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480U -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480U
KR20170001480U KR2020170001701U KR20170001701U KR20170001480U KR 20170001480 U KR20170001480 U KR 20170001480U KR 2020170001701 U KR2020170001701 U KR 2020170001701U KR 20170001701 U KR20170001701 U KR 20170001701U KR 20170001480 U KR20170001480 U KR 201700014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receiver
wrist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7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4889Y1 (ko
Inventor
강선욱
김정규
Original Assignee
강선욱
김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선욱, 김정규 filed Critical 강선욱
Priority to KR20201700017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889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4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4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8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8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 형 무선송신기와 연동하여 건설현장의 용접 또는 용단 작업중에 발생하는 불꽃이 주변 스티로폼, 목재 등 가연성 물질 자재에 인화되어 화재발생시 음향과 불빛을 통해 소화기의 위치를 표시하여 쉽게 소화기를 찾을 수 있도록 하고, 화재현장을 벗어나지 않고 화재 초기 진화 대처와 동시에 발화장소 밖에 상주하고 있는 작업자에게 알려 신속히 대피할 수 있게 하는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공간을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는 본체부, 작업환경을 상시 영상녹화 및 저장하는 영상녹화부, 손목형 송신기와 연동하여 화재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와 주변 화재를 실시간 감시하는 연기감지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신호를 입력으로 소화기의 위치를 표시하고 화재 발생을 음향으로 알리는 표시부 및 주변 다른 장치에 동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중계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목 형 무선송신기와 연동하여 화재현장을 이탈하지 않고 표시부에 의하여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하여 신속한 화재 초기 진화와 상기 제어부에 형성되는 무선중계 부에 의하여 주변의 다른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 및 소화전을 동시에 제어하여 전역으로 확대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Portable fire fighting system}
본 발명은 건설현장 화재예방을 위한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 작업장에 본체를 비치하여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감지기와 작업자의 손목에 착용하는 송신기의 신호를 수신하여 경종에 의한 화재경보가 되도록 형성하고, 발신기를 통해 비상시 수동으로 경종을 동작시키며 표시등을 통해 불빛으로 소화기의 위치를 표시하고, 영상녹화 부를 통해 화재 발화지점 및 원인 규명을 할 수 있도록 상시 녹화 및 저장하고, 휴대형 비상조명이 본체의 외부에 거치 되어 대피 시 소지하여 충분한 조도로 신속히 대피할 수 있게 하고, 내부 무선중계 부를 통해 주변 다수의 장치를 제어하여 화재경보를 확대 전파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줄이게 하는 건설현장의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재발생시 초기진화 및 대피를 위하여 관련법에 준하여 일정규모 이상의 건축물에 대하여 소화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 경보설비, 비상조명설비, 비상방송설비, 제연설비 등을 시설해야 하고, 기준에 따라 옥내소화전과 속보 셋은 25m 이내의 간격으로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도 1과 같이 옥내소화전은 외함, 발신기, 표시등, 경종, 소화펌프 기동확인 등으로 구성되어 화재수신기, 소방펌프 제어함과 연동하도록 결선 및 소화용수를 공급받도록 배관 시공되며, 속보 셋의 내부는 외함, 발 신조, 표시등, 경종 등으로 구성되어 화재수신기와 연동하도록 결선 시공되어 있어 화재감지 및 소화활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소화기는 화재 초기단계에 소화제를 분사하여 불을 끌 수 있는 기구로서, 설치기준은 각층에 설치하되 특정 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1개의 소화기까지의 설치거리가 소형소화기는 20m이네, 대형소화기는 30m이내가 되도록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임시소방시설은 관련법에 의거 시공 중인 건축물 등에 대하여 화기를 취급하는 공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사전에 예방 및 대처하기 위하여 건설현장의 규모에 따라 경보시설 또는 소화시설 등으로 달리 적용하고 있다.
건설공사의 용접 또는 용단 작업 중에 발생하는 불꽃이 주변 스티로폼, 목재 등 가연성 물질 자재에 인화되어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를 알리기 위하여 현장을 벗어나야 하는 등 화재 초기진화 대처에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재발방지 및 화재예방을 위하여 원인을 규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출원문헌 1에는 경보장치가 내장된 소화기 함으로 소화기를 빼면 자동으로 화재경보가 울려 대피할 수 있도록 구성이 기재되어 있고, 출원문헌 2에는 사설교환기를 이용하여 건설현장에 긴급 상황발생 시 특정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는 구성원들에게 동시에 신속히 알릴 수 있는 경보시스템으로 구성이 기재되어 있고, 특허문헌 3에는 별도의 전원선이 필요없이 건축물에 자유롭게 설치 가능한 자립형 화재경보기로 배터리 내장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성들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1. 한국출원특허 제10-2010-0039292호(2010년 4월 28일) 2. 한국출원특허 제10-2012-0140151호(2012년 12월 5일) 3. 한국등록특허 제10-1578895호(2015년 12월 14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를 건설현장의 용접 및 용단 작업 중에 발생하는 불꽃이 주변 스티로폼, 목재 등 가연성 물질 자재에 인화되어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감시하고, 상시 영상 녹화로 작업 환경을 저장하고, 화재시 작업자의 손목에 착용하고 있는 송신기와 연동하여 음향과 불빛으로 소화기의 위치를 표시하여 쉽게 소화기를 찾을 수 있도록 하고, 화재현장을 벗어나지 않고 화재 초기 진화 대처와 동시에 발화장소 밖에 상주하고 있는 작업자들에게 알려 신속히 대피할 수 있게 하는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는, 작업자의 업무에 지장이 없도록 하고 간편한 조작이 가능한 손목 형 송신기; 자립으로 설치할 수 있는 본체부; 소화기가 수납되는 수납공간; 현장 여건에 따라 이동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와 바퀴; 상기 손목 형 송신기와 연동하여 소화기의 위치 및 화재 발생을 알리는 표시부 및 손목 형 송신기와 연동하여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화재 발생시 상기 표시부에 의하여 경종이 울리고 소화기 위치확인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목 형 무선송신기의 화재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제어부를 통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에 형성되는 무선중계 부에 의하여 주변의 다른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 및 외장형 무선수신기에 의한 소화전을 동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측에 형성되어 상시 영상 녹화 및 저장으로 작업 환경 및 화재시 원인 규명을 위한 내열구조를 갖는 영상 녹화 부와 수동으로 화재 발생을 알릴 수 있는 발신기 및 신속한 대피를 위하여 필요한 휴대형 비상조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설현장의 필수시설인 임시 소방시설이 이동형으로 현장 여건에 적합하게 설치 가능하며, 화재 발생시 발화 또는 발견 장소에서 작업자의 손목에 착용하는 휴대가 간편한 손목 형 무선송신기와 연동하여 화재경보 및 소화기의 위치를 음향과 불빛으로 표시하므로 소화기를 쉽게 찾을 수 있어 화재 발생시 작업자가 현장을 벗어나지 않고 화재 대응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다.
또한, 비상시 주변의 다른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를 연동하여 화재경보와 불빛을 출력함으로써 발화장소 밖에 상주하고 있는 작업자들에게 알려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형 비상조명으로 대피가 용이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영상녹화 부를 통해 상시 영상을 녹화 및 저장함으로써 화재 발화지점 및 원인을 규명할 수 있어 재발방지 및 화재예방 등으로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는 소화전, 속보 셋 및 화재수신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의 전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 형 송신기 및 외장형 무선수신기를 나타낸 사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의 모둠 제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의 전면 구성을 나타낸 사시 도로서, 도 2a는 내부에 소화기가 수납되는 수납공간(2)이 형성된 본체부(1); 본체부(1) 상부에 형성되어 화재경보 수동 발신기(20) 및 표시등(40) 및 경종(41), 휴대형 비상조명(50), 리셋누름스위치(60), 영상녹화부(83)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 상부에 손목 형 송신기(100)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외부안테나(70) 및 이동을 위한 손잡이(4), 하부에 바퀴(3) 및 바퀴베이스(3a)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 상부 내에 형성되는 수신부(81)와 연결되어 제어하는 제어부(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b는 상기 본체부(1) 일측면에 형성되어 외부 타 시설과 연결되는 외부연결부(30)에 형성된 확대 도면으로서, 주변의 화재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기(30a) 및 옥내소화전 결속단자(30b), 외부에서 전력 공급을 받도록 하는 플러그(30c)로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 형 송신기 및 외장형 무선수신기를 나타낸 사시 도로서, 도 3a는 손목 형 무선송신기(100)로 일측에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비상버튼(100a)이 형성되고 작업자 또는 이용자의 손목에 부착할 수 있는 손목 밴드(100b)로 구성된다.
도 3b는 외장형 무선수신기(200)로 본체부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200a), 수신기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버튼(200b)과 소화전의 표시등과 발신기를 연결하는 출력단자(200c)으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제어부(82)는 본체 부(1)의 내부에 내장되며, 표시부(91)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통해 표시부(91) 및 무선중계기(90)의 동작을 제어하고, 본체 부(1)의 전면에 형성되는 표시부(91)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통해서 표시부(91)에서 음향 및 불빛으로 화재상황을 알리고 소화기의 위치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82)에는 수신부(81)가 연결되어 외부에서 전송되는 화재신호를 수신받아 자동으로 화재상황을 표시부(91)를 통해 알리고, 영상녹화 부(83)와 연결되어 상시 녹화 및 저장하고, 주변 타 본체부(1) 및 외장형 무선수신기(200)를 무선중계기(90)를 통해 상황을 확산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영상녹화 부(83)는 화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글라스 울로 보양하고 마감을 철판으로 하는 이중 방열구조로 한다.
상기 수신부(81)는 외부 손목 형 송신기(100)에서 전송되어 화재신호를 수신받는 무선수신부(10), 본체 부(1)에 구성되는 발신기(20) 및 연기감지기(31)의 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부(82)로 전송한다.
상기 표시부(91)는 본체 부(1)의 상측 외 측면에 형성되며, 음향을 출력하는 경종(41)과 불빛을 출력하는 표시등(40)으로 구성되며, 표시등(40)은 글씨나 문양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제어부(82)의 제어신호를 통해 경종(41)에서 대피 타종 음이 출력될 때 동시에 표시등(40)에서 소화기의 위치를 알리는 불빛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82)와 연결되어 전력을 인가하는 전원은 옥내소화전 또는 속보 셋의 전원을 이용하여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성되는 외부 전원(30c)이 연결되어 전원부(93)를 통해 사용될 수 있으며, 비상시 외부의 전원이 차단되면 제어부(82), 무선중계기(90) 및 표시부(91)로 전원을 인가하는 보조 배터리(94)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93)와 연결되어 상시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형비상조명(50) 및 조명충전부(92)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동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의 모둠 제어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다수의 작업자가 소지하는 손목 형 무선송신기(100) 및 다수의 작업공간에 설치하는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본체(5), 다수의 기존 소방시설에 설치되는 외장형 무선수신기(200)와 연동하여 모둠제어가 무선통신망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건설현장의 화재예방을 위하여 임시 소방시설을 무선 반경 내에 설치하므로 용접, 용단 등의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으며, 작업환경의 영상을 상시 녹화 및 저장함으로써 원인규명 및 화재예방에 기여하고, 소화기의 위치를 음향과 불빛으로 표시하므로 화재 발생시에도 소화기를 쉽게 찾을 수 있고, 화재 발생시 발화지점 또는 초기 발견자가 현장을 벗어나지 않은 채 손목에 착용하는 무선송신기로 화재를 알림으로서 화재 대응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화재를 초기 진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장형 무선수신기에 의해 주변 기존 소방시설을 이용하여 비상상황을 쉽게 널리 전파할 수 있도록 하고, 비상시 휴대형 비상조명을 사용할 수 있어 충분한 조도 확보로 대피가 용이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 예들은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 : 본체부 2 : 수납공간
3 : 바퀴 3a : 바퀴베이스
4 : 손잡이
5 : 이동형 소방시설 본체
10 : 무선수신부
20 : 발신기
30 : 외부 연결부 30a : 연기감지기
30b : 옥내소화전 결속단자 30c : 플러그
40 : 표시등 41 : 경종
50 : 휴대형 비상조명
60 : 리셋누름스위치
70 : 외부 안테나
81 : 수신부 82 : 제어부 83: 영상녹화 부
84 : 전원부 85 : 보조 배터리
90 : 무선중계부 91 : 표시부 92: 조명충전부
100 : 손목형 무선송신기 100a : 비상버튼 100b : 손목밴드
200 : 외장형 무선수신기 200a : 시험버튼 200b : 안테나
200c : 출력 단자

Claims (5)

  1. 노출 설치되고 소화기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는 다수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 및 발신기와 연기감지기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수신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어 상시 영상녹화 및 저장하는 영상녹화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손목 형 무선송신기와 연동하여 무선중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무선중계부에 의해 화재신호를 재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 형 무선송신기의 비상버튼을 누름으로써 화재신호를 송출하고 다수의 손목 형 무선송신기의 화재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중계부는 다수의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 및 외장형 무선수신기를 동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녹화 부는 본체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시 영상녹화 및 저장하고, 화염에 의한 열기를 차단하는 내열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소화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
KR2020170001701U 2017-04-06 2017-04-06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 KR2004848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701U KR200484889Y1 (ko) 2017-04-06 2017-04-06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701U KR200484889Y1 (ko) 2017-04-06 2017-04-06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480U true KR20170001480U (ko) 2017-04-26
KR200484889Y1 KR200484889Y1 (ko) 2017-11-03

Family

ID=58669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701U KR200484889Y1 (ko) 2017-04-06 2017-04-06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88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2502A (zh) * 2017-12-04 2019-06-11 河北高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防空警报中央控制器
JP2020086714A (ja) * 2018-11-20 2020-06-04 能美防災株式会社 装置
KR102499245B1 (ko) * 2022-03-21 2023-02-14 (주)나라기술단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962B1 (ko) 2019-08-28 2022-05-25 주식회사 덕양에코 임시소방시설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117Y1 (ko) * 2003-04-11 2003-08-21 정희윤 진화기 식별용 소방시설
KR20100039292A (ko) 2007-05-29 2010-04-15 베로사이언스, 엘엘씨 대사 증후군, 제2형 당뇨병, 비만 또는 전당뇨병을 위한 치료학적 치료
KR20100087412A (ko) * 2009-01-27 2010-08-05 정석종 화재 대처 시스템과 시설
JP2011100366A (ja) * 2009-11-09 2011-05-19 Yoshitatsu Kogyo:Kk 携帯型警報装置
KR20120140151A (ko) 2011-06-20 2012-12-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잉곳 제조 장치
KR101538478B1 (ko) * 2014-11-28 2015-07-22 (주)티에스티 소화용 지능형 로봇
KR101578895B1 (ko) 2015-07-07 2015-12-18 (주)도명디앤이 자립형 화재경보기
KR20170001769A (ko) * 2015-06-25 2017-01-05 지엠아이티 주식회사 이동형 모니터링 장치
KR20170029134A (ko) * 2015-09-07 2017-03-15 김정현 위치 알림 소화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117Y1 (ko) * 2003-04-11 2003-08-21 정희윤 진화기 식별용 소방시설
KR20100039292A (ko) 2007-05-29 2010-04-15 베로사이언스, 엘엘씨 대사 증후군, 제2형 당뇨병, 비만 또는 전당뇨병을 위한 치료학적 치료
KR20100087412A (ko) * 2009-01-27 2010-08-05 정석종 화재 대처 시스템과 시설
JP2011100366A (ja) * 2009-11-09 2011-05-19 Yoshitatsu Kogyo:Kk 携帯型警報装置
KR20120140151A (ko) 2011-06-20 2012-12-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잉곳 제조 장치
KR101538478B1 (ko) * 2014-11-28 2015-07-22 (주)티에스티 소화용 지능형 로봇
KR20170001769A (ko) * 2015-06-25 2017-01-05 지엠아이티 주식회사 이동형 모니터링 장치
KR101578895B1 (ko) 2015-07-07 2015-12-18 (주)도명디앤이 자립형 화재경보기
KR20170029134A (ko) * 2015-09-07 2017-03-15 김정현 위치 알림 소화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2502A (zh) * 2017-12-04 2019-06-11 河北高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防空警报中央控制器
CN109872502B (zh) * 2017-12-04 2024-01-26 河北高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防空警报中央控制器
JP2020086714A (ja) * 2018-11-20 2020-06-04 能美防災株式会社 装置
KR102499245B1 (ko) * 2022-03-21 2023-02-14 (주)나라기술단 건축물 소방용 옥내 소화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889Y1 (ko) 2017-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774B1 (ko) 스마트 소방 대피 시스템
KR200484889Y1 (ko)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
KR101792766B1 (ko)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
KR101841761B1 (ko)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KR101728521B1 (ko)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45009B1 (ko)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
CA3012300A1 (en) Social safety network system having portable light for both wireless disaster fire detection and crime prevention
KR101439860B1 (ko)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KR101765524B1 (ko) 사물인터넷을 활용하여 멀티경보가 가능한 휴대용 소화기 거치대
KR102103631B1 (ko) 안전 기구함
JP2005520074A (ja) 安全システム
KR101765330B1 (ko) 임시소방장치가 수용된 이동카트 및 이를 이용한 화재관리시스템
KR101807265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102224167B1 (ko) 임시소방설비용 비상경보장치
KR102054319B1 (ko) 임시소방설비용 비상경보장치
KR101658710B1 (ko)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
KR102084845B1 (ko) 화재대응 방송방법 및 방송장치
JP7149746B2 (ja) 位置情報システム
KR101970986B1 (ko) 소화기 작동 감지 시스템
KR200466854Y1 (ko) 화재 발생 표시 및 진압 박스
KR200358354Y1 (ko) 소화기 지지대 음성 전달 장치
KR20100123351A (ko) 실시간 화재감지용 수신기,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그 감지방법
KR20210025773A (ko) 임시소방시설
KR102409440B1 (ko) 화재 감지와 화재 경보 및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멀티 기능 소화 장치
JP2019012343A (ja) 消火器誘導システム、火災報知器用アダプタおよび消火器用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