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592U - 각질제거날의 상부돌출작업과 굽힘부의 굽힘작업이 일체로 가능한 각질제거기용 사출 금형 - Google Patents

각질제거날의 상부돌출작업과 굽힘부의 굽힘작업이 일체로 가능한 각질제거기용 사출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592U
KR20170001592U KR2020150006995U KR20150006995U KR20170001592U KR 20170001592 U KR20170001592 U KR 20170001592U KR 2020150006995 U KR2020150006995 U KR 2020150006995U KR 20150006995 U KR20150006995 U KR 20150006995U KR 20170001592 U KR20170001592 U KR 201700015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foliation
plate
exfoliating
receiving portion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3906Y1 (ko
Inventor
박지훈
Original Assignee
박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훈 filed Critical 박지훈
Priority to KR2020150006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906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5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5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9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9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55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각질제거기의 사출금형에 따를 경우, 상부금형(500)과 하부금형(700)이 합치할 때 하부금형(700)의 각질제거판 받침부(710)에 놓인 각질제거판(10a)의 주변부(160)를 굽혀 굽힘부(16)를 형성하고 또한 각질제거판 받침부(710)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타격핀(79)이 각질제거판(10a)의 각질제거날(19)을 타격하여 상부로 돌출시킨다.

Description

각질제거날의 상부돌출작업과 굽힘부의 굽힘작업이 일체로 가능한 각질제거기용 사출 금형{Injection mold for keratin remover wherein protrusion of cutter and bending for bended part are integrally possible}
본 고안은 각질제거날의 상부돌출작업과 굽힘부의 굽힘작업이 일체로 가능한 각질제거기용 사출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각질제거기를 사출금형을 통하여 성형함에 있어서 각질제거판의 각질제거날의 상부돌출작업과 굽힘부의 굽힘작업이 일체로 가능한 각질제거기용 사출 금형에 관한 것이다.
각질제거기는 발뒤꿈치 등의 각질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각질을 제거하는 날이 형성된 각질제거판과 상기 각질제거판을 지지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된 손잡이로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제1184144호는 이러한 각질제거기를 보인다.
이러한 각질제거기는 우선 판재에 대하여 부식 등을 통하여 각질제거날부를 형성하고, 상기 각질제거날부가 형성된 판재에 대하여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각질제거날부의 각질제거날을 상부로 돌출시키고 또한 판재의 주변부를 굽히게 된다.
이렇게 각질제거날이 상부로 돌출되고 그 주변부가 굽혀진 각질제거판을 사출금형에 장착하고 사출을 통하여 각질제거판을 지지하는 몸체부와 이와 연결된 손잡이를 성형하여 각질제거기가 완성된다.
도 1을 참고로, 각질제거판(10a)은 1차적으로 다수개의 각질제거부(80)가 형성되어 있다. 즉 판재에 부식 등을 통하여 통공(18)이 형성되고 그 중앙을 가로질러 각질제거날(19)이 형성된 각질제거부(80)가 다수개 형성된 각질제거판(10a)이 제공된다.
이러한 각질제거판(10a)에 대하여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각질제거부(80)의 각질제거날(19)을 상부로 돌출시키고, 또한 그 주변부를 굽혀 굽힘부(16)를 형성하여, 각질제거날(19)이 상부로 돌출되고 굽힘부(16)가 형성된 각질제거판(10b)을 형성한다.
이러한 각질제거판(10b)을 금형에 장착하고 사출을 통하여 각질제거판(10b)을 지지하는 몸체부(230)와 상기 몸체부(230)와 연결되는 손잡이부(210)를 성형하여 각질제거기(1000)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는 각질제거판에 대하여 그 각질제거날을 상부로 돌출하는 작업과 주변부를 굽혀 굽힘부를 형성하는 작업은 별도의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이후 사출성형이 이루어졌는데, 이러한 프레스가공과 사출성형을 일체로서 이룰 수 있다면 생산과 비용의 면에서 효율이 증대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을 이러한 요청을 만족시킨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각질제거판을 지지하는 몸체부와 손잡이부를 성형하여 각질제거기를 만드는 사출성형작업에서 상기 각질제거판에 대하여 각질제거부의 각질제거날을 상부로 돌출시키는 작업과 그 주변부를 굽혀 굽힘부를 형성하는 작업을 사출성형작업과 일체로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사출 금형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각질제거기의 사출금형에 있어서, 통공과 통공을 가로지른 각질제거날을 가지는 각질제거부가 다수 개 형성된 각질제거판이 놓이는 각질제거판 받침부와,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의 높이보다 낮게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를 둘러 형성된 성형공간인 둘레부를 가지는 하부금형과; 여기서, 상기 하부금형에는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돌출되고 상기 각질제거판의 각질제거날과 대응되어 놓인 타격핀이 설치되어 상기 각질제거판은 그 각질제거날이 상기 타격핀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에 놓이고, 상기 각질제거판의 주변부는 그 측방향으로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를 넘어 연장되며, 그 하면에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를 둘러싼 둘레부의 외곽에 대응하여 상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된 제1오목부와,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오목부로부터 상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된 제2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제2오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각질제거날의 위치에 대응하여 수용부가 형성되는 상부금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제거기의 사출금형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타격핀은 그 상부에 상기 각질제거판의 각질제거날을 받치는 각질제거날 받침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를 경우, 상기 하부금형은 상기 둘레부와 연결된 손잡이부 성형공간을 가지고,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손잡이부 성형공간가 대응한 대응 손잡이부 성형공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각질제거기용 사출성형금형은 각질제거판의 각질제거날을 상부로 돌출하는 작업과 그 주변부를 굽히는 작업을 사출성형작업과 일체로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각질제거기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각질제거기용 사출금형의 외관을 보이는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각질제거기용 사출금형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각질제거기용 사출금형의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상호간에 합치하여 사출성형과 일체로 각질제거판의 각질제거날을 상부로 돌출하는 작업과 그 주변부를 굽히는 작업을 하는 것을 보이는 도면.
이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질제거기의 사출금형(5000)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500)이 제공되고 그 하부에 하부금형(700)이 제공되며, 다시 그 하부에 베이스부(900)가 설치된다.
상부금형(500)의 상면에는 스프루 부쉬(508)가 제공되어 용용된 수지가 이를 통하여 공급된다.
도 3을 참고로, 하부금형(700)에는 각질제거판받침부(710)가 형성되어 여기에 상기 각질제거판(10a)이 놓인다.
상기 각질제거판(10a)은 그 각질제거날(19)이 상부로 돌출되지 않고 또한 주변부가 굽혀진 굽힘부(16)가 형성되지 않은 것이다.
상기 하부금형(700)에는 상기 각질제거받침부(710)의 사방을 둘러 성형공간인 둘레부(780)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둘레부(780)는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상기 둘레부(780)로 용융된 수지가 공급되어 경화되어 각질제거기의 몸체부(230)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둘레부(780)와 연결되어 손잡이(210)를 형성하는 손잡이 성형공간(740)이 형성되고 있다. 이들에 대해서는 상기 스프루 부쉬(508)를 통하여 공급되는 용융된 수지가 흐르는 런너(75)가 형성된다.
상부금형(500)에는 그 하면에 상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된 제1오목부(58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오목부(580)에는 다시 상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된 제2오목부(588)가 형성된다.
상기 제1오목부(580)는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710)를 둘러싼 둘레부(780)의 외곽에 대응되어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오목부(588)는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710)에 대응하여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2오목부(588)의 바닥면(5884)에는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710)에 놓인 각질제거판(10a)의 각질제거날(19)의 위치에 대응하여 수용부(57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579)들은 후술하는 타격핀(79)이 상기 각질제거판(10a)의 각질제거날(19)을 타격하여 각질제거날(19)이 상부로 돌출할 때 이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금형의 손잡이 성형공간(740)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금형의 하면에는 대응 손잡이 성형공간(540)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스프루 부쉬(508)로부터 공급된 용융수지가 흐르는 런너(55)가 형성되어 있다.
도 4를 참고로,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710)를 둘러싼 둘레부(780)는 성형공간형성판(790)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성형공간형성판(790)의 하부에는 타격핀(79)이 상기 각질제거판(10a)의 각질제거날(19)과 대응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타격핀(79)은 상기 성형공간형성판(790)과 그 상부의 각질제거판 받침부(710)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각질제거판(10a)은 그 각질제거날(19)이 상기 타격핀(79)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710)에 놓이게 된다. (도 5a 참조)
상기 각질제거판(10a)의 주변부는 그 측방향으로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710)를 넘어 연장된다. (도 5a 참조)
상기 베이스부(900)에는 사출된 용융수지가 성형공간을 채우고 경화되어 완성된 각질제거기를 탈거시키는 탈거핀(99)이 설치되어 있다.
도 5a에서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각질제거기용 사출금형(500)이 작동하는 것을 간략하게 보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서 본래 타격핀(79)과 대응한 수용부(579)는 각질제거판(10a)의 각질제거날(19)에 대응하여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인데, 본 도면에서는 편의상 하나만을 도시하여 보인다.
먼저 도 5a에서는 하부금형(700)의 각질제거판 받침부(710)에 각질제거판(10a)이 놓여 있으며, 각질제거판 받침부(710)를 둘러 둘레부(780)가 형성되고, 타격핀(79)이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710)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돌출되어 각질제거판(10a)의 각질제거날(19)을 지지하는 것이 보인다.
상기 타격핀(79)은 그 상부에 상기 각질제거판(10a)의 각질제거날(19)을 받치는 각질제거날 받침부(79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710)에 놓인 각질제거판(10a)의 주변부(160)는 그 측방향으로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를 넘어 연장된 것이 보인다.
상기 하부금형(700)에 대응하여 상부금형(500)의 하면에는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710)를 둘러싼 둘레부(780)에 대응하여 상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된 제1오목부(580)가 형성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710)에 대응하여 상기 제1오목부(580)로부터 상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된 제2오목부(588)가 형성된다.
상기 제2오목부(588)의 바닥면(5884)에는 상기 각질제거날(19)의 위치에 대응하여 수용부(579)가 형성된다.
도 5b를 참고로, 이러한 상부금형(500)과 하부금형(700)이 상호간에 근접하여 합치를 이루면, 상기 제2오목부(588)에 상기 각질제거판(10a)이 수용되는데, 이때, 그 주변부(160)는 제2오목부(588)에 수용되지 못하고 하방으로 굽혀져 굽힘부(16)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주변부(160)에 굽힘력이 작용하면서, 상기 각질제거판(10a)이 하방으로 힘을 받게 되어, 이에 따라, 상기 타격핀(79)이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710)에 놓인 각질제거판의 각질제거날(19)에 힘을 가하여 상부로 돌출시키고, 이렇게 돌출되는 각질제거날(19)은 상부금형의 수용부(579)에 수용된다.
도 6은 도 5b에 대응하여 측단면을 보이는 도면이다.
이후 용융수지가 사출되어 상부금형(500)의 스프루 부쉬(508)를 통하여 공급되어 상기 둘레부(780)를 채워 몸체부(230)를 형성하고 또한 손잡이부(210)를 형성하게 된다.
이후, 용융수지가 경화되고, 도 5c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탈거핀(99)으로 완성된 각질제거기(100)를 탈거하게 된다.
도 7은 도 5c에 대응한 측단면을 보이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각질제거판을 지지하는 몸체부와 손잡이부를 성형하여 각질제거기를 만드는 사출성형작업에서 상기 각질제거판에 대하여 각질제거부의 각질제거날을 상부로 돌출시키는 작업과 그 주변부를 굽혀 굽힘부를 형성하는 작업을 사출성형작업과 일체로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사출 금형의 구조를 제공하며, 본 고안에 따라, 작업효율이 올라가고 비용이 절감된다.
500: 상부금형
700: 하부금형
580: 제1오목부
588: 제2오목부
579: 수용부
710: 각질제거판 받침부
780: 둘레부
10a: 각질제거판
160: 주변부
16: 굽힘부
79: 타격핀
1000: 각질제거기

Claims (2)

  1. 각질제거기의 사출금형에 있어서,
    (a) 통공과 통공을 가로지른 각질제거날을 가지는 각질제거부가 다수 개 형성된 각질제거판이 놓이는 각질제거판 받침부와,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의 높이보다 낮게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를 둘러 형성된 성형공간인 둘레부를 가지는 하부금형과; 여기서, 상기 하부금형에는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돌출되고 상기 각질제거판의 각질제거날과 대응되어 놓인 타격핀이 설치되어 상기 각질제거판은 그 각질제거날이 상기 타격핀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에 놓이고, 상기 각질제거판의 주변부는 그 측방향으로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를 넘어 연장되며,
    (b) 그 하면에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를 둘러싼 둘레부의 외곽에 대응하여 상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된 제1오목부와, 상기 각질제거판 받침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오목부로부터 상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형성된 제2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제2오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각질제거날의 위치에 대응하여 수용부가 형성되는 상부금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제거기의 사출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은 상기 둘레부와 연결된 손잡이부 성형공간을 가지고,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손잡이부 성형공간가 대응한 대응 손잡이부 성형공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제거기의 사출금형.
KR2020150006995U 2015-10-28 2015-10-28 각질제거날의 상부돌출작업과 굽힘부의 굽힘작업이 일체로 가능한 각질제거기용 사출 금형 KR2004839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995U KR200483906Y1 (ko) 2015-10-28 2015-10-28 각질제거날의 상부돌출작업과 굽힘부의 굽힘작업이 일체로 가능한 각질제거기용 사출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995U KR200483906Y1 (ko) 2015-10-28 2015-10-28 각질제거날의 상부돌출작업과 굽힘부의 굽힘작업이 일체로 가능한 각질제거기용 사출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592U true KR20170001592U (ko) 2017-05-10
KR200483906Y1 KR200483906Y1 (ko) 2017-07-06

Family

ID=58716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995U KR200483906Y1 (ko) 2015-10-28 2015-10-28 각질제거날의 상부돌출작업과 굽힘부의 굽힘작업이 일체로 가능한 각질제거기용 사출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90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7352B (zh) * 2017-12-29 2020-02-18 天津市津海伟业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固定的注塑模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755Y2 (ko) * 1985-02-26 1990-03-12
KR20120104032A (ko) * 2011-03-11 2012-09-20 송용능 각질 제거장치
KR20150029070A (ko) * 2013-09-09 2015-03-18 이환길 사출 성형 방법
KR20150082005A (ko) * 2014-01-07 2015-07-15 인탑스 주식회사 프레스 및 사출 복합 성형장치 및 복합 성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755Y2 (ko) * 1985-02-26 1990-03-12
KR20120104032A (ko) * 2011-03-11 2012-09-20 송용능 각질 제거장치
KR20150029070A (ko) * 2013-09-09 2015-03-18 이환길 사출 성형 방법
KR20150082005A (ko) * 2014-01-07 2015-07-15 인탑스 주식회사 프레스 및 사출 복합 성형장치 및 복합 성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906Y1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515316A5 (ko)
CN104759530A (zh) 一种钣金产品摆块折弯构造及钣金产品模具
TWI522187B (zh) Punching die and its punch
KR20160022773A (ko) 버를 가지는 압인되거나 정밀-블랭킹된 부품의 전단 에지의 형상화 장치 및 방법
KR200483906Y1 (ko) 각질제거날의 상부돌출작업과 굽힘부의 굽힘작업이 일체로 가능한 각질제거기용 사출 금형
JP6176643B1 (ja) 3dプリンタ用の冶具
CN105499387A (zh) 跷跷板式上翻边冲压模具及其冲压方法
CN205270571U (zh) 摆动弯曲模
JP2009241125A (ja) プレス金型
KR101965392B1 (ko) 가변 그루브 핀이 적용된 펀치를 갖는 코이닝 장치
RU2017101001A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столовых приборов и вырубно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столовых приборов
KR101866339B1 (ko) 버 발생 방지가 가능한 플라스틱 필름절단용 프레스 칼금형 및 그 제작방법
CN104492966A (zh) 一种冲压复合模具
CN108297941A (zh) 一种汽车后盖及其加工方法
JP2010260348A (ja) 射出成形の金型
CN105251855A (zh) 适用于板面材料用切边模具
KR101317673B1 (ko) 리드 프레임 가공 장치
CN207239079U (zh) 一种用于提高预铸窝铸造可靠性的铝合金车轮铸造模具
JP2005329437A (ja) 鋳造製品のばり取り方法及びその装置
JP6284801B2 (ja) 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TWM492972U (zh) 風扇輪轂平衡結構
KR101624588B1 (ko) 박형 금속 재료를 이용한 베어링부를 갖는 소형 모터 케이스의 제조 방법
JP7441781B2 (ja) キャップ付きキャリア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50566B1 (ko) 휴대 단말기용 금속 베젤 성형 금형 및 이를 이용한 금속 베젤 성형 방법
CN212171145U (zh) 一种塑料模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