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503A - 인트라오럴 센서 및 센서 인디케이터와 이를 포함하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트라오럴 센서 및 센서 인디케이터와 이를 포함하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503A
KR20170002503A KR1020167033354A KR20167033354A KR20170002503A KR 20170002503 A KR20170002503 A KR 20170002503A KR 1020167033354 A KR1020167033354 A KR 1020167033354A KR 20167033354 A KR20167033354 A KR 20167033354A KR 20170002503 A KR20170002503 A KR 20170002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intraoral
grip
intraloral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3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1840B1 (ko
Inventor
임형근
전진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이언스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이언스,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이언스
Publication of KR20170002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4Applications or adapt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5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2/00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 G03B42/02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using X-rays
    • G03B42/04Holders for X-ray films
    • G03B42/042Holders for X-ray films for dental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1

Abstract

본 발명은 X선이 입사되는 전방면에 반대되는 후방면에 후방으로 돌출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인트라오럴 센서와;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의 체결부와 물리적 탄성력을 이용하여 체결되는 센서 결합부를 포함하는 센서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트라오럴 센서 및 센서 인디케이터와 이를 포함하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INTRAORAL SENSOR AND SENSOR INDICATOR, AND INTRAORAL RADIOGRAPHIC SYSTEM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시 인트라오럴 센서를 센서 인디케이터(indicator)에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등에서 환자의 구강 내 X선 촬영은 센서 인디케이터에 인트라오럴 센서를 고정하여 환자의 구강 내측에 삽입한 후 구강 외부의 엑스선(X-ray) 조사장치를 이용하여 인트라오럴 센서에 엑스선을 조사함으로써 엑스선 조사장치와 인트라오럴 센서 사이의 구강 내 구조물을 X선 촬영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인트라오럴 센서는 외부의 엑스선 조사장치에서 조사되어 촬영대상을 투과한 엑스선을 감지하여 촬영대상의 투영 데이터가 포함된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이다. 그리고, 센서 인디케이터는 인트라오럴 센서를 촬영대상의 구강 내 목적된 부위로 위치시키고, 인트라오럴 센서와 엑스선 조사장치가 일직선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정렬하는 보조 기구이다.
도 1은 종래의 인트라오럴 센서 및 센서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센서 인디케이터(20)는 인트라오럴 센서(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부(21), 결합부(21)와 수직하게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연결부(22) 및 연결부(22)가 수직하게 장착되며 인트라오럴 센서(10)와 나란하게 대면하는 링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 인트라오럴 센서(10)와 케이블 등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되고 인트라오럴 센서(10)에서 투영 데이터를 전송받아 외부 컴퓨팅 장치로 전송하는 별도의 통신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센서 인디케이터(20)에서는 인트라오럴 센서(10)가 고정되는 결합부(21)의 구조가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외곽을 고정하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전방면으로서 엑스선 수광면인 탐지면을 가리는 구조를 가지므로, 가려진 탐지면에서의 간섭으로 인해 최종 결과물인 엑스선 구강 영상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외곽을 고정하기 위해 센서 인디케이터(20)의 부피가 커지고 촬영면적 이상의 면적을 차지하므로, 환자가 느끼는 구강 내 이물감이 증대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센서 인디케이터(20)는 통신부(24)를 별도 장착하여 사용하여야 하고 인트라오럴 센서(10)에서 통신부(24)까지 연결되는 케이블이 외부에 노출된 구조를 가지므로, 환자의 주변 환경을 혼잡하게 하는 복잡한 결합 구조를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인트라오럴 센서의 탐지면을 가리지 않고 결합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촬영대상의 이물감을 최소화하고 엑스선 구강 영상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인트라오럴 센서와 센서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개발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트라오럴 센서의 탐지면에 대한 간섭이 없는 인트라오럴 센서 및 센서 인디케이터의 결합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품 간의 결합 요소가 최소화된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X선이 입사되는 전방면에 반대되는 후방면에 후방으로 돌출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인트라오럴 센서와;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의 체결부와 물리적 탄성력을 이용하여 체결되는 센서 결합부를 포함하는 센서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와 상기 센서 결합부는 그립 체결 구조를 이용하여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결합부는 루프 형상의 그립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그 측면에 상기 그립홀더와 교합하는 그립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홀더는 개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그립홀더는 폐루프 형상을 갖고, 서로 분리가능한 제1 및 2그립리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결합부는 상기 체결부와 스냅 캡 체결 구조로 체결되는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은 일끝단에서 상기 그립홀더의 대응되는 부분과 힌지 구조로 고정되고, 타끝단에서 후크 체결 수단을 통해 상기 그립홀더의 대응되는 부분과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인디케이터는, 상기 센서 결합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와 마주보는 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케이블 거치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부에 내장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는 투영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X선이 입사되는 전방면에 반대되는 후방면에 후방으로 돌출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센서 인디케이터에 상기 체결부가 물리적 탄성력으로 체결되는 인트라오럴 센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그립홈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는 상기 센서 인디케이터에 상기 그립홈의 적어도 일부가 둘러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인트라오럴 센서의 후방면으로부터 돌출된 체결부를 물리적 탄성력으로 고정하는 센서 인디케이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 인디케이터는 상기 체결부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두르는 개루프 또는 폐루프 형태의 그립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홀더는 상기 체결부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된 그립홈에 적어도 일부가 교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 의하면, 그립 체결 구조 등 다양한 체결 구조를 통해 센서 인디케이터의 센서 결합부가 인트라오럴 센서의 뒷면에서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가 평면 상에서 회전 가능하거나 수월하게 탈부착되거나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대상의 이물감을 최소화하고 인트라오럴 센서 자체의 포지셔닝이 용이하며 인트라오럴 센서의 탐지면에서의 간섭이 없어 엑스선 구강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인트라오럴 센서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연결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어서 촬영대상의 주변 환경이 혼잡하지 않게 하여 보다 쾌적한 촬영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 의하면, 인트라오럴 센서의 투영 데이터를 무선 신호에 탑재하여 외부의 컴퓨팅 장치로 전송하는 투영 데이터 전송부가 링부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촬영대상의 주변에 거치되는 케이블 등의 구성품을 최소화하여 더 쾌적한 촬영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구성품 간 결합요소가 적어 위생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트라오럴 센서 및 센서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인트라오럴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센서 인디케이터의 센서 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센서 결합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센서 결합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센서 결합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 있어, 구강 내 엑스선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는 인트라오럴 센서의 배면을 지지하여 고정결합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인트라오럴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정의 케이블이 내장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점에서 주요한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는 외부의 엑스선 조사장치에서 조사되어 촬영대상을 투과한 엑스선을 감지하여 촬영대상의 투영 데이터가 포함된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로서, 바람직하게는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센서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여러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인트라오럴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센서 인디케이터의 센서 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한편,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케이블과 연결되는 통신부는 생략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은 인트라오럴 센서(10)와, 인트라오럴 센서(10)가 결합되어 장착 및 고정되는 센서 인디케이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트라오럴 센서(10)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시 구강 내에 삽입되어 방사선 영상을 생성하는 구성으로서, 이는 엑스선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패널과 이미지센서패널과 결합되는 기구적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인트라오럴 센서(10)는 엑스선이 입사되는 탐지면과 반대되는 후방면 측에 후방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의 그립포스트(grip post) 즉 체결부(11)를 구비할 수 있다.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체결부(11)는 센서 인디케이터(100)와 탈부착되도록 구성되는데, 체결부(11)를 통해 인트라오럴 센서(10)는 그 후방면에서 센서 인디케이터(100)에 장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인트라오럴 센서(10)가 장착되는 센서 인디케이터(100)는 링부(110)와, 연결부(120)와 센서 결합부(130)을 포함할 수 있다.
링부(110)는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인트라오럴 센서(10)의 탐지면과 외부의 엑스선 조사장치가 소정의 정렬 기준을 만족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소정 넓이의 통공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위 정렬 기준은 예컨대, 인트라오럴 센서(10)의 탐지면과 엑스선 조사장치가 일직선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정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링부(110)에는 연결부(120)가 장착될 수 있도록 결합홈 및 결합공을 포함하는 소정의 결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120)는 링부(110)와 센서 결합부(13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스틱(stick) 또는 다면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0)는 일단이 링부(110)로 연결되며 타단으로 센서 결합부(130)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결부(120)는 센서 결합부(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연결부(120)는 센서 결합부(130)와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어 탈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결부(120)와 센서 결합부(130)가 탈부착되는 경우를 예로 든다.
연결부(120)는 링부(110)에 구비된 결합수단으로 몸체의 일부가 삽입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링부(110)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20)가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면 링부(110)와 센서 결합부(130)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센서 결합부(130)는 인트라오럴 센서(10)의 후방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체결부(11)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그립 체결 방식을 통해, 센서 결합부(130)와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체결부(11)는 물리적 탄성력을 이용하여 결합된다.
이와 같은 센서 결합부(130) 및 체결부(11)의 결합 구조에 대해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센서 결합부(130)에 결합되는 체결부(11)는 평면적으로 볼 때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그 외의 다각형 등 여러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체결부(11)가 사각 형상인 경우를 예로 든다.
체결부(11)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센서 결합부(130)와의 그립 체결을 위해 내부로 요입된 형태의 그립홈(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그립홈(12)은 실질적으로 체결부(11)의 4개의 측면들 중 적어도 1개의 측면으로서, 예를 들면, 케이블(30)이 인출되는 측면을 제외한 3개의 측면들을 따라 그립홈(12)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체결부(11)의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측면에는 그립홈(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 결합부(130)는, 그립홈(12)에 끼움 삽입되며 체결부(11)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루프 형상의 그립홀더(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그립홀더(131)는 그립홈(12)에 교합되는 형태로 형성되는데, 예를 들면, 일측이 개방된 개루프(open loop)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일측의 개방된 개구(134)는 그 폭이 대응되는 체결부(11)의 폭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개구(134) 양측의 그립홀더(131) 부분은 개구(134) 방향으로 꺽여져 돌출된 형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꺽여져 돌출된 부분은, 체결부(11)가 체결된 상태에서 체결부(11)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으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그립홀더(131)는 체결부(11)와의 결합을 위해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체결부(11)와의 체결을 위해, 체결부(11)는 그립홀더(131)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그립홀더(131) 내부로 삽입되는데 이 과정에서 그립홀더(131)는 그 탄성력에 의해 외부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그립홀더(131)가 완전히 삽입되면 복원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귀하여 대응되는 그립홈(12)과 교합되어 체결이 완료된다.
한편, 센서 결합부(130)는 그립홀더(131)의 하단과 결합되어 그립홀더(131)를 지지하는 지지체(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체(132)는 일단에서 그립홀더(131)와 결합되고,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체(132)의 타단에는 관통홀(1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133)에 연결부(120)가 삽입되어 센서 결합부(13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133) 내에는 연결부(120)의 끝단과 체결되는 체결수단으로서 체결편이 구비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서로 대응되는 형태의 그립홀더(131)와 그립홈(12)을 사용하여, 체결부(11)를 그립홀더(131)에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그립 체결 방식을 통해, 인트라오럴 센서(10)는 그 후방에서 센서 결합부(13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전방면 즉 탐지면에 대한 간섭이 없는 결합 구조가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트라오럴 센서(10)를 센서 인디케이터(100)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센서 결합부(130)와 체결부(11) 간에는 일정 정도 이상의 결합력이 필요한데, 이 결합력은 체결부(11)의 기하학적 형태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자들은 실험을 통해 요구되는 결합력을 충족할 수 있는 체결부(11)의 특정 기하학적 설계 수치를 도출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체결부(11)의 평면 면적은 인트라오럴 센서의 후방면 면적 대비 10% 이상 70% 이하이고, 체결부(11)의 높이(h1)는 5.0mm 이상이며, 그립홈(12)의 높이(h2)는 3.0mm 이상이 되어야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기하학적 구조에 따라, 인트라오럴 센서(10)에 대한 결합력은 요구되는 수준을 충족할 수 있게 되어, 인트라오럴 센서(10)는 센서 인디케이터(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트라오럴 센서(10)와 센서 인디케이터의 센서 결합부(130)를 도시하였으며, 도시되지 않은 구성에 대해서는 제1 및 2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서는,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센서 결합부(130)와 체결부(11)는 그립 체결 방식으로 결합된다.
특히, 제2실시예의 그립홀더(131)는 서로 분리가능한 2개의 제1 및 2그립리브(131a, 131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2그립리브(131a, 131b)는 서로 대응되는 끝단에서 체결 수단을 통해 체결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후크 체결 수단을 통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2그립리브(131a, 131b)가 결합되면 그립홀더(131)는 폐루프 형상을 갖게 되며, 이와 같은 폐루프 형상의 그립홀더(131)에 대응하여 체결부(11)의 측면 전체를 따라 리브홈(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체결부(11)와의 체결을 위해, 체결부(11)는 제1 및 2그립리브(131a, 131b)의 분리된 개구를 통해 삽입되고, 그 후에 제1 및 2그립리브(131a, 131b)를 서로 결합하여 폐루프를 형성함으로써 그립홀더(131)가 리브홈(12)에 교합되어, 체결부(11)는 그립홀더(131)와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르면, 분리가능한 구조의 그립홀더(131)를 사용함으로써, 그립홀더(131)는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체결부(11)의 측면 전체를 따라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인트라오럴 센서(10)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실시예에서는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체결부(11)가 평면적으로 타원형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는데, 이는 일예로서 체결부(11)는 원형이나 다각형 등의 여러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트라오럴 센서(10)와 센서 인디케이터의 센서 결합부(130)를 도시하였으며, 도시되지 않은 구성에 대해서는 제1 및 2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체결부(11)는 센서 결합부(130)와 그립홀더(131)를 통해 그립 체결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더욱이 센서 결합부(130)는 체결부(11)와 스냅 캡 방식으로 체결되는 캡(136)을 구비할 있다.
이와 같은 캡(136)은 일끝단에서 그립홀더(131)의 대응되는 부분과 힌지 구조로 결합 고정되어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캡(136)의 타끝단은 대응되는 그립홀더(131) 부분과 후크 결합이 가능하도록 후크 체결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그립홀더(131)가 체결부(11)와 그립 체결 방식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부(11)의 상면을 덮도록 캡(136)을 회동시켜 그립홀더(131)에 결합하여 캡(136)을 체결부(11)와 스냅 캡 체결 방식으로 체결하게 된다.
이에 따라, 체결부(11)는 그립홀더(131) 및 캡(136)을 사용하여 센서 결합부(130)에 체결함으로써, 인트라오럴 센서(10)는 보다 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제1 내지 3실시예에서는, 그립 체결 구조 및/또는 스냅 캡 체결 구조의 물리적 탄성력을 이용하여, 이미지센서는 그 후방에서 센서 인디케이터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1 내지 3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의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 구성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일예로, 케이블 거치와 관련된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센서 결합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방사선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는 인트라오럴 센서(10)를 장착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으로, 링부(210), 연결부(220) 및 센서 결합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링부(21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탐지면과 외부의 엑스선 조사장치가 소정의 정렬 기준을 만족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소정 넓이의 통공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 기준은 예컨대,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탐지면과 상기 외부의 엑스선 조사장치가 일직선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정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링부(210)에는 후술할 연결부(220)가 장착될 수 있도록 결합홈 및 결합공을 포함하는 소정의 결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링부(210)와 후술할 센서 결합부(23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스틱 또는 다면 기둥 형상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일단이 상기 링부(210)로 연결되며 타단으로 후술할 센서 결합부(230)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연결부(220)는 후술할 센서 결합부(130)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링부(210)에 구비된 결합수단으로 몸체의 일부가 삽입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링부(210)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220)가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면 상기 링부(210)와 후술할 센서 결합부(230)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220)에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에서 투영 데이터가 전송되는 케이블을 고정 또는 밀착시키는 케이블 거치수단(221)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 거치수단(221)은 상기 연결부(220)에 상기 케이블을 고정시키거나 밀착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연결부(220) 외측에 상기 케이블을 고정 및 밀착시키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연결부(220) 내부에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거치수단(221)은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22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거치되는 빈 공간으로 구비되어, 데이터 및 전원 등을 전송하는 케이블이 상기 연결부(220)에 내장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구동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에서 외부로 투영 데이터가 전송되게 한다.
상기 센서 결합부(23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뒷면을 지지하여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하여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를 가로 방향, 세로 방향 또는 대각 방향으로 회전시켜 촬영대상의 치아에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센서 결합부(230)는 소정 형태의 결합공을 구비하여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뒷면에는 원 기둥 형상의 돌기인 체결부(11)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결합부(230)에 형성되는 결합공은 예컨대,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센서 결합부(2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가 회전할 수 있으므로, 엑스선 구강 촬영 시 촬영대상의 구강 구조 또는 촬영 부위에 따라 적절하게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센서 결합부(230)에 상기 체결부(11)와 같은 원 기둥 형상의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뒷면에 링 형태의 결합공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센서 결합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센서 인디케이터는 인트라오럴 센서(10)를 장착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으로, 링부(310), 연결부(320) 및 센서 결합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링부(31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탐지면과 외부의 엑스선 조사장치가 일직선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정렬하는 것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적어도 일 부분에는 후술할 연결부(320)가 장착되는 소정의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20)는 후술할 센서 결합부(330)와 연결되고 상기 링부(310)에 장착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후술할 센서 결합부(3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소정 길이의 스틱 또는 다면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320)의 내부에는 비어 있는 내부 공간인 케이블 거치수단(321)이 구비되어 있어, 데이터 및 전원 등을 전송할 수 있는 케이블이 상기 연결부(320)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전원 및 투영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링부(310) 및 연결부(320)는,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링부(210) 및 연결부(22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결합부(33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뒷면을 지지하여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를 쉽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하는 끼움 헤드(3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뒷면은 상기 끼움 헤드(331)가 체결되는 비어있는 내부 공간으로서, 그 단부가 내측으로 만입 형성된 체결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 헤드(331)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체결부(11)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센서 결합부(330)의 일 면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320)의 케이블과 연결된 접속 단자(332)가 더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에는 상기 접속 단자(332)와 접속되는 연결 단자(15)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속 단자(332)는 상기 끼움 헤드(331)의 말단면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와 상기 끼움 헤드(331)를 결합할 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연결 단자(15)와 상기 접속 단자(332)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게 한다.
즉, 상기 센서 결합부(330)에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를 끼우는 단순한 동작으로 센서의 체결 및 전기적인 연결이 모두 이루어지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탈부착이 원터치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의 향상 및 구강촬영의 준비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센서 결합부(330)의 끼움 헤드(331)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 또는 다각형인 다각형 기둥형상을 나타내고,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체결부는 이와 대응되는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인트라오럴 센서(10)는 끼움 헤드(331)에 대해 회전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목적에 따라 인트라오럴 센서(10)를 가로, 세로, 대각선 방향으로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고, 후자의 경우 사용자는 인트라오럴 센서(10)와 끼움 헤드(331)의 결합방향을 달리하여 인트라오럴 센서(10)를 가로, 세로, 대각선 방향으로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 헤드(331)의 상기 접속 단자(332)는 끼움 헤드(331)의 말단면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연결 단자는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존재하므로 인트라오럴 센서(10)의 방향조절에도 불구하고 접속단자(332)와 연결 단자는 상시적으로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와는 반대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뒷면에 끼움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결합부(330)에 상기 끼움 헤드가 체결되는 체결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센서 결합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센서 인디케이터는 인트라오럴 센서(10)를 장착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으로, 링부(410), 연결부(420) 및 센서 결합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링부(41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탐지면과 외부의 엑스선 조사장치가 일직선상에서 마주보도록 정렬하기 위한 것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 부분에는 후술할 연결부(420)가 장착되는 소정의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420)는 후술할 센서 결합부(430)에 연결되고 상기 링부(410)에 장착되는 것으로, 후술할 센서 결합부(4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소정 길이의 스틱 또는 다면 기둥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420)에는 데이터 및 전원 등을 전송하는 케이블을 고정 또는 밀착시키는 케이블 거치수단(421)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 거치수단(421)은 상기 연결부(420) 내부의 빈 공간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 거치수단(421)에 내장되는 케이블은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전원 및 투영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링부(410) 및 연결부(420)는,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 또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링부(210, 310) 및 연결부(220, 32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결합부(43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뒷면을 지지하여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와 상기 센서 결합부(430) 간의 결합구조는 예컨대,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볼 조인트 방식의 결합구조 또는 힌지결합 방식의 결합구조로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결합부(43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로 체결되는 구 형상의 결합 돌기(43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뒷면에는 상기 결합 돌기(431)가 체결되는 구 형상으로 비어 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 체결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 돌기(431)는 상기 센서 결합부(430)의 단부에 형성되며,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가 이탈되지 않게 하면서 소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는 상기 결합 돌기(431)를 기준으로 하여 전방향으로 각도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체결부(11)의 일부분을 분리가능한 구조로 구성하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탈부착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센서 결합부(430)에 장착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가 상기 결합 돌기(431)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이든 기울어질 수 있어, 구강촬영 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포지셔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와는 반대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뒷면에 결합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결합부(430)에 상기 결합 돌기가 체결되는 체결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센서 인디케이터는, 인트라오럴 센서(10)를 장착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으로, 링부(510), 연결부(520), 센서 결합부(530) 및 투영 데이터 전송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링부(51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탐지면과 외부의 엑스선 조사장치가 일직선상에서 마주보도록 정렬하기 위한 것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후술할 연결부(520)가 장착되는 소정의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링부(510)에는 후술할 투영 데이터 전송부(540)가 내장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20)는 후술할 센서 결합부(530)에 연결되고 상기 링부(510)에 장착되는 것으로, 후술할 센서 결합부(5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소정 길이의 스틱 또는 다면 기둥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520)의 내부에는 데이터 및 전원 등을 전송할 수 있는 케이블을 내장시킬 수 있는 케이블 거치수단(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센서 결합부(53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뒷면을 지지하여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가 평면 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거나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를 끼워서 결합 및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비되거나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가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520) 및 센서 결합부(530)는,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 내지 제 6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20, 320, 420) 및 센서 결합부(230, 330, 43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영 데이터 전송부(540)는 상기 연결부(520)의 케이블에 연결되는 것으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투영 데이터 전송부(54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에서 전송받은 투영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외부의 컴퓨팅 장치로 다시 전송하며, 바람직하게, 무선 신호에 상기 투영 데이터를 탑재하여 전송한다.
또한, 상기 투영 데이터 전송부(540)는 상기 링부(510)와 일체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링부(510)의 내부에 내장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영 데이터 전송부(540)는 예컨대 무선 통신 모듈로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투영 데이터 통신부(540)는 외부의 컴퓨팅 장치와 무선 통신을 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촬영대상의 주변 환경이 혼잡하지 않게 하고 각각의 구성품 간 결합요소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X선이 입사되는 전방면에 반대되는 후방면에 후방으로 돌출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인트라오럴 센서와;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의 체결부와 물리적 탄성력을 이용하여 체결되는 센서 결합부를 포함하는 센서 인디케이터
    를 포함하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와 상기 센서 결합부는 그립 체결 구조를 이용하여 체결되도록 구성된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결합부는 루프 형상의 그립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그 측면에 상기 그립홀더와 교합하는 그립홈을 포함하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홀더는 개루프 형상을 갖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홀더는 폐루프 형상을 갖고, 서로 분리가능한 제1 및 2그립리브로 구성된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결합부는 상기 체결부와 스냅 캡 체결 구조로 체결되는 캡을 포함하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일끝단에서 상기 그립홀더의 대응되는 부분과 힌지 구조로 고정되고, 타끝단에서 후크 체결 수단을 통해 상기 그립홀더의 대응되는 부분과 체결되도록 구성된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
  8. 제 1 내지 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인디케이터는, 상기 센서 결합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와 마주보는 링부를 포함하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케이블 거치수단을 포함하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에 내장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는 투영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
  11. X선이 입사되는 전방면에 반대되는 후방면에 후방으로 돌출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센서 인디케이터에 상기 체결부가 물리적 탄성력으로 체결되는 인트라오럴 센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는 그립홈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는 상기 센서 인디케이터에 상기 그립홈의 적어도 일부가 둘러 고정되는 인트라오럴 센서.
  13. 인트라오럴 센서의 후방면으로부터 돌출된 체결부를 물리적 탄성력으로 고정하는 센서 인디케이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인디케이터는 상기 체결부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두르는 개루프 또는 폐루프 형태의 그립홀더를 포함하는 센서 인디케이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홀더는 상기 체결부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된 그립홈에 적어도 일부가 교합되는 센서 인디케이터.
KR1020167033354A 2014-05-14 2015-05-14 인트라오럴 센서 및 센서 인디케이터와 이를 포함하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 KR101941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849 2014-05-14
KR1020140057849 2014-05-14
PCT/KR2015/004852 WO2015174760A1 (ko) 2014-05-14 2015-05-14 인트라오럴 센서 및 센서 인디케이터와 이를 포함하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655A Division KR20190014097A (ko) 2014-05-14 2015-05-14 인트라오럴 센서 및 센서 인디케이터와 이를 포함하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503A true KR20170002503A (ko) 2017-01-06
KR101941840B1 KR101941840B1 (ko) 2019-01-28

Family

ID=5448023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655A KR20190014097A (ko) 2014-05-14 2015-05-14 인트라오럴 센서 및 센서 인디케이터와 이를 포함하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
KR1020197033574A KR102093706B1 (ko) 2014-05-14 2015-05-14 인트라오럴 센서 및 센서 인디케이터와 이를 포함하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
KR1020167033354A KR101941840B1 (ko) 2014-05-14 2015-05-14 인트라오럴 센서 및 센서 인디케이터와 이를 포함하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655A KR20190014097A (ko) 2014-05-14 2015-05-14 인트라오럴 센서 및 센서 인디케이터와 이를 포함하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
KR1020197033574A KR102093706B1 (ko) 2014-05-14 2015-05-14 인트라오럴 센서 및 센서 인디케이터와 이를 포함하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079602A1 (ko)
KR (3) KR20190014097A (ko)
WO (1) WO201517476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850A (ko) * 2017-01-24 2018-08-01 주식회사 레이언스 인트라오럴 x선 센서의 센서홀더
KR20210011696A (ko) * 2019-07-23 2021-02-02 주식회사 나노레이 수평정렬기능을 갖는 핸드그립방식의 구강엑스레이시스템
WO2021230612A1 (ko) *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나노레이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9522B (en) * 2018-08-08 2022-03-31 Athlos Oy Holder for a wireless intraoral sensor
USD961773S1 (en) * 2020-09-01 2022-08-23 Dentsply Sirona Inc. Dental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3875B1 (en) * 1999-06-30 2002-02-05 Dentsply Research & Development Corp. Modular bite block and sensor holder apparatus for dental x-ray procedures
US6527442B2 (en) 2000-06-26 2003-03-04 Afp Imaging Corporation Integrated sensor holder for dental imaging
US6461038B2 (en) * 2000-12-18 2002-10-08 Richard R. Pellegrini Dental X-ray sensor holder
EP1576924B1 (de) * 2002-09-30 2007-08-22 KerrHawe SA Halter für digitale Sensoren für die Zahnmedizin
US20080298543A1 (en) * 2005-02-23 2008-12-04 Razzano Michael R Image capture device and methods
KR200396820Y1 (ko) 2005-07-04 2005-09-27 주식회사바텍 위생캡을 구비한 엑스-레이 구강 촬영용 정렬장치
WO2007061865A1 (en) * 2005-11-17 2007-05-31 Dentsply International Inc. Holder device for dental x-ray digital sensor
US7959355B2 (en) 2006-11-19 2011-06-14 George Stantchev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ing using digital dental X-ray sensor
FR2927525B1 (fr) * 2008-02-19 2011-04-15 Owandy Dispositif de radiographie dentaire et capteur de rayons x.
JP2010162326A (ja) * 2008-12-19 2010-07-29 Panasonic Corp 口腔内センサおよび口腔内センサ用のハンドル
WO2010138684A1 (en) * 2009-05-27 2010-12-02 Hura, Douglas, H. Universal dental x-ray sensor holder with elastomeric clamping vise
WO2011141763A1 (en) 2010-05-12 2011-11-17 Trophy Alignment apparatus for dental intraoral radiograph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850A (ko) * 2017-01-24 2018-08-01 주식회사 레이언스 인트라오럴 x선 센서의 센서홀더
KR20210011696A (ko) * 2019-07-23 2021-02-02 주식회사 나노레이 수평정렬기능을 갖는 핸드그립방식의 구강엑스레이시스템
WO2021230612A1 (ko) *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나노레이 정렬기능을 갖는 구강엑스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706B1 (ko) 2020-03-26
US20170079602A1 (en) 2017-03-23
KR20190014097A (ko) 2019-02-11
KR101941840B1 (ko) 2019-01-28
WO2015174760A1 (ko) 2015-11-19
KR20190132541A (ko)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840B1 (ko) 인트라오럴 센서 및 센서 인디케이터와 이를 포함하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
US9314215B2 (en) Dental positioning system
KR20150128724A (ko) 이미징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77298A (ko) 구강 내 x선 감지 장치
US20190117178A1 (en) Video and Accessory Apparatus for a Videofluoroscopy Unit
US20160038105A1 (en) Imaging system and method
KR102207380B1 (ko) 엑스선 발생장치
KR20150130796A (ko)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 및 이를 구비한 인디케이터
KR20160113646A (ko) 가변형 암을 포함하는 x-선 촬영장치
JP2017192412A (ja) 歯科用口腔内x線撮影装置の撮影部、歯科用口腔内x線撮影装置
KR102503032B1 (ko)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구강촬영 센서용 홀더
KR20100055975A (ko) 치과용 엑스선 ct 촬영장치
TWI516249B (zh) 牙科用口腔內x射線照相裝置及系統
KR20150130941A (ko)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
KR102453213B1 (ko) 정렬기능을 갖는 핸드그립방식의 구강엑스레이 장치
KR101023937B1 (ko) 스코프 탈착식 의료용 영상 진단장치 및 그 스코프 탈착식 의료용 영상 진단장치를 이용한 영상 진단방법
JP5896837B2 (ja) 歯科用口腔内x線撮影装置
US11191497B2 (en) Digital dental x-ray sensor device having a rounded housing including a radio transceiver
KR101098860B1 (ko) 구강 내 방사선 촬영을 위한 각도 지시 필름 홀더 및 그 필름 홀더를 위한 일회용 부속품
WO2012105159A1 (ja) 歯科用口腔内撮影システム
US20240090860A1 (en) Digital dental x-ray sensor device having a rounded housing
JP5881249B2 (ja) 歯科用口腔内x線撮影装置
KR20120027012A (ko) 구강내 촬영 보조구
JP2012157421A (ja) 歯科用口腔内撮影システム
JP2012141535A (ja) カセッテホルダー及びカセッテ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