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886A - 삼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삼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886A
KR20160148886A KR1020150085650A KR20150085650A KR20160148886A KR 20160148886 A KR20160148886 A KR 20160148886A KR 1020150085650 A KR1020150085650 A KR 1020150085650A KR 20150085650 A KR20150085650 A KR 20150085650A KR 20160148886 A KR20160148886 A KR 20160148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acid
trip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관
김창희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5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8886A/ko
Publication of KR20160148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8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채(Allium hooker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삼채 추출물은 PGC-1α 단백질과 mRNA의 발현 및 활성을 증가시킴에 따라, 운동수행능력을 탁월하게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물이므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어, 의약품 또는 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삼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ncrease of exercise capacity comprising extract of Allium hookeri}
본 발명은 삼채(Allium hooker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지난 50~100년간, 인간 신체활동의 감소현상은 제 2형 당뇨, 비만, 심혈관 질환 등과 같은 대사성 질환의 발병률 증가와 연관되어 있음이 알려졌다. 신체활동 부족은 세계보건기구에서 발표한 사망원인 중 4위를 차지한다. 이러한 현상들로 인해 세계보건기구, 미국심장협회, 영국심장재단 등의 단체에서는 일주일에 5일 이상, 최소 30분의 유산소운동을 권장하고 있다. 실제로 운동은 당뇨, 비만, 유방암과 대장암의 발병률을 줄이고, 우울증에도 좋은 치료효과를 나타내었다(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170(6):1153-1166, 2013;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110(9): 58B68B, 2012).
근육 안의 미토콘드리아는 일을 할 수 있는 에너지원, adenosine triphosphate (ATP)를 생산하기 때문에 에너지 센터로 불린다. 미토콘드리아 활성 및 수의 증가와 유산소 운동은 상호 보완적 관계에 있다. 유산소 운동으로 인한 근육의 미토콘드리아 양과 활성의 증가는 ATP의 생산을 높여 지구력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미토콘드리아의 양과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은 운동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신체활동의 부족 및 노화로 인한 대사성 질환 및 다양한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6(12): 10605-10617, 2011).
운동은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와 sirtuin 1 (SIRT1)을 근육에서 활성화한다. AMPK와 SIRT1은 미토콘드리아의 생합성과 기능을 조절하는 중요한 바이오마커인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coactivator 1 alpha (PGC-1α)의 활성 및 발현량을 조절한다. PGC-1α활성 및 발현량의 증가는 nuclear respiratory factor-1 (NRF-1)의 발현량을 증가시키는데, NFR-1은 미토콘드리아 기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mitochondrial transcription factor A (Tfam)을 조절하는 단백질이다. 또한 PGC-1α는 estrogen-related receptor alpha (ERRα)의 발현량을 증가시킨다. ERRα는 지방산 산화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켜 미토콘드리아가 ATP를 생산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지방산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rends in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3(9): 459-466, 2012).
삼채(三菜, Allium hookeri)는 뿌리부추라고 부르며, 우리나라에서는 단맛, 쓴맛, 매운맛이 난다고 하여 삼미채(三味菜), 인삼 맛이 난다고 하여 삼채(蔘菜)라고도 부른다. 삼채는 히말라야 해발 1400m 이상 초고랭지에서 자생하며, 중국, 인도, 부탄, 스리랑카, 미얀마 등에 분포하고 있다. 미얀마에서 민간처방으로 다양한 염증 질환과 암 질환 등에 식용과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삼채 추출물은 항염증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1(11): 1645-1648, 2012), 항산화(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2(9): 1351-1356, 2013), 미백(Korean Journal of Aesthetic and Cosmetology, 12(2): 163-168, 2014), 항당뇨(Korea Journal of Pharmacognosy, 46(1): 78~83, 2015)활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전에는 삼채의 운동수행능력 향상 효과에 관해서는 알려진 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운동수행능력 향상 활성을 가지며 안전하게 적용될 수 있는 천연물질을 탐색한 결과, 삼채(Allium hookeri) 추출물이 운동수행능력 향상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삼채 추출물은 유전자 PGC-1α의 단백질과 mRNA의 발현 및 활성을 증가시킴에 따라 운동수행능력을 탁월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물이므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어, 의약품 또는 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L6 근육세포에서,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PGC-1α의 활성화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2는 L6 근육세포에서,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SIRT1의 활성화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3은 L6 근육세포에서,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p-AMPK, SIRT1, PGC-1α의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4은 L6 근육세포에서,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PGC-1α, ERRα, NRF-1, Tfam의 mRNA발현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5는 L6 근육세포에서,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미토콘드리아 양의 증가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삼채 추출물의 운동수행능력 향상 용도; 삼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 또는 삼채 추출물을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동수행능력 향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삼채 추출물은 삼채(Allium hookeri)를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삼채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추출방법을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채 전체 또는 식물의 일부 (잎 또는 뿌리)로부터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 및 아임계 또는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운동수행능력은 일상생활이나 스포츠에서 볼 수 있는 신체동작을 외형적으로 달리기, 뛰기, 던지기, 헤엄치기 등으로 구분할 때, 상기 동작을 빠르게, 강하게, 정확하게, 오래, 능숙하게 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운동수행능력은 근력, 민첩성 및 지구력 등의 인자로 규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이란 운동수행능력 향상 효과가 있는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로,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은, 삼채 추출물 이외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추가적인 성분을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운동수행능력 향상 효과가 더욱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성분 추가 시에는 복합 사용에 따른 피부 안전성, 제형화의 용이성, 유효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추가의 성분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이상 내지 10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0001 중량% 이상 내지 1 중량% 이하, 0.0001중량% 이상 내지 0.1중량% 이하, 0.0001 중량% 이상 내지 0.001 중량% 이하, 0.001중량% 이상 내지 10중량% 이하, 0.001중량% 이상 내지 1중량% 이하, 0.001 중량% 이상 내지 0.1중량% 이하, 0.01 중량% 이상 내지 10중량% 이하, 0.01중량% 이상 내지 1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는 피부 안전성 및 추출물의 제형화 시의 용이성 등의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 구체예에서, 삼채 추출물은 삼채를 이용한 에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 헥산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초고압 추출물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삼채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 아임계 유체 및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삼채를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채 식물을 100 MPa 이상의 초고압 조건 하에서 추출하여 수득할 수도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여과 및 농축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및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삼채 추출물은 건조시킨 삼채를 식품가공에 적합한 정제수, 에탄올 및 아임계수 또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 정제하여 얻을 수 있거나, 초고압 추출 장치를 이용하여 추출, 정제하여 얻을 수 있으며, 또는 삼채 를 직접 압착하여 얻은 오일로부터 분리 정제하여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100 MPa 이상의 초고압 조건 하에서 삼채를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인 경우, 상기 약학 조성물은 삼채 추출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하며, 상기 염으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삼채 추출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이용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일 수 있으며, 상기 유기산은 예를 들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락트산,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말산, 말레산, 말론산, 푸마르산, 숙신산, 숙신산 모노아미드, 글루탐산, 타르타르산, 옥살산, 시트르산, 글리콜산, 글루쿠론산, 아스코르브산, 벤조산, 프탈산, 살리실산, 안트라닐산, 디클로로아세트산, 아미노옥시 아세트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또는 메탄술폰산을 포함한다. 무기산은 예를 들면 염산, 브롬산, 황산, 인산, 질산, 탄산 또는 붕산을 포함한다. 산 부가염은 바람직하게는 염산염 또는 아세트산염 형태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염산염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산 부가염은 a) 삼채 추출물 및 산을 직접 혼합하거나, b) 이들 중 한 가지를 용매 또는 함수 용매 중에 용해시키고 혼합시키거나, 또는 c) 삼채 추출물을 용매 또는 수하 용매 중의 산에 위치시키고 이들을 혼합하는 일반적인 염제조방법으로 제조된다.
위와는 별도로 추가적으로 염이 가능한 형태는 가바염, 가바펜틴염, 프레가발린염, 니코틴산염, 아디페이트염, 헤미말론산염, 시스테인염, 아세틸시스테인염, 메티오닌염, 아르기닌염, 라이신염, 오르니틴염 또는 아스파르트산염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제형화할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완충제(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항산화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또는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감자 전분 등 포함),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덱스트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예컨대,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 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또는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으며,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적합한 비경구용 담체와 함께 주사제, 경피 투여제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경피 투여는 약학적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투여하여 약학적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흡입 투여제의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화합물은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면,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팩 또는 연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 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되는 젤라틴 캡슐 및 카트리지는 화합물, 및 락토즈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제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8042, Chapter 87: Blaug, Seymour)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삼채 추출물을 유효량으로 포함할 때 바람직한 운동수행능력 향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량'이라 함은 음성 대조군에 비해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운동수행 능력 향상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삼채 추출물이 0.01 내지 99.99% 포함될 수 있으며, 잔량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가 차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삼채 추출물은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시는 상기 삼채 추출물을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바람직하게 0.01 내지 50 mg,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그리고 경구 투여시는 삼채 추출물을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바람직하게 0.01 내지 100 mg,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삼채 추출물의 용량은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삼채 추출물을 항피로 및 운동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또는 생물학적 반응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약학 조성물은 삼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외용제의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약학 조성물을 피부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또는 지질 소낭 등 피부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약학 조성물이 피부 외용제로 제공될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 등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은 또한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식품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및 사료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하며, 인간 또는 가축을 비롯한 동물을 취식대상으로 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 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이트,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 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상기 삼채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보조제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캡슐, 타블렛, 환 등에 상기 삼채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상기 삼채 추출물 자체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건강음료)할 수 있도록 액상화,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삼채 추출물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삼채 추출물과 운동수행능력 향상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이 건강음료 조성물로 이용되는 경우, 상기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0.03 g 이다.
삼채 추출물은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함유될 수 있는데, 그 양은 항피로 및 운동수행능력 향상 작용을 달성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삼채 추출물과 함께 운동수행능력 향상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것들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삼채 뿌리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1] 삼채 뿌리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
건조시킨 삼채의 뿌리를 믹서로 분쇄한 다음, 분쇄한 삼채 시료 100 g을 메탄올(methanol) 1 L에 넣고 50℃에서 120분간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삼채 뿌리 메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2]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건조시킨 삼채의 뿌리를 믹서로 분쇄한 다음, 분쇄한 삼채 시료 100 g을 에탄올(ethanol) 1 L에 넣고 50℃에서 120분간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3] 삼채 뿌리 열수 추출물의 제조
건조시킨 삼채의 뿌리를 믹서로 분쇄한 다음, 분쇄한 삼채 시료 100 g을 물 (water) 1 L에 넣고 80℃에서 3시간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삼채 뿌리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4] 삼채 뿌리 헥산 추출물의 제조
건조시킨 삼채의 뿌리를 믹서로 분쇄한 다음, 분쇄한 삼채 시료 100 g을 헥산(hexane) 1 L에 넣고 50℃에서 120분간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삼채 뿌리 헥산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5] 삼채 뿌리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제조
건조시킨 삼채의 뿌리를 믹서로 분쇄한 다음, 분쇄한 삼채 시료 100 g을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1 L에 넣고 50℃에서 120분간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삼채 뿌리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6] 삼채 뿌리 초고압 추출물의 제조
건조시킨 삼채의 뿌리를 믹서로 분쇄한 다음, 분쇄한 삼채 시료 1 g과 18% 에탄올(ethanol) 76 mL을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팩에 넣고 밀봉한 후 초고압 추출장치(Frescal MFP-7000; Mitsubishi Heavy Industries,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초고압 추출 조건은 추출압력이 320 MPa, 추출시간은 5분이었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삼채 뿌리 초고압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삼채 잎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2-1] 삼채 잎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
건조시킨 삼채의 잎을 믹서로 분쇄한 다음, 분쇄한 삼채 시료 100 g을 메탄올(methanol) 1 L에 넣고 50℃에서 120분간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삼채 잎 메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2] 삼채 잎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건조시킨 삼채의 잎을 믹서로 분쇄한 다음, 분쇄한 삼채 시료 100 g을 에탄올(ethanol) 1 L에 넣고 50℃에서 120분간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삼채 잎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3] 삼채 잎 열수 추출물의 제조
건조시킨 삼채의 잎을 믹서로 분쇄한 다음, 분쇄한 삼채 시료 100 g을 물(water) 1 L에 넣고 80℃에서 3시간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삼채 잎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4] 삼채 잎 헥산 추출물의 제조
건조시킨 삼채의 잎을 믹서로 분쇄한 다음, 분쇄한 삼채 시료 100 g을 헥산(hexane) 1 L에 넣고 50℃에서 120분간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삼채 잎 헥산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5] 삼채 잎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제조
건조시킨 삼채의 잎을 믹서로 분쇄한 다음, 분쇄한 삼채 시료 100 g을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1 L에 넣고 50℃에서 120분간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삼채 잎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6] 삼채 잎 초고압 추출물의 제조
건조시킨 삼채의 잎을 믹서로 분쇄한 다음, 분쇄한 삼채 시료 1 g과 18% 에탄올(ethanol) 76 mL을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팩에 넣고 밀봉한 후 초고압 추출장치(Frescal MFP-7000; Mitsubishi Heavy Industries)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초고압 추출 조건은 추출압력이 320 MPa, 추출시간은 5분이었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삼채 잎 초고압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3] 운동수행능력에 관여하는 PGC-1α 활성 증가효과
PGC-1α의 활성화는 COS-7 원숭이 신장세포(ATCC, Manassas, VA, USA)를 pGL3-PGC-1α-luc (Addgene, Cambridge, MA, USA)로 형질감염 시킨 후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물을 24시간 처리하여 측정하였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물을 10 및 20 μg/mL의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과 0.01% DMSO를 처리한 대조군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물은 PGC-1α의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고, 처리한 10 과 20 μg/mL에서 대조군과 비교 했을 때 유의적인 차이(**, p < 0.01)를 보였다. 이는 본 발명의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PGC-1α를 활성화시키는 능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4] 운동수행능력에 관여하는 SIRT1 활성 증가효과
SIRT1의 활성화는 COS-7 원숭이 신장세포(ATCC)를 pTA-Luc-SIRT1 (Addgene)로 형질감염 시킨 후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물을 24시간 처리하여 측정하였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물을 10 및 20 μg/mL의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과 0.01% DMSO를 처리한 대조군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물은 SIRT1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고, 처리한 10 과 20 μg/mL에서 대조군과 비교 했을 때 유의적인 차이(**, p < 0.01)를 보였다. 이는 본 발명의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SIRT1을 활성화시키는 능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5] 근육세포에서 운동능력향상과 관련된 단백질 발현 증가 효과
근육세포인 L6 myoblast (ATCC)를 10%의 fetal bovine serum (FBS; Hyclone, Logan, UT, USA)가 함유된 Dulbecco's Modifiend Eagle's Medium (DMEM; Hyclone)과 함께 6-웰 플레이트에 1 X 105 cell/mL이 되도록 넣었다. 세포밀도가 약 80~85%가 되었을 때, 웰에 있는 배지를 제거하고 2% horse serum (HS; Hyclone)가 함유된 DMEM에 상기예 1-2에서 제조한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물을 50과 100 μg/mL의 농도로 각각 녹인 후, 세포에 처리하여 myotube를 유도하였다. 이 때,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물 대신 0.01% DMSO를 처리한 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이 과정을 2일간 6일 동안 진행하여 myoblast를 myotube로 분화시킨 후, proteinase inhibitor cocktail이 포함된 NP-40 완충용액(ELPIS-Biotech, Daejeon, Korea)으로 용해시켰다. 완충용액에 용해된 세포를 1.5 mL 튜브(tube)로 옮겨 13,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취하였다. 상등액을 브래드포드(Bradford, Bio-Rad Laboratoires Inc., CA, USA)법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정량된 단백질을 5분간 끓인 후 10% SDS-PAGE로 전기영동하여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단백질들을 니트로셀룰로스 막(nitrocellular membrane)으로 전달하였다. p-AMPK, SIRT1, PGC-1α 1차 항체 각각을 2.5% bovine serum albumin (BSA, bioWORLD, Dublin, OH, USA)에 1:1000의 비율로 희석하여 니트로셀룰로스 막에 전달된 단백질과 20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1차 항체를 반응시킨 다음 Tris-buffer Saline Tween-20 (TBST)를 이용하여 니트로셀룰로스 막을 10분간 3회 세척하였다. 세척 후, 1차 항체를 인지하는 2차 항체(anti-goat horseradish)를 2.5% BSA에 1:5000이 되도록 희석하여 니트로셀룰로스 막과 2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으며, TBST를 이용하여 10분씩 3회에 걸쳐 세척하였다. Protein band는 ECL western blotting detection reagents (Amersham, Tokyo, Japan)를 사용하여 발색하였으며, G;BOX EF imaging system (Syngene, Cambridge, UK)을 이용하여 발색된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물 처리에 의해 p-AMPK, SIRT1, PGC-1α의 단백질 발현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운동능력향상과 관련된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키는 능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6] 근육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생합성 관련 유전자 발현 증가 효과
근육세포인 L6 myoblast (ATCC)를 10% FBS (Hyclone)가 함유된 DMEM (Hyclone)와 함께 6-웰 플레이트에 1 X 105 cell/mL이 되도록 넣었다. 세포밀도가 약 80~85%가 되었을 때, 웰에 있는 배지를 제거하고 2% HS (Hyclone)가 함유된 DMEM (Hyclone)에 상기예 1-2에서 제조한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물을 50 과 100 μg/mL의 농도로 각각 녹인 후, 세포에 처리하여 myotube를 유도하였다. 이 때,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물 대신 0.01% DMSO를 처리한 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이 과정을 2일간 6일 동안 진행하여 myoblast에서 myotube로 분화시킨 후, RT-PCR을 실시하였다. 분화한 세포로부터 TRIzol시약(Invitrogen, Carlsbad, CA, USA)을 사용하여 총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총 RNA는 나노드랍(NanoDrop 1000;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Waltham, MA, USA)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정량된 16μl의 mRNA를 Reverse Transcriptase Premix (ELPIS-Biotech)와 PCR 기계(Gene Amp PCR System 2700; Applied Biosystems, Woburn, MA, USA)를 이용하여 42℃ 55분, 70℃ 15분의 조건에서 cDNA로 합성하였다. 16μl의 생성된 cDNA 중 4μl의 cDNA, 하기의 특정 프라이머(Bioneer, Daejeon, Korea) 그리고 PCR premix (ELPIS-Biotech)로 95℃에서 30초, 60℃에서 1분, 72℃에서 1분을 30번 반복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PGC-1α:
Forward primer: 5'-ATGTGTCGCCTTCTTGCTCT-3'(서열번호 1)
Reverse primer: 5'-ATCTACTGCCTGGGGACCTT-3'(서열번호 2)
ERRα:
Forward primer: 5'-GCTGGTGGTTGAACCTGAGA-3'(서열번호 1)
Reverse primer: 5'-GGGCTAACACCCTATGCCAG-3'(서열번호 2)
NRF-1:
Forward primer: 5'-TGGACCCAAGCATTACGGAC-3'(서열번호 1)
Reverse primer: 5'-GGTCATTTCACCGCCCTCTA-3'(서열번호 2)
Tfam:
Forward primer: 5'-GCTTCCAGGAGGCTAAGGAT-3'(서열번호 1)
Reverse primer: 5'-CCCAATCCCAATGACAACTC-3'(서열번호 2)
β-Actin:
Forward primer: 5'-AGCCATGTACGTAGCCATCC-3' (서열번호 1)
Reverse primer: 5'-CTCTCAGCTGTGGTGGTGAA-3' (서열번호 2)
PCR 결과 증폭된 cDNA를 1.5% agarose gel로 전기영동하여 분리하였으며, G;BOX EF imaging system (Syngene)을 이용하여 cDNA band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함에 따라 PGC-1α, ERRα, NRF-1, Tfam의 mRNA 발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미토콘드리아 생합성 관련 유전자 발현 증가시키는 능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7] 근육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양 증가 효과
근육세포인 L6 myoblast (ATCC)를 10% FBS(Hyclone)가 함유된 DMEM (Hyclone)과 함께 6-웰 플레이트에 1 X 105 cell/mL이 되도록 넣었다. 세포밀도가 약 80~85%가 되었을 때, 웰에 있는 배지를 제거하고 2% HS (Hyclone)가 함유된 DMEM에 상기예 1-2에서 제조한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물을 20, 50과 100 μg/mL의 농도로 각각 녹인 후, 세포에 처리하여 myotube를 유도하였다. 이 때,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물 대신 0.01% DMSO를 처리한 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이 과정을 2일간 6일 동안 진행하여 myoblast를 myotube로 분화시킨 후, 50 nM의 MitoTracker® Green FM (MitoTracker; Invitrogen, Carlsbad, CA, USA)이 들어있는 DMEM을 처리한 후, 40분 동안 배양하였다. 40분 후 DulbeccoPhosphate Buffered Saline (DPBS)로 각 웰을 씻은 다음, Trypsin-EDTA (Gibco, Grand Island, NY, USA)을 500mL 씩 각 웰에 넣어 세포를 떨어뜨렸다. 그 후, 검은 96-웰 플레이트에 떨어진 셀을 Trypsin-EDTA (Gibco)와 함께 150 mL 씩 각 웰에 넣은 후, 흡수 파장 490 nm과 방풀파장 516 nm으로 설정된 GloMax®-Multi Detection System (Promega, Madison, WI, USA)으로 미토콘드리아에 붙은 MitoTracker의 양을 측정하였다. 이 때 대조군에서 측정된 MitoTracker의 양을 100%로 하였을 때,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의 상대적인 MitoTracker의 양을 백분율(%)로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체 뿌리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함에 따라 미토콘드리아의 양이 유의적(**, p < 0.01)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삼채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미토콘드리아 양을 증가시키는 능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삼채 추출물의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식품류 및 의약품의 제조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상기 운동수행능력 향상 효과가 우수한 삼채 추출물을 가지고 하기와 같은 조성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제조예 1 내지 2의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식품 및 의약품 조성물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제조예 1] 식품의 제조
[제조예 1-1] 건강식품의 제조
상기 실시예 1내지 2의 삼채 추출물 1000 mg,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u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u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u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ug, 판토텐산 칼슘 0.5 mg,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조예 1-2] 건강음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1내지 2의 삼채 추출물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에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조예 1-3] 츄잉껌
껌 베이스 20 중량%, 설탕 76.9 중량%, 향료 1 중량% 및 물 2 중량% 와 상기 실시예 1내지 2의 삼채 추출물0.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4] 캔디
설탕 60 중량%, 물엿 39.8 중량% 및 향료 0.1 중량%와 상기 실시예 1내지 2의 삼채 추출물0.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캔디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5] 비스켓
박력 1급 25.59 중량%, 중력 1급 22.22 중량%, 정백당 4.80 중량%, 식염 0.73 중량%, 포도당 0.78 중량%, 팜쇼트닝 11.78 중량%, 암모늄 1.54 중량%, 중조 0.17 중량%, 중아황산나트륨 0.16 중량%, 쌀가루 1.45 중량%, 비타민 B 0.0001 중량%, 밀크향 0.04 중량%, 물 20.6998 중량%, 전지분유 1.16 중량%, 대용분유 0.29 중량%, 제1인산칼슘 0.03 중량%, 살포염 0.29 중량% 및 분무유 7.27 중량% 와 상기 실시예 1내지 2의 삼채 추출물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비스켓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의약품
[제조예 2-1] 산제
상기 실시예 1내지 2의 삼채 추출물 50 mg, 결정셀룰로오즈 2 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산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2] 정제
상기 실시예 1내지 2의 삼채 추출물 50 mg, 결정셀룰로오즈 4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 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3] 캡슐제
상기 실시예 1내지 2의 삼채 추출물 30 mg, 유청단백질 100 mg, 결정셀룰로오즈 4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6 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삼채 추출물은 PGC-1α 단백질과 mRNA의 발현 및 활성을 증가시킴에 따라, 운동수행능력 향상을 탁월하게 증진하는 효과있다. 또한 삼채 추출물은 천연물이므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삼채추출물은 의약품 또는 식품 조성물의 성분으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Claims (8)

  1.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약학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삼채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 아임계 유체 및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삼채를 추출하여 수득한 것인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약학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및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약학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삼채 추출물은 100 MPa 이상의 초고압 조건 하에서 삼채를 추출하여 수득한 것인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약학 조성물.
  5.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식품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삼채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 아임계 유체 및 초임계 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삼채를 추출하여 수득한 것인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식품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탄소수 1 내지 6의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alcohol),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및 석유에테르(petroleum ether)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식품 조성물.
  8. 제 5 항에 있어서, 삼채 추출물은 100 MPa 이상의 초고압 조건 하에서 삼채를 추출하여 수득한 것인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식품 조성물.
KR1020150085650A 2015-06-17 2015-06-17 삼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 KR201601488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650A KR20160148886A (ko) 2015-06-17 2015-06-17 삼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650A KR20160148886A (ko) 2015-06-17 2015-06-17 삼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886A true KR20160148886A (ko) 2016-12-27

Family

ID=5773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650A KR20160148886A (ko) 2015-06-17 2015-06-17 삼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88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744B1 (ko) * 2019-12-30 2020-05-29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분화 촉진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744B1 (ko) * 2019-12-30 2020-05-29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분화 촉진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0040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uscle diseases or improving muscular function, containing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
US10576057B2 (en) Methods for treating muscle wasting and degeneration diseases
JP6474418B2 (ja) フコステロールを含有する皮膚美白又は皮膚保湿用組成物
KR101997060B1 (ko) 발효 녹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10014231A (ko)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776001B1 (ko) 판두라틴 또는 핑거루트(보에센베르기아 판두라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10507224B2 (en) Composition including kirenol or siegesbeckia herba extract for muscle function improvement or exercise ability enhancement
KR20170124426A (ko) 아마란스 또는 곡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00023235A (ko) 강글리오사이드를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838379B1 (ko) 자바강황 추출물 또는 잔소리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타액 분비 증강용, 또는 구강건조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48886A (ko) 삼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
KR101809143B1 (ko) 시게스벡키아 오리엔탈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US10925304B2 (en) Method for treating chronic fatigue syndrome, idiopathic chronic fatigue, and fibromyalgia
KR20150113709A (ko)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830395B1 (ko) 스쿠알렌을 함유하는 근기능 향상 및 근육 손상 예방용 조성물
KR101855962B1 (ko) 희첨 추출물을 포함하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조성물
KR101759779B1 (ko) 키레놀 또는 희첨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010858B1 (ko) 콩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97887A (ko) 덴드란테마 보레알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772804B1 (ko) 잔소리졸 또는 자바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10050807A (ko) 마리안 플럼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 기능 개선, 운동수행능력 증강 또는 항-피로용 조성물
KR20200123688A (ko) 약쑥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90063261A (ko) 식물성스테롤(Phytosterols)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타액 분비 증강 또는 구강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00127A (ko) 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용 조성물
KR20180000124A (ko) 육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