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790A - 만감류 성분이 함유된 커피음료 - Google Patents

만감류 성분이 함유된 커피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790A
KR20160149790A KR1020150087434A KR20150087434A KR20160149790A KR 20160149790 A KR20160149790 A KR 20160149790A KR 1020150087434 A KR1020150087434 A KR 1020150087434A KR 20150087434 A KR20150087434 A KR 20150087434A KR 20160149790 A KR20160149790 A KR 20160149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weight
concentrate
r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윤본
Original Assignee
웰빙바이오영농조합법인
구윤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빙바이오영농조합법인, 구윤본 filed Critical 웰빙바이오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50087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9790A/ko
Publication of KR20160149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79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6Coffee flavour; Coffee oil; Flavouring of coffee or coffee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6Coffee flavour; Coffee oil; Flavouring of coffee or coffee extract
    • A23F5/46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coffee flavour or coffee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ea And Coffee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주산 감귤 중 한라봉, 레드향, 천혜향, 황금향, 탐라향, 하귤 등의 만감류 성분을 함유시켜 고급화하여 소비자들의 호응을 높일 수 있는 만감류 성분이 함유된 커피음료에 관한 것으로서,
커피 추출액 10 내지 30 중량%,
우유 또는 원유 40 내지 70 중량%,
만감류 성분 5 내지 15 중량%,
첨가물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만감류 성분은 한라봉 청, 레드향 청, 천혜향 농축액, 황금향 농축액, 탐라향 농축액, 하귤 농축액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만감류 성분이 함유된 커피음료{COFFEE BEVERAGE CONTAINING CITRUS HYBRID}
본 발명은 만감류 성분이 함유된 커피음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주산 감귤 중 한라봉, 레드향, 천혜향, 황금향, 탐라향, 하귤 등의 만감류 성분을 함유시켜 고급화하여 소비자들의 호응을 높일 수 있는 만감류 성분이 함유된 커피음료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 정신적,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기고, 대인관계가 점점 다양해지고 빈번해짐에 따라 타인과의 만남시 촉매역할을 하거나, 개인이 조용하게 자신만의 생각하는 시간을 즐기고자 하는 경우에 사고의 깊이를 보다 깊게 해주는 촉매역할을 하는 기호식품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차(茶)나 커피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커피는 쓴맛, 떫은맛, 신맛, 구수한 맛 등이 조화되면서 피로감을 없애고 특유한 맛과 향이 있는 음료이다.
일반적으로 커피에 함유되어 있는 카페인은 중추신경을 자극하는 흥분제성분으로서 적당량의 커피를 마시면 일과 사고의 수행능력이 향상되고, 피로가 줄어들며 각성 정도가 향상되며, 공격 성향을 줄이는 효과가 있고, 또한 커피를 장기간 복용하는 사람의 경우는 행복감을 느끼고 기분을 좋게 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커피에 포함하고 있는 cafestol과 kahweol이라는 성분에 의해 알코올로 인한 인체의 간의 독성도 예방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혀지고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특히 알코올 과용자일수록 더욱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음이 입증되고 있다.
또한, 커피는 매운 음식이나 기름진 음식 등을 먹은 후 음용하면 커피의 향과 맛이 가일층 상승한 풍미를 느낌과 동시에 입안이 개운하고 속이 시원한 상태를 느끼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매운맛은 열을 발생하는 효능이 있어 온몸을 따뜻하게 하는 특성과 에너지를 방출하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은 커피의 유용성으로 인하여 현재 인류가 가장 일상생활에서 애용하는 대표적인 차 음료로 널리 음용되고 있다.
커피의 여러 종류 중 대표적인 것으로 원두커피와 인스턴트커피가 있다.
원두커피는 건조상태의 커피나무 열매의 씨(원두)를 배전(커피를 볶는 과정)하고 이를 그대로 온수로 추출하여 제조하거나, 상기 원두를 배전하고 이를 분쇄하여 원두분말로 제조한 후, 이를 온수로 용해하여 제조하기도 한다. 분쇄된 원두 가루를 이용한 커피액의 추출 방식은 중력을 이용한 드립 방식과, 높은 순간 압력을 이용하는 에스프레소 방식이 널리 사용된다.
추출된 커피액은 기호에 따라 다양한 첨가물을 넣어 음용하는데, 널리 알려진 레시피는 에스프레소 커피에 온수를 부어 희석시킨 아메리카노, 우유를 첨가하는 라떼, 카푸치노 등이 있다. 더하여 기호에 따라 적당량의 설탕시럽, 캐러멜, 크림 등을 부가하여 섭취한다.
이러한 원두커피는 소비자가 원두 고유의 맛과 향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원두의 보관, 배전, 분쇄 및 추출과정을 소비자가 직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있다.
한편, 인스턴트 커피는 커피나무 열매의 씨(원두)를 배전한 후, 이를 냉각, 분쇄한 다음, 증기 또는 열탕에 통과시켜 추출하고, 원심분리기로 추출액의 찌꺼기를 제거한 후, 남은 상등액을 동결 건조 또는 스프레이 건조 방법을 통해 제조한 분말을 물로 용해시켜 제조된 것으로, 소비자들이 바로 음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원두 고유의 맛과 향이 떨어지며, 원두의 쓴맛이 다소 강하게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인스턴트 커피는 인체에 흡수되는 경우 주성분인 카페인이 아드레날린이라고 알려진 체내 부신피질 호르몬의 분비활동을 활성화시켜 신진대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이와 같은 커피를 빈번하게 마시는 경우 카페인의 독성 및 중독성 때문에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원두커피는 단맛이 적어 가루 설탕이나 시럽을 첨가하게 된다. 이러한 설탕이나 시럽은 당도가 높은 것으로 커피를 즐기는 사람들의 비만을 불어오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886811(등록일자 2009년02월26일)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10-0052803(공개일자 2010년05월20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제주산 감귤 중 한라봉, 레드향, 천혜향, 황금향, 탐라향, 하귤 등의 만감류 성분을 함유시켜 커피의 맛과 영양을 다양화하여 소비자들의 호응을 높일 수 있는 만감류 성분이 함유된 커피음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커피 추출액 10 내지 30 중량%, 우유 또는 원유 40 내지 70 중량%, 만감류 성분 5 내지 15 중량%, 첨가물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만감류 성분이 함유된 커피음료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만감류 성분은 한라봉 청, 레드향 청, 천혜향 농축액, 황금향 농축액, 탐라향 농축액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첨가물은 초콜릿, 캬라멜, 액상과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만감류 성분이 함유된 커피음료를 적용하면, 제주산 감귤 중 한라봉, 레드향, 천혜향, 황금향, 탐라향, 하귤 등의 만감류 성분을 함유시켜 커피의 맛과 영양을 다양화하여 소비자들의 호응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만감류 성분이 함유된 커피음료는, 커피 추출액 10 내지 30 중량%, 우유 또는 원유 40 내지 70 중량%, 만감류 성분 5 내지 15 중량%, 첨가물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만감류 성분은 한라봉 청, 레드향 청, 천혜향 농축액, 황금향 농축액, 탐라향 농축액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고, 상기 첨가물은 초콜릿, 캬라멜, 액상과당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에서 커피 추출액은 드립식, 침지식, 에스프레소를 통해 얻은 커피액을 사용한다.
이때, 상기 드립식 방법은, 분쇄된 커피에 고온의 물을 통과시켜 커피추출액을 제조하는 방식이다.
침지식은 분쇄된 커피를 고온의 물에 일정시간 담가두어 커피추출액을 제조하는 방식이다.
에스프레소는, 분쇄된 커피를 추출탑에 넣고 고온고압으로 추출액을 제조하는 방식이다.
상기 만감류 성분은 만감류 과피, 청(알갱이), 과즙, 또는 농축액의 형태를 사용한다.
상기 만감류 과피는, 만감류의 숙성상태에 따라 청피, 귤피, 진피라 하여, 진통제, 복통, 소화불량, 식욕부진 등의 치료에 쓰이고, 세척한 뒤, 자연건조 또는 건조실을 통해 건조시킨다.
또한, 0.1mm 내지 0.3mm로 절단 및 분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만감류 청(알갱이)은, 만감류의 겉껍질을 수작업 또는 기계를 통해 제거한 뒤, 만감류 속껍질의 주 성분인 셀룰로오스와 펙틴질을, 산 용액에 담아 셀루로오스를 분해한 뒤, 민물로 세척하여 산 용액을 제거한 뒤, 알칼리 용액에 담아 펙틴질을 제거하여, 만감류의 과육만을 얻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만감류의 과즙은, 만감류를 착즙하여 얻어지는 즙액이다.
상기 만감류의 착즙방식은, 보편적인 인라인 착즙기와 리이머(reamer)방식을 사용하고, 쵸퍼-펄퍼 방식(chopper-pulper type)을 사용하여 착즙할 수 있다.
상기 만감류의 농축액은, 상기 만감류를 착즙한 즙액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농도를 높여 사용하는 즙액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주산 만감류의 특징을 간략히 설명하고자 한다.
한라봉은 껍질이 두꺼워 저장성이 좋고 당도가 높으며, 레드향(감평)은 껍질이 얇고 신맛이 적고, 천혜향은 향이 좋고 과육이 부드럽다. 또한, 황금향은 껍질이 얇고 신맛이 적고 과육이 부드러우며 오렌지에 가까운 향기를 갖고 있다. 또한, 탐라향은 달콤한 향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하귤은 신 맛이 강해 주로 주스로 먹는 경우가 많은데 냉커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피음료는 만감류 성분의 특징에 따라 카푸치노, 비안코, 라떼, 모카, 마끼아또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라봉 카푸치노의 경우에는 상기 커피 추출액, 우유, 한라봉청, 과당을 포함하게 되고,
레드향 비안코의 경우에는 상기 커피 추출액, 우유, 레드향청, 과당을 포함하게 되며,
천혜향 라떼의 경우에는 상기 커피 추출액, 우유, 천혜향 농축액(과즙), 과당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황금향 모카의 경우에는 상기 커피 추출액, 우유, 황금향 농축액(과즙), 초콜릿소스(시럽)를 포함하게 되고,
탐라향 마끼아또의 경우에는 상기 커피 추출액, 우유, 탐라향 농축액(과즙), 캬라멜소스(시럽)을 포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커피음료의 제조시 그 비율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피 추출액 10 내지 30 중량%, 우유 또는 원유 40 내지 70 중량%, 만감류 성분 5 내지 15 중량%, 첨가물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커피음료는 커피전문점 매장에서 즉석으로 제조되거나, 캔커피, 병커피 등의 형태로 제조되어 판매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3)

  1. 커피 추출액 10 내지 30 중량%,
    우유 또는 원유 40 내지 70 중량%,
    만감류 성분 5 내지 15 중량%,
    첨가물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감류 성분이 함유된 커피음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감류 성분은 한라봉 청, 레드향 청, 천혜향 농축액, 황금향 농축액, 탐라향 농축액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감류 성분이 함유된 커피음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은 초콜릿, 캬라멜, 액상과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감류 성분이 함유된 커피음료.
KR1020150087434A 2015-06-19 2015-06-19 만감류 성분이 함유된 커피음료 KR201601497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434A KR20160149790A (ko) 2015-06-19 2015-06-19 만감류 성분이 함유된 커피음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434A KR20160149790A (ko) 2015-06-19 2015-06-19 만감류 성분이 함유된 커피음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790A true KR20160149790A (ko) 2016-12-28

Family

ID=57724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434A KR20160149790A (ko) 2015-06-19 2015-06-19 만감류 성분이 함유된 커피음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97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45071A1 (en) * 2019-12-30 2021-07-07 Haanong Foods. Co., Ltd Coffee additive using black garlic extrac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21108653A (ja) * 2019-12-30 2021-08-02 ハアノン フ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Haanong Foods. Co., Ltd. 黒ニンニクエキスを用いたコーヒー添加物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811B1 (ko) 2008-05-21 2009-03-05 박상진 감귤과즙을 이용한 감귤커피의 제조방법
KR20100052803A (ko) 2008-11-11 2010-05-20 박세혁 귤외과피를 이용한 귤커피 및 귤차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811B1 (ko) 2008-05-21 2009-03-05 박상진 감귤과즙을 이용한 감귤커피의 제조방법
KR20100052803A (ko) 2008-11-11 2010-05-20 박세혁 귤외과피를 이용한 귤커피 및 귤차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45071A1 (en) * 2019-12-30 2021-07-07 Haanong Foods. Co., Ltd Coffee additive using black garlic extrac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21108653A (ja) * 2019-12-30 2021-08-02 ハアノン フ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Haanong Foods. Co., Ltd. 黒ニンニクエキスを用いたコーヒー添加物及びそ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33593A (zh) 一种香料酒的配方
Amaravathi et al. Spiced pineapple ready-to-serve beverages
CN110226657B (zh) 咖啡豆的制造方法
EP2689669A1 (en) Coffee beverag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KR100970342B1 (ko) 유자청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70009228A (ko) 약초 팥빙수
KR101229681B1 (ko) 솔잎을 함유한 원두커피 및 이에 함유되는 솔잎의 가공방법
Thamilselvi et al. Preparation and quality evaluation of lime based herbal blended RTS beverage
CN107535747A (zh) 一种能润肺镇咳的柚子浓缩果肉果汁及其制作方法
KR20160149790A (ko) 만감류 성분이 함유된 커피음료
KR20200082556A (ko) 배 및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대추차의 제조방법
CN103892369A (zh) 一种绿茶火锅汤底及其制备方法
KR101381270B1 (ko) 초콜릿이 코팅된 홍삼절편 제조 방법 및 초콜릿이 코팅된 홍삼절편
JP4514210B2 (ja) 甜茶飲料
JP4141271B2 (ja) 柑橘類抽出組成物
KR102173624B1 (ko) 육류용 소스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육류 숙성방법
CN103932245A (zh) 一种健胃消食酒醉大闸蟹及其制备方法
CN106509248A (zh) 一种西瓜皮、薄荷叶和桑叶凉茶加工工艺
CN104719539A (zh) 一种红茶饮料
CN104256026A (zh) 一种降血压咖啡
CN110100929A (zh) 一种芬芳调饮茶及制备方法
Yadav et al. Development of value added products from pomelo fruit and their storage.
US10960043B1 (en) Nutritious fruit juice supplement and method of making
KR102055300B1 (ko) 건강기능성 음료용 액상 조성물
CN107333939A (zh) 一种薄荷山竹奶茶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