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399U - 밀봉 장치 - Google Patents

밀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399U
KR20170003399U KR2020170001341U KR20170001341U KR20170003399U KR 20170003399 U KR20170003399 U KR 20170003399U KR 2020170001341 U KR2020170001341 U KR 2020170001341U KR 20170001341 U KR20170001341 U KR 20170001341U KR 20170003399 U KR20170003399 U KR 201700033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ring
pressure
circumferential
ring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주노리 진보
Original Assignee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33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39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1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tuffing-boxes for elastic or plastic packings
    • F16J15/20Packing materia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9/00Piston-rings, e.g. non-metallic piston-rings, seats therefor; Ring sealings of similar construction
    • F16J9/28Piston-rings, e.g. non-metallic piston-rings, seats therefor; Ring sealings of similar construction of non-metals

Abstract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시일 링(10)을, 탄성을 갖는 백 링(20)에 의해 지름 방향으로 가세(付勢, bias)하는 구조의 밀봉 장치(1)로서, 시일 링(10)의 슬라이딩 저항을 저감시킨다.
서로 동심적이고 또한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외주 부재(200)와 내주 부재(300)의 대향 둘레면(200a, 300a) 중 일방의 둘레면(300a)에 원주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장착 홈(301) 내에, 타방의 둘레면(200a)과의 슬라이딩이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는 시일 링(10)과, 이 시일 링(10)과 장착 홈(301)의 바닥면(301a)의 사이에 배치되는 백 링(20)을 구비하고, 타방의 둘레면(200a)과 대향하는 시일 링(10)의 둘레면에, 고압이 되는 작동 공간 측의 유체를 도입하는 유단(有端)의 압력 도입 홈(11, 12)이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압력 도입 홈(11, 12)은, 원주 방향 양 가장자리가, 원주 방향으로 서로 대칭인 경사 각도를 이루며 연장된다.

Description

밀봉 장치{SEALING APPARATUS}
[0001] 본 고안은, 예컨대 유압 기기 등에 이용되는 밀봉 장치로서, 특히, 합성수지제의 시일 링(seal ring)을, 탄성을 갖는 백 링(back ring)에 의해 지름방향으로 가세(付勢, bias)하는 구조인 것에 관한 것이다.
[0002] 유압 기기의 피스톤이나 피스톤 로드의 외주 틈새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장치로서, 종래, 도 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도 7에 있어서, 참조 부호 200은 유압 기기 등의 실린더, 300은 이 실린더(200)의 내주에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관통 삽입된 피스톤이며, 실린더(200)와 피스톤(300)의 사이에는, 밀봉 장치(100)가 위치하고 있다.
[0003] 밀봉 장치(100)는, 피스톤(300)의 외주면(300a)에 형성된 장착 홈(301)에 장착되는 동시에 실린더(200)의 내주면(200a)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 접촉되는 합성수지제의 시일 링(101)과, 그 내주 측에 지름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배치된 고무상(狀)(rubber-like)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백 링(102)을 구비한다.
[0004] 즉 본 밀봉 장치(10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300)의 축방향 양측의 공간(S1, S2) 중 상대적으로 고압이 된 공간(S1)의 유체 압력(P)에 의해, 시일 링(101) 및 백 링(102)이, 장착 홈(301)의 축방향 양측의 측면 중 상대적으로 저압인 공간(S2) 측의 측면에 밀어붙여지며, 상기 백 링(102)의 지름방향 압축 반력(反力) 및 유체 압력(P)에 의해 생기는 지름방향 확장력(F)에 의해, 시일 링(101)의 외주면이 실린더(200)의 내주면(200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어붙여지는 동시에, 백 링(102)의 외주면 및 내주면이 시일 링(101)의 내주면 및 장착 홈(301)의 바닥면에 밀착 접촉됨에 따라 시일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다(예컨대 하기의 특허문헌 1 참조).
[0005] 일본 특허공개공보 H06-174105호
[0006] 이러한 종류의 밀봉 장치(100)에 있어서, 시일 링(101)에는, 강도(강성)가 높고 또한 재료 비용이 낮은 폴리아미드(PA)가 채용되고 있지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계의 저마찰 재료와 비교하면, 실린더(200)의 내주면(200a)과 슬라이딩할 때의 슬라이딩 저항이 현저히 높다는 문제가 있다.
[0007] 또, 시일 링(101)이, 폴리아미드 등,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인 경우, 실린더(200)의 내주면(200a)에 대한 간섭량에 따른 지름 확대력(擴徑力)이 크기 때문에, 슬라이딩 저항 증대의 한 요인이 되고 있다. 게다가 시일 링(101)의 지름 확대력이 큼에 따라, 실린더(200)와의 슬라이딩부에 대한 윤활유 막의 형성이 불충분해지기 쉬우며, 사용 조건에 따라서는 스틱-슬립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0008]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기술적 과제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시일 링을, 탄성을 갖는 백 링에 의해 지름 방향으로 가세하는 구조의 밀봉 장치에 있어서, 시일 링의 슬라이딩 저항을 저감 시키는 데에 있다.
[0009]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고안과 관련되는 밀봉 장치는, 서로 동심적이고 또한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외주 부재와 내주 부재의 대향 둘레면 중 일방의 둘레면에 원주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장착 홈 내에, 타방의 둘레면과의 슬라이딩이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는 시일 링과, 이 시일 링과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의 사이에 배치되는 백 링을 구비하며, 상기 타방의 둘레면과 대향하는 상기 시일 링의 둘레면에, 고압이 되는 작동 공간 측의 유체를 도입하는 유단(有端)의 압력 도입 홈이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압력 도입 홈은, 원주 방향의 양 가장자리가, 원주 방향으로 서로 대칭인 경사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0] 또, 청구항 2의 고안과 관련되는 밀봉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서로 축방향으로 반대 방향인 압력 도입 홈이, 원주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1] 또, 청구항 3의 고안과 관련되는 밀봉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압력 도입 홈의 비개방 측의 모서리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2] 또, 청구항 4의 고안과 관련되는 밀봉 장치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외주 부재 또는 내주 부재의 둘레면에 대한 시일 링의 슬라이딩면을 조면(粗面)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3] 본 고안에 관한 밀봉 장치에 의하면, 시일 링이 고강도이며 마찰 계수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라 하더라도, 작동 공간 측으로부터 압력 도입 홈으로 도입되는 유체의 압력이, 백 링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에서 유래하는 시일 링과 외주 부재 또는 내주 부재와의 면압(面壓)을 저감하도록 작용하는 동시에, 유체 윤활막의 형성을 촉진하기 때문에, 시일 링의 슬라이딩 저항을 유효하게 저감시킬 수가 있다.
[0014] 도 1은 본 고안에 관한 밀봉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제 1 압력 도입 홈과 축심을 지나는 평면으로 절단하여 나타내는 부분적인 단면도, (B)는 제 2 압력 도입 홈과 축심을 지나는 평면으로 절단하여 나타내는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관한 밀봉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외주측에서 본, 일부 단면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관한 밀봉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일 링의 절단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관한 밀봉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압력이 작용한 상태를, 제 1 압력 도입 홈과 축심을 지나는 평면으로 절단하여 나타내는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작동유의 압력과 시일 링의 지름방향 확장력 간의 관계를, 본 고안과 종래의 기술을 비교하여 나타내는 선도(線圖)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관한 밀봉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시일 링의 지름방향 융기부에 압력이 작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외관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밀봉 장치의 일례의 사용 상태를, 축심을 지나는 평면으로 절단하여 나타내는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밀봉 장치의 일례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압력이 작용한 상태를, 축심을 지나는 평면으로 절단하여 나타내는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0015] 이하, 본 고안에 관한 밀봉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있어서, 참조 부호 200은 유압 기기 등의 실린더, 300은 이 실린더(200)의 내주에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된 피스톤이며, 실린더(200)와 피스톤(300)의 사이에는, 밀봉 장치(1)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실린더(200)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외주 부재에 상당하는 것이며, 피스톤(300)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내주 부재에 상당하는 것이다.
[0016] 피스톤(300)의 외주면(300a)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장착 홈(30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 홈(301)은, 원통면 형상을 이루는 바닥면(301a)과, 그 축방향 양측으로부터 축심과 수직인 평면을 이루며 피스톤(300)의 외주면(300a)을 향해 기립하는 내측면(301b, 301c)을 갖는다.
[0017] 밀봉 장치(1)는, 장착 홈(301)에 장착되는 동시에 외주면이 실린더(200)의 내주면(200a)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 접촉되는 시일 링(10)과, 그 내주 측에 있으며 시일 링(10)과 장착 홈(301)의 바닥면(301a)의 사이에 지름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배치된 백 링(20)을 구비한다. 또한, 피스톤(300)의 외주면(300a)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일방(一方)의 둘레면에 상당하는 것이고, 실린더(200)의 내주면(200a)은 청구항 1에 기재된 타방(他方)의 둘레면에 상당하는 것이다.
[0018] 자세하게는, 시일 링(10)은, 예컨대 폴리아미드(PA) 등, 기계적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내경(內徑)이 피스톤(300)의 외주면(300a)보다 작고 또한 장착 홈(301)의 바닥면(301a)보다 큰 동시에, 외경(外徑)이 피스톤(300)의 외주면(300a)보다 근소하게 크고, 장착 홈(301)에 축방향으로 근소하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0019] 상기 시일 링(10)은, 장착 상태에 있어서 실린더(200)의 내주면(200a)과 대향하는 외주면에,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방향 일방으로 개방된 제 1 압력 도입 홈(11)과,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방향 타방으로 개방된 제 2 압력 도입 홈(12)이,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또한 원주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압력 도입 홈(11)과 제 2 압력 도입 홈(12)의 사이는, 원주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연장되는 상대적인 지름방향 융기부(13)로 되어 있으며, 이 지름방향 융기부(13)의 외주면은 배의 껍질과 같은 형상(梨地狀)의 조면(粗面) 가공이 이루어져 있다. 또, 제 1 압력 도입 홈(11) 및 제 2 압력 도입 홈(12)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압력 도입 홈에 상당하는 것이다.
[0020] 제 1 압력 도입 홈(11) 및 제 2 압력 도입 홈(12)은, 원주 방향 폭이 개방 단부(端部) 측에서 넓고 비(非)개방 측에서 좁아지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즉, 제 1 압력 도입 홈(11)의 원주 방향 양 가장자리(11a, 11a)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대칭인 경사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어 있고, 제 1 압력 도입 홈(11)과 같은 형태이며 같은 크기인 제 2 압력 도입 홈(12)도, 그 원주 방향 양 가장자리(12a, 12a)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대칭인 경사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어 있다. 또, 제 1 압력 도입 홈(11) 및 제 2 압력 도입 홈(12)에 있어서의 비개방 측의 모서리부(11b, 12b)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0021] 또한, 제 1 압력 도입 홈(11) 및 제 2 압력 도입 홈(12)의 축방향 길이(L)는, 시일 링(10)의 축방향 폭(W)의 1/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압력 도입 홈(11) 및 제 2 압력 도입 홈(12)의 깊이는, 후술하는 작동유의 압력에 의한 백 링(20)의 지름방향 확장력을 받아 시일 링(10)의 외주면이 실린더(200)의 내주면(200a)에 밀어붙여져도, 제 1 압력 도입 홈(11) 및 제 2 압력 도입 홈(12)의 바닥면이 실린더(200)의 내주면(200a)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지름방향 융기부(13)가 찌그러져 소멸하지 않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22] 또, 시일 링(10)의 축방향 일단면(10a)에는 단면(端面) 압력 도입 홈(14)이 형성되어 있고, 시일 링(10)의 축방향 타단면(10b)에는, 단면 압력 도입 홈(15)이 형성되어 있다. 단면 압력 도입 홈(14)과 단면 압력 도입 홈(15)은 서로 원주 방향의 다른 위치에 있으며, 외경 측이 개방되고, 내경 단부가 장착 홈(301)의 내측면(301b, 301c)과의 대향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0023] 시일 링(10)은, 지름방향으로의 적당한 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주 방향 1곳에 절단부(16)를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는, 절단부(16)가 스텝 컷(step cut)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즉, 시일 링(10)의 축방향 중간 위치를 지나 축심과 수직인 평면을 이루며 연장되는 중간 컷부(16a)와, 이 중간 컷부(16a)의 원주 방향 일단으로부터 축방향 일단면(10a)을 향해 축심과 평행한 평면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 1 축방향 컷부(16b)와, 중간 컷부(16a)의 원주 방향 타단으로부터 축방향 타단면(10b)을 향하여 축심과 평행한 평면을 이루며 연장되는 제 2 축방향 컷부(16c)로 이루어진다.
[0024] 한편, 백 링(20)은 고무상(狀)(lubber-like)의 탄성체(고무 또는 고무상(狀)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시일 링(10)과 같은 절단부가 없는, 원주 방향으로 무단(無端)의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축방향 폭이 시일 링(10)보다 적절히 작은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백 링(20)은, 장착 홈(301)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며, 외주면(20a)이, 시일 링(10)의 내주면(10c)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 접촉되고, 내주면(20b)이, 장착 홈(301)의 홈 바닥면(301a)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0025]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실린더(200)의 내주(內周)로서 피스톤(300)의 축방향 양측에 있는 작동 공간 중, 예컨대 도 1에 있어서의 우측의 작동 공간(S1)의 작동유의 압력이 좌측의 작동 공간(S2)보다 고압이 되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200)와 피스톤(300) 사이의 틈새(ΔS)를 통해 장착 홈(301)으로 도입되는 고압 측의 작동 공간(S1)의 작동유의 압력(작동 공간(S1와 S2)의 차압(差壓); P)에 의해, 시일 링(10) 및 백 링(20)이 장착 홈(301)에 있어서의 도면 중 좌측의 내측면(301c)에 맞닿는다. 이때, 시일 링(10)의 축방향 일단면(10a)이 장착 홈(301)에 있어서의 도면 중 우측의 내측면(301b)에 맞닿아 있었다 하더라도, 이 시일 링(10)의 축방향 일단면(10a)에는 단면 압력 도입 홈(1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압 측의 작동 공간(S1)의 작동유의 압력(P)은, 단면 압력 도입 홈(14)을 통해 신속하게 장착 홈(301)으로 도입되어, 시일 링(10) 및 백 링(20)이 장착 홈(301)에 있어서의 도면 중 좌측의 내측면(301c)에 양호한 응답성으로 맞닿는다.
[0026]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백 링(20)은, 지름방향으로 적절히 압축된 상태로 장착됨에 따른 압축 반력(反力)과, 작동유의 압력(P)을 받아 축방향으로 압축됨에 따라 생기는 지름방향 확장력(F)에 의해, 시일 링(10)을 내주측으로부터 지름을 확대(擴徑)시키도록 가세하기 때문에, 시일 링(10)은, 그 외주면(제 1 압력 도입 홈(11)과 제 2 압력 도입 홈(12) 사이의 상대적인 지름방향 융기부(13)의 외주면)이, 실린더(200)의 내주면(200a)에 밀어붙여져, 피스톤(300)의 축방향 이동과 함께, 실린더(200)의 내주면(200a)에 대해서 슬라이딩한다.
[0027] 따라서, 작동 공간(S1)의 작동유의 압력(P)이 상승하면, 백 링(20)의 지름방향 확장력(F)도 상승하게 되지만, 본 고안에 의하면, 작동 공간(S1)의 작동유의 압력(P)은, 시일 링(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압력 도입 홈(11) 및 제 2 압력 도입 홈(12) 중, 작동 공간(S1) 측을 향해 개방된 제 1 압력 도입 홈(11)에도 도입되어 있으며, 이 제 1 압력 도입 홈(11) 내의 압력(P)은, 백 링(20)의 지름방향 확장력(F)에 대항하는 캔슬(cancel) 압력으로서 작용한다. 이 때문에, 도 5에 작동유의 압력과 시일 링의 지름방향 확장력 간의 관계를, 본 고안과 종래의 기술 간의 비교에 있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200)의 내주면(200a)에 대한 시일 링(10)의 슬라이딩 면압(面壓)의 상승이 완화되어, 실린더(200)의 내주면(200a)과 시일 링(10)의 외주면(지름방향 융기부(13)의 외주면)의 사이에, 고압 측의 작동 공간(S1)의 작동유가 침입함에 따른 윤활유 막의 형성이 촉진된다.
[0028] 더욱이, 제 1 압력 도입 홈(11)은, 원주 방향 폭이 개방 단부 측에서 넓고 비개방 측에서 좁아지도록, 원주 방향 양 가장자리(11a)가, 원주 방향으로 서로 대칭인 경사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고압 측의 작동 공간(S1)의 작동유가 실린더(200)의 내주면(200a)과 시일 링(10)의 외주면의 사이로 웨지(wedge) 형상으로 침입하기 쉬우며, 게다가 경사에 의해 원주 방향 양 가장자리(11a)의 길이가 긴 것이 되므로, 그만큼, 작동유의 침입에 의한 양호한 윤활유 막의 형성이 촉진된다. 나아가, 실린더(200)의 내주면(200a)과의 슬라이딩부인 지름방향 융기부(13)가 배의 껍질과 같은 형상의 조면(粗面)을 이룸에 따라, 두꺼운 윤활유 막을 유지할 수가 있다.
[0029] 그리고, 시일 링(10)의 재료로서 채용되고 있는 폴리아미드(PA) 등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계의 저마찰 재료와 비교하면, 마찰 계수가 현저하게 높은 것이지만,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압력 도입 홈(11) 및 제 2 압력 도입 홈(12)이 형성된 만큼, 시일 링(10)의 슬라이딩 면적이 작아지는 것에 추가하여, 실린더(200)의 내주면(200a)과 시일 링(10)의 사이의 액체 윤활성이 현저히 향상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저항이 유효하게 저감되어, 윤활 부족에 기인하는 시일 링(10)의 조기(早期) 마모나 스틱-슬립 현상 등의 발생도 방지할 수가 있다.
[0030]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압 측의 작동 공간(S1)으로부터 제 1 압력 도입 홈(11)으로 도입된 작동유의 압력(P)은, 지름방향 융기부(13)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저압 측인 제 2 압력 도입 홈(12)을 수축시키는 방향으로 변형시키도록 작용하지만, 이 지름방향 융기부(13)는, 원주 방향 폭이 제 1 압력 도입 홈(11) 및 제 2 압력 도입 홈(12)의 개방 단부 측에서 넓고 비개방 측에서 좁아지도록, 서로 대칭인 경사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아치(arch) 효과에 의해 내압성이 높은 것으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지름방향 융기부(13)의 파손이 유효하게 방지된다.
[0031] 또, 고압 측의 작동 공간(S1)으로부터 제 1 압력 도입 홈(11)으로 도입된 작동유의 압력(P)은, 이 제 1 압력 도입 홈(11)을 확장시키는 방향으로 변형시키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그 비개방 측의 모서리부(11b)에는 인장 응력을 일으키지만, 이 모서리부(11b)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장 응력이 국부적으로 높아지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이것에 의해서도 지름방향 융기부(13)의 파손이 유효하게 방지된다.
[0032] 나아가,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압력 도입 홈(11) 및 제 2 압력 도입 홈(12)이 같은 형태와 같은 크기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 홈(301)에 대한 장착시의 방향성이 없고, 게다가 피스톤(300)의 축방향 양측의 작동 공간(S1, S2)의 작동유의 압력이 정역(正逆) 전환되는 기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도 1에 있어서의 좌측의 작동 공간(S2)의 작동유의 압력이 우측의 작동 공간(S1)보다 고압이 되었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고압이 된 작동 공간(S2)의 작동유의 압력이 제 2 압력 도입 홈(12)에 도입됨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을 나타낸다.
[0033]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밀봉 장치(1; 시일 링(10) 및 백 링(20))가, 피스톤(300)의 외주면(300a)에 형성된 장착 홈(301)에 장착되는 동시에 시일 링(10)의 외주면이 실린더(200)의 내주면(200a)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 접촉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지름방향이 반대인 관계로 배치되는 밀봉 장치, 즉 실린더(200)의 내주면(200a)에 형성된 장착 홈에 장착되고, 시일 링(10)의 내주면이, 그 외주측에 위치하는 백 링(20)에 의해 피스톤(30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 접촉되는 것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가 있다.
[0034] 1; 밀봉 장치
10; 시일 링
11; 제 1 압력 도입 홈(압력 도입 홈)
11a, 12a; 원주 방향 양 가장자리
11b, 12b; 모서리부
12; 제 2 압력 도입 홈(압력 도입 홈)
13; 지름방향 융기부
20; 백 링
200; 실린더(외주 부재)
200a; 내주면(타방의 둘레면)
300; 피스톤(내주 부재)
300a; 외주면(일방의 둘레면)
301; 장착 홈

Claims (4)

  1. 서로 동심적(同心的)이고 또한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외주 부재와 내주 부재의 대향 둘레면 중 일방(一方)의 둘레면에 원주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장착 홈 내에, 타방(他方)의 둘레면과의 슬라이딩이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는 시일 링(seal ring)과, 이 시일 링과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의 사이에 배치되는 백 링(back ring)을 구비하며, 상기 타방의 둘레면과 대향하는 상기 시일 링의 둘레면에, 고압이 되는 작동 공간 측의 유체를 도입하는 유단(有端)의 압력 도입 홈이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압력 도입 홈은, 원주 방향 양 가장자리가, 원주 방향으로 서로 대칭인 경사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서로 축방향으로 반대 방향인 압력 도입 홈이, 원주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압력 도입 홈의 비(非)개방 측의 모서리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주 부재 또는 내주 부재의 둘레면에 대한 시일 링의 슬라이딩 면을 조면(粗面)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KR2020170001341U 2016-03-22 2017-03-22 밀봉 장치 KR20170003399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56723A JP2017172617A (ja) 2016-03-22 2016-03-22 密封装置
JPJP-P-2016-056723 2016-03-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399U true KR20170003399U (ko) 2017-10-10

Family

ID=59971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341U KR20170003399U (ko) 2016-03-22 2017-03-22 밀봉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7172617A (ko)
KR (1) KR20170003399U (ko)
CN (1) CN20684588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08088A (ja) * 2018-07-06 2020-01-16 Nok株式会社 バックアップリング
KR102410100B1 (ko) * 2018-08-09 2022-06-22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실 링
WO2022145392A1 (ja) * 2020-12-28 2022-07-07 日立Astemo株式会社 ピストンポンプ及びシール部材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4105A (ja) 1992-12-08 1994-06-24 Nabco Ltd スリッパーシー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672U (ja) * 1994-12-26 1995-09-05 株式会社阪上製作所 シール装置
JP2005249033A (ja) * 2004-03-03 2005-09-15 Nok Corp 密封装置
JP2007239793A (ja) * 2006-03-06 2007-09-20 Toyota Motor Corp オイルリング及びシリンダにおける潤滑構造
WO2008126866A1 (ja) * 2007-04-09 2008-10-23 Nok Corporation 密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4105A (ja) 1992-12-08 1994-06-24 Nabco Ltd スリッパーシ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72617A (ja) 2017-09-28
CN206845883U (zh) 2018-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9114B2 (en) Sealing device
JP6934387B2 (ja) 密封装置
US20100295253A1 (en) Packing and sealing system
JPWO2008126866A1 (ja) 密封装置
WO2010098001A1 (ja) 密封装置
KR20110127605A (ko) 유체압 기기
US6340161B1 (en) Machinery seal
KR20170003399U (ko) 밀봉 장치
JP5574090B2 (ja) 往復動用シールリング
JP2013185702A (ja) 摺動シール及び組合せ摺動シール
JP2010133511A (ja) 密封装置
JP5447787B2 (ja) 往復動用密封装置
US11221072B2 (en) Arrangement structure for seal member
JP6432670B2 (ja) 密封装置及び密封構造
JP5531386B2 (ja) シーリングシステム
JP2008128377A (ja) 密封装置
JP2005114007A (ja) 密封装置
JP2009270679A (ja) 密封構造及び密封装置
JP5459501B2 (ja) 密封装置
JP5344163B2 (ja) 密封装置
JP6458905B2 (ja) シールリング
WO2020241135A1 (ja) 密封装置
JP2008045658A (ja) 密封装置
JP2019138388A (ja) 密封装置
JP2013072472A (ja) 密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