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035U -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 - Google Patents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035U
KR20170002035U KR2020170002653U KR20170002653U KR20170002035U KR 20170002035 U KR20170002035 U KR 20170002035U KR 2020170002653 U KR2020170002653 U KR 2020170002653U KR 20170002653 U KR20170002653 U KR 20170002653U KR 20170002035 U KR20170002035 U KR 201700020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biliary
percutaneous
drainage
percutaneous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6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8495Y1 (ko
Inventor
박홍석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ublication of KR201700020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0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4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4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1/002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4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multi-layered, e.g.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Side holes, e.g. their profiles or arrangements; Provisions to keep side holes unblock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03Gall; Bi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서, 경피적 담도배액술이나 신루배액술을 시행하기 위해 배액관을 담도나 신루에 삽입하기 이전에 삽입하는 내부의 카테터와 외부의 카테터로 이루어진 경피접속 카테터(PAC)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카테터는 담도나 신루에 삽입된 유도철선을 따라 한쪽의 담도나 신루에서 다른 쪽의 담도나 신루로 유연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상기 카테터의 직선부 한쪽의 끝단 부위를 구부려 굴곡부로 형성하고, 상기 굴곡부에 오염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측면공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한 것이며, 경피적 담도배액술이나 경피적 신루배액술을 시행할 때 담도나 신루의 굴곡이나 협착이 있을 경우에 사용하는 별도의 카테터를 사용하는 불편함이나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오염된 담즙과 같은 오염물질을 원활하게 배액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Percutaneous access catheter for insert of drainage tube}
본 고안은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경피적 담도배액술 등을 위해 담도 등에 삽입된 배액관 이전에 삽입되는 경피접속 카테터(PAC)의 직선부를 끝단을 굴곡지게 하여 굴곡부로 형성하고, 상기 굴곡부에 측면공을 형성함으로써, 굴곡이 심하거나 협착이 있는 담도에 원활하게 삽입되며 오염된 담즙과 같은 오염물질을 상기 측면공을 통해 수월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경피적 담도배액술(Percutaneous Transshepatic Biliary Drainage)이나 경피적 신루배액술(Percutaneous Nephrostomy)은 종양이나 결석 등의 원인으로 담도나 신루가 막혀 황달이나 신장기능 저하 및 감염이 생길 가능성이 높거나, 이미 신장기능 저하 및 감염이 생긴 경우 시행되는 시술로 일반적으로 많이 시술되는 가장 흔한 시술 중의 하나이다. 즉 상기한 시술을 시행하게 되는 환자의 대부분에서 감염을 동반하고 있거나 내부에 농양이 차있어, 시술의 각 단계에서 배액을 권장하고 있으나 실제 시술과정에서는 시행이 어려운데 이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경피적 담도배액술과 같은 시술은 미세천자침으로 담도나 신루를 천자한 후 그 안으로 0.018인치 철선을 넣고 경피접속 카테터(PAC : Percutaneous Access Catheter 또는 yellow sheath)를 상기 철선을 따라 삽입한다. 이후 상기의 0.018인치 철선을 제거하고 경피접속 카테터(PAC) 안으로 0.035인치 유도철선을 삽입하고 경피접속 카테터를 제거한 후, 상기 유도철선을 따라 적당한 크기의 배액관을 삽입하여 담도나 신루 내의 이물질의 배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시술 중 담도나 신루의 해부학적 구조가 종양이나 염증에 의해서 굴곡이 심하거나 혹은 종양에 의해서 막혀서 양쪽 담도나 신루가 한번에 배액되지 못할 경우 반대편 담도나 신루로 유도철선과 배액관을 설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특히 종래 경피접속 카테터(PAC)는 직선형태로 되어 있어 담도 등이 굴곡이 심하거나 협착이 있을 경우 시술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이렇게 담도 등에 굴곡이나 협착이 있는 경우, 원하는 부위로 배액관을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종래 경피접속 카테터(PAC)를 제거하고 다양한 모양으로 된 별도의 추가적인 5Fr 카테터를 삽입하여 굴곡이나 협착된 부분에 대응하도록 하고 있으나, 별도의 추가적인 카테터의 삽입으로 인해 시간적으로나 비용적으로 부담이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경피접속 카테터(PAC)를 삽입하여 사용할 때에는 혈관 내로 주입하기 위한 조영제를 함께 주입하는데, 상기 카테터(PAC)에는 말단에만 배액공이 있어 시술 도중 배액시 카테터의 말단이 담도나 신루에 닿아 효과적인 배액이 어렵기 때문에, 상기 조영제의 주입으로 인해 담도의 압력이 높아져 제대로 배액이 되지 못하는 오염된 담즙과 같은 오염물질이 혈관 내로 유입하여 혈액이 세균에 감염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1987-0008593호 미국 등록특허 US 8,206,427 한국 등록특허 제10-1272847호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경피접속 카테터(PAC)를 굴곡진 담도나 신루에 삽입할 때 유연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상기 카테터(PAC)의 직선부 끝단을 구부려 굴곡부를 형성하고, 담도나 신루 주변의 오염된 담즙과 같은 것을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해 상기 카테터(PAC)의 굴곡부 안쪽 측면에 측면공을 형성한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는, 경피적 담도배액술이나 신루배액술을 시행하기 위해 배액관을 담도나 신루에 삽입하기 이전에 삽입하는 내부의 카테터와 외부의 카테터로 이루어진 경피접속 카테터(PAC)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카테터는 담도나 신루에 삽입된 유도철선을 따라 한쪽의 담도나 신루에서 다른 쪽의 담도나 신루로 유연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상기 카테터의 직선부 한쪽의 끝단 부위를 구부려 굴곡부로 형성하고, 상기 굴곡부에 오염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측면공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측면공은 카테터의 끝단 부위에 굴곡부를 형성한 이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측면공은 카테터 끝단의 굴곡부 안쪽 부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카테터의 직선부와 굴곡부 사이의 각도(θ)는 0∼120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카테터의 직선부와 굴곡부 사이의 각도(θ)는 45∼90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상기 카테터의 재질은 폴리아미드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카테터의 굴곡부 전의 직선부에는 튜브형상으로 브레이딩 와이어(braiding wire)가 포함되며, 상기 브레이딩 와이어(braiding wire)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오염물질은 오염된 담즙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에 의하면, 경피적 담도배액술이나 경피적 신루배액술을 시행할 때 담도나 신루의 굴곡이나 협착이 있을 경우에 사용하는 별도의 카테터를 사용하는 불편함이나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경피접속 카테터(PAC)의 굴곡부에 측면공이 형성되어 있어, 담도 주변의 오염된 담즙과 같은 오염물질을 지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조영제의 주입으로 인한 혈관 내 이물질의 인입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상기 조영제의 주입으로 인한 내부압력 증가에 기인한 폐혈증의 발생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카테터의 직선부에 브레이딩 와이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담도나 신루에 삽입되는 카테터가 구부러지지 않고 힘을 받으면서 잘 삽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의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X-선 사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PAC : Percutaneous Access Catheter)는 말 그대로 담도나 신루로 배액관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담도나 신루에 배액관 이전에 삽입되는 카테터로써, 2개의 도관이 동축성(coaxial)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내부의 19 게이지 메탈릭 카테터(guage metallic catheter)와 외부에 4Fr 혹은 5Fr의 폴리머로 만들어진 카테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피접속 카테터에서 내부의 카테터는 0.018인치의 유도철선의 통과가 가능하고 외부의 카테터는 0.035인치의 유도철선의 통과가 가능하다. 상기 경피접속 카테터에서 본 고안에 따른 카테터(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카테터(1)의 직선부(1a) 한쪽의 끝단을 곡선으로 구부려 굴곡부(1b)로 만들고, 이렇게 굴곡부(1b)가 형성된 카테터(1)를 통해 담도나 신루 또는 신배 등에서 좁아진 부분을 통과시키거나 굴곡이 심한 구조를 타고 넘어서 지나가기에 용이하게 만든 것이다.
즉 배경이 되는 기술의 설명에서도 언급하고 있는 바와 같이, 신체 내부에서 담도나 신루는 굴곡이 심하거나 협착이 있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굴곡이 심하거나 협착이 있는 한쪽의 담도나 신루에서 다른 쪽의 담도나 신루로 배액관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이를 안내하는 경피접속 카테터(1)가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유연하게 타고 넘어 삽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경피접속 카테터(1)의 직선부(1a) 끝단을 구부려 굴곡부(1b)로 만들었기 때문에, 굴곡이 심하거나 협착이 있는 한쪽의 담도나 신루에서 다른 쪽의 담도나 신루로 유연하게 잘 타고넘어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도 1 및 도 2의 카테터(1)는 전체적인 형상이나 길이 등은 같고 상기 굴곡부(1b)의 각도(θ)만 서로 달리한 것으로, 즉 도 1과 도 2는 직선부(1a) 끝단에서 굴곡부(1b)를 많이 구부려 형성한 것(도 1)과 직선부(1a) 끝단에서 굴곡부(1b)를 조금 구부려 형성한 것(도 2)에 차이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경피접속 카테터(1) 끝단의 굴곡부(1b) 안쪽에는 측면공(3)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공(3)은 상기 카테터(1)를 삽입하고 혈관의 촬영을 위해 조영제를 주입할 때, 상기 조영제의 주입으로 오염된 담즙과 같은 오염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혈관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배액공으로 사용하게 된다. 즉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경피접속 카테터를 삽입한 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공(3)을 통해 담도 내의 오염된 담즙과 같은 오염물질을 지속적으로 배액 해줌으로써 혈관 내로의 오염된 물질의 역류로 인한 세균감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측면공(3)은 일반적으로 굴곡부(1b)의 안쪽 면에 형성하는 것이 배액을 더 수월하게 하는 이로운 장점이 있으며, 상기 굴곡부(1b)를 형성한 이후에 홀 펀칭에 의해 측면공(3)을 형성하는 것이 좀더 매끈해져 보기에 좋은 측면공(3)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카테터(1)의 굴곡부(1b)의 각도(θ), 즉 직선부(1a)를 연장한 선과 굴곡부(1b) 사이의 각도(θ)는 굴곡 등이 심하지 않은 일반적인 담도나 신루에도 적용하기 위해 넓은 범위로 0∼120도까지 할 수 있으나, 주로 굴곡이 심하거나 협착이 있는 부분이 많은 담도나 신루 내에서 본 고안의 카테터(1)를 원활하게 삽입하기 위해서 상기 굴곡부(1b)의 각도(θ)를 45∼90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카테터(1)의 재질로는 중재적 시술이 적용되는 의료용 기구의 소재로 주로 사용되는 폴리에테르(Polyether) 계열의 PA(Polyether Block Amide), 즉 폴리아미드,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즉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아미드는 가볍고 다양한 경도를 갖는 소재로써, 우수한 기계적, 화학적 특징과 가공성이 좋으며, 자동차, 전기, 스포츠 섬유, 의료분야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장기간 체내 유지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친환경적인 소재로써, 내구성과 탄성 및 강도가 좋고 유연하며 실리콘보다 가벼운 장점이 있다. 또한 폭넓은 사용온도를 가지며 내한성(耐寒性)도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소재로 본 고안의 카테터(1)를 제작하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를 녹여서 압출, 사출, 진공성형, 열접착, 고주파 가공 등의 방법으로 제작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카테터(1)의 굴곡부(1b) 전의 직선부(1a)는 도 1의 확대된 횡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폴리아미드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로 만든 튜브의 중간 둘레에 스테인리스 스틸 와이어를 꼬아서 만든 튜브 형태의 브레이딩 와이어(braiding wire)(4)가 삽입된 형태로 구성되며, 이는 상기 카테터(1)를 압출 또는 사출 등에 의해 제작할 때 상기 직선부(1a)에만 튜브 형태의 브레이딩 와이어(4)를 인서트로 삽입한 상태에서 압출 또는 사출하여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직선부(1a)의 브레이딩 와이어(4)에 의해 담도나 신루 내로 삽입되는 본 고안의 카테터(1)가 더욱 힘을 받으면서 원활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경피접속 카테터의 실제 사용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의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X-선 사진이다.
도 3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양에 의해 좌우측 담도 사이가 막혀 있어(파란 화살표로 표시함) 경피적 담도배액술에 의해 일측까지만 배액관(2)을 삽입할 경우, 삽입된 부위만 감염된 체액을 배액 할 수 있게 된다. 이런 경우 한쪽의 좌측 담도를 거쳐 다른 쪽의 반대편 우측 담도로 배액관을 통과시키기 위해서, 배액관을 삽입하기 이전에 본 고안의 경피접속 카테터가 아닌 끝단이 곡선으로 굴곡져 형성된 별도의 카테터를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도 2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끝단에 굴곡부(1b)를 형성한(둥근 점선 내) 본 고안의 경피접속 카테터(1)를 한쪽에서 다른 쪽 담도까지 유연하게 타고 넘겨 삽입하고, 삽입된 상기 카테터(1)를 통해 즉시 반대편으로 유도철선을 통과시킨 후, 도 2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액관(2)을 상기 유도철선에 따라 반대편까지 삽입할 수 있어 한번에 양측의 담도로부터 모두 오염된 체액을 측면공(3)을 통해 배액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경피접속 카테터(PAC)(1)는 끝단의 굴곡부(1b)와 함께 다수의 측면공(3)으로 인해 굴곡이 심하거나 협착이 있는 담도나 신루에도 잘 삽입되어 담도 내의 오염물질의 배액이 가능하고, 또한 이러한 부분에 상기 경피접속 카테터(PAC)(1)를 통해 배액관을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 도중 감염된 체액의 효과적이 배액이 가능하며, 오염물질의 원활한 배액으로 조영제 주입으로 인한 내부압력 증가에 기인한 폐혈증의 발생도 예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경피접속 카테터 1a : 직선부
1b : 굴곡부 2 : 배액관
3 : 측면공 4 : 브레이딩 와이어

Claims (9)

  1. 경피적 담도배액술이나 신루배액술을 시행하기 위해 배액관을 담도나 신루에 삽입하기 이전에 삽입하는 내부의 카테터와 외부의 카테터로 이루어진 경피접속 카테터(PAC)에 있어서,
    유도철선이 삽입되는 상기 외부의 카테터는 한쪽의 담도나 신루에서 다른 쪽의 담도나 신루로 유연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상기 카테터의 직선부 한쪽의 끝단 부위를 구부려 굴곡부로 형성하고, 상기 굴곡부에 오염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측면공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공은 카테터의 끝단 부위에 굴곡부를 형성한 이후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공은 카테터 끝단의 굴곡부 안쪽 부위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의 직선부와 굴곡부 사이의 각도(θ)는 30∼12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의 직선부와 굴곡부 사이의 각도(θ)는 45∼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의 재질은 폴리아미드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의 굴곡부 전의 직선부에는 튜브형상으로 브레이딩 와이어(braiding wire)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접속 카테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딩 와이어(braiding wire)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접속 카테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질은 오염된 담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
KR2020170002653U 2014-06-17 2017-05-30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 KR20048849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4540 2014-06-17
KR2020140004540 2014-06-1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258A Division KR20150144717A (ko) 2014-06-17 2015-06-16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035U true KR20170002035U (ko) 2017-06-09
KR200488495Y1 KR200488495Y1 (ko) 2019-02-11

Family

ID=550849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258A KR20150144717A (ko) 2014-06-17 2015-06-16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
KR2020170002653U KR200488495Y1 (ko) 2014-06-17 2017-05-30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258A KR20150144717A (ko) 2014-06-17 2015-06-16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501447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838A (ko) * 2018-07-23 2020-01-31 정민영 음압을 유지하는 역행성 경피적 담즙 배액술용 담즙 배액 기구
WO2021020606A1 (ko) * 2019-07-29 2021-02-04 정민영 음압을 유지하는 역행성 경피적 담즙 배액술용 담즙 배액 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2848U (ko) * 1988-05-26 1989-12-07
KR20010036716A (ko) * 1999-10-11 2001-05-07 정주영 담배액관 경로유지용 카테타
US8206427B1 (en) 1994-06-08 2012-06-26 Medtonic Vascular,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endoluminal graft placement
US20120184942A1 (en) * 2011-01-19 2012-07-19 Lareau Raymond J Coaxial stiffener for drainage catheter
KR101272847B1 (ko) 2011-03-24 2013-06-11 주식회사 루트로닉 결석 제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5467179B2 (ja) * 2011-08-08 2014-04-09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処置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45211A1 (en) 1986-03-04 1987-11-11 HOECHST ITALIA SUD S.p.A. Kidney-ureter catheter unit particularly adapated to evacuate crumbled calculi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2848U (ko) * 1988-05-26 1989-12-07
US8206427B1 (en) 1994-06-08 2012-06-26 Medtonic Vascular,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endoluminal graft placement
KR20010036716A (ko) * 1999-10-11 2001-05-07 정주영 담배액관 경로유지용 카테타
US20120184942A1 (en) * 2011-01-19 2012-07-19 Lareau Raymond J Coaxial stiffener for drainage catheter
KR101272847B1 (ko) 2011-03-24 2013-06-11 주식회사 루트로닉 결석 제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5467179B2 (ja) * 2011-08-08 2014-04-09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処置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838A (ko) * 2018-07-23 2020-01-31 정민영 음압을 유지하는 역행성 경피적 담즙 배액술용 담즙 배액 기구
WO2021020606A1 (ko) * 2019-07-29 2021-02-04 정민영 음압을 유지하는 역행성 경피적 담즙 배액술용 담즙 배액 기구
CN114340691A (zh) * 2019-07-29 2022-04-12 尹三悦 保持负压的逆行经皮胆汁引流术用胆汁引流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495Y1 (ko) 2019-02-11
KR20150144717A (ko) 201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02814B (zh) 导管
KR102149574B1 (ko) 벌룬 카테터
US7455739B2 (en) Shaped reinforcing member for medical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106029150B (zh) 集成导管系统
JP5769992B2 (ja) カテーテル
US7850675B2 (en) Reinforced venous access catheter
CN110691564A (zh) 尿道装置
EP3024529B1 (en) Balloon catheter systems
US20180296795A1 (en) Balloon catheter and medical elongated body
US8029494B2 (en) Method of removing biliary stones with coaxial catheter device
US20090159189A1 (en) Multi-lumen balloon catheter including manifold
CN105722547B (zh) 扩张器系统和方法
US20080281291A1 (en) Drainage/irrigation urethral catheter
US20140194857A1 (en) Catheter with an enhanced pushability
CN108367136B (zh) 具有倾斜的排放孔的导管
KR200488495Y1 (ko)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
US10070978B2 (en) Stent pusher assembly
JP2013233362A (ja) スタイレット及び尿道カテーテルセット
EP1894595A1 (en) Catheter tip configuration for improved crossability and trackability
CN115768509A (zh) 具有加强构件的引导导管
WO2010060889A1 (en) Microcatheter
US20190015629A1 (en) Multi-Lumen Catheters for Small Body Vessel Applications
WO2015194837A1 (ko)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
JP2002355309A (ja) 拡張バルーン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