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615U - 정위효과를 높이는데 사용되는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 및 그의 슬라이딩 부재 - Google Patents

정위효과를 높이는데 사용되는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 및 그의 슬라이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615U
KR20170000615U KR2020160000454U KR20160000454U KR20170000615U KR 20170000615 U KR20170000615 U KR 20170000615U KR 2020160000454 U KR2020160000454 U KR 2020160000454U KR 20160000454 U KR20160000454 U KR 20160000454U KR 20170000615 U KR20170000615 U KR 201700006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blocking
base
blocking portion
fixed
activ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4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164Y1 (ko
Inventor
유-파우 린
Original Assignee
충 츠완 엔터플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 츠완 엔터플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충 츠완 엔터플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006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6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1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44B19/262Pull members; Ornamental attachments for slid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02Slide fasteners with a series of separate interlocking members secured to each stringer tape
    • A44B19/04Stringers arranged edge-to-edge when fastened, e.g. abutting string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10Slide fasteners with a one-piece interlocking member on each stringer tap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44B19/30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 A44B19/308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in the form of a spring-actuated locking member actuated by the pull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61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 Y10T24/2566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61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 Y10T24/2566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 Y10T24/257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having surface engaging element shifted by reorientation of pull tab
    • Y10T24/2571Resilient or spring biased element
    • Y10T24/2577Biased by distinct spring

Abstract

본 고안은 정위 효과를 높이는데 사용되는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 및 그의 슬라이딩 부재를 제공한다.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는 슬라이딩 부재 및 견인 부재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부재는 기저부, 제1측차단부, 제2측차단부, 기저부, 탄편 부재 및 유지 부재를 포함하며, 유지 부재의 일 말단상에 관통식 정위개구를 통과하는 정위부를 가진다. 견인 부재는 활동가능하게 유지 부재와 상호결합된다. 제1측차단부의 제1내표면과 제1외표면간의 제1두께는 제2측차단부의 제2내표면과 제2외표면간의 제2두께보다 얇다. 제1대칭중심선은 관통식 정위개구의 기하중심점을 경과하며, 기저부의 제2대칭중심선은 제1대칭중심선에 대하여 제2측차단부로부터 제1측차단부를 향하는 수평방향을 따라 예정된 수평편이량으로 수평편이 한다.

Description

정위효과를 높이는데 사용되는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 및 그의 슬라이딩 부재{Hidden zipper slider assembly structure and sliding member thereof for use in increasing positioning effect}
본 고안은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 및 그의 슬라이딩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위효과를 높이는데 사용되는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 및 그의 슬라이딩 부재에 관한 것이다.
통상 복장의 기본적인 견인 결합 부품(pull coupling emement)은 단추 혹은 지퍼구조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단추와 비교하여, 지퍼구조는 더욱 좋은 사용성 및 비교적 견고한 구조 특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지퍼구조는 지퍼 슬라이더(zipper slider)와 지퍼대(zipper tape)를 가진다. 지퍼 슬라이더는 왕복 견인하는 결합 부품으로서 지퍼대와 주요 적으로 결합하여, 지퍼 구조로 하여금 의복 및 액세서리에서의 미래의 응용이 더욱 보편화 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지퍼 슬라이더가 지퍼대에 정위(定位)하는 정위 효과는 좋지 않다. 그러므로 어떻게 구조설계의 개량에 의해 지퍼 슬라이더의 지퍼대에 정위하는 정위효과를 높일지가 이미 업계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일종의 정위효과를 높이는데 사용되는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 및 그의 슬라이딩 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정위효과를 높이는데 사용되는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는 슬라이딩 부재 및 견인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기저부, 제1측차단부, 제2측차단부, 기좌부, 탄편 부재, 및 유지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1측차단부와 상기 제2측차단부는 각각 상기 기저부의 상반되는 양 측단으로부터 위를 향해 연장하고, 상기 제1측차단부와 상기 제2측차단부는 피차 상호 대응하며 상기 기저부의 전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기좌부는 상기 기저부상에 설치되고 상기 기저부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기좌부는 상기 제1측차단부와 상기 제2측차단부간에 위치하는 관통식 정위개구를 가진다. 상기 탄편 부재는 상기 기좌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기좌부 상에 활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탄편 부재에 활동가능하게 접촉하고, 상기 유지 부재의 일 말단상에 상기 관통식 정위개구를 통과하는 정위부를 가진다. 상기 견인 부재는 상기 유지 부재와 활동가능하게 상호결합한다. 상기 제1측차단부는 제1내표면 및 상기 제1내표면과 피차 상반되게 설치되는 제1외표면을 가진다. 상기 제2측차단부는 상기 제1내표면과 피차 서로 대응하는 제2내표면 및 상기 제2내표면과 피차 상반되게 설치되는 제2외표면을 가진다. 상기 제1측차단부의 상기 제1내표면과 상기 제1외표면간의 제1두께는 상기 제2측차단부의 상기 제2내표면과 상기 제2외표면간의 제2두께보다 얇다. 상기 기저부는 제1대칭중심선을 가지며, 상기 기좌부는 제2대칭중심선을 가지고, 상기 제1대칭중심선은 상기 관통식 정위개구의 기하중심점을 경과한다. 상기 기좌부의 상기 제2대칭중심선은 상기 제1대칭중심선에 대하여, 상기 제2측차단부로부터 상기 제1측차단부를 향하는 수평방향을 따라 예정 수평편이량으로 수평편이 한다.
전체적인 지퍼티스구조는 상기 제1측차단부의 방향을 향해 약간 편이할 수 있으며, 상기 관통식 정위개구를 차폐되도록 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틈에 정확하게 정렬할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정위부가 상기 관통식 정위개구를 통하여 상기 틈내에 고정될시에, 상기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는 상기 정위부와 상기 틈의 조합을 통하여 상기 지퍼티스구조상에 정확하게 정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기술내용을 진일보 명료하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이하의 본 고안관련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시오. 그러나 첨부 도식은 참고 및 설명용으로만 제공되며 본 고안을 한정하고자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부재의 입체분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다른 슬라이딩 부재의 입체조합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절단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 절단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부재의 전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지 부재의 입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의 입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의 지퍼티스 구조에서 슬라이딩을 진행할 때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정위부가 틈 내에 삽입되는 때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부재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부재의 입체 조합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의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나타내듯이, 본 고안은 정위(定位)효과를 높이는데 사용되는 슬라이딩 부재(sliding member)(1)(혹은 슬라이더(slider), 지퍼 슬라이더(zipper slider))를 제공하며, 기저부(10), 제1측차단부(11), 제2측차단부(12), 기좌부(13), 탄편(彈片) 부재(15) 및 유지 부재(14)를 구비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측차단부(11)와 제2측차단부(12)는 각각 기저부(10)의 상반(相反)되는 양 측단으로부터 위를 향해 연장하며, 제1측차단부(11)와 제2측차단부(12)는 피차 상호대응하고 기저부(10)의 전단부(101)에 연결된다. 기좌부(13)는 기저부(10)상에 설치되며 기저부(10)의 후단부(102)에 연결되고, 기좌부(13)는 제1측차단부(11)와 제2측차단부(12) 간에 위치하는 관통식 정위개구(130)를 가진다. 탄편 부재(15)는 기좌부(13) 내에 설치된다. 유지 부재(14)는 기좌부(13) 상에 활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탄편 부재(15)에 활동가능하게 접촉하며, 유지 부재(14)의 일 말단상에 관통식 정위개구(130)를 통과하는 정위부(140)를 가진다.
더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탄편 부재(15)는 기좌부(13) 내에 고정되는 고정부(151), 고정부(151)에 상반되며 고정부(151)에 평행한 활동가능 접촉부(152), 및 고정부(151)와 활동가능 접촉부(152) 간에 연결되는 굴곡 연결부(153)를 가진다. 유지 부재(14)는 정위부(140)에 상반되고 기좌부(13)의 용치 오목조(131) 내에 설치되는 내장부(embeddd part)(141), 및 정위부(140)와 내장부(141) 간에 위치하고 활동가능 접촉부(152)에 활동가능하게 접촉하는 정저부(142)를 가진다. 예를 들면, 고정부(151), 굴곡 연결부(153) 및 활동가능 접촉부(152)는 순서대로 연결되어 대략 U형 탄편을 형성한다. 활동가능 접촉부(152)의 너비 W2는 굴곡 연결부(153)의 너비 W3보다 크고, 고정부(151)의 너비 W1는 상기 활동가능 접촉부(152)의 너비 W2보다 크다.
다음,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측차단부(11)는 제1내표면(111) 및 제1내표면(111)과 피차 상반되게 설치되는 제1외표면(112)을 가진다. 제2측차단부(12)는 제1내표면(111)과 피차 서로 대응하는 제2내표면(121) 및 제2내표면(121)과 피차 상반되게 설치되는 제2외표면(222)을 가진다. 제1측차단부(11)의 제1내표면(111)과 제1외표면(112) 간의 제1두께 H1는 제2측차단부(12)의 제2내표면(121)과 제2외표면(122) 간의 제2두께 H2보다 얇다.
더 설명하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측차단부(11)의 상기 제1내표면(111)은 제1주요내표면(1111) 및 제1차요내표면(1112)으로 구분되고, 제2측차단부(12)의 제2내표면(121)은 제1주요내표면(1111)을 향하는 제2주요내표면(1211) 및 제1차요내표면(1112)을 향하는 제2차요내표면(1212)으로 구분된다. 도 4 또는 도 5에서 나타내듯이, 제1측차단부(11)의 제1주요내표면(1111)과 제1외표면(112) 간의 제1주요두께 H11는 제2측차단부(12)의 제2주요내표면(1211)과 제2외표면(122) 간의 제2주요두께 H21보다 얇을 수 있다. 도 4 또는 도 5에서 나타내듯이, 제1측차단부(11)의 제1차요내표면(1112)과 제1외표면(112) 간의 제1차요두께 H12는 제2측차단부(12)의 제2차요내표면(1212)과 제2외표면(122) 간의 제2차요두께 H22보다 얇을 수 있다.
더 설명하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기저부(10)는 제1대칭중심선 L1을 가지며, 기좌부(13)는 제2대칭중심선 L2를 가진다. 제1대칭중심선 L1은 관통식 정위개구(130)의 기하중심점P(도 4에서 나타내듯이)을 경과 하며, 기좌부(13)의 제2대칭중심선 L2은 제1대칭중심선 L1에 대하여, 제2측차단부(12)로부터 제1측차단부(11)를 향하는 수평방향을 따라 예정된 수평편이량 S 만큼 수평편이 한다. 예를 들면 기좌부(13)의 제2대칭중심선 L2의 제1대칭중심선에 대한 예정된 수평편이량 S은 아래의 관계식에 부합된다:
S=(H2-H1)/2,
여기서 S는 상기 예정된 수평편이량이며, H1은 상기 제1두께이며, H2는 상기 제2두께이다.
언급할만한 것은 도 4 또는 도 5에서 나타내듯이, 제1대칭중심선 L1을 대칭기준선으로 한다면, 제1측차단부(11)의 제1외표면(112)과 제2측차단부(12)의 제2외표면(122)는 제1대칭중심선 L1의 양 상대단에 대칭으로 설치될 수 있거나, 혹은 제1측차단부(11)의 제1내표면(111)의 제1차요내표면(1112)과 제2측차단부(12)의 제2내표면(121)의 제2차요내표면(1212)은 제2대칭중심선 L2의 양 상대단에 대칭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도 5 및 도 6에서 나타내듯이, 유지 부재(14)의 정위부(140)의 일측면은 수평방향에 상반하는 방향을 따라 오목홈을 생성하는 회피 모서리(dodge trimming edge)(1400)를 가지며, 정위부(140)를 제2대칭중심선 L2에서 이탈시키고 제1대칭중심선 L1(도 5에서 나타내듯이)에 근접시킨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정위효과를 높이는데 사용되는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 Z를 제공하며,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 Z는 상호 결합되는 제1지퍼티스랙(zipper teeth rack)(31) 및 제2지퍼티스랙(32)를 가지는 하나의 지퍼티스 구조(3)(혹은 지퍼대라 칭함.) 상에 설치되며,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 Z는 슬라이딩 부재(1) 및 견인 부재(pulling member)(2)(혹은 풀탭(pull tab))를 포함한다.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부재(1)는 기저부(10), 제1측차단부(11), 제2측차단부(12), 기좌부(13), 및 유지 부재(14)를 가진다. 제1측차단부(11)와 제2측차단부(12)는 각각 기저부(10)의 상반하는 양측단으로부터 위를 향해 연장되고, 제1측차단부(11)와 제2측차단부(12)는 피차 상호대응하며 기저부(10)의 전단부(101)에 연결된다. 기좌부(13)는 기저부(10)상에 설치되며 기저부(10)의 후단부(102)에 연결되고, 기좌부(13)는 제1측차단부(11)와 제2측차단부(12) 사이에 위치하는 관통식 정위개구(130)를 가진다. 유지 부재(14)는 기좌부(13) 상에 활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유지 부재(14)의 일 말단상에 관통식 정위개구(130)를 통과하는 정위부(140)를 가진다. 견인 부재(2)는 유지 부재(14)와 활동가능하게 상호결합하며, 예를 들면 견인 부재(2)의 일 말단부(20)는 유지 부재(14)와 활동가능하게 상호결합하는 활동가능 부재(21)를 가진다.
더 설명하면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듯이, 제1지퍼티스랙(31)은 제1지퍼티스 지지부재(31) 및 제1지퍼티스 지지부재(31)상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제1지퍼티스(311)를 포함하고, 제2지퍼티스랙(32)은 제2지퍼티스 지지부재(320) 및 제2지퍼티스 지지부재(320) 상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제2지퍼티스(321)를 포함한다. 도 9에서 나타내듯이, 제1지퍼티스(311)는 두 개의 서로 인접하는 제2지퍼티스(321)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지퍼티스(311)가 2개의 제2지퍼티스(321)사이에 고정되어 틈 g를 형성할 때, 틈 g는 정위부(140)의 삽입을 제공하므로,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 Z는 정위부(140)와 틈 g의 결합을 통하여 지퍼티스구조(3) 상에 정확하게 정위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위효과를 높이는데 사용되는 슬라이딩 부재(1)(혹은 슬라이더, 지퍼 슬라이더라 칭한다.)가 제공되며, 이 슬라이딩 부재(1)는 기저부(10), 제1측차단부(11), 제2측차단부(12), 기좌부(13), 탄편 부재(15) 및 유지 부재(14)를 구비한다.
우선,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측차단부(11)와 제2측단부(12)는 각각 기저부(10)의 상반되는 양측단으로부터 위를 향해 연장되며, 제1측차단부(11)와 제2측차단부(12)는 피차 상호 대응하고 기저부(10)의 전단부(101)에 연결된다. 기좌부(13)는 기저부(10) 상에 설치되고 기저부(10)의 후단부(102)에 연결되며, 기좌부(13)는 제1측차단부(11)와 제2측차단부(12) 간에 위치하는 관통식 정위개구(130)를 가진다. 탄편 부재(15)는 기좌부(13) 내에 설치된다. 유지 부재(14)는 기좌부(13) 상에 활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탄편 부재(15)에 활동가능하게 접촉하고, 유지 부재(14)의 일 말단상에 관통식 정위개구(130)를 통과하는 정위부(140)를 가진다.
더 설명하면,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탄편 부재(15)는 기좌부(13) 상에 고정되는 덮개조각(16)에 의해 덮이며, 덮개조각(16)은 평판부(161) 및 이 평판부(161)의 일말단으로부터 아래를 향하여 굴곡하는 굴곡부(162)를 포함한다. 탄편 부재(15)는 기좌부(13) 내에 고정되는 정부(151), 고정부(151)에 상반되는 활동가능 접촉부(152), 및 상기 고정부(151)와 활동가능 접촉부(152) 간에 연결되는 곧은 연결부(154)를 가진다. 유지 부재(14)는 정위부(140)에 상반되며 기좌부(13)의 용치 오목조(131, 도 3 참조)내에 설치되는 내장부(141) 및 정위부(140)와 내장부(141) 사이에 위치하며 활동가능 접촉부(152)에 활동가능하게 접촉하는 정저부(142)를 가진다. 예를 들면 고정부(151), 곧은 연결부(154), 및 활동가능 접촉부(152)는 순서대로 서로 연결되어 평판형태의 탄편을 형성한다. 고정부(151)의 너비 W1, 곧은 연결부(154)의 너비 W4, 및 활동가능 접촉부(152)의 너비 W2는 모두 동일하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도 4에서 나타내듯이, 본 고안의 전체적인 지퍼티스 구조(3)는 제1측차단부(11)의 방향을 향해 약간 편이할 수 있으며, 관통식 정위개구(130)가 차폐되도록 하지 않음으로써 틈 g에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9에서 나타내듯이, 정위부(140)가 관통식 정위개구(130)를 통하여 틈 g내에 고정될시 에,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 Z는 정위부(140)와 틈 g의 결합을 통하여 지퍼티스구조(3) 상에 정확하게 정위될 수 있다.
이상, 상기의 내용은 오직 본 고안의 비교적 바람직하게 행해지는 실시예이며, 본 고안의 특허 범위를 국한하지는 않으므로, 모든 본 고안의 설명서 및 도면에서 행하는 같은 효과의 기술 변화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 내에 있다.
Z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
1 슬라이딩 부재
10 기저부
101 전단부
102 후단부
11 제1측차단부
111 제1내표면
1111 제1주요내표면
1112 제1차요내표면
112 제1외표면
12 제2측차단부
121 제2내표면
1211 제2주요내표면
1212 제2차요내표면
122 제2외표면
13 기좌부
130 관통식 정위개구
131 용치 오목조
14 유지 부재
140 정위부
1400 회피 모서리
141 내장부
142 정저부
15 탄편 부재
151 고정
152 활동가능 접촉부
153 굴곡 연결부
154 곧은 연결부
W1 너비
W2 너비
W3 너비
W4 너비
16 덮개조각
161 평판부
162 굴곡부
2 견인 부재
20 말단부
21 활동가능 부재
3 지퍼티스
31 제1지퍼티스랙
310 제1지퍼티스 지지부재
311 제1지퍼티스
32 제2지퍼티스랙
320 제2지퍼티스 지지부재
321 제2지퍼티스
H1 제1두께
H11 제1주요두께
H12 제1차요두께
H2 제2두께
H21 제1주요두께
H22 제2차요두께
L1 제1대칭중심선
L2 제2대칭중심선
P 기하중심점
S 예정된 수평 편이량
g 틈

Claims (10)

  1. 정위효과를 높이는데 사용되는 은닉 지퍼 슬라이더의 조합구조에 있어서,
    은닉 지퍼 슬라이더의 조합구조는 슬라이딩 부재와 견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기저부, 제1측차단부, 제2측차단부, 기좌부, 탄편 부재, 및 유지 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측차단부와 상기 제2측차단부는 각각 상기 기저부의 상반하는 양 측단으로부터 위를 향해 연장하고, 상기 제1측차단부와 상기 제2측차단부는 피차 상호 대응하며 상기 기저부의 전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기좌부는 상기 기저부 상에 설치되고 상기 기저부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기좌부는 상기 제1측차단부와 상기 제2측차단부 간에 위치하는 관통식 정위개구를 가지며,
    상기 탄편 부재는 상기 기좌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기좌부 상에 활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탄편 부재에 활동가능하게 접촉하고, 상기 유지 부재의 일 말단상에 상기 관통식 정위개구를 통과하는 정위부를 가지며,
    상기 견인 부재는 상기 유지 부재와 활동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제1측차단부는 제1내표면 및 상기 제1내표면과 피차 상반되게 설치되는 제1외표면을 가지며, 상기 제2측차단부는 상기 제1내표면과 피차 서로 대응하는 제2내표면 및 상기 제2내표면과 피차 상반되게 설치되는 제2외표면을 가지며,
    상기 제1측차단부의 상기 제1내표면과 상기 제1외표면간의 제1두께는 상기 제2측차단부의 상기 제2내표면과 상기 제2외표면간의 제2두께보다 얇고,
    상기 기저부는 제1대칭중심선을 가지며, 상기 기좌부는 제2대칭중심선을 가지며, 상기 제1대칭중심선은 상기 관통식 정위개구의 기하중심점을 경과하고, 상기 기좌부의 상기 제2대칭중심선은 상기 제1대칭중심선에 대하여 상기 제2측차단부로부터 상기 제1측차단부를 향하는 수평방향을 따라 예정된 수평 편이량만큼 수평편이 하는,
    은닉 지퍼 슬라이더의 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편 부재는 상기 기좌부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상반되며 상기 고정부에 평행한 활동가능 접촉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활동가능 접촉부 간에 연결되는 굴곡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정위부에 상반되고 상기 기좌부에 설치되는 용치 오목조 내의 내장부 및 상기 정위부와 상기 내장부 간에 위치하고 상기 활동가능 접촉부에 활동가능하게 접촉하는 정저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 상기 굴곡 연결부 및 상기 활동가능 연결부는 순서대로 연결되어 U형 탄편을 형성하고, 상기 활동가능 접촉부의 너비는 상기 굴곡 연결부의 너비보다 크고, 상기 고정부의 너비는 상기 활동가능 접촉부의 너비보다 큰 은닉 지퍼 슬라이더의 조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편 부재는 상기 기좌부 상에 고정되는 덮개조각에 의해 덮이고, 상기 탄편 부재는 상기 기좌부 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상반되는 활동가능 접촉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활동가능 접촉부 간에 연결되는 곧은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정위부에 상반되며 상기 기좌부에 설치되는 용치 오목조 내의 내장부, 및 상기 정위부와 상기 내장부 간에 위치하고 상기 활동가능 접촉부에 활동가능하게 접촉하는 정저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 상기 곧은 연결부 및 상기 활동가능 접촉부는 순서대로 연결되어 평판형태 탄편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의 너비, 상기 곧은 연결부의 너비, 및 상기 활동가능 접촉부의 너비는 서로 동일한 은닉 지퍼 슬라이더의 조합구조.
  4. 정위효과를 높이는데 사용되는 슬라이딩 부재로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기저부, 제1측차단부, 제2측차단부, 기좌부, 탄편 부재, 및 유지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측차단부와 상기 제2측차단부는 각각 상기 기저부의 상반하는 양 측단으로부터 위를 향해 연장하고, 상기 제1측차단부와 상기 제2측차단부는 피차 상호 대응하며 상기 기저부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기저부는 상기 기저부상에 설치되고 상기 기저부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기좌부는 상기 제1측차단부와 상기 제2측차단부 간에 위치하는 관통식 정위개구를 가지며, 상기 탄편 부재는 상기 기좌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기좌부 상에 활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탄편 부재를 활동가능하게 접촉하고, 상기 유지 부재의 일 말단상에 상기 관통식 정위개구를 통과하는 정위부를 가지며,
    상기 제1측차단부는 제1내표면 및 상기 제1내표면과 피차 상반되게 설치되는 제1외표면을 가지며, 상기 제2측차단부는 상기 제1내표면과 피차 서로 대응하는 제2내표면 및 상기 제2내표면과 피차 상반되게 설치되는 제2외표면을 가지고, 상기 제1측차단부의 상기 제1내표면과 상기 제1외표면간의 제1두께는 상기 제2측차단부의 상기 제2내표면과 상기 제2외표면간의 제2두께보다 얇고,
    상기 기저부는 제1대칭중심선을 가지며, 상기 기좌부는 제2대칭중심선을 가지며, 상기 제1대칭중심선은 상기 관통식 정위개구의 기하중심점을 경과하며, 상기 기좌부의 상기 제2대칭중심선은 상기 제1대칭중심선에 대하여 상기 제2측차단부로부터 상기 제1측차단부를 향하는 수평방향을 따라 예정된 수평 편이량으로 수평편이 한 슬라이딩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편 부재는 상기 기좌부 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상반되고 상기 고정부에 평행한 활동가능연결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활동가능 접촉부 간에 연결되는 굴곡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정위부와 상반되며 상기 기좌부의 용치 오목조 내에 설치되는 내장부, 및 상기 정위부와 상기 내장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활동가능 접촉부에 활동가능하게 접촉되는 정저부를 가지고, 상기 고정부, 상기 굴곡 연결부, 및 상기 활동가능 접촉부는 순서대로 서로 연결되어 U형 탄편을 형성하며,
    상기 활동가능 접촉부의 너비는 상기 굴곡 연결부의 너비보다 크고, 상기 고정부의 너비는 상기 활동가능 접촉부의 너비보다 큰 슬라이딩 부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편 부재는 상기 기좌부 상에 고정되는 덮개조각에 의해 덮이고, 상기 탄편 부재는 상기 기좌부 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상반되는 활동가능 접촉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활동가능 접촉부 사이에 연결되는 곧은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정위부에 상반되고 상기 기좌부의 용치 오목조 내에 설치되는 내장부, 및 상기 정위부와 상기 내장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활동가능 접촉부에 활동가능하게 접촉하는 정저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 상기 곧은 연결부, 및 상기 활동가능 접촉부는 순서대로 서로 연결되며 평판형태 탄편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의 너비, 상기 곧은 연결부의 너비, 및 상기 활동가능연결부의 너비는 모두 동일한 슬라이딩 부재.
  7. 정위효과를 높이는데 사용되는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는 상호 결합하는 제1지퍼티스랙 및 제2지퍼티스랙을 가지는 지퍼티스구조 상에 설치되며,
    상기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는 슬라이딩 부재와 견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기저부, 제1측차단부, 제2측차단부, 기좌부, 탄편 부재, 및 유지 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측차단부와 상기 제2측차단부는 각각 상기 기저부의 상반하는 양 측단으로부터 위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1측차단부와 상기 제2측차단부는 피차 상호대응하며 상기 기저부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기좌부는 상기 기저부상에 설치되며 상기 기저부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기좌부는 상기 제1측차단부와 상기 제2측차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관통식 정위개구를 가지며, 상기 탄편 부재는 상기 기좌부내에 설치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기좌부 상에 활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탄편 부재에 활동가능하게 접촉하며 상기 유지 부재의 일 말단상에 상기 관통식 정위개구를 통과하는 정위부를 가지며,
    상기 견인 부재는 상기 유지 부재와 활동가능하게 상호결합하며,
    상기 제1측차단부는 제1내표면 및 상기 제1내표면과 피차 상반되게 설치되는 제1외표면을 가지며, 상기 제2측차단부는 상기 제1내표면과 피차 서로 대응하는 하나의 제2내표면 및 상기 제2내표면과 피차 상반되게 설치되는 제2외표면을 가지고, 상기 제1측차단부의 상기 제1내표면과 상기 제1외표면 간의 제1두께는 상기 제2측차단부의 상기 제2내표면과 상기 제2외표면 간의 제2두께보다 얇고,
    상기 기저부는 제1대칭중심선을 가지고, 상기 기좌부는 제2대칭중심성을 가지며, 상기 제1대칭중심선은 상기 관통식 정위개구의 기하중심점을 경과하고, 상기 기좌부의 상기 제2대칭중심선은 상기 제1대칭중심선에 대하여 상기 제2측차단부로부터 상기 제1측차단부를 향하는 수평방향을 따라 예정된 수평편이량으로 수평편이하며,
    상기 제1지퍼티스랙은 제1지퍼티스 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퍼티스 지지부재상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제1지퍼티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퍼티스랙은 제2지퍼티스 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퍼티스 지지부재상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제2지퍼티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퍼티스는 두 개의 상기 제2지퍼티스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정위부가 삽입되는 틈을 형성하는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좌부의 상기 제2대칭중심선의 상기 제1대칭중심선에 대한 상기 예정된 수편편이량 S는, 수식 S=(H2-H1)/2을 만족하며, 여기서 S는 상기 예정된 수평편이량이며, H1은 상기 제2두께이고, H2는 상기 제2두께이며, 상기 제1측차단부의 상기 제1외표면과 상기 제2측차단부의 상기 제2외표면은 상기 제1대칭중심선의 양 상대단에 대칭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측차단부의 상기 제1내표면과 상기 제2측차단부의 상기 제2내표면은 상기 제2대칭중심선의 양 상대단에 대칭으로 설치되는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의 상기 정위부의 일측면은 상기 수평방향에 상반하는 상반방향에 따라 오목홈을 생성하는 회피 모서리를 가지며, 상기 정위부를 상기 제2대칭중심선에 이탈시키고 상기 제1대칭중심선에 근접하도록 하는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차단부의 상기 제1내표면은 제1주요내표면 및 제1차요내표면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2측차단부의 상기 제2내표면은 상기 제1주요내표면을 향하는 제2주요내표면 및 상기 제1차요내표면을 향하는 제2차요내표면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측차단부의 상기 제1주요내표면과 상기 제1외표면간의 제1주요두께는 상기 제2측차단부의 상기 제2주요내표면과 상기 제2외표면간의 제2주요두께보다 얇으며, 상기 제1측차단부의 상기 제1차요내표면과 상기 제1외표면간의 제1차요두께는 상기 제2측차단부의 상기 제2차요내표면과 상기 제2외표면간의 제2차요두께보다 얇은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
KR2020160000454U 2015-08-05 2016-01-26 정위효과를 높이는데 사용되는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 및 그의 슬라이딩 부재 KR20048516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4212605 2015-08-05
TW104212605U TWM524101U (zh) 2015-08-05 2015-08-05 用於提升定位效果的隱形拉鍊頭組合結構及其滑動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615U true KR20170000615U (ko) 2017-02-15
KR200485164Y1 KR200485164Y1 (ko) 2018-01-10

Family

ID=54998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454U KR200485164Y1 (ko) 2015-08-05 2016-01-26 정위효과를 높이는데 사용되는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 및 그의 슬라이딩 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75412B2 (ko)
JP (1) JP3203877U (ko)
KR (1) KR200485164Y1 (ko)
CN (1) CN204930563U (ko)
DE (1) DE202015105944U1 (ko)
TW (1) TWM52410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740831A (zh) * 2016-05-27 2017-12-01 中傳企業股份有限公司 拉鍊頭組合結構及其滑動組件
USD804987S1 (en) * 2016-08-31 2017-12-12 Ideal Fastener (Guangdong) Industries Ltd. Slider
USD804986S1 (en) * 2016-08-31 2017-12-12 Ideal Fastener (Guangdong) Industries Ltd. Slider
TWI605770B (zh) * 2016-10-21 2017-11-21 中傳企業股份有限公司 拉鍊頭組合結構及其彈性件
TWD184796S (zh) * 2016-10-21 2017-08-11 中傳企業股份有限公司 拉鍊頭彈性件
CN110811083B (zh) * 2018-08-10 2023-07-18 Ykk 株式会社 一种用于双拉头拉链的辅助连接具、双拉头拉链、及物品
TWD201941S (zh) 2019-01-29 2020-01-11 中傳企業股份有限公司 拉鏈頭彈性件
TWI678981B (zh) * 2019-04-03 2019-12-11 中傳企業股份有限公司 拉鍊頭組合結構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608U (ja) * 1993-08-31 1995-03-20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自動停止装置付隠し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KR100253098B1 (ko) * 1996-07-31 2000-04-15 요시다 다다히로 슬라이드 파스너용 자동 로킹 슬라이더
JP2000262309A (ja) * 1999-03-17 2000-09-26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3087254U (ja) * 2001-05-30 2002-07-26 中傳企業股▲ふん▼有限公司 隠し式ファスナーの引っ張りヘッド構造
CN204191750U (zh) * 2014-10-03 2015-03-11 中传企业股份有限公司 用于提高定位效果的隐形拉链头组合结构及其滑动件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313U (ko) * 1980-06-14 1982-01-14
JP3087254B2 (ja) * 1989-12-07 2000-09-1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サイズの均一な微細金属球の製造方法
US6591464B2 (en) * 2001-06-19 2003-07-15 Yu-Pau Lin Zipper slide of zip fastener
WO2012020586A1 (ja) * 2010-08-11 2012-02-16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
TWI480008B (zh) * 2013-05-20 2015-04-11 Chung Chwan Entpr Co Ltd 具有內表面凹陷特徵的帽蓋結構及拉鍊頭組合結構
TWI517801B (zh) * 2014-10-03 2016-01-21 中傳企業股份有限公司 用於提升定位效果的隱形拉鍊頭組合結構及其滑動件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608U (ja) * 1993-08-31 1995-03-20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自動停止装置付隠し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KR100253098B1 (ko) * 1996-07-31 2000-04-15 요시다 다다히로 슬라이드 파스너용 자동 로킹 슬라이더
JP2000262309A (ja) * 1999-03-17 2000-09-26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3087254U (ja) * 2001-05-30 2002-07-26 中傳企業股▲ふん▼有限公司 隠し式ファスナーの引っ張りヘッド構造
CN204191750U (zh) * 2014-10-03 2015-03-11 中传企业股份有限公司 用于提高定位效果的隐形拉链头组合结构及其滑动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164Y1 (ko) 2018-01-10
DE202015105944U1 (de) 2015-12-21
US20170035154A1 (en) 2017-02-09
TWM524101U (zh) 2016-06-21
US9775412B2 (en) 2017-10-03
JP3203877U (ja) 2016-04-21
CN204930563U (zh)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164Y1 (ko) 정위효과를 높이는데 사용되는 은닉 지퍼 슬라이더 조합구조 및 그의 슬라이딩 부재
US8769783B2 (en) Buckle
KR200481440Y1 (ko) 정위 효과를 높이는데 사용되는 은닉 지퍼 헤드 어셈블리 및 그 슬라이딩 부재
US9936771B2 (en) Buckle
EP3205808A1 (en) Screening arrangement with mounting brackets
US10070705B2 (en) Zipper head assembly structure and elastic member thereof
EP2578103B1 (en) Buckle
US20170340069A1 (en) Zipper head assembly structure and sliding assembly thereof
TWI616150B (zh) 繩索鎖定具
CN109572587A (zh) 罩单元
WO2015071945A1 (ja) ファスナーチェーン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5851109B2 (ja) バックル
JP5538074B2 (ja) バックル
US20190037975A1 (en) Zipper head assembly structure and elastic element thereof
CN212233402U (zh) 连接结构及可穿戴设备
KR101242935B1 (ko) 버클
JP5469541B2 (ja) バックル
JP2016185016A (ja) プロテクタ及びプロテクタ付配線モジュール
JP2014133160A (ja) バッ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