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941A -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 - Google Patents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941A
KR20150130941A KR1020150067033A KR20150067033A KR20150130941A KR 20150130941 A KR20150130941 A KR 20150130941A KR 1020150067033 A KR1020150067033 A KR 1020150067033A KR 20150067033 A KR20150067033 A KR 20150067033A KR 20150130941 A KR20150130941 A KR 20150130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intraloral
coupling
cabl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근
전진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바텍
Priority to KR1020150067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0941A/ko
Publication of KR20150130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B6/14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인트라오럴 센서의 뒷면에서 고정결합되어 센서 탐지면에서 간섭이 없고 엑스레이 영상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Sensor indicator for Intraoral photographing by x-ray}
본 발명은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인트라오럴 센서의 뒷면에서 고정결합되어 센서 탐지면에서 간섭이 없고 엑스레이 영상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등에서 환자의 구강촬영은 센서 인디케이터에 인트라오럴 센서를 고정하여 환자의 구강 내측에 삽입한 후 외부의 엑스레이 조사장치를 이용하여 엑스선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인트라오럴 센서는 외부의 엑스레이 조사장치에서 조사되어 촬영대상을 투과한 엑스선을 감지하여 촬영대상의 투영 데이터가 포함된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이며, 센서 인디케이터는 인트라오럴 센서를 촬영대상의 구강 내 목적된 부위로 위치시키고, 또한, 인트라오럴 센서와 엑스레이 조사장치가 일직선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정렬하는 보조 기구이다.
도 1은 종래의 센서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센서 인디케이터는 인트라오럴 센서(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부(21), 결합부(21)와 수직하게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연결부(22) 및 연결부(22)가 수직하게 장착되며 인트라오럴 센서(10)와 수직하게 대면하는 링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 인트라오럴 센서(10)와 케이블 등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되고 인트라오럴 센서(10)에서 투영 데이터를 전송받아 외부 컴퓨팅 장치로 전송하는 별도의 통신부(24)를 더 포함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센서 인디케이터에서는 인트라오럴 센서(10)가 고정되는 결합부(21)의 구조가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외곽을 고정하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앞면인 엑스선 탐지면을 가리는 구조를 가지므로, 가려진 탐지면에서의 간섭으로 인해 최종 결과물인 엑스레이 구강 영상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외곽을 고정하기 위해 부피가 커지고 촬영면적 이상의 면적을 차지하므로, 환자가 느끼는 구강 내 이물감이 증대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센서 인디케이터는 통신부(24)를 별도 장착하여 사용하여야 하고 인트라오럴 센서(10)에서 통신부(24)까지 연결되는 케이블이 외부에 노출된 구조를 가지므로, 환자의 주변 환경을 혼잡하게 하는 복잡한 결합 구조를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인트라오럴 센서의 탐지면을 가리지 않고 결합하는 구조를 제공하여 촬영대상의 이물감을 최소화하고 엑스레이 구강 영상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의 기술적 구성을 개발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트라오럴 센서의 탐지면에서 간섭이 없는 결합구조를 갖는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품 간의 결합 요소가 최소화된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트라오럴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결합부; 상기 센서 결합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케이블 거치수단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거치수단은 상기 연결부 내부의 빈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연결부에 내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의 뒷면 또는 상기 센서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는 원기둥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의 뒷면 또는 상기 센서 결합부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결합공 형태의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는 상기 센서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 뒷면 또는 상기 센서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는 내측으로 만입된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 뒷면 또는 상기 센서 결합부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체결부에 끼워지고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 또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다각형인 다각형 기둥 형상의 끼움헤드가 형성되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는 상기 센서 결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끼움헤드의 말단면 중앙에는 상기 케이블 또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케이블 또는 인트라오럴 센서 중 나머지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와 상기 센서 결합부의 결합 시 상기 접속단자와 연결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 뒷면 또는 상기 센서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는 구 형상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 뒷면 또는 상기 센서 결합부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는 상기 센서 결합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장착되어 상기 센서결합부와 일직선 상에 배열되는 링부; 및 상기 링부에 내장되고,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무선 정송하는 투영 데이터 전송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에 의하면, 센서 결합부가 인트라오럴 센서의 뒷면에서 고정 결합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가 평면 상에서 회전 가능하거나 수월하게 탈부착되거나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므로, 촬영대상의 이물감을 최소화하고 인트라오럴 센서 자체의 포지셔닝이 용이하며 인트라오럴 센서의 탐지면에서의 간섭이 없어 엑스레이 구강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인트라오럴 센서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연결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어서 촬영대상의 주변 환경이 혼잡하지 않게 하여 보다 쾌적한 촬영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에 의하면, 인트라오럴 센서의 투영 데이터를 무선 신호에 탑재하여 외부의 컴퓨팅 장치로 전송하는 투영 데이터 전송부가 링부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촬영대상의 주변에 거치되는 케이블 등의 구성품을 최소화하여 더 쾌적한 촬영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구성품 간 결합요소가 적어 위생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센서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센서 결합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센서 결합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센서 결합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는 인트라오럴 센서의 뒷면을 지지하여 고정결합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점과,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정의 케이블이 내장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점에서 주요한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는 외부의 엑스레이 조사장치에서 조사되어 촬영대상을 투과한 엑스선을 감지하여 촬영대상의 투영 데이터가 포함된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이며, 바람직하게는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 센서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제 1실시예 내지 제 4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센서 결합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는 인트라오럴 센서(10)를 장착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으로, 링부(110), 연결부(120) 및 센서 결합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링부(11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위치를 가이드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탐지면과 외부의 엑스레이 조사장치가 소정의 정렬 기준을 만족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소정 넓이의 통공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 기준은 예컨대,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탐지면과 상기 외부의 엑스레이 조사장치가 일직선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정렬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링부(110)에는 후술할 연결부(120)가 장착될 수 있도록 결합홈 및 결합공을 포함하는 소정의 결합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링부(110)와 후술할 센서 결합부(13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스틱 또는 다면 기둥 형상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일단이 상기 링부(110)로 연결되며 타단으로 후술할 센서 결합부(130)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연결부(120)는 후술할 센서 결합부(130)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링부(110)에 구비된 결합수단으로 몸체의 일부가 삽입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링부(110)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20)가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면 상기 링부(110)와 후술할 센서 결합부(130)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20)에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에서 투영 데이터가 전송되는 케이블을 고정 또는 밀착시키는 케이블 거치수단(121)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 거치수단(121)은 상기 연결부(120)에 상기 케이블을 고정시키거나 밀착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연결부(120) 외측에 상기 케이블을 고정 및 밀착시키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연결부(120) 내부에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거치수단(121)은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12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거치되는 빈 공간으로 구비되어, 데이터 및 전원 등을 전송하는 케이블이 상기 연결부(120)에 내장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구동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에서 외부로 투영 데이터가 전송되게 한다.
상기 센서 결합부(13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뒷면을 지지하여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하여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를 가로 방향, 세로 방향 또는 대각 방향으로 회전시켜 촬영대상의 치아에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센서 결합부(130)는 소정 형태의 결합공을 구비하여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뒷면에는 원 기둥 형상의 돌기인 체결부(11)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결합부(130)에 형성되는 결합공은 예컨대,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센서 결합부(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가 회전할 수 있으므로, 엑스레이 구강 촬영 시 촬영대상의 구강 구조 또는 촬영 부위에 따라 적절하게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센서 결합부(130)에 상기 체결부(11)와 같은 원 기둥 형상의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뒷면에 링 형태의 결합공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센서 결합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는 인트라오럴 센서(10)를 장착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으로, 링부(210), 연결부(220) 및 센서 결합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링부(21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탐지면과 외부의 엑스레이 조사장치가 일직선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정렬하는 것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적어도 일 부분에는 후술할 연결부(220)가 장착되는 소정의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20)는 후술할 센서 결합부(230)와 연결되고 상기 링부(210)에 장착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후술할 센서 결합부(2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소정 길이의 스틱 또는 다면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220)의 내부에는 비어 있는 내부 공간인 케이블 거치수단(221)이 구비되어 있어, 데이터 및 전원 등을 전송할 수 있는 케이블이 상기 연결부(220)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전원 및 투영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링부(210) 및 연결부(220)는,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링부(110) 및 연결부(12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결합부(23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뒷면을 지지하여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를 쉽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하는 끼움 헤드(2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뒷면은 상기 끼움 헤드(231)가 체결되는 비어있는 내부 공간으로서, 그 단부가 내측으로 만입 형성된 체결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 헤드(231)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체결부(11)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센서 결합부(230)의 일 면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220)의 케이블과 연결된 접속 단자(232)가 더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에는 상기 접속 단자(232)와 접속되는 연결 단자(12)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속 단자(232)는 상기 끼움 헤드(231)의 말단면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와 상기 끼움 헤드(231)를 결합할 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연결 단자(12)와 상기 접속 단자(232)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게 한다.
즉, 상기 센서 결합부(230)에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를 끼우는 단순한 동작으로 센서의 체결 및 전기적인 연결이 모두 이루어지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탈부착이 원터치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의 향상 및 구강촬영의 준비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센서 결합부(230)의 끼움 헤드(231)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 또는 다각형인 다각형 기둥형상을 나타내고,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체결부는 이와 대응되는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인트라오럴 센서(10)는 끼움 헤드(231)에 대해 회전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목적에 따라 인트라오럴 센서(10)를 가로, 세로, 대각선 방향으로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고, 후자의 경우 사용자는 인트라오럴 센서(10)와 끼움 헤드(231)의 결합방향을 달리하여 인트라오럴 센서(10)를 가로, 세로, 대각선 방향으로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 헤드(231)의 상기 접속 단자(232)는 끼움 헤드(231)의 말단면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연결 단자는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존재하므로 인트라오럴 센서(10)의 방향조절에도 불구하고 접속 단자(232)와 연결 단자는 상시적으로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와는 반대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뒷면에 끼움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결합부(230)에 상기 끼움 헤드가 체결되는 체결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센서 결합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는 인트라오럴 센서(10)를 장착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으로, 링부(310), 연결부(320) 및 센서 결합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링부(31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탐지면과 외부의 엑스레이 조사장치가 일직선상에서 마주보도록 정렬하기 위한 것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 부분에는 후술할 연결부(320)가 장착되는 소정의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320)는 후술할 센서 결합부(330)에 연결되고 상기 링부(310)에 장착되는 것으로, 후술할 센서 결합부(3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소정 길이의 스틱 또는 다면 기둥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320)에는 데이터 및 전원 등을 전송하는 케이블을 고정 또는 밀착시키는 케이블 거치수단(321)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 거치수단(321)은 상기 연결부(320) 내부의 빈 공간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 거치수단(321)에 내장되는 케이블은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전원 및 투영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링부(310) 및 연결부(320)는,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또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링부(110, 120) 및 연결부(120, 22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결합부(33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뒷면을 지지하여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와 상기 센서 결합부(330) 간의 결합구조는 예컨대,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볼 조인트 방식의 결합구조 또는 힌지결합 방식의 결합구조로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결합부(33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로 체결되는 구 형상의 결합 돌기(33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뒷면에는 상기 결합 돌기(331)가 체결되는 구 형상으로 비어 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 체결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 돌기(331)는 상기 센서 결합부(330)의 단부에 형성되며,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가 이탈되지 않게 하면서 소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는 상기 결합 돌기(331)를 기준으로 하여 전방향으로 각도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체결부(11)의 일부분을 분리가능한 구조로 구성하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탈부착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센서 결합부(330)에 장착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가 상기 결합 돌기(331)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이든 기울어질 수 있어, 구강촬영 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포지셔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와는 반대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뒷면에 결합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결합부(330)에 상기 결합 돌기가 체결되는 체결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는, 인트라오럴 센서(10)를 장착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으로, 링부(410), 연결부(420), 센서 결합부(430) 및 투영 데이터 전송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링부(41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탐지면과 외부의 엑스레이 조사장치가 일직선상에서 마주보도록 정렬하기 위한 것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후술할 연결부(420)가 장착되는 소정의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링부(410)에는 후술할 투영 데이터 전송부(440)가 내장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20)는 후술할 센서 결합부(430)에 연결되고 상기 링부(410)에 장착되는 것으로, 후술할 센서 결합부(4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소정 길이의 스틱 또는 다면 기둥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420)의 내부에는 데이터 및 전원 등을 전송할 수 있는 케이블을 내장시킬 수 있는 케이블 거치수단(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센서 결합부(43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뒷면을 지지하여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가 평면 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거나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를 끼워서 결합 및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비되거나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가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연결부(420) 및 센서 결합부(430)는,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내지 제 3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20, 220, 320) 및 센서 결합부(130, 230, 33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영 데이터 전송부(440)는 상기 연결부(420)의 케이블에 연결되는 것으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투영 데이터 전송부(44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에서 전송받은 투영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외부의 컴퓨팅 장치로 다시 전송하며, 바람직하게, 무선 신호에 상기 투영 데이터를 탑재하여 전송한다.
또한, 상기 투영 데이터 전송부(440)는 상기 링부(410)와 일체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링부(410)의 내부에 내장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영 데이터 전송부(440)는 예컨대 무선 통신 모듈로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투영 데이터 통신부(440)는 외부의 컴퓨팅 장치와 무선 통신을 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촬영대상의 주변 환경이 혼잡하지 않게 하고 각각의 구성품 간 결합요소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10, 210, 310, 410 : 링부
120, 220, 320, 420 : 연결부
121, 221, 321 : 케이블 거치수단
130, 230, 330, 430 : 센서 결합부
440 : 투영 데이터 전송부

Claims (7)

  1. 인트라오럴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결합부;
    상기 센서 결합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케이블 거치수단을 갖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거치수단은 상기 연결부 내부의 빈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연결부에 내장되는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의 뒷면 또는 상기 센서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는 원기둥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의 뒷면 또는 상기 센서 결합부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결합공 형태의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는 상기 센서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 뒷면 또는 상기 센서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는 내측으로 만입된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 뒷면 또는 상기 센서 결합부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체결부에 끼워지고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 또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다각형인 다각형 기둥 형상의 끼움헤드가 형성되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는 상기 센서 결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헤드의 말단면 중앙에는 상기 케이블 또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케이블 또는 인트라오럴 센서 중 나머지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와 상기 센서 결합부의 결합 시 상기 접속단자와 연결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 뒷면 또는 상기 센서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는 구 형상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 뒷면 또는 상기 센서 결합부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는 상기 센서 결합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장착되어 상기 센서결합부와 일직선 상에 배열되는 링부; 및
    상기 링부에 내장되고,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무선 정송하는 투영 데이터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
KR1020150067033A 2015-05-14 2015-05-14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 KR201501309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033A KR20150130941A (ko) 2015-05-14 2015-05-14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033A KR20150130941A (ko) 2015-05-14 2015-05-14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849 Division 2014-05-14 2014-05-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941A true KR20150130941A (ko) 2015-11-24

Family

ID=5484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033A KR20150130941A (ko) 2015-05-14 2015-05-14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09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75007A1 (en) Otoscope Providing Multi-Directional Illumination
KR101941840B1 (ko) 인트라오럴 센서 및 센서 인디케이터와 이를 포함하는 구강 내 방사선 촬영 시스템
US9314215B2 (en) Dental positioning system
US10165990B2 (en) Intraoral X-ray detector
US20060274890A1 (en) Image capture device and methods
KR20150130941A (ko)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센서 인디케이터
KR20150130796A (ko)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 및 이를 구비한 인디케이터
JP2017192412A (ja) 歯科用口腔内x線撮影装置の撮影部、歯科用口腔内x線撮影装置
US7551720B2 (en) Installation of a receiver as part of an x-ray tube housing
US20050058258A1 (en) X-ray apparatus for intraoral imaging applications
JP2015073537A (ja) 内視鏡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KR102503032B1 (ko)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구강촬영 센서용 홀더
KR20030086349A (ko) 치과용 비디오 이미징 시스템
JP5356602B2 (ja) 歯科用口腔内x線撮影装置
JP5896837B2 (ja) 歯科用口腔内x線撮影装置
JP5006125B2 (ja) 内視鏡及び内視鏡用光学アダプタ
KR102002721B1 (ko) 의료용 핸드피스
KR102241387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치과용 스탠다드엑스레이장치
WO2010140491A1 (ja) 口腔内撮影補助具
KR20120027012A (ko) 구강내 촬영 보조구
WO2012105159A1 (ja) 歯科用口腔内撮影システム
KR20120082704A (ko) 촬영이 편리한 휴대용 치과 엑스-레이 장비
KR20120080465A (ko) X-선 촬영 장치 및 x-선 영상 촬영 장치용 지지대
JP2014161523A (ja) 歯科用口腔内x線撮影装置
JP2013150741A (ja) 歯科用口腔内撮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