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654A - 차량용 시트의 금형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654A
KR20160149654A KR1020150087087A KR20150087087A KR20160149654A KR 20160149654 A KR20160149654 A KR 20160149654A KR 1020150087087 A KR1020150087087 A KR 1020150087087A KR 20150087087 A KR20150087087 A KR 20150087087A KR 20160149654 A KR20160149654 A KR 20160149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rotrusion
stopper
cylinder
upp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열
Original Assignee
(주)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87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9654A/ko
Publication of KR20160149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2Opening, closing or clamping by rectilinear movement
    • B29C33/24Opening, closing or clamping by rectilinear movement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228Joining preformed parts by the expan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통풍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외측이 양각으로 차량용 시트의 형태로 구성되어지며, 다수의 제1인입홈이 구비되는 상부성형부가 형성되는 상부금형; 상기 상부성형부의 외측을 수용하도록 음각으로 차량용 시트의 형태로 구성되어지며, 다수의 제2인입홈이 구비되는 하부성형부가 형성되는 하부금형;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후측에 상부금형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경첩; 및 상기 상부금형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폐수단; 상기 상부금형으로 발포액이 투입되는 투입구; 일측이 상기 상부성형부에 형성되는 제1인입홈에 인입되어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며 외측 표면에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제1돌출부; 및 일측이 상기 하부성형부에 형성되는 제1인입홈에 인입되어 상, 하부성형부가 상호 합형되었을 때 제1돌출부에 일직선상으로 접지되며, 외측 표면에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제2돌출부; 황토, 자수정, 옥, 석분, 숯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1종 이상혼용되어 이루어진 원재료가 직경 20 ~ 30㎚로 분쇄가공되어 상기 제1, 2돌출부에 형성되는 요홈에 인입됨으로써 제1, 2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풍구에 구비되는 원적외선발산체; 상기 제1, 2돌출부와 제1, 2인입홈 사이에 형성되는 제1자성체; 상기 상부성형부의 상, 하, 좌, 우에 상부성형부에서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돌출된 부위가 마블체에 삽입되어 마블체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금형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 하부성형부에서 상호 마찰되는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로 인하여 상, 하부성형부에서 시트발포체의 발포액을 가압 응고시키게 되면 통풍구가 형성된 상태로 차량용 시트가 완성되어 통풍구를 형성하기 위한 작업은 배제되면서 한 번의 금형작업으로 차량용 통풍시트의 가공이 이루어져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통풍구로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원적외선발산체가 구비되어 고품질의 차량용 통풍시트를 생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핀에는 마블체의 단부가 마찰되어 패드체와 더불어 차량용 시트로 가공될 때 마블체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걸림구가 구비되어 차량용 시트가 상, 하부금형내에서 가공될 때 마블체는 항상 동일한 위치로 고정되어 패드체의 응고과정에서 마블체의 이동을 최소화시키면서도 마블체가 이동되어 불량률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금형{The mold of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통풍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용 시트를 가공하는 상, 하부금형에 각각 상호 합형되는 제1, 2돌출부를 구비하여 상, 하부금형에서 가공되는 시트발포체에 통풍구가 형성되는 차량용 시트의 금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출, 퇴근용도를 제외하고도 여행이나 기타 취미생활의 영위를 위해 차량의 사용이 급속도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에 머무는 시간이 증가되고 있어 차량에 시트는 승차감, 쾌적함, 시트 착석시 안락감 등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시트는 크게 외부충격을 지지하는 강체프레임, 시트커버로 구성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강체프레임은 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액를 발포하여 금형으로 성형되어 제작되고 이러한 강체프레임에 가죽이나 천 소재의 시트커버를 씌워 구성되어지며, 필요에 따라 충격 흡수의 폼패드가 구비되어진다.
상기 강체프레임을 제작하기 위하여 부스박스를 연속적으로 순환 관통하는 컨베이어 상에 설치된 다수의 대차 상에 상,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지는 금형이 다수 배치되어 상, 하부금형이 순환될 때 발포액을 투입하고 일정시간 후에 상, 하부금형 내부에서 발포액이 강체프레임의 형태로 성형이 완료되면 상, 하부금형에서 취출하여 제품이 완성되어진다.
이러한 발포액을 투입, 강체프레임의 취출, 다시 원상태로의 복귀는 정해진 지점에 동일한 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차량용 시트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생산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러한 차량용 시트는 통풍이 잘되지 않아 여름철 운행 시 운전자의 둔부와 시트 사이에 땀이 많이 배게 되어 불쾌감을 느끼게 되고, 이것은 곧바로 운전 집중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통풍이 이루어지는 차량용 시트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1528호 (1999.01.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차량용 시트를 가공하는 상, 하부금형에 각각 상호 합형되는 제1, 2돌출부를 구비하여 상, 하부금형에서 가공되는 시트발포체에 통풍구가 형성되게 하는 차량용 통풍시트의 금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시트발포체에 형성되는 통풍구에서 원적외선발산체가 구비되어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차량용 통풍시트의 금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상부금형에 차량용 시트의 외측을 담당하는 마블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핀이 형성되어 금형에 의해 가공되는 차량용 시트에 마블체가 정확히 위치에서 가공할 수 있어 마블체의 이동을 최소화시키면서도 마블체가 이동되어 불량률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차량용 시트의 금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측이 양각으로 차량용 시트의 형태로 구성되어지며, 다수의 제1인입홈이 구비되는 상부성형부가 형성되는 상부금형; 상기 상부성형부의 외측을 수용하도록 음각으로 차량용 시트의 형태로 구성되어지며, 다수의 제2인입홈이 구비되는 하부성형부가 형성되는 하부금형;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후측에 상부금형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경첩; 및 상기 상부금형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폐수단; 상기 상부금형으로 발포액이 투입되는 투입구; 일측이 상기 상부성형부에 형성되는 제1인입홈에 인입되어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며 외측 표면에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제1돌출부; 및 일측이 상기 하부성형부에 형성되는 제1인입홈에 인입되어 상, 하부성형부가 상호 합형되었을 때 제1돌출부에 일직선상으로 접지되며, 외측 표면에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제2돌출부; 황토, 자수정, 옥, 석분, 숯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1종 이상혼용되어 이루어진 원재료가 직경 20 ~ 30㎚로 분쇄가공되어 상기 제1, 2돌출부에 형성되는 요홈에 인입됨으로써 제1, 2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풍구에 구비되는 원적외선발산체; 상기 제1, 2돌출부와 제1, 2인입홈 사이에 형성되는 제1자성체; 상기 상부성형부의 상, 하, 좌, 우에 상부성형부에서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돌출된 부위가 마블체에 삽입되어 마블체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금형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 하부성형부에서 상호 마찰되는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로 인하여 상, 하부성형부에서 시트발포체의 발포액을 가압 응고시키게 되면 통풍구가 형성된 상태로 차량용 시트가 완성되어 통풍구를 형성하기 위한 작업은 배제되면서 한 번의 금형작업으로 차량용 통풍시트의 가공이 이루어져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통풍구로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원적외선발산체가 구비되어 고품질의 차량용 통풍시트를 생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핀에는 마블체의 단부가 마찰되어 패드체와 더불어 차량용 시트로 가공될 때 마블체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걸림구가 구비되어 차량용 시트가 상, 하부금형내에서 가공될 때 마블체는 항상 동일한 위치로 고정되어 패드체의 응고과정에서 마블체의 이동을 최소화시키면서도 마블체가 이동되어 불량률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자성체로 하여금 제1, 2돌출부를 제1, 2인입홈에서 고정할 수 있게 하면서도 다수로 형성되는 제1, 2인입홈에 선택적으로 제1, 2돌출부를 인입시켜 차량용 시트의 원하는 부위에 통풍구를 형성할 수 있어 양질의 차량용 통풍시트를 제공하는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2, 3,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a), (b)는 본 발명에 의한 마블체가 고정핀 및 걸림구에 의해 고정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걸림구 및 제2자성체가 고정핀에 구비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2돌출부의 바람직한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제어수단에 의해 개폐수단이 작동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계통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2, 3,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본 발명은 부스박스를 연속적으로 순환 관통하는 컨베이어 상에 설치된 다수의 대차 상에 차량용 시트를 성형하도록 상,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지는 금형이 다수 배치되어 상, 하부금형의 개폐에 의해 차량용 시트의 성형작업이 이루어지는 차량용 통풍시트의 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 하부금형(10, 20), 상, 하부금형(10, 20)의 개폐를 도모하는 경첩(30)과 개폐수단(40), 상, 하부금형(10, 20)에 의해 성형되는 차량용 시트의 통풍구를 형성하기 위한 제1, 2돌출부(15, 25), 원적외선발산체(p), 제1자성체(a), 마블체(m)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고정핀(50)으로 구성되어진다.
상부금형(10)은 외측이 양각으로 차량용 시트의 형태로 구성되어지며, 후술되는 제1돌출부(50)가 인입되도록 다수의 제1인입홈(12)이 구비되는 상부성형부(11)가 형성된다.
하부금형(20)은 상기 상부성형부(11)의 외측을 수용하도록 음각으로 차량용 시트의 형태로 구성되어지며, 후술되는 제2돌출부(60)가 인입되도록 다수의 제2인입홈(22)이 구비되는 하부성형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의 후측에 상부금형(1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경첩(30)과 더불어 상기 상부금형(1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폐수단(40)이 구성된다.
즉,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으로 구분되어 하부금형(20)으로부터 상부금형(10)이 경첩(30) 및 개폐수단(40)에 의하여 상부로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부금형(10)에는 발포액이 투입되는 투입구(미도시)가 설치됨으로서 상부금형(10)이 하부금형(20)을 폐쇄하여 상, 하부성형부(11, 21)가 상호 합형되어 상, 하부성형부(11, 21)를 통해 차량용 시트 형태의 캐비티가 형성된 상태에서 투입구를 통해 발포액을 투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 2,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출부(15)는 일측이 상기 상부성형부(11)에 형성되는 제1인입홈(12)에 인입되어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며, 외측 표면에 후술되는 원적외선발산체(p)가 인입되는 다수의 요홈이 형성된다.
또한 제2돌출부(25)는 일측이 상기 하부성형부(21)에 형성되는 제1인입홈(22)에 인입되어 상, 하부성형부(11, 21)가 상호 합형되었을 때 제1돌출부(50)에 일직선상으로 접지되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고, 제1돌출부(50)와 동일하게 외측 표면에 후술되는 원적외선발산체(p)가 인입되는 다수의 요홈이 형성된다.
원적외선발산체(p)는 황토, 자수정, 옥, 석분, 숯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1종 이상혼용되어 이루어진 원재료가 직경 20 ~ 30㎚로 분쇄가공되어 상기 제1, 2돌출부(15, 25)에 형성되는 요홈에 인입됨으로써 제1, 2돌출부(15, 25)에 의해 성형되는 통풍구에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1자성체(a)는 상기 제1, 2돌출부(15, 25)와 제1, 2인입홈(12, 22) 사이에 형성되어 제1, 2돌출부(15, 25)를 제1, 2인입홈(12, 22)에서 고정할 수 있게 하면서도 다수로 형성되는 제1, 2인입홈(12, 22)에 선택적으로 제1, 2돌출부(15, 25)를 인입시켜 차량용 시트의 원하는 부위에 통풍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다수의 제1,2인입홈(12, 22) 중 제1, 2돌출부(50, 60)가 인입되지 않은 제1,2인입홈(12, 22)에는 별도의 밀폐수단을 인입시켜 차량용 시트가 발포되도록 한다.
고정핀(50)은 도 1,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성형부(11)의 상, 하, 좌, 우에 상부성형부(11)에서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돌출된 부위가 마블체(m)에 삽입되어 마블체(m)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핀(50)으로 하여금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패드체의 발포액을 투입하여 상, 하부성형부(11, 21)로 하여금 발포액을 응고시키게 되면 마블체(m)가 패드체의 외측에 인입된 상태에서 차량용 시트가 완성된다.
또한 상, 하부성형부(11, 21)로 인해 시트발포체가 성형될 때 상호 합형된 제1돌출부(15) 및 제1돌출부(25)로 인하여 상, 하부성형부(11, 21)에서 발포액을 가압 응고시키게 되면 통풍구가 형성된 상태로 차량용 시트가 완성되어 통풍구를 형성하기 위한 작업은 배제되면서 한 번의 금형작업으로 차량용 통풍시트의 가공이 이루어져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통풍구로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원적외선발산체가 구비되어 고품질의 차량용 통풍시트를 생산하여 구성되어 탑승객에 질병 예방과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5(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50)은 마블체(m)의 단부가 마찰되어 패드체와 더불어 차량용 시트로 가공될 때 마블체(m)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걸림구(60)가 구비되어 마블체(m)를 상, 하부금형(10, 20)내에서 가공될 때 항상 동일한 위치로 고정시켜 패드체의 응고과정에서 마블체(m)의 이동을 최소화시키면서도 마블체(m)가 이동되어 불량률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60)의 형태는 고정핀(50)의 외경보다 확장된 외경의 형태로 구성되어 마블체(m)의 걸림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때 걸림구(60)는 고정핀(50)과 일체로 성형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고정핀(50)과 걸림구(60)가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걸림구(60)의 형태가 패드체 및 마블체(m)에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걸림구(60)는 고정핀(50)에 별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50)에 별개로 형성되는 걸림구(60)의 형태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고정핀 상에서 이동가능하면서 고정핀(50)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일부분이 개방되어 링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걸림구(60)로 하여금 마블체(m)를 고정핀(50) 상에 걸림, 고정시킨 후 걸림구(60)의 개방된 부분으로 고정핀(50) 상에서 걸림구(60)를 이탈시켜 마블체(m)를 상, 하부금형(10, 20) 내에서 가공시키면서도 걸림구(60)는 이탈되어 패드체에 걸림구(60)의 형태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걸림구(60)의 후측에는 마블체(m)가 걸림구(60)에 걸림되어 고정될 때 걸림구(60)가 고정핀(50) 상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걸림구(60) 및 고정핀(50)에 자성에 의해 접지되는 제2자성체(6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자성체(61)는 걸림구(60)와 동일하게 일부분이 개방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걸림구(60)를 고정핀(50) 상에서 지지하면서도 마블체(m)의 고정이 완료되면 걸림구(60)와 동일하게 고정핀(50)에서 이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 2돌출부(15, 25)는 도 7(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출부(15)의 선단으로 다수의 돌기체(16)가 형성됨과 아울러 제1돌출부(25)의 선단으로 돌기체(16)가 수용되는 다수의 수용부(26)가 형성된다.
또한 제1, 2돌출부(15, 25)는 도 8(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돌출부(15, 25)의 상호 접지되는 부위에 치합이 이루어지는 제1, 2치합체(17, 27)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2돌출부(15, 25)의 다양한 형태로 하여금 제1, 2돌출부(15, 25)로 인해 형성되어지는 통풍구의 형태를 매끈하여 형성되게 하면서도 제1, 2돌출부(15, 25)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개폐수단(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41)가 상, 하부금형의 옆으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또한 실린더(41)의 하측에서 하부금형(20)으로 연결되는 설치대(43)가 구성되고, 또한 실린더(41) 로드의 단부에서 상부금형(10)으로 연결되는 작동대(45)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설치대(43)로 하여금 실린더(41)의 위치를 고정하여주면서 실린더(41)의 작동으로 인해 작동대(45)가 상부금형(10)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켜 단시간에 차량용 시트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15)의 선단으로 감지센서(70)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수단(40)의 실린더(41)는 제어수단(80)에 의해 작동되고,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80)에는 상부금형(10)을 하부금형(20)에 폐쇄시킬 때 작동되는 실린더(41)의 설정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9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센서(70)에 의해 제1돌출부(15)가 제1돌출부(25)와의 합형됨이 감지되면 타이머(90)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제어수단(80)으로 하여금 상부금형(10)을 하부금형(20)에서 오픈시키도록 구성되어 설정된 시간 동안 차량용 통풍시트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10 : 상부금형 11 : 상부성형부
15 : 제1돌출부 20 : 하부금형
21 : 하부성형부 25 : 제2돌출부
30 : 경첩 40 : 개폐수단
41 : 실린더 43 : 설치대
45 : 작동대 p : 원적외선발산체
a : 제1자성체 50 : 고정핀
60 : 걸림구 70 : 감지센서
80 : 제어수단 90 : 타이머

Claims (8)

  1. 외측이 양각으로 차량용 시트의 형태로 구성되어지며, 다수의 제1인입홈(12)이 구비되는 상부성형부(11)가 형성되는 상부금형(10);
    상기 상부성형부(11)의 외측을 수용하도록 음각으로 차량용 시트의 형태로 구성되어지며, 다수의 제2인입홈(22)이 구비되는 하부성형부(21)가 형성되는 하부금형(20);
    상기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의 후측에 상부금형(1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경첩(30); 및 상기 상부금형(1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폐수단(40);
    상기 상부금형(10)으로 발포액이 투입되는 투입구;
    일측이 상기 상부성형부(11)에 형성되는 제1인입홈(12)에 인입되어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며 외측 표면에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제1돌출부(15); 및 일측이 상기 하부성형부(21)에 형성되는 제1인입홈(22)에 인입되어 상, 하부성형부(11, 21)가 상호 합형되었을 때 제1돌출부(50)에 일직선상으로 접지되며, 외측 표면에 다수의 요홈이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제2돌출부(25);
    황토, 자수정, 옥, 석분, 숯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1종 이상혼용되어 이루어진 원재료가 직경 20 ~ 30㎚로 분쇄가공되어 상기 제1, 2돌출부(15, 25)에 형성되는 요홈에 인입됨으로써 제1, 2돌출부(15, 25)에 의해 형성되는 통풍구에 구비되는 원적외선발산체(p);
    상기 제1, 2돌출부(15, 25)와 제1, 2인입홈(12, 22) 사이에 형성되는 제1자성체(a);
    상기 상부성형부(11)의 상, 하, 좌, 우에 상부성형부(11)에서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돌출된 부위가 마블체(m)에 삽입되어 마블체(m)를 고정시키는 고정핀(50);
    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50)은 마블체(m)의 단부가 마찰되어 패드체와 더불어 차량용 시트로 가공될 때 마블체(m)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걸림구(6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금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6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고정핀(50) 상에서 이동가능하면서 고정핀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일부분이 개방되어 링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금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60)의 후측에는 마블체(m)가 걸림구(60)에 걸림되어 고정될 때 걸림구(60)가 고정핀(50) 상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걸림구(60) 및 고정핀(50)에 자성에 의해 접지되는 제2자성체(61)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금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15)는 선단으로 다수의 돌기체(16)가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25)는 선단으로 돌기체(16)가 수용되는 다수의 수용부(2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통풍시트의 금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돌출부(15, 25)의 상호 접지되는 부위에 치합이 이루어지는 제1, 2치합체(17, 27)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차량용 통풍시트의 금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40)은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41)가 상, 하부금형의 옆으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41)의 하측에서 하부금형(20)으로 연결되는 설치대(43)가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41) 로드의 단부에서 상부금형(10)으로 연결되는 작동대(45)가 구성되어,
    상기 설치대(43)로 하여금 실린더(41)의 위치를 고정하여주면서 실린더(41)의 작동으로 인해 작동대(45)가 상부금형(10)을 개폐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차량용 통풍시트의 금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15)의 선단으로 감지센서(70)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수단(40)의 실린더(41)는 제어수단(80)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제어수단(80)에는 상부금형(10)을 하부금형(20)에 폐쇄시킬 때 작동되는 실린더(41)의 설정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90)가 구비되어,
    상기 감지센서(70)에 의해 제1돌출부(15)가 제1돌출부(25)와의 합형됨이 감지되면 타이머(90)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제어수단(80)으로 하여금 상부금형(10)을 하부금형(20)에서 오픈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차량용 통풍시트의 금형.
KR1020150087087A 2015-06-19 2015-06-19 차량용 시트의 금형 KR201601496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087A KR20160149654A (ko) 2015-06-19 2015-06-19 차량용 시트의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087A KR20160149654A (ko) 2015-06-19 2015-06-19 차량용 시트의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654A true KR20160149654A (ko) 2016-12-28

Family

ID=57724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087A KR20160149654A (ko) 2015-06-19 2015-06-19 차량용 시트의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96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91852A (zh) * 2017-07-10 2020-03-17 塞莱皇家股份公司 用于人体的支撑元件例如鞍座的模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528A (ko) 1997-06-16 1999-01-15 이형도 에프엠 라디오 수신기능을 구비한 케이블티브이 컨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528A (ko) 1997-06-16 1999-01-15 이형도 에프엠 라디오 수신기능을 구비한 케이블티브이 컨버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91852A (zh) * 2017-07-10 2020-03-17 塞莱皇家股份公司 用于人体的支撑元件例如鞍座的模具
CN110891852B (zh) * 2017-07-10 2022-08-23 塞莱皇家股份公司 用于支撑人体的支撑元件及其制造模具和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3053B2 (en) Skin-forming apparatus and method
GB2424390A (en) Moulded trim panels with cover portions
JP2009269190A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の製造方法
KR20160149654A (ko) 차량용 시트의 금형
KR20160144598A (ko)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차량용 통풍시트의 금형
KR20160149492A (ko) 차량용 시트의 금형
JP4697868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
KR20160145271A (ko)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차량용 통풍시트의 금형
JP2009154428A (ja) 自動車用内装部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CN105965902B (zh) 用于制造缓冲垫的装置
JP4618722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の製造方法
JP2008055848A (ja) 自動車用内装部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200600681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trim panel with a self-skinning blown elastomer component
KR20160139513A (ko) 차량용 통풍시트의 금형
KR20160139834A (ko) 차량용 통풍시트의 금형
KR20160139140A (ko)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차량용 시트의 금형
KR20160138655A (ko) 차량용 통풍시트의 금형
KR20160138654A (ko)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차량용 시트의 금형
JP2007301889A (ja) 自動車用内装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3693790B2 (ja) 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ための製造装置
CN204136312U (zh) 吸附、切边、发泡一体化模具
JP2004230917A (ja) 自動車用内装部品
JP2008155574A (ja) 自動車用内装部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5112245A (ja) 自動車用内装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01233A (ko) 차량용 시트의 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