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012A - 구강내 촬영 보조구 - Google Patents

구강내 촬영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012A
KR20120027012A KR1020117028774A KR20117028774A KR20120027012A KR 20120027012 A KR20120027012 A KR 20120027012A KR 1020117028774 A KR1020117028774 A KR 1020117028774A KR 20117028774 A KR20117028774 A KR 20117028774A KR 20120027012 A KR20120027012 A KR 20120027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rm
display
water
suppor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8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닉스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닉스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닉스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27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0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61B6/512Intraor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3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구강내 촬영 보조구(1)는 지지 아암(10) 및 수상부를 구비한다. 지지 아암(10)은 구강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삽입부로부터 연신되어 구강 외로 돌출되는 연신부를 가진다. 수상부는 삽입부에 있어서 연신부가 접속되지 않는 단부에 설치된다. 지지 아암(10)은 촬영 대상 치아에 간섭하는 부재를 갖지 않는다.

Description

구강내 촬영 보조구{INTRAORAL IMAGING AID}
본 발명은 촬영으로 얻어진 화상을 표시 가능한 구강내 촬영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X선 장치를 사용한 치아의 촬영에서 사용되는 치과용 X선 촬영구를 제안한다. 치과용 X선 촬영구는 평판 형상의 보정 기판과, X선 필름이 장착되는 수광체 장착부와, X선의 조사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링크부를 구비한다. 치아를 촬영할 때, 피험자가 보정 기판을 치아로 물고, 이것에 의해, 촬영 대상 치아에 대해 X선 필름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촬영자는 촬영 대상 치아에 대해 X선을 조사한다. 그리고, 현상 처리한 X선 필름을 촬영자가 참조한다. X선 수용체에 X선 촬상 소자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치과용 X선 촬영구의 외부에 설치한 퍼스널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에, X선 촬상 소자가 출력한 화상을 표시한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74162호
그러나, 어린이 등 교합을 잘 할 수 없는 피험자는 치과용 X선 촬영구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치과용 X선 촬영구가 촬영 대상 치아에 대해 움직여 버려 촬영 대상 치아를 확실하게 촬영할 수 없는 우려가 생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촬영 대상 치아를 확실하게 촬영할 수 있는 구강내 촬영 보조구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한 구강내 촬영 보조구는 구강 내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삽입부로부터 연신되어 구강 외로 돌출되는 연신부를 갖는 지지 아암과, 삽입부에 있어서 연신부가 접속되지 않는 단부에 설치되는 수상부를 구비하고, 촬영 대상 치아에 간섭하는 부재를 지지 아암이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촬영자가 지지 아암을 유지함으로써 구강내 촬영 보조구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어린이 등 교합을 잘 할 수 없는 피험자에 대해서도, X선 촬영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삽입단은 수상부를 회전운동 자유 자재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상부는 피사체상이 형성되는 수상면을 가지며, 구강 촬영 보조구는 수상면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향하여 수상부로부터 연신되는 지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지시부는 수상면으로 입사되는 피사체상의 선로 밖에 위치하도록 수상부로부터 연신되는 각도 지시 아암과, 각도 지시 아암에 있어서 수상부에 접속되지 않는 단부로부터 연신되는 위치 지시 아암을 가지며, 위치 지시 아암의 선단을 수상면에 대해 직각으로 투영했을 때, 위치 지시 아암의 선단이 수상면 위의 특정 위치에 투영되도록, 위치 지시 아암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상체 장착부(20)는 촬영시에 피험자의 구강 내에 놓여지기 때문에, 수상체 장착부(20)의 정확한 위치를 촬영자가 아는 것은 곤란하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촬영자가 지시부(61)를 봄으로써 수상체 장착부(2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각도 지시 아암의 일부 및 위치 지시 아암은 구강 외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상부가 출력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표시부는 지지 아암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촬영자는 표시부(40)에 표시된 화상을 보고 촬영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퍼스널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에 화상을 표시한 경우, 이러한 화상을 보기 위해서는, 피험자의 치아로부터 디스플레이로 촬영자의 관찰 방향을 바꿀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치아에 의한 보정 기판(10)의 교합 위치나 X선 장치(50)의 위치 등을 조정하면서 복수회에 걸쳐 촬영을 실시하기 때문에, 관찰 방향을 빈번하게 바꾸는 것은 촬영자에게 있어서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촬영자는 관찰 방향을 바꾸지 않고 피험자의 치아가 있는 영역과 화상이 표시된 영역을 동시에 볼 수 있기 때문에, 촬영 결과를 신속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표시부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면을 구비하고, 표시면이 방사선원 방향 또는 수상부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지지 아암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의 표시면을 회전시킴으로써, 표시면을 촬영자가 위치한 X선 장치측으로 향하게 하거나, 피험자측으로 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자도 피험자도 용이하게 화상을 관찰할 수 있다. 보정 기판을 교합한 상태에서 몇번이나 촬영을 실시하는 경우, 피험자는 얼굴을 크게 움직일 수 없지만, 본원 발명에 의하면, 피험자는 얼굴을 크게 움직이지 않고 촬영 결과의 화상을 볼 수 있다.
삽입 아암 및 지지 아암의 내부에 설치되고, 수상부에 접속되는 제 1 케이블과, 삽입 아암 및 지지 아암의 내부에 설치되고, 표시부에 접속되는 제 2 케이블을 추가로 구비하고, 수상부가 출력한 화상은 구강내 촬영 보조구의 외부에 설치된 화상 처리부로 제 1 케이블을 통해 출력되고, 제 2 케이블은 화상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화상을 표시부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보정 기판의 내부에 설치된 제 1, 제 2 케이블을 통해 통신을 실시하기 때문에, 케이블이 피험자의 구강 내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신부의 돌출단에 설치되는 그립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영자가 그립부를 유지함으로써, 구강내 촬영 보조구를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 대상 치아를 확실하게 촬영할 수 있는 구강내 촬영 보조구를 얻는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구강내 촬영 보조구의 사시도.
도 2는 수상체 장착부와 짧은 아암부의 접속 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구강내 촬영 보조구 및 X선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구강내 촬영 보조구의 사시도.
도 5는 구강내 촬영 보조구 및 X선 장치의 측면도.
이하, 제 1 실시 형태에서의 제 1 구강내 촬영 보조구의 구성에 관해서,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 1 구강내 촬영 보조구(1)는 지지 아암(10), 그립부(15), 수상체 장착부(20), X선 수상체(25), 및 표시부(40)를 구비한다. 수상체 장착부(20) 및 X선 수상체(25)가 수상부를 구성한다.
지지 아암(10)은 각주 형상의 긴 아암부(10a) 및 짧은 아암부(10b)로 이루어지는 L자 형상이다. 긴 아암부(10a)의 일부 및 짧은 아암부(10b)가 삽입부를 구성하고, 삽입부를 구성하지 않는 긴 아암부(10a)의 일부가 연신부를 구성한다. 긴 아암부(10a) 및 짧은 아암부(10b)의 길이, 그리고 긴 아암부(10a)와 짧은 아암부(10b)가 이루는 각도는 촬영하는 치아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긴 아암부(10a)의 길이는 짧은 아암부(10b)보다 길고, 긴 아암부(10a)는 짧은 아암부(10b)와 직각으로 접속된다.
짧은 아암부(10b)의 일단에 수상체 장착부(20)가 회전운동 자유 자재로 접속된다. 수상체 장착부(20)와 짧은 아암부(10b)의 접속 수단에 관해서 후술한다. 짧은 아암부(10b)의 타단에 긴 아암부(10a)의 일단이 접속된다. 긴 아암부(10a)의 타단에 그립부(15)가 설치된다.
그립부(15)는 직육면체로서, 긴 아암부(10a)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인 단면에 있어서 긴 아암부(10a)보다도 큰 단면적을 가진다.
수상체 장착부(20)는 직사각형의 판상 부재로서, 지지 아암(10)에 회전 자유 자재로 설치된다. 도시되지 않는 가압 스프링에 의해, 수상체 장착부(20) 위에 X선 수상체(25)가 설치된다.
X선 수상체(25)는 X선 촬상 소자로서, 화상 신호를 출력한다. 지지 아암(10)의 내부에 설치된 제 1 케이블(11)이 외부에 설치된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 처리부와 X선 수상체(25)를 접속한다. 퍼스널 컴퓨터는 제 1 케이블(11)을 통해 X선 수상체(25)로 전력을 공급한다. X선 수상체(25)는 제 1 케이블(11)을 통해 화상 처리부로 화상 신호를 송신한다.
표시부(40)는 직사각형의 평판으로서, 그 한쪽 면이 표시면(41)을 이룬다. 또한, 표시부(40)는 지지 아암(10)에 수직인 축(AX) 주위로 회전 가능해지도록, 지지 아암(10)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돌출된다. 지지 아암(10)의 내부에 설치된 제 2 케이블(12)이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 처리부와 표시부(40)를 접속한다. 퍼스널 컴퓨터는 제 2 케이블(12)을 통해 표시부(40)로 전력 및 화상 신호를 송신한다. 화상 신호에 기초한 화상이 표시면(41)에 표시된다.
다음에, 도 2를 사용하여 수상체 장착부(20)와 짧은 아암부(10b)의 접속 수단에 관해서 설명한다.
수상체 장착부(20)와 짧은 아암부(10b)는 유니버셜 조인트(13, 자유 이음매)에 의해 회전운동 자유 자재로 접속된다. 유니버셜 조인트(13)는 볼부(14)와 받이부(21)로 이루어진다. 볼부(14)는 구형으로서, 짧은 아암부(10b)로부터 연신되는 막대의 선단에 설치된다. 받이부(21)는 수상체 장착부(20)에 있어서 X선 수상체(25)가 설치되는 면의 뒷면에 설치된다. 받이부(21)는 볼부의 볼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직경을 갖는 구형의 함몰부를 가진다. 볼부(14)는 받이부(21)의 함몰부 안에 수납되고, 함몰부의 내주와 마찰 계합한다. 볼부(14)와 받이부(21)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은 촬영자가 손가락 힘으로 수상체 장착부(20)를 움직일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지만, 다소의 외력이 작용해도 수상체 장착부(20)가 움직이지 않을 정도의 크기이다. 이것에 의해, 수상체 장착부(20)가 짧은 아암부(10b)에 대해 회전운동 자유 자재로 지지된다. 촬영자는 수상체 장착부(20)를 움직여 짧은 아암부(10b)에 대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을 사용하여 제 1 구강내 촬영 보조구(1)를 사용하여 치아(T)를 촬영하는 수단에 관해서 설명한다.
촬영 대상 치아(T)가 좌측 어금니일 때, 피험자는 긴 아암부(10a)와 짧은 아암부(10b)의 접속부에서의 열각(minor angle)측에 피험자의 구각(corners of the mouth)이 들어가도록 제 1 구강내 촬영 보조구(1)를 입에 문다.
그리고, 지지 아암(10)의 일부 및 수상체 장착부(20)가 피험자의 구강 내로 삽입되고, 촬영 대상 치아(T)의 치축과 지지 아암(10)이 수직이 되도록, 촬영자 또는 피험자가 그립부(15)를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촬영 대상 치아(T)의 뒷면에 X선 수광체(25)가 놓여진다. 이 때, 촬영 대상 치아(T)에 간섭하는 부재를 제 1 구강내 촬영 보조구(1)는 갖지 않는다.
촬영자 또는 피험자는 X선의 조사 방향, 치아(T)의 위치, 및 X선 수광체(25)의 위치 관계가 이등분면 촬영법에 적합한 것이 되도록 X선 장치(50)를 유지한다. 이 때, 이등분면 촬영법에 적합한 각도가 되도록 지지 아암(10)에 대한 수상체 장착부(20)의 각도가 변경된다. 그리고, 촬영자는 X선을 조사하여 촬영을 실시한다.
X선 수광체(25)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는 제 1 케이블(11)을 통해, 퍼스널 컴퓨터로 송신되고,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 처리부에서 화상 처리가 실시된다. 화상 처리 후의 영상 신호는 제 2 케이블(12)을 통해 표시부(40)로 송신되고, 이러한 영상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이 표시부(40)에 표시된다.
표시부(40)는 피험자가 제 1 구강내 촬영 보조구(1)를 입에 물었을 때, 지지 아암(10)에 있어서 피험자의 구강 내로 삽입되지 않는 부분에 설치된다. 촬영시에, 표시부(40)의 표시면(41)은 X선 장치(50)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촬영자는 피험자의 촬영 대상 치아(T)가 있는 영역을 보면서 표시부(40)에 표시되는 화상을 관찰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40)를 회전시켜 표시부(40)의 표시면(41)을 피험자와 대향하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피험자는 표시부(40)에 표시되는 화상을 관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촬영자는 표시부(40)에 표시된 화상을 보고 촬영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퍼스널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에 화상을 표시한 경우, 이러한 화상을 보기 위해서는 피험자의 치아로부터 디스플레이로 촬영자의 관찰 방향을 바꿀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X선 수광체(25)나 X선 장치(50)의 위치 등을 조정하면서 복수회에 걸쳐 촬영을 실시하기 때문에, 시선의 방향을 빈번하게 바꾸는 것은 촬영자에게 있어서 대단히 번거로운 작업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촬영자는 시선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피험자의 치아가 있는 영역과 화상이 표시된 영역을 동시에 볼 수 있기 때문에, 촬영 결과를 신속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X선 수광체(25)와 퍼스널 컴퓨터의 전기적인 접속, 및 표시부(40)와 퍼스널 컴퓨터의 전기적인 접속은 지지 아암(10)의 내부에 설치된 제 1, 제 2 케이블(11, 12)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케이블이 피험자의 구강 내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에 의해 표시부(40)의 표시면(41)을 촬영자가 위치한 방향으로 향하게 하거나, 피험자측으로 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자도 피험자도 촬영에 의해 얻어진 화상을 용이하게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촬영 결과를 보면서, 지지 아암(10)을 교합한 상태에서 몇번이나 촬영을 실시하는 경우, 피험자는 얼굴을 크게 움직일 수 없지만,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피험자가 얼굴을 크게 움직이지 않고, 촬영 결과의 화상을 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치아의 교합에 의해 유지되는 종래의 치과용 X선 촬영구와는 달리, 촬영자가 그립부(15)를 유지함으로써 구강내 촬영 보조구(1)가 유지되기 때문에, 어린이 등 교합을 잘 할 수 없는 피험자에 대해서도, 구강내 촬영 보조구(1)를 확실하게 유지하여, X선의 조사 방향, 치아(T)의 위치, 및 X선 수광체(25)의 위치 관계를 이등분면 촬영법에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 및 도 5를 사용하여 제 2 실시 형태에 의한 제 2 구강내 촬영 보조구(60)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2 구강내 촬영 보조구(60)는 지시부(61)를 추가로 구비한다. 지시부(61)는 수상체 장착부(20)로부터 수상면(26)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연신하고, 촬영자에게 수상면(26)의 중앙을 지시한다.
지시부(61)는 수상체 장착부(2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각도 지시 아암(62)과, 각도 지시 아암(62)의 단부로부터 연신되는 위치 지시 아암(63)을 가진다.
각도 지시 아암(62)은 2개의 각주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며, 수상체 장착부(20)의 측면 중앙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된 후에 직각으로 굴곡되고, 수상면(26)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연신된다. 수상면(26)에 대해 직각 방향은 X선이 입사되는 방향이다.
위치 지시 아암(63)은 각주(角柱)로서, 각도 지시 아암(62)의 연신 단부로부터 직각으로 연신된다. 위치 지시 아암(63)의 선단을 수상면(26)에 대해 직각으로 투영했을 때, 위치 지시 아암(63)의 선단이 상기 수상면(26) 위의 중심에 투영된다. 즉, 위치 지시 아암(63)의 선단은 X선 장치(50)로부터 조사되는 X선의 선로 위에 위치한다. 각도 지시 아암(62)의 길이는 수상체 장착부(20)가 구강 내로 삽입되었을 때, 위치 지시 아암(63)이 구강 내로 삽입되지 않을 정도이다. 지시 아암(61)은 수상체 장착부(2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상체 장착부(20)의 회전운동과 함께 지지 아암(10)에 대해 회전운동한다.
지시부(61)는 X선을 투과하는 부재로 구성된다. 이 때문에, X선 수상체(25)에 촬상되지 않는다.
다음에, 도 5를 사용하여 제 2 구강내 촬영 보조구(60)를 사용하여 치아(T)를 촬영하는 수단에 관해서 설명한다.
피험자가 제 2 구강내 촬영 보조구(60)를 입에 물면, 각도 지시 아암(62)의 일부 및 위치 지시 아암(63)이 구강의 외부에 위치한다. 촬영자 또는 피험자는 X선의 조사 방향, 치아(T)의 위치, 및 X선 수광체(25)의 위치 관계가 이등분면 촬영법에 적합한 것이 되도록 X선 장치(50)를 유지한다. 이 때, X선의 조사축(Y)이 각도 지시축(62)과 평행하고, 또한 위치 지시 아암(63)의 선단을 통과하도록, X선 장치(50)를 유지한다. 그리고, 촬영자는 X선을 조사하여 촬영을 실시한다.
이것에 의해 촬영자는 피험자의 촬영 대상 치아(T)가 있는 영역을 보면서 표시부(40)에 표시되는 화상을 관찰할 수 있다.
수상체 장착부(20)는 회전 가능한데다가 촬영시에는 피험자의 구강 내에 놓여지기 때문에, 수상체 장착부(20)의 정확한 위치를 촬영자가 아는 것은 곤란하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촬영자가 지시부(61)를 봄으로써, 수상체 장착부(2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어느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지지 아암(10)이나 그립부(15)의 형상이, 예를 들면 원기둥 형상 등, 수상체 장착부(20)를 지지 가능한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제 1, 제 2 케이블(11, 12)은 지지 아암(10)의 외부에 설치되는 형태라도 좋다.
또한, 수상체 장착부(20)의 내부를 통해 제 1 케이블(11)이 지지 아암(10)의 내부로 유도되어도 좋다. 구강 내와 케이블의 접촉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수상체 장착부(20)와 일체가 되도록 X선 수상체(25)가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X선 수상체(25), 및 표시부(40)로의 전력 공급은 제 1, 제 2 케이블(11, 12)을 통해, 퍼스널 컴퓨터로 실시되는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다른 전원에 의한 전력 공급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지지 아암(10) 위에 설치된 전지에 의해 전력 공급되는 형태가 고려된다. 이 경우, X선 수상체(25)로부터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 신호의 송신,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X선 수상체(25)로의 제어 신호의 송신,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표시부(40)로의 제어 신호나 영상 신호의 송신은 제 1, 제 2 케이블(11, 12)을 통하지 않고,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 처리부가 X선 수상체에서 얻어진 화상 신호로 화상 처리를 실시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지지 아암(10)에 DSP 등의 화상 처리부를 설치하고, 구강내 촬영 보조구(1) 내에서, 촬영과 화상 처리와 표시를 완결시키는 형태라도 좋다.
또한, 촬영 대상 치아(T) 등에 의한 지지 아암(10)의 교합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대상 치아(T) 등이 지지 아암(10)에 직접 접촉한 상태에서 실시되는 형태라도 좋다. 높이 조절 등을 위한 부재를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실시되어도 좋다.
여기에 부수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 형태가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발명의 범위와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변형이 각 부분의 구조와 관계로 실시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1 구강내 촬영 보조구
10 지지 아암
10a 긴 아암부
10b 짧은 아암부
13 유니버셜 조인트
15 그립부
20 수상체 장착부
25 X선 수상체
40 표시부
41 표시면

Claims (8)

  1. 구강 내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연신되어 구강 외로 돌출되는 연신부를 갖는 지지 아암과,
    상기 삽입부에 있어서 상기 연신부가 접속되지 않는 단부에 설치되는 수상부를 구비하고,
    촬영 대상 치아에 간섭하는 부재를 상기 지지 아암이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촬영 보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단은 상기 수상부를 회전운동 자유 자재로 유지하는 구강 촬영 보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피사체상이 형성되는 수상면을 가지며,
    상기 구강 촬영 보조구는 상기 수상면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향하여 상기 수상부로부터 연신되는 지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지시부는 상기 수상면에 입사되는 피사체상의 선로 밖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상부로부터 연신되는 각도 지시 아암과, 상기 각도 지시 아암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에 접속되지 않는 단부로부터 연신되는 위치 지시 아암을 가지며,
    상기 위치 지시 아암의 선단을 상기 수상면에 대해 직각으로 투영했을 때, 상기 위치 지시 아암의 선단이 상기 수상면 위의 특정 위치에 투영되도록, 상기 위치 지시 아암이 설치되는 구강 촬영 보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지시 아암의 일부 및 상기 위치 지시 아암은 구강 외로 돌출되는 구강 촬영 보조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가 출력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지지 아암에 설치되는 구강 촬영 보조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면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면이 방사선원 방향 또는 상기 수상부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아암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강내 촬영 보조구.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아암 및 상기 지지 아암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상부에 접속되는 제 1 케이블과,
    상기 삽입 아암 및 상기 지지 아암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부에 접속되는 제 2 케이블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수상부가 출력한 화상은 상기 구강내 촬영 보조구의 외부에 설치된 화상 처리부에 상기 제 1 케이블을 통해 출력되고,
    상기 제 2 케이블은 상기 화상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화상을 상기 표시부로 송신하는 구강내 촬영 보조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부의 돌출단에 설치되는 그립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구강 촬영 보조구.
KR1020117028774A 2009-06-03 2010-05-21 구강내 촬영 보조구 KR201200270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34245 2009-06-03
JP2009134245 2009-06-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012A true KR20120027012A (ko) 2012-03-20

Family

ID=43297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8774A KR20120027012A (ko) 2009-06-03 2010-05-21 구강내 촬영 보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484462B2 (ko)
KR (1) KR20120027012A (ko)
CN (1) CN102438528A (ko)
TW (1) TW201103488A (ko)
WO (1) WO20101404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5159A1 (ja) * 2011-01-31 2012-08-09 株式会社ニックス 歯科用口腔内撮影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39263A5 (de) * 1979-03-09 1983-11-15 Identoflex Ag Vorrichtung zur halterung roentgenstrahlenempfindlicher filme bei odontologischen roentgenaufnahmen.
CN2255238Y (zh) * 1996-04-12 1997-06-04 北京精良齿科技工有限公司 X光牙片夹持器
JP3615733B2 (ja) * 2001-12-28 2005-02-02 康行 清水 口内法x線撮影用補助具
CN1739443A (zh) * 2004-08-27 2006-03-01 上海雷硕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口腔自助观察器
CN1795826A (zh) * 2004-12-27 2006-07-05 上海雷硕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牙齿影像自助记录器
JP5046284B2 (ja) * 2007-08-23 2012-10-10 株式会社吉田製作所 歯科用x線撮影素子保持具
JP2009050248A (ja) * 2007-08-23 2009-03-12 Ichiro Moriya 脱酸素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40492A1 (ja) 2010-12-09
CN102438528A (zh) 2012-05-02
JPWO2010140492A1 (ja) 2012-11-15
TW201103488A (en) 2011-02-01
JP5484462B2 (ja)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6164B2 (en) Dental scanner device
US20050220272A1 (en) Wireless digital dental x-ray sensor with positioning apparatus
US7695191B1 (en) X-ray imaging and positioner
TWI489975B (zh) Intraocular photography aids
JP2009089955A (ja) 内視鏡
KR20150130796A (ko)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 및 이를 구비한 인디케이터
KR200408741Y1 (ko) 구강내 엑스선 영상획득을 위한 디지털센서용 홀더
KR20120027012A (ko) 구강내 촬영 보조구
JP2017192412A (ja) 歯科用口腔内x線撮影装置の撮影部、歯科用口腔内x線撮影装置
KR102503032B1 (ko)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구강촬영 센서용 홀더
JP2016193163A (ja) 歯科用口腔内x線撮影装置、歯科用口腔内x線撮影システム
WO2010140491A1 (ja) 口腔内撮影補助具
JP5896837B2 (ja) 歯科用口腔内x線撮影装置
TWI516249B (zh) 牙科用口腔內x射線照相裝置及系統
WO2010122923A1 (ja) 口腔内x線撮影補助装具および口腔内x線撮影システム
WO2012105159A1 (ja) 歯科用口腔内撮影システム
US20230165547A1 (en) Hand-grip type oral x-ray device having alignment function
JP5881249B2 (ja) 歯科用口腔内x線撮影装置
CN210301039U (zh) 一种牙科摄影固定定位夹
WO2023026479A1 (ja) 内視鏡、支持装置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KR200347499Y1 (ko) 구강용 엑스레이 촬영및 투시장치의 진단지그
JP2013150741A (ja) 歯科用口腔内撮影システム
JP2011188880A (ja) 歯科用口腔内x線撮影装置
JP2015208582A (ja) 歯科用口腔内x線撮影装置
JP2012217745A (ja) 歯科用口腔内撮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