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7412A - 화재 대처 시스템과 시설 - Google Patents

화재 대처 시스템과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7412A
KR20100087412A KR1020090006385A KR20090006385A KR20100087412A KR 20100087412 A KR20100087412 A KR 20100087412A KR 1020090006385 A KR1020090006385 A KR 1020090006385A KR 20090006385 A KR20090006385 A KR 20090006385A KR 20100087412 A KR20100087412 A KR 20100087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alarm
location
function
extingui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종
Original Assignee
정석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종 filed Critical 정석종
Priority to KR1020090006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7412A/ko
Publication of KR20100087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4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 Alarm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안전분야다.
화재시 소화기구의 위치를 찾지못해 사고가 커지는 경우가 많다.
이런 문제를 소화기구의 위치를 알려주고 화재 발생 장소를 알려주는 위치 알림 시스템과 화재발생 때 화염과 유독가스를 위한 마스크 및 보호대가 소화전과 같이 구비되어 있으면 해결될 수 있다.
시스템이 비교적 간단하고 기능이 용이하여 화재발생 시 빠른 대처로 연결이 되어 화재진압과 안전도가 높아지는 필수적 효과가 있다.
화재 방지, 방화 시스템, 소화전 안내, 화재 위치, 화재 마스크

Description

화재 대처 시스템과 시설 {Fire Managing System and Equipment}
본 발명은 화재시 소화기구를 쉽게 발견하게 하기 위한 화재 안전에 관한 발명이다.
각 구역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와 경보기가 작동됨으로 발신된 신호가 각 소화기구 부착된 위치 알림 경보를 작동시켜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시스템이다.
위치 알림 경보는 시각과 청각적으로 발견이 용이한 방식이다. 소화기구를 발견한 후에는 위치 알림 기능을 전환하여 신호발신 경보기나 감지기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게 안내해주는 기능이다.
작동된 화재 감지기 또는 화재 경보기가 지속적으로 신호를 보내면 소화기구 사이의 거리로 소화기구를 사용하는 이가 다가가는지 멀어지는지 감지하여 알려주는 방식과 디스플레이가 달려 직접 방향을 보여주는 방식이다.
화재발생 지역에서 온 사람의 경우는 두 번째 기능인 화재근원지 알림 기능을 필요 없을 경우 정지시킬 수 있다.
같은 기술을 발견하지 못함
화재가 막상 발생하면 본 장소에 익숙한 사람조차 당황하거나 대피에 다급해 소화기와 같은 시설을 갖추고도 배치 장소를 기억하지 못하여 피해가 커진다.
특히 어두운 곳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절전이 되면 아무것도 찾지 못해 인적 또는 물적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다.
화재 대체 시스템과 시설을 통해 화재의 더 큰 사고를 막을 수 있다.
종래의 기술의 중점은 대부분 화재를 알리고 대피하는데 치중한 시스템이며 소방 법규상 화재진압을 위한 소화기구를 곳곳에 구비하고도 화재시에는 경황이 없어 사용조차 못해보는 경우가 허다하다.
본 발명의 시설을 설치하면 쉽게 소화기의 위치를 발견하고 화재시 당연히 발생 되는 화염과 절전 등의 상황에서 화재진압에 필요한 장비가 같이 구비되어 화재진압의 효율이 높아져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소방관리 시설이 있는 경우에는 본 시스템의 기능을 추가하여 화재경보기와 화재감지기 그리고 각 소화기구에 설치하고 새로이 설치가 필요한 곳은 기존 화재 경보 대피 시설과 두 시스템을 합친 일체형으로 된 시설을 설치한다.
화재진압에 꼭 필요한 장비로 화재용 마스크, 화재용 장갑을 소화기구에 같이 배치한다. 화재 경보가 울리는 동시에 소화기구의 위치를 알려주어 쉽게 발견하고 다시 화재장소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시스템이다.
제1도는 화재경보기 작동을 중심으로 한 시스템의 구조도
제2도는 화재감지기 작동을 중심으로 한 시스템의 구조도

Claims (3)

  1. 화재 대응 시스템은 일반 화재 경보 및 대피 안내 시스템에 부족한 기능을 추가한 기능으로 기존 기능에 별도로 추가되거나 기존 기능과 혼합형으로 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은 화재감지기와 화재 경보기(10)에 발신 기능이 추가되어 화재가 발생시 신호를 발신하고 소화기구에 설치된 위치 알림 기능(20)이 작동이 되어 경보음과 경보등이 위치를 알리게 된다.
    여기서 화재 경보기를 작동시킨 이(가)의 경우 위치 알림 경보를 따라 소화기구를 발견하여 (나)의 경로처럼 화재발생 장소로 바로 찾아가게 된다.
    당 화재 장소 내에 있는 모든 사람이 이 소화기구의 위치 알림을 통해 쉽게 소화기구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소화기구 발견자가 설치대에서 소화기구를 꺼내게 되면 위치 알림 기능은 화재발생 장소 알림 기능으로 전환되는 방식이다.
    도면 1에 (다)와 (라)의 경로와 같이 화재장소를 모르는 사람의 경우 소화기구를 우선 발견하고 다시 화재경보가 울리는 장소로 위치 안내 기능의 도움으로 화재발생장소에 어렵지 않게 도작하게 된다.
    고정이 되어있는 화재감지기와 화재경보기는 상시전원과 비상 배터리로 유지되며 소화기구는 이동이 용이하여야 하므로 위치 알림 기능의 전원은 휴대폰 거치대 같이 되어 전원이 들어와 충전 배터리로 유지되는 방식이다.
    사용을 위해 분리하면 소화기구의 위치를 알려주던 경보는 화재가 발생하여 신호를 보내고 있는 화재 감지기 또는 경보기 장소로 안내하는 방식이다.
    청구하는 부분은 시스템과 기능부분이며 시설 생산의 기술부분은 본 청구에 포함하지 않는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소화기구에 부착된 위치 알림의 상세한 기능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각각의 감지기와 경보기 내의 발신기는 화재로 작동되거나 사람이 화재를 발견하여 인위적으로 작동이 된 기기만이 신호를 지속적으로 보내게 되는데 이 신호는 소화기구에 달린 위치 알림 기능이 추적을 할 수 있는 신호다.
    신호를 받은 소화기구에 장착된 기기가 화재 근원지 쪽으로 안내해주는 기능은 두 가지 방식으로 안내를 해주는 기능이다.
    하나는 신호를 발신하는 경보기 또는 감지기와 소화기구 사이의 거리를 감지해서 가까워지거나 멀어질수록 알림 표시가 바뀐다.
    예를 들어 멀어질수록 위험신호와 같은 소리나 빛을 내고 가까워질수록 소리나 빛이 줄어드는 식의 안내기능이다.
    이외의 기능은 발신신호의 방향을 화면이 부착되어 있는 모델로 직접 신호가 오는 방향을 보여주는 방식이다.
  3.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진압을 하려는 이들에게 꼭 필요한 시설과 장비가 있 다. 소화기구를 사용할 사람이 화재시 발생하는 가스 흡입을 막는 마스크와 화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내열장갑 및 보호복이다.
    마스크의 경우 어둠에서도 볼 수 있는 탈착 가능한 전등과 산소통이 연결된 장비이다.
    전등의 경우 배터리를 사용하게 되며 방전되지 않게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력에 연결이 되어 충전되는 모델이어야 한다.
    소화기구를 사용하는 상황에 전등을 따로 들고 있기가 용이하지 못할 수 있어 마스크에 같이 착용이 되는 모델이어야 용이하다.
    산소통의 경우는 화재 발생 장소에서 더 큰 화재나 폭발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고열과 충격에 문제없는 품질의 제품이 필수다.
KR1020090006385A 2009-01-27 2009-01-27 화재 대처 시스템과 시설 KR201000874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385A KR20100087412A (ko) 2009-01-27 2009-01-27 화재 대처 시스템과 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385A KR20100087412A (ko) 2009-01-27 2009-01-27 화재 대처 시스템과 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412A true KR20100087412A (ko) 2010-08-05

Family

ID=42753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385A KR20100087412A (ko) 2009-01-27 2009-01-27 화재 대처 시스템과 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741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480U (ko) * 2017-04-06 2017-04-26 강선욱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
CN106924917A (zh) * 2017-04-18 2017-07-07 广州市蓝彩实业有限公司 一种手提式干粉灭火器智能管理箱
KR101838516B1 (ko) * 2017-12-28 2018-03-1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발전소 스마트 화재발생 알리미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480U (ko) * 2017-04-06 2017-04-26 강선욱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
CN106924917A (zh) * 2017-04-18 2017-07-07 广州市蓝彩实业有限公司 一种手提式干粉灭火器智能管理箱
KR101838516B1 (ko) * 2017-12-28 2018-03-1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발전소 스마트 화재발생 알리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3926U (ja) スマートセーフティプロテクト統合システム機器
KR101634207B1 (ko)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비상 탈출 시스템
KR101309747B1 (ko) 붕괴 및 화재에 따른 인명 조난 구조 시스템
KR101841761B1 (ko)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KR101439860B1 (ko) 실시간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CN104063982A (zh) 一种智能报警、疏导和灭火系统
JP4381767B2 (ja) 防災総合システム
JP6395395B2 (ja) 支援システム
CN102945584A (zh) 面向危险化学品生产领域的智能化消防监控系统
CN103949019A (zh) 配置有压力平视系统的空气呼吸器
KR101644084B1 (ko)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통제시스템
KR20190094672A (ko) 무선 화재경보시스템 및 방법
CN112037456A (zh) 一种设备联动灯具自动控制系统
CN111292511A (zh) 一种事故预警方法及系统
KR100794730B1 (ko) 산불 자동음성문자 무인 감지장치 및 그 무인 감지 시스템
KR20100087412A (ko) 화재 대처 시스템과 시설
CN203842196U (zh) 配置有压力平视系统的空气呼吸器
KR101807265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765330B1 (ko) 임시소방장치가 수용된 이동카트 및 이를 이용한 화재관리시스템
CN106530646A (zh) 一种消防监控报警设备
KR101123488B1 (ko) 선박의 화재 및 침수사고를 예방하고 대처하는 능동형 안전시스템
KR101663786B1 (ko) 공동주택의 소방관리와 감시시스템
KR101658710B1 (ko)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
KR102409440B1 (ko) 화재 감지와 화재 경보 및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멀티 기능 소화 장치
CA2900585A1 (en) Intelligent evacuation rout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