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227U - 곤포재 및 곤포체 - Google Patents

곤포재 및 곤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227U
KR20170001227U KR2020160001227U KR20160001227U KR20170001227U KR 20170001227 U KR20170001227 U KR 20170001227U KR 2020160001227 U KR2020160001227 U KR 2020160001227U KR 20160001227 U KR20160001227 U KR 20160001227U KR 20170001227 U KR20170001227 U KR 201700012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ntainer body
spacer
corner
fatig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4226Y1 (ko
Inventor
카즈히코 다케미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12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2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2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2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8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for electrical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Abstract

상이한 종류의 피곤포물용 스페이서가 수납 오목부 내에 공존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구조의 곤포재를 제공한다. 곤포재는 제1 피곤포물과 제2 피곤포물 중 어느 1종을 선택하여 곤포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납 오목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20)와, 용기 본체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제1 피곤포물(P1)에 따른 형상을 갖는 측변 완충 부재(40)와, 용기 본체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제2 피곤포물(P2)에 따른 형상을 갖는 모서리부 보호 부재(30)를 구비하고 있다. 측변 완충 부재(40)와 모서리부 보호 부재(30)는 수납 오목부 내에 배치했을 때, 측변 완충 부재의 삽입부(42)와 모서리부 보호 부재의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34)가 서로 공통의 위치인 오목홈(21b) 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곤포재 및 곤포체{PACKAGING MATERIAL AND PACKAGE}
본 고안은 직사각형상의 패널을 갖는 적어도 2종류의 피곤포물 중 어느 1종을 선택하여 곤포하는데 바람직한 곤포재 및 곤포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재로서 용기 본체와 덮개체가 사용되고 있다. 용기 본체의 상부에는 개구부를 통해 피곤포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덮개체는 이 수납 오목부로부터 노출된 피곤포물을 덮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유리 기판 등의 직사각형상의 패널을 갖는 피곤포물을 곤포할 때는 합지를 개재하여 동일한 크기의 패널을 여러겹 적층시켜, 용기 본체의 수납 오목부에 수용한다. 이 때, 상이한 크기의 복수종의 패널 중 어느 1종을 선택하여 복수장 수납 오목부에 수용할 때는 패널의 종류(크기)에 따른 수납 오목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를 준비해야만 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예를 들면, 곤포시에 있어서의 패널의 측변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수용되는 패널의 크기에 따른 형상을 갖는 스페이서를 사용하고, 당해 스페이서를 수납 오목부의 내측 벽면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감합시킨 곤포재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이, 설령 상이한 종류의 패널 중 어느 1종의 패널을 선택하고, 복수장 적층시켜 곤포하는 경우여도, 이 선택한 종류의 패널의 크기에 따라, 스페이서를 선택하여 수납 오목부 내에 감합시키면 되기 때문에, 공통된 용기 본체 및 덮개체를 겸용하여 이것들을 곤포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80062호
예를 들면, 특정 크기의 패널을 갖는 피곤포물의 곤포에 사용하고 있던 곤포재를 패널의 크기가 상이한 다른 피곤포물의 곤포에 사용하는 경우에, 스페이서를 피곤포물용에서 다른 피곤포물용으로 교환하는 작업이 필요하지만, 이 때, 피곤포물용 스페이서를 제거하는 것을 잊어 버리고, 그대로 다른 피곤포물용 스페이서를 장착할 우려가 있다. 피곤포물용 스페이서가 수납 오목부 내에 남은 상태로는 다른 피곤포물에 대응되지 않기 때문에, 수납 오목부에 다른 피곤포물을 수납할 수 없어, 다른 피곤포물의 수납 작업이 중단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상이한 종류의 피곤포물용 스페이서가 수납 오목부 내에 공존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구조의 곤포재와, 이것을 사용한 곤포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본 고안에 따른 곤포재는 직사각형상의 패널을 갖는 제1 피곤포물과, 당해 제1 피곤포물과는 외형이 상이한 직사각형상의 패널을 갖는 제2 피곤포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2종류의 피곤포물 중 어느 1종을 선택하여 곤포하기 위한 곤포재로서, 상기 곤포재는 상기 피곤포물을 복수 적층시켜 수평으로 수납 가능한 수납 오목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당해 용기 본체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수납 오목부 내에서 상기 제1 피곤포물의 패널의 측변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피곤포물의 패널의 크기에 따른 형상을 갖는 제1 스페이서와, 상기 용기 본체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수납 오목부 내에서 상기 제2 피곤포물의 패널의 측변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피곤포물의 패널의 크기에 따른 형상을 갖는 제2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용기 본체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페이서가 장착되는 장착 영역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스페이서가 장착되는 장착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 본체에 있어서 제1 스페이서의 장착 영역 중 적어도 일부와, 제2 스페이서의 장착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어 있으므로, 제1 스페이서와 제2 스페이서를 용기 본체에 장착했을 때 제1 스페이서 중 적어도 일부와 제2 스페이서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복된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스페이서와 제2 스페이서의 양쪽 모두를 장착하고자 하면, 서로 간섭하여, 제1 스페이서와 제2 스페이서가 수납 오목부 내에 공존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페이서와 제2 스페이서 중 어느 일방을 장착한 상태로, 추가로 타방이 장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수납 오목부에 수납하는 피곤포물에 대해 적합한 스페이서를 장착할 때, 부적합한 스페이서가 잔존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어, 그대로 수납 작업이 행해지는 것을 미연에 막아, 작업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곤포재에서는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수납 오목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오목홈과, 당해 오목홈과 연통하여 상기 수납 오목부의 구석부에 형성된 구석부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제1 스페이서는 상기 오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고, 상기 제2 스페이서는 상기 구석부 오목부에 감합하는 감합부와, 당해 감합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오목홈 내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제1 스페이서의 일부인 삽입부와 제2 스페이서의 일부인 돌출부가 서로 공통의 위치인 오목홈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스페이서와 제2 스페이서 양쪽 모두를 장착하고자 하면, 서로 간섭하여, 제1 스페이서와 제2 스페이서가 수납 오목부 내에 공존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이한 종류의 패널용 스페이서가 수납 오목부 내에 공존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곤포재로서, 제1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2는 곤포재의 용기 본체와 측변 완충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곤포재로서, 제2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4는 곤포재의 용기 본체와 모서리부 보호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측변 완충 부재를 용기 본체에 장착한 상태와 모서리부 보호 부재를 용기 본체에 장착한 상태의 부분적 상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곤포재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곤포재로서, 제1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고, 도 2는 곤포재의 용기 본체와 측변 완충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곤포재로서, 제2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고, 도 4는 곤포재의 용기 본체와 모서리부 보호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측변 완충 부재를 용기 본체에 장착한 상태와 모서리부 보호 부재를 용기 본체에 장착한 상태의 부분적 상면도이다.
<전체 구조>
곤포재(1)는 직사각형상의 패널을 갖는 피곤포물을 곤포하기 위한 곤포재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패널(Pa1)을 갖는 제1 피곤포물(P1)과, 당해 제1 피곤포물(P1)과는 외형이 상이한 직사각형상의 패널(Pa2)을 갖는 제2 피곤포물(P2)을 포함하는 적어도 2종류의 피곤포물 중 어느 1종을 선택하고, 선택한 1종의 피곤포물을 복수장 중첩시켜 곤포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피곤포물(P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패널(Pa) 중 1개의 장변부(측변부)(Ps1)에 플렉시블 회로(필름 회로)(Pf)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Pb)이 접속된 구성을 갖고 있고, 제2 피곤포물(P2)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패널(Pa)의 1개의 장변부(Ps1)와 1개의 단변부(측변부)(Ps2)에 각각 플렉시블 회로(필름 회로)(Pf)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Pb)이 접속된 구성을 갖고 있다.
곤포재(1)는 덮개체(10)와, 용기 본체(20)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체(10) 및 용기 본체(20)의 재질로는 열가소성 수지의 발포 성형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락트산), 또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단일 수지나 복수의 수지를 복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피곤포물이 유리 패널이나 전자 부품인 경우에는 대전 방지 처리된 발포용 원료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주) 제조의 EPS(에슬렌(등록상표) 비즈 NSDLM), 피오셀란(등록상표) L시리즈(LP-30ENTR 등), O시리즈(OP-15ENS), S시리즈(SP-40DNT) 등을 들 수 있다.
<덮개체>
덮개체(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변 방향 및 장변 방향의 치수가 용기 본체(20)의 치수와 일치되어 있다. 덮개체(10)의 이면측의 외주연(11)은 볼록선이 되도록 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후술하는 수납 오목부(21)의 개구 단부(개구부)(22a)의 외측에 형성된 외연 홈(22b)에 감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20)의 수납 오목부(21)에 형성된 개구 단부(22a)를 밀폐하도록, 덮개체(10)로 용기 본체(20)를 덮을 수 있다.
<용기 본체>
용기 본체(20)는 직사각형상의 바닥부(23)와, 바닥부(23) 둘레로부터 기립하는 측벽부(24)를 갖고 있고, 용기 본체(20)의 중앙에는 바닥부(23) 및 측벽부(24)에 의해, 피곤포물을 수평으로 수납 가능한 수납 오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 오목부(21)는 피곤포물(P1)이 놓여지는 직사각형의 바닥면(21a)을 갖고 있다. 수납 오목부(21)의 바닥면(21a)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부(24)를 따라 오목홈(21b, 21d)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오목홈(21b)은 용기 본체(20)의 장변 방향 양측으로 나뉘어 쌍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고, 수납 오목부(21)에 수납되는 제1 피곤포물(P1)의 형상에 적합한 스페이서인 측변 완충 부재(제1 스페이서)(40)가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용기 본체(20)의 단변 방향 일방측이고, 또한, 장변 방향 양단부에는 구석부 오목부(21f)가 형성되어 있다. 구석부 오목부(21f)에는 모서리부 보호 부재(30)가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구석부 오목부(21f)의 바닥면은 수납 오목부(21)의 바닥면(21a)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후술하는 모서리부 보호 부재(30)를 용기 본체(20)의 구석부 오목부(21f)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감합할 수 있음과 함께, 구석부 오목부(21f)의 바닥면까지 모서리부 보호 부재(30)가 들어가기 때문에, 모서리부 보호 부재(30)의 하방에 패널(Pa)의 모서리부가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20)의 단변 방향 타방측의 장변 방향 양단부에는 패널(Pa)의 모서리부와의 접촉을 회피하도록, 한 쌍의 오목부(21g)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20)의 오목홈(21b)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면(21a)의 단변 방향에 걸쳐 연재되어 있고, 일단이 구석부 오목부(21f)에 연통하고, 타단이 오목부(21g)에 연통하고 있다. 오목홈(21b)은 바닥면(21a)에 평행한 홈 바닥면과, 홈 바닥면의 홈 폭방향 양측에서 홈 바닥면에 수직으로 기립하고, 바닥면(21a)에 대해 수직인 한 쌍의 측면을 갖는다. 그리고, 오목홈(21b)의 한 쌍의 측면 중, 일방의 측면은 측벽부(24)의 내측면에 하나의 면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타방의 측면, 즉, 측벽부(24)에 대향하는 측(바닥면(21a)의 중앙측에 위치한다)의 대향 측면(21j)에는 감합 오목부(21c)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감합 오목부(21c)는 대향 측면(21j)으로부터 바닥면(21a)의 중앙측을 향하는 오목부 깊이(d)를 갖고 있고(도 5(a)를 참조), 감합 오목부(21c)의 오목부 깊이 방향 안측의 가로폭보다 오목부 깊이 방향 앞측의 가로폭이 좁은 오목 형상을 갖고 있다. 감합 오목부(21c)는 바닥면(21a)에 직교하는 높이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고, 높이 방향의 상단이 수납 오목부(21)의 바닥면(21a)에 개구하고, 바닥면(21a)의 상측으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측변 완충 부재(40)의 감합 볼록부(43)가 삽입되어 감합되도록 되어 있다. 감합 오목부(21c)는 오목홈(21b)의 연재 방향 중앙으로부터 서로 소정 거리만 이간한 위치에 쌍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다. 감합 오목부(21c)는 종래와 같이 측벽부에 형성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오목부 깊이(d)를 보다 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측변 완충 부재(40)의 감합 볼록부(43)를 보다 깊게 감합시킬 수 있어, 측변 완충 부재(40)의 덜컹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오목홈(21b)에는 제2 피곤포물(P2)의 단변부(Ps2)에 형성되어 있는 회로 기판(Pb)을 수용할 수 있다. 오목홈(21b)은 제2 피곤포물(P2)을 복수장 적층시켜 수납 오목부(21)에 수용했을 때, 상하 방향으로 부채꼴로 팽창되는 회로 기판(Pb, Pb…)이 개구 단부(22a)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오목홈(21b) 내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용기 본체(20)의 오목홈(21d)은 용기 본체(20)의 단변 방향 일방측에 형성되어 있고, 수납 오목부(21)에 수납되는 피곤포물의 형상에 적합한 한 쌍의 측변 완충 부재(50)가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용기 본체(20)의 오목홈(21d)은 용기 본체(20)의 장변 방향에 걸쳐 연재되어 있고, 양단이 장변 방향 양측의 구석부 오목부(21f)에 각각 연통하고 있다. 오목홈(21d)은 바닥면(21a)에 평행한 홈 바닥면과, 홈 바닥면의 홈 폭방향 양측에서 기립하는 한 쌍의 측면을 갖는다. 오목홈(21d)의 한 쌍의 측면 중, 측벽부(24)측의 측면은 홈 바닥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립하고, 측벽부(24)의 내측면과 하나의 면으로 연속하는 수직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홈(21d)의 대향 측면(21k)에는 감합 오목부(21e)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감합 오목부(21e)는 대향 측면(21k)으로부터 바닥면(21a)의 중앙측을 향하는 오목부 깊이를 갖고 있고, 감합 오목부(21e)의 오목부 깊이 방향 안측의 가로폭보다 오목부 깊이 방향 앞측의 가로폭이 좁은 오목 형상을 갖고 있다. 감합 오목부(21e)는 바닥면(21a)에 직교하는 높이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고, 높이 방향의 상단이 수납 오목부(21)의 바닥면(21a)에 개구하고, 바닥면(21a)의 상측으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측변 완충 부재(50)의 감합 볼록부(53)가 삽입되어 감합되도록 되어 있다. 감합 오목부(21e)는 오목홈(21d)의 양단 근방 위치에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고, 오목홈(21d)의 장변 방향 일방측과 타방측에 각각 측변 완충 부재(50)가 장착된다.
오목홈(21d)에는 제1 피곤포물(P1) 및 제2 피곤포물(P2)의 장변부(Ps1)에 형성되어 있는 회로 기판(Pb)을 수용할 수 있다. 오목홈(21d)은 제1 피곤포물(P1) 혹은 제2 피곤포물(P2)을 복수장 적층시켜 수납 오목부(21)에 수용했을 때, 상하 방향으로 부채꼴로 팽창하는 회로 기판(Pb, Pb…)이 개구 단부(22a)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오목홈(21d) 내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수납 오목부(21)의 오목홈(21d)이 형성된 측의 한 쌍의 구석부에는 제2 피곤포물(P2)의 패널(Pa)의 모서리부를 보호하는 스페이서인 모서리부 보호 부재(제2 스페이서)(30)를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 가능한 구석부 오목부(21f)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홈(21d)이 형성된 측과는 반대측의 각 구석부에는 패널(Pa)의 모서리부와의 접촉을 회피하도록, 한 쌍의 오목부(21g)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20)는 도 5(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변 완충 부재(제1 스페이서)(40)가 장착되는 장착 영역과, 모서리부 보호 부재(제2 스페이서)(30)가 배치되는 장착 영역을 갖고 있고, 측변 완충 부재(40)가 장착되는 장착 영역 중 적어도 일부와, 모서리부 보호 부재(30)가 배치되는 장착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어 있다.
<측변 완충 부재>
수납 오목부(21)의 장변 방향 양측의 한 쌍의 오목홈(21b)에 각각 장착되는 측변 완충 부재(40)는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갖고 있다. 측변 완충 부재(40)는 용기 본체(20)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수납 오목부(21) 내의 바닥면(21a) 위에 제1 피곤포물(P1)을 수평으로 배치했을 때, 용기 본체(20)의 측벽부(24)와 제1 피곤포물(P1)의 단변부(Ps2) 사이에 배치되고, 피곤포물(P1)의 단변부(Ps2)에 대향하여 패널(Pa)의 장변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그리고, 수납 오목부(21) 내에서 피곤포물(P1)이 패널(Pa)의 장변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했을 때, 피곤포물(P1)의 패널(Pa)의 단변부(Ps2)와 맞닿아 충격을 완충한다.
측변 완충 부재(40)는 측벽부(24)의 내측면에 대향 배치되는 종벽부(41)와, 종벽부(41)의 하부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오목홈(21b)에 삽입되는 삽입부(42)와, 삽입부(42)로부터 돌출되어 감합 오목부(21c)에 감합되는 감합 볼록부(43)를 갖고 있다.
종벽부(41)는 측벽부(24)와 동일한 높이폭으로 용기 본체(20)의 단변 방향으로 연재한다. 그리고, 피곤포물(P1)과 대향하는 측에, 피곤포물(P1)의 패널(P)의 단변부(Ps2)와 맞닿거나 혹은 소정의 간격을 갖고 대향하는 대향면(41a)을 갖는다. 대향면(41a)은 수납 오목부(21)의 바닥면(21a)에 대해 수직이며, 피곤포물(P1)을 복수장 적층시켜 수납 오목부(21)에 수용했을 경우에, 각 피곤포물(P1)의 장변 방향의 위치를 결정한다.
삽입부(42)는 측변 완충 부재(40)의 단면이 약 L자 형상이 되도록 종벽부(41)의 하부에서 절곡되고, 종벽부(4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돌출 단부에 오목홈(21b)의 대향 측면(21j)에 대향하는 측단면(42a)을 갖는다. 감합 볼록부(43)는 삽입부(42)의 측단면(42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감합 볼록부(43)의 선단부가 감합 오목부(21c)의 오목부 깊이 방향 앞측의 가로폭보다 넓으며, 또한 감합 오목부(21c)의 오목부 깊이 방향 안측의 가로폭보다 좁은 볼록 형상을 갖고 있다. 감합 볼록부(43)는 수납 오목부(21)의 바닥면(21a)에 개구하는 감합 오목부(21c)의 상단부로부터 감합 오목부(21c) 내에 삽입되어 감합된다. 감합 볼록부(43)는 감합 오목부(21c) 내에 대한 감합에 의해, 감합 오목부(21c) 내에 구속되어, 오목부 깊이 방향 안측으로부터 앞측을 향하는 이동이 규제된다.
측변 완충 부재(40)는 용기 본체(20)의 오목홈(21b)에 삽입부(42)를 삽입하고, 종벽부(41)를 용기 본체(20)의 측벽부(24)에 맞닿게 하여, 감합 볼록부(43)를 감합 오목부(21c)에 감합시킴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장착 상태로 세트된다. 용기 본체(20)는 감합 오목부(21c)를 오목홈(21b)의 대향 측면(21j)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측벽부에 오목부를 형성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감합 오목부(21c)의 오목부 깊이(d)를 보다 깊게 할 수 있어, 감합 볼록부(43)를 보다 깊게 감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20)에 대한 측변 완충 부재(40)의 동작을 억제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에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측벽부에 오목홈을 형성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측벽부의 강도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수납 오목부(21)의 단변 방향 일방측의 오목홈(21d)에 장착되는 측변 완충 부재(50)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측변 완충 부재(50)는 용기 본체(20)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수납 오목부(21) 내에 피곤포물(P1)을 수평으로 배치했을 때, 용기 본체(20)의 측벽부(24)와 피곤포물(P1)의 장변부(Ps1) 사이에 배치되고, 피곤포물(P1)의 패널(Pa)의 장변부(Ps1)에 대향하여 패널(Pa)의 단변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그리고, 수납 오목부(21) 내에서 피곤포물(P1)이 패널(Pa)의 단변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했을 때, 피곤포물(P1)의 패널(Pa)의 장변부(Ps1)와 맞닿아 충격을 완충한다. 또한, 수납 오목부(21)의 단변 방향 타방측의 측벽부(24)에는 피곤포물(P1)의 패널(Pa)의 장변부(Ps1)에 대향하여 패널(Pa)의 단변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맞닿는 면이 형성되어 있다.
측변 완충 부재(50)는 측벽부(24)의 내측면에 대향 배치되는 종벽부(51)와, 종벽부(51)의 하부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오목홈(21d)에 삽입되는 삽입부(52)와, 삽입부(52)로부터 돌출되어 감합 오목부(21e)에 감합되는 감합 볼록부(53)를 갖고 있다.
종벽부(51)는 측벽부(24)와 동일한 높이폭으로 용기 본체(20)의 장변 방향으로 연재한다. 그리고, 제1 피곤포물(P1)의 패널(P)의 장변부(Ps1)와 맞닿거나 혹은 소정의 간격을 갖고 대향하는 대향면을 갖는다. 대향면은 수납 오목부(21)의 바닥면(21a)에 대해 수직이며, 피곤포물(P1)을 복수장 적층시켜 수납 오목부(21)에 수용했을 경우에, 각 피곤포물(P1)의 단변 방향의 위치를 결정한다.
삽입부(52)는 오목홈(21d)에 삽입함으로써 용기 본체(20)에 장착되는 형상을 갖는다. 감합 볼록부(53)는 삽입부(52)의 하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감합 볼록부(53)는 감합 볼록부(53)의 선단부가 감합 오목부(21e)의 오목부 깊이 방향 앞측의 가로폭보다 넓으며, 또한 감합 오목부(21e)의 오목부 깊이 방향 안측의 가로폭보다 좁은 볼록 형상을 갖고 있다.
측변 완충 부재(50)는 용기 본체(20)의 오목홈(21d)에 삽입부(52)를 삽입하고, 종벽부(51)를 용기 본체(20)의 측벽부(24)에 맞닿게 하여, 감합 볼록부(53)를 감합 오목부(21e)에 감합시킴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장착 상태로 세트된다.
<모서리부 보호 부재>
모서리부 보호 부재(제2 스페이서)(30)는 용기 본체(20)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수납 오목부(21) 내에서 제2 피곤포물(P2)의 패널(Pa)의 측변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2 피곤포물(P2)의 패널(Pa)의 크기에 따른 형상을 갖는다. 모서리부 보호 부재(30)는 제2 피곤포물(P2)을 곤포할 때, 회로 기판(Pb)이 접속된 장변부(Ps1)측의 패널(Pa)의 한 쌍의 모서리부를 보호한다.
각 모서리부 보호 부재(30)는 보호 부재 본체(31) 및 충격 완충재(32)를 갖고 있다. 보호 부재 본체(31)에는 용기 본체(20)의 구석부 오목부(21f)에 감합하는 감합부(33)와, 감합부(33)가 감합된 상태로 구석부 오목부(21f)로부터 측벽부(24)의 내측면을 따라 연재하도록, 감합부(33)에 일체적으로 성형된 한 쌍의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34)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34)는 제2 피곤포물(P2)의 모서리부에 있어서, 일방이 제2 피곤포물(P2)의 단변부(Ps2)와 대향하고, 타방이 제2 피곤포물(P2)의 장변부(Ps1)와 대향한다. 그리고, 제2 피곤포물(P2)의 단변부(Ps2)와 대향하는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돌출부)(34)가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부(33)로부터 돌출되어, 측변 완충 부재(40)의 삽입부(42)가 삽입되는 오목홈(21b)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측변 완충 부재(40)의 일부인 삽입부(42)와, 모서리부 보호 부재(30)의 일부인 돌출부(34)가 서로 공통의 위치인 오목홈(21b)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측변 완충 부재(40)가 오목홈(21b)에 장착된 도 5(a)에 나타내는 상태인 채로 모서리부 보호 부재(30)를 구석부 오목부(21f)에 장착하고자 하면, 측변 완충 부재(40)의 삽입부(42)의 일부(도 5(a)에 빗금으로 나타내는 부분)와 간섭하여 장착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측변 완충 부재(40)와 모서리부 보호 부재(30) 양쪽 모두를 장착하고자 하면, 서로 간섭하여, 측변 완충 부재(40)와 모서리부 보호 부재(30)가 수납 오목부(21) 내에 공존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측변 완충 부재(40)와 모서리부 보호 부재(30) 중 어느 일방을 장착한 상태로 추가로 타방이 장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측변 완충 부재(40)와 모서리부 보호 부재(30) 중, 피곤포물의 종류(제1 피곤포물(P1) 또는 제2 피곤포물(P2))에 따라 적합한 것을 장착할 때, 부적합한 것이 잔존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어, 그대로 수납 작업이 행해지는 것을 미연에 막아, 작업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다.
충격 완충재(32)는 예를 들면, 접착제 또는 접착 시트 등을 개재하여, 패널(Pa)의 모서리부를 보호하도록 각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34)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감합부(33) 및 한 쌍의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34)는 중실 구조여도 되지만, 상하에 개구가 형성된 중공 구조여도 되고, 또한, 내벽끼리 접속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보강 리브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보호 부재 본체(31)는 용기 본체(20) 및 덮개체(10)보다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보호 부재 본체(31)를 구성하는 재료의 종탄성률은 용기 본체(20) 및 덮개체(10)를 구성하는 재료의 종탄성률보다 높은 것이 선정되어 있다. 용기 본체(20) 및 덮개체(10)가 상술한 발포 수지재인 경우, 보호 부재 본체(31)는 비발포 수지재가 선정되며, 보호 부재 본체(31)의 재료로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보호 부재 본체(31)는 용기 본체(20) 및 덮개체(10)에 비해 경질로 되어 있고, 제2 피곤포물(P2)이 곤포된 곤포체에 충격 또는 진동이 작용했을 때, 하중이 집중되기 쉬운 수납 오목부(21)의 구석부에는 모서리부 보호 부재(30)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20)의 파손 또는 결손을 억제할 수 있다.
충격 완충재(32)는 제2 피곤포물(P2)의 모서리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시트재이며, 보호 부재 본체(31)보다 연질의,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부타디엔 고무, 우레탄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등의 재료, 또한 이들을 발포시킨 것, 복수 적층시킨 것이어도 된다.
<곤포 방법>
상기한 구성을 갖는 곤포재(1)를 사용하여, 제1 피곤포물(P1)을 곤포할 때,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0)에 측변 완충 부재(40, 50)를 장착한다. 그리고, 오목홈(21d) 내로 장변부(Ps1)의 회로 기판(Pb)이 빠져나가도록, 제1 피곤포물(P1)을 수납 오목부(21) 내에 합지를 끼워 적층한다.
한편, 제2 피곤포물(P2)을 곤포할 때,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피곤포물(P2)용 스페이서인 모서리부 보호 부재(30)를 용기 본체(20)에 장착한다. 그리고, 오목홈(21b)과, 오목홈(21d) 내에 단변부(Ps2)와, 장변부(Ps1)의 회로 기판(Pb)이 각각 빠져나가도록, 제2 피곤포물(P2)을 수납 오목부(21) 내에 합지를 끼워 적층한다.
그리고, 제1 피곤포물(P1) 또는 제2 피곤포물(P2) 중 어느 일방을 수납한 용기 본체(20)를 덮개체(10)로 덮고, 용기 본체(20)의 개구 단부(22a)를 밀폐하도록, 덮개체(10)의 이면측의 외주연(11)을 용기 본체(20)의 외연 홈(22b)에 감합시킨다. 이 감합 상태로 PP 밴드 등의 수지제 밴드(도시하지 않음)로 덮개체(10) 및 용기 본체(20)를 묶음으로써, 곤포체가 된다.
예를 들면, 제1 피곤포물(P1)의 곤포에 사용하고 있던 곤포재(1)를, 다음으로, 제2 피곤포물(P2)의 곤포에 사용하는 경우, 용기 본체(20)로부터 측변 완충 부재(40, 50)를 제거하고, 대신에 모서리부 보호 부재(30)를 장착하는 작업이 행해진다. 측변 완충 부재(40, 50) 중, 특히 측변 완충 부재(4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0)에 장착함으로써 종벽부(41)가 측벽부(24)의 단변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재하고, 측벽부(24)와 일체적으로 배치되는 구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들이 잠깐 보는 것만으로는 측변 완충 부재(40)의 장착 유무를 판별하기 어렵고, 측변 완충 부재(40)가 장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거되어 있는 것으로 오인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곤포재(1)에 의하면, 측변 완충 부재(40)를 제거하는 것을 잊어 버리고, 측변 완충 부재(40)가 용기 본체(20)에 장착된 상태로 모서리부 보호 부재(30)를 장착하고자 하면, 오목홈(21b) 내에 돌출되어 있는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34)가 측변 완충 부재(40)에 간섭하여, 장착할 수 없다. 따라서, 서로 상이한 종류의 곤포용 스페이서인 측변 완충 부재(40)와 모서리부 보호 부재(30)가 수납 오목부(21) 내에 공존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제1 피곤포물(P1) 및 제2 피곤포물(P2)을 수납하는 수납 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피곤포물(P2)의 곤포에 사용하고 있던 곤포재(1)를, 다음으로, 제1 피곤포물(P1)의 곤포에 사용하는 경우, 용기 본체(20)로부터 모서리부 보호 부재(30)를 제거하고, 대신에 측변 완충 부재(40, 50)를 장착하는 작업이 행해진다. 여기서, 모서리부 보호 부재(30)를 제거하는 것을 잊어 버리고, 모서리부 보호 부재(30)가 용기 본체(20)에 장착된 상태로 측변 완충 부재(40)를 장착하고자 하면,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34)가 측변 완충 부재(40)에 간섭하여, 장착할 수 없다. 따라서, 서로 상이한 종류의 곤포용 스페이서인 측변 완충 부재(40)와 모서리부 보호 부재(30)가 수납 오목부(21) 내에 공존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제1 피곤포물(P1) 및 제2 피곤포물(P2)을 수납하는 수납 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상기한 곤포재(1)의 구조에 의하면, 용기 본체(20)에 있어서 측변 완충 부재(40)의 장착 영역 중 적어도 일부와, 모서리부 보호 부재(30)의 장착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어 있으므로, 측변 완충 부재(40)와 모서리부 보호 부재(30)를 용기 본체(20)에 장착했을 때 측변 완충 부재(40) 중 적어도 일부와, 모서리부 보호 부재(30)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복된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측변 완충 부재(40)와 모서리부 보호 부재(30) 양쪽 모두를 장착하고자 하면, 서로 간섭하여, 측변 완충 부재(40)와 모서리부 보호 부재(30)가 수납 오목부(21) 내에 공존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측변 완충 부재(40)와 모서리부 보호 부재(30) 중 어느 일방을 장착한 상태로 추가로 타방이 장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측변 완충 부재(40)와 모서리부 보호 부재(30) 중, 피곤포물에 대해 적합한 것을 장착할 때, 부적합한 것이 잔존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어 그대로 수납 작업이 행해지는 것을 미연에 막아, 수납 작업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용기 본체(20)의 장변 방향 양측에 측변 완충 부재(40)를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했지만, 장변 방향 양측 중 어느 일방에 형성하고, 타방은 측벽부(24)에 맞닿는 면을 형성하여, 피곤포물(P1)의 패널(Pa)의 장변부(Ps1)에 대향하여 패널(Pa)의 단변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 곤포재
20 용기 본체
21 수납 오목부
21a 바닥면
21b 오목홈
21c 감합 오목부
21j 대향 측면
30 모서리부 보호 부재(제2 스페이서)
34 모서리부 보호용 아암부
40 측변 완충 부재(제1 스페이서)
42 삽입부
P1 제1 피곤포물
P2 제2 피곤포물

Claims (3)

  1. 직사각형상의 패널을 갖는 제1 피곤포물과, 당해 제1 피곤포물과는 외형이 상이한 직사각형상의 패널을 갖는 제2 피곤포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2종류의 피곤포물 중 어느 1종을 선택하여 곤포하기 위한 곤포재로서,
    상기 곤포재는, 상기 피곤포물을 복수 적층시켜 수평으로 수납 가능한 수납 오목부가 형성된 용기 본체와,
    당해 용기 본체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수납 오목부 내에서 상기 제1 피곤포물의 패널의 측변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피곤포물의 패널의 크기에 따른 형상을 갖는 제1 스페이서와,
    상기 용기 본체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수납 오목부 내에서 상기 제2 피곤포물의 패널의 측변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피곤포물의 패널의 크기에 따른 형상을 갖는 제2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용기 본체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페이서가 장착되는 장착 영역 중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스페이서가 장착되는 장착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수납 오목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오목홈과, 당해 오목홈에 연통하여 상기 수납 오목부의 구석부에 형성된 구석부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제1 스페이서는 상기 오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고,
    상기 제2 스페이서는 상기 구석부 오목부에 감합하는 감합부와, 당해 감합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오목홈 내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곤포재에 의해, 상기 피곤포물을 곤포한 곤포체.
KR2020160001227U 2015-09-29 2016-03-08 곤포재 및 곤포체 KR20048422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15-004943 2015-09-29
JP2015004943U JP3201500U (ja) 2015-09-29 2015-09-29 梱包材及び梱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227U true KR20170001227U (ko) 2017-04-06
KR200484226Y1 KR200484226Y1 (ko) 2017-08-14

Family

ID=54784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227U KR200484226Y1 (ko) 2015-09-29 2016-03-08 곤포재 및 곤포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01500U (ko)
KR (1) KR200484226Y1 (ko)
CN (1) CN205441394U (ko)
TW (1) TWM52829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63927B2 (ja) * 2020-03-02 2022-05-09 シャープ株式会社 容器および保護部材
CN113942236B (zh) * 2021-10-14 2024-03-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托盘组件和自动贴合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28567Y (zh) * 2007-11-20 2008-10-08 常宏保丽龙有限公司 板体包装箱
JP2008280062A (ja) 2007-05-09 2008-11-20 Jsp Corp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及びガラス基板搬送用包装体
JP2009269610A (ja) * 2008-04-30 2009-11-19 Sekisui Plastics Co Ltd 板状体の搬送用容器
KR20100034265A (ko) * 2008-09-23 2010-04-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포장 케이스
KR101461013B1 (ko) * 2012-06-29 2014-11-13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곤포재 및 곤포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0062A (ja) 2007-05-09 2008-11-20 Jsp Corp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及びガラス基板搬送用包装体
CN201128567Y (zh) * 2007-11-20 2008-10-08 常宏保丽龙有限公司 板体包装箱
JP2009269610A (ja) * 2008-04-30 2009-11-19 Sekisui Plastics Co Ltd 板状体の搬送用容器
KR20100034265A (ko) * 2008-09-23 2010-04-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포장 케이스
KR101461013B1 (ko) * 2012-06-29 2014-11-13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곤포재 및 곤포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528291U (zh) 2016-09-11
KR200484226Y1 (ko) 2017-08-14
CN205441394U (zh) 2016-08-10
JP3201500U (ja)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013B1 (ko) 곤포재 및 곤포체
KR101461011B1 (ko) 곤포재 및 곤포체
US7328800B2 (en) Cushioning material for packaging and packaging matter
JP5724288B2 (ja) 梱包体
KR200484226Y1 (ko) 곤포재 및 곤포체
KR200482873Y1 (ko) 곤포재 및 곤포체
JP6357218B2 (ja) 梱包材および梱包体
KR200490607Y1 (ko) 패널 반송 용기
KR200386484Y1 (ko) 안전포장용 투명 케이스
JP6587966B2 (ja) 梱包材
KR200381580Y1 (ko) 고정용 포장재
CN217754963U (zh) 一种缓冲包装纸盒
JP2012144271A (ja) 緩衝梱包材
KR101251606B1 (ko) 카트리지 포장박스
JP2001171769A (ja) ボンディングワイヤ用スプールケースの梱包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梱包構造
KR20090002959U (ko) 완충부재 및 이를 갖는 제품용 포장용구
KR200485517Y1 (ko) 담뱃갑 보호구
KR20050107709A (ko) 포장용기
KR20060088448A (ko) 고정용 포장재
JP2012006635A (ja) 包装装置
JP3094997U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の梱包用発泡体
KR20160002859U (ko) 포장 박스
JP2019112107A (ja) 梱包箱
EP2599736A1 (en) Cushioning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