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873Y1 - 곤포재 및 곤포체 - Google Patents

곤포재 및 곤포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873Y1
KR200482873Y1 KR2020160001226U KR20160001226U KR200482873Y1 KR 200482873 Y1 KR200482873 Y1 KR 200482873Y1 KR 2020160001226 U KR2020160001226 U KR 2020160001226U KR 20160001226 U KR20160001226 U KR 20160001226U KR 200482873 Y1 KR200482873 Y1 KR 2004828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oncave
wall portion
container body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488U (ko
Inventor
카즈히코 다케미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34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4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8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8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8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for electrical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측벽부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또한 스페이서를 정규의 자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곤포재를 제공한다. 패널 형상의 피곤포물을 곤포하기 위한 곤포재로서, 피곤포물을 수평으로 수용 가능한 크기의 수용 오목부(21)를 갖는 용기 본체(20)와, 용기 본체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스페이서(40)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20)는 측벽부(24)를 따라 수용 오목부의 바닥면(21a)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 홈(21b)과, 오목 홈(21b)의 측벽부에 대향하는 측의 대향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일단이 수용 오목부의 바닥면(21a)에 개구하는 감합 홈(21c)을 갖고 있다. 스페이서(40)는 측벽부(24)의 내측면에 대향 배치되는 세로벽부(41)와, 세로벽부의 하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오목 홈(21b)에 삽입되는 삽입부(42)와, 삽입부로부터 돌출되어 감합 홈(21c)에 감합되는 감합부(43)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곤포재 및 곤포체{PACKAGING MATERIAL AND PACKAGE}
본 고안은 패널 형상의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재 및 곤포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곤포재로서, 용기 본체와 덮개체가 사용되고 있다. 용기 본체의 상부에는 개구부를 통해 피곤포물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덮개체는 이 수납 오목부로부터 노출된 피곤포물을 덮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유리 기판 등의 패널 형상의 피곤포물을 곤포할 때는 합지를 개재하여 동일한 크기의 피곤포물을 여러 겹 적층시켜 용기 본체의 수납 오목부에 수납된다.
특허문헌 1에는 박스 본체부에 수용된 유리 기판의 단부와 맞닿아 유리 기판을 보호하는 맞닿음 부재를 박스 본체부의 측벽부 내측면에 홈을 형성하고 계지하여 박스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80062호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구조의 경우, 박스 본체부의 측벽부에 홈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홈 부분은 측벽부의 두께가 얇아져 측벽부의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측벽부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또한 스페이서를 정규의 자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곤포재 및 곤포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곤포재는 판상체를 갖는 피곤포물을 곤포하기 위한 곤포재로서, 직사각형상의 바닥부와 당해 바닥부의 주위로부터 기립하는 측벽부를 가지며 상기 피곤포물을 수평으로 수용 가능한 크기의 수용 오목부를 갖는 용기 본체와, 당해 용기 본체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상기 수용 오목부 내에 상기 피곤포물을 수평으로 배치했을 때 상기 용기 본체의 측벽부와 상기 피곤포물의 측변부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갖고,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측벽부를 따라 상기 수용 오목부의 바닥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 홈과, 당해 오목 홈의 상기 측벽부에 대향하는 측의 대향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수용 오목부의 바닥면에 개구하는 감합 홈을 가지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측벽부의 내측면에 대향 배치되는 세로벽부와, 당해 세로벽부의 하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오목 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당해 삽입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감합 홈에 감합되는 감합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감합 홈을 오목 홈의 대향측면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감합 홈의 홈 깊이를 깊게 할 수 있어, 스페이서의 감합부를 깊게 감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에 대한 스페이서의 움직임을 억제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에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측벽부에 오목 홈을 형성한 것에 의한 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오목 홈의 대향측면에는 상기 오목 홈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를 오목 홈의 대향측면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페이서의 삽입부를 용기 본체의 오목 홈에 삽입하여 감합부를 감합 홈에 감합시켰을 때, 스페이서의 삽입부는 오목 홈의 대향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록부에 의해 오목 홈의 대향측면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감합부에 인장력이 작용해, 스페이서가 용기 본체에 안정된 상태로 고정되어 덜컹거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감합부를 감합 홈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곤포재에서는, 감합 홈은 홈 깊이 방향 안측의 홈 폭보다 홈 깊이 방향 앞측의 홈 폭이 좁은 오목 형상을 갖고, 감합부는 감합부의 선단부가 감합 홈의 홈 깊이 방향 앞측의 홈 폭보다 넓으며, 또한 감합 홈의 홈 깊이 방향 안측의 홈 폭보다 좁은 볼록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스페이서의 삽입부가 오목 홈의 대향측면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감합부를 감합 홈의 홈 깊이 방향을 따라 안측으로부터 앞측으로 끌어 당기는 인장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스페이서가 용기 본체에 안정된 상태로 고정되어 덜컹거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감합부를 감합 홈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측벽부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며, 스페이서를 정규의 위치에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스페이서의 세로벽부가 용기 본체의 측벽부에 밀착한 정규의 자세 상태로부터 수용 오목부로 넘어지듯이 기울어 피곤포물을 수용하는 작업에 지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곤포재로 피곤포물을 곤포하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곤포재의 용기 본체와 스페이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스페이서를 용기 본체에 감합한 상태의 부분적 상면도이다.
도 4(a)는 도 3의 A-A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B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볼록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곤포재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곤포재의 일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곤포재의 용기 본체와 스페이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스페이서를 용기 본체에 감합한 상태의 부분적 상면도이고, 도 4(a)는 도 3의 A-A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B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볼록부의 사시도이다.
곤포재(1)는 판상체를 갖는 피곤포물을 곤포하기 위한 곤포재이다. 구체적으로는, 곤포재(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곤포물(P1)을 복수 장 중첩시켜 곤포하는 것이다.
곤포재(1)는 덮개체(10)와 용기 본체(20)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체(10) 및 용기 본체(20)의 재질로는, 열가소성 수지의 발포 성형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에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락트산), 또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단일 수지나 복수의 수지를 복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피곤포물이 유리 패널이나 전자 부품인 경우에는 대전 방지 처리된 발포용 원료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주) 제조의 EPS(에슬렌(등록상표) 비즈 NSDLM), 피오셀란(등록상표) L시리즈(LP-30ENTR 등), O시리즈(OP-15ENS), S시리즈(SP-40DNT) 등을 들 수 있다.
덮개체(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변 방향 및 장변 방향의 치수가 용기 본체(20)의 치수와 일치되어 있고, 덮개체(10)의 표면에는 그 단변 방향 및 두께 방향을 따라 한 쌍의 밴드 홈(18, 18)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체(10)의 이면측 외주연(11)은 볼록선이 되도록 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 후술하는 수용 오목부(21)의 개구 단부(개구부)(22a) 외측에 형성된 외연 홈(22b)에 감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20)의 수용 오목부(21)에 형성된 개구 단부(22a)를 밀폐하도록 덮개체(10)로 용기 본체(20)를 덮을 수 있다.
용기 본체(20)는 직사각형상의 바닥부(23)와, 바닥부(23)의 주위로부터 기립하는 측벽부(24)를 갖고 있으며, 용기 본체(20)의 중앙에는 바닥부(23) 및 측벽부(24)에 의해 피곤포물을 수평으로 수용 가능한 수용 오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23)의 외면(하면)과 측벽부(24)의 외측면에는, 곤포시에 덮개체(10)의 밴드 홈(18)과 연속되도록 한 쌍의 밴드 홈(28, 28)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21)는 피곤포물(P1)이 실리는 직사각형의 바닥면(21a)을 갖고 있다. 수용 오목부(21)의 바닥면(21a)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부(24)를 따라 ㄷ자형을 이루도록 오목 홈(21b, 21b, 21d)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오목 홈(21b, 21b)은 용기 본체(20)의 장변 방향 양측으로 나누어져 한 쌍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고, 수용 오목부(21)에 수용되는 피곤포물의 형상에 적합한 스페이서(보호 부재)(40, 4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오목 홈(21d)은 용기 본체(20)의 단변 방향 일방측에 형성되어 있고, 수용 오목부(21)에 수용되는 피곤포물의 형상에 적합한 스페이서(보호 부재)(50, 5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용기 본체(20)의 오목 홈(21b)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오목부(21) 내에서 바닥면(21a)의 단변 방향에 걸쳐 연재되어 있으며, 일단이 구석부 오목부(21f)에 연통하고, 타단이 구석부 오목부(21g)에 연통하고 있다. 오목 홈(21b)은,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면(21a)에 평행한 홈 바닥면과, 홈 바닥면의 홈 폭방향 양측에서 서로 대향하고, 바닥면(21a)에 대해 수직인 한 쌍의 측면을 갖는다. 그리고, 오목 홈(21b)의 한 쌍의 측면 중, 일방의 측면은 측벽부(24)의 내측면에 하나의 면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타방의 측면, 즉, 측벽부(24)에 대향하는 측(바닥면(21a)의 중앙측에 위치한다)의 대향측면(21j)에는 감합 홈(21c)(도 3을 참조)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감합 홈(21c)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측면(21j)으로부터 바닥면(21a)의 중앙측을 향하는 홈 깊이(d)를 갖고 있고, 감합 홈(21c)의 홈 깊이 방향 안측의 홈 폭보다 홈 깊이 방향 앞측의 홈 폭이 좁은 오목 형상을 갖고 있다. 감합 홈(21c)은 바닥면(21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고, 홈 장변 방향의 일단이 수용 오목부(21)의 바닥면(21a)에 개구하고, 바닥면(21a)측으로부터 홈 장변 방향을 따라 스페이서(40)의 감합부(43)가 삽입되어 감합되도록 되어 있다. 감합 홈(21c)은 오목 홈(21b)의 단변 방향 중앙으로부터 서로 소정 거리만 이간된 위치에 한 쌍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다. 감합 홈(21c)은 종래와 같이 측벽부에 형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홈 깊이(d)를 보다 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40)의 감합부(43)를 보다 깊게 감합시킬 수 있어 스페이서(40)의 덜컹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오목 홈(21b)의 대향측면(21j)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 홈(21b)에 삽입된 스페이서(40)의 삽입부(42)를 대향측면(21j)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볼록부(21h)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21h)는 바닥면(21a)의 단변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단변 방향 중앙 위치와, 감합 홈(21c, 21c) 근방 위치의 합계 3개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21h)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 홈(21b)의 홈 깊이 방향을 따라 신장되듯 대향측면(21j)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21h)는 단면이 볼록한 원호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볼록부(21h)의 상측 단부는 볼록 구면 형상을 갖고 있다.
후술하는 스페이서(40)의 삽입부(42)를 수용 오목부(21)의 오목 홈(21b)에 삽입하면, 삽입부(42)의 측단면(42a)이 오목 홈(21b)의 대향측면(21j)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볼록부(21h)는 삽입부(42)의 측단면(42a)과 맞닿아, 볼록부(21h)의 탄력에 의해 측단면(42a)을 대향측면(21j)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볼록부(21h)에 의한 대향측면(21j)의 가압을 증대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볼록부(21h)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볼록부(21h)의 크기는, 예를 들면 용기 본체(20)의 성형 몰드에 형성되는 대응 오목부의 음각 깊이를 보다 깊게 함으로써 크게 할 수 있다.
용기 본체(20)의 오목 홈(21d)은 바닥면(21a)의 단변 방향 일방측에서 용기 본체(20)의 장변 방향에 걸쳐 연재되어 있고, 양단이 장변 방향 양측의 구석부 오목부(21f, 21f)에 각각 연통하고 있다. 오목 홈(21d)은 바닥면(21a)에 평행한 홈 바닥면과, 홈 바닥면의 홈 폭방향 양측으로 기립하는 한 쌍의 측면을 갖는다. 오목 홈(21d)의 한 쌍의 측면 중, 측벽부(24)측의 측면은 홈 바닥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립하고, 측벽부(24)의 내측면과 하나의 면으로 연속하는 수직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측벽부(24)에 대향하는 측(바닥면(21a)의 중앙측에 위치한다)의 대향측면(21k)은 홈 바닥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립하고, 측벽부(24)의 내측면과 하나의 면으로 연속하는 수직면으로 되어 있으며, 감합 홈(21e)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감합 홈(21e)은 대향측면(21k)으로부터 바닥면(21a)의 중앙측을 향하는 홈 깊이를 갖고 있고, 감합 홈(21e)의 홈 깊이 방향 안측의 홈 폭보다 홈 깊이 방향 앞측의 홈 폭이 좁은 오목 형상을 갖고 있다. 감합 홈(21e)은 바닥면(21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고, 홈 장변 방향의 일단이 수용 오목부(21)의 바닥면(21a)에 개구하고, 바닥면(21a)측으로부터 홈 장변 방향을 따라 스페이서(50)의 감합부(53)가 삽입되어 감합되도록 되어 있다. 감합 홈(21e)은 오목 홈(21d)의 양단 근방 위치에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 홈(21d)의 장변 방향 일방측과 타방측에 각각 스페이서(50)가 장착된다.
수용 오목부(21)의 오목 홈(21d)이 형성된 측의 한 쌍의 구석부에는 패널(Pa)의 모서리부와의 접촉을 회피하도록 구석부 오목부(21f, 21f)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 홈(21d)이 형성된 측과는 반대측의 각 구석부에는 패널(Pa)의 모서리부와의 접촉을 회피하도록 한 쌍의 오목부(21g, 21g)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21)의 장변 방향 양측의 한 쌍의 오목 홈(21b, 21b)에 각각 장착되는 스페이서(40, 40)는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갖고 있다. 스페이서(40)는 용기 본체(20)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수용 오목부(21) 내의 바닥면(21a) 위에 피곤포물(P1)을 수평으로 배치했을 때 용기 본체(20)의 측벽부(24)와 피곤포물(P1)의 단변부(측변부)(Ps2) 사이에 배치되어 피곤포물(P1)의 패널(Pa) 단변부(Ps2)에 대향하여 패널(Pa)의 장변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그리고, 스페이서(40)의 종류를 변경함으로써, 패널(Pa)의 크기가 상이한 것에 대응할 수 있다.
스페이서(40)는 측벽부(24)의 내측면에 대향 배치되는 세로벽부(41)와, 세로벽부(41)의 하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오목 홈(21b)에 삽입되는 삽입부(42)와, 삽입부(42)로부터 돌출되어 감합 홈(21c)에 감합되는 감합부(43)를 갖고 있다.
세로벽부(41)는 측벽부(24)와 동일한 높이폭으로 용기 본체(20)의 단변 방향으로 연재된다. 그리고, 피곤포물(P1)과 대향하는 측에 피곤포물(P1)의 패널(Pa) 단변부(Ps2)와 맞닿거나 혹은 소정의 간극을 갖고 대향하는 대향면(41a)을 갖는다. 대향면(41a)은 수용 오목부(21)의 바닥면(21a)에 대해 수직이며, 피곤포물(P1)을 복수 장 중첩하여 수용 오목부(21)에 수용했을 경우에, 각 피곤포물(P1)의 장변 방향의 위치를 위치 결정한다.
삽입부(42)는 스페이서(40)의 단면이 대략 L자형이 되도록 세로벽부(41)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세로벽부(4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선단 부분에 오목 홈(21b)의 대향측면(21j)에 대향하는 측단면(42a)을 갖는다. 감합부(43)는 삽입부(42)의 측단면(42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감합부(43)의 선단부가 감합 홈(21c)의 홈 깊이 방향 앞측의 홈 폭보다 넓으며, 또한 감합 홈(21c)의 홈 깊이 방향 안측의 홈 폭보다 좁은 볼록 형상을 갖고 있다. 감합부(43)는 수용 오목부(21)의 바닥면(21a)에 개구하는 감합 홈(21c)의 단부로부터 감합 홈(21c) 내에 삽입되어 감합된다. 감합부(43)는 감합 홈(21c) 내로의 감합에 의해, 감합 홈(21c) 내에 구속되어 홈 깊이 방향 안측으로부터 앞측을 향하는 이동이 규제된다.
스페이서(40)는 용기 본체(20)의 오목 홈(21b)에 삽입부(42)를 삽입하고, 세로벽부(41)를 용기 본체(20)의 측벽부(24)에 맞닿게 한 후 감합부(43)를 감합 홈(21c)에 감합시킴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장착 상태로 세트된다. 용기 본체(20)는 감합 홈(21c)을 오목 홈(21b)의 대향측면(21j)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종래의 측벽부에 오목 홈을 형성하고 있었던 것과 비교하여 감합 홈(21c)의 홈 깊이(d)를 보다 깊게 할 수 있어, 감합부(43)를 보다 깊게 감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20)에 대한 스페이서(40)의 움직임을 억제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에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측벽부에 오목 홈을 형성하고 있던 것에 의한 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40)는 오목 홈(21b)의 대향측면(21j)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록부(21h)의 탄력에 의해 삽입부(42)의 측단면(42a)이 오목 홈(21b)의 대향측면(21j)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감합 홈(21c) 내에 감합되어 있는 감합부(43)에 대해 홈 깊이 방향을 따라 잡아 빼는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스페이서(40)가 용기 본체(20)에 안정된 상태로 고정되어 덜컹거림의 발생을 방지하고, 빠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수용 오목부(21)의 단변 방향 일방측의 오목 홈(21d)에 장착되는 스페이서(50, 50)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스페이서(50)는 용기 본체(20)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수용 오목부(21) 내에 피곤포물(P1)을 수평으로 배치했을 때 용기 본체(20)의 측벽부(24)와 피곤포물(P1)의 장변부(측변부)(Ps1) 사이에 배치되어, 피곤포물(P1)의 패널(Pa) 장변부(Ps1)에 대향하여 패널(Pa)의 단변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그리고, 스페이서(50)의 종류를 변경함으로써, 패널(Pa)의 크기가 상이한 것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수용 오목부(21)의 단변 방향 타방측의 측벽부(24)에는 피곤포물(P1)의 패널(Pa) 장변부(Ps1)에 대향하여 패널(Pa)의 단변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맞닿음면이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50)는 측벽부(24)의 내측면에 대향 배치되는 세로벽부(51)와, 세로벽부(51)의 하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오목 홈(21d)에 삽입되는 삽입부(52)와, 삽입부(52)로부터 돌출되어 감합 홈(21e)에 감합되는 감합부(53)를 갖고 있다.
세로벽부(51)는 측벽부(24)와 동일한 높이폭으로 용기 본체(20)의 장변 방향으로 연재된다. 그리고, 피곤포물(P1)의 패널(Pa) 장변부(Ps1)와 맞닿거나 혹은 소정의 간극을 갖고 대향하는 대향면을 갖는다. 대향면은 수용 오목부(21)의 바닥면(21a)에 대해 수직이며, 피곤포물(P1)을 복수 장 중첩하여 수용 오목부(21)에 수용했을 경우에, 각 피곤포물(P1)의 단변 방향의 위치를 위치 결정한다.
삽입부(52)는 오목 홈(21d)에 삽입함으로써 용기 본체(20)에 장착되는 형상을 갖는다. 감합부(53)는 삽입부(52)의 하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감합부(53)는 감합부(53)의 선단부가 감합 홈(21e)의 홈 깊이 방향 앞측의 홈 폭보다 넓으며, 또한 감합 홈(21e)의 홈 깊이 방향 안측의 홈 폭보다 좁은 볼록 형상을 갖고 있다.
스페이서(50)는 용기 본체(20)의 오목 홈(21d)에 삽입부(52)를 삽입하고, 세로벽부(51)를 용기 본체(20)의 측벽부(24)에 맞닿게 한 후 감합부(53)를 감합 홈(21e)에 감합시킴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장착 상태로 세트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곤포재(1)를 사용하여 피곤포물(P1)을 곤포할 때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0)에 스페이서(40, 50)를 장착한다. 그리고, 피곤포물(P1)을 수용 오목부(21) 내에 합지를 끼워 적층한다.
피곤포물(P1)을 수납한 용기 본체(20)를 덮개체(10)로 덮고, 용기 본체(20)의 개구 단부(22a)를 밀폐하도록 덮개체(10)의 이면측 외주연(11)을 용기 본체(20)의 외연 홈(22b)에 감합시킨다. 이 감합 상태로, 밴드 홈(18, 28)을 따라 3개의 PP밴드 등의 수지제 밴드(도시하지 않음)로 덮개체(10) 및 용기 본체(20)를 묶음으로써 곤포체가 된다.
상기 스페이서(40)의 장착 구조에 의하면, 감합 홈(21c)을 오목 홈(21b)의 대향측면(21j)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측벽부에 홈을 형성하였던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감합 홈(21c)의 홈 깊이(d)를 보다 깊게 할 수 있어, 감합부(43)를 깊게 감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20)에 대한 스페이서(40)의 움직임을 억제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에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와 같이 홈에 의한 측벽부의 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40)의 장착 구조에 의하면, 오목 홈(21b)의 대향측면(21j)에 볼록부(21h)가 형성되어 있어, 삽입부(42)의 측단면(42a)을 오목 홈(21b)의 대향측면(21j)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감합 홈(21c)에 감합되어 있는 감합부(43)를 감합 홈(21c)의 홈 깊이 방향을 따라 안측으로부터 앞측으로 잡아 빼는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인장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40)가 용기 본체(20)에 안정된 상태로 고정되어 덜컹거림의 발생이 억제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피곤포물(P1)의 반송 중에 피곤포물(P1)이 스페이서(40)에 맞닿았을 때 스페이서(40)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여, 확실히 유지한 상태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40)는 정규의 자세 상태에 있어서 스페이서(40)의 대향면(41a)과 피곤포물(P1)의 패널(Pa)의 단변부(Ps2)의 간격이 가능한 한 좁아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만일 스페이서(40)의 위치가 어긋나 세로벽부(41)가 수용 오목부(21)로 넘어지듯이 기울면, 피곤포물(P1)을 수용하는 작업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곤포재(1)에서는 볼록부(21h)의 탄력에 의해 측단면(42a)을 대향측면(21j)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감합 홈(21c) 내의 감합부(43)에 대해 감합 홈(21c)의 홈 깊이 방향을 따라 잡아 빼는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인장력을 작용시키고 있으므로, 스페이서(40)의 세로벽부(41)가 넘어지는 방향으로 스페이서(40)가 움직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수용 오목부(21)에 피곤포물(P1)을 수용하는 작업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용기 본체(20)의 장변 방향 양측에 스페이서(40)를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장변 방향 양측 중 어느 일방에 형성하고, 타방은 측벽부(24)에 맞닿음면을 형성하여, 피곤포물(P1)의 패널(Pa) 장변부(Ps1)에 대향하여 패널(Pa)의 단변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볼록부(21h)를 3지점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그 갯수 및 배치 위치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고, 볼록부(21h)의 갯수 또는 배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스페이서(40)의 측단면(42a)을 가압하는 가압력을 증감시킬 수 있다.
1 곤포재
20 용기 본체
21 수용 오목부
21a 바닥면
21b 오목 홈
21c 감합 홈
21h 볼록부
21j 대향측면
40 스페이서
41 세로벽부
42 삽입부

Claims (4)

  1. 판상체를 갖는 피곤포물을 곤포하기 위한 곤포재로서,
    직사각형상의 바닥부와 당해 바닥부의 주위로부터 기립하는 측벽부를 가지며 상기 피곤포물을 수평으로 수용 가능한 크기의 수용 오목부를 갖는 용기 본체와,
    당해 용기 본체에 자유롭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상기 수용 오목부 내에 상기 피곤포물을 수평으로 배치했을 때 상기 용기 본체의 측벽부와 상기 피곤포물의 측변부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갖고,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측벽부를 따라 상기 수용 오목부의 바닥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 홈과, 당해 오목 홈의 상기 측벽부에 대향하는 측의 대향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수용 오목부의 바닥면에 개구하는 감합 홈을 가지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측벽부의 내측면에 대향 배치되는 세로벽부와, 당해 세로벽부의 하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오목 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당해 삽입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감합 홈에 감합되는 감합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홈의 대향측면에는 상기 오목 홈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를 상기 오목 홈의 대향측면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 홈은 홈 깊이 방향 안측의 홈 폭보다 홈 깊이 방향 앞측의 홈 폭이 좁은 오목 형상을 갖고,
    상기 감합부는 당해 감합부의 선단부가 상기 감합 홈의 홈 깊이 방향 앞측의 홈 폭보다 넓으며, 또한 상기 감합 홈의 홈 깊이 방향 안측의 홈 폭보다 좁은 볼록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곤포재에 의해, 상기 피곤포물을 곤포한 곤포체.
KR2020160001226U 2015-03-31 2016-03-08 곤포재 및 곤포체 KR20048287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15-001568 2015-03-31
JP2015001568U JP3198009U (ja) 2015-03-31 2015-03-31 梱包材及び梱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88U KR20160003488U (ko) 2016-10-10
KR200482873Y1 true KR200482873Y1 (ko) 2017-03-10

Family

ID=53537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226U KR200482873Y1 (ko) 2015-03-31 2016-03-08 곤포재 및 곤포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198009U (ko)
KR (1) KR200482873Y1 (ko)
CN (1) CN205470653U (ko)
TW (1) TWM52433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9828B (zh) * 2015-07-27 2018-03-0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面板包装盒
WO2019026852A1 (ja) * 2017-08-03 2019-02-07 Agc株式会社 液体を収容する容器
JP2021098538A (ja) * 2019-12-23 2021-07-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の梱包装置、用紙搬送装置の梱包装置、梱包装置を含む印刷装置、梱包装置を含む用紙搬送装置、梱包装置に梱包された印刷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梱包装置に梱包された用紙搬送装置の製造方法
JP7063927B2 (ja) * 2020-03-02 2022-05-09 シャープ株式会社 容器および保護部材
CN115092543A (zh) * 2022-06-27 2022-09-23 江苏奥蓝工程玻璃有限公司 一种带包装的可钢化低辐射镀膜玻璃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4236A (ja) 2006-05-29 2007-12-06 Jsp Corp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及びガラス基板搬送用包装体
KR100812766B1 (ko) 2006-09-26 2008-03-12 김봉희 유리기판 보관용 박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3359Y2 (ja) * 1990-03-23 1997-04-23 東陶機器株式会社 トイレブース用壁パネル
JP2008280062A (ja) 2007-05-09 2008-11-20 Jsp Corp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及びガラス基板搬送用包装体
JP5227827B2 (ja) * 2009-02-16 2013-07-03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ガラス基板用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4236A (ja) 2006-05-29 2007-12-06 Jsp Corp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及びガラス基板搬送用包装体
KR100812766B1 (ko) 2006-09-26 2008-03-12 김봉희 유리기판 보관용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5470653U (zh) 2016-08-17
KR20160003488U (ko) 2016-10-10
TWM524335U (zh) 2016-06-21
JP3198009U (ja)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2873Y1 (ko) 곤포재 및 곤포체
TWI492889B (zh) Packaging materials and packaging
KR101461011B1 (ko) 곤포재 및 곤포체
CN104029892A (zh) 一种栈板及包装箱
JP3201500U (ja) 梱包材及び梱包体
JP2020193019A (ja) ブリスターシート及びブリスターシート積層体の製造方法
JP6357218B2 (ja) 梱包材および梱包体
JP3203288U (ja) 梱包材および梱包体
WO2019082298A1 (ja) 表示パネル用梱包トレーおよび梱包トレー積層体
KR200490607Y1 (ko) 패널 반송 용기
KR20040034181A (ko) 글래스 기판 운반용 상자
US20170166365A1 (en) Child Resistant Storage Container
JP2011162235A (ja) 板状体搬送用ボックス
WO2018073906A1 (ja) 冷蔵庫
JP2013079087A (ja) 梱包材および梱包体
CN114148631B (zh) 烟机组件及其缓冲件
JP2012144271A (ja) 緩衝梱包材
JP5504185B2 (ja) 梱包材、これにより梱包された梱包体
KR200447521Y1 (ko) 포장용 상자
CN110606257A (zh) 门套包装结构
JP3175430U (ja) 梱包部材および梱包材
JP3199444U (ja) 搬送ケース
JP3186387U (ja) 食品収容用容器
JP3183029U (ja) 梱包部材
JP5922049B2 (ja) 梱包体及び梱包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