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958B1 - 선박의 생산 작업단위와 설계 작업분류체계의 연계를 통한 생산설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의 생산 작업단위와 설계 작업분류체계의 연계를 통한 생산설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958B1
KR101021958B1 KR1020080097620A KR20080097620A KR101021958B1 KR 101021958 B1 KR101021958 B1 KR 101021958B1 KR 1020080097620 A KR1020080097620 A KR 1020080097620A KR 20080097620 A KR20080097620 A KR 20080097620A KR 101021958 B1 KR101021958 B1 KR 101021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ion
design
work
schedu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8589A (ko
Inventor
성헌경
정희석
서문호
주세훈
임근명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7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958B1/ko
Publication of KR20100038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생산 작업단위와 설계 작업분류체계의 연계를 통한 생산설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계약호선별 건조확정통보서ㆍ스펙ㆍ일반배치도ㆍ정량적 기술변경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영업DB, 계약호선별 해당 모델과 프로젝트를 등록하고 기술변경내역을 검토하며 확정설계물량과 기본설계도 마스터 스케쥴 작성 및 생산설계도 마스터 스케쥴을 수립하는 기술기획DB, 생산설계에 필요한 자재를 구매하는 조달기획DB, 건조선표를 배포하고 WBS(Work Breakdown Structure)/공정(Activity)을 확정하며 생산일정을 수행하는 생산기획DB, 계약호선별 초기 기본설계도로부터 실 생산에 필요한 최종 설계도인 생산설계도를 작성하는 설계DB, 조달기획DB의 계획하에 구매된 자재를 입고하거나 출고하는 물류DB, 계약호선별 생산설계도 작성시 작업영역 분할을 위한 블럭분할(Block Division)을 설계하는 공법DB, 제작된 생산설계도를 바탕으로 생산을 개시하는 생산DB로 구성된 DB부와; 상기 각 DB에 각각 구비된 송수신부와 인터넷망 혹은 PSTN망을 통해 통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생산설계도 제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들을 입출력하는 입출력부와; 처리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생산 설계시 발생되는 공정상 중요한 공정이 개시되는 공정 전환점인 이벤트 일자를 기준으로 개별적인 공정이 진행되는 시점을 확정하고 관리하는 듀레이션 연산부와; 상기 듀레이션 연산부에서 확정된 공정 시점과 일정에 따라 개별적 생산설계도의 작성/완료 및 배포 시점을 확정하고 관리하는 디펜던시 연산부와; 상기 송수신부, 입출력부, 메모리부, 듀레이션 연산부, 디펜던시 연산부와 각각 통신하면서 계약호선별 생산설계도 제작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생산 작업단위와 설계 작업분류체계의 연계를 통한 생산설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산 작업구조(WBS)와 공정(Activity)에 준하여 반복적인 계약호선별 생산설계도 계획업무를 시스템적으로 진행함에 따라 보다 객관적이고 신뢰도 높은 계획 수립이 가능하며, 생산설계도 계획업무에 소용되는 시간과 경비를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igure R1020080097620
생산 작업구조, WBS, 공정, 생산설계도, 블럭 분할, Block Division

Description

선박의 생산 작업단위와 설계 작업분류체계의 연계를 통한 생산설계 장치 및 방법{A PRODUCTION DESIGN APPARATUS AND METHOD BY CONNECTING BETWEEN PRODUCT WORK PART AND DESIGN WORK CLASSFICATION STRUCTURE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생산 작업단위와 설계 작업분류체계의 연계를 통한 생산설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공법이나 공정 변경시마다 생산설계도 작성이 불가피함은 물론 스케쥴링을 다시 작성해야 하는 불편함을 벗어나 계약호선의 생산부분 작업구조와 공정을 시스템적으로 계획하고 그에 따른 생산설계도 작성계획을 스케쥴링 또는 리스케쥴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현장에서 각 세부공정을 요구하는 시점에 정확하게 도면을 배포할 수 있도록 개선된 선박의 생산 작업단위와 설계 작업분류체계의 연계를 통한 생산설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설계도 계획업무는 계약호선(Project)별로 블럭 분할(Block Division)을 작성하여 공법을 확정하고, 이에 따라 생산공정을 계획하여 최종 설계계획을 작성하게 된다.
따라서, 연관부서의 관련정보가 문서형태로 접수되는 시점이 지연되거나 변 경이 잦을 경우 최초 작성시부터 최종 확정시까지의 생산설계도 계획의 정확도가 현저히 떨어지거나 유사선 설계계획에 적용하기 어렵게 된다.
이는 신규 계약호선이 계약될 때 마다 스케쥴링 업무를 담당자의 경험이나 보유하고 있는 실적 데이터에 의존하여 진행할 수 밖에 없게 되어 사실상 최종 결과물(생산설계도 작성계획)의 신뢰도가 떨어짐은 물론 추가적인 개정작업이 다량으로 수반될 수 밖에 없어 많은 시간과 경비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를 가져오게 된다.
예컨대, 선박설계의 영역중 생산투입에 직접적으로 배포되는 생산설계도의 스케쥴링과 배포에 있어서 전통적인 설계방식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관부서 간 정보교류가 적시에 진행되어야 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생산관리부문은 계약호선의 건조선표를 설계부문, 공법부문 등에 배포하게 되고(S1), 이에 따라 영업부문은 계약호선의 공식건조를 명하는 공사지시서와, 계약호선의 세부사양서인 빌딩 스펙과 일반배치도(GA:General Arrangement)를 배포하게 된다(S2,S3).
이렇게 배포된 영업부문의 공사지시서와 빌딩 스펙 및 일반배치도(GA)는 설계부문에서 검토되고 분석되어 도면작성을 위한 자료로 활용된다(S4).
이후, 설계부문에서는 분석정보를 토대로 기본도 설계계획을 수립하고(S5), 수립된 기본도 설계계획에 따라 초기 기본설계도를 작성하게 되며(S6), 작성된 초기 기본설계도를 바탕으로 각종 정렬(Arrangement), 다이아그램(Diagram) 등의 일반배치도인 기본 설계도를 작성하게 된다(S7).
이렇게 하여 설계부문에서 초기 기본설계도와, 기본 설계도가 작성되게 되면 이를 바탕으로 구매부문에서는 자재구매를, 공법부문에서는 건조호선의 선택, 조립블럭에 관한 각종 시퀀스, 탑재 순서, 용접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블럭 분할(Block Division)을 작성하여 배포하게 된다(S8,S9).
그리고, 상기 블럭 분할이 접수되면 생산관리부문에서는 각 블럭의 해당 구역별로 투입되는 자재, 시간, 인원 등을 산정하여 선행 중일정계획을 수립 및 배포하게 되며(S10), 이들을 통해 설계부문에서는 다시 생산설계도 설계계획을 수립하고(S11), 다시 생산관리부문으로부터 소일정계획이 배포되면(S12), 이를 참고하여 설계부문에서는 생산설계도를 작성하게 된다(S13).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생산설계도가 완성되면 구매부문으로부터 정보를 받은 물류부문에서는 자재를 입고한 후 생산부문으로 출고하여 생산부문으로 하여금 생산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하게 한다(S14,S15,S16).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 속에서, 이를테면 생산설계도 작성기준을 보면 선체 생산도면은 8주, 의장 생산도면은 10주 정도 소요되고 있는 바, 각 과정중 특히, 생산공정의 변경, 블럭 분할(Block Division) 변경, 자재입고일 변경 등 연관부서의 변경사항이 전량 교차 검토되지 않을 경우 사전에 작성된 생산설계도의 스케쥴과 생산공정이 일치되지 않게 되어 도면 작성을 위한 리스케쥴링을 해당시점에서 진행하지 못하게 되고, 그로 인해 도면작성 지연 및 생산공정 차질을 초래하게 되므로 매우 비효율적이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현장작업용 생산설계도 작성을 위한 계획을 위하여 생산 선행중일정 계획을 토대로 도면 스케쥴링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생산공정 변경시 도면 스케쥴링에 실시간 반영되지 못하였던 사항을 개선하기 위하여 정확한 생산작업구조(WBS)와 공정(Activity)를 토대로 계획하도록 함으로써 생산공정 및 공법의 변경에 대하여 설계 도면작성을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 선박의 생산 작업단위와 설계 작업분류체계의 연계를 통한 생산설계 방법을 제공함에 그 주된 해결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계약호선별 건조확정통보서ㆍ스펙ㆍ일반배치도ㆍ정량적 기술변경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영업DB, 계약호선별 해당 모델과 프로젝트를 등록하고 기술변경내역을 검토하며 확정설계물량과 기본설계도 마스터 스케쥴 작성 및 생산설계도 마스터 스케쥴을 수립하는 기술기획DB, 생산설계에 필요한 자재를 구매하는 조달기획DB, 건조선표를 배포하고 WBS(Work Breakdown Structure)/공정(Activity)을 확정하며 생산일정을 수행하는 생산기획DB, 계약호선별 초기 기본설계도로부터 실 생산에 필요한 최종 설계도인 생산설계도를 작성하는 설계DB, 조달기획DB의 계획하에 구매된 자재를 입고하거나 출고하는 물류DB, 계약호선별 생산설계도 작성시 작업영역 분할을 위한 블럭분할(Block Division)을 설계하는 공법DB, 제작된 생산설계도를 바탕으로 생산을 개시하는 생산DB로 구성된 DB부와; 상기 각 DB에 각각 구비된 송수신부와 인터넷망 혹은 PSTN망을 통해 통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생산설계도 제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들을 입출력하는 입출력부와; 처리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생산 설계시 발생되는 공정상 중요한 공정이 개시되는 공정 전환점인 이벤트 일자를 기준으로 개별적인 공정이 진행되는 시점을 확정하고 관리하는 듀레이션 연산부와; 상기 듀레이션 연산부에서 확정된 공정 시점과 일정에 따라 개별적 생산설계도의 작성/완료 및 배포 시점을 확정하고 관리하는 디펜던시 연산부와; 상기 송수신부, 입출력부, 메모리부, 듀레이션 연산부, 디펜던시 연산부와 각각 통신하면서 계약호선별 생산설계도 제작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생산 작업단위와 설계 작업분류체계의 연계를 통한 생산설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생산기획DB로부터 송신된 건조선표를 중앙제어부가 수신한 후 기술기획DB와 공법DB로 출력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와 동시에 영업DB로부터 송신된 건조확정통보서, 스펙과 일반배치도 및 정량적 기술변경 내역 정보를 중앙제어부가 메모리부 저장하는 제2단계와; 상기 기술기획DB가 수신된 영업DB 정보를 토대로 기본 설계도 마스터 스케쥴 정보를 작성하고 중앙제어부로 송신하며, 중앙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기본 설계도 마스터 스케쥴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설계DB로 송신하는 제3단계와; 상기 설계DB는 수신된 기본 설계도 마스터 스케쥴을 기반으로 기본설계도를 작성하고, 이 기본설계도를 중앙제어부 및 조달기획DB로 송신하는 제4단계와; 상기 건조선표를 수신한 공법DB는 중앙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블럭 분할 정보를 생성하여 생산기획DB로 전송하는 제5단계와; 상기 블럭 분할 정보를 수신한 생산기획DB는 생산설계도 작성시 반영되도록 중앙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WBS/공정 확정 정보, 생산일정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기술기획DB로 전송하는 제6단계와; 상기 중앙제어부는 수신된 기본설계도를 저장하고, 기술기획DB로 다시 전송하며, 기술기획DB는 수신된 기본설계도를 바탕으로 생산설계도 마스터 스케쥴을 작성하고, 작성된 생산설계도 마스터 스케쥴은 중앙제어부의 제어하에 설계DB로 송신되는 제7단계와; 상기 설계DB는 수신된 생산설계도 마스터 스케쥴과, 초기 기본설계도로부터 만들어진 기본 설계도를 메모리에서 불러와 생산설계도를 작성하고, 작성된 생산설계도는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조달기획DB, 물류DB 및 생산DB로 송신되는 제8단계와;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생산설계도 및 물류DB를 통해 수신된 자재 정보를 바탕으로 생산개시 신호를 생산DB로 전송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생산 작업단위와 설계 작업분류체계의 연계를 통한 생산설계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8단계에서, 상기 생산설계도에는 생산 블럭/구획/존 별로 정해진 목표대비 실적 데이터의 집계와 분석에 관련된 생산 작업구조(WBS)와, 상기 생산 작업구조를 바탕으로 각 작업을 세부적인 작업분류체계로 나누어 실질적인 작업일정을 작성한 공정별 체계인 공정(Activity)에 기반하여 작성된 생산설계도 마스터 스케쥴 정보가 포함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생산 작업구조(WBS) 및 공정(Activity)이 의미하는 생산작업은 계약호선별 메인 키 이벤트 일자와의 시간적 차이를 뜻하는 듀레이션(Duration)과, 상기 듀레이션의 확정에 따라 관련 생산 작업과의 일정이 설정값에 의해 자동적으로 결정되는 디펜던시(Dependency)로 이루어지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산 작업구조(WBS)와 공정(Activity)에 준하여 반복적인 계약호선별 생산설계도 계획업무를 시스템적으로 진행함에 따라 보다 객관적이고 신뢰도 높은 계획 수립이 가능하며, 생산설계도 계획업무에 소용되는 시간과 경비를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산설계에 관련된 구성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설계에 관련된 업무절차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산설계도 작성기준을 보인 예시적인 테이블이며, 도 5는 도 4와 관련된 산출값들을 보인 테이블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생산 작업단위와 설계 작업분류체계의 연계를 통한 생산설계 방법은 선박공법이나 공정 변경시마다 생산설계도 작성이 불가피함은 물론 스케쥴링을 다시 작성해야 하는 불편함을 벗어나 계약호선의 생산부분 작업구조와 공정을 시스템적으로 계획하고 그에 따른 생산설계도 작성계획을 스케쥴링 또는 리스케쥴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현장에서 각 세부공정을 요구하는 시점에 정확하게 도면을 배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생산 WBS(Work Breakdown Structure)와 공정(Activity)를 토대로 생산공정 및 공법의 변경이 설계도면 작성에 실시간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그 내용은 도 3의 도시와 같다.
여기에서, WBS는 작업분할구조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를 테면 프로젝트의 범위와 최종 산출물을 세부 요소로 분할한 계층적 구조도라고 정의되며, 생산설계 부분에서 많이 사용되는 용어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종래 담당 부문의 역할과 부문명을 약간 수정하였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는 생산기획부문, 기술기획부문, 영업부문, 설계부문, 조달기획부문, 공법부문, 물류부문, 생산부문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이들 각 부문들의 업무처리 절차를 건조선표 배포로부터 생산투입에 이르기까지 일목요연하게 시계열적으로 서술함으로써 본 발명의 특징부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설명에 앞서,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는 도 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생산관제센터(100)와, 상기 생산관제센터(100)에 연결된 다수의 DB들로 이루어진 DB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생산관제센터(100)는 설계에 관련된 것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제어부(110)와, 상기 중앙제어부(110)와 연결되고 상기 DB부에 소속된 각 DB들과 통신하는 송수신부(120) 및 제어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들을 입출력하는 입출력부(130)와, 데이터 처리에 필요한 값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40)와, 생산 설계시 발생되는 이벤트(Event) 일자를 기준으로 개별적인 공정(Activity)이 진행되는 시점을 정의하고 관리하는 듀레이션(Duration) 연산부(150), 그리고 상기 듀레이션 연산부(150)에서 확정된 듀레이션에 따라 개별적 생산설계도의 작성/완료 및 배포 시점을 정의하고 관리하는 디펜던시(Dependency) 연산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이벤트(Event)란 생산계획중 중요한 포인트, 이를 테면 선박의 경우 소조립/중조립/대조립 등과 같은 작업이 개시되는 날을 의미하거나 혹은 생산계획에 없던 새로운 일/사건이 발생하는 것을 총괄하여 칭하는 용어이며, 듀레이션(Duration)은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이러한 이벤트 일자를 기준으로 개별적인 공정이 언제까지 수행될 것인지를 정의하고 관리하는 것을 말하고, 이를 생산일정에 맞춰 연산하여 개별적인 공정을 수행할 일자를 산출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 듀레이션 연산부(150)이며, 디펜던시(Dependency)는 종속 개념으로서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듀레이션이 정해지면 그 일정에 따라 생산에 필요한 설계도를 언제까지 작성하고 그것을 배포할 것인지 그 시점을 정하고 관리하는 개념으로서 이를 연산하여 일정을 확정하는 것을 디펜던시 연산부(160)가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DB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DB들은 계약호선별 건조확정통보서, 스펙, 일반배치도(GA:General Arrangement), 정량적 기술변경 등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영업DB(200), 계약호선별 해당 모델과 프로젝트를 등록하고 기술변경내역을 검토하며 확정설계물량과 기본설계도 마스터 스케쥴 작성 및 생산설계도 마스터 스케쥴 수립과 관련된 기술기획DB(300), 생산설계에 필요한 자재를 구매하는 것과 관련된 조달기획DB(400), 건조선표를 배포하고 WBS(Work Breakdown Structure)/공정(Activity)을 확정하며 그에 따른 생산일정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된 생산기획DB(500), 계약호선별 초기 기본설계도로부터 실 생산에 필요한 최종 설계도인 생산설계도를 작성하는 것과 관련된 설계DB(600), 조달기획DB(400)의 계획하에 구매된 자재를 입고하거나 출고하는 것과 관련된 물류DB(700), 계약호선별 생산설계도 작성시 작업영역 분할을 위한 블럭분할(Block Division)을 설계하는 것과 관련된 공법DB(800), 제작된 생산설계도를 바탕으로 생산을 개시하는 것과 관련된 생산DB(900)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각 D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DB라는 명칭으로 도시한 것일 뿐 각 DB에는 각각 처리를 위한 제어부, 통신을 위한 송수신부, 입출력을 위한 입출력부, 저장을 위한 메모리부를 모두 포함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송수신부(120)와 각 DB간은 인터넷망을 통한 통신은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PSTN망을 통한 통신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중앙제어부(110)는 도 3에 도시된 흐름순서대로 송수신부(120)를 통해 각 DB와 교신하면서 생산설계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송신 혹은 수신하고, 입출력부(130) 및 메모리부(140)를 활용하여 체계적인 일정 및 설계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듀레이션 연산부(150)는 생산 개시후 이벤트 발생 시점을 정확히 설정하고 관리하여 생산일정에 차질이 발생되지 않도록 중앙제어부(110)와 교신하며, 상기 듀레이션 연산부(150)에서 발생된 신호값을 토대로 디펜던시 연산부(160)에서는 생산이 요구하는 작업시점별로 정확한 개별적인 생산설계도 작성 및 배포 시점을 제시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생산기획부문은 계약호선의 건조선표를 배포하게 된다(S110).
이렇게 배포된 건조선표는 기술기획부문과 공법부문으로 전달되게 된다.
또한, 상기 건조선표의 배포시 영업부문에서는 계약호선의 공식건조를 명하는 건조확정 통보서와, 계약호선의 세부사양서인 빌딩 스펙 및 일반배치도(GA:General Arrangement)와, 마스터 BOM(Bill Of Material) 대비 계약호선의 변경 BOM을 정량적 기술변경 내역으로 함께 전달하게 된다(S120,S130,S140).
이와 같이 배포 전달된 자료들은 기술기획부문에서 접수한 후 계약호선에 해당하는 모델과 프로젝트를 등록하게 된다(S150).
이어, 상기 기술기획부문에서는 등록된 모델과 프로젝트 정보와, 정량적 기술변경 내역을 토대로 기술변경 내역을 검토하고, 그에 따라 계약호선의 설계업무를 진행하기 위한 부하분석, 투입인원, 직영/외주 설계계획 등의 설계물량을 확정하며, 그 상태에서 기본설계도 마스터 스케쥴을 작성하게 된다(S160,S170,S180).
이렇게 하여 작성된 기본설계도 마스터 스케쥴은 설계부문에서 초기 기본설계도 작성에 활용된다(S190).
여기에서, 초기 기본설계도는 계약호선의 전체 선형, 중앙부 단면, 곡부, 주요부재 배치 등 선박의 주요선형을 결정짓는 핵심도면으로 기본 설계도를 작성하기 위하여 미리 작성되는 도면을 말한다. 아울러, 기본 설계도란 초기 기본설계도를 토대로 작성되는 구역별 일반배치도 및 다이어그램을 말하며, 생산설계도란 생산현장에서 작업용으로 사용되기 위해 작성되는 도면을 말한다.
다음, 상기에서 작성된 초기 기본설계도를 바탕으로 기본 설계도가 작성되며, 이 기본 설계도는 조달기획부문으로 전달되어 자재구매에 활용되게 된 다(S200,S210).
자재구매는 선박 건조에 투입되는 주요 롱-리드타임(Long-Leadtime) 기자재류, 일반장비류 등의 구매를 위해 발주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발주된 자재는 구매된 후 물류부문을 통해 입고되고(S270), 입고된 자재는 출고된 후 생산부문에서 생산설계도에 따라 생산에 투입되게 된다(S280,S290).
한편,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생산설계도 작성(Project BOM 확정) 과정이 수행되게 되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각 부문들과 다른 부문들과의 종합적인 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S250).
다시 말해, 상기 생산설계도는 기본 설계도와 생산 설계도 마스터 스케쥴을 바탕으로 하여 작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기본 설계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고, 생산 설계도 마스터 스케쥴은 다음과 같이 수립된다.
즉, 생산기획부문에서 건조선표가 배포되면 동시에 공법부문에서는 블럭 분할(Block Division)을 작성하게 된다(S220).
상기 블럭 분할은 건조선박의 생산공정을 반영하여 선체 전 구역을 각각의 개별적인 구역개념으로 탑재(Erection)와 조립(Assembly) 형태의 개별적인 블럭으로 분할해 놓은 도면을 말하는 것으로, 각종 시퀀스, 탑재순서, 용접 위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렇게 하여 블럭 분할이 완료되면 생산 작업구조(WBS)와 공정(Activity)이 확정되게 된다(S230).
여기에서, 상기 생산 작업구조(WBS)는 블럭/구획/존(Zone)별로 체계적으로 구성되며, 목표 대비 실적 데이터의 집계 및 분석을 목표로 한다.
또한, 상기 공정(Activity)은 생산 작업구조(WBS)를 바탕으로 각각의 작업을 다시 세부적인 작업분류체계로 나누고 그것을 통해 실질적인 작업일정을 작성하기 위해 수립되는 공정별 체계를 말한다.
이와 같은 생산 작업구조 및 공정의 확정을 통해 생산 설계도 마스터 스케쥴이 수립되고, 이는 생산 설계도 작성에 곧바로 활용된다(S240,S250).
즉, 상기 생산 설계도 마스터 스케쥴은 작성된 블럭 분할 도면과 생산 작업구조/공정을 근거로 기술기획부문에서 정확한 생산일정에 부합되는 생산설계도 마스터 스케쥴을 수립하게 된다.
이어, 생산설계도가 작성되게 되는데, 상기 생산설계도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호선별 메인 키 이벤트(절단-최초 탑재-진수-인도) 일자가 확정되어 있으며, 또한 호선별 블럭 분할이 배포되면 생산 작업구조와 공정이 확정된 상태에서 계약호선별 메인 키 이벤트 일자와의 시간적 갭인 듀레이션(Duration)(D2)이 생산기획부문에서 확정되게 된다.
이때, 듀레이션(Duration)(D2)은 각각의 메인 키 이벤트(Main Key Event) 일자를 기준으로 개별적인 공정(Activity)이 진행되는 시점을 정의해 놓은 시점 정보를 말한다.
덧붙여, 상기 메인 키 이벤트는 호선별 생산설계에 따라 생산 진행시 큰 전환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를 테면, 앞서 설명하였듯이 절단개시일, 최초 탑재일, 진수일, 인도일 등이 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듀레이션(D2)이 확정되면 각각의 개별적 생산 작업구조/공정과 관련된 생산설계도와 종속관계를 뜻하는 디펜던시(Dependency)(D1)가 정해지며 이는 시스템적으로 산출된다.
여기에서, 상기 디펜던시(Dependency)(D1)란 각 공정(Activity)의 종속을 받는 개별적 생산설계도의 작성/완료 및 배포를 위한 시점을 정의해 놓은 시점 정보를 말한다.
즉, 도 5의 예시와 같이, 생산설계도 설계계획시스템에서 최종 산출하고자 하는 값(Data)은 각각의 디펜던시(D1)이며, 이 값이 산출된다는 것은 생산이 요구하는 작업시점별로 정확한 생산설계도를 작성하여 배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도 5에서 각각의 디펜던시(D1)는 도 4의 각 생산 작업구조(WBS)/공정(Activity)과 듀레이션(D2)을 연계하여 시스템적으로 산출되는 값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생산설계도가 작성되면 이를 토대로 생산기획부문에서는 생산일정시스템을 가동하여 수행하게 되며, 동시에 자재가 출고되면서 생산에 투입되어 선박 제조를 위한 생산작업이 수행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생산 작업구조/공정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생산설계도가 작성되었던 종래에 비해 이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생산계획을 전환함으로써 생산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정리하자면, 각 생산현장에서의 현장작업을 의미하는 공정(Activity)를 입력하고, 그 입력된 각 공정별로 종속받는 생산설계도가 지정되며, 메인 키 이벤트와 공정의 듀레이션과 종속된 생산설계도를 진행할 디펜던시를 찾아 생산공정 및 공법 의 변경에 대하여 설계 도면작성을 보다 탄력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생산설계에 관련된 업무절차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산설계에 관련된 구성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설계에 관련된 업무절차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산설계도 작성기준을 보인 예시적인 테이블,
도 5는 도 4와 관련된 산출값들을 보인 테이블.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중앙제어부 120....송수신부
130....입출력부 140....메모리부
150....듀레이션연산부 160....디펜던시연산부
D1....디펜던시(Dependency) D2....듀레이션(Duration)

Claims (4)

  1. 계약호선별 건조확정통보서ㆍ스펙ㆍ일반배치도ㆍ정량적 기술변경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영업DB, 계약호선별 해당 모델과 프로젝트를 등록하고 기술변경내역을 검토하며 확정설계물량과 기본설계도 마스터 스케쥴 작성 및 생산설계도 마스터 스케쥴을 수립하는 기술기획DB, 생산설계에 필요한 자재를 구매하는 조달기획DB, 건조선표를 배포하고 WBS(Work Breakdown Structure)/공정(Activity)을 확정하며 생산일정을 수행하는 생산기획DB, 계약호선별 초기 기본설계도로부터 실 생산에 필요한 최종 설계도인 생산설계도를 작성하는 설계DB, 조달기획DB의 계획하에 구매된 자재를 입고하거나 출고하는 물류DB, 계약호선별 생산설계도 작성시 작업영역 분할을 위한 블럭분할(Block Division)을 설계하는 공법DB, 제작된 생산설계도를 바탕으로 생산을 개시하는 생산DB로 구성된 DB부와;
    상기 각 DB에 각각 구비된 송수신부와 인터넷망 혹은 PSTN망을 통해 통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생산설계도 제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들을 입출력하는 입출력부와; 처리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생산 설계시 발생되는 공정상 중요한 공정이 개시되는 공정 전환점인 이벤트 일자를 기준으로 개별적인 공정이 진행되는 시점을 확정하고 관리하는 듀레이션 연산부와;
    상기 듀레이션 연산부에서 확정된 공정 시점과 일정에 따라 개별적 생산설계도의 작성/완료 및 배포 시점을 확정하고 관리하는 디펜던시 연산부와;
    상기 송수신부, 입출력부, 메모리부, 듀레이션 연산부, 디펜던시 연산부와 각각 통신하면서 계약호선별 생산설계도 제작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생산 작업단위와 설계 작업분류체계의 연계를 통한 생산설계 장치.
  2. 생산기획DB로부터 송신된 건조선표를 중앙제어부가 수신한 후 기술기획DB와 공법DB로 출력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와 동시에 영업DB로부터 송신된 건조확정통보서, 스펙과 일반배치도 및 정량적 기술변경 내역 정보를 중앙제어부가 메모리부 저장하는 제2단계와; 상기 기술기획DB가 수신된 영업DB 정보를 토대로 기본 설계도 마스터 스케쥴 정보를 작성하고 중앙제어부로 송신하며, 중앙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기본 설계도 마스터 스케쥴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설계DB로 송신하는 제3단계와; 상기 설계DB는 수신된 기본 설계도 마스터 스케쥴을 기반으로 기본설계도를 작성하고, 이 기본설계도를 중앙제어부 및 조달기획DB로 송신하는 제4단계와; 상기 건조선표를 수신한 공법DB는 중앙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블럭 분할 정보를 생성하여 생산기획DB로 전송하는 제5단계와; 상기 블럭 분할 정보를 수신한 생산기획DB는 생산설계도 작성시 반영되도록 중앙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WBS/공정 확정 정보, 생산일정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기술기획DB로 전송하는 제6단계와; 상기 중앙제어부는 수신된 기본설계도를 저장하고, 기술기획DB로 다시 전송하며, 기술기획DB는 수신된 기본설계도를 바탕으로 생산설계도 마스터 스케쥴을 작성하고, 작성된 생산설계도 마스터 스케쥴은 중앙제어부의 제어하에 설계DB로 송신되는 제7단계와; 상기 설계DB는 수신된 생산설계도 마스터 스케쥴과, 초기 기본설계도로부터 만들어진 기본 설계도를 메모리에서 불러와 생산설계도를 작성하고, 작성된 생산설계도는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조달기획DB, 물류DB 및 생산DB로 송신되는 제8단계와;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생산설계도 및 물류DB를 통해 수신된 자재 정보를 바탕으로 생산개시 신호를 생산DB로 전송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생산 작업단위와 설계 작업분류체계의 연계를 통한 생산설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8단계에서, 상기 생산설계도에는 생산 블럭/구획/존 별로 정해진 목표대비 실적 데이터의 집계와 분석에 관련된 생산 작업구조(WBS)와, 상기 생산 작업구조를 바탕으로 각 작업을 세부적인 작업분류체계로 나누어 실질적인 작업일정을 작성한 공정별 체계인 공정(Activity)에 기반하여 작성된 생산설계도 마스터 스케쥴 정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생산 작업단위와 설계 작업분류체계의 연계를 통한 생산설계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 작업구조(WBS) 및 공정(Activity)이 의미하는 생산작업은 계약호선별 메인 키 이벤트 일자와의 시간적 차이를 뜻하는 듀레이션(Duration)과, 상기 듀레이션의 확정에 따라 관련 생산 작업과의 일정이 설정값에 의해 자동적으로 결정되는 디펜던시(Dependency)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생산 작업단위와 설계 작업분류체계의 연계를 통한 생산설계 방법.
KR1020080097620A 2008-10-06 2008-10-06 선박의 생산 작업단위와 설계 작업분류체계의 연계를 통한 생산설계 장치 및 방법 KR101021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620A KR101021958B1 (ko) 2008-10-06 2008-10-06 선박의 생산 작업단위와 설계 작업분류체계의 연계를 통한 생산설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620A KR101021958B1 (ko) 2008-10-06 2008-10-06 선박의 생산 작업단위와 설계 작업분류체계의 연계를 통한 생산설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589A KR20100038589A (ko) 2010-04-15
KR101021958B1 true KR101021958B1 (ko) 2011-03-18

Family

ID=42215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620A KR101021958B1 (ko) 2008-10-06 2008-10-06 선박의 생산 작업단위와 설계 작업분류체계의 연계를 통한 생산설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9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146B1 (ko) * 2021-06-10 2023-12-06 (주)대우건설 건설 자재의 발주 및 입고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894A (ko) * 2004-02-20 2005-08-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건조 시 생산 계획의 연계성 강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894A (ko) * 2004-02-20 2005-08-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건조 시 생산 계획의 연계성 강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589A (ko)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fa et al. Supplier selection process in an integrated construction materials management model
CN107958328A (zh) 绿色装配式建筑数字化建造平台及其工作方法
Moon et al. Dynamic control of construction supply chain to improve labor performance
US20020165744A1 (en) Product development process
Nam et al. SCP-Matrix based shipyard APS design: Application to long-term production plan
CN113506081A (zh) 一种生产计划管理系统及其排产方法
Pan et al. Enhancing construction project supply chains and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a case study of a bridge construction project
Thawongklang et al. Application of production scheduling techniques for dispatching ready-mixed concrete
Akhavan et al. Blockchain technolog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tegrating BIM in project management and IOT in supply chain management
Peiris et al. Digitalising modular construction: Enhancement of off-site manufacturing productivity via a manufacturing execution & control (MEC) system
Jang et al. Cloud-based information system for automated precast concrete transportation planning
KR101021958B1 (ko) 선박의 생산 작업단위와 설계 작업분류체계의 연계를 통한 생산설계 장치 및 방법
Stekolschik Engineering change management method framework in mechanical engineering
Sholeh et al. Current state mapping of the supply chain in 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 (EPC) project: a case study
Leung et al. A real-time hybrid information-sharing an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the mould industry
Safa An advanced construction supply nexus model
Van Tonder Development of a quality assurance framework for chemical coated sand used in 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ies
JP2001318714A (ja) オブジェクト展開型生産管理システム
KR20080004247A (ko) 선박의 중장기 생산계획 수립 시스템 구축 방법
Equere et al. Dearth of automation: the consequences in Nigeria construction industry
Navon et al. Automated materials management and control model
Sahin et al. The first function of engineering management: Planning
O’Neall et al. Balanced scorecards for supply chain management
KR101131094B1 (ko) 선박 건조 시 자재 수급 방법
ARAFAT et al. A Measurement of Logistics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