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633A - 스크랩 발생 시 유휴기(遊休期) 리소스를 활용한 팀빌드에 의한 수익 창출 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랩 발생 시 유휴기(遊休期) 리소스를 활용한 팀빌드에 의한 수익 창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633A
KR20160149633A KR1020150086924A KR20150086924A KR20160149633A KR 20160149633 A KR20160149633 A KR 20160149633A KR 1020150086924 A KR1020150086924 A KR 1020150086924A KR 20150086924 A KR20150086924 A KR 20150086924A KR 20160149633 A KR20160149633 A KR 20160149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
data
resource
idle
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9189B1 (ko
Inventor
이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아로지스
이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아로지스, 이태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아로지스
Priority to KR1020150086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189B1/ko
Priority to US15/735,892 priority patent/US20190005427A1/en
Priority to JP2017564844A priority patent/JP6833729B2/ja
Priority to CN201680035130.6A priority patent/CN107771337A/zh
Priority to PCT/KR2016/006490 priority patent/WO2016204576A1/ko
Publication of KR20160149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30Administration of product recycling or dispo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여러 곳에 산재된 소유주가 다른 유휴 리소스들을 결합하여 철거 현장에서 발생된 금속 스크랩을 제철사로 납품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유휴 리소스를 이용한 금속 스크랩 납품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스크랩의 수집, 가공, 납품업을 영위하는 대다수의 소규모 사업자가 구비하고 있는 여러 종류의 굴삭기 및 방통차, 금속 스크랩 압축설비, 야드, 검수 등급 판정 인력 중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유휴기 동안의 리소스를 활용하여 스크랩의 발생에서 제강사로의 납품에 이르는 전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한시적으로 구성된 팀빌드에 의하여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소규모 사업자가 보유한 각종의 리소스에 관련한 고정 비용 부담을 줄임으로써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며, 이들 납품 물량을 모아 납품 물량을 증대시켜 줌으로써 제강사로부터 유리한 납품 단가 적용을 받을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크랩 발생 시 유휴기(遊休期) 리소스를 활용한 팀빌드에 의한 수익 창출 방법 { Profit Creation Method through Team Build using Idle Resource for Scrap Occurrence }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여러 곳에 산재된 소유주가 다른 유휴 리소스들을 결합하여 철거 현장에서 발생된 금속 스크랩을 제철사로 납품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유휴 리소스를 이용한 금속 스크랩 납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각종 생산 활동에서 발생되는 설재(渫材)나 각종 생산 활동에 사용되고 폐기되는 금형, 철거 건물에서 발생되는 철근, 소비 활동에서 배출되는 폐차, 폐 가스통이나 캔 등의 금속 폐기물 등 다양한 종류의 다양한 재질, 다양한 형상으로 된 금속 스크랩을 분류, 수거하여 고로에서 용융시켜 각종 철강재를 제조함으로써 철강재 제조에 사용되는 자원 및 에너지를 절감하고 결과적으로 환경을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여러 형태 및 여러 재질로 된 금속 스크랩은 기초적인 분류를 거쳐 재질에 따라 구분하여 수요처인 제강사에서 고로에 바로 장입이 가능한 형태 및 규격으로 금속 스크랩 압축물을 성형하게 된다. 이러한 금속 스크랩 압축물은 대체로 가로, 세로, 높이가 600mm 이상 2,100mm 이하로 되도록 하여야 하며 밀도가 0.15 이상 되도록 압축시켜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금속 스크랩 압축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여러 경로로 수집한 철재 스크랩이나 알루미늄, 구리 등의 비철재 스크랩 등 금속 스크랩을 분류하고 분류된 이들 금속 스크랩을 압축 장치에 넣고 압축규격의 다면체로 성형하여 금속 스크랩 압축물을 성형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금속 스크랩의 발생에서 제강사에 납품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자원들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굴삭기(excavator)이며, 이는 다양한 형태의 현장 가공용 가위 모양의 절단용 작업장치인 '크러셔', 옮기기 위한 작업장치인 '그립 버켓' 등 다양한 장착장비를 사용한다.(도1참조: (주)연일GNS 인터넷 사이트 [http://www.yonil.co.kr] 2015. 06. 09)
둘째는 방통차이며, 이는 카고차량에 고철방통을 탑재하여 금속스크랩을 안전하게 운송하는 차량이다.(도2 참조)
셋째는 대형 철재 구조 설비인 금속 스크랩 압축설비이다.(도3 참조: ㈜경원이엔지 인터넷 사이트 [http://www.gweng.co.kr/gweng/product02.php] 2015. 06. 09)
넷째는 납품대기를 위하여 금속 스크랩 압축물이나 대형 스크랩을 야적하기 위한 야적장(이하 '야드'라 함) 및 적재량 측정을 위한 계중기이다.
다섯째는 금속 스크랩을 납품하기 전에 검수하여 등급을 부여하는 작업 인원이다.
이러한 필수적인 리소스들은 스크랩 수집, 가공, 납품업을 영위하는 각 사업자에게 꼭 필요한 것이지만 이들 여러 리소스들을 동시에 활용하는 경우는 드물며 시차를 두고 유휴기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하여 각 사업자들은 공통적으로 이들 리소스를 마련하고 유지, 보수, 관리를 위해 막대한 고정비용을 부담하고 있으나, 그 활용빈도가 낮아 수익성을 악화시키고 있는 경우가 많다.
더욱이, 이러한 금속 스크랩의 납품은 대부분 소규모 영세한 규모의 사업자들에 의하여 소량씩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어서 납품물량이 적어 수차의 납품물량을 모아 고로에 투입하여야 하는 제강사로서도 보관 및 관리비용의 증가로 인하여 납품 단가를 제대로 지불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1. 장착장비가 구비된 굴삭기 : ((주)연일GNS 인터넷 사이트 [http://www.yonil.co.kr] 2015. 06. 09) 2. 금속 스크랩 압축설비: (㈜경원이엔지 인터넷 사이트 [http://www.gweng.co.kr/gweng/product02.php] 2015. 06. 09)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크랩의 수집, 가공, 납품업을 영위하는 대다수의 소규모 사업자가 구비하고 있는 여러 종류의 굴삭기 및 방통차〔집게 달린 방통차(일명 하이카) 포함〕, 금속 스크랩 압축설비, 야드, 검수 등급 판정 인력 등 (이하 '리소스'라 통칭함)중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유휴기 동안의 리소스를 활용하여 스크랩의 발생에서 제강사로의 납품에 이르는 전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한시적으로 구성된 팀빌드에 의하여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소규모 사업자가 보유한 각종의 리소스에 관련한 고정 비용 부담을 줄임으로써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며, 이들 납품 물량을 모아 납품 물량을 증대시켜 줌으로써 제강사로부터 유리한 납품 단가 적용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스크랩 발생시 유휴기(遊休期) 리소스를 활용한 팀빌드에 의한 수익 창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굴삭기, 방통차, 금속 스크랩 압축설비, 야드, 등급 판정 인력 등 각종 리소스를 확보하고 있는 여러 사업자들이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유휴시작 및 유휴종료 예정일자, 해당 리소스에 관한 종류, 규격, 위치, 수량 등의 정보를 유, 무선상으로 웹서버에 전송하고, 웹서버는 스크랩 납품 정보 및 스크랩 발생 정보 에 따라 상기 리소스들을 시기, 장소별로 취합하여 하나의 스크랩 납품을 위한 팀빌드 작업을 수행한 후, 상기 리소스들을 보유하고 있는 각 사업자들에게 해당 리소스 현장 도착 시간, 이동 위치, 작업 시간 등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각 사업자들은 해당 리소스를 현장 도착 시간에 해당 위치로 이동시켜 부여된 작업을 수행하며, 각 사업자들은 작업 완료 후 수행 완료 데이터를 유무선상으로 웹서버에 송출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건물이나 각종 설비의 철거로 인한 스크랩 발생 또는 폐차로 인한 스크랩 발생시 등 스크랩 발생시에 열거한 바와 같은 한시적으로 유휴 상태인 리소스들을 이용하여 스크랩 수거 현장 가공 단계에서 1차 가공 및 방통차로의 상차 그리고 금속 스크랩 압축설비로의 이동 및 하차 그리고 가공 완료된 금속 스크랩 압축물의 상차 및 계중 그리고 제철사로 이동 후 납품을 위한 하화 또는 야드로의 야적 등 일련의 전체 과정에서 가용 가능한 리소스들을 시계열적으로 재배치하여 스크랩 발생에서 납품에 이르는 전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팀빌드(Team Build)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설비 투자비용이나 고정비용으로서의 인건비 부담 등 시설 및 유지비용을 전혀 투입하지 않고 단지 소규모 사업자들이 확보하고 있는 유휴기의 리소스만을 활용하여 발생된 스크랩을 가공하여 납품함에 따라 추가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하게 되고 이를 분배함으로써 소규모 사업자들이 수익을 공유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여 확보한 다수의 스크랩 가공 물량은 지역 단위나 전국 단위로 모으는 경우 그 물량이 충분하므로 대량납품이 가능하여 제강사로부터 합리적인 납품 단가를 받을 수 있는 유리한 조건을 구비할 수도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굴삭기를 보인 사진.
도2는 일반적인 방통차를 보인 사진.
도3은 종래의 금속 스크랩 압축 설비를 보인 사진.
도4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을 예시한 설명도.
도5, 6, 7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스크랩 발생시 유휴기(遊休期) 리소스를 활용한 팀빌드에 의한 수익 창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전산 시스템의 예를 도4에 예시하였으며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수익 창출 방법을 도5, 6에 흐름도로 도시하였고, 이러한 본 발명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러 소규모 사업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리소스들의 유휴 발생시 단말기를 활용하여 웹서버와 연결한 후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양식에 따라 리소스의 종류 및 규격, 수량, 유휴시작 및 유휴종료 예정일자, 해당 리소스가 소재하고 있는 지역, 리소스 보유업체 주소 및 이메일 주소 정보로 구성된 리소스 관련 데이터를 유, 무선상으로 웹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웹서버에서 전송받은 상기 리소스 관련 데이터의 오류 검사 후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단계와,
스크랩 발생 시 스크랩 발생 정보를 정보관리자가 웹서버에 입력시키는 단계와,
스크랩 납품 정보 관리자에 의하여 재질, 제강사의 입고일 및 제강사 입고 장소의 주소를 포함하는 스크랩 납품 정보를 입력시키는 단계와,
상기한 과정에서 입력된 다수의 소규모 사업자들에 의하여 입력된 다수의 리소스 데이터와 스크랩 발생데이터, 스크랩 납품 데이터가 모두 입력된 단계에서 웹서버가 데이터 베이스 서버로부터 스크랩 납품 정보에 포함된 재질과 제강사 입고일 데이터를 가져 오는 단계와, 웹서버에 의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로부터 스크랩 발생 정보를 검색하여 스크랩 납품 데이터에 포함된 재질과 제강사 입고일을 충족시킬 수 있는 조건의 스크랩 발생 데이터가 있는 지의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랩 납품 데이터에 포함된 재질과 제강사 입고일을 충족시킬 수 있는 조건의 스크랩 발생 데이터가 있는 경우 스크랩 납품을 위하여 수거 및 가공, 운반을 포함한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는 리소스들을 시계열적으로 나열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의 리소스 데이터를 가져다가 유휴기간에 있는 리소스 중의 하나인 굴삭기 매칭데이터가 존재하는 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랩 발생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데이터와 굴삭기 관련 리소스 데이터의 위치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해당 굴삭기를 현장으로 투입하는 단계와,
등급 판정 인력투입을 위하여 데이터베이스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다가 상기 스크랩 발생 데이터에 포함된 지역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스크랩 발생 데이터의 발생일시 데이터와 등급판정 인력의 유휴기간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해당 등급 판정 인력을 파견하는 단계와,
리소스인 방통차에 의한 운반 공정 실시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가져다가 스크랩 발생 데이터와 리소스인 방통차의 지역코드가 일치하고 금속 스크랩 발생일시가 방통차의 유휴기간 이내에 있는 경우에 방통차를 투입하는 단계와,
웹서버가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리소스 데이터를 가져다가 리소스인 스크랩 압축설비의 지역 코드가 스크랩 발생 데이터의 지역코드와 일치함과 아울러 금속 스크랩 발생일시가 금속 스크랩 압축 설비의 유휴기간 이내에 있는 경우 해당 금속 스크랩 압축설비를 투입하는 단계와,
리소스인 방통차에 의한 제강사로의 운반 공정 실시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가져다가 스크랩 발생 데이터와 리소스인 방통차의 지역코드가 일치하고 금속 스크랩 발생일시가 리소스인 방통차의 유휴기간 이내에 있는 경우에 리소스인 방통차를 투입하여 제강사로 운반하는 단계를 순차 실시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상기 금속 스크랩 압축설비를 투입하는 단계와 방통차를 투입하여 제강사로 운반하는 단계 사이에 스크랩 발생 데이터의 지역코드와 리소스인 야드의 지역 코드가 동일하며, 금속 스크랩 발생일시가 야드의 유휴기간 이내에 있는 경우 상기 야드를 투입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스크랩 발생 정보에 따라 상기 리소스들을 시기, 장소별로 취합하여 하나의 스크랩 납품을 위한 팀빌드 작업을 수행한 후, 상기 리소스들을 보유하고 있는 각 사업자들에게 리소스 이동 시간, 이동 위치, 작업 시간 등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각 사업자들은 해당 리소스를 해당 위치로 이동시켜 부여된 과제를 수행하며, 각 사업자들은 작업 수행 완료 후 작업 완료 데이터를 유무선상으로 웹서버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건물이나 각종 설비의 철거로 인한 스크랩 발생 또는 폐차로 인한 스크랩 발생시 등에 상기에 열거된 바와 같은 한시적으로 유휴 상태인 리소스들을 이용하여 스크랩 수거 현장 가공 단계에서 1차 가공 및 방통차로의 상차 그리고 금속 스크랩 압축설비로의 이동 및 하차 그리고 가공 완료된 금속 스크랩 압축물의 상차 및 계중, 제철사로의 납품을 위한 하차 또는 야드로의 야적 등 일련의 전체 과정에서 가용 가능한 리소스 들을 시간 공간적으로 재배치하여 스크랩 발생에서 납품에 이르는 전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팀빌드(Team Build)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먼저 굴삭기 및 방통차〔집게 달린 방통차(일명 하이카) 포함〕, 금속 스크랩 압축설비, 야드, 검수 등급 판정 인력 등 여러 종류의 리소스을 확보하고 있는 여러 소규모 사업자들이 이들 리소스를 동시에 활용하기 어려우므로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리소스들의 유휴 발생시 관련 데이터를 자신이 소유한 PC나 스마트폰, 노트북 등의 단말기를 활용하여 도4로 보인 바와 같은 웹서버와 연결한 후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양식에 따라 리소스의 종류 및 규격, 수량, 유휴시작 및 유휴종료 예정일자, 해당 리소스가 소재하고 있는 지역, 리소스 보유업체 주소 및 이메일 주소 그리고 입금 받을 수 있는 계좌번호 등 금융정보를 유, 무선상으로 웹서버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한 웹서버는 전송받은 리소스 관련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지를 확인한 후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일예로 구조체 형식 등 적절한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한 후 웹서버는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된 리소스 관련 데이터를 투입가능공정별로 코드를 부여하게 된다.
예를 들면, 리소스의 종류와 규격에 관련하여 굴삭기의 경우 0100, 방통차의 경우 적재중량 25톤인 경우 0225, 적재중량 5톤인 하이카의 경우 0205로 표기하며, 스크랩압축설비의 경우 0300, 야드의 경우 0400, 등급 판정 인력의 경우 0500로 코드를 부여하고, 규격에 관련하여 서울의 경우 01, 경기도 남부 02, 경기도 북부 03, 충청남도 04 등 지역 단위 코드를 부여하며, 유휴 시작일 코드는 0, 유휴 종료일 코드는 1로 하고, 유휴기간의 표시는 년, 월, 일을 150610 등으로 표시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표기된 웹서버에 의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형태의 것이 될 수 있다.
예시 1: "01000201506101150625"
예시 2: "02250201506101150625"
예시 3: "02050201506101150625"
예시 4: "03000201506101150625"
예시 5: "04000201506101150625"
예시 6: "05000201506101150625"
상기한 예시 1은 굴삭기(0100)가 경기 남부 지역(02)에서 2015년 6월 10일부터(0150610) 2015년 6월 25일까지(1150625)까지 유휴기간임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되는 것이고,
상기한 예시 2는 25톤 방통차(0225)가 경기 남부 지역(02)에서 2015년 6월 10일부터(0150610) 2015년 6월 25일까지(1150625) 유휴기간임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되는 것이며,
상기한 예시 3은 5톤 하이카(0205)가 경기 남부 지역(02)에서 2015년 6월 10일부터(0150610) 2015년 6월 25일까지(1150625) 유휴기간임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되는 것이다.
아울러, 예시 4는 스크랩 압축설비(0300)가 경기 남부 지역(02)에서 2015년 6월 10일부터(0150610) 2015년 6월 25일까지(1150625) 유휴기간임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되는 것이다.
또한, 예시 5는 야드(0400)가 경기 남부 지역(02)에서 2015년 6월 10일부터(0150610) 2015년 6월 25일까지(1150625) 유휴기간임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되는 것이다.
끝으로, 예시 6은 등급 판정 인력(0500)이 경기 남부 지역(02)에서 2015년 6월 10일부터(0150610) 2015년 6월 25일까지(1150625) 유휴기간임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되는 것이다.
이를 데이터 처리함에 있어서는 HEXA코드 등으로 변환하여 프로그래밍함으로써 비교 처리 등의 데이터 처리에 원활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데이터 전송 상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지된 PARITY CHECK CODE를 상기 데이터 후단 부분에 넣어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와 같이 하여 작성된 리소스 관련 데이터가 반복적으로 다수의 소규모 사업자들에 의하여 입력되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축적, 완료된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스크랩의 발생으로 납품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하며, 그러므로 스크랩이 발생되는 시기에 다음 공정을 시행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수입 금속스크랩의 경우 수입 일정에 따라 발생되고, 가공 금속스크랩(Prompt Industrial Metal Scrap)은 기계공장 및 철강재 가공공장, 조선소, 자동차 공장 등에서 철강재를 사용하여 각종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대체로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노폐 금속 스크랩(Obsolescent Metal Scrap)은 폐기자동차, 기구류, 철도레일, 기계 금형, 폐선박, 건물철거공사시 발생하는 폐철근이나 철골구조물 등에서 연한을 채우면서 발생된다.
이러한 수입금속스크랩, 가공금속스크랩, 노폐금속스크랩의 발생시 외부로부터 정보를 입수한 스크랩 발생 정보 관리자가 웹서버에 일반 금속 스크랩인 경우와 금속 스크랩이 금형 등 괴상 금속(massive metal) 스크랩인 경우의 코드를 구분하여 입력시킨 금속 스크랩 성상(性狀)코드, 금속 스크랩 발생 일시, 물량, 위치, 재질 등을 데이터로 입력하게 되며, 성상코드에 따라 도5 또는 도6으로 설정된 어느 하나의 스크랩처리공정선정단계를 실시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성상코드 0은 일반 금속 스크랩이며 1은 괴상 금속 스크랩이다. 재질은 01: 철, 02: 구리, 03: 알루미늄, 04: 스테인레스 등으로 구분하고 금속 스크랩 발생일시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한 리소스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서울의 경우 01, 경기도 남부 02, 경기도 북부 03, 충청남도 04 등 지역 단위 코드를 부여하여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스크랩 발생 정보 관리자가 입력시키는 코드를 예시7로 보였다.
예시7: 00115061002
이 같은 예시7은 일반 금속 스크랩(0)이 발생되었고, 재질은 철(01)임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며, 발생일시는 2015년 6월 10일(150610)이고 위치는 경기도 남부(02)임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스크랩 발생 정보를 매 스크랩 발생 이벤트 마다 스크랩 발생 정보 관리자가 웹서버에 입력시켜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축적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스크랩 발생 정보는 구조체 형식으로 스크랩 발생 장소의 주소와 스크랩 발생 장소의 관리자 이메일 등 부수적인 정보가 함께 저장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크랩 납품 정보 관리자에 의하여 재질, 제강사의 입고일 및 제강사 입고 장소의 주소 등 스크랩 납품 정보를 입력시키게 되는 것이며, 일예를 들면 재질 구분 코드를 01: 철, 02: 구리, 03: 알루미늄, 04: 스테인레스로 정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제강사 입고일은 연월일 표시를 활용하고, 입고 장소의 주소는 코드화하여 01: 당진, 02: 울산, 03: 포항 등으로 표기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예시 8로 보인 바와 같은 형태의 것이 될 수 있다.
예시 8: "0115061001"
이와 같이 하여 다수의 소규모 사업자들에 의하여 입력된 다수의 리소스 데이터(예시 1내지 예시 6)와 스크랩 발생 데이터(예시 7), 스크랩 납품 데이터(예시 8)가 모두 입력된 상태에서는 리소스 제공자와 금속 스크랩 발생원 그리고 제강사의 입고 요청이 모두 구비된 상태이므로 웹서버는 본격적인 팀빌드를 시작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웹서버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로부터 스크랩 납품 데이터를 가져다가 스크랩 납품 정보에 포함된 재질과 제강사 입고일 데이터를 가져 오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웹서버는 데이터 베이스 서버로부터 스크랩 발생 정보를 검색하여 스크랩 납품 데이터에 포함된 재질과 제강사 입고일을 충족시킬 수 있는 조건의 스크랩 발생 데이터가 있는 지의 여부를 검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예시 8로 보인 바와 같은 스크랩 납품 데이터 중 재질 구분 코드 01과 연월일 표시 150610을 가져오고, 스크랩 발생 데이터에서 재질 구분 코드인 01이 있는지를 먼저 비교 검색하고, 존재하는 경우에는 스크랩 발생 데이터의 연월일 데이터가 스크랩 납품 데이터의 연월일과 같거나 작은 경우에 해당 스크랩 발생 정보 데이터를 입력시킨 발생원의 스크랩을 수거하도록 진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스크랩 발생 데이터의 연월일 데이터가 스크랩 납품 데이터의 연월일과 같거나 작은 경우는 아래와 같은 <비교식 1>에 의하여 판정하게 된다.
<비교식 1>
150625(스크랩 발생 데이터 중의 스크랩 발생 일자)≤15062X(스크랩 납품 데이터 중의 제강사 입고일)
이와 같이 하여 수거할 스크랩이 정하여 지게 되는 것이며, 이어서 웹서버는 팀빌드를 위한 일련의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스크랩 납품을 위하여 수거 및 가공, 운반 등의 여러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리소스들을 시계열적으로 나열하고 각 단계에 필요한 조치를 수행하게 되는 것인바, 이를 위하여 웹서버는 먼저 금속 스크랩 처리 공정을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의 스크랩 발생 데이터의 성상코드를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성상코드는 예시 7로 보인 바와 같이 0으로 되어 있으며 이는 일반 금속 스크랩이므로 일반적인 압축성형스크랩 제조를 위한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 5로 보인 1공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고 이를 위하여 웹서버는 도 5로 보인 바와 같이 먼저 데이터베이스서버의 리소스 데이터를 가져다가 유휴기간에 있는 굴삭기 매칭데이터가 존재하는 지를 검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웹서버는 스크랩 발생 데이터의 스크랩 발생일시와 예시 1로 보인 바와 같은 형태로 된 굴삭기의 유휴기간 시작일시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식 2>로 보인 바와 같은 관계가 성립되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
<비교식 2>
150610(스크랩 발생 데이터 중의 스크랩 발생 일시)≥15061X(굴삭기 유휴 시작일)
이러한 예시 <비교식 2>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예시 7로 보인 바와 같은 위치데이터가 리소스 데이터의 위치 코드와 일치하는 지를 판정하게 되는 것이며, 위치 코드까지 일치하는 경우 해당 굴삭기가 금속스크랩 발생일부터 처리 완료를 위한 기간 동안 유휴기간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게 되므로 굴삭기 투입으로 현장 작업, 가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웹서버는 도 5로 보인 바와 같이 등급판정과 인력투입 단계를 실시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서버에서 예시 7로 보인 바와 같은 데이터를 페치(Fetch)하여 지역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스크랩 발생 데이터의 발생일시 데이터와 등급판정 인력의 유휴기간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식 3>으로 보인 바와 같이 등급판정 인력의 유휴기간인 2015년 6월 10일부터 2015년 6월 25일 사이에 스크랩 발생 일자(2015년 6월 10일)가 존재하므로 상기 등급 판정 인력은 대상 리소스가 되는 것이며, 지역코드나 유휴기간이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대상 리소스가 될 수 없는 것이다.
<비교식 3>
150610(유휴기간 개시일)≤150610(스크랩 발생 일자)≤150625(유휴기간 종료일)
이와 같이 하여 등급판정 인력을 확보한 다음 웹서버는 도 5로 보인 바와 같이 방통차에 의한 운반 공정 실시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예시 2로 보인 바와 같은 데이터를 페치(Fetch)하게 되는 것이다.
예시 2: "02250201506101150625"
이러한 데이터는 25톤 방통차(0250)가 경기남부(02)에서
2015년 6월 10일부터 2015년 6월 25일까지 유휴기간임을 표시하는 것이므로 스크랩 발생 데이터와 리소스 데이터의 지역 코드(02)가 일치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비교식 3으로 보인 바와 같이 금속 스크랩 발생일시가 방통차의 유휴기간 이내에 있으므로 상기 방통차는 활용 가능한 대상 리소스가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아울러 웹서버는 도 5로 보인 바와 같이 스크랩 압축설비에 의한 가공공정 실시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리소스 데이터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며, 일예로 예시 3으로 보인 바와 같은 데이터를 페치(Fetch)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데이터는 스크랩 압축설비(0300)의 지역 코드가 스크랩 발생 데이터의 지역코드와 일치하는 경기남부(02)이고, 비교식 3으로 보인 바와 같이 금속 스크랩 발생일시가 금속 스크랩 압축 설비의 유휴기간 이내에 있으므로 상기 금속 스크랩 압축 설비는 활용 가능한 대상 리소스가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웹서버가 도 5로 보인 바와 같이 가공 완료된 금속 스크랩 압축물을 야적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으므로 야드 확보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예시 4로 보인 바와 같은 데이터를 페치(Fetch)하게 되는 것인바, 현재는 야드가 필요한 경우를 상정하고 있으며 스크랩 발생 데이터의 지역코드와 리소스인 야드의 지역 코드가 동일하며, 비교식 3으로 보인 바와 같이 금속 스크랩 발생일시가 야드의 유휴기간 이내에 있으므로 상기 금속 스크랩 압축 설비는 활용 가능한 대상 리소스가 되는 것이다.
아울러, 실제로는 물량이 많거나 금속 스크랩 압축 설비의 사정으로 작업이 지연되어 금속 스크랩 발생일시보다 수일 지연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를 감안하여 야드의 유휴기간이 아래의 <비교식 4>을 충족하도록 프로그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교식 4>
야드 유휴기간 개시일≤스크랩 발생 일자≤유휴기간 종료일 &
야드 유휴기간 개시일≤스크랩 발생 일자+X ≤유휴기간 종료일
이러한 과정으로 확보한 리소스는 굴삭기, 검수 등급판정 인원, 방통차, 스크랩 압축설비, 야드이며 표준 금속스크랩처리 공정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배치되는 것이며, 물량이나 작업장의 사정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나, 2일 작업을 요하는 경우로 가정하면 다음의 <표 1>로 보인 바와 같은 형태의 작업 순차에 따라 리소스를 배치하게 된다.
일정 굴삭기 방통차 판정인원 압축설비업체
1일차 오전 현장 가공 작업 검사등급판정
오후 현장 가공 작업 (현장↔압축설비) 가공공정실시
2일차 오전 현장 가공 작업 가공공정실시
오후 (압축설비↔제강사)
그러므로, <표 1>의 경우에 메일서버에서는 유휴 굴삭기를 보유한 업체에 1일차 오전 지정 시간 및 스크랩 발생 장소 주소를 전송하게 되고, 유휴 방통차 보유 업체에는 1일차 오후 지정 시간 및 스크랩 발생장소 주소 및 압축설비업체 주소 그리고 2일차 오후 지정 시간 및 제강사 주소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메일서버에서는 등급 판정 인력 보유 업체에 1일차 오전 지정 시간 및 스크랩 발생장소 주소를 전송하고, 금속 스크랩 압축 설비 업체에는 1일차 오후 방통차에 의한 금속 스크랩 입고 시간 및 2일차 오후 방통차로의 상차 시간을 전송하여 가공 공정을 실시할 수 있는 내부 준비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유휴 리소스 보유 업체에서는 순차로 상기 리소스를 파견하거나 작업 준비를 실시하게 되는 것이고, 웹서버에서는 시계열적으로 각 단계의 수행 완료 상황을 전송받게 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1일차에 유휴 굴삭기를 보유한 업체의 단말기에서는 지정 시간에 작업을 개시하였음과 1일차 오전 작업 완료 데이터를 웹서버로 전송하게 되고,
이어서, 유휴 방통차 보유 업체의 단말기에서는 1일차 오후 금속 스크랩 상차 완료 및 압축설비업체 하화 완료 데이터 그리고 2일차 오후 압축금속스크랩 상차 시간 데이터 및 제강사 입고 시간 데이터를 웹서버로 전송하며,
등급 판정 인력은 1일차에 자신이 보유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서버로 검사 등급 판정 데이터를 전송하고,
압축설비업체의 단말기에서는 가공 공정 착수 시간 데이터 및 가공 공정 완료 데이터를 웹서버로 전송하는 것이며,
이러한 데이터가 모두 전송된 후 최종적으로 제강사에 의한 계중 하화 검수 배송 확인 데이터가 모두 웹서버로 전송된 다음 모든 과정 종료를 인식하게 되는 것이고 제강사로부터 입금 받은 대금을 각 리소스 제공사에 공지된 바와 같이 오프라인으로 배분한 수익을 송금하거나 또는 인증서버를 경유하여 온라인상으로 배분한 수익을 송금한 후 모든 동작을 종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제강사로부터 입금 받은 대금을 수익 배분함에 있어서 그 비율은 업계에서 통상 해당 리소스를 제공하고 받을 수 있는 수준으로 정하거나 당사자 간에 자유의사에 의한 계약으로 이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 구체적인 예의 기술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금속 스크랩 압축설비에 의한 가공 공정 완료 즉시 방통차에 의하여 제강사로 납품을 실시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예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제강사의 사정 등으로 인하여 가공 완료된 금속 스크랩 압축물을 야적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번거로운 방통차의 상차 및 하화가 불필요하도록 해당 금속 스크랩 압축설비 업체의 야드에 야적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다른 위치의 야드로 옮겨 야적하여야 할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방통차로의 상차 및 야드로의 이동, 그리고 야드로의 하화 및 제강사로의 납품시 재차 방통차로의 상차 및 이동 그리고 전술한 제강사로의 입고 단계를 수행하여야 하는 것이고 이러한 경우에도 유휴 방통차 업체 및 야드 보유업체의 단말기에서 웹서버로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이다. 일예로 본 발명에서 작업장의 사정에 따라 2일 작업을 실시하고 1일 야적을 실시하여야 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다음의 <표 2>로 보인 바와 같은 형태의 작업 순차에 따라 리소스를 배치하게 할 수 있다.
일정 굴삭기 방통차 판정인원 압축설비업체
1일차 오전 현장 가공 작업 검사등급판정
오후 현장 가공 작업 (현장상차↔
압축설비 하화)
가공공정실시
2일차 오전 현장 가공 작업 가공공정실시
오후 (압축설비 상차↔야드 하화)
3일차 오전
오후 (야드 상차↔
제강사 입고)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에서 웹서버에 의한 각 리소스 보유 업체에서의 작업완료 통보 및 수익 배분 절차 등 구체적인 절차의 기술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도 5로 보인 실시예에서와 같이 리소스를 보유하고 있는 소규모 사업자들이 웹서버에 자신들이 보유한 리소스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고 스크랩 발생원으로부터 요청받거나 자체 영업망 등으로 확보한 스크랩 발생 데이터를 입력시킨 후 제강사의 스크랩 납품 데이터가 입력되면 웹서버에 의하여 스크랩 발생 데이터를 활용하여 발생된 스크랩이 일반 금속 스크랩이 아닌 괴상 금속(massive metal) 스크랩인 경우 스크랩 발생 데이터가 예시 9로 보인 바와 같은 형태로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다.
예시9: 10115061002
그러므로 웹서버는 이 같은 데이터에 의하여 괴상 금속스크랩(1)이 발생되었고, 재질은 철(01)임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며, 발생일시는 2015년 6월 10일(150610)이고 위치는 경기도 남부(02)임을 인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괴상 금속 스크랩은 대개의 경우 현장에서 수거하여 상차하는 정도의 작업이 이루어지면 되는 것이므로 굴삭기 보다는 5톤의 방통차(하이카)에 의하여 괴상 스크랩을 수거하여 상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웹서버는 도 6으로 보인 바와 같이 먼저 데이터베이스서버의 리소스 데이터를 가져다가 유휴기간에 있는 5톤의 하이카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를 검색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예시 3으로 보인 바와 같이 0205로 된 코드를 가진 데이터를 검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하이카로 괴상 금속스크랩을 상차하기 전 등급판정 인력투입 단계를 실시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서버에서 데이터를 페치(Fetch)하게 되는 것인바, 현재는 등급판정 인력데이터가 필요하므로 다음에 예시 8로 보인 바와 같은 데이터를 가져오게 된다.
예시 8: "05000201506101150625"
이러한 데이터는 등급 판정 인력(0500)이 경기남부(02)에서
2015년 6월 10일부터 2015년 6월 25일까지 유휴기간임을 표시하는 것이고 금속 스크랩 발생일시가 2015년 6월 10일인 경우에는 상기 등급 판정 인력은 대상 리소스가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웹서버가 도 7로 보인 바와 같이 가공 완료된 금속 스크랩 압축물을 야적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으므로 야드 확보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예시 1로 보인 바와 같은 데이터를 페치(Fetch)하게 되는 것인바, 현재는 야드가 필요하므로 다음에 예시 5로 보인 바와 같은 데이터를 가져오게 된다.
예시 5: "04000201506101150625"
이러한 데이터는 금속 스크랩 압축물을 야적할 수 있는 야드(0300)가 경기남부(02)에서 2015년 6월 10일부터 2015년 6월 25일까지 유휴기간임을 표시하는 것이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스크랩 발생일시가 2015년 6월 10일인 이 경우에 야드는 활용 가능한 대상 리소스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확보한 리소스는 하이카, 검수 등급판정 인원, 야드이며 이 경우에도 표준 금속스크랩처리 공정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배치되며 그 물량에 따라 가중치를 두어 일정을 조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괴상 금속스크랩이 1일 물량인 대부분의 경우에는 다음의 표로 보인 바와 같은 형태의 작업 순차에 따라 <표 3>으로 보인 바와 같이 리소스를 배치하게 된다.
일정 하이카 판정인원
1일차 오전 현장수거 검사등급판정
오후 (압축설비↔제강사)
그러므로 메일서버에서는 하이카를 보유한 업체에 작업 일정 및 스크랩 발생 장소와 제강사 또는 야드 주소를 전송하게 되고,
판정인원에게는 오전 지정시간 및 스크랩 발생장소 주소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유휴 리소스 보유 업체에서는 순차로 상기 리소스를 파견하게 되는 것이고, 웹서버에서는 각 단계의 수행 완료 상황을 전송받게 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1일차에 하이카를 보유한 업체의 단말기에서는 작업현장주소 데이터와 1일차 오전 그리고 1일차 오후 현장에서의 상차 및 제강사에서의 하화 완료 데이터를 웹서버로 전송하게 되고,
판정인원은 1일차에 자신이 보유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서버로 검사 등급 판정 데이터를 전송하며,
이러한 데이터가 모두 전송된 후 최종적으로 제강사에 의한 계중 하화 검수 배송 확인 데이터가 모두 웹서버로 전송된 다음 모든 과정 종료를 인식하게 되는 것이고 제강사로부터 입금 받은 대금을 각 리소스 제공사에 인증서버를 경유하여 수익배분한 후 종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 제강사로부터 입금 받은 대금을 수익 배분함에 있어서 그 비율은 업계에서 통상 해당 리소스를 제공하고 받을 수 있는 수준으로 정하거나 당사자 간에 자유의사에 의한 계약으로 이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금속 스크랩을 하이카로 상차하여 직접 제강사로 납품을 실시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예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제강사의 사정 등으로 인하여 가공 완료된 금속 스크랩 압축물을 야적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를 다음의 표 4로 표시하였다.
일정 하이카 판정인원
1일차 오전 현장수거 검사등급판정
오후 (현장↔야드)
야드 야적
납품일 (야드↔제강사)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 5,6,7에 스크랩 발생에서 제강사 입고에 이르는 과정을 대표적인 2가지 금속스크랩 처리 공정으로 설명하였으나, 활용에 있어서는 현장 상황에 따른 다소간의 변경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계중 공정은 생략하였으며 이는 필요한 장소에 운반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반면 대개의 금속 압축 성형 설비 공장이나 야드에 비치되어 있으므로 고정된 설비를 부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어서 공정 과정 기술을 생략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스크랩 발생시 유휴기(遊休期) 리소스를 활용한 팀빌드에 의한 수익 창출 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 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7)

  1. 사업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리소스들의 유휴 발생시 단말기를 활용하여 웹서버와 연결한 후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양식에 따라 리소스의 종류 및 규격, 수량, 유휴시작 및 유휴종료 예정일자, 해당 리소스가 소재하고 있는 지역, 리소스 보유업체 주소 및 이메일 주소 정보로 구성된 리소스 관련 데이터를 유, 무선상으로 웹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에서 전송받은 상기 리소스 관련 데이터의 오류 검사 후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단계와,
    스크랩 발생 시 스크랩 발생 정보를 정보관리자가 웹서버에 입력시키는 단계와,
    스크랩 납품 정보 관리자에 의하여 재질, 제강사의 입고일 및 제강사 입고 장소의 주소를 포함하는 스크랩 납품 정보를 입력시키는 단계와,
    사업자들에 의하여 입력된 리소스 데이터와 스크랩 발생데이터, 스크랩 납품 데이터가 입력된 후 웹서버가 데이터 베이스 서버로부터 스크랩 납품 정보에 포함된 재질과 제강사 입고일 데이터를 가져 오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에 의하여 데이터베이스서버로부터 스크랩 발생 정보를 검색하여 스크랩 납품 데이터에 포함된 재질과 제강사 입고일을 충족시킬 수 있는 조건의 스크랩 발생 데이터가 있는 지의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랩 납품 데이터에 포함된 재질과 제강사 입고일을 충족시킬 수 있는 조건의 스크랩 발생 데이터가 있는 경우 스크랩 납품을 위하여 수거 및 가공, 운반을 포함한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는 리소스들을 시계열적으로 나열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의 리소스 데이터를 가져다가 유휴기간에 있는 리소스 중의 하나인 굴삭기 매칭데이터가 존재하는 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랩 발생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데이터와 굴삭기 관련 리소스 데이터의 위치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해당 굴삭기를 현장으로 투입하는 단계와,
    등급 판정 인력투입을 위하여 데이터베이스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다가 상기 스크랩 발생 데이터에 포함된 지역코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스크랩 발생 데이터의 발생일시 데이터와 등급판정 인력의 유휴기간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해당 등급 판정 인력을 파견하는 단계와,
    리소스인 방통차에 의한 운반 공정 실시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가져다가 스크랩 발생 데이터와 리소스인 방통차의 지역코드가 일치하고 금속 스크랩 발생일시가 방통차의 유휴기간 이내에 있는 경우에 방통차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가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리소스 데이터를 가져다가 리소스인 스크랩 압축설비의 지역 코드가 스크랩 발생 데이터의 지역코드와 일치함과 아울러 금속 스크랩 발생일시가 금속 스크랩 압축 설비의 유휴기간 이내에 있는 경우 해당 금속 스크랩 압축설비를 투입하는 단계와,
    리소스인 방통차에 의한 제강사로의 운반 공정 실시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가져다가 스크랩 발생 데이터와 리소스인 방통차의 지역코드가 일치하고, 금속 스크랩 발생일시가 리소스인 방통차의 유휴기간 이내에 있는 경우에 리소스인 방통차를 투입하여 제강사로 운반하는 단계가 실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발생시 유휴기(遊休期) 리소스를 활용한 팀빌드에 의한 수익 창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스크랩 압축설비를 투입하는 단계와 방통차를 투입하여 제강사로 운반하는 단계 사이에 스크랩 발생 데이터의 지역코드와 리소스인 야드의 지역 코드가 동일하며, 금속 스크랩 발생일시가 야드의 유휴기간 이내에 있는 경우 상기 야드를 투입하는 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발생시 유휴기(遊休期) 리소스를 활용한 팀빌드에 의한 수익 창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저장되는 리소스 데이터는 공히 지역 코드와 유휴기간의 시작과 종료 관련 데이터가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발생시 유휴기(遊休期) 리소스를 활용한 팀빌드에 의한 수익 창출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스크랩 발생 시 웹서버에 입력되는 상기 스크랩 발생 데이터는 성상코드와 지역코드, 금속스크랩 발생 일시, 재질, 물량 데이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발생시 유휴기(遊休期) 리소스를 활용한 팀빌드에 의한 수익 창출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스크랩 납품 정보 발생시 웹서버에 입력되는 상기 스크랩 납품 정보는 재질, 제강사의 입고일 및 제강사 입고 장소의 주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발생시 유휴기(遊休期) 리소스를 활용한 팀빌드에 의한 수익 창출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저장되는 리소스 데이터에서 지역 코드와 유휴기간의 시작과 종료 관련 데이터는 상기 스크랩 발생 데이터의 지역코드가 일치하고 리소스 들의 유휴기간내에 상기 스크랩 발생 데이터의 발생 일자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발생시 유휴기(遊休期) 리소스를 활용한 팀빌드에 의한 수익 창출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상기 웹서버에 입력된 스크랩 납품 정보에 포함된 제강사의 입고일은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저장되는 리소스 데이터의 유휴기간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발생시 유휴기(遊休期) 리소스를 활용한 팀빌드에 의한 수익 창출 방법.
KR1020150086924A 2015-06-18 2015-06-18 스크랩 발생 시 유휴기(遊休期) 리소스를 활용한 팀빌드에 의한 수익 창출 방법 KR101789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924A KR101789189B1 (ko) 2015-06-18 2015-06-18 스크랩 발생 시 유휴기(遊休期) 리소스를 활용한 팀빌드에 의한 수익 창출 방법
US15/735,892 US20190005427A1 (en) 2015-06-18 2016-06-17 Profit generation method by means of building team utilizing idle resources associated with occurrence of scraps
JP2017564844A JP6833729B2 (ja) 2015-06-18 2016-06-17 スクラップ発生時の遊休期リソースを活用したチームビルディングによる収益創出方法
CN201680035130.6A CN107771337A (zh) 2015-06-18 2016-06-17 产生废料时利用闲置资源且通过建立团队来创造收益的方法
PCT/KR2016/006490 WO2016204576A1 (ko) 2015-06-18 2016-06-17 스크랩 발생 시 유휴기 리소스를 활용한 팀빌드에 의한 수익 창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924A KR101789189B1 (ko) 2015-06-18 2015-06-18 스크랩 발생 시 유휴기(遊休期) 리소스를 활용한 팀빌드에 의한 수익 창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633A true KR20160149633A (ko) 2016-12-28
KR101789189B1 KR101789189B1 (ko) 2017-10-23

Family

ID=57545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924A KR101789189B1 (ko) 2015-06-18 2015-06-18 스크랩 발생 시 유휴기(遊休期) 리소스를 활용한 팀빌드에 의한 수익 창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005427A1 (ko)
JP (1) JP6833729B2 (ko)
KR (1) KR101789189B1 (ko)
CN (1) CN107771337A (ko)
WO (1) WO20162045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8524A (zh) * 2018-03-22 2019-10-01 重庆嘉尔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挖运监控统计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2224A (ja) * 1992-06-09 1993-12-24 Hitachi Ltd 廃棄物情報管理装置及び廃棄物リサイクル計画支援装置
KR100340567B1 (ko) * 1997-12-26 2002-09-18 주식회사 포스코 차량배차의최적화방법
KR100729897B1 (ko) * 2000-03-30 2007-06-18 아쯔시 이즈하라 자원·폐기물 수거 시스템 및 자원·폐기물 수거 방법
JP2002203133A (ja) * 2000-12-28 2002-07-19 Komatsu Ltd 生産物取引システム、生産物取引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3094028A (ja) * 2001-09-26 2003-04-02 Kobe Steel Ltd 産業廃棄物情報の供給方法、産業廃棄物情報供給システム、産業廃棄物情報供給用サーバ、端末、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2003186986A (ja) * 2001-12-19 2003-07-04 Dreams:Kk 有機質廃棄物の再生処理システム
JP2003303231A (ja) * 2002-04-09 2003-10-24 Jfe Steel Kk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使用済み自動車のリサイクルシステム
EP1501028A4 (en) * 2002-04-30 2005-11-09 Nippon Steel Corp TRANSPORT MANAGEMENT DEVICE
JP2005338989A (ja) * 2004-05-25 2005-12-08 Tokyu Construction Co Ltd 重機ネット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提供方法
US8798786B2 (en) * 2009-12-23 2014-08-05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waste material
KR101246442B1 (ko) * 2011-08-30 2013-03-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크랩 운송 차량 관리 방법
EP2747000B1 (en) * 2012-12-20 2017-11-22 ABB Schweiz A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allocation of mobile resources to tasks
US20150032491A1 (en) * 2013-07-29 2015-01-29 Ubis, Llc Computer program, method, and system for preparing and processing an electronic work order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주)연일GNS 인터넷 사이트 [http://www.yonil.co.kr] 2015. 06. 09)
(㈜경원이엔지 인터넷 사이트 [http://www.gweng.co.kr/gweng/product02.php] 2015. 06. 09)
1. 장착장비가 구비된 굴삭기 :
2. 금속 스크랩 압축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8524A (zh) * 2018-03-22 2019-10-01 重庆嘉尔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挖运监控统计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189B1 (ko) 2017-10-23
CN107771337A (zh) 2018-03-06
JP2018524701A (ja) 2018-08-30
WO2016204576A1 (ko) 2016-12-22
JP6833729B2 (ja) 2021-02-24
WO2016204576A9 (ko) 2018-03-01
US20190005427A1 (en)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shi et al. Implementation of Industry 4.0 technologies in the mining industry-a case study
AU738663B2 (en) Container and inventory monitoring methods and systems
CN108053178A (zh) 一种集装箱码头业务流程管理信息系统
US20200034766A1 (en) System and method to increase productivity
Nemoto et al. Milk-run logistics by Japanese automobile manufacturers in Thailand
CN105574701A (zh) 一种第三方物流综合订单管理系统的应用方法
Sobotka et al. Decision support system in management of concrete demolition waste
US20050261917A1 (en) Electronic waste management system
KR101789189B1 (ko) 스크랩 발생 시 유휴기(遊休期) 리소스를 활용한 팀빌드에 의한 수익 창출 방법
CN112288357B (zh) 钢筋集中加工配送方法、系统、设备及介质
CN111401814B (zh)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Bonilla-Enriquez et al. Modelling sustainable development aspects within inventory supply strategies
JP7488217B2 (ja) 補修材料の使用管理方法及び施工管理方法
JP2018197952A (ja) 建設余剰資材広域認定制度運用システム
Tamang et al. A DBMS based inventory model and its timeframe study in automobile spare parts import management
Segerstedt Production and inventory control at ABB Motors and Volvo Wheel Loaders, two examples of MRP in practical use
JP2004272802A (ja) シャトル便による製品の配送方法及びシャトル便配送システム
CN115423392A (zh) 一种项目进出库管理装置
Navon et al. Automated materials management and control model
Yan et al. Optimal truck dispatching for construction waste conveyance
KR101021958B1 (ko) 선박의 생산 작업단위와 설계 작업분류체계의 연계를 통한 생산설계 장치 및 방법
Michlowicz et al. Implementation of total productive maintenance-TPM in an enterprise
Kurdve et al. Cost and value drivers in circular material flow logistics
Aleksanin Digital control of forecasting, generation and movement of construction waste
Choi et al. A study on the technology development for nonstop automated gat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