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565U - 옷감인장장치 - Google Patents

옷감인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565U
KR20170001565U KR2020150006938U KR20150006938U KR20170001565U KR 20170001565 U KR20170001565 U KR 20170001565U KR 2020150006938 U KR2020150006938 U KR 2020150006938U KR 20150006938 U KR20150006938 U KR 20150006938U KR 20170001565 U KR20170001565 U KR 201700015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
bar
frame
long bar
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9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석
Original Assignee
최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석 filed Critical 최병석
Priority to KR20201500069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565U/ko
Publication of KR201700015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56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융착장치 등을 통해 배출되는 긴 띠형상의 옷감을 당겨 긴장을 부여함으로써 그 옷감의 배출을 원활하도록 하는 옷감인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옷감인장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봉받침대와, 양측의 상기 봉받침대에 올려지는 옷감인장봉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옷감인장봉의 일단면과 마찰접촉하는 마찰구동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마찰구동부재를 회전시키는 전동기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옷감인장봉의 타측부를 밀어 상기 옷감인장봉의 일단면을 상기 마찰구동부재에 밀착시키는 마찰력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옷감인장장치{CLOTH TENSIONING DEVICE}
본 고안은 옷감인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셔츠 등의 전면 단추가 일렬로 배치되는 부분의 띠형상 옷감을, 열융착 작업시 긴장시키면서 배출을 안내하기 위한 옷감인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상의 셔츠에서 전면 단추가 일렬로 배치되는 부분의 띠형상 옷감(A)을 제작하기 위해 도 2와 같이, 내부에 심부재(2)를 삽입하고 그 심부재를 옷감(3)이 감싼 상태에서 박음질이 이루어진다.
이후, 심부재(2)를 포함하는 띠형상 옷감(1)은 열융착기에 의해 압착되면서 배출이 이루어진다. 그 과정에서 심부재(2)와 그 심부재(2)를 감싸는 옷감(3)은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 과정이 이루어지는 중, 열융착기의 한쌍의 융착롤에 의해 압착되어 배출되는 띠형상 옷감(1)은, 그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힘으로 당겨줌으로써 긴장시킬 필요가 있고, 이에 의해 한 쌍의 융착롤 사이에서 압착되어 배출되는 띠형상 옷감(1)이 한 쌍의 융착롤 사이로부터 수평상태로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그 배출이 원활할 수 있다.
종래에는 한쌍의 융착롤 사이에서 압착되어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띠형상 옷감(1)을 작업자가 잡아 당겨줌으로써, 그 띠형상 옷감(1)에 긴장력을 주고 배출이 원활하도록 하고 있었으나, 수작업의 특성상 작업효율이 낮고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5-0005221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13213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열융착장치 등을 통해 배출되는 긴 띠형상 옷감을 소정의 힘으로 당겨 긴장을 부여함으로써 그 옷감의 배출을 원활하도록 하고, 그 인장력의 크기를 소정의 크기 이하로 제한하여 부가함으로써 옷감을 보호할 수 있는 구조의 옷감인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옷감인장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봉받침대와, 양측의 상기 봉받침대에 올려지는 옷감인장봉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옷감인장봉의 일단면과 마찰접촉하는 마찰구동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마찰구동부재를 회전시키는 전동기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옷감인장봉의 타측부를 밀어 상기 옷감인장봉의 일단면을 상기 마찰구동부재에 밀착시키는 마찰력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찰력조절부재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된 나선공에 나선결합되는 나선봉과, 상기 나선봉의 일단에 설치된 핸들과, 상기 나선봉의 타단에 설치되고 첨단부를 가지는 접촉머리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나선봉이 전진함으로써 상기 접촉머리의 상기 첨단부가 상기 옷감인장봉을 상기 마찰구동부재에 밀착시키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옷감인장봉과 나란히 그 상측에 설치되는 봉형상의 옷감밀착봉과, 상기 옷감밀착봉의 양측에 결합되는 양측 지지바와, 상기 양측 지지바의 하단을 각각 상기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시키는 일측회전축 및 타측회전축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일측회전축 및 타측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옷감밀착봉이 선회하여 상기 옷감인장봉에 밀착 또는 이격될 수 있고, 상기 옷감밀착봉은 상기 일측회전축 및 타측회전축을 하강하는 방향으로 선회하여 상기 옷감인장봉에 자중에 의해 밀착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옷감인장장치는 열융착장치 등을 통해 배출되는 긴 띠형상의 옷감을 당겨 긴장을 부여함으로써 그 옷감의 배출을 원활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인력을 줄일 수 있고 생산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옷감인장장치는 띠형상 옷감에 부가하는 인장력의 크기를 소정의 크기 이하로 제한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진행이 원활하도록 하고 옷감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셔츠의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종래 셔츠의 전면에서 단추가 일렬로 설치되는 부분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옷감인장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옷감인장장치의 평면구성을 설명하는 구성설명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옷감인장장치의 측면구성을 설명하는 구성설명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옷감인장장치의 작업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옷감인장장치의 작업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옷감인장장치의 작업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옷감인장장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봉받침대(21,22)와, 양측의 상기 봉받침대(21,22)에 올려지는 옷감인장봉(30)과,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옷감인장봉(30)의 일단면(31)과 마찰접촉하는 마찰구동부재(40)와,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어 마찰구동부재(40)를 회전시키는 전동기(45)와, 상기 프레임(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옷감인장봉(30)의 타측부를 밀어 옷감인장봉(30)의 일단면(31)을 마찰구동부재(40)에 밀착시키는 마찰력조절부재(6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장치의 기초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지면에 착지하는 복수의 다리부재(13)에 의해 옷감인장봉(30), 마찰구동부재(40) 등이 작업자의 허리높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기 봉받침대(21,22)는 옷감인장봉(30)이 올려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부분으로써, 양측에서 각각 오목한 홈의 형태로 형성되어 옷감인장봉(30)의 양단이 걸쳐질 수 있도록 한다. 그 설치상태에서 옷감인장봉(30)은 마찰구동부재(40)의 회전에 따라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옷감인장봉(30)은 긴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면은 마찰구동부재(40)의 마찰면(41)에 면접촉하도록 일단면(31)이 형성되고, 타측은 마찰력조절부재(60)와 접촉하는 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마찰구동부재(40)는 프레임(10)의 일측에서 봉받침대(21)의 외측에 설치되어 옷감인장봉(30)의 일단면(31)과 마찰접촉한다.
옷감인장봉(30)의 일단면(31)과 접촉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마찰면(41)은 섬유재질의 표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옷감인장봉(30)의 일단면(31)과 접촉하여 마찰력에 의해 옷감인장봉(30)을 회전시, 옷감인장봉(30)이 마찰구동부재(40)의 회전에 저항하는 경우에 마찰면(41)에서 옷감인장봉(30)의 일단면(31)과 슬립이 발생한다.
이러한 슬립이 발생하는 경우는 옷감인장봉(30)이 당기는 띠형상의 옷감(1)에 큰 장력이 부가되는 상태이다. 따라서, 띠형상의 옷감(1)을 과도하게 당기지 않도록 마찰면(41)과 옷감인장봉(30)의 일단면(31)이 슬라이딩회전됨으로써 띠형상의 옷감(1)에 작용하는 긴장력이 소정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전동기(45)는 마찰구동부재(40)를 회전시키는 구동기로서, 전동기(45)의 피니언(46)과 마찰구동부재(40)의 스프로킷(48)이 체인(47)에 의해 연결되어 전동기(45)의 회전력이 마찰구동부재(40)의 회전력으로 전달된다.
상기 마찰력조절부재(60)는 프레임(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옷감인장봉(30)의 타측부를 밀어 옷감인장봉(30)의 일단면(31)을 마찰구동부재(40)에 밀착시키는 조절수단이다.
상기 마찰력조절부재(60)는 프레임(10)의 타측에 형성된 나선공에 나선결합되는 나선봉(61)과, 상기 나선봉(61)의 일단에 설치된 핸들(62)과, 상기 나선봉(61)의 타단에 설치되고 첨단부를 가지는 접촉머리(63)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62)의 회전에 의해 프레임(10)과 나선결합된 나선봉(61)이 전진함으로써 접촉머리(63)가 옷감인장봉(30)을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밀어내고 이에 따라, 마찰구동부재(40)의 마찰면(41)에 옷감인장봉(30)의 일단면(31)이 밀착된다.
상기 핸들(62)의 조절량에 따라 접촉머리(63)가 옷감인장봉(30)을 마찰면(41)에 밀착시키는 정도가 다르게 되므로, 마찰구동부재(40)의 마찰면(41)과 옷감인장봉(30)의 일단면(31)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은 옷감인장봉(30)이 띠형상 옷감을 긴장시키고 당길 때 인장력의 크기를 조절하게 하는 것으로서, 마찰력조절부재(60)에 의해 조절된 마찰력의 크기에 따라 띠형상 옷감(1)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크기가 제한되고, 그 제한된 인장력 이상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마찰구동부재(40)의 마찰면(41)과 옷감인장봉(30)의 일단면(31)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접촉머리(63)가 접촉하는 옷감인장봉(30)의 타측부에는 내부에 베어링(37)에 의해 자유회전가능한 회전부재(36)를 설치하고 그 회전부재의 타측면(36a)이 접촉머리(63)와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옷감인장봉(30)의 회전시 접촉머리(63)와 옷감인장봉(30)의 타측부가 마찰하지 않고, 옷감인장봉(30)의 내부에서 회전부재(36)가 베어링(37)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원활한 작동을 위해 바람직하다.
한편, 띠형상 옷감(1)이 옷감인장봉(30)에 밀착하여 인장될 수 있도록 옷감인장봉(30)과 나란히 그 상측에 설치되는 봉형상의 옷감밀착봉(71)이 설치된다.
옷감밀착봉(71)은 옷감인장봉(30)의 상측에서 옷감인장봉(30)을 자중에 의해 누르게 되므로 옷감인장봉(30)과 옷감밀착봉(71) 사이에서 옷감인장봉(30)을 감아 도는 띠형상 옷감(1)이 옷감인장봉(30)의 인장력을 받아 당겨지고 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옷감밀착봉(71)의 양측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양측 지지바(75)가 프레임(10)에 각각 설치되고, 양측 지지바(75)는 그 하단이 프레임(10)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일측회전축 및 타측회전축(76)에 의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일측회전축 및 타측회전축(76)을 중심으로 옷감밀착봉(71)이 선회하여 옷감인장봉(30)에 밀착되거나 이격동작할 수 있다.
상기 옷감밀착봉(71)을 지지하는 양측 지지바(75)에는 옷감밀착봉(71)이 상승했을 때, 그 상승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에 걸리는 스토퍼(77)가 설치되고, 상기 옷감밀착봉(71)이 일측회전축 및 타측회전축(76)을 하강하는 방향으로 선회하여 옷감인장봉(30)에 밀착시에는 자중에 의해 밀착된다.
옷감밀착봉(71)의 외측에는 양측 지지바(75)에 양단이 결합되는 바형상의 파지바(72)가 설치되어, 관리자는 파지바(72)를 잡고 일측회전축 및 타측회전축(76)을 중심으로 옷감밀착봉(71)을 선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옷감인장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열융착기 롤러(81,82)를 통해 열융착되어 배출되는 띠형상 옷감은 옷감인장봉(30)에 올려지고 옷감밀착봉(71)에 의해 옷감인장봉(30)에 압착된다.
사전에 마찰력조절부재(60)의 핸들(62)을 돌려 옷감인장봉(30)의 일단면(31)을 마찰면(41)에 밀착시키는 정도가 조절된다.
전동기(45)가 체인을 매개로 마찰구동부재(40)를 회전시키면 마찰면(41)과 옷감인장봉(30)의 일단면(31)의 마찰력에 의해 옷감인장봉(30)이 회전한다.
그 회전시 띠형상 옷감은 옷감인장봉(30)과 옷감밀착봉(71) 사이에 끼여 옷감인장봉(30)의 표면과 마찰하고 있으므로, 옷감인장봉(30)은 띠형상 옷감을 끌어당겨 후방으로 배출하게 된다. 후방으로 배출되는 띠형상 옷감은 보관용기(85)에 수용된다.
도 8은 띠형상 옷감을 후방으로 배출하지 않고 롤형상으로 감아 보관하기 위한 작업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을 위한 장치는 옷감밀착봉(71) 및 양측 지지바(75)가 제거되고, 봉받침대(21,22)에는 옷감인장봉(30)의 상측을 덮어 옷감인장봉(30)이 봉받침대(21,22)에서 상측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커버체(27)가 각각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옷감인장봉(30)에 롤심(1a)이 끼워져 고정된 후, 띠형상 옷감을 롤심(1a)에 감아 롤형상으로 감는 작업이 진행된다.
전동기(45)의 회전에 의해 옷감인장봉(30)이 회전하면, 띠형상 옷감(1)이 롤심(1a)에 감김에 따라 롤형상의 직경이 점차 증가하게 되므로, 전동기(45)의 동일한 회전속도에 대하여 띠형상 옷감(1)에 작용하는 인장력도 점차 커지게 된다.
그 롤형상의 직경이 점차 증가하여 띠형상 옷감(1)에 소정의 인장력 이상이 작용하면, 마찰면(41)이 옷감인장봉(30)의 일단면(31)을 회전시키지 못하고 상기 인장력에 의해 옷감인장봉(30)과 마찰면(41) 사이에는 슬립이 발생함으로써 옷감인장봉(30)이 소정의 설정된 인장력 이상이 옷감에 작용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슬립이 발생하는 옷감인장봉(30)과 마찰면(41) 사이의 마찰력 설정은 마찰력조절부재(60)에 의해 이루어지고 마찰력조절부재(60)의 핸들(62)을 회전시키는 회전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옷감 1a ; 롤심
10 ; 프레임 13 ; 다리부재
21,22 ; 봉받침대 27 ; 커버체
30 ; 옷감인장봉 31 ; 일단면
36 ; 회전부재 36a ; 타측면
37 ; 베어링 40 ; 마찰구동부재
41 ; 마찰면 46 ; 피니언
47 ; 체인 48 ; 스프로킷
45 ; 전동기 60 ; 마찰력조절부재
61 ; 나선봉 62 ; 핸들
63 ; 접촉머리 71 ; 옷감밀착봉
72 ; 파지바 75 ; 지지바
76 ; 타측회전축 77 ; 스토퍼
81,82 ; 롤러 85 ; 보관용기

Claims (3)

  1.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봉받침대(21,22)와,
    양측의 상기 봉받침대(21,22)에 올려지는 옷감인장봉(30)과,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옷감인장봉(30)의 일단면(31)과 마찰접촉하는 마찰구동부재(40)와,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상기 마찰구동부재(40)를 회전시키는 전동기(45)와,
    상기 프레임(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옷감인장봉(30)의 타측부를 밀어 상기 옷감인장봉(30)의 일단면(31)을 상기 마찰구동부재(40)에 밀착시키는 마찰력조절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감인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조절부재(60)는
    상기 프레임(10)의 타측에 형성된 나선공에 나선결합되는 나선봉(61)과,
    상기 나선봉(61)의 일단에 설치된 핸들(62)과,
    상기 나선봉(61)의 타단에 설치되고 첨단부를 가지는 접촉머리(63)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6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나선봉(61)이 전진함으로써 상기 접촉머리(63)의 상기 첨단부가 상기 옷감인장봉(30)을 상기 마찰구동부재(40)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감인장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옷감인장봉(30)과 나란히 그 상측에 설치되는 봉형상의 옷감밀착봉(71)과,
    상기 옷감밀착봉(71)의 양측에 결합되는 양측 지지바(75)와,
    상기 양측 지지바(75)의 하단을 각각 상기 프레임(10)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시키는 일측회전축 및 타측회전축(76)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일측회전축 및 타측회전축(76)을 중심으로 상기 옷감밀착봉(71)이 선회하여 상기 옷감인장봉(30)에 밀착 또는 이격될 수 있고, 상기 옷감밀착봉(71)은 상기 일측회전축 및 타측회전축(76)을 하강하는 방향으로 선회하여 상기 옷감인장봉(30)에 자중에 의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감인장장치
KR2020150006938U 2015-10-26 2015-10-26 옷감인장장치 KR201700015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938U KR20170001565U (ko) 2015-10-26 2015-10-26 옷감인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938U KR20170001565U (ko) 2015-10-26 2015-10-26 옷감인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565U true KR20170001565U (ko) 2017-05-10

Family

ID=58716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938U KR20170001565U (ko) 2015-10-26 2015-10-26 옷감인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565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221B1 (ko) 1991-04-30 1995-05-22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날로그 · 디지탈 혼재 집적회로
KR100413213B1 (ko) 2001-08-08 2003-12-31 주식회사 우양팀버라인 원단 접착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221B1 (ko) 1991-04-30 1995-05-22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날로그 · 디지탈 혼재 집적회로
KR100413213B1 (ko) 2001-08-08 2003-12-31 주식회사 우양팀버라인 원단 접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1337B2 (en) Blower type stretch wrapper module for coils
KR20120054638A (ko) 소방 호스 권취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소방 호스 권취 방법
JP2007532107A (ja) 牧草ベイルまたは同種物の包装装置
JPS6033809Y2 (ja) ロ−ルベ−ラにおけるトワイン巻付装置
KR20170001565U (ko) 옷감인장장치
US2556827A (en) Fishing rod wrapping machine
KR100797293B1 (ko) 코일 풀림에 의한 갭 발생 방지장치
CA1110062A (fr) Touffe a talon
JP4209910B2 (ja) ロールベーラにおけるフィルム繰出し装置、及びロールベールに対するフィルムの巻付け方法
CN210280655U (zh) 一种浇灌斗
US2008024503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ble Winding Apparatus
KR101009332B1 (ko) 언코일러
KR101296867B1 (ko) 톳 포자 줄감기장치
CN212245453U (zh) 一种消防水带自动卷带装置
KR20080105167A (ko) 용기의 충전물의 제조 방법 및 통형 네트의 권회 장치
JP6760877B2 (ja) 消防用ホース巻取具
JP6029166B2 (ja) ラップマシーン
JP2005095130A (ja) マルチフィルムの剥取・巻取両用装置および剥取装置
FR2466425A1 (fr) Procede et dispositif permettant l'ouverture de balles de fibres
JP2836513B2 (ja) 糸巻ボールの糸巻方法及び糸巻装置
JP3396653B2 (ja) マルチフィルム巻取り装置
US2842829A (en) Machine for making vine supporting nets
JP2001002012A (ja) 包装機における縦シール機構
US278099A (en) Charles confer
JP6402084B2 (ja) 帯状体の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