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690A -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브라우저의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브라우저의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690A
KR20160149690A KR1020150087190A KR20150087190A KR20160149690A KR 20160149690 A KR20160149690 A KR 20160149690A KR 1020150087190 A KR1020150087190 A KR 1020150087190A KR 20150087190 A KR20150087190 A KR 20150087190A KR 20160149690 A KR20160149690 A KR 20160149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wser
user terminal
cloud streaming
application
ke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2358B1 (ko
Inventor
이동수
Original Assignee
엔트릭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트릭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트릭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7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358B1/ko
Publication of KR20160149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690A/ko
Priority to KR1020210083149A priority patent/KR20210082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05Controlling the feeding rate to the network, e.g. by controlling the video pu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5Channel allocation; Bandwidth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브라우저의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키 입력을 수신하고, 브라우저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개의 브라우저들 중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로 키 입력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생성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렌더링, 캡처,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및 센딩에 상응하는 파이프라인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가 사용자 단말과 연결이 해제될 해제 대상 브라우저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제 대상 브라우저인 경우에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브라우저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의 동시 접속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브라우저의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YSTEM FOR CLOUD STREAMING SERVICE, METHOD OF IMAGE CLOUD STREAMING SERVICE USING MANAGED OCCUPATION OF BROWSER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브라우저의 점유를 관리하여 사용함으로써 제한된 자원 내에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의 동시 접속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브라우저의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은 개인의 통신 속도를 급격히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통신 속도의 향상은 원격지에 위치한 컴퓨터에 접속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 하거나, 원격지 컴퓨터 제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마치 원격지 컴퓨터에 로컬 로그인한 것과 같이 원격지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하게 개발되면서, 비교적 낮은 성능의 사용자 단말에서 높은 성능을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가상화 기술들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서버에서 구동시키고 구동화면은 비디오 인코딩(Encoding)을 통해 압축하여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클라이언트는 전송된 비디오를 재생하여 마치 자신의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화면 가상화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가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비디오 코덱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메뉴 디스플레이와 같이 정적인 화면을 서비스 하는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화면 전체를 캡처하고 비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동작하게 되어 시스템 전체적으로 비효율적인 측면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서 정적인 부분의 변화된 이미지만을 캡처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으며, 접속된 사용자 단말이 실제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브라우저의 연결을 해제하여 다른 단말이 사용하게 함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의 동시 접속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기술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한국 공개 특허 제2010-0091853호, 2010년 08월 19일 공개 (명칭: 동적 메모리 관리를 수행하는 임베디드 시스템 및 그의 메모리 관리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브라우저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의 동시 접속률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라우저가 동작하지 않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보다 효율적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변화된 이미지만을 처리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저사양의 단말에서도 고사양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키 입력을 수신하는 키 입력 수신부; 브라우저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개의 브라우저들 중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로 상기 키 입력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생성하는 실행화면 생성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렌더링, 캡처,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및 센딩에 상응하는 파이프라인 과정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스트리밍부; 및 상기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이 해제될 해제 대상 브라우저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해제 대상 브라우저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을 해제하는 브라우저 연결 해제부를 포함한다.
이 때, 브라우저 연결 해제부는 상기 키 입력이 수신된 뒤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키 입력과 다른 키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를 상기 해제 대상 브라우저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해제 대상 브라우저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이 해제된 후 상기 다른 키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개의 브라우저들 중 연결 가능한 어느 하나의 유휴 브라우저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결하는 브라우저 재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해제 대상 브라우저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현재 화면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구동 정보를 저장하는 구동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실행화면 생성부는 상기 유휴 브라우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다른 키 입력 및 상기 구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다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은 동영상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복수개의 브라우저들 중 상기 유휴 브라우저의 개수를 체크하고, 상기 유휴 브라우저의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을 조절하는 입력 대기 시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브라우저 리스트는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동시 접속률에 상응하는 개수만큼 상기 복수개의 브라우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우저의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키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브라우저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 개의 브라우저들 중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로 상기 키 입력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렌더링, 캡처,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및 센딩에 상응하는 파이프라인 과정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이 해제될 해제 대상 브라우저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해제 대상 브라우저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키 입력이 수신된 뒤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키 입력과 다른 키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를 상기 해제 대상 브라우저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상기 해제 대상 브라우저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이 해제된 후 상기 다른 키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개의 브라우저들 중 연결 가능한 어느 하나의 유휴 브라우저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상기 해제 대상 브라우저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현재 화면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구동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휴 브라우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다른 키 입력 및 상기 구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다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은 동영상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상기 복수개의 브라우저들 중 상기 유휴 브라우저의 개수를 체크하고, 상기 유휴 브라우저의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브라우저 리스트는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동시 접속률에 상응하는 개수만큼 상기 복수개의 브라우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브라우저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의 동시 접속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라우저가 동작하지 않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보다 효율적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변화된 이미지만을 처리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저사양의 단말에서도 고사양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클라이언트와 브라우저 간에 연결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브라우저의 점유를 관리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캡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은 웹 서버(110),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 단말(130-1~ 130-N) 및 네트워크(140)를 포함한다.
웹 서버(110)는 단말(130-1~ 130-N)을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수단으로,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HTML이나 오브젝트를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웹 서버 또는 JSP, servlet과 같은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동적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상응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해주는 도구인 브라우저 또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사용자 요청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웹 어플리케이션이 JSP나 servlet에 상응할 수 있다. 즉, 브라우저를 통해서 JSP나 servlet에 상응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브라우저는 인터넷망에서 웹 페이지를 열거나, 웹 페이지를 저장할 수도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30-1~ 130-N)의 키 입력을 수신한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는 브라우저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개의 브라우저들 중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로 키 입력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생성한다.
이 때, 유휴 브라우저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다른 키 입력 및 구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다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은 동영상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브라우저 리스트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동시 접속률에 상응하는 개수만큼 복수개의 브라우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렌더링, 캡처,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및 센딩에 상응하는 파이프라인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130-1~ 130-N)로 제공한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는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가 사용자 단말(130-1~ 130-N)과 연결이 해제될 해제 대상 브라우저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제 대상 브라우저인 경우에 사용자 단말(130-1~ 130-N)과의 연결을 해제한다.
이 때, 키 입력이 수신된 뒤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동안 사용자 단말(130-1~ 130-N)로부터 키 입력과 다른 키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를 해제 대상 브라우저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는 해제 대상 브라우저와 사용자 단말(130-1~ 130-N) 간의 연결이 해제된 후 다른 키 입력을 기반으로 복수개의 브라우저들 중 연결 가능한 어느 하나의 유휴 브라우저와 사용자 단말을 연결한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는 해제 대상 브라우저와 사용자 단말(130-1~ 130-N) 간의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130-1~ 130-N)의 식별정보, 어플리케이션의 현재 화면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URL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구동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는 복수개의 브라우저들 중 유휴 브라우저의 개수를 체크하고, 유휴 브라우저의 개수를 고려하여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을 조절한다.
단말(130-1~ 130-N)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로부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단말(130-1~ 130-N)은 각각 통신망에 연결되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로,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 유선 단말, 고정형 단말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 등의 다양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단말(130-1~ 130-N)은 각각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d),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개인휴대용 정보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TV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단말(130-1~ 130-N)은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130-1~ 130-N)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단말(130-1~ 130-N)의 입력부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단말(130-1~ 130-N)의 입력부는 단말(130-1~ 130-N)의 표시부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130-1~ 130-N)의 입력부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단말(130-1~ 130-N)의 입력부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컨텐츠를 업로드 하거나 다운로드 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단말(130-1~ 130-N)의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단말(130-1~ 130-N)의 표시부는 단말(130-1~ 130-N)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130-1~ 130-N)의 표시부는 단말(130-1~ 130-N)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30-1~ 130-N)의 표시부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단말(130-1~ 130-N)의 표시부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된 경우, 단말(130-1~ 130-N)의 표시부는 단말(130-1~ 130-N)의 입력부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단말(130-1~ 130-N)의 표시부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제공되는 컨텐츠의 실행과 관련된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130-1~ 130-N)의 저장부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장치 및 보조 기억장치를 포함하고, 단말(130-1~ 130-N)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130-1~ 130-N)의 저장부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30-1~ 130-N)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단말(130-1~ 130-N)의 저장부는 단말(130-1~ 130-N)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컨텐츠를 업로드 하거나 다운로드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130-1~ 130-N)의 저장부는 다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DB와 단말(130-1~ 130-N)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DB는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데이터와 컨텐츠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컨텐츠 실행에 따른 컨텐츠 사용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30-1~ 130-N)의 정보는 단말 사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130-1~ 130-N)의 통신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와 네트워크(14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30-1~ 130-N)의 통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130-1~ 130-N)의 통신부는 무선통신 모듈 및 유선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130-1~ 130-N)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네트워크(140)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130-1~ 130-N)은 무선통신 모듈 또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40)에 접속하며, 네트워크(140)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14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 또는 다른 단말(130-1~ 130-N)과 통신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컨텐츠를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30-1~ 130-N)의 제어부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에 접속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별도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실행과 동시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로 서비스 이용 요청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단말(130-1~ 130-N)의 정보가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130-1~ 130-N)의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단말(130-1~ 130-N)의 저장부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컨텐츠 실행에 따른 컨텐츠 사용 이력을 컨텐츠 사용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130-1~ 130-N)의 제어부는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데이터와, 컨텐츠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와, 컨텐츠 사용 이력에 따른 정보인 컨텐츠 사용 정보를 함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로 전송하여 업로드 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에 전송하여 업로드된 컨텐츠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단말(130-1~ 130-N)의 저장부에서 삭제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를 통해 컨텐츠를 실행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130-1~ 130-N)의 제어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에 접속하여 다른 단말(130-1~ 130-N)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후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를 통해 컨텐츠 실행 시,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만을 수신한 후 컨텐츠가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140)는 웹 서버(110)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 사이 및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와 단말(130-1~ 130-N) 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40)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 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140)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웹 서버(110)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 사이 및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와 단말(130-1~ 130-N) 사이에 사용되는 네트워크는 단말(130-1~ 130-N)들 상호간에 사용되는 네트워크와 상이한 것일 수도 있고, 동일한 것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는 키 입력 수신부(210), 실행화면 생성부(220), 스트리밍부(230), 브라우저 연결 해제부(240), 브라우저 재연결부(250), 구동 정보 저장부(260) 및 입력 대기 시간 조절부(270)를 포함한다.
키 입력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의 키 입력을 수신한다.
이 때, 키 입력은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시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나타낼 수 있는 메뉴 버튼 또는 특정 명령을 수행하도록 생성된 버튼을 이용하여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영화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였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여러 메뉴 버튼들 중에서 영화의 카테고리 별 정보를 볼 수 있는 카테고리 정보 버튼을 클릭하면, 카테고리 정보 제공에 상응하는 키 입력이 발생할 수 있고, 이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한 키 입력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를 통해 웹 서버로도 전송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가 통신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에서 키 입력을 수신한 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가 다시 웹 서버에게 키 입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웹 서버에서도 키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실행화면 생성부(220)는 브라우저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개의 브라우저들 중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로 키 입력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생성한다.
이 때, 복수개의 브라우저들은 월드 와이드 웹에서 모든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에 상응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브라우저들은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해주는 도구인 웹 브라우저에 상응할 수 있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보면, 웹 브라우저는 웹 서버에 자료를 요청하기 위해 HTTP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는 단순히 문서의 내용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검색하는 것을 도와주는 도구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웹 브라우저의 기본 기능은 HTML을 읽어 제공하는 것으로, 여기에 읽혀진 정보를 앞 페이지 뒤 페이지 초기화면으로 자유자재로 넘겨볼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사이트 가운데 필요한 페이지로 단숨에 찾아 들어갈 수 있는 즐겨 찾기 및 북 마크 기능도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은 동영상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투브와 같은 동영상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동영상을 제공하는 동안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키 입력이 수신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만약 동영상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본 발명을 적용한다고 가정하면 사용자가 동영상을 플레이 하는 도중에 브라우저와의 연결이 해제되어 오히려 서비스 이용에 불편을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단말의 사용자가 일정 시간 동안 키 입력을 하지 않아도 되는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에는 본 발명의 방식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스트리밍부(23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렌더링, 캡처,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및 센딩에 상응하는 파이프라인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비디오 코덱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은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화면에 상응하는 모든 프레임을 캡처하여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화면 상에서 프레임간 변화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과 같이 이전 프레임과 비교하여 변화된 프레임의 변화 영역만을 캡처하여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 할 때 변화 영역을 제외한 부분은 동일하게 보여주고 변화 영역만 변화를 주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은 동영상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하기 때문에 비디오 코덱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보다는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렌더링하고, 렌더링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들을 각각 비교하여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에서 변화된 부분을 이미지로 캡처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프레임들 중 프레임간의 변화가 적은 구간들을 검출하고, 프레임간의 변화가 적은 구간에서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간의 변화가 많은 구간은 캡처할 이미지의 수가 많아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변화가 많은 구간은 비디오 코덱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을 통해 서비스를 수행하고, 프레임간 변화가 적은 구간에서만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변화된 캡처 영역의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이 때,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방식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발생하는 부하량, 서비스 속도, 이미지의 화질 또는 인코딩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렌더링하는 단말의 성능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압축률이 높고 부하가 적게 발생하는 팔렛트 PNG 인코딩 방식으로 이미지를 압축할 수 있다. 또한, 부하량은 상관하지 않고 이미지의 화질을 좋게 제공하고 싶다면, PNG32bit 인코딩 방식 또는 JPEG 인코딩 방식 등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압축할 수 있다.
브라우저 연결 해제부(240)는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가 사용자 단말과 연결이 해제될 해제 대상 브라우저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제 대상 브라우저인 경우에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을 해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서 유투브 화면과 웹 페이지 화면을 동시에 서비스하는 멀티 클라우드 스트리밍의 경우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게 유투브 어플리케이션과 웹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해 각각 하나씩의 브라우저를 할당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이 두 개의 브라우저를 통해 유투브 화면과 웹 페이지 화면을 동시에 서비스 받는다고 할지라도, 실제로는 유투브 만을 활발하게 사용하고 웹 페이지는 한 번씩 보는 수준으로 그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경우에도 한 사용자에게 유투브 어플리케이션과 웹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두 개의 브라우저를 할당해 주는 것은 제한적인 자원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입장에서는 자원 낭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HTML5 어플리케이션으로 유투브와 웹 페이지를 구동하는 경우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는 유투브와 웹 페이지 각각에 대한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만약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제공할 수 있는 전체 브라우저 인스턴스가 100개로 제한되어 있다면, 최대 50명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실제로 사용자의 사용이 없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브라우저의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최대 서비스 사용자 수는 보다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투브 어플리케이션과 웹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5분 동안 웹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즉, 5분 동안 웹 페이지에 대한 입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는 웹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할당된 브라우저의 연결을 해제시켜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키 입력이 수신된 뒤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동안 사용자 단말로부터 키 입력과 다른 키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를 해제 대상 브라우저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브라우저 간의 연결을 해제하는 기준을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키 입력이 발생하지 않는 기간으로 설정하여, 일정 시간 동안 어플리케이션에서 키 입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브라우저를 해제 대상 브라우저로 판단하고 연결을 해제 할 수 있다.
브라우저 재연결부(250)는 해제 대상 브라우저와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이 해제된 후 다른 키 입력을 기반으로 복수개의 브라우저들 중 연결 가능한 어느 하나의 유휴 브라우저와 사용자 단말을 연결한다. 즉, 어플리케이션에 키 입력이 일정 시간동안 수신되지 않아서 브라우저의 연결을 해제하였어도, 실제로 단말의 사용자는 키 입력만 하지 않았을 뿐 어플리케이션은 종료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키 입력이 다시 수신되었을 때 기존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했던 브라우저와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라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현재 연결할 수 있는 유휴 브라우저를 사용자 단말과 연결하여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유휴 브라우저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다른 키 입력 및 구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다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서 웹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첫 페이지에 상응하는 화면을 보고 있었고 5분에 상응하는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동안 키 입력이 수신되지 않아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던 브라우저 A와의 연결을 해제하였다고 가정할 수 있다. 만약, 7분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첫 페이지에서 특정 메뉴를 클릭했다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유휴 브라우저 B와 사용자 단말을 연결하여 특정 메뉴에 대한 화면을 제공하여야 할 수 있다.
구동 정보 저장부(260)는 해제 대상 브라우저와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어플리케이션의 현재 화면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구동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는 브라우저와의 연결을 해제하기 전에 사용자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의 아이디나 사용자 단말이 제공받고 있던 어플리케이션 화면 및 어플리케이션 URL 등을 구동 정보로 저장해 두었다가 유휴 브라우저를 통해 다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구동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여 저장해두었다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른 키 입력이 수신될 때, 다른 키 입력과 함께 수신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입력 대기 시간 조절부(270)는 복수개의 브라우저들 중 유휴 브라우저의 개수를 체크하고, 유휴 브라우저의 개수를 고려하여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전체 브라우저 인스턴스가 100개이며 현재 사용 중인 브라우저가 10개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유휴 브라우저의 개수가 90개로 여유가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브라우저의 연결 해제 및 재연결의 수행이 자주 발생하지 않도록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을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브라우저를 해제하고 재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사용하는 자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전체 브라우저 인스턴스가 100개인데 현재 모든 브라우저를 사용하고 있다고 가정한다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하고 싶어도 접속하지 못하는 사용자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을 짧게 설정함으로써, 이미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사용자들이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 브라우저를 보다 빠르게 연결 해제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서비스의 접속자가 많아서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을 짧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브라우저의 연결 해제 시 이에 관련된 안내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들에게 현재 서버 사용량이 많은 것을 알리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미도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는 별도의 대용량 스토리지로 동작할 수 있고,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는 메모리가 탑재되어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20)를 통해 브라우저 개수를 증가하지 않고도 동시 접속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체 브라우저 인스턴스를 증가시키기 위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비용을 절약할 수도 있다.
도 3은 종래의 클라이언트와 브라우저 간에 연결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클라이언트(310, 311, 312)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330) 간에 세션 연결에 따라 클라이언트(310, 311, 312)와 1:1로 매칭되도록 브라우저(320, 321, 322)가 할당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330)에서는 동시 접속률에 상응하는 개수만큼 브라우저(320, 321, 322)를 실행해 두고, 클라이언트(310, 311, 312)가 세션 연결될 때마다 브라우저(320, 321, 322)에 하나씩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한번 연결된 세션은 세션 연결을 해제할 때까지 계속해서 유지될 수 있다.
이 때, 멀티 클라우드 스트리밍의 경우에는 클라이언트(310, 311, 312)마다 복수개의 브라우저(320, 321, 322)를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브라우저(320, 321, 322)마다 메모리를 차지하고 사용하기 때문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330)에서 실행 가능한 브라우저의 개수가 메모리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330)의 동시 접속률은 메모리에 따른 브라우저 개수와 상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브라우저의 점유를 관리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430)에서 브라우저의 점유를 관리하는 방식은 먼저 클라이언트(410)의 서비스 제공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430)의 브라우저(420)와 클라이언트(4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 후, 브라우저(42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클라이언트(410)에게 전송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이언트(410)로부터 마지막으로 수신된 키 입력시간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입력 대기시간이 만료될 때까지 추가로 키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클라이언트(410)와 브라우저(420)간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 후, 클라이언트(410)와 연결이 해제된 브라우저(42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430)로 서비스 제공 요청을 하는 또 다른 클라이언트(411)와 연결되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만약 연결이 해제된 클라이언트(410)에서 키 입력이 발생한다면, 클라이언트(410)의 키 입력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제공하기 위해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430)에서 유휴 브라우저(421)를 검색하여 클라이언트(410)와 연결할 수 있다.
이 후, 클라이언트(410)는 브라우저(421)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은 먼저 단말(510)에서 키 입력이 발생함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20)를 통해 웹 서버(530)가 키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20)는 브라우저(521)를 통해 웹 서버(530)에서 단말(510)의 요청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20)는 단말(510)의 요청을 받아 HTML이나 오브젝트를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해 단말(5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510)의 키 입력을 획득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20)는 키 입력에 상응하는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브라우저(521)를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20)는 단말(510)로부터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동안 키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단말(510)과 브라우저(521) 간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단말(510)과 연결이 해제된 브라우저(521)는 웹 서버(530)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다른 단말과 연결되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브라우저(521)는 키 입력에 상응하는 결과인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웹 서버(530)에 접속하여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20)를 통해 단말(510)에게 전송함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20)는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송 받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변화된 영역의 이미지만을 캡처 및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단말(5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캡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캡처하는 과정은 먼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화면의 변화가 적은 부분의 프레임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화면의 변화가 많은 부분에 대해서는 비디오 코덱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제공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이 후, 변화가 적은 부분의 프레임들 중 이전 프레임(610)과 현재 프레임(620)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이전 프레임(610)과 현재 프레임(620)을 비교하면, 두 프레임의 C 영역 및 D 영역에 대해서는 변화가 없으나, 이전 프레임(610)의 A 영역 및 B 영역이 현재 프레임(620)에서는 A' 와 B'로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는 이와 같은 변화를 체크하고, 변화된 A' 영역과 B' 영역을 변화된 영역으로 판단하고 캡처 이미지(630)로 캡처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캡처단에서 변화된 영역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또한, 이전 프레임(610)과 현재 프레임(620)을 비교하였을 때, 변화된 부분이 여러 영역 확인되는 경우에는, 변화된 여러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하나의 영역을 캡처 이미지(630)로 캡처할 수 있다. 또한, 변화된 여러 영역을 모두 각각 캡처 이미지(630)로 인식하고 복수 개의 캡처 이미지(630)로 캡처하여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키 입력을 수신한다(S710)
이 때, 키 입력은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시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나타낼 수 있는 메뉴 버튼 또는 특정 명령을 수행하도록 생성된 버튼을 이용하여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영화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였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여러 메뉴 버튼들 중에서 영화의 카테고리 별 정보를 볼 수 있는 카테고리 정보 버튼을 클릭하면, 카테고리 정보 제공에 상응하는 키 입력이 발생할 수 있고, 이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한 키 입력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웹 서버로도 전송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통신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키 입력을 수신한 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다시 웹 서버에게 키 입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웹 서버에서도 키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브라우저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개의 브라우저들 중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로 키 입력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생성한다(S720).
이 때, 복수개의 브라우저들은 월드 와이드 웹에서 모든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에 상응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브라우저들은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해주는 도구인 웹 브라우저에 상응할 수 있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보면, 웹 브라우저는 웹 서버에 자료를 요청하기 위해 HTTP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는 단순히 문서의 내용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검색하는 것을 도와주는 도구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웹 브라우저의 기본 기능은 HTML을 읽어 제공하는 것으로, 여기에 읽혀진 정보를 앞 페이지 뒤 페이지 초기화면으로 자유자재로 넘겨볼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사이트 가운데 필요한 페이지로 단숨에 찾아 들어갈 수 있는 즐겨 찾기 및 북 마크 기능도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은 동영상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투브와 같은 동영상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동영상을 제공하는 동안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키 입력이 수신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만약 동영상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본 발명을 적용한다고 가정하면 사용자가 동영상플레이 하는 도중에 브라우저와의 연결이 해제되어 오히려 서비스 이용에 불편을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단말의 사용자가 일정 시간 동안 키 입력을 하지 않아도 되는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시스템에는 본 발명의 방식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렌더링, 캡처,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및 센딩에 상응하는 파이프라인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S730).
비디오 코덱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은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화면에 상응하는 모든 프레임을 캡처하여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화면 상에서 프레임간 변화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과 같이 이전 프레임과 비교하여 변화된 프레임의 변화 영역만을 캡처하여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 할 때 변화 영역을 제외한 부분은 동일하게 보여주고 변화 영역만 변화를 주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은 동영상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하기 때문에 비디오 코덱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보다는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렌더링하고, 렌더링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들을 각각 비교하여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에서 변화된 부분을 이미지로 캡처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프레임들 중 프레임간의 변화가 적은 구간들을 검출하고, 프레임간의 변화가 적은 구간에서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간의 변화가 많은 구간은 캡처할 이미지의 수가 많아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변화가 많은 구간은 비디오 코덱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을 통해 서비스를 수행하고, 프레임간 변화가 적은 구간에서만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변화된 캡처 영역의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이 때,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방식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발생하는 부하량, 서비스 속도, 이미지의 화질 또는 인코딩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렌더링하는 단말의 성능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압축률이 높고 부하가 적게 발생하는 팔렛트 PNG 인코딩 방식으로 이미지를 압축할 수 있다. 또한, 부하량은 상관하지 않고 이미지의 화질을 좋게 제공하고 싶다면, PNG32bit 인코딩 방식 또는 JPEG 인코딩 방식 등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압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가 사용자 단말과 연결이 해제될 해제 대상 브라우저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제 대상 브라우저인 경우에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을 해제한다(S74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서 유투브 화면과 웹 페이지 화면을 동시에 서비스하는 멀티 클라우드 스트리밍의 경우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게 유투브 어플리케이션과 웹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해 각각 하나씩의 브라우저를 할당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이 두 개의 브라우저를 통해 유투브 화면과 웹 페이지 화면을 동시에 서비스 받는다고 할지라도, 실제로는 유투브 만을 활발하게 사용하고 웹 페이지는 한 번씩 보는 수준으로 그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경우에도 한 사용자에게 유투브 어플리케이션과 웹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두 개의 브라우저를 할당해 주는 것은 제한적인 자원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입장에서는 자원 낭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HTML5 어플리케이션으로 유투브와 웹 페이지를 구동하는 경우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는 유투브와 웹 페이지 각각에 대한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만약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제공할 수 있는 전체 브라우저 인스턴스가 100개로 제한되어 있다면, 최대 50명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실제로 사용자의 사용이 없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브라우저의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최대 서비스 사용자 수는 보다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투브 어플리케이션과 웹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5분 동안 웹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즉, 5분 동안 웹 페이지에 대한 입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는 웹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할당된 브라우저의 연결을 해제시켜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키 입력이 수신된 뒤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동안 사용자 단말로부터 키 입력과 다른 키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를 해제 대상 브라우저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브라우저 간의 연결을 해제하는 기준을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키 입력이 발생하지 않는 기간으로 설정하여, 일정 시간 동안 어플리케이션에서 키 입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브라우저를 해제 대상 브라우저로 판단하고 연결을 해제 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해제 대상 브라우저와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이 해제된 후 다른 키 입력을 기반으로 복수개의 브라우저들 중 연결 가능한 어느 하나의 유휴 브라우저와 사용자 단말을 연결한다. 즉, 어플리케이션에 키 입력이 일정 시간동안 수신되지 않아서 브라우저의 연결을 해제하였어도, 실제로 단말의 사용자는 키 입력만 하지 않았을 뿐 어플리케이션은 종료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키 입력이 다시 수신되었을 때 기존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했던 브라우저와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라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현재 연결할 수 있는 유휴 브라우저를 사용자 단말과 연결하여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유휴 브라우저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다른 키 입력 및 구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다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서 웹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첫 페이지에 상응하는 화면을 보고 있었고 5분에 상응하는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동안 키 입력이 수신되지 않아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던 브라우저 A와의 연결을 해제하였다고 가정할 수 있다. 만약, 7분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첫 페이지에서 특정 메뉴를 클릭했다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유휴 브라우저 B와 사용자 단말을 연결하여 특정 메뉴에 대한 화면을 제공하여야 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해제 대상 브라우저와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어플리케이션의 현재 화면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구동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는 브라우저와의 연결을 해제하기 전에 사용자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의 아이디나 사용자 단말이 제공받고 있던 어플리케이션 화면 및 어플리케이션 URL 등을 구동 정보로 저장해 두었다가 유휴 브라우저를 통해 다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구동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여 저장해두었다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른 키 입력이 수신될 때, 다른 키 입력과 함께 수신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복수개의 브라우저들 중 유휴 브라우저의 개수를 체크하고, 유휴 브라우저의 개수를 고려하여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전체 브라우저 인스턴스가 100개이며 현재 사용 중인 브라우저가 10개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유휴 브라우저의 개수가 90개로 여유가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브라우저의 연결 해제 및 재연결의 수행이 자주 발생하지 않도록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을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브라우저를 해제하고 재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사용하는 자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전체 브라우저 인스턴스가 100개인데 현재 모든 브라우저를 사용하고 있다고 가정한다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하고 싶어도 접속하지 못하는 사용자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을 짧게 설정함으로써, 이미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사용자들이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 브라우저를 보다 빠르게 연결 해제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서비스의 접속자가 많아서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을 짧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브라우저의 연결 해제 시 이에 관련된 안내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들에게 현재 서버 사용량이 많은 것을 알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저장 모듈은 별도의 대용량 스토리지로 동작할 수 있고,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통해 브라우저 개수를 증가하지 않고도 동시 접속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체 브라우저 인스턴스를 증가시키기 위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비용을 절약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먼저 사용자 단말의 키 입력이 발생하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한다(S810).
이 때, 키 입력은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시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나타낼 수 있는 메뉴 버튼 또는 특정 명령을 수행하도록 생성된 버튼을 이용하여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한 키 입력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를 통해 웹 서버에서도 획득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통신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키 입력을 획득한 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다시 웹 서버에게 키 입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키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 후,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브라우저와 사용자 단말을 연결하고,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 단말이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820).
이 후,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생성하고(S830),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렌더링, 캡처,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및 센딩에 상응하는 파이프라인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S840).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렌더링하고, 렌더링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프레임들 중 프레임간의 변화가 적은 구간들을 검출하고, 프레임간의 변화가 적은 구간에서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다.
이 때,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방식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발생하는 부하량, 서비스 속도, 이미지의 화질 또는 인코딩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렌더링하는 단말의 성능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 단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한 시간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동안 키 입력이 수신되는지 확인한다(S845).
단계(S845)의 확인결과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 내에 키 입력이 수신되면, 수신된 키 입력에 상응하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단계(S845)의 확인결과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 내에 키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브라우저를 해제 대상 브라우저로 인식하고 연결을 해제한다(S850). 즉,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 동안 키 입력이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이 실제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연결된 브라우저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서 유투브 화면과 웹 페이지 화면을 동시에 서비스하는 멀티 클라우드 스트리밍의 경우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게 유투브 어플리케이션과 웹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해 각각 하나씩의 브라우저를 할당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이 두 개의 브라우저를 통해 유투브 화면과 웹 페이지 화면을 동시에 서비스 받는다고 할지라도, 실제로는 유투브 만을 활발하게 사용하고 웹 페이지는 한 번씩 보는 수준으로 그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경우에도 한 사용자에게 유투브 어플리케이션과 웹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두 개의 브라우저를 할당해 주는 것은 제한적인 자원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입장에서는 자원 낭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HTML5 어플리케이션으로 유투브와 웹 페이지를 구동하는 경우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는 유투브와 웹 페이지 각각에 대한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만약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제공할 수 있는 전체 브라우저 인스턴스가 100개로 제한되어 있다면, 최대 50명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실제로 사용자의 사용이 없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브라우저의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최대 서비스 사용자 수는 보다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투브 어플리케이션과 웹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5분 동안 웹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즉, 5분 동안 웹 페이지에 대한 입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는 웹 페이지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할당된 브라우저의 연결을 해제시켜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후, 브라우저와 연결이 해제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른 키 입력이 수신되는지 확인한다(S855).
단계(S855)의 확인결과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른 키 입력이 수신되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유휴 브라우저와 사용자 단말을 연결하고(S860), 유휴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다른 키 입력에 상응하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820).
또한, 단계(S855)의 확인결과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른 키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에서 서비스를 종료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865).
단계(S865)의 확인결과 종료하지 않았으면, 지속적으로 사용자 단말로부터 키 입력이 수신되는지 확인하고(S855), 확인결과 종료되었으면 사용자 단말에 대한 서비스를 종료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우저의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브라우저의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의 키 입력을 수신하고, 브라우저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개의 브라우저들 중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로 키 입력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생성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렌더링, 캡처,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및 센딩에 상응하는 파이프라인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가 사용자 단말과 연결이 해제될 해제 대상 브라우저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제 대상 브라우저인 경우에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나아가,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브라우저를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브라우저마다 차지하는 메모리 양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110, 530: 웹서버
120, 330, 430, 520: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130-1~ 130-N: 단말 140: 네트워크
210: 키 입력 수신부 220: 실행화면 생성부
230: 스트리밍부 240: 브라우저 연결 해제부
250: 브라우저 재연결부 260: 구동 정보 저장부
270: 입력 대기 시간 조절부 310~ 312, 410, 411, 510: 클라이언트
320~ 322, 420, 421, 521: 브라우저 610: 이전 프레임
620: 현재 프레임 630: 캡처 이미지

Claims (10)

  1. 사용자 단말의 키 입력을 수신하는 키 입력 수신부;
    브라우저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개의 브라우저들 중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로 상기 키 입력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생성하는 실행화면 생성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렌더링, 캡처,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및 센딩에 상응하는 파이프라인 과정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스트리밍부; 및
    상기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이 해제될 해제 대상 브라우저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해제 대상 브라우저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을 해제하는 브라우저 연결 해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우저 연결 해제부는
    상기 키 입력이 수신된 뒤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키 입력과 다른 키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를 상기 해제 대상 브라우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해제 대상 브라우저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이 해제된 후 상기 다른 키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개의 브라우저들 중 연결 가능한 어느 하나의 유휴 브라우저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연결하는 브라우저 재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해제 대상 브라우저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현재 화면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구동 정보를 저장하는 구동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실행화면 생성부는
    상기 유휴 브라우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다른 키 입력 및 상기 구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의 다음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동영상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복수개의 브라우저들 중 상기 유휴 브라우저의 개수를 체크하고, 상기 유휴 브라우저의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을 조절하는 입력 대기 시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우저 리스트는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동시 접속률에 상응하는 개수만큼 상기 복수개의 브라우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9. 사용자 단말의 키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브라우저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 개의 브라우저들 중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로 상기 키 입력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렌더링, 캡처,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및 센딩에 상응하는 파이프라인 과정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이 해제될 해제 대상 브라우저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해제 대상 브라우저인 경우에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우저의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키 입력이 수신된 뒤 기설정된 입력 대기 시간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키 입력과 다른 키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어느 하나의 브라우저를 상기 해제 대상 브라우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우저의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KR1020150087190A 2015-06-19 2015-06-19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브라우저의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72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190A KR102272358B1 (ko) 2015-06-19 2015-06-19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브라우저의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210083149A KR20210082415A (ko) 2015-06-19 2021-06-25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브라우저의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190A KR102272358B1 (ko) 2015-06-19 2015-06-19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브라우저의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149A Division KR20210082415A (ko) 2015-06-19 2021-06-25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브라우저의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690A true KR20160149690A (ko) 2016-12-28
KR102272358B1 KR102272358B1 (ko) 2021-07-02

Family

ID=577245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190A KR102272358B1 (ko) 2015-06-19 2015-06-19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브라우저의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210083149A KR20210082415A (ko) 2015-06-19 2021-06-25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브라우저의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149A KR20210082415A (ko) 2015-06-19 2021-06-25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브라우저의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723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0009B2 (en) * 2003-08-07 2008-05-27 Interantional Business Machines, Incorporated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delayed disconnection of a client from a server
KR20100091853A (ko) 2009-02-11 2010-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 메모리 관리를 수행하는 임베디드 시스템 및 그의 메모리 관리방법
US20110246904A1 (en) * 2010-04-01 2011-10-06 Gus Pinto Interacting with Remote Applications Displayed Within a Virtual Desktop of a Tablet Computing Device
US20130007101A1 (en) * 2011-06-30 2013-01-03 Trahan Matthew L Remote browsing session manag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0009B2 (en) * 2003-08-07 2008-05-27 Interantional Business Machines, Incorporated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delayed disconnection of a client from a server
KR20100091853A (ko) 2009-02-11 2010-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적 메모리 관리를 수행하는 임베디드 시스템 및 그의 메모리 관리방법
US20110246904A1 (en) * 2010-04-01 2011-10-06 Gus Pinto Interacting with Remote Applications Displayed Within a Virtual Desktop of a Tablet Computing Device
US20130007101A1 (en) * 2011-06-30 2013-01-03 Trahan Matthew L Remote browsing session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415A (ko) 2021-07-05
KR102272358B1 (ko)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6670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프로세스 단축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88846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리시프로컬 캐시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21982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웹 컨테이너 공유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31830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리사이즈 기반의 멀티뷰 화면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42699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공통 캐시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47886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미지 타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115314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복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72358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브라우저의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73144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변화 영역의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13531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동일 세션 다중 접속 방식을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15566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이미지와 텍스트의 분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13530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13529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최적 렌더링에 기반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09805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변화된 이미지의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50736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캐싱을 위한 장치
KR102284685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단말의 성능에 기반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06889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데이터 치환을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73143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스틸 이미지 기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617491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인코딩 장치 및 방법
KR102354269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씬 영역 특성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016265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메모리 병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데이터 압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668284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47888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선택적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방식에 기반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07863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63089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컨텐츠 화질 개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