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901U - 접이식 자전거의 절첩프레임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접이식 자전거의 절첩프레임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901U
KR20170001901U KR2020150007606U KR20150007606U KR20170001901U KR 20170001901 U KR20170001901 U KR 20170001901U KR 2020150007606 U KR2020150007606 U KR 2020150007606U KR 20150007606 U KR20150007606 U KR 20150007606U KR 20170001901 U KR20170001901 U KR 201700019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olding
hole
groov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6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만
Original Assignee
김정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만 filed Critical 김정만
Priority to KR20201500076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901U/ko
Publication of KR201700019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90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62K15/008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foldable about 2 or more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이식 자전거의 절첩프레임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단면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홀과, 일단면의 내측으로 제1홈이 형성된 상부단차와, 일단면의 내측으로 제2홈이 형성된 하부단차와, 상면 일측에 형성된 제1요홈 및 하면 일측에 형성된 제2요홈이 구비된 제1프레임과, 제1프레임의 일단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힌지홀에 결합 되는 힌지축과, 관통홀이 형성된 결합리브와, 제1회동홀 및 하면 일측에 형성된 제3요홈이 구비된 제2프레임 및 양측 끝단에 상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제1걸림턱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의 수직봉을 구비한 하부록킹부재와, 수직봉의 내부 수용공간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결합 되는 제1결합봉과, 제1결합봉이 수직으로 관통되며, 제1회동홀과 제3회동홀에 동시에 결합되는 제1회동핀과, 제1요홈에 결착되도록 일단에는 하방으로 휘어진 제2걸림턱이 형성되고, 타단에 제2회동홀이 형성된 상부록킹부재와, 손잡이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제2결합봉과, 제2결합봉에 교차결합되며, 제2회동홀과 제4회동홀에 동시에 결합 되는 제2회동핀과, 일단에는 제3회동홀이 형성되고, 제2결합봉이 관통되는 하부격벽이 마련되고, 제4회동홀이 형성된 손잡이부가 구비된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접이식 자전거의 절첩프레임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 프레임의 절첩 체결구조를 개량하여 접이식 자전거의 프레임을 간편하게 절첩 또는 조립할 수 있어 자전거의 대폭적인 체적축소로 인한 휴대 및 보관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자전거의 절첩프레임 체결구조{Folding frame connecting structure of folding type bicycle}
본 고안은 절첩프레임 체결구조로서, 특히 별도의 공구 없이도 손잡이 레버의 회전을 통해 자전거 프레임의 중앙 지점을 쉽게 꺾어 축간거리를 줄일 수 있는 접이식 자전거의 절첩프레임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거에는 교통수단으로만 여겨져 왔던 자전거가 최근 들어 건강과 레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운동이나 취미활동 목적으로서의 수요가 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다양한 목적과 용도의 자전거들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환경 문제와 자동차의 화석 연료의 상승으로 인하여 오염물질을 전혀 배출하지 않는 자전거를 사용하자는 움직임이 점차 확산 되어, 이에 따른 자전거 전용도로 등의 기반시설에 대해 투자도 점차 늘고 있다.
이와 같은 자전거의 다양한 긍정적인 측면에도 급격한 도시화와 인구집중으로 인하여 주거형태가 아파트와 같은 집단 주거형태로 변하면서 협소한 주거 공간으로 인하여 자전거의 보관이 어려워지고, 자전거를 타기 위해서는 자전거를 멀리 운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시 간의 장거리 이동에 있어 전철이나 버스 등의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목적지 주변까지 우선 빠르게 이동한 후 자전거로 최종의 목적지까지 추가 이동해야 하는 경우도 자주 직면한다.
이와 같이 보관 및 운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접이식 자전거들이 제안되어 있는데, 장축의 길이를 줄여주는 종래의 접이식 자전거는 접고 펴는데 많은 힘을 들여야 함은 물론, 여러 단계의 접이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불편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7665호(2011년 08월 03일 공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과제는, 자전거를 필요에 따라서 접거나 펼 수 있음은 물론, 승차시 자전거를 펼친 상태에서 프레임을 고정할 때 상부와 하부 두 곳에서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접이식 자전거의 접철프레임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일단면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홀과, 상기 일단면의 내측으로 제1홈이 형성된 상부단차와, 상기 일단면의 내측으로 제2홈이 형성된 하부단차와, 상면 일측에 형성된 제1요홈 및 하면 일측에 형성된 제2요홈이 구비된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일단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힌지홀에 결합 되는 힌지축과, 관통홀이 형성된 결합리브와, 제1회동홀 및 하면 일측에 형성된 제3요홈이 구비된 제2프레임 및 양측 끝단에 상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제1걸림턱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의 수직봉을 구비한 하부록킹부재와, 상기 수직봉의 내부 수용공간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결합 되는 제1결합봉과, 상기 제1결합봉이 수직으로 관통되며, 상기 제1회동홀과 하기 제3회동홀에 동시에 결합되는 제1회동핀과, 상기 제1요홈에 결착되도록 일단에는 하방으로 휘어진 제2걸림턱이 형성되고, 타단에 제2회동홀이 형성된 상부록킹부재와, 하기 손잡이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제2결합봉과, 상기 제2결합봉에 교차결합되며, 상기 제2회동홀과 하기 제4회동홀에 동시에 결합 되는 제2회동핀과, 일단에는 제3회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봉이 관통되는 하부격벽이 마련되고, 제4회동홀이 형성된 손잡이부가 구비된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봉은 외경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형태이며, 상기 제1회동핀과 수직봉에 각각 볼트결합 되고, 하단에 볼트결합 된 상기 수직봉의 외경에 제1압축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제2결합봉은 하단 외경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형태이며, 상기 제2회동핀에 볼트결합 되고, 외경에 제2압축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록킹부재의 하부에 비틀림 스프링(torsion coil spring)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요홈은 내측 일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걸림부(16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일단면의 타측 모서리에서 하방으로 절곡진 제1절곡부와, 상기 상부단차의 하부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절곡진 제2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상면 일측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절곡진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 일측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절곡진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종 프레임의 절첩 체결구조를 개량하여 접이식 자전거의 프레임을 간편하게 절첩 또는 조립할 수 있어 자전거의 대폭적인 체적축소로 인한 휴대 및 보관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절첩프레임 체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절첩프레임 체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절첩프레임 체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절첩프레임 체결구조에서 체결수단에 의해 프레임이 분리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절첩프레임 체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절첩프레임 체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절첩프레임 체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절첩프레임 체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절첩프레임 체결구조는 제1프레임(100), 제2프레임(200) 및 체결수단(300)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프레임(100)은 힌지홀(110), 제1절곡부(120), 상부단차(130), 제2절곡부(140), 하부단차(150), 제1요홈(160) 및 제2요홈(170)을 구비한다.
상기 힌지홀(110)은 제1프레임(100) 일단면의 일측 모서리 상하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절곡부(120)는 제1프레임(100) 일단면의 타측 모서리에 하방으로 절곡진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단차(130)는 상기 제1절곡부(120)의 하부에 위치하는데, 제1프레임(100)의 내측방향으로 반원형의 제1홈(131)이 형성된다.
상기 제2절곡부(140)는 상기 상부단차(130)의 하부에 형성되는데, 제1프레임(100)의 내측방향으로 절곡진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단차(150)는 상기 제2절곡부(14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절곡부(120)와 동일하게 제1프레임(100)의 내측방향으로 반원형의 제2홈(151)이 형성된다.
상기 제1요홈(160)과 제2요홈(170)은 제1프레임(100)의 상하면 일측에 각각 수평으로 길게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요홈(160)의 내측 일면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걸림부(16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200)은 상기 제1프레임(100)의 일단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힌지축(210), 결합리브(220), 안착부(230), 단차부(240), 제1회동홀(250) 및 제3요홈(260)을 구비한다.
상기 힌지축(210)은 상기 한 쌍의 힌지홀(110) 사이에 배치되면서 힌지홀(110)과 서로 힌지결합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의 모서리가 서로 연결된 상태로 축 회전하게 된다.
상기 결합리브(220)는 상기 제2절곡부(14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게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수직으로 관통된 관통홀(221)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230)는 제2프레임(20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절곡되어 단차진 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차부(240)는 상기 안착부(230)의 일측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절곡진 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회동홀(250)은 상기 제1프레임(100)을 향해 외측으로 돌출되며, 세로로 긴 타원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요홈(260)은 제2프레임(200)의 하면 일측에 수평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수단(300)은 상기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힌지축(210)을 중심으로 상기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의 대향면을 구속 또는 해제시킨다.
상기 체결수단(300)은 하부록킹부재(310), 제1결합봉(320), 제1회동핀(330), 상부록킹부재(340), 제2결합봉(350), 제2회동핀(360) 및 손잡이부(370)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록킹부재(310)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측 끝단에는 상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제1걸림턱(311)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에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의 수직봉(312)이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봉(312)은 상기 제2홈(151), 관통홀(221)과 제1홈(131)을 연속으로 관통하며 수직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걸림턱(311)은 상기 제2요홈(170)과 제3요홈(260)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된다. 즉, 상기 하부록킹부재(310)가 상승하면, 상기 제1걸림턱(311)이 상기 제2요홈(170)과 제3요홈(260)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의 하면을 서로 구속시키고, 반대로 상기 하부록킹부재(310)가 하강하면, 상기 제1걸림턱(311)이 상기 제2요홈(170)과 제3요홈(260) 외부으로 이탈되어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의 하면이 서로 해제된다.
상기 제1결합봉(320)은 외경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이며, 상기 수직봉(312)의 내부 수용공간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수직봉(312)과 볼트결합된다.
상기 제1회동핀(330)은 상기 제1결합봉(320)이 수직으로 관통되는 상태로 제1결합봉(320)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1회동홀(250)과 제3회동홀(371)에 동시에 힌지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봉(320)은 외경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형태이고, 상기 제1회동핀(330)과 수직봉(312)에 각각 볼트결합 되며, 하단에 볼트결합 된 상기 수직봉(312)의 외경에 제1압축스프링(321)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록킹부재(340)는 상기 제1요홈(160)에 결착되도록 일단에는 하방으로 휘어진 제2걸림턱(34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세로로 긴 타원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2회동홀(34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록킹부재(340)의 하부에는 비틀림 스프링(torsion coil spring)(380)이 더 설치된다.
상기 제2결합봉(350)은 손잡이부(370)의 하부에 위치하고, 손잡이부(37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회동핀(360)은 상기 제2결합봉(350)에 교차결합되며, 상기 제2회동홀(342)과 제4회동홀(373)에 동시에 힌지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결합봉(350)은 하단 외경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형태이고, 상기 제2회동핀(360)에 볼트결합 되며, 외경에 제2압축스프링(351)이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부(370)는 일단에는 한 쌍의 제3회동홀(371)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봉(350)이 관통되는 하부격벽(372)이 마련되며, 중앙에는 가로로 긴 타원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4회동홀(37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압축스프링(351)은 상기 제2결합봉(350)의 헤드 부분에서 상기 하부격벽(372)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절첩프레임 체결구조에서 체결수단에 의해 프레임이 분리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제2프레임(200)의 상부에 수평으로 안착 된 손잡이부(370)가 상기 제1회동핀(330)을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2회동홀(342)에 힌지결합 된 제2회동핀(360)이 제2회동홀(342)에서 상승하게 되면서, 상기 상부록킹부재(340)를 상부 방향으로 소정 높이만큼 들어올리는 힘이 가해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프레임(100)에 형성된 제1요홈(160) 내부에 형성된 걸림부(161)와 제2걸림턱(341) 간의 결착력이 약화된다.
그러면, 상기 상부록킹부재(340)의 하부에 위치한 비틀림 스프링(380)에 의해 상부록킹부재(340)가 시계 방향으로 축 회전하게 되어 상기 제2걸림턱(341)이 상기 제1요홈(160)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결합봉(350)의 외경에 설치된 제2압축스프링(351)의 인장력으로 인해 제2회동핀(360)이 제4회동홀(373)을 따라 제2결합봉(350)의 헤드 부분으로 이동하면서 제2회동핀(360)에 힌지결합된 상기 상부록킹부재(340) 또한 상기 제2결합봉(350)의 헤드 부분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회동홀(250)에 힌지결합된 제1회동핀(330)이 제1회동홀(250)에서 하부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제1회동핀(330)에 결합 된 제1결합봉(320) 또한 하강하게 되고, 상기 제1결합봉(320)의 하강으로 인해 하부록킹부재(310)도 하강하게 되어 제1걸림턱(311)이 제2요홈(170)과 제3요홈(260)에서 각각 이탈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록킹부재(310)의 수직봉(312) 외경에 설치된 제1압축스프링(321)의 인장력으로 인해 하부록킹부재(310)를 하방으로 밀어내어 제2요홈(170)과 제3요홈(260)에 결착된 하부록킹부재(310)의 이탈을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수단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서 동시에 분리됨과 동시에 힌지축을 기준으로 축 회전하게 되어 서로 접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제1프레임
110: 힌지홀
120: 제1절곡부
130: 상부단차
131: 제1홈
140: 제2절곡부
150: 하부단차
151: 제2홈
160: 제1요홈
161: 걸림부
170: 제2요홈
200: 제2프레임
210: 힌지축
220: 결합리브
221: 관통홀
230: 안착부
240: 단차부
250: 제1회동홀
260: 제3요홈
300: 체결수단
310: 하부록킹부재
311: 제1걸림턱
312: 수직봉
320: 제1결합봉
321: 제1압축스프링
330: 제1회동핀
340: 상부록킹부재
341: 제2걸림턱
342: 제2회동홀
350: 제2결합봉
351: 제2압축스프링
360: 제2회동핀
370: 손잡이부
371: 제3회동홀
372: 하부격벽
373: 제4회동홀
380: 비틀림 스프링

Claims (5)

  1. 일단면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홀(110)과, 상기 일단면의 내측으로 제1홈(131)이 형성된 상부단차(130)와, 상기 일단면의 내측으로 제2홈(151)이 형성된 하부단차(150)와, 상면 일측에 형성된 제1요홈(160) 및 하면 일측에 형성된 제2요홈(170)이 구비된 제1프레임(100);
    상기 제1프레임(100)의 일단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힌지홀(110)에 결합 되는 힌지축(210)과, 관통홀(221)이 형성된 결합리브(220)와, 제1회동홀(250) 및 하면 일측에 형성된 제3요홈(260)이 구비된 제2프레임(200); 및
    양측 끝단에 상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제1걸림턱(311)이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의 수직봉(312)을 구비한 하부록킹부재(310)와, 상기 수직봉(312)의 내부 수용공간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결합 되는 제1결합봉(320)과, 상기 제1결합봉(320)이 수직으로 관통되며, 상기 제1회동홀(250)과 하기 제3회동홀(371)에 동시에 결합되는 제1회동핀(330)과, 상기 제1요홈(160)에 결착되도록 일단에는 하방으로 휘어진 제2걸림턱(341)이 형성되고, 타단에 제2회동홀(342)이 형성된 상부록킹부재(340)와, 하기 손잡이부(370)의 하부에 위치하고, 손잡이부(37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제2결합봉(350)과, 상기 제2결합봉(350)에 교차결합되며, 상기 제2회동홀(342)과 하기 제4회동홀(373)에 동시에 결합 되는 제2회동핀(360)과, 일단에는 제3회동홀(371)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봉(350)이 관통되는 하부격벽(372)이 마련되고, 제4회동홀(373)이 형성된 손잡이부(370)가 구비된 체결수단(300)을 포함하는 접이식 자전거의 절첩프레임 체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봉(320)은 외경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형태이며, 상기 제1회동핀(330)과 수직봉(312)에 각각 볼트결합 되고, 하단에 볼트결합 된 상기 수직봉(312)의 외경에 제1압축스프링(321)이 구비되며,
    상기 제2결합봉(350)은 하단 외경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형태이며, 상기 제2회동핀(360)에 볼트결합 되고, 외경에 제2압축스프링(35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의 절첩프레임 체결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록킹부재(340)의 하부에 비틀림 스프링(torsion coil spring)(38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의 절첩프레임 체결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홈(160)은 내측 일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걸림부(16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의 절첩프레임 체결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100)은 상기 일단면의 타측 모서리에서 하방으로 절곡진 제1절곡부(120)와, 상기 상부단차(130)의 하부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절곡진 제2절곡부(140)를 구비하고,
    상기 제2프레임(200)은 상면 일측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절곡진 안착부(230)와, 상기 안착부(230) 일측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절곡진 단차부(2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의 절첩프레임 체결구조.
KR2020150007606U 2015-11-23 2015-11-23 접이식 자전거의 절첩프레임 체결구조 KR2017000190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606U KR20170001901U (ko) 2015-11-23 2015-11-23 접이식 자전거의 절첩프레임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606U KR20170001901U (ko) 2015-11-23 2015-11-23 접이식 자전거의 절첩프레임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901U true KR20170001901U (ko) 2017-05-31

Family

ID=59021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606U KR20170001901U (ko) 2015-11-23 2015-11-23 접이식 자전거의 절첩프레임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90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1384A (zh) * 2019-04-04 2019-06-28 深圳市皓颢智能科技有限公司 安全型电动婴儿车及其三轮车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665A (ko) 2010-01-27 2011-08-03 김정만 접이식 자전거용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665A (ko) 2010-01-27 2011-08-03 김정만 접이식 자전거용 힌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1384A (zh) * 2019-04-04 2019-06-28 深圳市皓颢智能科技有限公司 安全型电动婴儿车及其三轮车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8761B1 (en) Foldable pedal assembly
US20020197106A1 (en) Square lamp post insertional conjoinment structure
KR101241436B1 (ko) 접이식 이륜차
US20150197199A1 (en) Collapsible step bar
CN204378187U (zh) 一种行李箱和用于行李箱的轮子组件
CN106892047B (zh) 电动滑板车
KR20170001901U (ko) 접이식 자전거의 절첩프레임 체결구조
WO2017008411A1 (zh) 一种折叠机构及折叠车
US20150033908A1 (en) Foldable bicycle crank
KR20150116759A (ko) 컴팩트 접이식 자전거
JP5894744B2 (ja) 組み立て式テント
US8567014B1 (en) Foldable handle
CN207078073U (zh) 一种汽车手套箱的按压式开启结构
CN205524716U (zh) 一种折叠滑板车
CN107719557B (zh) 一种可脱离可调角度的自锁折叠器
CN202029968U (zh) 一种折叠接头
CN103397824A (zh) 具有调整和锁紧装置的合页
KR20110087665A (ko) 접이식 자전거용 힌지장치
TWM431055U (en) Tool box structure
KR20110015088A (ko)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CN200985932Y (zh) 一种折叠式关节结构
CN204688323U (zh) 一种折叠手把
CN205894914U (zh) 一种防盗性强的双向锁
KR101621832B1 (ko) 접이식 자전거
KR20110102080A (ko) 차량용 어시스트핸들 장착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