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446A -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446A
KR20170003446A KR1020160081295A KR20160081295A KR20170003446A KR 20170003446 A KR20170003446 A KR 20170003446A KR 1020160081295 A KR1020160081295 A KR 1020160081295A KR 20160081295 A KR20160081295 A KR 20160081295A KR 20170003446 A KR20170003446 A KR 20170003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server
configur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8245B1 (ko
Inventor
유키 나카모리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3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06F3/123Software or firmware update, e.g. device firmwar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58Management of the backup or restore process
    • G06F11/1469Backup restor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print job configuration, e.g. job settings, print requirements, job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Facilitating exception or error detection and recovery, e.g. fault, media or consumables deple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4Client or server resources management
    • G06F3/1225Software update, e.g. print driver, modules, plug-ins, fo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06F3/1231Device related settings, e.g. IP address, Name,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1Configuring for operating with peripheral devices; Loading of device dr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05Configuring for program initiating, e.g. using registry, configuration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7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func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07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ing to particular apparatus or devices
    • H04N1/00018Scann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74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functional options, e.g. scan, copy or 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rror detection, to error correction, and to monitoring
    • G06F2201/82Solving problems relating to consist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정보가 공유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서버가 유지하는 정보의 백업 및 리스토어를 실행한다. 리스토어를 실행하는 경우, 백업을 실행한 시점 이후에 클라이언트에 유지된 구성 정보를 리스토어 후에 서버에 유지시키도록 제어를 행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TROL METHOD FOR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본 발명은, 정보 처리장치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정보의 보전 기능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보 처리장치들 사이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공유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일본국 특개 2004-86800호 공보에 기재된 서버는 서버에 유지되는 데이터베이스의 갱신 내용을 갱신 이력으로서 유지한다. 그리고, 이 갱신 이력은 사바로부터 클라이언트에 송신한다. 이렇게 하여, 서버에 유지되는 정보가 클라이언트에 유지되는 정보와 일치된다.
일본국 특개 2004-94294호 공보에는, 클라이언트가 유지하는 설정 정보의 내용을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버에게 송신하는 정보 공유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종래, 디바이스의 설정 정보의 백업 및 리스토어(restore)를 행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일본국 특개 2007-43287호 공보에는, 백업한 화상처리장치의 설정 정보를 리스토어할 때에, 소정의 리스토어 룰에 근거하여 리스토어 처리를 실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07-43287호 공보에 기재된 화상처리장치는, 정보를 반영시키는 장치의 MAC 어드레스, IP 어드레스, 옵션 기기 등이 리스토어 전후에 변경되었는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리스토어 처리를 실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 항목마다 결정한다.
관련기술의 기술에 따르면, 백업 정보에 의해 서버의 정보를 리스토어한 후에, 서버가 유지하는 클라이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보(이하, 구성 정보라고 한다)와 실제의 클라이언트의 구성 사이에 부정합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클라이언트의 구성 정보는,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의 펌웨어의 버전 정보, 팩시밀리(FAX) 유닛의 유무의 정보, 피니셔의 유무의 정보 등을 포함한다.
서버에 있어서 리스토어를 행하면, 서버가 유지하는 정보는 백업 시점의 내용으로 리스토어되고, 백업한 시점 이후의 갱신 내용은 파기된다. 한편, 클라이언트는 백업한 시점 이후에 갱신된 구성을 계속해서 유지한다. 따라서, 백업과 리스토어 사이에 클라이언트의 구성이 갱신된 경우, 리스토어 후에 서버가 유지하는 클라이언트의 구성 정보와 실제의 클라이언트의 구성 사이에 부정합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서버가 유지하는 클라이언트의 구성 정보와 실제의 클라이언트의 구성 사이에 부정합이 생기면, 클라이언트의 구성에 따른 설정 정보의 공유를 행할 수 없어지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과제가 발생한다.
일본국 특개 2004-86800호 공보 및 일본국 특개 2004-94294호 공보에 따르면, 서버가 유지하는 정보를 백업하는 구성에 대해 고려되지 않고 있다.
일본국 특개 2007-43287호 공보에서는, 자 장치에 있어서의 옵션 기기의 변경 등이 있었을 경우에, 리스토어를 실행할 것인지 아닌지를 유저에게 문의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그러나, 일본국 특개 2007-43287호 공보에서는, 다른 장치(서버)가 유지하는 구성 정보와 자 장치의 구성 사이에 정합성을 담보하면서 리스토어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개시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장치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즉, 화상 형성장치가 동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설정 정보 및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구성 정보를 상기 화상 형성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구성 정보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가 유지하는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구성 정보를 기억부에 백업 정보로서 기억하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1 제어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백업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유지부에 대한 리스토어를 실행하는 경우, 상기 백업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한 시점 이후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유지된 상기 구성 정보를 상기 리스토어 후에 상기 유지부에 유지하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2 제어부를 구비한 정보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국면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정보 공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정보 공유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정보 공유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구성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제1 동기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제2 동기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백업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에 따른 리스토어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실시형태 2에 따른 리스토어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실시형태 3에 따른 리스토어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공유 시스템(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설정 정보 및 구성 정보를 공유한다. 설정 정보는, 클라이언트가 동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보다. 구성 정보는, 클라이언트의 기능을 표시하는 정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공유 시스템에서는, 소정의 타이밍마다, 서버가 유지하는 정보와 클라이언트가 유지하는 정보를 서로 공유시킨다. 이렇게 하여, 시간의 경과와 함께 서버 및 클라이언트 중 한쪽이 유지하는 정보가 변화되어도, 변화후의 정보가 다른 쪽에 의해 공유된다. 이하에서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정보 공유를 위한 처리를 동기처리로 부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공유 시스템에서는, 서버에 접속된 복수의 클라이언트들의 사이에서 설정 정보를 공유한다. 서버는 제1 클라이언트가 공유한 설정 정보의 내용을 제2 클라이언트와도 공유한다. 이렇게 하여, 제1 클라이언트와 제2 클라이언트가 공통의 설정 정보를 공유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서버는,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PC)이며, 클라이언트로서는 예를 들면 복합기 등의 화상 형성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공유 시스템은, 서버가 관리하는 정보를 백업하고, 백업한 정보를 서버에 리스토어하는 경우에, 소정의 종류의 정보에 대해서는, 백업 시점보다도 후에 갱신된 내용의 정보를 서버에 리스토어한다. 소정의 종류의 정보는,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의 구성 정보이다. 이하, 클라이언트가 복합기인 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복합기는 인쇄 기능을 갖는 화상 형성장치이다.
구성 정보는, 각 복합기가 실행가능한 기능이나 설정가능한 설정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다. 구성 정보의 예로서, 펌웨어의 버전 정보, FAX 유닛의 유무의 정보, 피니셔의 유무의 정보 등이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서버는, 각 복합기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각 복합기가 공유하는 설정 정보의 종류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FAX 유닛을 갖는 복합기와는 FAX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주소록 정보를 설정 정보로서 공유하지만, FAX 유닛을 갖지 않는 복합기와는 FAX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주소록 정보를 공유하지 않도록 제어가 행해진다. 여기에서, 설정 정보는 복합기가 동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파라미터다.
리스토어 처리에 있어서 백업시의 정보로 서버가 유지하는 정보를 모두 고쳐쓰면, 각 복합기의 구성 정보도 백업시의 정보로 고쳐 쓰여진다. 그렇지만, 백업과 리스토어의 사이의 시기에 복합기의 구성이 변화하여, 구성 정보가 갱신되는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부정합이 생긴다.
즉, 서버가 유지하는 복합기의 구성 정보와, 실제의 복합기의 구성의 사이에 부정합이 생긴다. 예를 들면, 백업시에는 복합기 A가 FAX 유닛을 포함하지 않고 있었지만, 백업후에 복합기 A에 FAX 유닛이 부착된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백업 정보로서, 복합기 A의 구성 정보로서 FAX 유닛이 설치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된다. 그리고, 복합기 A에 FAX 유닛이 부착된 후, 백업 정보를 서버에 리스토어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러면, 서버는 복합기 A가 FAX 유닛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유지하지만, 실제의 복합기 A는 FAX 유닛을 포함하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서버가 유지하는 복합기의 구성 정보와, 실제의 복합기의 구성 사이에 부정합이 생긴다.
전술한 부정합이 생기면, 서버와 복합기 사이에서 공유되어야 할 설정 정보가 공유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합기 A는 FAX 유닛을 포함하기 때문에, 서버는 복합기 A에 대해 FAX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주소록 정보를 설정 정보로서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서버가 복합기 A가 FAX 유닛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유지하기 때문에, 서버는 복합기 A에 대해 FAX 통신을 위한 주소록 정보의 통지를 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서버와 복합기 사이에서 공유되어야 할 설정 정보가, 리스토어 처리후에 공유되지 않는다.
상기한 내용을 고려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공유 시스템이 서버가 관리하는 정보를 백업하고, 백업한 정보를 서버에 리스토어하는 경우에, 구성 정보에 대해서는, 백업 시점보다도 후에 갱신된 내용의 정보가 서버에 리스토어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리스토어 처리를 실시해도, 현재의 복합기의 구성과 일치한 구성 정보가 서버에 유지되므로, 리스토어 처리후에도 서버와 복합기 사이에서 적절한 정보 공유를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1의 예에서는, 서버(110)에 복합기 120 및 복합기 121이 네트워크(100)를 거쳐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100)에 접속되는 복합기의 대수는 1대이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의 대안으로서, 네트워크(100)에 접속되는 복합기의 대수는 3대 이상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기 120 및 복합기 121은 문자, 그래픽 또는 사진 등의 정보의 판독을 행하는 스캔 기능과, 입력된 정보를 프린트 아웃하는 프린트 기능을 갖는다. 복합기 120 및 복합기 121에 설치된 기능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팩시밀리(FAX) 기능 등이 더 설치되어도 된다. 화상 형상장치라는 용어를 복합기 120 및 복합기 121에 의해 예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서버(110)는, 복합기 120 및 복합기 121의 설정 정보를 관리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설정 정보는, 복합기 120 및 복합기 121의 각각이 동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보이며, 복합기의 시리얼 넘버, IP 어드레스, 주소록 정보 등이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서버(110)(정보 처리장치)는, 복합기 120 및 복합기 121의 구성 정보를 관리한다. 구성 정보는, 각 복합기가 실행가능한 기능과 설정가능한 설정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다. 구성 정보의 예로서, 펌웨어의 버전 정보, FAX 유닛의 유무의 정보, 피니셔의 유무의 정보 등이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서버(110)의 구성에 대해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서버(110)는, 콘트롤러 유닛(200), 조작부(201), 표시부(202) 및 시간 계측부(212)를 포함한다. 콘트롤러 유닛(200)은 서버(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콘트롤러 유닛(200)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를 후술한다.
조작부(201)는 서버(110)에 대한 조작 지시를 입력한다. 조작부(201)는 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 터치패널 등에 의해 구성된다. 정보 공유 시스템의 관리자는, 조작부(201)를 조작해서 서q버(110)가 유지하는 정보의 메인티넌스, 정보의 변경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조작부(201)를 조작하여, 서버(110)가 유지하는 정보를 백업하거나, 백업한 정보를 서버(110)에 리스토어하는 지시를 서버(110)에 입력할 수 있다. 서버(110)가 유지하는 정보에는, 상기한 설정 정보 및 구성 정보가 포함된다.
표시부(202)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등이며, 관리자가 서버(110)에 대한 조작을 행할 때에 사용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에러 메시지 등의 표시를 행한다.
시간 계측부(212)는, 시간 계측을 행한다. 시간 계측부(212)로서 예를 들면 리얼 타임 클록(RTC)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콘트롤러 유닛(2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중앙처리장치(CPU)(205)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208)에 격납되어 있는 부트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운영체계(OS)의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CPU(205)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207)에 격납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OS 상에서 실현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CPU(205))(제1 제어부)은, HDD(207)이 유지하는 설정 정보 및 구성 정보를 기억부에 백업하는 제어를 행한다. 백업처인 기억부는, 서버(110)의 내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의 대안으로서, 백업처인 기억부는 서버(110)의 외부에 설치되고 서버(110)에 접속된 기억장치이어도 된다. 따라서, 백업처는, 정보 처리장치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외부에 설치되거나, 기억부를 예시한다. 이 기억부는 설정 정보 및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백업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다. 설정 정보는 화상 형상장치가 동작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성 정보는 화상 형성장치의 기능을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CPU(205)은, 백업한 백업 정보를 사용해서 HDD(207)에 대한 리스토어를 실행하는 제어를 행한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206)는, CPU(205)이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전개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모리다. HDD(207)은, 상기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격납한다. 또한, HDD(207)(유지부)은, 복합기 120 및 복합기 121의 설정 정보 및 구성 정보를 유지한다. 설정 정보 및 구성 정보의 관리에 관한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ROM(208)은, 상기한 부트 프로그램을 격납한다.
조작부 I/F(203)는, 조작부(201)와의 인터페이스이며, 조작부(201)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CPU(205)에 통지한다. 표시부 I/F(203)는, 표시부(202)에 표시해야 할 화상정보를 표시부(202)에 출력한다.
통신제어부(209)는, 수신부와 송신부로서 행하며, 네트워크(100)를 거쳐 복합기 120 및 복합기 121과 정보의 송수신을 행한다. 통신제어부(209)에 의해 송수신되는 정보에는, 복합기 120 및 복합기 121의 설정 정보 및 구성 정보가 포함된다. 통신제어부(209)(수신부)가 수신한 설정 정보 및 구성 정보는, HDD(207)에 유지된다. 또한, 통신제어부(209)(송신부)는, HDD(207)(유지부)에 유지된 설정 정보를 복합기 120 및 복합기 121에 송신한다. 시스템 버스(210)는, 상기한 콘트롤러 유닛(200)에 내부의 각 구성요소를 접속한다.
다음에, 복합기 120의 구성에 대해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복합기 121의 구성은, 이하에 설명하는 복합기 120의 구성과 유사하다.
복합기 120은, 조작부(221), 콘트롤러 유닛(220), 스캐너(231) 및, 프린터(232)를 포함한다.
조작부(221)는, 복합기 120에 대한 조작 지시를 입력한다. 조작부(221)는 예를 들면, 버튼, 터치패널 등에 의해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조작부(221)가 화상표시 기능을 갖는 터치패널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조작부(221) 이외에 별도로 표시부를 구비해도 된다. 복합기 120에 대한 조작 지시에는, 프린트 지시, 스캔 지시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복합기 120에 대한 조작 지시에는, 복합기 120이 사용하는 설정 정보의 변경 지시 등이 포함된다. 프린트 지시나 스캔 지시는, 네트워크(100)를 거쳐 외부장치로부터 복합기 120에 입력해도 된다.
스캐너(231)는, 문자, 그래픽, 또는 사진 등의 정보의 판독을 행하는 스캔 기능을 실현한다. 프린터(232)는, 스캐너(231)에 의해 입력된 정보 또는 외부장치로부터 네트워크(100)를 거쳐 입력된 정보를 프린트 아웃하는 프린트 기능을 실현한다. 더구나, 복합기 120에는, 화상을 전화 회선을 거쳐 외부로 송신하는 FAX 송신을 행하는 FAX 유닛 등이 접속될 수 있다.
콘트롤러 유닛(220)은, 복합기 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CPU(224)은, ROM(208)에 격납되어 있는 부트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OS의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CPU(224)은, HDD(227)에 격납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OS 상에서 실현한다.
RAM(225)은, CPU(224)이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전개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모리다. HDD(227)은, 상기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격납한다. 또한, HDD(227)은, 복합기 120의 설정 정보 및 구성 정보를 유지한다. 설정 정보 및 구성 정보의 관리에 관한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ROM(228)은, 상기한 부트 프로그램을 격납한다.
조작부 I/F(223)는, 조작부(221)와의 인터페이스이며, 조작부(221)에 표시해야 할 화상정보를 조작부(221)에 대해 출력한다. 또한, 조작부 I/F(223)는, 조작부(221)로부터 입력된 조작 지시를 CPU(224)에 통지한다. 디바이스 I/F(222)에는, 스캐너(231) 및 프린터(232)가 접속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디바이스 I/F(222)에는, FAX 유닛 등이 착탈될 수 있다.
통신제어부(229)는, 네트워크(100)에 접속되고, 네트워크(100)를 거쳐 서버(110)와 통신을 행한다. 통신제어부(229)에 의해 통신되는 정보에는, 복합기 120의 설정 정보 및 구성 정보가 포함된다.
화상 처리부(226)은, 스캐너(231)로부터의 입력 화상 처리, 프린터(232)에의 출력 화상 처리, 화상 회전, 화상 압축, 해상도 변환, 색공간 변환 및 계조 변환 등의 화상처리를 행한다. 시스템 버스(230)는, 상기한 콘트롤러 유닛(220)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를 접속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복합기 120이 유지하는 설정 정보 및 구성 정보의 적어도 중 어느 한개가 갱신되면, 갱신 내용이 서버(110)에 통지된다. 서버(110)는 통지된 갱신 내용으로 서버(110)의 HDD(207)이 유지하는 설정 정보 또는 구성 정보를 갱신한다. 더구나, 서버(110)는 갱신후의 설정 정보 또는 구성 정보를 복합기 121에 통지한다. 이렇게 하여, 복합기 120, 복합기 121, 및 서버(110)가 유지하는 설정 정보 및 구성 정보의 내용이 동기된다.
다음에, 서버(110)의 소프트웨어 구성에 대해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서버 어플리케이션(310)은, 서버(110)(정보 처리장치)의 ROM(208), HDD(207) 등에 보존되고, CPU(205)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처리부(311)는, 후술하는 데이터베이스(314)가 유지하는 정보의 추가, 삭제 또는 갱신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데이터베이스(314)가 유지하는 정보의 상세에 대해서는 표 1 내지 표 5를 사용해서 후술한다.
제1 관리부(312)는, 데이터베이스(314)가 유지하는 설정 정보의 추가, 삭제, 갱신 등의 실행 지시를 처리부(311)에 대해 행한다.
제2 관리부(316)는, 복합기 120으로부터의 설정 정보나 구성 정보의 갱신 통지, 데이터베이스(314)에 유지된 정보의 취득 요구 등에 대한 복합기 120에의 응답 정보를 작성한다.
제3 관리부(317)는, 데이터베이스(314)에 대한 정보의 백업 및 리스토어의 실행을 제어한다.
통신 처리부(315)는, 도 3b를 참조해서 후술하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320)과의 통신 처리를 행한다(즉, 복합기 120의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320)은 화상 형성장치(120)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예시한다). 통신 처리부(315)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320)으로부터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320)이 관리하는 정보를 갱신한 것을 나타내는 갱신 통지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 처리부(315)는 서버 어플리케이션(310)이 관리하는 정보의 갱신 내용을,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문의에 응답하여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320)에 응답한다.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320)이 관리하는 정보에는 복합기 120의 설정 정보 및 구성 정보가 포함된다.
제어부(313)(제2 제어부)는, 제1 관리부(312), 제2 관리부(316), 제3 관리부(317), 및, 통신 처리부(315)를 제어하고,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를 실행한다.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데이터베이스(314)는, 표 1 내지 표 5에 나타내는 각 정보를 유지한다. 표 1은, 복합기의 시리얼 넘버, 디바이스 코드와, 버전 정보 사이의 대응을 나타내는 표이다.
Figure pat00001
시리얼 넘버는, 네트워크(100)를 거쳐 서버(110)에 접속하는 한개 또는 복수의 복합기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다. 예를 들면, 시리얼 넘버 1234567을 갖는 복합기는 복합기 120에 대응한다. 또한, 예를 들면, 시리얼 넘버 124567을 갖는 복합기는 복합기 121에 대응한다.
디바이스 코드는, 예를 들면, 제품의 종류마다 할당되는 코드다. 표 4의 예에서는, 시리얼 넘버 1234567을 갖는 복합기는 DeviceA 종류의 제품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 4의 예에서는, 시리얼 넘버 3124567을 갖는 복합기는 DeviceB 종류의 제품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버전 정보는, 각각 시리얼 넘버와 관련된 각 복합기의 펌웨어 버전을 나타내고 있다.
표 2는, 복합기의 시리얼 넘버, 설정 항목, 설정 정보, 초기값과, 갱신 시간의 대응을 나타내는 표이다.
Figure pat00002
설정 항목은, 설정 정보의 종별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다. 설정 정보는 각 설정 항목에 관한 현재의 설정 내용(설정값 등)을 나타내는 정보다. 초기값은 각 설정 항목에 대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내용이다. 더구나 갱신 시간은, 서버가 관리하는 각 설정값이 서버에서 갱신된 시간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표 2 위로부터 4째행의 행은, 시리얼 넘버 1234567을 갖는 복합기의 설정 항목 settings.device.network.ipaddress(IP 어드레스에 관한 설정)의 현재의 값을 나타낸다. 현재의 값은 192.168.111.222이다. 또한, 이 복합기의 IP 어드레스의 초기값은 255.255.255.255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더구나, 이 복합기의 IP 어드레스는 2015년 1월 1일의 12:00에 갱신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표 3은, 시리얼 넘버, 정보 명칭과, 구성 정보의 대응을 표시한다.
Figure pat00003
정보 명칭은, 시리얼 넘버에 의해 특정되는 복합기의 각 구성의 명칭이다. 정보 명칭은, 예를 들면, 펌웨어 버전, 디바이스 코드, 디바이스 ID, 접속 옵션 기기 등을 포함한다.
구성 정보는, 정보 명칭이 나타내는 각 정보의 내용을 표시한다. 표 3 위로부터 첫째행에 나타낸 예에서는, 시리얼 넘버 1234567을 갖는 복합기의 펌웨어 버전이 Ver00.01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표 3 위로부터 4째행에 나타낸 예에서는, 이 복합기의 접속 옵션 기기로서, 피니셔가 복합기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settings.option.finisher). 또한, 예를 들면, 시리얼 넘버 3124567에 대응하는 기기에는 FAX 유닛이 접속되어 있지만, 시리얼 넘버 1234567에 대응하는 기기에는 FAX 유닛이 접속되지 않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서버(110)는,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복합기 120이 실행가능한 기능과 복합기 120에 설정가능한 설정 정보를 판정할 수 있다. 복합기 120의 구성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서버(110)와 복합기 120 사이에서 동기할 수 있는 설정 정보의 설정 항목을 판정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 정보는, 클라이언트에 대응하는 복합기 120의 설정 정보의 이용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성 정보의 예로서, 펌웨어 버전 정보, FAX 유닛의 유무의 정보 등이 포함된다. 펌웨어 버전이 증가하면 사용 가능해지는 기능과 설정가능한 설정 정보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펌웨어 버전이 감소하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설정 정보도 존재한다. FAX 유닛의 유무 정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FAX 유닛이 접속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FAX에 관련되는 설정 정보의 변경 또는 동기화는 실시하지 않고, FAX 유닛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FAX에 관련되는 설정 정보가 동기되어, 유저로부터도 변경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표 4는, 서버(110)가 관리하는 주소록에 관한 주소록 ID, 어드레스 종별, 표시명과, 갱신 시간의 대응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기 120은 스캐너(231)로부터 입력된 화상정보 등을 외부장치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송신 방법으로서는 전자메일(E-Mail)에 의한 송신, 파일 전송 프로토콜(FTP)을 사용한 송신, FAX 송신 등이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기 120은 화상정보의 송신처를 나타내는 주소록을 유지한다. 주소록에 관한 정보도 복합기 120의 설정 정보 중 한개로서 서버(110)에 의해 관리된다.
서버(110)는,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된 한 개 또는 복수의 복합기가 유지하는 주소록의 갱신 정보를 관리한다. 표 4의 주소록 ID는 주소록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다. 어드레스 종별은, 주소록이 관리하는 어드레스에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방법을 나타낸다. 어드레스는, 정보 송신처의 E-mail 어드레스, IP 어드레스, FAX 번호 등을 나타낸다. 표시명은, 송신처의 명칭을 표시한다. 갱신 시간은, 서버가 관리하는 각 주소록의 내용이 서버에 있어서 갱신된 시간을 표시한다.
표 5는, 어드레스 종별, 동기 조건과,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Figure pat00005
표 5는, 서버가 어드레스 종별로서 FAX와 관련된 주소록(표 4 참조)에 대해, setting.option.faxunit와 관련된 복합기(표 3 참조)와 설정 정보의 동기처리를 행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setting.option.faxunit와 관련된 복합기는, 표 3에 있어서 setting.option.faxunit가 ON 상태인 복합기다.
즉, 표 5의 예에서는, 서버(110)는,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된 한개 또는 복수의 복합기 중에서 FAX 유닛(setting.option.faxunit)을 갖는 복합기와 FAX의 어드레스 정보에 대해 동기처리를 행한다. 한편, 서버(110)는,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된 한개 또는 복수의 복합기 중에서 FAX 유닛을 갖지 않고 있는 복합기와는 FAX의 어드레스 정보에 대해 동기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다음에, 복합기 120의 소프트웨어 구성에 대해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320)은, 복합기 120의 ROM(228), HDD(227) 등에 보존되고, CPU(224)에 의해 실행된다. 서버(110)에 접속되는 복합기 120 이외의 복합기의 소프트웨어 구성도 마찬가지이다.
데이터 처리부(321)는, 후술하는 데이터베이스(324)가 유지하는 정보의 추가, 삭제 또는 갱신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데이터베이스(324)가 유지하는 정보에는, 복합기 120의 설정 정보 및 구성 정보가 포함된다. 데이터베이스(324)가 유지하는 정보의 상세에 대해서는 표 6 및 표 7을 사용해서 후술한다.
설정값 데이터 관리부(322)는, 데이터베이스(314)가 유지하는 정보의 추가, 삭제 또는 갱신 등의 실행 지시를 데이터 처리부(321)에 대해 행한다.
통신 처리부(325)는, 도 3a에 나타내는 서버 어플리케이션(310)(즉, 정보 처리장치(110)의 서버 어플리케이션(310))과의 통신 처리를 행한다. 통신 처리부(325)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320)이 관리하는 정보를 갱신한 것을 나타내는 갱신 정보를 서버 어플리케이션(310)에 송신한다.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320)이 관리하는 정보에는, 복합기 120의 설정 정보 및 구성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통신 처리부(325)는, 서버 어플리케이션(310)이 관리하는 정보가 갱신되었는지에 대해 문의를 행한다. 더구나, 통신 처리부(325)는, 해당 문의에 대한 응답을 서버 어플리케이션(310)으로부터 수신한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323)는, 설정값 데이터 관리부(322) 및 통신 처리부(325)를 제어하여, 도 4a 및 도 5a를 참조해서 후술하는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를 실행한다.
데이터베이스(324)는, 표 6 및 표 7에 나타내는 각 정보를 유지한다.
표 6은 복합기 120이 유지하는 설정 정보 및 구성 정보다. 표 6은, 키 식별자, 표시 명칭, 관리 정보(설정 정보 및 구성 정보)와, 초기값의 대응을 표시한다.
Figure pat00006
설정 항목은, 각 관리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다. 표시 명칭은, 각 설정 항목의 명칭이다. 표시 명칭은, 복합기 120이 관리하는 정보에 대한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복합기 120의 조작 화면, 또는 복합기 120에 접속된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명칭이다. 초기값은, 각 설정 항목에 대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내용이다.
표 6의 예에서는, settings.device.network.ipaddress에 대응하는 설정 항목의 설정 정보로서 IP 어드레스 192.168.111.222가 유지되어 있다. 이 설정 항목에 관한 표시 명칭은 "IP 어드레스"다. 현재 설정되어 있는 값은 192.168.111.222이며, 초기값은 120.0.0.1이다.
표 7은, 복합기 120이 관리하는 주소록의 정보다. 주소록의 정보는 복합기 120의 설정 정보 중 한개로서 복합기 120에 의해 관리된다.
Figure pat00007
표 7의 예에서는, 주소록 ID가 1인 정보 내부에 E-Mail에 의해 어드레스 aaa@xxx.co.jp에 송신을 행하기 위한 정보가 보존되어 있고, 조작부(221)에는 다나카 타로가 표시된다.
다음에, 서버(110)와 복합기 120 사이에서 실행되는 정보의 동기처리에 대해서, 도 4a 및 도 4a와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서버(110)와 복합기 120은 2종류의 처리를 실행하는 동안 정보의 동기를 행한다. 이하, 동기 대상의 정보를 관리 정보로 부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관리 정보에는 설정 정보 및 구성 정보가 포함된다.
제1 처리는, 복합기 120이 유지하는 관리 정보가 복합기 120에 있어서 갱신된 경우에, 복합기 120이 서버(110)에 갱신의 내용을 통지하는 처리다. 제1 처리에 대해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상세를 후술한다.
제2 처리는, 서버(110)가 유지하는 관리 정보의 갱신의 유무에 대해 복합기 120이 서버(110)에 문의하는 동안, 복합기 120이 서버(110)로부터 관리 정보의 갱신 내용을 취득하는 처리다. 제2 처리에 대해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해서 상세를 후술한다.
제1 처리에 대해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복합기 120이 실행하는 처리다. 도 4a에 나타낸 처리는, 도 4a에 표시되는 절차를 CPU(224)이 HDD(227)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전개해서 실행할 때 실현된다. 프로그램은 ROM(228)에 격납되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의 대안으로서, 도 4a에 나타내는 처리의 일부 또는 전체를 하드웨어가 행해도 된다.
서버(110)와 복합기 120 사이에서 동기처리를 개시하는 경우, 복합기 120은 예를 들면 복합기 120이 유지하는 동기 대상의 정보를 모두 서버(110)에 통지함으로써, 동기처리를 개시할 수 있다. 단, 동기처리의 개시의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는다.
서버(110)와 복합기 120이 이미 관리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복합기 120이 유지하는 관리 정보의 내용이 변경된 경우의 처리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복합기 120은, 복합기 120에 대한 유저 조작에 의해 관리 정보의 내용이 갱신된 것을 검지한다(S411). 도 3b에 나타낸 구성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324)에 보존된 관리 정보가 유저 조작에 의해 갱신되면, 데이터 처리부(321)를 거쳐 설정값 데이터 관리부(322)가 관리 정보의 갱신을 검지한다. 예를 들면, 표 7에 나타낸 복합기 120이 유지하는 주소록의 정보 중에서 주소록 ID1(설정 항목)의 어드레스(설정 정보)가 aa@xxx.co.jp로부터 aaa@xxx.co.jp로 갱신된 것을 검지한다.
다음에, 복합기 120은, 관리 정보의 갱신의 내용을 서버(110)에 통지한다(S412). 도 3b에 나타낸 구성에 따르면, 관리 정보의 갱신이 있으면, 제어부(313)는 통신 처리부(325)를 제어해서 갱신 내용을 서버(110)에 통지한다. 예를 들면, 표 7에 나타낸 복합기 120이 유지하는 주소록의 정보 중에서 주소록 ID1(설정 항목)의 어드레스(설정 정보)가 aa@xxx.co.jp로부터 aaa@xxx.co.jp로 갱신된 것을 복합기 120이 서버(110)에 통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지에는, 관리 정보가 복합기 120에 있어서 갱신된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복합기 120에 있어서 관리 정보가 갱신된 시간은 시간 계측부 234에 의해 계측된다.
복합기 120은, 통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S413). 도 3b에 나타낸 구성에 따르면, 통신 처리부(325)가 서버(110)로부터 응답을 수신한다. 통신 처리부(325)는, 서버(110)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한 것을 어플리케이션 제어부(323)에 통지한다.
도 4b는 서버(110)가 실행하는 처리에 해당한다. 도 4b에 나타낸 처리는, 도 4b에 표시되는 절차를 CPU(205)이 HDD(207)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전개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그램은 ROM(208)에 격납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의 대안으로서, 도 4b에 나타내는 처리의 일부 또는 전체를 하드웨어가 행해도 된다.
서버(110)는, 복합기 120에 있어서의 관리 정보의 갱신의 내용을 복합기 120으로부터 수신한다(S421). 도 3a의 예에서는, 통신 처리부(315)가 복합기 120으로부터의 통지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표 7에 나타낸 복합기 120이 유지하는 주소록의 정보 중에서 주소록 ID1(설정 항목)의 어드레스(설정 정보)가 aa@xxx.co.jp로부터 aaa@xxx.co.jp로 갱신된 것을 나타내는 통지를 수신한다.
다음에, 서버(110)는, 서버(110)에 있어서 관리하는 관리 정보를, 복합기 120으로부터 수신한 통지의 내용에 근거하여 갱신한다(S422). 서버(110)는, 서버(110)가 관리하는 관리 정보 중에서 복합기 120으로부터 갱신 내용의 통지가 발행된 설정 항목에 관한 관리 정보를 갱신한다. 이렇게 하여, 복합기 120이 유지하는 관리 정보와 서버(110)가 유지하는 관리 정보가 동기된다. 도 3a의 예에서는, 제1 관리부(312)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처리부(311)가 데이터베이스(314)에 유지된 관리 정보를 갱신한다. 예를 들면, 표 4에 나타낸 서버(110)가 관리하는 주소록의 주소록 ID1(설정 항목)의 어드레스(설정 정보)를 aa@xxx.co.jp로부터 aaa@xxx.co.jp로 갱신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서버(110)는 수신한 통지에 포함되는 시간 정보에 근거하여, 서버(110)가 유지하는 관리 정보가 갱신되는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수신한 통지에 포함되는 시간 정보는, 복합기 120에 있어서 정보가 갱신된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다. 수신한 통지에 포함되는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시간이 통지에 대응하는 관리 정보의 갱신 시간으로서 데이터베이스(314)에 기억되어 있는 시간보다도 이후인 경우에는, 통지된 정보로 데이터베이스(314)가 유지하는 관리 정보를 덮어 쓴다. 한편, 수신한 통지에 포함되는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시간이 통지에 대응하는 관리 정보의 갱신 시간으로서 데이터베이스(314)에 기억되어 있는 시간보다도 이전인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314)의 덮어쓰기를 행하지 않는다.
다음에, 서버(110)는, 서버(110)에 있어서 관리하는 관리 정보를 갱신한 시간을 기록한다(S423). 도 3a의 예에서는, 제1 관리부(31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처리부(311)가 데이터베이스(314) 내부에 갱신 시간을 기록한다. 예를 들면, 표 4에 나타낸 서버(110)가 관리하는 주소록의 주소록 ID1(설정 항목)의 어드레스(설정 정보)를 갱신한 시간 2014/12/31 9:00을 기록한다. 더구나, 데이터베이스(314)가 유지하는 관리 정보가 수신한 통지에 포함되는 관리 정보로 덮어 써지지 않은 경우에도, 시간의 갱신을 행한다.
다음에, 서버(110)는, 복합기 120에 응답을 송신한다(S424). 이 응답은, 복합기 120으로부터의 통지가 서버(110)에 의해 수리된 것을 나타내는 응답이다. 도 3a의 예에서는, 제어부(313)가 통신 처리부(315)를 제어해서 응답을 송신한다.
도 4a 및 도 4b의 처리에 의해, 복합기 120이 유지하는 관리 정보가 복합기 120에 있어서 갱신된 경우에, 복합기 120은 서버(110)에 갱신의 내용을 통지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한 제2 처리에 대해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복합기 120이 실행하는 처리다. 도 5a에 나타낸 처리는, 도 5a에 표시되는 절차를 CPU(224)이 HDD(227)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전개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그램은 ROM(228)에 격납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한 구성의 대안으로서, 도 5a에 나타내는 처리의 일부 또는 전체를 하드웨어가 행해도 된다.
복합기 120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정기적으로 서버(110)에 대하여, 관리 정보의 동기 요구를 송신한다. 이 동기 요구는, 서버(110)의 HDD(207)이 유지하는 설정 정보의 갱신 내용의 송신을 요구하는 송신 요구다. 복합기 120은, 시간 계측부 234가 계측하는 시간에 근거하여, 복합기 120이 동기 요구의 송신 타이밍에 도달한 것을 검지한다(S511).
이어서, 복합기 120은, 이전에 서버(110)와 관리 정보의 동기를 행한 시간이 데이터베이스(324)에 기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512).
이전에 서버(110)와 관리 정보의 동기를 행한 시간이 데이터베이스(324)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S512: YES), 이전의 동기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고, 동기 요구를 서버(110)에 송신한다(S513). 이전에 서버(110)와 관리 정보의 동기를 행한 시간이 데이터베이스(324)에 기록되지 않고 있는 경우(S512: NO), 이전의 동기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지 않고, 동기 요구를 서버(110)에 송신한다(S514).
복합기 120은, 동기 요구의 응답을 서버(110)로부터 수신하고, 응답에 포함되는 관리 정보로 데이터베이스(324)에 포함되는 관리 정보를 갱신한다(S515). 응답되는 관리 정보에는, 서버(110)에 접속된 복합기의 설정 정보와 관리 정보의 갱신의 내용이 포함된다.
동기 요구에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서버(110)가 유지하는 모든 관리 정보가 복합기 120에 응답된다. 동기 요구에 시간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시간 이후에 갱신된 관리 정보가 복합기 120에 응답된다.
복합기 120은, 데이터베이스(324)에 포함되는 관리 정보를 수신한 관리 정보로 갱신한 갱신 시간을 데이터베이스(324)에 기록한다(S516).
다음에, 서버(11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b에 나타낸 처리는, 도 5b에 표시되는 절차를 CPU(205)이 HDD(207)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전개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그램은 ROM(208)에 격납되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의 대안으로서, 도 5b에 나타내는 처리의 일부 또는 전체를 하드웨어가 행해도 된다.
서버(110)는, 복합기 120으로부터의 동기 요구를 수신한다(S521). 이어서, 서버(110)는 수신한 동기 요구에 복합기 120이 유지하는 관리 정보의 갱신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S522).
수신한 동기 요구에 갱신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314)에 유지되어 있는 모든 관리 정보를 취득한다(S523). 갱신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는,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320)이 서버 어플리케이션(310)과 동기된 후 처음의 동기 요구를 행하고, 복합기 120이 유지하는 관리 정보의 갱신이 동기 요구 시간 이전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등이다.
한편, 수신한 동기 요구에 갱신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 갱신 시간보다도 이후에 갱신된 관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14)로부터 취득한다(S524). 스텝 S524에 있어서, 서버(110)는 데이터베이스(314)에 기록되어 있는 관리 정보의 서버에서의 갱신 시간이 동기 요구에 포함되는 정보가 나타내는 복합기 120에서의 갱신 시간보다도 이후인 설정 항목의 관리 정보를 취득한다.
다음에, 서버(110)는, 동기 요구를 발행한 복합기 120의 구성 정보를 취득한다(S525). 표 3을 참조해서 상기한 것과 같이, 각 복합기의 구성 정보는 데이터베이스(314)에 격납되어 있다. 서버(110)는, 동기 요구를 발행한 복합기의 시리얼 넘버를 확인하고, 이 시리얼 넘버에 대응하는 구성 정보를 취득한다. 시리얼 넘버는 동기 요구에 포함되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의 대안으로서, 동기 요구 이외에 별도로 복합기가 시리얼 넘버를 서버에 통지해도 된다. 제어부(313)는, 통지된 시리얼 넘버에 근거하여, 동기 요구를 실시한 복합기의 구성 정보를, 제1 관리부(312) 및 처리부(311)를 거쳐 데이터베이스(314)로부터 취득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구성 정보는, 복합기 120이 실행가능한 기능과 설정가능한 관리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다. 복합기 120의 구성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서버(110)와 복합기 120 사이에서 동기할 수 있는 관리 정보의 설정 항목을 판정할 수 있다.
다음에, 서버(110)는, 스텝 S523 또는 스텝 S524에서 취득한 설정 정보와, 스텝 S525에서 취득한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복합기 120에의 응답 정보를 작성한다(S526). 응답 정보는, 제어부(313)의 제어에 근거하여 제2 관리부(316)가 작성한다.
스텝 S526에서는, 스텝 S523 또는 스텝 S524에서 취득한 설정 정보 중에서 동기 요구를 발행한 복합기 120이 사용하는 설정 항목에 관한 설정 정보를 추출하여, 응답 정보를 생성한다. 동기 요구를 발행한 복합기 120이 사용하는 설정 항목은 복합기 120의 구성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10)는, 생성한 응답 정보를 복합기 120에 송신한다(S527). 제어부(313)는 제2 관리부(316)가 작성한 응답 정보를 송신하도록 통신 처리부(315)에 요구하고, 네트워크(100)를 거쳐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이렇게 하여, 데이터베이스(314)가 유지하는 설정 정보 중에서 동기 요구를 발행한 복합기의 구성 정보에 따라 선택한 설정 정보를 동기 요구를 발행한 복합기에 송신한다.
도 5b의 처리의 예를 표 3 및 표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서버(110)와 복합기 120이 주소록을 동기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스텝 S521에 있어서 서버(110)가 수신한 동기 요구가 갱신 시간 2015/02/1 12:59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S522: Yes),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서버(110)는 표 4에 표시되는 주소록에 관한 정보 중에서 주소록 ID2와 주소록 ID3에 대해 설정 정보를 취득한다(S524). 주소록 ID1에 대해, 서버(110)에 있어서의 갱신 시간이 2014/12/31 9:00이며, 이것은 복합기 120에 있어서의 갱신 시간 2015/02/1 12:59보다도 이전이다. 따라서, 주소록 ID1의 정보는 서버(110)로부터 복합기 120에 송신하지 않는다. 한편, 주소록 ID2 및 주소록 ID3에 대해서는, 서버에 있어서 관리 정보가 갱신된 시간이 복합기 120이 통지한 갱신 시간 2015/02/1 12:59보다도 이후이다. 상기 내용을 고려하여, 서버(110)는, 복합기 120에 통지해야 할 관리 정보의 후보로서 주소록 ID2 및 주소록 ID3의 설정 정보를 취득한다. 이렇게 하여, 데이터베이스(314)가 유지하는 설정 정보에 대해 동기 요구에 포함되는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시간 이후에 갱신된 설정 정보의 갱신 내용을 동기 요구를 발행한 복합기에 송신할 수 있다.
다음에, 서버(110)는, 복합기 120에 대응하는 시리얼 넘버 1234567의 구성 정보를 표 3을 참조하여 확인한다. 표 3의 예에서는, 시리얼 넘버 1234567을 갖는 복합기는 FAX 유닛을 포함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스텝 S524에서 취득한 설정 정보 중에서, 어드레스 종별이 FAX인 주소록 ID3의 정보가 복합기 120에 송신되어도, 이 정보가 복합기 120에 의해 사용6되지 않는다. 상기한 내용을 고려하여, 서버(110)는, 스텝 S524에서 취득한 설정 정보 중에서 주소록 ID2 만을 포함하는 응답 정보를 작성하여(S526), 복합기 120에 송신한다(S527). 서버(110)는, 표 5에 표시된 조건으로부터, 주소록 정보의 어드레스 종별 FAX가 setting.option.faxunit의 상태가 ON인 경우에 동기 대상으로 되는 것을 확인한다. 복합기 120에서는 setting.option.faxunit의 상태가 OFF(FAX 유닛을 포함하지 않는 복합기 120)이기 때문에, 어드레스 종별이 FAX인 주소록 ID3의 정보가 동기 대상으로 설정되지 않는다. 이렇게, 복합기의 구성 및 상태에 따라 동기 대상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를 관리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정보의 보전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은, 서버(110)가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314)의 정보의 백업 및 리스토어를 실행함으로써, 정보를 보전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정보의 백업은 시스템의 관리자가 서버(110)에 대해 정보의 백업을 지시하는 조작을 행하는 동안 실행된다. 상기 구성에 대한 대안으로서, 서버(110)가 정기적으로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314)의 정보의 백업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백업 정보의 격납처는 서버(110) 내부의 격납처이어도 된다. 상기 구성의 대안으로서, 서버(110)에 접속된 외부장치에 백업 정보를 격납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서버(110)의 내부 및 외부의 양쪽에 백업 정보를 격납가능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정보의 리스토어는 시스템의 관리자가 서버(110)에 대해 리스토어를 지시하는 조작을 행하는 동안 실행된다.
데이터베이스(314)의 정보를 백업하는 처리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서버(110)가 실행하는 처리다. 도 6에 나타낸 처리는, 도 6에 표시되는 절차를 CPU(205)이 HDD(207)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전개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그램은 ROM(208)에 격납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의 대안으로서, 도 6에 나타내는 처리의 일부 또는 전체를 하드웨어가 행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저(시스템 관리자)의 지시에 따라 제어부(313)가 제3 관리부(317)에 대해 데이터베이스(314)의 백업 처리의 실행을 지시함으로써, 도 6에 나타낸 처리를 개시한다.
서버(110)는, 백업 처리가 개시되면, 데이터베이스(314)에의 액세스를 정지시킨다(S601). 스텝 S601에서는, 데이터베이스(314)의 갱신을 행할 수 없도록 제한이 설정된다. 예를 들면, 백업 처리가 개시되면, 복합기 120으로부터의 관리 정보의 갱신의 통지에 대해 에러를 응답한다. 이렇게 하여, 복합기 120과의 관리 정보의 동기처리로 인해, 백업 처리중에 데이터베이스(314)의 내용이 변경되어 버리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다음에, 서버(110)는, 백업 대상에 해당하는 관리 정보를 특정한다(S602). 다음에, 서버(110)는, 백업처의 스토리지에, 백업 대상의 관리 정보를 보존가능한 비어 있는 용량이 존재하는지 판정한다(S603).
백업처의 스토리지에 백업 대상의 관리 정보를 보존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S603: YES), 서버(110)는, 시간 계측부(212)가 계측한 백업의 실행 시간을 기록한다(S604).
다음에, 서버(110)는, 클라이언트 정보를 백업처에 기록한다(S605). 클라이언트 정보는, 백업의 실행시에 서버(110)가 관리 정보를 관리하고 있었던 클라이언트의 일람을 나타내는 정보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정보에는 백업의 실행시에 서버(110)가 관리 정보를 관리하고 있는 복합기의 시리얼 넘버가 포함된다. 클라이언트 정보는, 데이터베이스(314)에 포함되는 표 1의 정보 등으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다음에, 서버(110)는, 백업 대상의 관리 정보를 백업처에 복사한다(S606). 스텝 S605의 처리와 스텝 S606의 처리 순서는 반대이어도 된다.
더구나, 서버(110)는, 스텝 S606의 처리의 종료후, 데이터베이스(314)에의 액세스를 허가한다(S607). 즉, 복합기 120으로부터 통지된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베이스(314)에 유지되어 있는 관리 정보의 갱신을 허가한다.
한편, 백업할 관리 정보의 정보량이 백업처의 스토리지에 보존가능한 정보량보다도 많은 경우(S603: NO), 백업처의 스토리지에 보존되어 있는 정보 중에서 삭제가능한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정한다(S611). 삭제가능한 정보는, 예를 들면, 과거에 백업된 정보 등의 더 이상 필요하지 않는 정보다. 정보가 삭제 가능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위한 룰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10)는, 정보가 보존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정보를 삭제가능한 정보로 설정한다. 상기 구성으로 대안으로서, 백업할 관리 정보의 정보량이 백업처의 스토리지에 보존가능한 정보량보다도 많은 경우에는, 유저에게 삭제가능한 정보를 선택시키는 요청해도 된다.
삭제가능한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S611: YES), 서버(110)는 삭제가능한 정보의 삭제를 지시한다(S612). 그리고, 스텝 S603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한편, 삭제가능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S611: NO), 백업을 실행할 수 없다는 것을 유저에게 통지한다(S613). 예를 들면, 서버(110)는, 표시부(202)에 백업을 실행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삭제가능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정보가 백업을 위한 스토리지에 보존되지 않고 있는 경우나, 유저가 정보의 삭제를 실시하지 않도록 지시한 경우 등이 포함된다.
스텝 S613의 처리 후에, 서버(110)는 데이터베이스(314)에의 액세스를 허가하고(S614), 처리를 종료한다. 즉, 복합기 120으로부터 통지된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베이스(314)에 유지되어 있는 관리 정보의 갱신을 허가한다.
다음에, 서버(110)가 행하는 리스토어 처리의 상세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복합기 120이 실행하는 처리다. 도 7에 나타낸 처리는, 도 7에 표시되는 절차를 CPU(224)이 HDD(227)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전개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그램은 ROM(228)에 격납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구성의 대안으로서, 도 7에 나타내는 처리의 일부 또는 전체를 하드웨어가 행해도 된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저(시스템 관리자)의 지시에 따라 제어부(313)가 제3 관리부(317)에 대해 데이터베이스(314)의 리스토어 처리의 실행을 지시함으로써, 도 7에 나타낸 처리가 개시된다.
우선, 서버(110)는, 리스토어할 데이터베이스를 특정한다(S701). 리스토어할 데이터베이스는, 예를 들면, 해당 데이터베이스가 백업되는 시간을 유저가 지정할 때, 특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대안으로서, 백업을 행할 스토리지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리스트를 참조해서 유저가 리스토어할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해도 된다. 리스토어할 데이터베이스의 특정 방법은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에, 특정된 데이터베이스가 서버(110) 내부의 스토리지에 보존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S702). 서버(110)의 외부에 있는 스토리지에 특정된 데이터베이스가 백업되어 있는 경우(S702: NO)는, 서버(110) 내부에 해당 데이터베이스를 보존가능한 비어 있는 용량이 존재하는지의 확인을 행한다(S703).
비어 있는 용량이 존재하는 경우(S703: YES)에는, 특정된 데이터베이스를 HDD(207)에 보존한다(S704). 스텝 S704의 처리를 실행한 후, 후술하는 S712의 처리로 진행한다. 비어 있는 용량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S703: NO)에는, 서버(110)에 삭제가능한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705). 삭제가능한 정보는,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정보를 삭제해도 서버(110)의 동작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정보다. 예를 들면, 서버(110)는, 정보를 보존한 이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정보를 삭제가능한 정보로 설정한다. 상기 구성의 대안으로서, 유저에게 삭제가능한 정보를 선택하도록 요청해도 된다.
삭제가능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 정보의 삭제를 실시하고(S706), 스텝 S703의 처리를 다시 실행하여, 삭제한 후의 비어 있는 용량의 확인을 행한다. 삭제가능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저에 대해 리스토어를 실행할 수 없다는 것을 통지하고(S707),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702에 있어서, 특정된 데이터베이스가 서버(110) 내부의 스토리지에 보존되어 있는 경우(S702: YES)에는, 스텝 S712의 처리로 진행한다.
스텝 S712에서는, 백업된 데이터베이스에 보존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정보를 취득한다. 클라이언트 정보는, 백업의 실행시에 서버(110)가 관리 정보를 관리하고 있는 클라이언트의 일람을 나타내는 정보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정보에는 백업의 실행시에 서버(110)가 관리 정보를 관리하고 있는 복합기의 시리얼 넘버가 포함된다. 스텝 S712에서 취득한 한개 또는 복수의 클라이언트(복합기)의 모두에 대해 후술하는 스텝 S714 및 스텝 S715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714에서는, 백업의 실행시에 서버(110)가 관리 정보를 관리하고 있는 복합기의 시리얼 넘버를 클라이언트 정보로부터 추출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정보로부터 추출된 시리얼 넘버를 갖는 각 복합기가 현재도 서버(110)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클라이언트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복합기가 현재도 서버(110)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스텝 S714: YES), 이하의 갱신 처리를 행한다. 즉, 해당 복합기에 관한 백업 정보 중에서 구성 정보에 대해서는, 현재 서버(110)가 해당 복합기에 대해 유지하는 구성 정보로 백업 정보를 갱신한다(S715). 한편, 클라이언트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복합기가 현재는 서버(110)에 접속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백업 정보를 갱신하지 않고, 클라이언트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다음의 복합기에 대해 스텝 S714의 판정을 실행한다.
백업 정보에 유지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정보가 나타내는 모든 클라이언트에 대해 스텝 S714 및 스텝 S715의 처리의 실행이 종료하면, 서버(110)는 스텝 S716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716에서는, 데이터베이스(314)에의 액세스를 정지한다. 즉, 클라이언트로부터 통지된 정보로 데이터베이스(314)의 내용을 갱신할 수 없도록 제한이 설정된다.
이어서, 데이터베이스(314)에 대해 리스토어 처리를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314)에 유지된 관리 정보를 삭제한다. 그리고, 갱신후의 백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14)에 유지시킨다. 이 갱신후의 백업 정보는, 스텝 S713 내지 스텝 S715의 처리를 행한 후의 정보이다. 즉, 이 정보는, 백업한 시점 이후이며 리스토어의 실행 전에 HDD(207)에 유지되어 있었던 구성 정보를 사용해서, 갱신전의 백업 정보에 포함되는 구성 정보를 갱신하여 취득한 갱신 정보다.
스텝 S713 내지 스텝 S715의 처리를 행한 후의 백업 정보를 사용해서 데이터베이스(314)를 리스토어하는 동안, 백업한 시점의 설정 정보를 HDD(207)에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백업한 시점 이후이며 리스토어의 실행 전에 HDD(207)에 유지되어 있었던 구성 정보를 리스토어 후에 HDD(207)에 유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백업처의 스토리지로부터 판독한 백업 정보를 처리한 후, 데이터베이스(314)의 정보에 대해 리스토어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구성이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데이터베이스(314)에 대해 리스토어 처리를 실행하기 전에, 각 복합기의 구성 정보를 판독해서 별도 유지한 후, 백업처의 스토리지로부터 판독한 백업 정보로 데이터베이스(314)의 정보를 덮어 쓴다. 그리고, 별도 유지한 구성 정보로 데이터베이스(314)의 내용을 고쳐 써도 된다. 별도 유지한 구성 정보는, 백업 시점 이후의 갱신이 반영된 구성 정보다.
스텝 S717의 리스토어 처리가 완료하면, 데이터베이스(314)에의 액세스를 허가하고, 복합기 120과의 관리 정보의 동기처리를 재개한다(S718).
리스토어 처리가 완료하면, 서버(110)는 접속된 복합기에 대하여 소정의 통지를 행한다(S719). 이 통지는, 서버(110)가 데이터베이스(314)에 유지하는 관리 정보를 복합기가 취득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통지다. 복합기 120은, 서버(110)로부터 이 통지를 수신하면, 서버(110)에 대해 동기 요구를 발행한다. 이 동기 요구는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한 스텝 S514에 있어서 실행되는 동기 요구와 유사하다. 즉, 이 동기 요구에는 이전의 동기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지 않고, 동기 요구가 서버(110)로 송신된다.
서버(110)는, 동기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동기 요구를 수신하면,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 같이, 스텝 S523 내지 스텝 S527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데이터베이스(314)에 유지된 모든 관리 정보 중에서 동기 요구를 발행한 복합기 120의 구성 정보에 따른 관리 정보를 추출하여, 복합기 120으로 송신한다.
이렇게 하여, 리스토어 후의 데이터베이스(314)에 유지된 관리 정보가, 서버(110)에 접속된 각 복합기에 의해 공유되어, 시스템 전체로서, 리스토어 후의 관리 정보가 공유된다.
스텝 S719의 소정의 통지는,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한 복합기에 있어서 정기적으로 실행되는 동기 요구에 응답해서 발행되어도 된다.
또한, 스텝 S719의 소정의 통지 대신에, 서버(110)는 데이터베이스(314)에 유지된 모든 관리 정보를 서버(110)에 접속된 모든 복합기에 송신해도 된다. 이 경우, 각 복합기는 수신한 관리 정보 중에서 자신의 구성 정보에 따른 관리 정보를 추출하고, 자신을 위해 설정함으로써, 서버와 복합기 사이에서 관리 정보의 동기를 행할 수 있다.
이상의 처리에 따르면, 서버에 있어서 리스토어를 행한 경우에도, 서버가 유지하는 클라이언트의 구성 정보와 실제의 클라이언트의 구성 사이의 정합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백업 데이터를 갱신한 후에 리스토어가 행해진다. 따라서, 리스토어 처리후에도 클라이언트의 구성에 따른 관리 정보의 공유를 계속할 수 있다.
상기 처리에 따르면, 백업 정보를 백업한 시점 이후에 복합기 120에 유지된 구성 정보를 리스토어 후에 HDD(207)에 유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S712 내지 S715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백업시에 관리 정보가 관리되고 있었던 복합기에 대해서만 백업 정보의 구성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백업 정보에 포함되는 모든 복합기의 구성 정보를 현재 데이터베이스(314)가 유지하는 구성 정보로 갱신할 필요가 있는지 판정하는 경우에 비해, 서버(110)의 처리부하를 경감하고, 또한,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백업 처리후에 서버(110)에 접속된 복합기가 접속되기 전의 상태로 서버의 상태를 되돌리는 것을 의도하면서 유저가 리스토어 처리를 행한 경우에도, 유저의 의도에 따른 리스토어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단, 백업 정보에 포함되는 모든 복합기의 구성 정보를 갱신할 필요가 있는지 판정하는 구성을 본 발명의 범위에서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백업 정보에 포함되는 모든 복합기의 구성 정보에 대해 갱신의 필요성을 판정하는 처리에 의해서도, 리스토어 처리후에도 복합기의 구성에 따른 종류의 관리 정보의 동기를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본 발명의 이점이 얻어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한 처리 이외에, 스텝 S715의 처리(백업 정보에 포함되는 구성 정보의 갱신 처리)를 실행할 것인지 아닌지에 관한 지시를 유저로부터 취득하는 처리를 행해도 된다. 그리고, 유저가 스텝 S715의 처리를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715의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서버(110)가 유지하는 복합기의 구성 정보와 실제의 복합기의 구성 사이에 부정합이 발생할 때에도, 백업 시점인 채의 상태로 서버(110)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유저가 원하는 경우에, 유저의 의도에 따른 리스토어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가 유지하는 구성 정보가 백업후에 손상되어 버렸기 때문에, 서버(110)가 유지하는 구성 정보를 복구시키기 위한 처리로서, 이하의 구성을 구비해도 된다.
즉, 서버(110)와 클라이언트(예를 들면, 복합기) 사이의 접속을 일단 수립한 후, 접속을 다시 수립한다. 클라이언트는 서버(110)와의 접속을 개시할 때에, 클라이언트가 유지하는 모든 설정 정보 및 구성 정보를 서버(110)에 통지한다. 이에 따라, 현재 클라이언트가 유지하는 구성 정보가 서버(110)에 통지되기 때문에, 서버(110)가 유지하는 구성 정보를 현재의 클라이언트의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복구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2에 따르면, 리스토어 처리후에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현재의 구성 정보를 통지하는 동안,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유지하는 구성 정보의 부정합을 해소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시스템의 구성이 실시형태 1에 따른 도 1, 도 2a 및 도 2b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리스토어 처리에 대해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서버(11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b에 나타낸 처리는, 도 8b에 표시되는 절차를 CPU(205)이 HDD(207)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전개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그램은 ROM(208)에 격납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의 대안으로서, 도 8b에 나타내는 처리의 일부 또는 전체를 하드웨어가 행해도 된다.
유저로부터의 리스토어 지시를 수신하면, 제어부(313)는 제3 관리부(317)에게 리스토어의 실행을 지시한다. 서버(110)는 수신한 지시가 리스토어 실행의 지시인지 판정한다(S801). 스텝 S801에서 판정한 지시가 리스토어 지시 이외의 지시(S801: NO)이면, 실행 지시에 준하는 처리를 실시한다(S802). 리스토어의 실행이 지시되면(S801: YES), 서버(110)는 리스토어 대상의 데이터를 특정한다. 스텝 S803에서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도 7의 스텝 S702 내지 스텝 S707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 같이, 백업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기억 용량을 자신의 장치 내에 확보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스텝 S803에서 리스토어 대상의 데이터를 특정하면, 데이터베이스(314)에의 액세스를 멈춘다(S804). 다음에, 현재 사용중인 데이터베이스를 백업 정보로 치환하는 처리를 실시하고(S805), 치환이 행해진 시간을 특정하여 보존한다(S806). 여기에서, 특정된 시간의 정보는 별개로 준비하는 파일에 기록하거나, 치환한 데이터베이스(314)의 설정 정보의 한개로서 보존해도 된다. 리스토어 후에는, 데이터베이스(314)에의 액세스를 허가한다(S807).
이어서, 서버(110)는, 복합기 120으로부터의 통지를 수신하고(S808), 수신한 통지가 복합기 120에 있어서의 구성 정보의 갱신 통지인지를 판정한다(S809). 수신한 통지가 구성 정보의 갱신 통지가 아닌 경우에는(S809: NO), 해당 통지를 행한 복합기 120이 리스토어 처리후에 서버(110)에 구성 정보를 통지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S810). 여기에서, 복합기 120으로부터의 통지가 구성 정보의 갱신 통지가 아닌 경우에는,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314)가 유지하는 설정 정보의 갱신 내용의 송신 요구(동기 요구)인 경우 등이 포함된다.
스텝 S810에 있어서의 구성 정보의 통지 상황의 확인은, 스텝 S806에서 보존한 리스토어의 실행 시간과, 구성 정보의 서버에 있어서의 갱신 시간을 비교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대안으로서, 복합기로부터의 구성 정보의 통지가 존재하는 경우에 플래그를 켜는 처리를 행하고, 플래그의 상황에 근거하여 구성 정보의 통지 상황을 확인해도 된다.
구성 정보의 통지가 행해진 경우(S810: YES), 처리 요구에 대응한 처리를 실시한다(S812). 리스토어 실행후에 구성 정보의 갱신 통지가 행해지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S810: NO), 구성 정보의 부정합을 통지하는 에러를 응답한다(S813). 이때, 통지하는 내용은 에러 대신에 구성 정보의 통지를 복합기 120이 실행하기 위한 계기로서 기능하는 응답이어도 된다. 이 에러 응답은, 복합기 120이 유지하고 있는 구성 정보를 복합기 120으로부터 서버(110)에 송신하는 지시이다. 이 지시는, 예를 들면, 서버(110)에 대해 동기 요구를 발행한 복합기로 송신된다.
한편, 스텝 S809에 있어서 복합기 120으로부터 구성 정보의 통지가 행해진 경우에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스텝 S712 내지 스텝 S718의 처리를 실행하고, 데이터베이스(314)가 유지하는 구성 정보의 갱신을 행한다(S811).
서버(110)는, 스텝 S811, 스텝 S812, 또는, 스텝 S813에서 작성된 응답 정보를 복합기 120으로 송신한다(S814).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기 120이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 도 8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에 나타낸 처리는, 도 8a에 표시되는 절차를 CPU(224)이 HDD(227)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전개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그램은 ROM(228)에 격납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구성의 대안으로서, 도 8a에 나타내는 처리의 일부 또는 전체를 하드웨어가 행해도 된다.
복합기 120은, 서버(110)에 동기 요구를 통지한다. 동기 요구의 통지 처리로서, 실시형태 1에 따른 도 5a의 S511 내지 S5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를 실행한다. 동기 요구의 통지 대신에,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관리 정보의 갱신의 통지 처리를 행해도 된다.
복합기 120은, 송신한 통지에 대한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S821), 응답 정보의 내용이 구성 정보의 부정합을 통지하는 에러 응답인지를 판정한다(S822).
복합기 120은, 응답 정보의 내용이 구성 정보의 부정합을 통지하는 응답인 경우에, 복합기 120의 구성 정보를 통지한다(S824). 서버(110)는, 부정합을 통지하는 에러 응답에 따라 복합기 120으로부터 송신된 구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14)에 유지되는 구성 정보로 갱신한다.
응답 정보가 통상의 동기처리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응답 정보에 따른 정보 처리를 실시하고(S823), 처리를 종료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리스토어 처리를 실행한 후에는, 서버(110)에 통지를 행한 복합기 120에 대하여, 서버(110)는, 해당 복합기 120의 현재의 구성 정보를 복합기 120으로부터 서버(110)에 통지시키기 위한 응답을 발행한다.
이렇게 하여, 리스토어 후에 복합기 120이 반드시 현재의 구성 정보를 서버(110)에게 통지하는 동안, 리스토어 처리에 의해 서버(110)가 유지하는 복합기의 구성 정보와 복합기의 실제의 구성 사이의 부정합 상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서버(110)가 유지하는 구성 정보가 손상한 경우라도, 서버(110)가 유지하는 구성 정보를 현재의 클라이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 정보로 덮어 써서 복구를 실현할 수 있다.
리스토어 후에 전체 클라이언트로부터의 구성 정보의 통지가 완료하면, 서버(110)가 실행하는 처리를 도 4b 및 도 5b에서 나타내는 처리 플로우로 전환해도 된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3에 따르면, 서버(110)는, 리스토어 처리후에 서버(110)에 대해 통지를 행한 클라이언트에 소정의 응답을 발행한다. 이 응답에는, 통지를 행한 클라이언트에 대해 서버(110)가 유지하는 구성 정보가 포함된다. 클라이언트는, 응답에 포함되는 구성 정보가 자신의 실제의 구성과 정합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응답에 포함되는 구성 정보가 실제의 클라이언트의 구성과 다른 경우에는, 클라이언트가 현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 정보를 서버(110)에게 통지한다. 서버(110)는 통지된 구성 정보로, 유지하는 구성 정보를 덮어 쓴다.
이렇게 하여, 리스토어 후에도 서버(110)가 유지하는 구성 정보와 클라이언트의 실제의 구성이 정합하도록 할 수 있다.
시스템의 구성은 실시형태 1에 따른 1, 도 2a 및 도 2b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으로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리스토어 처리에 대해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서버(11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b에 나타낸 처리는, 도 9b에 표시되는 절차를 CPU(205)이 HDD(207)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전개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그램은 ROM(208)에 격납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의 대안으로서, 도 9b에 나타내는 처리의 일부 또는 전체를 하드웨어가 행해도 된다.
도 9b의 스텝 S801 내지 S808은 실시형태 2에 따라 설명한 내용과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것의 설명을 생략한다.
서버(110)는, 복합기 120으로부터 처리 요구를 수신후(S808), 동기 요구인 경우에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 응답 정보의 작성 플로우를 실시하고, 갱신 요구인 경우에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응답 정보의 작성 플로우를 실시한다(S901).
다음에, 처리 요구를 실시한 클라이언트가, 이 요구가 리스토어 후 최초의 처리 요구인지를 판정한다(S902). 최초의 요구인 경우(S902: YES), 응답 정보에 서버측에서 관리하고 있는 클라이언트의 구성 정보를 추가하여, 응답 정보를 작성한다(S903). 그리고, 작성한 응답 정보를 복합기 120으로 송신한다(S904). 이렇게 하여 데이터베이스(314)가 유지하는 구성 정보를 복합기 120에 송신한다. 이렇게 하여, 리스토어 후에 데이터베이스(314)가 유지하는 구성 정보를 복합기 120으로 송신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기 120이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 도 9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a에 나타낸 처리는, 도 9a에 표시되는 절차를 CPU(224)이 HDD(227)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전개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그램은 ROM(228)에 격납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구성의 대안으로서, 도 9a에 나타내는 처리의 일부 또는 전체를 하드웨어가 행해도 된다.
도 9a에 나타낸 스텝 S511 내지 S821까지의 처리는 실시형태 1 및 2에 따라 설명한 내용과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복합기 120은, 서버(110)로부터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S821), 응답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에 서버(110)가 관리하는 구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S922).
응답 정보 내에 구성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S922: YES), 응답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 정보와 현재의 복합기 120의 구성 정보를 비교한다(S923).
스텝 S923에 있어서, 응답 정보에 포함되는 구성 정보가 현재의 복합기 120의 구성 정보가 다른 경우에는, 현재의 복합기 120의 구성 정보를 서버(110)에 통지한다(S924). 서버(110)는, 서버(110)로부터 복합기 120에의 구성 정보의 송신에 응답해서 복합기 120으로부터 송신되는 구성 정보(S924에서 통지되는 구성 정보)로 데이터베이스(314)에 유지되는 구성 정보를 갱신한다.
한편, 스텝 S922에서 판정한 응답 정보에 구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나, 포함된 구성 정보가 스텝 S923에서 판정한 현재의 클라이언트에서 관리하는 구성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응답 정보에 따른 처리를 실시하고(S823),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리스토어 후에도 서버(110)가 유지하는 구성 정보와 클라이언트의 실제의 구성이 정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기타 실시형태
제1, 제2 및 제3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상기한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례이다. 각 실시형태의 처리 및 동작을 조합해서 본 발명을 실현해도 되고, 본 발명은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는 복합기에 한정된 구성에 구성이 반드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설정 정보를 관리하도록 구성되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정보에 의해 설정 정보에 변경이 행해지는 정보기기 단말 등에 이 구성이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 휴대전화 단말, 스마트폰 단말, 화상 형성장치, 전자시계, 전자수첩 등의 구성을 갖는 정보 처리장치에 이 구성을 적용가능하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서버에 있어서 리스토어를 행한 경우에도, 서버가 유지하는 클라이언트의 구성 정보와 실제의 클라이언트의 구성의 정합성을 담보할 수 있다. 따라서, 리스토어 처리후에도 클라이언트의 구성에 따른 종류의 설정 정보의 공유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예를 들어,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파녹가능한 기억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해도 된다)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거나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15)

  1. 화상 형성장치가 동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설정 정보 및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구성 정보를 상기 화상 형성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구성 정보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가 유지하는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구성 정보를 기억부에 백업 정보로서 기억하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1 제어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백업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유지부에 대한 리스토어를 실행하는 경우, 상기 백업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한 시점 이후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유지된 상기 구성 정보를 상기 리스토어 후에 상기 유지부에 유지하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2 제어부를 구비한 정보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리스토어를 실행하는 경우, 상기 백업 정보에 포함되는 설정 정보를 상기 유지부에 유지하고, 또한, 백업이 행해진 후이며 상기 리스토어를 실행하기 전의 시점에 상기 유지부에 유지된 구성 정보를 상기 리스토어 후에 상기 유지부에 유지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정보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백업이 행해진 후이며 상기 리스토어를 실행하기 전의 시점에 상기 유지부에 유지된 구성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백업 정보에 포함되는 구성 정보를 갱신하여 얻어진 갱신 정보를 상기 유지부가 유지하게 함으로써, 상기 유지부에 대한 리스토어를 실행하는 정보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가 유지하는 상기 설정 정보를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유지부가 유지하는 상기 설정 정보의 갱신 내용의 송신 요구를 상기 화상 형성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유지부가 유지하는 상기 설정 정보 중에서 상기 송신 요구를 발행한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선택된 설정 정보를, 상기 송신 요구를 발행한 화상 형성장치에 송신하는 정보 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유지부가 유지하는 상기 설정 정보에 대해 상기 송신 요구에 포함되는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시간 이후에 갱신된 상기 설정 정보의 갱신 내용을 상기 송신 요구를 발행한 화상 형성장치에 송신하는 정보 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가 유지하고 있는 상기 구성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장치에 송신시키는 지시를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리스토어가 실행된 후에 상기 송신부가 상기 지시를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지시에 따라 상기 화상 형성장치로부터 송신된 구성 정보로 상기 유지부에 유지되는 구성 정보를 갱신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정보 처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유지부가 유지하는 상기 설정 정보의 갱신 내용의 송신 요구를 상기 화상 형성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송신 요구를 발행한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상기 지시가 송신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정보 처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가 유지하는 상기 구성 정보를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리스토어 후에 상기 유지부가 유지하는 상기 구성 정보를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송신하도록 제어를 행하고, 상기 구성 정보의 송신에 응답해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로부터 송신되는 구성 정보로 상기 유지부에 유지되는 구성 정보를 갱신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정보 처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유지부가 유지하는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구성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장치 내부의 기억부 또는 상기 정보 처리장치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정보 처리장치에 접속된 기억부에 백업 정보로서 기억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정보 처리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장치는 인쇄 기능을 갖는 화상 형성장치인 정보 처리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펌웨어의 버전 정보,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관한 팩시밀리 유닛의 유무의 정보, 및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관한 피니셔의 유무의 정보 중 적어도 한개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장치.
  12. 정보 처리장치가 화상 형성장치에 접속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가 동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설정 정보 및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구성 정보를 상기 화상 형성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구성 정보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가 유지하는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구성 정보를 기억부에 백업 정보로서 기억하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1 제어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백업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유지부에 대한 리스토어를 실행하는 경우, 상기 백업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한 시점 이후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유지된 상기 구성 정보를 상기 리스토어 후에 상기 유지부에 유지하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2 제어부를 구비한 정보 처리 시스템.
  13. 화상 형성장치가 동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설정 정보 및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구성 정보를 상기 화상 형성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구성 정보를 유지부에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유지부가 유지하는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구성 정보를 기억부에 백업 정보로서 기억하도록 제1 제어를 행하는 단계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백업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유지부에 대한 리스토어를 실행하는 경우, 상기 백업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한 시점 이후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유지된 상기 구성 정보를 상기 리스토어 후에 상기 유지부에 유지하도록 제2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는, 상기 리스토어를 실행하는 경우, 상기 백업 정보에 포함되는 설정 정보를 상기 유지부에 유지시키고, 또한 백업이 행해진 후이며 상기 리스토어를 실행하기 전의 시점에 상기 유지부에 유지된 구성 정보를 상기 리스토어 후에 상기 유지부에 유지시키도록 하는 제어를 포함하는 제어방법.
  15. 컴퓨터에,
    화상 형성장치가 동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설정 정보 및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구성 정보를 상기 화상 형성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절차와,
    상기 수신 절차에서 수신한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구성 정보를 유지부에 유지하는 유지 절차와,
    상기 유지부가 유지하는 상기 설정 정보 및 상기 구성 정보를 기억부에 백업 정보로서 기억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제1 제어 절차와,
    백업한 백업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유지부에 대한 리스토어를 실행하는 경우, 상기 백업 정보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한 시점 이후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유지된 상기 구성 정보를 상기 리스토어 후에 상기 유지부에 유지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제2 제어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한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
KR1020160081295A 2015-06-30 2016-06-29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KR101958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32177A JP6249995B2 (ja) 2015-06-30 2015-06-30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5-132177 2015-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446A true KR20170003446A (ko) 2017-01-09
KR101958245B1 KR101958245B1 (ko) 2019-03-14

Family

ID=56263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295A KR101958245B1 (ko) 2015-06-30 2016-06-29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83837B2 (ko)
EP (1) EP3121721B1 (ko)
JP (1) JP6249995B2 (ko)
KR (1) KR101958245B1 (ko)
CN (1) CN10632603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609A (ko) * 2018-03-27 2019-10-0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설정 이력 버튼의 표시가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34675B2 (ja) * 2017-03-27 2021-02-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ジョブ処理装置、サーバ、サーバプログラム
KR20190057702A (ko) 2017-11-20 2019-05-29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클라우드를 이용한 데이터 백업
JP7210887B2 (ja) * 2018-03-19 2023-01-24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1025800B2 (en) * 2018-04-13 2021-06-01 Arius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aging fine art paintings
US11475145B2 (en) * 2018-12-14 2022-10-18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secure database using programmable integrated circuits with dynamic partial reconfigurability
JP7216357B2 (ja) * 2019-03-01 2023-02-01 日本電気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7301580B2 (ja) * 2019-03-29 2023-07-0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5885A (ja) * 2008-01-22 2009-08-06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3258481A (ja) * 2012-06-11 2013-12-26 Canon Inc ネットワーク機器管理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機器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4480B2 (ja) * 2000-09-05 2005-07-20 オムロン株式会社 情報保管・配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保管・配信方法
JP2004094294A (ja) * 2002-08-29 2004-03-25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情報共有システム
JP2004086800A (ja) 2002-08-29 2004-03-18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同期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同期方法
JP2004272632A (ja) * 2003-03-10 2004-09-3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182588A (ja) * 2003-12-22 2005-07-07 Hitachi Ltd ストレージ装置のバックアップデータの管理
US7489782B1 (en) * 2004-02-27 2009-02-10 Symantec Operating Corporation Registry restore to original hardware
JP4515314B2 (ja) * 2005-04-08 2010-07-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計算機システムの構成再現方法
JP2007043287A (ja) * 2005-08-01 2007-02-15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JP4796450B2 (ja) * 2005-10-03 2011-10-1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7757112B2 (en) * 2006-03-29 2010-07-13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booting alternate MBR in event of virus attack
JP4981523B2 (ja) 2007-05-28 2012-07-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トレージシステム及びストレージシステム管理方法
JP5289153B2 (ja) * 2009-04-14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135732B2 (en) * 2010-03-05 2012-03-13 Computer Associates Think,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based services to users with high availability
JP2013132040A (ja) * 2011-11-22 2013-07-0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バックアップ及びレストア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96389B2 (ja) * 2013-12-17 2017-09-13 ヒタチ データ システムズ コーポレーションHitachi Data Systems Corporation 分散型ディザスタリカバリファイル同期サーバシステム
JP6405831B2 (ja) * 2014-09-25 2018-10-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EP3070619B1 (en) 2015-03-16 2023-08-16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es performing synchronization of data and data synchronization methods
US10498603B2 (en) * 2016-05-25 2019-1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viding backup and restore services to network attached appliances in a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5885A (ja) * 2008-01-22 2009-08-06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3258481A (ja) * 2012-06-11 2013-12-26 Canon Inc ネットワーク機器管理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機器管理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609A (ko) * 2018-03-27 2019-10-0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설정 이력 버튼의 표시가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US11445077B2 (en) 2018-03-27 2022-09-13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settings history button, method of controlling same,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21721B1 (en) 2021-08-11
KR101958245B1 (ko) 2019-03-14
JP6249995B2 (ja) 2017-12-20
JP2017016374A (ja) 2017-01-19
CN106326031B (zh) 2020-04-28
EP3121721A1 (en) 2017-01-25
CN106326031A (zh) 2017-01-11
US9983837B2 (en) 2018-05-29
US20170003917A1 (en)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245B1 (ko) 정보 처리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US10051139B2 (en) Network device that flexibly manages setting valu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660217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
US1020584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 which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ends updated setting information to a connected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1606752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US10379789B2 (en) Data management system that updates a replication database, data management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2019016012A (ja) プリンタ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3136263B1 (en) Server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998611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sharing setting valu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6639363B2 (ja) 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601321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gram
JP2015215755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258481A (ja) ネットワーク機器管理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機器管理方法
US10037049B2 (en) Management system that performs processing for synchronizing setting data, alternative management apparatus,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067860B1 (ko) 정보 처리기들 사이에 정보를 동기화하는 서버,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서버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26406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sets synchronization destination of setting informa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synchroniz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6452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synchronizing setting information
JP2016081161A (ja) 管理装置管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24351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同期プログラム
JP2016024644A (ja)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