 부착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자전거의 핸들바, 손잡이, 헤드셋 등에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방향지시등과 잠금장치의 기능 및 구실을 일체로 겸비 및 병치함으로써 자전거 등과 같은 이동 및 운송수단의 프레임 등에 장착할 경우 방향지시등으로 사용할 수 있고, 그 이동 및 운송수단을 보관 시에는 바퀴나 프레임 등을 둘러매는 형태로 장착되어 이동을 구속하는 잠금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물품으로 두 가지 물품 기능을 겸용하여 동시에 사용 및 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과 활용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달리 잠금장치를 별도로 마련하여 자전거 등 이동 및 운송수단의 주행 중에 별도로 휴대하거나 보관해야만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의 클램프가 잠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의 클램프가 잠긴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의 클램프가 풀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의 구성요소 중 송신유닛과 표시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를 자전거에 장착할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부',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는 크게 리모트 컨트롤러(100), 바디 어셈블리(200), 샤클(220), 클램프(230), 로크 바디(240), 로크 핀(250) 및 릴리즈 레버(2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100)는 자전거를 비롯하여 휠체어, 손수레 등과 같은 이동 및 운송수단의 운전자로부터 방향지시 명령을 입력받아 무선신호로 전송하는 송신유닛(110)이 구비되어 있고, 자전거 등 이동 및 운송수단의 손잡이나 핸들바, 스텝, 헤드셋 등과 같은 대상물에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부착수단(120)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부착수단(120)은 자전거 등 이동 및 운송수단의 손잡이나 핸들바, 스텝, 헤드셋 등과 같은 대상물에 탈부착이나 결속이 용이하도록 외력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그 일부가 개구된 마치 링형 클립처럼 형성될 수 있으나, 띠형 밴드나 벨트 등 자전거의 손잡이나 핸들바, 스템, 헤드셋 등과 같은 대상물에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부착수단(120)의 안쪽 면 둘레에는 자전거 등 이동 및 운송수단의 손잡이나 핸들바, 스템, 헤드셋 등과 같은 대상물과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결합력을 높이는 패드(미부호)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송신유닛(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좌우 위치전환이나 조작에 따라 발신 주파수 등이 다른 좌향신호 및 우향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부(111)와, 이 스위칭부(111)의 좌향신호 및 우향신호를 바디 어셈블리(200)의 표시유닛(210)으로 전송하는 신호전송부(112)를 포함한다.
특히 스위칭부(111)는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조작에 따른 위치변경으로 좌향신호 및 우향신호의 출력을 제어 및 전원이 공급 및 차단되도록 온/오프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즉, 스위칭부(111)의 선택 위치에 따라 표시유닛(210)의 전원이 온/오프되고, 점멸 모드로 전환하여 점멸 기능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송신유닛(110)은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양쪽에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스위칭부(111)의 출력 신호에 따라 표시유닛(210)의 좌향 및 우향발광부(211)(212)와 동시에 점멸되는 좌향 및 우향램프부(113)(114)를 더 구비함으로써 운전자가 현재 스위칭부(111)의 출력 신호 및 좌향 및 우향발광부(211)(212)의 점멸 상태 및 지시방향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주행 중 스위칭부(111)를 좌측 방향으로 밀어서 조작하면 좌향램프부(113)와 좌향발광부(211)가 동시에 점멸함으로써 운전자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점멸 및 방향지시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곧바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송신유닛(110)은 바디 어셈블리(200)의 표시유닛(210)과 블루투스나 지그비 또는 RF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표시유닛(2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바디 어셈블리(200)는 송신유닛(110)으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받아 자전거 등 이동 및 운송수단의 이동방향을 지시하는 표시유닛(210)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표시유닛(2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어셈블리(200)의 바깥쪽 면 둘레 양쪽에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특정한 패턴과 속도로 점멸되는 좌향 및 우향발광부(211)(212)와, 송신유닛의 신호전송부(112)로부터 좌향신호 및 우향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213)와, 이 신호수신부(213)의 수신 신호에 따라 좌향 및 우향발광부(211)(21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점멸제어부(214)를 포함한다.
특히 좌향 및 우향발광부(211)(212)는 다양한 패턴과 색상으로 점멸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향발광부(211)는 왼쪽 방향을 가리키는 화살표 모양으로 발광소자가 붉은빛으로 점멸될 수 있고, 우향발광부(212)는 오른쪽 방향을 가리키는 화살표 모양으로 발광소자가 붉은빛으로 점멸될 수 있다.
또한, 바디 어셈블리(200)에는 사용자의 스위칭 조작에 따라 표시유닛(21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가 내장되어 있고, 외측에는 표시유닛(210)의 작동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215)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표시유닛(2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는 충전식 배터리팩(2차전지) 형태를 채용하고, 좌향 및 우향발광부(211)(212)는 LED 모듈 형태를 채용함으로써 건전지 교체와 같은 사용상의 번거로움이나 불편함이 없이 장시간 동안 좌향 및 우향발광부(211)(212)의 현란하고 화려한 빛에 의해 어두운 장소나 야간에도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샤클(220)은 대상물을 양쪽에서 둘러싸서 구속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바디 어셈블리(200)의 양측에 힌지(H)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샤클(220)은 쉽게 절단되지 않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램프(230)는 샤클(220)의 마주하는 양쪽 자유단부에 자전거 등 이동 및 운송수단의 시트 포스트나 시트 스테이, 체인 스테이, 튜브, 포크 등과 같은 대상물을 양쪽에서 감싸듯이 고정하기 위해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샤클(220)의 양쪽 자유단부에 일체로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각각의 대향하는 양쪽면 중 바디 어셈블리(200)와 먼쪽 단부에는 조임요크(231)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조임요크(231)에는 상호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구멍(23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클램프(230)들의 대향하는 양쪽면 중 바디 어셈블리(200)와 가까운 일측면에는 서로 대응하여 결합되는 연결홈(233)과 연결돌기(23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클램프(230)들은 연결홈(233)과 연결돌기(234)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조임요크(231) 부분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그 조임요크의 고정구멍(232)을 통해 로크 핀(250)이 삽입된 상태로 로크 바디(240)와 결합된다.
아울러 로크 핀(250)에 힌지(H) 이음으로 결합된 릴리즈 레버(260)를 그 힌지(H)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조작함으로써 조임요크(231)들의 간격을 조절하고, 이를 통해 클램프(230)들이 이루는 내경을 축소하여 대상물의 바깥쪽 면 둘레와 견고하게 밀착되는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클램프(230)들의 대향하는 안쪽 면 둘레에는 자전거 등 이동 및 운송수단의 시트 포스트나 시트 스테이, 체인 스테이, 튜브, 포크 등과 같은 대상물과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결합력을 크게 높이는 탄성패드(235)가 부착되어 있다.
로크 바디(240)와 로크 핀(250)은 클램프의 고정구멍(232)을 통해 클램프(230)들 간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해제시키는 기능 및 역할을 한다.
여기서 로크 바디(240)는 키(key) 조작으로 잠금 및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키실린더 방식이나 번호조합으로 잠금 및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다이얼 방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로크 핀(250)이 고정구멍(232)을 통과하여 로크 바디(24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별도의 키나 번호조합으로 잠금 상태를 풀지 않는 한 로크 바디(240)에서 빠지지 않기 때문에 방향지시등으로 사용 시 간편하고 용이하게 자전거 등의 이동 및 운송수단에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전거 등의 이동 및 운송수단에 장착된 채로 잠긴 상태를 유지하므로 분실이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릴리즈 레버(260)는 로크 핀(250)의 일측 단부에 힌지(H) 이음으로 결합되어 그 힌지(H)를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조작에 따라 조임요크(231)들의 간격을 조절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의 방향지시등으로 사용할 경우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클램프(230)를 자전거의 시트 포스트 등과 같은 대상물을 양쪽에서 감싸듯이 위치시킨 후 그 고정구멍(232)으로 로크 핀(250)을 통과시켜 로크 바디(240)와 결합한 다음 로크 핀(250)에 힌지(H) 이음으로 결합된 릴리즈 레버(260)를 그 힌지(H)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조작하면, 릴리즈 레버(260)의 지레 및 편심에 회전에 따른 캠 작용(릴리즈 레버의 회전반경이 힌지에 의해 편심되게 위치)에 의해 로크 바디(240)가 당겨지면서 조임요크(231)들의 간격이 좁아지고, 이로 인해 클램프(230)들이 이루는 내경이 자연스럽게 좁아지면서 조임력이 발생하여 자전거의 시트 포스트 등과 같은 대상물의 바깥쪽 면 둘레와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를 방향지시등으로 사용할 경우, 자전거 등의 이동 및 운송수단의 시트 포스트 등에 바디 어셈블리(200)와 결합된 클램프(230)를 감싸듯이 위치시킨 후 로크 바디(240)와 로크 핀(250)을 체결하여 잠금과 동시에 클램프(230)를 조임으로써 견고하게 장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자전거 등 이동 및 운송수단을 보관 시에는 샤클(220)을 바디 어셈블리(200)와 연결하는 힌지(H)를 중심축으로 하여 바디 어셈블리(200)에 대하여 양쪽으로 벌려서 그 이동 및 운송수단의 바퀴와 튜브(프레임)를 둘러매는 형태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 힌지(H)를 중심축으로 하여 샤클(200)과 클램프(230)를 오므리거나 지상의 고정물 예를 들어, 자전거 거치대나 보관대 혹은 나무, 가드레일 등과 함께 이동 및 운송수단의 바퀴나 튜브(프레임)를 둘러매는 형태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 힌지(H)를 중심축으로 하여 샤클(200)과 클램프(230)를 오므린 후 로크 바디(240)와 로크 핀(250)을 체결하여 잠금으로써 도난을 방지하는 잠금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리모트 컨트롤러 110: 송신유닛
111: 스위칭부 112: 신호전송부
120: 부착수단 200: 바디 어셈블리
210: 표시유닛 211: 좌향발광부
212: 우향발광부 213: 신호수신부
214: 점멸제어부 215: 전원스위치
220: 샤클 230: 클램프
231: 조임요크 232: 고정구멍
233: 연결홈 234: 연결돌기
235: 탄성패드 240: 로크 바디
250: 로크 핀 260: 릴리즈 레버

Claims (11)

  1. 운전자로부터 방향지시 명령을 입력받아 무선신호로 전송하되, 스위칭부(111)의 좌우방향 슬라이딩 이동 조작에 따라 각각 출력되는 좌향신호 및 우향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송부(112)와, 상기 스위칭부(111)의 좌우 양측에 대칭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좌향신호 및 우향신호에 따라 각각 점멸되는 좌향램프부(113) 및 우향램프부(114)로 이루어진 송신유닛(110)과, 이동 및 운송수단에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부착수단(120)이 구비된 리모트 컨트롤러(100);
    상기 송신유닛(110)으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받아 이동방향을 지시하되,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00)의 좌향램프(113) 및 우향램프(114)와 동일한 특정한 패턴과 속도로 점멸되는 좌향발광부(211) 및 우향발광부(212)와, 상기 신호전송부(112)로부터 상기 좌향신호 및 우향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213) 및 상기 신호수신부(213)가 수신하는 상기 좌향신호 및 우향신호에 따라 상기 좌향발광부(211) 및 우향발광부(21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점멸제어부(214)로 이루어진 표시유닛(210)이 구비된 바디 어셈블리(200);
    상기 바디 어셈블리(200)의 양측에 힌지(H) 이음으로 연결되고, 이동 및 운송수단의 대상물을 양쪽에서 둘러싸서 구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샤클(220); 및
    상기 샤클(220)의 마주하는 양쪽 자유단부에 이동 및 운송수단의 대상물에 고정을 위해 대향되도록 형성하되, 그 대향하는 양측면 중 상기 바디 어셈블리(200)와 먼 바깥쪽의 측면에 조임요크(231)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조임요크(231)에 고정구멍(232)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바디 어셈블리(200)와 가까운 안쪽의 측면에 서로 대응하여 결합되는 연결홈(233)과 연결돌기(234)가 형성되고, 상기 대향하는 안쪽 면 둘레에 대상물과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탄성패드(235)가 부착된 한 쌍의 클램프(230);
    상기 클램프의 고정구멍(232)을 통해 상기 클램프(230)들 간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해제시키는 로크 바디(240) 및 로크 핀(250);
    상기 로크 핀(250)에 힌지 이음으로 결합되어 그 힌지를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임요크(231)들의 간격을 조절하는 릴리즈 레버(260);
    를 포함하는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바디(240)는 키 조작으로 잠금 및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키실린더 방식이나 번호조합으로 잠금 및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다이얼 방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유닛(110)과 상기 표시유닛(210)은 블루투스, 지그비, RF 방식 중 어느 하나로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40195638A 2014-12-31 2014-12-31 자전거용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 KR101667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638A KR101667573B1 (ko) 2014-12-31 2014-12-31 자전거용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638A KR101667573B1 (ko) 2014-12-31 2014-12-31 자전거용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542A KR20160083542A (ko) 2016-07-12
KR101667573B1 true KR101667573B1 (ko) 2016-10-20

Family

ID=5650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638A KR101667573B1 (ko) 2014-12-31 2014-12-31 자전거용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5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4950A (ko) 2022-06-22 2023-12-29 이승민 Led 등을 갖는 벨트형 자전거 자물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654B1 (ko) * 2016-11-30 2018-07-02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자전거 안전장치
KR102634070B1 (ko) * 2018-07-18 2024-02-0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하여 잠금기능을 실행하는 자전거 자물쇠
CN214296250U (zh) * 2020-12-28 2021-09-28 嘉善声光电子有限公司 一种前后同步控制车灯
KR102406684B1 (ko) * 2021-01-19 2022-06-07 박진호 개인형 이동 장치용 깜빡이
CN112829859A (zh) * 2021-01-27 2021-05-25 上海鋆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车锁与支撑杆联动的共享单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6736A (ja) * 2010-09-06 2012-04-19 Car Mate Mfg Co Ltd 自転車用キャリアの車輪保持装置
KR101163947B1 (ko) * 2011-07-22 2012-07-06 이대건 후미등이 일체로 형성된 코일형 자전거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3813A (ja) * 1992-03-18 1993-10-12 Sanshin Giken:Kk クイックレリーズ具、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自転車用シート固定装置および自転車用ハブ固定装置
KR20050052068A (ko) 2003-11-29 2005-06-02 오홍근 자전거용 안전 장치
KR20100008298U (ko) 2009-02-12 2010-08-20 리-잉 양 자전거 주행 보조장치
KR100910402B1 (ko) 2009-04-24 2009-08-04 엄경희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KR20100136195A (ko) 2009-06-18 2010-12-28 추원경 자전거의 주행방향 표시장치
KR101105551B1 (ko) 2010-01-11 2012-01-17 손대업 자전거용 방향등
KR20120132845A (ko) 2011-05-30 2012-12-10 범호물산(주) 자전거의 주행방향 표시장치
KR101253911B1 (ko) 2011-07-19 2013-04-16 이대건 자전거 잠금장치
KR20130037813A (ko) 2011-10-07 2013-04-17 강경화 방향 지시등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6736A (ja) * 2010-09-06 2012-04-19 Car Mate Mfg Co Ltd 自転車用キャリアの車輪保持装置
KR101163947B1 (ko) * 2011-07-22 2012-07-06 이대건 후미등이 일체로 형성된 코일형 자전거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4950A (ko) 2022-06-22 2023-12-29 이승민 Led 등을 갖는 벨트형 자전거 자물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542A (ko)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573B1 (ko) 자전거용 방향지시등 겸용 잠금장치
TWI781480B (zh) 自行車操作裝置
KR101726419B1 (ko) 잠금 기능을 갖는 자전거 브레이크 장치
US20210129932A1 (en) Safety light
US7800485B2 (en) Bicycle turn signals
KR101469835B1 (ko) 자전거 잠금장치
GB2399621A (en) Pump with a warning light for use on bicycle or like vehicle
US6690266B1 (en) Signaling light attachment for bicycles
US20060243769A1 (en) Vehicle accessory carrier
US9228377B1 (en) Bicycle lock for multiple connection uses
GB2549833A (en) Anti-theft accessory for a bicycle
US10060162B2 (en) Closed-loop handlebar locking device for a bicycle
JP2022001494A (ja) 人力駆動車用のバッテリユニットのロック装置および人力駆動車用のロックシステム
JP2021193028A (ja) ロック装置、および、バッテリホルダ
KR101069940B1 (ko)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WO2016203224A1 (en) An indicator light device for a vehicle with handlebar
US20090107932A1 (en) Motorcycle vice
US4971345A (en) Security device for bicycle components
JP2019112042A (ja) 報知装置
KR20080006415U (ko) 안전조끼
JP3162062U (ja) 自転車用錠
KR200485276Y1 (ko) 도난 방지와 조명 기능을 가진 자전거용 잠금장치
US11691562B2 (en) Safety light
EP2206642B1 (en) Rear view mirror for single front wheel transport vehicle
JP3152168U (ja) 前輪が単車輪である運搬車のバックミラー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