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454U - 저 압력 공조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저 압력 공조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454U
KR20170000454U KR2020150005003U KR20150005003U KR20170000454U KR 20170000454 U KR20170000454 U KR 20170000454U KR 2020150005003 U KR2020150005003 U KR 2020150005003U KR 20150005003 U KR20150005003 U KR 20150005003U KR 20170000454 U KR20170000454 U KR 201700004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uct
blind plate
flange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0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058Y1 (ko
Inventor
이제현
김종명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50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058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4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4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0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0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4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living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간단하고 슬림(slim)한 구조로 덕트에 형성되는 플랜지로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극도로 제한적인 공간에서 공조 개폐가 요구될 때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덕트를 통하여 순환되는 유체가 통과되도록 상기 덕트의 플랜지 사이에 개재되어 체결되는 본체 틀프레임; 상기 본체 틀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유체를 차단 또는 통과시키는 블라인드 플레이트; 및 상기 본체 틀프레임의 일단에 상기 블라인드 플레이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유동성을 방지하도록 장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저 압력 공조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어떠한 종래의 덕트에도 높은 호환성을 가짐은 물론 설치 또한 단시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덕트를 개방 또는 차단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특히, 극도로 제한적인 공간에서도 활용성이 높은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저 압력 공조 개폐장치{Low-pressure air conditioning switchgear}
본 고안은 저 압력 공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저 압력의 유체가 순환되는 덕트에 적용되며, 간단하고 슬림(slim)한 구조로 덕트에 형성되는 플랜지로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극도로 제한적인 공간에서 공조 개폐가 요구될 때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저 압력 공조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시스템은 실외 측에 설치된 실외기를 이용하여 냉매의 상변화 현상을 통해 실내를 냉난방 및 환기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선박의 공기조화 설비로 사용되고 있다.
공기조화시스템은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고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환기의 기능을 수행하며, 실외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에어 콘덴서 또는 핸들링 유닛을 이용하여 열교환시켜 실내로 공급함에 따라 냉난방의 기능을 수행한다.
선박의 선실 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시스템은 사양에 따라 서로 상이하지만 통상적으로 선박의 실외에 설치되는 중앙공급식 공조기를 통해 실내에 요구되는 공조요건을 만족시키고 있는데, 이러한 중앙공급식 공조기는 선박의 외부 일측에 공조기를 설치하고, 이 공조기를 통해 선박의 선실 내에 차가운 공기 또는 뜨거운 공기를 공급하여 선실 내의 냉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선박에서의 선실 내의 냉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행해지는 공조는 각 덕트를 통하여 순환된다.
한편, 공조를 위해 각 선실과 연결되는 덕트에는 유체의 압력 조건에 따라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개폐장치가 마련되며, 이러한 개폐장치는 셧 오프 댐퍼(Shut-Off Damper)로 불리며 Manual과 Pneumatic Type으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이 덕트에 마련되는 통상적인 셧 오프 댐퍼는 덕트 내의 압력 조건(High Pressure/Low Pressure)에 관계없이 설치되는 것으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복수의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작동시키는 핸들, 및 상기 핸들과 샤프를 연결하는 링크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덕트에 셧 오프 댐퍼를 구비하는 종래의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80754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77253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3670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8075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7725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3670호
그러나 공지된 셧 오프 댐퍼와 특허문헌 1 내지 3에 구비되는 셧 오프 댐퍼는 개방시점에서 핸들로의 접근하기 위한 공간이 요구되는 단점과, 극도로 제한된 공간에 배치시에는 부피로 인해 덕트의 설계 자체를 변경해야 하는 단점은 물론 블레이드의 이상 시에는 덕트로부터 셧 오프 댐퍼 전체를 분리해야 하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저 압력의 유체가 순환되는 덕트에 적용되며, 간단하고 슬림(slim)한 구조로 덕트에 형성되는 플랜지로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극도로 제한적인 공간에서 공조 개폐가 요구될 때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저 압력 공조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덕트를 차단 또는 개방이 더욱더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저 압력의 유체가 순환되는 덕트에 마련되는 저 압력 공조 개폐장치로서, 상기 저 압력 공조 개폐장치는 덕트를 통하여 순환되는 유체가 통과되도록 상기 덕트의 플랜지 사이에 개재되어 체결되는 본체 틀프레임; 상기 본체 틀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유체를 차단 또는 통과시키는 블라인드 플레이트; 및 상기 본체 틀프레임의 일단에 상기 블라인드 플레이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유동성을 방지하도록 장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틀프레임은 내측에 유체가 통과되는 관통공, 외측 테두리는 상기 덕트의 플랜지와 맞닿아 체결 고정되며 내측면 테두리로 상기 블라인드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슬릿홈부가 형성되는 틀부, 및 상기 틀부의 일단에 상기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장착플랜지를 포함한다.
상기 블라인드 플레이트는 상기 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출을 위해 일단이 상기 장착플랜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블라인드 플레이트는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공을 마련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장착 플랜지와 체결되는 체결플랜지, 상기 체결플랜지의 중간에 상기 장착플랜지로부터 돌출된 블라인드 플레이트의 일단을 감싸는 포켓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의 체결플랜지의 일측과 상기 본체 틀프레임의 틀부에 형성된 장착플랜지의 일측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고안은 저 압력의 유체가 순환되는 덕트에 적용되며, 간단하고 슬림(slim)한 구조로 덕트에 형성되는 플랜지로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극도로 제한적인 공간에서 공조 개폐가 요구될 때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종래의 덕트에도 높은 호환성을 가짐은 물론 설치 또한 단시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덕트를 개방 또는 차단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특히, 극도로 제한적인 공간에서도 활용성이 높은 효과를 가진다.
또한, 덕트를 차단 또는 개방이 더욱더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덕트의 개방이나 차단이 더욱더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고안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에서 각 선실로의 냉난방 또는 환기를 위한 공조시 저 압력의 유체가 순환되는 덕트(100)에 마련되는 저 압력 공조 개폐장치(1)를 제시한다.
본 고안은 저 압력의 유체가 순환되는 덕트에 적용되며, 간단하고 슬림(slim)한 구조로 덕트에 형성되는 플랜지로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극도로 제한적인 공간에서 공조 개폐가 요구될 때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저 압력 공조 개폐장치(1)는 덕트(100)를 통하여 순환되는 유체가 통과되도록 대략 12㎜ 정도의 슬림한 두께로 인해 상기 덕트(100)의 플랜지(102) 사이에 개재되어 체결되는 본체 틀프레임(10)과; 상기 본체 틀프레임(1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유체를 차단 또는 통과시키는 통상적인 판 형태의 블라인드 플레이트(20); 및 상기 본체 틀프레임(10)의 일단에 상기 블라인드 플레이트(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유체에 의한 진동 등과 같은 유동성을 방지하도록 장착되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본 고안의 저 압력 공조 개폐장치는 그 설치되는 조건상 저 압력의 유체가 순환되는 덕트 상에 마련됨에 따라 두꺼운 두께를 가질 필요없이 얇은 두께로 마련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아울러, 본체 틀프레임의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덕트에서 유체를 차단 또한 통과시키는 블라인드 플레이트 또한 얇은 두께로 슬라이딩방식에 의해 상기 본체 틀프레임으로 탈착 가능함으로써, 유체를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는 작업 또한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 틀프레임에 블라인드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유체를 차단한 상태에서는 유체에 의해 블라인드 플레이트가 진동 등과 같은 유동성도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높은 신뢰성도 가진다.
이로써, 본 고안은 덕트에 형성되는 플랜지로의 장착이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극도로 제한적인 공간에서 공조 개폐가 요구될 때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본체 틀프레임(10)은 내측에 덕트(100)와 대응되는 형태로 유체가 통과되는 관통공(12)과, 외측 테두리는 상기 덕트(100)의 플랜지(102)와 맞닿아 통상적인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 고정되며 내측면 테두리로 상기 블라인드 플레이트(20)가 삽입되는 슬릿홈부(14)가 형성되는 틀부(15), 및 상기 틀부(15)의 일단에 상기 고정부재(30)가 체결되는 장착플랜지(16)를 포함한다.
틀부(15)는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형태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덕트의 형태에 따라 원형이나 다각형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별도의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덕트의 플랜지와 플랜지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틀부를 개재시켜 체결함으로써,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단시간 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틀부에 형성되는 슬릿홈은 블라인드 플레이트를 탈착시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슬릿홈은 블라인드 플레이트와 대응되는 폭을 가진다.
블라인드 플레이트(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판 형태로 상기 틀부(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출을 위해 일단이 상기 장착플랜지(16)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공조 과정에서 덕트를 개방시키거나 차단 시키고자 할 때 블라인드 플레이트가 틀부와 대응되는 크기로 제작될 경우, 틀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인출이 번거롭고 불편함에 따라 손쉽고 간편하게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장착플랜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블라인드 플레이트(20)는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공(22)을 마련한다.
다시 말해서, 걸이공은 덕트를 차단하지 않고 개방시키고자 본체 틀프레임의 틀부로부터 블라인드 플레이트를 분리시킨 후에 보관이나 거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덕트에 상기 블라인드 플레이트의 걸이공이 걸려질 수 있는 핀이나 걸이구를 마련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로 인해 분실 등을 방지하면서 덕트를 폐쇄하고자 할 때 본체 틀프레임의 틀부로 신속하게 삽입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질 수 있다.
고정부재(30)는 장착 플랜지(16)와 통상의 스크류나 볼트와 너트 등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플랜지(32)와, 상기 체결플랜지(32)의 중간에 상기 장착플랜지(16)로부터 돌출된 블라인드 플레이트(20)의 일단을 감싸는 포켓부(34)를 더 포함한다.
그에 따라 고정부재는 본체 틀프레임의 틀부에 형성된 슬릿홈으로 유체의 순환을 차단하고자 블라인드 플레이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유체의 충돌에 의한 진동 등과 같은 떨림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본체 틀프레임의 틀부에 형성되는 장착 프레임으로 체결되는 고정부재의 체결플랜지를 더욱더 간편하게 체결하면서 본체 틀프레임과 모듈화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부재(30)의 체결플랜지(32)의 일측과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틀부(15)에 형성된 장착플랜지(16)의 일측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체결플랜지와 장착플랜지의 일측은 공지된 경첩 또는 핀이나 힌지 결합방식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고정부재를 더욱더 신속하게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고정부재를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할 필요없이 본체 틀프레임을 구성하는 하나의 구성품으로 구비함으로써, 모듈화한 형태로 이루어져 조립 효율성을 더욱더 증대시키는 조건을 가진다.
1 : 저 압력 공조 개폐장치
10 : 본체 틀프레임 12 : 관통공
14 : 슬릿홈부 15 : 틀부
16 : 장착플랜지 20 : 블라이드 플레이트
22 : 걸리공 30 : 고정부재
32 : 체결플랜지 34 : 포켓부
100 : 덕트 102 : 플랜지

Claims (6)

  1. 저 압력의 유체가 순환되는 덕트에 마련되는 저 압력 공조 개폐장치로서,
    상기 저 압력 공조 개폐장치는 덕트를 통하여 순환되는 유체가 통과되도록 상기 덕트의 플랜지 사이에 개재되어 체결되는 본체 틀프레임;
    상기 본체 틀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유체를 차단 또는 통과시키는 블라인드 플레이트; 및
    상기 본체 틀프레임의 일단에 상기 블라인드 플레이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유동성을 방지하도록 장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력 공조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틀프레임은 내측에 유체가 통과되는 관통공, 외측 테두리는 상기 덕트의 플랜지와 맞닿아 체결 고정되며 내측면 테두리로 상기 블라인드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슬릿홈부가 형성되는 틀부, 및 상기 틀부의 일단에 상기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장착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력 공조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플레이트는 상기 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출을 위해 일단이 상기 장착플랜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력 공조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플레이트는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이공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력 공조 개폐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장착 플랜지와 체결되는 체결플랜지, 상기 체결플랜지의 중간에 상기 장착플랜지로부터 돌출된 블라인드 플레이트의 일단을 감싸는 포켓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력 공조 개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체결플랜지의 일측과 상기 본체 틀프레임의 틀부에 형성된 장착플랜지의 일측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력 공조 개폐장치.
KR2020150005003U 2015-07-24 2015-07-24 저 압력 공조 개폐장치 KR2004850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003U KR200485058Y1 (ko) 2015-07-24 2015-07-24 저 압력 공조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003U KR200485058Y1 (ko) 2015-07-24 2015-07-24 저 압력 공조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454U true KR20170000454U (ko) 2017-02-02
KR200485058Y1 KR200485058Y1 (ko) 2017-11-23

Family

ID=5840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003U KR200485058Y1 (ko) 2015-07-24 2015-07-24 저 압력 공조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05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419B1 (ko) * 2020-03-20 2021-08-24 신순철 오염물 흡착 제거 구조를 갖는 친환경 환풍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3799A (ja) * 1984-02-03 1985-08-26 Mitsubishi Heavy Ind Ltd 船倉通風装置
JP2000266398A (ja) * 1999-03-16 2000-09-29 Mitsubishi Electric Corp 断熱シャッター
KR20110080754A (ko) 2010-01-07 2011-07-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를 포함하는 선박
KR20120131431A (ko) * 2011-05-25 2012-1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댐퍼 유닛
KR20140077253A (ko) 2012-12-12 2014-06-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배기 시스템 및 그 배기 시스템을 이용한 배기 방법
KR101473670B1 (ko) 2013-04-19 2014-12-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통합 환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3799A (ja) * 1984-02-03 1985-08-26 Mitsubishi Heavy Ind Ltd 船倉通風装置
JP2000266398A (ja) * 1999-03-16 2000-09-29 Mitsubishi Electric Corp 断熱シャッター
KR20110080754A (ko) 2010-01-07 2011-07-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를 포함하는 선박
KR20120131431A (ko) * 2011-05-25 2012-1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댐퍼 유닛
KR20140077253A (ko) 2012-12-12 2014-06-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배기 시스템 및 그 배기 시스템을 이용한 배기 방법
KR101473670B1 (ko) 2013-04-19 2014-12-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통합 환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058Y1 (ko) 2017-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9472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having wind visors
EP2469194B1 (en) Wall-hung air conditioner
US9702570B2 (en) Bulkhead assemblies for air conditioner units
KR101579221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냉매관을 연결하는 방법
US10753631B2 (en) Air-conditioner indoor unit
US9903600B2 (en) Wind direction adjusting device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CN105823123B (zh) 一种空调室内机
EP3587951B1 (en) Air conditioner
KR200485058Y1 (ko) 저 압력 공조 개폐장치
CN107642939B (zh) 一种冰箱冷冻风道组件及冰箱
CN203785199U (zh) 一种空调出风风口装置
JP2016038174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964362B1 (ko) 공기조화기
KR20150088152A (ko) 다방향 토출형 공기조화기
JP2015099000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CN105465922A (zh) 冰箱空调一体机
CN102997366B (zh) 一种用于空调换新风的节能经济器
CN215412170U (zh) 出风装置及具有其的换热系统
AU2018259809A1 (en) Air conditioner
JP2019035509A (ja) 冷却貯蔵庫
CN203116170U (zh) 一种可自由调整送风方向的空调系统
EP3660410A1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US20150034275A1 (en) Heat exchanging system of vending machine
WO2017179089A1 (ja) 空気調和装置
CN113483401A (zh) 出风装置及具有其的换热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