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863A -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863A
KR20170000863A KR1020150089638A KR20150089638A KR20170000863A KR 20170000863 A KR20170000863 A KR 20170000863A KR 1020150089638 A KR1020150089638 A KR 1020150089638A KR 20150089638 A KR20150089638 A KR 20150089638A KR 20170000863 A KR20170000863 A KR 20170000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powder
black
black chokeberry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순갑
김종훈
장경환
이혜인
도은주
김찬현
이서영
김승연
김미려
이진태
장영아
최은영
김은희
이재봉
Original Assignee
(주)에이팜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팜,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주)에이팜
Priority to KR1020150089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863A/ko
Publication of KR20170000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8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블랙초크베리 열매 추출물 또는 분획물로 제조한 블랙초크베리파우더를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시켜서 제조함으로써 항산화 및 항염효과가 뛰어나고, 피부진정효과가 뛰어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은 블랙초크베리파우더 0.01 내지 10중량%, 부틸렌글라이콜 50 내지 80중량%, 1,2-헥산디올 18 내지 40중량% 및 정제수 0.2 내지 5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BLACK CHOKEBERRY POWDER}
본 발명은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블랙초크베리 열매 추출물 또는 분획물로 제조한 블랙초크베리파우더를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시켜서 제조함으로써 항산화 및 항염효과가 뛰어나고, 피부진정효과가 뛰어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다양한 환경적인 요인에 대해 신체를 보호하는 물리적 장벽으로써의 기능을 갖는 가장 첫 번째 기관이며, 다양한 환경적인 자극은 면역계의 활성화를 일으킨다. 피부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의 생리적 기능 감소와 구조적인 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생리적 노화(intrinsic aging)와, 자외선(ultrviolet, UV)과 같은 외부자극에 의한 화학적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는 광노화(photoaging)로 구분할 수 있다. 주로 태양광에 의해 피부가 자외선에 과량 노출이 되면서 기미나 주근깨가 생기는 것은 물론 피부에 탄력이 감소하여 주름이 증가하는 등 급격한 노화가 오는데 여기에는 활성산소가 큰 영향을 미친다(Cho et al., 2011. Screening of antiwrinkle resource from herbal medicinal extracts and stability test of its cosmetic product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9:126-135)고 보고되고 있다. 피부가 자외선을 받게 되면 활성산소가 생성되어 피부를 구성하는 단백질인 콜라겐(collagen)의 생성을 저해하여 피부의 주름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ang et al., 2013. Antiwrinkle effect of chestnut leaf. Journal of Life Science. 23:751-756.). 콜라겐(collagen)의 경우 피부조직의 유연성과 신축성을 유지하며, 외적인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보았을 때 콜라겐(collagen) 단백질의 저해는 피부의 탄력을 감소시켜 주름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연구결과로 입증되고 있다(Davies et al., 1987. Protein damage and degradation by oxygen radicals.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62:9914-9920; Fantone and Ward, 1982. Role of oxygen-derived free radicals and metabolites in leukocyte-dependent inflammatory reactions. The American Journal of Pathology. 107:395-418). 또한 활성산소로 인한 피부노화는 콜라겐(collagen)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인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의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의 탄력을 잃게 한다(Park et al., 2010. Inhibitory effects of Carex humilis extract on elastase activity and matrix metalloproteinase-1 expression.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36:129-136; Pentland et al., 1995. Agonistinduced expression of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 and metalloproteinases by human macrophages is regulated by endogenous prostaglandin E2 synthesis. The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04:52-57). 이와 관련하여 주름개선 및 미백, 피부자극도 등의 기능성에 있어서, 항산화 및 항염효과가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에 착안하여, 항산화 및 항염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천연식물의 추출물이 첨가된 화장료 조성물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항산화 및 항염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천연식물 중에서도 블랙초크베리(Aronia Melanocarpa)는 블루베리, 스트로베리 같은 베리류의 한 종류로서 북유럽, 북아메리카 국가들에서 매우 가치 있는 원예작물로 연간 전 세계에서 500,000 내지 600,000만톤 이상 생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블랙초크베리의 품질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로는 안토시아닌과 폴리페놀성 화합물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블랙초크베리(Aronia Melanocarpa)는 매우 많은 양의 안토시아닌류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안토시아닌들로는 cyanidin 3-O-rutinoside, delphinidin 3-O-rutinoside, cyanidin 3-O-glucoside 및 delphinidin 3-O-glucoside이며 hydroxybenzoic acid와 hydroxycinnamic acid와 같은 페놀릭산과 myricetin, quercetin 및 kaempferol과 같은 플라보노이드화합물도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효과 및 항염효과가 뛰어난 블랙초크베리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은 현재 꾸준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25392호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아로니아 추출물을 활성 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항산화효과, 잔주름개선효과, 여드름방지효과, 항염증효과, 미백효과 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287021호는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한 항산화, 항염증 및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된 블루베리, 블랙베리, 아사이베리, 라즈베리, 빌베리, 크랜베리, 블랙초크베리(아로니아 열매), 두송열매, 숍베리 및 딸기 추출물 내지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에 서술한 바와 같이, 항산화효과 및 항염효과가 뛰어난 블랙초크베리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기는 하나, 피부 지질 구조와 유사한 식물성 오일을 사용하여 세라마이드, 스쿠알란, 카프릴릭, 또는 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등 피부친화적인 보습 구현이 가능한 제형을 개발함으로써 피부장벽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품은 현재까지 개발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며, 영유아의 연약한 피부에 자극이 될 수 있는 성분 또는 국내 소비자가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원료를 배제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화장료 조성물의 주요 성분인 블랙초크베리의 항산화효과, 항염효과 또는 피부진정효과를 규명하고, 효능이 규명된 블랙초크베리를 활용한 민감성 피부용 전문화장품으로 개발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25392호 (등록, 2012.03.02.) 한국등록특허 제10-1287021호 (등록, 2013.07.11.)
본 발명은 전술한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블랙초크베리 열매 추출물 또는 분획물로 제조한 블랙초크베리파우더를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시켜서 제조함으로써, 전자공여능(EDA: electron donating ability), ABTS radical 소거능력 또는 Nitric oxide radical 저해효능이 우수하여 항산화효과 및 항염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랙초크베리파우더를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시켜서 제조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이 가능하도록 피부진정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블랙초크베리파우더 0.01 내지 10중량%, 부틸렌글라이콜 50 내지 80중량%, 1,2-헥산디올 18 내지 40중량% 및 정제수 0.2 내지 5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랙초크베리파우더는, 70%에탄올추출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분획물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70%에탄올추출물로 제조된 블랙초크베리파우더는, 블랙초크베리 생과에 70%에탄올을 첨가한 뒤, 추출, 여과 및 농축하여 얻어진 70%에탄올추출물을 동결건조 및 파쇄하여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분획물로 제조된 블랙초크베리파우더는, 블랙초크베리 생과에 70%에탄올을 첨가한 뒤, 추출, 여과 및 농축하여 얻어진 70%에탄올추출물물에 증류수 및 헥산(n-Hexane)을 첨가하여 분획하고, 분획된 증류수층에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를 첨가한 뒤 분획하여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분획물을 동결건조 및 파쇄하여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제조과정에서 필요한 전체 원료 100중량부에 대해 0.001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류 또는 크림류의 화장품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은 전자공여능(EDA: electron donating ability)에 대해서 높은 소거효능을 나타내고, ABTS radical 소거능력이 뛰어나며, Nitric oxide radical 저해효능이 우수하여 항산화 및 항염효과가 뛰어난 장점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화장품으로 제조하였을 경우에도 항산화효과 및 항염효과가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피부 자극시험을 통해 피부자극정도를 평가한 결과, 비자극성으로 판정되어 피부진정효과가 뛰어난 장점이 있다.
도 1은 블랙초크베리 70%에탄올추출물로부터 추출물 분획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블랙초크베리 추출물과 분획물의 전자공여능(EDA: electron donating ability)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블랙초크베리 추출물과 분획물의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블랙초크베리 추출물과 분획물의 Nitric oxide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첨가된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한 화장수 및 로션과 같은 실험군과 무첨가 대조군의 전자공여능(EDA: electron donating ability)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첨가된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한 화장수 및 로션과 같은 실험군과 무첨가 대조군의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첨가된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한 화장수 및 로션과 같은 실험군과 무첨가 대조군의 Nitric oxide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은 블랙초크베리파우더 0.01 내지 10중량%, 부틸렌글라이콜 50 내지 80중량%, 1,2-헥산디올 18 내지 40중량% 및 정제수 0.2 내지 5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0.01중량% 미만으로 첨가되어 구성될 경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블랙초크베리파우더의 함량이 너무 작아서, 블랙초크베리에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안토시아닌류의 성분들이 화장료 조성물에 충분히 포함되지 않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항산화효과 또는 항염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우려가 있으며, 피부진정효과도 발현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10중량%를 초과하는 양으로 첨가되어 구성될 경우, 화장료 조성물에 블랙초크베리파우더의 함량이 증가한다고 하더라도 일정 농도 이상에서는 블랙초크베리파우더에서 기대할 수 있는 항산화효과, 항염효과 또는 피부진정효과는 더이상 증진되지 않기 때문에 다량 함유시킬 경우 생산 단가가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부틸렌글라이콜이 5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어 구성될 경우, 무방부제 제형에 사용되는 방부 대체 보습 보존제인 부틸렌글라이콜이 화장료 조성물에 너무 적게 포함되게 되어 화장료 조성물 자체의 보습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방부효과가 떨어져 화장료 조성물이 변성 또는 변질 될 우려가 있다. 또한, 부틸렌글라이콜이 80중량%를 초과하는 양으로 첨가되어 구성될 경우, 상대적으로 블랙초크베리파우더 및 1,2-헥산디올의 함유율이 작아지게 되어 화장료 조성물의 효능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1,2-헥산디올이 18중량% 미만으로 첨가되어 구성될 경우,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되는 1,2-헥산디올의 방부효과가 제대로 발현되지 않아 화장료 조성물이 변성 또는 변질 될 우려가 있으며, 1,2-헥산디올이 40중량%를 초과하는 양으로 첨가되어 구성될 경우, 상대적으로 블랙초크베리파우더 및 부틸렌글라이콜의 함유율이 작아지게 되어 화장료 조성물의 효능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은 블랙초크베리파우더 0.01 내지 10중량%, 부틸렌글라이콜 50 내지 80중량%, 1,2-헥산디올 18 내지 40중량% 및 정제수 0.2 내지 5중량%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블랙초크베리파우더는, 70%에탄올추출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분획물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70%에탄올추출물로 제조된 블랙초크베리파우더는, 블랙초크베리 생과에 70%에탄올을 첨가한 뒤, 추출, 여과 및 농축하여 얻어진 70%에탄올추출물을 동결건조 및 파쇄하여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분획물로 제조된 블랙초크베리파우더는, 블랙초크베리 생과에 70%에탄올을 첨가한 뒤, 추출, 여과 및 농축하여 얻어진 70%에탄올추출물물에 증류수 및 헥산(n-Hexane)을 첨가하여 분획하고, 분획된 증류수층에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를 첨가한 뒤 분획하여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분획물을 동결건조 및 파쇄하여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제조과정에서 필요한 전체 원료 100중량부에 대해 0.001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화장품 전체 원료 100중량부에 대해 화장료 조성물이 0.00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화장품 전체 함유량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의 함유율이 너무 작게 포함되게 되어, 화장품으로 제조하였을 때, 항산화효과, 항염효과 또는 피부진정효과가 제대로 발현되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화장품 전체 원료 100중량부에 대해 화장료 조성물이 10중량부를 초과하는 비율로 첨가될 경우, 생산 단가가 증가하게 되어 생산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이 포함된 화장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는, 화장품 제조과정에서 필요한 전체 원료 100중량부에 대해 0.001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류 또는 크림류의 화장품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화장료는 화장수류, 유액류, 크림류, 팩류, 백분류, 화운데이션류, 립스틱류, 연지류, 눈화장재료류, 비누류, 햇빛을 막는 화장료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이하 ‘화장료 조성물’이라고도 함)에 대해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은 후술하는 실시예 및 성분분석시험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블랙초크베리파우더를 제조하였다.
블랙초크베리파우더는 70%에탄올추출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분획물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추출 및 분획과정은 도 1에 모식도로 나타내었다.
1) 70%에탄올추출물로 제조된 블랙초크베리파우더
블랙초크베리 생과 약 10kg을 파쇄하여 70%에탄올을 첨가한 뒤, 약 24시간 동안 약 25℃ 조건에서 침지시키는 방식으로 추출한다. 추출과정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2회 반복하여 추출한 뒤, 추출물을 여과하여 액과 고형물로 분리하고, 분리된 액을 약 50℃의 온도에서 회전식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에탄올이 모두 제거될 때 까지 농축시킨다. 농축된 추출물은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한 뒤, 파쇄하여 미세한 입자의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였다.
2)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분획물로 제조된 블랙초크베리파우더
상기 농축된 70%에탄올추출물을 중량의 약 10배에 해당하는 비율의 증류수에 녹인 후, 동량의 헥산(n-Hexane),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부탄올(n-Butan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각각 3회씩 반복적으로 분획한 후 상층액을 얻었으며, 최종 남은 용액은 물층(water layer)으로 하였다. 이들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분획물을 약 40℃의 온도에서 회전식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가 모두 제거될 때 까지 농축시킨다. 농축된 분획물은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한 뒤, 파쇄하여 미세한 입자의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였다.
[항산화 및 항염 활성 실험 1]
블랙초크베리는 70%에탄올로 추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 하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의 극성차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용매를 첨가하여 분획을 실시하였다. 블랙초크베리 70%에탄올추출물을 중량의 약 10배의 증류수에 녹인 후, 동량의 헥산(n-Hexane),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부탄올(n-Butano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각각 3회씩 씩 반복적으로 분획한 후 상층액을 얻었으며, 최종 남은 용액은 물층(water layer)으로 하였다. 상기의 분획물은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 하였으며, 냉장보관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70%에탄올추출물은 “A70”으로 표기하였으며, 헥산(n-Hexane)분획물은 “AH”로 표기하였고,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분획물은 “AE”로 표기하였으며, 부탄올(n-Butanol)분획물은 “AB”로 표기하였고, 물층(water layer)분획물은 “AW”로 표기하였다.
또한, 실험결과에 대한 통계처리는 SPSS software packgae(Version 17.0)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고, 각 처리군 간의 유의성에 대한 검증은 ANOVA를 이용하여 유의성을 확인한 후, p<0.0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ⅰ) Electron donating ability 측정 및 결과
추출물 및 분획물의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ies, EDA)은 Blois(1958)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DPPH(1-diphenyl-2-picrylhydrazyl) 16mg을 에탄올 100mL에 녹인 후 동량의 증류수를 혼합하여 Whatman filter paper No.2에 여과시켜 반응액을 조제하였다. 각 시료용액 1mL에 DPPH 반응용액 5mL를 넣어 잘 혼합한 후 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를 이용한 항산화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블랙초크베리의 70%에탄올추출물과 분획물에 대한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는 도 2와 같다. A70의 경우, 250ug/mL의 농도에서 약 58%의 radical 소거능을 보였으며, 500ug/mL에서는 약 77%의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분획물 중, AE는 50ug/mL에서 약 55%의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농도의존적으로 소거능력이 우수하여 250ug/mL에서는 약 94%의 우수한 소거능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BHA가 250ug/mL에서 95%의 소거능력을 보인 것과 비교하였을 때 매우 효과적인 결과이다. AB 또한 A70과 유사한 소거능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블랙초크베리 70% 메탄올추출물에서 1,000ug/mL에서 63.3%, 3000ug/mL에서 95.3%의 소거활성을 보였다는 보고(Chung HJ: Comparison of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Black Chokeberry and Blueberry Cultivated in Korea. J kor Soc Food Sci Nutr . 43(9): 1349-1356, 2014)와 비교하여 월등히 높은 활성효과라고 볼 수 있으며, 블랙초크베리 열수추출물 1,000ug/mL에서 84.2%의 소거능을 보였고, 70% 에탄올 추출물은 84.3%의 소거능을 보였다고 보고된 연구결과(Kang S, Cho S, Chung JH, Hammerberg C, Fisher GJ, Voorhees JJ: Inflammation and extracellular matrix degradation mediated by activated transcription factors nuclear factor-kappa B and activator protein-1 in inflammatory acne lesions in vivo. Am J Pathol . 166: 1691-1699, 2005)와, 아로니아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비타민 C보다 약 1.5배 우수한 radical 포착 효능이 보고된 연구결과(Jeon YS, Jo, BS, Park HJ, Kang SA, Cho YJ: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y of Caragana sinica Extracts. J Kor Soc Food Sci Nutr . 41(9): 1211-1219, 2012)와 비교해서도 활성효과가 높게 나타난 것이라고 판단된다.
ⅱ) ABTS radical cation scavenging activity 측정 및 결과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측정은 Park et al.(2002)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즉, 7.4mM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0.5mL과 2.6mM Potassium persulfate(K2S2O8) 88uL를 섞은 용액 1mL와 ethanol 88mL를 혼합한 ABTS용액 1mL를 1:1로 섞은 후 12시간 동안 radical을 형성시킨 용액을 99% EtOH에 약 1:13의 비율로 섞어서 734nm에서 대조구의 흡광도 값이 0.7±0.002가 되도록 조절한 ABTS solution을 사용하였다. 시료용액 100uL와 ABTS solution 100uL를 혼합하여 30초간 진탕한 후 1분간 상온에서 반응시키고 734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효과는 percentage inhibition(%)으로 나타내었다.
블랙초크베리의 70%에탄올추출물과 분획물에 대한 ABTS radical 소거활성능 측정 결과는 도 3과 같다. A70의 경우, 100ug/mL의 농도에서 약 51%의 radical 소거능을 보였으며, 500ug/mL에서는 약 88%의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분획물 중, AE는 50 ug/mL에서 약 64%의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농도의존적으로 소거능력이 우수하여 200ug/mL에서는 약 90%, 500ug/mL에서는 약 94%의 우수한 소거능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BHT가 200ug/mL에서 98%의 소거능력을 보인 것과 비교해서 유의할 만한 결과이다. AB 또한 200ug/mL에서 약 85%, 500ug/mL에서는 약 91%의 우수한 소거능력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블랙초크베리 70% 메탄올 추출물이 1000, 3000, 5000ug/mL에서 약 32%, 64%, 97%의 소거활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된 연구 결과(Chung HJ: Comparison of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Black Chokeberry and Blueberry Cultivated in Korea. J kor Soc Food Sci Nutr . 43(9): 1349-1356, 2014)와 비교해서 높은 소거활성 효과로 볼 수 있다.
ⅲ) Nitric oxide radical scavenging ability 측정 및 결과
Nitric oxide radical 저해활성은 Marcocci 등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Sodium nitroprusside solutions는 10mM sodium nitroprusside을 20mM Phosphate buffer(pH 7.4)에 녹여 제조하였다. 50uL의 시료와 50uL의 Sodium nitroprusside solutions를 25℃에서 15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액 0.1mL과 Griess reagent solution을 1:1로 반응시켜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블랙초크베리의 70%에탄올추출물과 분획물에 대한 Nitric oxide radical의 소거활성 결과는 도 4와 같다. A70의 250ug/mL과 500ug/mL의 농도에서 74.8%와 75.5%의 높은 소거율을 보였으며, AH에서도 73.1%, 73.7%의 소거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AB에서도 71.5%, 73.5%의 소거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어 유의할 만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 가능하다. 이는 positive control인 Vitamin C가 같은 농도에서 81.7%, 86.9%의 소거효과를 보인 것과 비교하여 유의할 만한 결과이다.
[피부자극도 측정 실험]
블랙초크베리(Aronia Melanocarpa) 열매 70%에탄올추출물의 인체피부 자극도를 측정하기 위해 하기의 방법에 따라 피부자극도를 측정하였다.
Finn chamber에 filter paper를 장착하고 시험제품 20㎕를 filter 중앙에 적하시킨 후 착색이나 손상이 없는 피부의 평평한 부위에 3M Micropore Tape로 고정하였다. 각 시험물질은 적용위치를 정하여 자리바꿈이 없도록 주의하였고, 피부자극시험을 위한 첩포는 24시간 동안 적용하였다. 첩포 적용 24시간 후 Finn chamber를 제거하고 1시간, 24시간, 48시간에 시험물질 적용부위의 피부반응 정도를 평가하였다.
ⅰ) 피부자극정도 평가방법
피부자극정도는 첩포제거 후 1시간, 24시간, 48시간의 평균 반응도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대상자 주관적 반응 평가는 평가 항목별로 대상자가 직접 점수를 표시하도록 하였으며, 이때 Finn Chamber를 고정하기 위하여 부작한 Tape 적용부위에서의 반응인지 시험물질 적용부위에서의 반응인지를 고려하여 평가하도록 대상자에게 주지시켰다. 대상자의 주관적 반응 평가 결과는 피부자극정도에 대한 참고자료로서 사용하였다.
또한, 이상반응 및 병용약물에 대한 평가는 대상자 선정검사 이후의 모든 방문 시에 이전 방문으로부터 해당 방문일 사이에 발생한 이상반응 여부와 피부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병용약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ⅱ) 피부자극성 평가결과
시험제품의 24시간 첩포 후 1시간, 24시간, 48시간의 피부반응을 시험자가 육안으로 평가하여 피부자극지수를 구한 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블랙초크베리 70%에탄올추출물 0.3%는 0.00으로 나타났고, 블랙초크베리 70%에탄올추출물 0.5%는 0.03으로 나타났으며, 블랙초크베리 70%에탄올추출물 1%는 0.02로 나타났고, 1.3 butylene glycol은 0.01으로 나타났으므로, 시험물질 모두 비자극성으로 판정되었다.
Figure pat00001
ⅲ) 시험물질의 피부자극에 대한 대상자 주관적 평과 결과
각 시험물질의 피부자극정도에 대한 대상자 주관적 평가 결과, 첩포 제거 후 24시간에 블랙초크베리 0.3%에 대하여 1명, 블랙초크베리 0.5%에 대하여 1명이 가려움이 있다고 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이 나타내었고, 첩포 제거 후 관찰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관찰되는 따가움, 화끈거림 및 가려움에 대한 보고는 없었다.
Figure pat00002
ⅳ) 이상반응 및 병용약물
시험기간 동안 병용약물 사용은 없었으며, 시험에서 예상되었던 피부반응 이외의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ⅴ) 결론
시험기간 동안 만 21~60세인 피부질환 및 급·만성 질환이 없는 성인 33명을 대상으로 블랙초크베리 70% 에탄올 추출물의 피부 자극정도를 평가하였다.
피부자극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험제품인 블랙초크베리 70%에탄올추출물 용액 0.3%, 0.5%, 1%와 대조제품인 1, 3-butylene glycol 50% 20㎕을 적용한 Finn chamber를 24시간 동안 좌측 하박 안쪽에 첩포하였다. 첩포 제거 후 1시간, 24시간, 48시간의 피부반응을 시험자가 육안으로 평가하였고, 따끔함, 화끈거림, 가려움에 대한 대상자의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시험에 참여한 대상자는 33명으로 평균연령은 만 37.1±10.94세였다. 참여한 대상자들의 피부상태는 건성피부 3명, 중성(중건성 12명, 중성 18명, 중지성 0명)피부 30명이었다. 기타 피부조건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가려움과 따가움에 대한 감수성이 있다고 답한 이가 각각 2명, 1명 이었다. 이외의 특이한 사항은 없었다.
블랙초크베리 70%에탄올추출물 용액의 24시간 첩포 후 피부반응에 대한 시험자 육안평가 결과, 0.3% 추출물은 0.00, 0.5% 추출물은 0.03, 1% 추출물은 0.02로 3개 농도의 용액 모두 비자극성으로 판정되었다. 또한 따끔함, 화끈거림, 가려움에 대한 대상자의 주관적 평가에서도 첩포부위에서의 자극감은 보고되지 않았다.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한 결과, 시험제품인 블랙초크베리 70%에탄올추출물은 비자극성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시험제품의 피부자극정도가 제품 사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70%에탄올추출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분획물로 제조된 블랙초크베리파우더 각각에 부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2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원료의 구체적인 함량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화장품(화장수 및 로션)을 제조하였다.
1)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이 첨가된 화장수
70%에탄올추출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분획물로 제조된 블랙초크베리파우더 각각에 부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각각을 첨가하여 2종의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화장수에 포함된 원료의 구체적인 함량은 하기 표 4와 같다.
Figure pat00004
2)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이 첨가된 로션
70%에탄올추출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분획물로 제조된 블랙초크베리파우더 각각에 부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각각을 첨가하여 2종의 로션를 제조하였다. 로션에 포함된 원료의 구체적인 함량은 하기 표 5와 같다.
Figure pat00005
[항산화 및 항염 활성 실험 2]
시료인 70%에탄올추출물로 제조한 블랙초크베리파우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과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분획물로 제조된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1,000ppm 함유한 토너와 로션을 제조하여(실시예 3) 실험군으로 사용하고, 시료 무첨가 화장수와 로션을 제조하여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전자공여능, ABTS radical 소거능, Nitric oxide radical 소거능 실험을 실시하여 항산화 또는 항염활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70%에탄올추출물로 제조한 블랙초크베리파우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한 화장수는 “E70-To”로 표기하였으며,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분획물로 제조된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한 화장수는 “EA-To”로 표기하였고, 대조군인 시료 무첨가 화장수는 “Non-To”로 표기하였다. 또한, 70%에탄올추출물로 제조한 블랙초크베리파우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한 로션은 “E70-Lo”로 표기하였으며,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분획물로 제조된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한 로션은 “EA-Lo”로 표기하였고, 대조군인 시료 무첨가 로션은 “Non-Lo”로 표기하였다.
아울러, 실험결과에 대한 통계처리는 SPSS software packgae(Version 17.0)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고, 각 처리군 간의 유의성에 대한 검증은 ANOVA를 이용하여 유의성을 확인한 후, p<0.0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ⅰ) Electron donating ability 측정 및 결과
전자공여능(EDA: electron donating ability)은 Blois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료용액 2mL에 0.2mM의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1mL 넣고 교반한 후 30분간 방치한 다음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전자공여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도 5와 같다.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는 Non-To의 경우 전자공여능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100ug/mL 농도의 E70-To는 30.8%, EA-To는 78.2%의 소거효능을 나타내었다. 300ug/mL의 농도에서는 E70-To는 66.7%, EA-To는 88.9%의 높은 소거효능을 보였다. 또한, 샘플 농도 100ug/mL에서의 전자공여능 결과는 Non-Lo는 전자공여능의 효과가 8.8%로 미미하였으나, E70-Lo는 44.9%, EA-Lo는 85%의 높은 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positive control인 BHA가 93%인 것과 비교하여 항산화 효능이 매우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ⅱ)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측정 및 결과
ABTS radical을 이용한 항산화력 측정은 ABTS+· cation decolorization assay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7mM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와 2.4mM potassium persulfate를 최종 농도로 혼합하여 실온인 암소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ABTS+·을 형성시킨 후 phoaphate buffer saline로 희석하여 ABTS+· 100uL에 시료 100uL를 가하여 1분 동안 방치한 후 732㎚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는 도 6과 같다.
Non-To의 경우 전 농도에서 효능이 미미하였으나, 100ug/mL 농도의 E70-To는 24.3%, EA-To는 72.3%의 소거효능을 보였으며, 300ug/mL 농도에서는 E70-To는 69.6%, EA-To는 88.8%의 뛰어난 소거효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Non-Lo는 소거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100ug/mL의 농도에서 E70-Lo는 약 68.3%, EA-Lo는 100%의 우수한 소거능력을 나타내었으며, 화장품으로 제조하였을 때 소거능력이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ⅲ) Nitric oxide radical scavenging ability 측정 및 결과
Nitric oxide radical 저해활성은 Marcocci 등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Sodium nitroprusside solutions는 10mM sodium nitroprusside을 20mM Phosphate buffer(pH7.4)에 녹여 제조하였다. 50uL의 시료와 50uL의 Sodium nitroprusside solutions를 25℃에서 15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액 0.1mL과 Griess reagent solution을 1:1로 반응시켜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화장수 및 로션에 대한 Nitric oxide radical 저해 활성 결과는 도 7과 같다.
Non-To의 경우 농도의존적으로 미미한 증가를 보였으나, E70-To 및 EA-To의 경우 100ug/mL 농도에서 각각 18.8%, 16.8%의 저해효과를 보였으며,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여 400ug/mL의 농도에서는 각각 44%, 46.8%의 소거활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positive control로 사용된 BHT가 400ug/mL의 농도에서 62%의 저해효능을 보인 것과 비교하면 매우 유의적인 결과로 판단된다. 또한, Non-Lo의 경우 Nitric oxide radical 저해효능이 31%이었고, 100ug/mL의 E70-Lo에서는 37.6%, EA-Lo에서는 40.3%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BHT가 29.3%인 것과 비교해 볼 때 매우 효과적인 결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은 전자공여능(EDA: electron donating ability)에 대해서 높은 소거효능을 나타내고, ABTS radical 소거능력이 뛰어나며, Nitric oxide radical 저해효능이 우수하여 항산화 및 항염효과가 뛰어난 장점이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화장품으로 제조하였을 경우에도 항산화 및 항염효과가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인체피부 자극시험을 통해 피부자극정도를 평가한 결과, 비자극성으로 판정되어 피부진정효과가 뛰어난 장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실시예, 항산화 및 항염 활성 실험 및 피부자극도 측정 실험을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구현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또한, 청구범위의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블랙초크베리파우더 0.01 내지 10중량%, 부틸렌글라이콜 50 내지 80중량%, 1,2-헥산디올 18 내지 40중량% 및 정제수 0.2 내지 5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랙초크베리파우더는, 70%에탄올추출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분획물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70%에탄올추출물로 제조된 블랙초크베리파우더는,
    블랙초크베리 생과에 70%에탄올을 첨가한 뒤, 추출, 여과 및 농축하여 얻어진 70%에탄올추출물을 동결건조 및 파쇄하여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분획물로 제조된 블랙초크베리파우더는,
    블랙초크베리 생과에 70%에탄올을 첨가한 뒤, 추출, 여과 및 농축하여 얻어진 70%에탄올추출물물에 증류수 및 헥산(n-Hexane)을 첨가하여 분획하고, 분획된 증류수층에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를 첨가한 뒤 분획하여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분획물을 동결건조 및 파쇄하여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제조과정에서 필요한 전체 원료 100중량부에 대해 0.001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류 또는 크림류의 화장품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류 또는 크림류의 화장품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089638A 2015-06-24 2015-06-24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08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638A KR20170000863A (ko) 2015-06-24 2015-06-24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638A KR20170000863A (ko) 2015-06-24 2015-06-24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863A true KR20170000863A (ko) 2017-01-04

Family

ID=5783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638A KR20170000863A (ko) 2015-06-24 2015-06-24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86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392B1 (ko) 2007-07-13 2012-03-27 최윤하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87021B1 (ko) 2012-12-31 2013-07-17 주식회사 제닉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한 항산화, 항염증 및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392B1 (ko) 2007-07-13 2012-03-27 최윤하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87021B1 (ko) 2012-12-31 2013-07-17 주식회사 제닉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한 항산화, 항염증 및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3065172A1 (fr) Preparation cosmetique contenant un extrait de truffe blanche et procede cosmetique associe
KR100844275B1 (ko)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101511148B1 (ko) 여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여뀌 추출물의 경피 흡수를 증진시키는 리포좀
KR101728686B1 (ko) 베리과 열매를 섭취한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85195B1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3743B1 (ko) 음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91300A (ko) 피부 노화 징후의 출현을 방지 또는 지연시키기 위한 활성제로서의 브라소카틀레야 마르셀라 코스 난초 추출물의 용도
KR101026879B1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625288B1 (ko) 브로콜리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KR101475454B1 (ko) 불가사리 추출물 및 유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세포 성장 촉진 효과,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54695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04215B1 (ko)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을 위한 조성물
KR20220028612A (ko) 인진쑥 추출물 및 올리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산화, 미백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0093A (ko) 발아곡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82744B1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027113B1 (ko) 해송의 송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090002369A (ko)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18595B1 (ko) 토마티딘을 함유하는 미숙 토마토 분해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51413B1 (ko) 바질시드에서 추출한 단백 다당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4443A (ko) 흰목이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0863A (ko) 블랙초크베리파우더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8173A (ko) 큰실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1478418B2 (en) Fat and/or wax activated by means of the water-insoluble fraction of Carica papaya sap
KR20100004531A (ko) 옥잠화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