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7863B1 -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863B1
KR102307863B1 KR1020150052547A KR20150052547A KR102307863B1 KR 102307863 B1 KR102307863 B1 KR 102307863B1 KR 1020150052547 A KR1020150052547 A KR 1020150052547A KR 20150052547 A KR20150052547 A KR 20150052547A KR 102307863 B1 KR102307863 B1 KR 102307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ncoding target
target image
encoding
cloud stre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2529A (ko
Inventor
김동국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2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863B1/ko
Publication of KR20160122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1Bandwidth or redundancy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04N21/23106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involving cach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기반하여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 및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주소를 수신하고, 주소를 이용하여 변환 캐시 테이블에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캐싱 이미지를 검색하고, 캐싱 이미지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비교하여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일부인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생성하고, 캐싱 이미지 및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하라 영역을 축소시킴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리소스를 절약하고 동시 접속률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YSTEM FOR CLOUD STREAMING SERVICE, METHOD OF IMAGE CLOUD STREAMING SERVICE USING REDUCTION OF ENCODING AREA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캐시를 활용하여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할 영역을 축소시킴으로써 스틸 이미지 인코딩에 필요한 서버의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은 개인의 통신 속도를 급격히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통신 속도의 향상은 원격지에 위치한 컴퓨터에 접속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 하거나, 원격지 컴퓨터 제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마치 원격지 컴퓨터에 로컬 로그인한 것과 같이 원격지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하게 개발되면서, 비교적 낮은 성능의 사용자 단말에서 높은 성능을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가상화 기술들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서버에서 구동시키고 구동화면은 비디오 인코딩(Encoding)을 통해 압축하여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클라이언트는 전송된 비디오를 재생하여 마치 자신의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화면 가상화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가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비디오 코덱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법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메뉴 디스플레이와 같이 정적인 화면을 서비스 하는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화면 전체를 캡처하고 비디오 코덱을 이용하여 동작하게 되어 시스템 전체적으로 비효율적인 측면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정적인 화면의 이미지만을 캡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되,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캐시의 활용을 통해 인코딩을 수행할 영역을 축소시켜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하는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기술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한국 공개 특허 제2004-0055193호, 2004년 06월 26일 공개 (명칭: 4차원 데이터의 압축과 해제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 스틸 이미지 인코딩할 영역을 축소시킴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리소스를 절약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캐시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클라우드 스트리밍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변화된 이미지만을 처리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저사양의 단말에서도 고사양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기반하여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 및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주소를 수신하는 수신부;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저장하는 변환 캐시 테이블; 상기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변환 캐시 테이블에서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캐싱 이미지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캐싱 이미지와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일부인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인코딩 영역 축소부; 및 상기 캐싱 이미지 및 상기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이 때, 변환 캐시 테이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의 원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 적어도 하나의 캐싱 이미지 및 상기 원본에서 사용자별 개별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영역을 제외한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검색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에 접속하기 위한 테이블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 중 상기 테이블 주소가 상기 주소에 상응하는 참조 테이블 항목을 검색하고, 상기 참조 테이블 항목에서 상기 캐싱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인코딩 영역 축소부는 상기 참조 테이블 항목에서 상기 캐싱 이미지와 매칭된 원본을 획득하고, 상기 원본과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픽셀을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은 영역을 상기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전송부는 상기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100퍼센트(percent)로 상기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캐싱 이미지만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전송부는 상기 캐싱 이미지와 함께 상기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 중 상기 테이블 주소가 상기 주소에 상응하는 참조 테이블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스트리밍부; 및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상기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변환 캐시 테이블에 저장하는 추가 캐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추가 캐싱부는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상기 공통 영역의 비율이 기설정된 기준 비율 미만일 경우에 상기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상기 변환 캐시 테이블에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기반하여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 및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저장하는 변환 캐시 테이블에서 상기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캐싱 이미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캐싱 이미지와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일부인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캐싱 이미지 및 상기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인코딩한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변환 캐시 테이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의 원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 적어도 하나의 캐싱 이미지 및 상기 원본에서 사용자별 개별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영역을 제외한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에 접속하기 위한 테이블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 중 상기 테이블 주소가 상기 주소에 상응하는 참조 테이블 항목을 검색하고, 상기 참조 테이블 항목에서 상기 캐싱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 테이블 항목에서 상기 캐싱 이미지와 매칭된 원본을 획득하고, 상기 원본과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픽셀을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은 영역을 상기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100퍼센트(percent)로 상기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캐싱 이미지만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캐싱 이미지와 함께 상기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 중 상기 테이블 주소가 상기 주소에 상응하는 참조 테이블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상기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변환 캐시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저장하는 단계는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상기 공통 영역의 비율이 기설정된 기준 비율 미만일 경우에 상기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상기 변환 캐시 테이블에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 스틸 이미지 인코딩할 영역을 축소시킴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캐시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클라우드 스트리밍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변화된 이미지만을 처리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저사양의 단말에서도 고사양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환 캐시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인코딩 영역을 축소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로의 이미지 전송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 단말(120-1~ 120-N) 및 네트워크(130)를 포함한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기반하여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 및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주소를 수신한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저장한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의 원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 적어도 하나의 캐싱 이미지 및 원본에서 사용자별 개별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영역을 제외한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주소를 이용하여 변환 캐시 테이블에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캐싱 이미지를 검색한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에 접속하기 위한 테이블 주소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 중 테이블 주소가 주소에 상응하는 참조 테이블 항목을 검색하고, 참조 테이블 항목에서 캐싱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캐싱 이미지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비교하여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일부인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 때, 참조 테이블 항목에서 캐싱 이미지와 매칭된 원본을 획득하고, 원본과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픽셀을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은 영역을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캐싱 이미지 및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120-1~ 120-N)로 전송한다.
이 때,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100퍼센트로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에 캐싱 이미지만 단말(120-1~ 120-N)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캐싱 이미지와 함께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단말(120-1~ 120-N)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 중 테이블 주소가 주소에 상응하는 참조 테이블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단말(120-1~ 120-N)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주소를 이용하여 변환 캐시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공통 영역의 비율이 기설정된 기준 비율 미만일 경우에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변환 캐시 테이블에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120-1~ 120-N)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부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단말(120-1~ 120-N)은 각각 통신망에 연결되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로,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 유선 단말, 고정형 단말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 등의 다양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은 각각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d),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개인휴대용 정보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TV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은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120-1~ 120-N)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입력부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단말(120-1~ 120-N)의 입력부는 단말(120-1~ 120-N)의 표시부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입력부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단말(120-1~ 120-N)의 입력부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컨텐츠를 업로드 하거나 다운로드 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단말(120-1~ 120-N)의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표시부는 단말(120-1~ 120-N)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표시부는 단말(120-1~ 120-N)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20-1~ 120-N)의 표시부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단말(120-1~ 120-N)의 표시부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된 경우, 단말(120-1~ 120-N)의 표시부는 단말(120-1~ 120-N)의 입력부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단말(120-1~ 120-N)의 표시부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제공되는 컨텐츠의 실행과 관련된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저장부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장치 및 보조 기억장치를 포함하고, 단말(120-1~ 120-N)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120-1~ 120-N)의 저장부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20-1~ 120-N)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단말(120-1~ 120-N)의 저장부는 단말(120-1~ 120-N)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컨텐츠를 업로드 하거나 다운로드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저장부는 다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DB와 단말(120-1~ 120-N)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DB는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데이터와 컨텐츠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컨텐츠 실행에 따른 컨텐츠 사용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20-1~ 120-N)의 정보는 단말 사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통신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네트워크(13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20-1~ 120-N)의 통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120-1~ 120-N)의 통신부는 무선통신 모듈 및 유선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120-1~ 120-N)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네트워크(130)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120-1~ 120-N)은 무선통신 모듈 또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30)에 접속하며, 네트워크(130)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13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 또는 다른 단말(120-1~ 120-N)과 통신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컨텐츠를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20-1~ 120-N)의 제어부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별도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실행과 동시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서비스 이용 요청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단말(120-1~ 120-N)의 정보가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단말(120-1~ 120-N)의 저장부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컨텐츠 실행에 따른 컨텐츠 사용 이력을 컨텐츠 사용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제어부는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데이터와, 컨텐츠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와, 컨텐츠 사용 이력에 따른 정보인 컨텐츠 사용 정보를 함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로 전송하여 업로드 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전송하여 업로드된 컨텐츠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단말(120-1~ 120-N)의 저장부에서 삭제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를 통해 컨텐츠를 실행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120-1~ 120-N)의 제어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접속하여 다른 단말(120-1~ 120-N)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후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를 통해 컨텐츠 실행 시,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만을 수신한 후 컨텐츠가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13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및 단말(120-1~ 120-N) 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30)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 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130)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단말(120-1~ 120-N) 사이에 사용되는 네트워크는 단말(120-1~ 120-N)들 상호간에 사용되는 네트워크와 상이한 것일 수도 있고, 동일한 것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수신부(210), 변환 캐시 테이블(220), 검색부(230), 인코딩 영역 축소부(240), 전송부(250), 스트리밍부(260), 추가 캐싱부(270) 및 저장부(280)를 포함한다.
수신부(21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기반하여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 및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주소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단말(120-1)을 통해 사용자가 키를 입력하면, 키 입력에 상응하는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수신할 수 있다. 키 입력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성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부(210)를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가 수신할 수 있다. 이렇게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사용자에게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할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해당 이미지의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는 주소를 통해 접속했을 때 출력되는 이미지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주소는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버, 즉 웹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에 상응할 수도 있다.
이 때,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주소는 추후에 변환 캐시 테이블(220)에서 캐싱 이미지를 검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키 입력을 획득하거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즉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 및 주소를 수신할 수 있다.
변환 캐시 테이블(220)은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저장한다.
변환 캐시 테이블(220)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 구비된 저장 모듈과 별개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를 인코딩하여 저장하는 캐시(cache) 즉, 버퍼 형태의 고속 기억 장치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의 주 기억 장치와 중앙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 고속 버퍼메모리에 상응할 수 있다. 변환 캐시 테이블(220)은 기억 용량은 적지만 주 기억 장치에 비해 고속일 수 있으며, 액세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220)의 중앙 처리 장치가 명령이 필요하게 되면, 맨 먼저 액세스하는 것은 주 기억 장치가 아니라 변환 캐시 테이블(220)에 상응할 수 있다. 즉, 자주 액세스하는 데이터나 프로그램 명령을 반복해서 검색하지 않고도 즉각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해 둠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의 명령처리를 위한 리소스를 절약하는 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의 원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 적어도 하나의 캐싱 이미지 및 원본에서 사용자별 개별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영역을 제외한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의 원본은 추후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캐싱 이미지를 비교하기 위해 저장해둘 수 있다. 또한,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캐싱 이미지의 일치율을 판단하기 위해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에서 사용자별 개별 정보 나타내는 사용자 영역이 존재한다면,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캐싱 이미지의 원본을 비교하였을 때 사용자 영역에 상응하는 부분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공통 영역은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원본에서 사용자 영역을 제외한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원본을 비교하였을 때 일치율과 상응할 수 있다.
또한, 변환 캐시 테이블(2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에는 각각 고유한 테이블 주소가 할당될 수 있으며, 할당되는 테이블 주소는 해당 테이블 항목에 저장되는 이미지들에 상응하는 주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A에 상응하는 이미지 Image_A를 변환 캐시 테이블(220)에 캐싱하는 경우에는 테이블 항목 Table_A에 Image_A에 상응하는 주소 Add_A를 테이블 주소로 할당할 수 있다. 이후, Table_A에 Image_A의 원본, Image_A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 캐싱 이미지 및 Image_A에서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방식으로 압축할 수 있다. 또한,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방식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발생하는 부하량, 서비스 속도, 이미지의 화질 또는 인코딩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렌더링하는 단말의 성능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압축률이 높고 부하가 적게 발생하는 팔렛트 PNG 인코딩 방식으로 이미지를 압축할 수 있다. 또한, 부하량은 상관하지 않고 이미지의 화질을 좋게 제공하고 싶다면, PNG32bit 인코딩 방식 또는 JPEG 인코딩 방식 등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압축할 수 있다.
검색부(230)는 주소를 이용하여 변환 캐시 테이블(220)에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캐싱 이미지를 검색한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에 접속하기 위한 테이블 주소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 중 테이블 주소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주소에 상응하는 참조 테이블 항목을 검색하고, 참조 테이블 항목에서 캐싱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참조 테이블 항목에는 원본, 캐싱 이미지 및 원본에서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 등이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으므로, 참조 테이블 항목을 검색함과 동시에 원본, 캐싱 이미지 및 원본에서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 등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인코딩 영역 축소부(240)는 캐싱 이미지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비교하여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일부인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생성한다. 즉,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서 실제로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하기 위한 이미지의 영역을 축소하기 위해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서 캐싱 이미지와 동일한 부분을 제외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인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참조 테이블 항목에서 캐싱 이미지와 매칭된 원본을 획득하고, 원본과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픽셀을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은 영역을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싱 이미지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비교하기 위해 각 이미지를 픽셀 단위로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이미지에서 픽셀이 다른 위치를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서 추출하여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캐싱 이미지는 이미 스틸 이미지 인코딩이 된 이미지이기 때문에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일치 여부를 비교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캐싱 이미지와 매칭되어 저장된 원본과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이 때, 캐싱 이미지와 매칭된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100퍼센트인 경우에는 캐싱 이미지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가 사용자별 개별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의미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캐싱 이미지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캐싱 이미지의 원본과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비교하는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의 리소스를 보다 절약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전송부(250)는 캐싱 이미지 및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한다.
이 때, 캐싱 이미지와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먼저 전송하고,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나중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에서 먼저 캐싱 이미지를 출력한 후 그 위에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덮어씌워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요청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단말에서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어느 위치에 출력해야 하는지 알기 위해 캐싱 이미지를 전송할 때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전송부(250)는 인코딩 영역 축소부(240)로부터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전달받아 스틸 이미지 인코딩할 수 있다. 또한, 인코딩 영역 축소부(240)에서 직접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 뒤 전송부(25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스틸 이미지 인코딩 수행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의 구성에 따라 다양한 구성 요소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 요소를 구비할 수도 있다.
스트리밍부(260)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 중 테이블 주소가 주소에 상응하는 참조 테이블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단말로 전송한다. 즉, 변환 캐시 테이블(220)에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변환 캐시 테이블(220)에서 캐싱 이미지를 획득하지 못하고 직접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추가 캐싱부(270)는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주소를 이용하여 변환 캐시 테이블(220)에 저장한다. 변환 캐시 테이블(220)에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저장함으로써, 이 후 사용자로부터 또다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가 서비스 요청된 경우에는 변환 캐시 테이블(220)을 통해 인코딩 영역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공통 영역의 비율이 기설정된 기준 비율 미만일 경우에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변환 캐시 테이블에 추가로 캐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통 영역의 비율이 50퍼센트라고 가정한다면,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절반은 사용자 영역에 상응하므로, 캐싱 이미지를 전송하고도 절반에 상응하는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전송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절반의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추가로 전송하는 과정은 처음부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동작과 비교하여 비효율적인 방법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 보다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의 기준 비율을 설정해두고, 설정된 기준 비율 미만인 이미지는 캐싱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변환 캐시 테이블(220)의 저장 공간은 한정적일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이미지를 변환 캐시 테이블(220)에 저장할 때에는 저장된 순서대로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변환 캐시 테이블(220)의 공간이 부족한 경우, 저장된 시간이 오래된 순서대로 테이블 항목을 삭제한 뒤 새로운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28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280)는 별도의 대용량 스토리지로 동작할 수 있고,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는 메모리가 탑재되어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를 통해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기 위해 필요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의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에서 스틸 이미지 인코딩에 사용하는 리소스가 절약됨에 따라, 동시에 더 많은 수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110)를 하드웨어적으로 업그레이드 하지 않고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하드웨어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비용을 절약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환 캐시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변환 캐시 테이블(310)은 고유한 테이블 주소가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이블 항목(311~313)을 포함한다.
이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이블 항목은 각각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의 원본,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 캐싱 이미지 및 원본에서 사용자별 개별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영역을 제외한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이블 항목에 접속하기 위한 테이블 주소는 해당 테이블 항목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의 주소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생성할 때, 특정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이미지를 불러올 수 있는데, 이 때 웹 페이지의 주소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의 주소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의 주소가 동일하다면 사용자별 맞춤 정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화면이 일치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변환 캐시 테이블(3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의 테이블 주소를 각각의 이미지에 상응하는 주소로 할당함으로써, 변환 캐시 테이블(310)에서 이미지를 수월하게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원본에 상응하는 이미지에서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서비스를 처리할 때,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생성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블 항목(311)에 저장된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 1이 100퍼센트라고 가정한다면, 테이블 항목(311)에 저장된 캐싱 이미지 1에는 사용자별 개별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영역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여러 사용자마다 별도의 정보를 나타내는 영역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주소 1을 통해 제공되는 이미지는 사용자 별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주소 1에 상응하는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캐싱 이미지 1이 동일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캐싱 이미지만 전송하여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테이블 항목(312)에 저장된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 2가 90퍼센트라고 가정한다면, 테이블 항목(312)에 저장된 캐싱 이미지 2에는 10퍼센트에 상응하는 사용자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여러 사용자마다 별도의 정보를 나타내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사용자 영역을 검출하여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주소 2에 상응하는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테이블 항목(312)에 저장된 원본 2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영역을 판단하고,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서 차이가 있는 영역을 추출하여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테이블 항목(312)에 저장된 캐싱 이미지 2는 이미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한 상태이기 때문에,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직접 비교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캐싱 이미지 2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기 전 상태에 상응하는 원본 2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이 때, 변환 캐시 테이블(310)의 저장 공간은 무한대가 아니기 때문에, 한정적으로 테이블 항목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이미지를 변환 캐시 테이블에 저장할 때에는 저장된 순서대로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변환 캐시 테이블의 공간이 부족한 경우, 저장된 시간이 오래된 순서대로 테이블 항목을 삭제한 뒤 새로운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인코딩 영역을 축소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인코딩 영역을 축소하는 과정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410)의 수신부(411)가 어플리케이션 서버(4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기반으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 및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주소를 수신할 수 있다.
이 후, 검색부(412)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저장하는 변환 캐시 테이블(413)에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캐싱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검색할 수 있다.
이 때,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주소를 이용하여, 변환 캐시 테이블(413)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 중 테이블 주소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주소에 상응하는 참조 테이블 항목을 검색할 수 있다. 즉, 참조 테이블 항목이 존재하면 변환 캐시 테이블(413)에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캐싱 이미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후, 검색부(412)를 통해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캐싱 이미지를 검색하였다면, 인코딩 영역 축소부(414)에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캐싱 이미지를 비교하여,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일부에 상응하는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캐싱 이미지는 이미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하여 변환 캐시 테이블에 저장된 이미지이므로, 캐싱 이미지와 동일하지만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하기 전인 원본을 이용하여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비교할 수 있다.
이 후, 전송부(415)에서는 먼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캐싱 이미지와 함께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가 출력될 화면에서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캐싱 이미지와 위치 정보를 전송한 뒤에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캐싱 이미지와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단말에서 먼저 캐싱 이미지가 출력된 후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덮어씌워 출력할 수 있다. 즉, 캐싱 이미지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차이가 있는 부분만을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전송한 뒤, 캐싱 이미지에 겹쳐지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검색부(412)를 통해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캐싱 이미지가 검색되지 않았다면, 스트리밍부(416)에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사용자의 단말(4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캐싱부(417)를 통해서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변환 캐시 테이블(413)에 추가로 캐싱할 수 있다.
이 때,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기설정된 기준 비율 미만이라면, 변환 캐시 테이블(413)에 추가로 캐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변환 캐시 테이블(413)에 캐싱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이와 같이 캐싱하지 않고 종래의 방법대로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하여 단말(4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로의 이미지 전송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도 5a에 도시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510)는 공통 영역(511)과 사용자 영역(512)으로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영역(512)은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는 사용자별 개별 정보를 나타내는 영역일 수 있으며, 공통 영역(511)은 사용자 영역(512)을 제외한 영역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사용자들의 단말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510)가 출력되는 경우에도 사용자 영역(512)을 제외한 공통 영역(511)은 동일한 이미지들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캐싱 이미지(520)는 변환 캐시 테이블에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510)의 주소에 상응하게 검색된 참조 테이블 항목에서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캐싱 이미지(520)를 확인하면,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510)와 동일한 공통 영역과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510)와 차이가 있는 사용자 영역(522)으로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30)가 도 5b와 같이 캐싱 이미지(520)를 먼저 사용자의 단말(540)로 전송한 뒤,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510)에 포함된 사용자 영역(512)을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로 생성하여,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 뒤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530)에서는 캐싱 이미지(520)와 함께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로 생성되는 사용자 영역(512)에 대한 화면에서의 위치 정보를 함께 단말(54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캐싱 이미지(520)가 단말(540)에서 출력된 후, 캐싱 이미지(520)에 포함된 사용자 영역(522)에 상응하는 위치에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가 출력 될 수 있도록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기반하여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 및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주소를 수신한다(S610).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단말(120-1)을 통해 사용자가 키를 입력하면, 키 입력에 상응하는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수신할 수 있다. 키 입력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성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수신부를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수신할 수 있다. 이렇게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서 사용자에게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할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해당 이미지의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는 주소를 통해 접속했을 때 출력되는 이미지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주소는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버, 즉 웹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에 상응할 수도 있다.
이 때,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주소는 추후에 변환 캐시 테이블(220)에서 캐싱 이미지를 검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키 입력을 획득하거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즉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 및 주소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저장하는 변환 캐시 테이블에서 주소를 이용하여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캐싱 이미지를 검색한다(S620).
이 때, 변환 캐시 테이블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 구비된 저장 모듈과 별개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를 인코딩하여 저장하는 캐시(cache) 즉, 버퍼 형태의 고속 기억 장치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주 기억 장치와 중앙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 고속 버퍼메모리에 상응할 수 있다. 변환 캐시 테이블은 기억 용량은 적지만 주 기억 장치에 비해 고속일 수 있으며, 액세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중앙 처리 장치가 명령이 필요하게 되면, 맨 먼저 액세스하는 것은 주 기억 장치가 아니라 변환 캐시 테이블에 상응할 수 있다. 즉, 자주 액세스하는 데이터나 프로그램 명령을 반복해서 검색하지 않고도 즉각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해 둠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명령처리를 위한 리소스를 절약하는 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의 원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 적어도 하나의 캐싱 이미지 및 원본에서 사용자별 개별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영역을 제외한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의 원본은 추후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캐싱 이미지를 비교하기 위해 저장해둘 수 있다. 또한,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캐싱 이미지의 일치율을 판단하기 위해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에서 사용자별 개별 정보 나타내는 사용자 영역이 존재한다면,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캐싱 이미지의 원본을 비교하였을 때 사용자 영역에 상응하는 부분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공통 영역은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원본에서 사용자 영역을 제외한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원본을 비교하였을 때 일치율과 상응할 수 있다.
또한, 변환 캐시 테이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에는 각각 고유한 테이블 주소가 할당될 수 있으며, 할당되는 테이블 주소는 해당 테이블 항목에 저장되는 이미지들에 상응하는 주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A에 상응하는 이미지 Image_A를 변환 캐시 테이블에 캐싱하는 경우에는 테이블 항목 Table_A에 Image_A에 상응하는 주소 Add_A를 테이블 주소로 할당할 수 있다. 이후, Table_A에 Image_A의 원본, Image_A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 캐싱 이미지 및 Image_A에서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방식으로 압축할 수 있다. 또한, 스틸 이미지 인코딩 방식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발생하는 부하량, 서비스 속도, 이미지의 화질 또는 인코딩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렌더링하는 단말의 성능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의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압축률이 높고 부하가 적게 발생하는 팔렛트 PNG 인코딩 방식으로 이미지를 압축할 수 있다. 또한, 부하량은 상관하지 않고 이미지의 화질을 좋게 제공하고 싶다면, PNG32bit 인코딩 방식 또는 JPEG 인코딩 방식 등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압축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에 접속하기 위한 테이블 주소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 중 테이블 주소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주소에 상응하는 참조 테이블 항목을 검색하고, 참조 테이블 항목에서 캐싱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참조 테이블 항목에는 원본, 캐싱 이미지 및 원본에서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 등이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으므로, 참조 테이블 항목을 검색함과 동시에 원본, 캐싱 이미지 및 원본에서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 등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캐싱 이미지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비교하여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일부인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생성한다(S630). 즉,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에서 실제로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하기 위한 이미지의 영역을 축소하기 위해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서 캐싱 이미지와 동일한 부분을 제외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인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참조 테이블 항목에서 캐싱 이미지와 매칭된 원본을 획득하고, 원본과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픽셀을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은 영역을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싱 이미지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비교하기 위해 각 이미지를 픽셀 단위로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이미지에서 픽셀이 다른 위치를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서 추출하여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캐싱 이미지는 이미 스틸 이미지 인코딩이 된 이미지이기 때문에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일치 여부를 비교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캐싱 이미지와 매칭되어 저장된 원본과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이 때, 캐싱 이미지와 매칭된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100퍼센트인 경우에는 캐싱 이미지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가 사용자별 개별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의미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캐싱 이미지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캐싱 이미지의 원본과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비교하는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리소스를 보다 절약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캐싱 이미지 및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한다(S640).
이 때, 캐싱 이미지와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먼저 전송하고,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나중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에서 먼저 캐싱 이미지를 출력한 후 그 위에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덮어씌워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요청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단말에서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어느 위치에 출력해야 하는지 알기 위해 캐싱 이미지를 전송할 때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인코딩 영역 축소부로부터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전달받아 스틸 이미지 인코딩할 수 있다. 또한, 인코딩 영역 축소부에서 직접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 뒤 전달할 수도 있다.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스틸 이미지 인코딩 수행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구성에 따라 다양한 구성 요소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 요소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 중 테이블 주소가 주소에 상응하는 참조 테이블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단말로 전송한다. 즉, 변환 캐시 테이블에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변환 캐시 테이블에서 캐싱 이미지를 획득하지 못하고 직접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주소를 이용하여 변환 캐시 테이블에 저장한다. 변환 캐시 테이블에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저장함으로써, 이 후 사용자로부터 또다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가 서비스 요청된 경우에는 변환 캐시 테이블을 통해 인코딩 영역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공통 영역의 비율이 기설정된 기준 비율 미만일 경우에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변환 캐시 테이블에 추가로 캐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통 영역의 비율이 50퍼센트라고 가정한다면,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절반은 사용자 영역에 상응하므로, 캐싱 이미지를 전송하고도 절반에 상응하는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전송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절반의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추가로 전송하는 과정은 처음부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동작과 비교하여 비효율적인 방법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 보다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의 기준 비율을 설정해두고, 설정된 기준 비율 미만인 이미지는 캐싱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변환 캐시 테이블의 저장 공간은 한정적일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이미지를 변환 캐시 테이블에 저장할 때에는 저장된 순서대로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변환 캐시 테이블의 공간이 부족한 경우, 저장된 시간이 오래된 순서대로 테이블 항목을 삭제한 뒤 새로운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저장 모듈은 별도의 대용량 스토리지로 동작할 수 있고,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는 메모리가 탑재되어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통해 사용자 별로 맞춤형 컨텐츠가 존재하는 화면에 대해서도 최대한 일치하는 이미지 인코딩 결과를 재사용할 수 있어서, 더 빠른 반응속도 및 더 높은 동시접속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먼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기반하여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 및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주소를 수신한다(S702)
이 때,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는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주소를 통해 접속했을 때 제공되는 이미지 전체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의 포스터를 저장한 이미지의 주소를 통해 접속한다면, 해당 주소에 저장된 영화 포스터가 제공될 수 있고, 출력된 영화 포스터 전체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주소는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버, 즉 웹 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는 URL 주소에 상응할 수도 있다.
이 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변환 캐시 테이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 중 테이블 주소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주소에 상응하는 참조 테이블 항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4).
이 때, 참조 테이블 항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변환 캐시 테이블에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캐싱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변환 캐시 테이블은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변환 캐시 테이블은 캐시(cache) 및 고속 기억 장치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변환 캐시 테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의 원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 적어도 하나의 캐싱 이미지 및 원본에서 사용자별 개별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영역을 제외한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변환 캐시 테이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에는 각각 고유한 테이블 주소가 할당될 수 있으며, 할당되는 테이블 주소는 해당 테이블 항목에 저장되는 이미지들에 상응하는 주소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캐싱 이미지가 변환 캐시 테이블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주소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704)의 판단결과 참조 테이블 항목이 존재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참조 테이블 항목에서 원본, 캐싱 이미지 및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획득한다(S706).
이 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획득한 데이터 중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100퍼센트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8).
이 때,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캐싱 이미지의 일치율을 판단하기 위해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에서 사용자별 개별 정보 나타내는 사용자 영역이 존재한다면,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캐싱 이미지의 원본을 비교하였을 때 사용자 영역에 상응하는 부분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공통 영역은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원본에서 사용자 영역을 제외한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원본을 비교하였을 때 일치율과 상응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100퍼센트에 상응하는 경우는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캐싱 이미지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응할 수 있다.
단계(S708)의 판단결과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100퍼센트에 상응하지 않는다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참조 테이블 항목에 저장된 원본을 비교한다(S710).
이 때,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100퍼센트에 상응하지 않기 때문에,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캐싱 이미지와 차이가 있는 사용자 영역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자 영역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참조 테이블 항목에 캐싱 이미지와 매칭되어 저장된 원본을 비교할 수 있다.
이 때, 캐싱 이미지는 이미 스틸 이미지 인코딩되어 저장된 이미지이기 때문에 캐싱 이미지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직접 비교하지 않고, 캐싱 이미지가 스틸 이미지 인코딩되기 전에 상응하는 원본과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이 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일부인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생성한다(S712).
이 때, 원본과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픽셀을 비교하고,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서 동일하지 않은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이 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다(S714).
이 때,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모두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지 않고, 캐싱 이미지와 차이가 나는 부분에 상응하는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만을 스틸 이미지 인코딩함으로써, 종래의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보다 스틸 이미지 인코딩에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 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캐싱 이미지와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한다(S716).
이 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한다(S718).
이와 같이 캐싱 이미지와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를 먼저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고,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나중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에서 먼저 캐싱 이미지를 출력한 후 그 위에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덮어씌워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요청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단말에서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어느 위치에 출력해야 하는지 알기 위해 캐싱 이미지를 전송할 때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단계(S708)의 판단결과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100퍼센트에 상응하면, 참조 테이블 항목에서 획득한 캐싱 이미지만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한다(S720).
이 때,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에 100퍼센트에 상응하므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캐싱 이미지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하지 않고 변환 캐시 테이블에 저장된 캐싱 이미지만을 사용자의 단말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 요청에 따른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단계(S704)의 판단결과 참조 테이블 항목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다(S722).
이 때, 참조 테이블 항목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변환 캐시 테이블에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대한 캐싱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스틸 이미지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 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변환 캐시 테이블에 추가로 캐싱한다(S724).
이 때,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변환 캐시 테이블에 추가함으로써, 후에 사용자로부터 또다시 동일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가 서비스 요청된 경우에 변환 캐시 테이블에 저장된 캐싱 이미지를 이용해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공통 영역의 비율이 기설정된 기준 비율 미만일 경우에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변환 캐시 테이블에 추가로 캐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스틸 이미지 인코딩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726).
본 발명에 따른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기반하여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 및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주소를 수신하고,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저장하고, 주소를 이용하여 변환 캐시 테이블에서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캐싱 이미지를 검색하고, 캐싱 이미지와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비교하여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일부인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생성하고, 캐싱 이미지 및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이미지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의 리소스 사용을 절약함으로써 동시에 더 많은 사용자들에게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110, 410, 530: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120-1~ 120-N, 420, 540: 단말 130: 네트워크
210, 411: 수신부 220, 413: 변환 캐시 테이블
230, 412: 검색부 240, 414: 인코딩 영역 축소부
250, 415: 전송부 260. 416: 스트리밍부
270, 417: 추가 캐싱부 280: 저장부
310: 변환 캐시 테이블 311~ 313: 테이블 항목
400: 어플리케이션 서버 510: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
511: 공통 영역 512. 522: 사용자 영역
520: 캐싱 이미지

Claims (10)

  1.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기반하여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 및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주소를 수신하는 수신부;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저장하는 변환 캐시 테이블;
    상기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변환 캐시 테이블에서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캐싱 이미지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캐싱 이미지와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일부인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인코딩 영역 축소부; 및
    상기 캐싱 이미지 및 상기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인코딩 영역 축소부는
    상기 캐싱 이미지의 원본에서 사용자 영역을 제외한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100퍼센트(percent)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상기 원본의 픽셀을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은 영역을 상기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환 캐시 테이블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의 원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한 적어도 하나의 캐싱 이미지 및 상기 원본에서 사용자별 개별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영역을 제외한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에 접속하기 위한 테이블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항목 중 상기 테이블 주소가 상기 주소에 상응하는 참조 테이블 항목을 검색하고, 상기 참조 테이블 항목에서 상기 캐싱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영역 축소부는
    상기 참조 테이블 항목에서 상기 캐싱 이미지와 매칭된 원본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100퍼센트(percent)로 상기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캐싱 이미지만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에 기반하여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 및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이미지를 스틸 이미지 인코딩하여 저장하는 변환 캐시 테이블에서 상기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캐싱 이미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캐싱 이미지와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의 일부인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버가, 상기 캐싱 이미지 및 상기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를 인코딩한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캐싱 이미지의 원본에서 사용자 영역을 제외한 공통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100퍼센트(percent)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인코딩 대상 이미지와 상기 원본의 픽셀을 비교하여 동일하지 않은 영역을 상기 제2 인코딩 대상 이미지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10. 삭제
KR1020150052547A 2015-04-14 2015-04-14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07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547A KR102307863B1 (ko) 2015-04-14 2015-04-14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547A KR102307863B1 (ko) 2015-04-14 2015-04-14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529A KR20160122529A (ko) 2016-10-24
KR102307863B1 true KR102307863B1 (ko) 2021-10-01

Family

ID=57256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547A KR102307863B1 (ko) 2015-04-14 2015-04-14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8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62930A1 (en) * 2013-06-06 2014-12-11 Activevideo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exploiting scene graph information in construction of an encoded video sequen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193A (ko) 2002-12-20 2004-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차원 데이터의 압축과 해제 장치 및 방법
KR101404596B1 (ko) * 2012-05-03 2014-06-11 (주)엔써즈 이미지에 기반하여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62930A1 (en) * 2013-06-06 2014-12-11 Activevideo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exploiting scene graph information in construction of an encoded video sequ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529A (ko) 201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69445A (ko) 웹 어플리케이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336604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기반의 웹 서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26670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프로세스 단축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98976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동시 인코딩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42699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공통 캐시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88846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리시프로컬 캐시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60197974A1 (en) Cloud stream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oud streaming service
KR102409033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알파 레벨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07863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인코딩 영역의 축소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21982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웹 컨테이너 공유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73144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변화 영역의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77934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변화된 이미지의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00124076A (ko) 최소 구동 모드 기반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13531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동일 세션 다중 접속 방식을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06889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데이터 치환을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13529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최적 렌더링에 기반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72358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브라우저의 점유관리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13530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63093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메모리 병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데이터 압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617491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인코딩 장치 및 방법
KR102053159B1 (ko) 스케일러블 캐시 이미지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138121A (ko) 부분 마스킹 기반의 효율적 캐시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508293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파일의 화질 정보에 따른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54269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씬 영역 특성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30089925A (ko) 메타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