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7975A - 튜닝가능한 안테나, 조정가능한 안테나 임피던스 정합 회로 및 안테나 스위칭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튜닝가능한 안테나, 조정가능한 안테나 임피던스 정합 회로 및 안테나 스위칭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7975A
KR20160147975A KR1020167033407A KR20167033407A KR20160147975A KR 20160147975 A KR20160147975 A KR 20160147975A KR 1020167033407 A KR1020167033407 A KR 1020167033407A KR 20167033407 A KR20167033407 A KR 20167033407A KR 20160147975 A KR20160147975 A KR 20160147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
circuit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3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0174B1 (ko
Inventor
매튜 에이. 모우
토마스 이. 비드카
리앙 한
밍-주 차이
제임스 제이. 주드킨스
바스케즈 엔리케 아얄라
자예시 나스
홍페이 후
난보 진
하오 수
이준 조우
유에후이 오우양
빅터 리
마티아 파스콜리니
루벤 카발레로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160147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58Arrangements for matching and coupling between power amplifier and antenna or between amplifying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8Input circuits, e.g. for coupling to an antenna or a transmission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04B1/48Transmit/receive switching in circuits for connecting transmitter and receiver to a common transmission path, e.g. by energy of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9Performance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nsceiver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전자 디바이스에 무선 회로가 제공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무선 회로를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회로는 튜닝된 안테나, 조정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회로, 안테나 포트 선택 회로, 및 조정가능한 송수신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회로 조정은 센서 데이터, 셀룰러 기지국 장비 또는 다른 외부 장비로부터의 정보, 신호-대-잡음비 정보 또는 다른 신호 정보, 안테나 임피던스 측정, 및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에 대한 다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현재의 사용 시나리오를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튜닝가능한 안테나, 조정가능한 안테나 임피던스 정합 회로 및 안테나 스위칭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ELECTRONIC DEVICE WITH TUNABLE ANTENNAS, ADJUSTABLE ANTENNA IMPEDANCE MATCHING CIRCUITRY AND ANTENNA SWITCHING}
본 출원은 2014년 6월 2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4/310,240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편입된다.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전자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회로를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전자 디바이스들은 종종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기들, 컴퓨터들, 및 다른 디바이스들은, 종종,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안테나들 및 무선 송수신기들을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 내의 무선 통신 회로가 모든 동작 조건에서 만족할만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의 부근에서의 외부 물체의 존재 또는 부재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환경은 안테나 튜닝(antenna tuning) 및 무선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전자 디바이스의 무선 성능은 특정 동작 환경에서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동작 환경에서 전자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개선된 무선 통신 회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자 디바이스에 무선 회로가 제공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실시간으로 무선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무선 회로를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회로는 성능을 최적화하도록 튜닝된 안테나들, 성능을 최적화하도록 조정되는 조정가능한 정합 회로, 성능을 최적화하도록 조정되는 안테나 포트 선택 회로, 및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는 송수신기들 및 기타 무선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회로 조정은 전자 디바이스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지식(즉, 현재의 사용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조정은 배향 센서, 근접 센서, 자이로스코프, 오디오 센서, 커넥터 센서, 또는 기타 센서로부터의 데이터와 같은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조정은 또한 신호-대-잡음비 정보와 같은 국부적으로 생성된 신호 정보 및 전자 디바이스 내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회로로부터 수신된 신호 강도 정보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조정은 또한 측정된 안테나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링크 품질 정보, 신호-대-잡음비 정보, 또는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기지국과 같은 외부 장비로부터의 다른 정보와 같은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으로 생성된 정보는 또한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어느 무선 회로 조정을 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회로를 구비한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회로를 구비한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회로의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및 사용 중지로 전환될 수 있고 조정될 수 있는 한 쌍의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의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임피던스 정보를 수집하고 안테나에 대한 조정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회로를 튜닝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회로의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동작 환경을 수용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에서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조정가능한 무선 회로의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가능한 무선 회로를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를 동작하는 것에 포함된 예시적인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거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커플러(coupler)들을 안테나에 통합하기 위한 예시적인 위치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의 전자 디바이스(10)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는 무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플러는 RF 송수신기(radio-frequency transceiver)와 관련 안테나 사이의 경로를 탭핑(tapping)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탭으로부터의 출력은 안테나로 송신되는 안테나 신호 및 안테나로부터 반사되는 안테나 신호를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 내의 처리 회로는 탭핑된 안테나 신호를 처리하여 안테나 임피던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는 또한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는 물체가 안테나의 부근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커넥터가 전자 디바이스 내의 커넥터 포트에 플러그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센서 데이터는 또한 지구 및 다른 환경 파라미터에 대한 전자 디바이스의 배향을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또는 전자 디바이스 내의 다른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수신된 신호 강도 정보, 신호-대-잡음 정보, 및 다른 수신된 신호 정보와 같은 수신된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또한 셀룰러 전화 기지국 또는 다른 외부 장비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 장비는 외부 장비에서 수신된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 정보는 결국 다시 전자 디바이스로 무선으로 전달될 수 있다.
외부 장비로부터 전자 디바이스로 전달되는 정보, 안테나 임피던스 정보, 센서로부터의 정보, 수신된 신호 강도 정보와 같은 수신된 신호에 대한 국부적으로 수집된 정보, 및 디바이스와 그 컴포넌트들의 동작 상태는, 안테나들을 튜닝하고, 정합 회로를 조정하고, 안테나의 사용 및 사용 중지를 전환(즉, 안테나 포트 선택들을 행함)하고, 그렇지 않으면 디바이스(10)의 무선 회로가 최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디바이스(10) 내의 무선 회로에 대한 조정을 행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셀룰러 전화 대역과 같은 장거리 통신 대역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회로, 및 2.4 ㎓ 블루투스(Bluetooth)® 대역 및 2.4 ㎓와 5 ㎓ 와이파이(WiFi)®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대역(때때로 IEEE 802.11 대역 또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통신 대역으로 지칭됨)과 같은 단거리 통신 대역에서 동작하는 무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는 근거리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무선 통신 회로, 광-기반 무선 통신, 위성 항법 시스템 통신, 또는 다른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는, 랩톱 컴퓨터와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 내장형 컴퓨터를 가진 컴퓨터 모니터, 태블릿 컴퓨터, 셀룰러 전화, 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다른 핸드헬드(handheld)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손목시계 디바이스와 같은 더 작은 디바이스, 펜던트(pendant) 디바이스, 헤드폰이나 이어피스(earpiece) 디바이스, 안경 또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다른 장비에 내장된 디바이스, 또는 다른 착용형 또는 소형 디바이스, 텔레비전, 내장형 컴퓨터를 갖지 않은 컴퓨터 디스플레이, 게임용 디바이스, 내비게이션 디바이스(navigation device),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장비가 키오스크(kiosk) 또는 자동차 내에 장착되어 있는 시스템과 같은 내장형 시스템, 이러한 디바이스들 중 둘 이상의 기능을 구현하는 장비, 또는 다른 전자 장비일 수 있다. 도 1의 예시적인 구성에서, 디바이스(10)는 셀룰러 전화,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 또는 다른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이다. 원하는 경우, 디바이스(10)를 위한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의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도 1의 예에서, 디바이스(10)는 디스플레이(14)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4)는 하우징(12)과 같은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있다. 종종 인클로저(enclosure) 또는 케이스(case)라고 지칭될 수 있는 하우징(12)은 플라스틱, 유리, 세라믹스, 섬유 복합체, 금속(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등), 다른 적합한 재료, 또는 이러한 재료의 임의의 둘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2)은 하우징(12)의 일부 또는 전부가 단일 구조물로서 기계가공되거나 성형된 일체형 구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거나, 다수의 구조물들(예컨대, 내부 프레임 구조물, 외부 하우징 표면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구조물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전도성 용량성 터치 센서 전극(conductive capacitive touch sensor electrode)의 층 또는 다른 터치 센서 컴포넌트들(예컨대, 저항성 터치 센서 컴포넌트, 청각적 터치 센서 컴포넌트, 힘 기반 터치 센서 컴포넌트, 광 기반 터치 센서 컴포넌트 등)을 통합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일 수 있거나, 또는 터치 감응형이 아닌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용량성 터치 스크린 전극들은 인듐 주석 산화물 패드의 어레이 또는 다른 투명한 전도성 구조물들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컴포넌트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픽셀들의 어레이,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픽셀들의 어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픽셀들의 어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픽셀들의 어레이,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픽셀들의 어레이,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기술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투명한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의 층과 같은 디스플레이 커버 층(display cover layer)을 이용하여 보호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 층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16)과 같은 버튼을 수용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커버 층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 포트(speaker port)(18)와 같은 포트를 수용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커버 층에 개구가 또한 형성될 수 있다. 통신 포트(예컨대, 오디오 잭 포트, 디지털 데이터 포트 등)를 형성하기 위해 하우징(12)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2)의 주변부는, 후방 하우징 구조물(예를 들어, 디바이스(10)의 에지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따라 상향 연장되는 측벽들)의 금속 부분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별개의 주변 전도성 하우징 부재들(예를 들어, 수직 또는 만곡 측벽들로서 기능하는 베젤(bezel) 부재 또는 금속 밴드)로 형성될 수 있다. 간극(gap)(20)과 같은 간극이 하우징(12)의 주변 전도성 하우징 구조물들에 형성될 수 있다. 간극(20)은 예를 들어 디바이스(10) 내의 중심 접지 평면으로부터 주변 전도성 부재의 단부 부분들을 격리시킬 수 있다. 간극(20)은 플라스틱, 공기, 및/또는 다른 유전체 재료로 채워질 수 있다.
디바이스(10)에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도시하는 개략도가 도 2에 도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는 저장 및 처리 회로(30)와 같은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및 처리 회로(3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스토리지, 비휘발성 메모리(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다른 전기적 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예컨대, 정적 또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등과 같은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및 처리 회로(30) 내의 처리 회로는 디바이스(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처리 회로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집적회로들, 응용 주문형 집적회로들 등에 기초할 수 있다.
저장 및 처리 회로(30)는 인터넷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 VOIP(voice-over-internet-protocol) 전화 통화 애플리케이션,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미디어 재생 애플리케이션, 운영 체제 기능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디바이스(10) 상에서 실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외부 장비와의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해, 저장 및 처리 회로(30)는 통신 프로토콜을 구현할 시에 사용될 수 있다. 저장 및 처리 회로(30)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은 인터넷 프로토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프로토콜(예컨대, IEEE 802.11 프로토콜 -- 때때로 와이파이®로 지칭됨), 블루투스® 프로토콜과 같은 다른 단거리 무선 통신 링크를 위한 프로토콜, 셀룰러 전화 프로토콜, MIMO 프로토콜, 안테나 다이버시티 프로토콜 등을 포함한다.
디바이스(10)는 입출력 회로(44)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회로(44)는 입출력 디바이스들(32)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가 디바이스(1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리고 데이터가 디바이스(10)로부터 외부 디바이스들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입출력 디바이스들(32)이 사용될 수 있다. 입출력 디바이스들(3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데이터 포트 디바이스, 및 다른 입출력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디바이스들은 터치 스크린, 터치 센서 기능이 없는 디스플레이, 버튼, 조이스틱, 클릭 휠, 스크롤 휠, 터치 패드, 키 패드, 키보드, 마이크로폰, 카메라, 버튼, 스피커, 상태 표시자, 광원, 오디오 잭 및 기타 오디오 포트 컴포넌트들, 디지털 데이터 포트 디바이스, 광 센서, 모션 센서(가속도계), 커패시턴스 센서, 근접 센서(예컨대, 용량성 근접 센서 및/또는 적외선 근접 센서), 자기 센서, 오디오 잭 및/또는 디지털 데이터 커넥터와 같은 커넥터가 디바이스(10)의 커넥터 포트 내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커넥터 포트 센서, 디바이스(10)가 독(dock) 내에 장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커넥터 포트 센서 또는 기타 센서, 커넥터들의 존재를 모니터링하고 어떤 유형의 커넥터가 플러그되었는지를 식별하는 커넥터 인터페이스 회로 또는 다른 회로, 액세서리 식별자로서 기능하는 커넥터 플러그의 저항기 또는 다른 회로를 측정하는 센서, 디바이스(10)가 액세서리에 결합되는지 여부 및/또는 어떤 유형의 커넥터 및/또는 다른 액세서리가 디바이스(10)에 결합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기타 센서들, 및 기타 센서들 및 입출력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회로(44)는 외부 장비와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회로(34)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4)는 하나 이상의 집적회로로 형성된 RF 송수신기 회로, 전력 증폭기 회로, 저잡음 입력 증폭기, 수동 RF 컴포넌트, 하나 이상의 안테나, 전송 라인(transmission line), 및 RF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다른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또한 광을 이용하여(예컨대,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4)는 다양한 RF 통신 대역을 처리하기 위한 RF 송수신기 회로(9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34)는 송수신기 회로(36, 38, 42)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 회로(36)는 와이파이®(IEEE 802.11) 통신을 위한 2.4 ㎓ 및 5 ㎓ 대역을 처리할 수 있고 2.4 ㎓ 블루투스® 통신 대역을 처리할 수 있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송수신기 회로일 수 있다.
회로(34)는, (예로서) 700 내지 960 ㎒의 낮은 통신 대역, 1710 내지 2170 ㎒의 중간 대역, 및 2300 내지 2700 ㎒의 높은 대역 또는 700 ㎒와 2700 ㎒ 사이의 다른 통신 대역들과 같은 주파수 범위들, 또는 다른 적합한 주파수들 내의 무선 통신을 처리하기 위한 셀룰러 전화 송수신기 회로(38)를 사용할 수 있다. 회로(38)는 음성 데이터 및 비음성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4)는, 원하는 경우, 다른 단거리 및 장거리 무선 링크들을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회로(34)(예컨대, 송수신기(90))는 60 ㎓ 송수신기 회로, 텔레비전 및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회로, 호출 시스템 송수신기,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34)는 1575 ㎒의 글로벌 위치추적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다른 위성 위치추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GPS 수신기 회로(42)와 같은 위성 내비게이션 시스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링크 및 다른 단거리 무선 링크에서, 무선 신호는 전형적으로 수십 또는 수백 피트에 걸쳐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 이용된다. 셀룰러 전화 링크 및 기타 장거리 링크에서, 무선 신호는 전형적으로 수천 피트 또는 마일에 걸쳐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 이용된다.
무선 통신 회로(34)는 안테나(40)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40)는 임의의 적합한 안테나 유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들(40)은 루프 안테나 구조물들, 패치 안테나 구조물들, 역F(inverted-F) 안테나 구조물들, 슬롯 안테나 구조물들, 평면 역F 안테나 구조물들, 나선형 안테나 구조물들, 이들 설계들의 하이브리드들 등으로부터 형성되는 공진 요소들을 갖는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안테나들(40) 중 하나 이상의 안테나는 후면-공동형 안테나일 수 있다. 상이한 유형들의 안테나들은 상이한 대역들 및 대역들의 조합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유형의 안테나는 로컬 무선 링크 안테나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다른 유형의 안테나는 원격 무선 링크 안테나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송 라인 경로들은 안테나 구조물들(40)을 송수신기 회로(90)에 결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 내의 전송 라인들은 동축 케이블 경로, 마이크로스트립(microstrip) 전송 라인, 스트립라인(stripline) 전송 라인, 에지-결합형 마이크로스트립 전송 라인, 에지-결합형 스트립라인 전송 라인, 이러한 유형들의 전송 라인들의 조합으로 형성된 전송 라인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필터 회로, 스위칭 회로, 임피던스 정합 회로, 및 다른 회로는 전송 라인들 내에 개재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다수의 안테나들(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다른 안테나가 외부 물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동안, 안테나들 중 하나 이상의 안테나가 차단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의 신체 또는 다른 외부 물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제어 회로(30)는 실시간으로 디바이스(10)에서 사용하기 위한 최적 안테나(예컨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최적 안테나 등)를 선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어 회로(30)는, 예를 들어, 수신된 신호 강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거나, 센서 데이터(예를 들어, 다수의 안테나들 중 어느 안테나가 외부 물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근접 센서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거나, 커플러로부터 탭핑된 안테나 신호(예컨대, 안테나 임피던스 정보)에 기초하거나, 커넥터 사용 정보에 기초하거나,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기지국과 같은 외부 장비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거나, 다른 정보에 기초하여 안테나 선택을 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는 무선 링크(82)와 같은 무선 링크를 통해 외부 장비(80)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외부 장비(80)는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기지국,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장비(예컨대, 무선 라우터 및/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피어 디바이스(peer device), 및 다른 외부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82)는 셀룰러 전화 링크,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링크, 또는 다른 유형들의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지원되는 통신 링크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회로(34) 내의 송수신기 회로(90)는 경로(92)와 같은 경로들을 사용하여 안테나 구조물들(40)에 결합될 수 있다. 무선 회로(34)는 제어 회로(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어 회로(30)는 입출력 디바이스들(32)에 결합될 수 있다. 입출력 디바이스들(32)은 디바이스(10)로부터의 출력을 공급할 수 있고 디바이스(10)의 외부에 있는 소스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관심 빈도를 커버하기 위한 능력을 갖는 안테나 구조물들(40)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테나 구조물들(40)은 필터 회로(예컨대, 하나 이상의 수동 필터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튜닝가능한 필터 회로들)와 같은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커패시터들, 인덕터들, 및 저항기들과 같은 개별 컴포넌트들이 필터 회로에 통합될 수 있다. 용량성 구조물들, 유도성 구조물들, 및 저항성 구조물들은 또한 패터닝된 금속 구조물들(예컨대, 안테나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안테나 구조물들(40)은 관심있는 통신 대역들에 걸쳐 안테나들을 튜닝하고 원하는 주파수 커버리지가 다양한 상이한 동작 환경들에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들(102)과 같은 조정가능한 회로들을 구비할 수 있다.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들(102)은 튜닝가능한 인덕터, 튜닝가능한 커패시터, 또는 다른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과 같은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들은 고정된 컴포넌트들의 스위치 및 네트워크, 관련 분산 커패시턴스 및 인덕턴스를 생성하는 분산 금속 구조물들, 가변 커패시턴스 및 인덕턴스 값들을 생성하기 위한 가변 솔리드 스테이트 디바이스, 튜닝가능한 필터들, 또는 다른 적절한 튜닝가능한 구조물들에 기초할 수 있다. 디바이스(10)의 동작 중에, 제어 회로(30)는 인덕턴스 값, 커패시턴스 값, 또는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들(102)과 연관된 다른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경로(88)와 같은 하나 이상의 경로에서 제어 신호를 발행함으로써, 안테나 구조물들(40)을 튜닝하여 원하는 통신 대역이 커버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경로(92)는 하나 이상의 전송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3의 신호 경로(92)는 라인(94)과 같은 포지티브 신호 전도체 및 라인(96)과 같은 접지 신호 전도체를 갖는 전송 라인일 수 있다. 라인들(94, 96)은 (예들로서) 동축 케이블 또는 마이크로스트립 전송 라인의 부분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인덕터들, 저항기들, 및 커패시터들과 같은 컴포넌트들로 형성된 정합 네트워크는 안테나 구조물들(40)의 임피던스를 전송 라인(92)의 임피던스에 정합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정합 네트워크 컴포넌트들이 개별 컴포넌트들(예컨대, 표면 실장 기술 컴포넌트들)로서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하우징 구조물, 인쇄 회로 기판 구조물, 플라스틱 지지부들 상의 트레이스들 등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들과 같은 컴포넌트들은 또한 안테나 구조물들(40) 내의 필터 회로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들(102)과 같은 튜닝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임피던스 정합 네트워크에 제공되어 디바이스(10)의 안테나(들)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튜닝가능한 정합 네트워크 컴포넌트들은 디바이스(10)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40)에서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들(102)(예컨대, 안테나 공진 요소와 접지 사이에 결합된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들)의 사용과 조합하여 무선 회로 조정을 행하여 무선 회로 조정을 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거나, 원하는 경우, 정합 회로 조정이 별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송 라인(92)은 안테나 구조물들(40)과 연관된 안테나 피드 구조물(antenna feed structure)들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안테나 구조물들(40)은 역F 안테나, 슬롯 안테나, 하이브리드 역F 슬롯 안테나, 또는 단자(98)와 같은 포지티브 안테나 피드 단자 및 접지 안테나 피드 단자(100)와 같은 접지 안테나 피드 단자를 구비한 안테나 피드를 갖는 다른 안테나를 형성할 수 있다. 포지티브 전송 라인 전도체(94)는 포지티브 안테나 피드 단자(98)에 결합될 수 있고, 접지 전송 라인 전도체(96)는 접지 안테나 피드 단자(92)에 결합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다른 유형들의 안테나 피드 배열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의 예시적인 피딩 구성(feeding configuration)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도 4는 전자 디바이스(10)에 대한 예시적인 구성의 무선 회로의 도면이다. 도 4의 예에서, 디바이스(10)는 2개의 안테나(40)를 포함한다. 제1 안테나(안테나(40A))는 디바이스(10)의 일 단부에 위치하고, 제2 안테나(안테나(40B))는 디바이스(10)의 대향 단부에 위치한다. 디바이스(10)는 추가 안테나들을 가질 수 있다. 2개의 안테나(안테나들(40A, 40B))의 사용이 본 명세서에서 일례로서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유형의 디바이스에서, 스피커 포트(18) 근처에 위치한 안테나는 때때로 상부 안테나로 지칭될 수 있고 버튼(16) 근처에 위치한 안테나는 때때로 하부 안테나로 지칭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 안테나들(40A 및/또는 40B)은 역F 안테나이다. 이것은 단지 예시일 뿐이다. 일반적으로, 안테나들(40A 및/또는 40B)은 임의의 적합한 안테나 유형(슬롯, 역F, 평면 역F, 루프, 하이브리드 슬롯 및 역F, 다른 유형의 안테나, 및 이들과 같은 다수의 안테나 구조물들에 기초한 하이브리드)에 기초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역F 안테나(40A)는 안테나 공진 요소(106A) 및 안테나 접지(접지 평면; 104)를 갖는다. 안테나 공진 요소(106)는 (고대역 공진을 지원하기 위한) 예시적인 고대역 분기(108-1A) 및 (저대역 공진을 지원하기 위한) 예시적인 저대역 분기(108-2A)와 같은 하나 이상의 분기로 분할되는 주 공진 요소 아암(main resonating element arm)을 가질 수 있다. 공진 요소(106A)의 공진 요소 아암의 크기(즉, 분기들(108-1A, 108-2A)의 길이)는 안테나(40A)가 원하는 동작 주파수에서 공진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복귀 경로(110A)는 분기들(108-1A, 108-2A)을 접지(104)에 결합한다. 접지(104)는 금속 하우징 중간-플레이트 및/또는 디바이스(10) 내의 다른 전도성 구조물들로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 피드 경로(112A)는 복귀 경로(110A)와 병렬로 결합될 수 있다. 피드(112A)는 포지티브 안테나 피드 단자(98A) 및 접지 안테나 피드 단자(100A)를 포함할 수 있고, 역F 안테나 공진 요소 아암 및 접지(104)의 분기들 사이에서 복귀 경로(110A)와 평행하게 이어질 수 있다.
도 4의 예시적인 예에서, 역F 안테나(40B)는 역F 안테나(40A)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특히, 역F 안테나(40B)는 안테나 공진 요소(106B) 및 안테나 접지(접지 평면; 104)를 갖는다(즉, 안테나 접지(104)는 안테나들(40A, 40B)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안테나 공진 요소(106B)는 (고대역 공진을 지원하기 위한) 예시적인 고대역 분기(108-2B) 및 (저대역 공진을 지원하기 위한) 예시적인 저대역 분기(108-1B)와 같은 하나 이상의 분기로 분할되는 주 공진 요소 아암을 가질 수 있다. 공진 요소(106B)의 공진 요소 아암의 크기(즉, 분기들(108-1B, 108-2B)의 길이)는 안테나(40B)가 원하는 동작 주파수에서 공진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복귀 경로(110B)는 분기들(108-1B, 108-2B)을 접지(104)에 결합한다. 안테나 피드 경로(112B)는 복귀 경로(110B)와 병렬로 결합될 수 있다. 피드(112B)는 포지티브 안테나 피드 단자(98B) 및 접지 안테나 피드 단자(100B)를 포함할 수 있고, 역F 안테나 공진 요소 아암 및 접지(104)의 분기들 사이에서 복귀 경로(110B)와 평행하게 이어질 수 있다.
안테나(40A)는, 예를 들어, 도 1의 디바이스(10)와 같은 직사각형 디바이스 내의 상부 안테나(UAT)일 수 있고, 안테나(40B)는 디바이스(10) 내의 대향하는 하부 안테나일 수 있다. 디바이스(10)가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또는 둘 이상의 안테나(40)를 포함하는 다른 무선 장비인 구성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4의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원하는 경우, 안테나들(40A, 40B)과 같은 안테나들은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40A)는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들)(102A)를 가질 수 있고, 안테나(40B)는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들)(102B)를 가질 수 있다.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들(102A, 102B)은, 예를 들어, 공진 요소들(106A, 106B)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하우징(12) 내의 주변 전도성 부재 내의 하나 이상의 간극(20)을 브릿지(bridge)하는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들일 수 있다.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들은 안테나 복귀 경로에 위치될 수 있고, 안테나 피드에 결합될 수 있고, 안테나 복귀 경로 및/또는 안테나 피드와 병렬로 안테나 공진 요소와 접지 사이의 분리에 걸쳐 이어질 수 있고, 간극들(20)과 같은 주변 간극들에 걸쳐 이어질 수 있고, 기타 등등일 수 있다. 도 4의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도 4의 안테나들(40A, 40B)과 같은 안테나들은 근처의 물체들의 존재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들(40A 및/또는 40B)과 같은 안테나는 디바이스(10)가 외부 물체(114)와 같은 외부 물체가 근처에 없는 빈 공간에서 동작될 때 예상 주파수 응답을 나타낼 수 있지만, 디바이스(10)가 외부 물체(114)의 존재 하에서 동작될 때 상이한 주파수 응답을 나타낼 수 있다. 외부 물체(114)와 디바이스(10) 내의 각각의 안테나 사이의 거리의 크기는 또한 안테나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물체(114)와 같은 외부 물체들은 사용자의 신체(예컨대, 사용자의 머리, 사용자의 다리, 사용자의 손, 또는 다른 사용자 신체 부분)를 포함할 수 있고, 디바이스(10)가 놓여 있는 테이블 또는 다른 무생물을 포함할 수 있고, 유전체 물체를 포함할 수 있고, 전도성 물체들을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무선 성능에 영향을 주는(예를 들어, 디바이스(10) 내에 안테나를 로딩하여 안테나에 대한 안테나 임피던스에 영향을 줌으로써) 다른 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
물체(114)와 같은 외부 물체가 안테나의 부근에 있을 때(예를 들어, 물체(114)가 안테나의 10cm 내에 있을 때, 물체(114)가 안테나의 1cm 내에 있을 때, 물체(114)가 안테나의 1mm 내에 있을 때, 또는 디바이스(10)의 안테나와 물체(114) 사이의 거리가 다른 적절한 값을 가질 때), 안테나는 변경된 주파수 응답을 제시할 수 있다(예를 들어, 안테나는 안테나의 임피던스가 물체(114)로부터의 로딩으로 인해 변경되었기 때문에 디튜닝(detuning)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또한 물체(114)에 의해 흡수 및/또는 반사됨으로써 감쇠(즉, 차단)될 수 있다. 일부 상황들에서, 안테나들(40A, 40B)과 같은 안테나들은 디바이스(10)에 플러그된 외부 커넥터와 연관된 금속의 존재로 인해 디튜닝될 수 있다. 디바이스(10)가 도 2의 장비(80)와 같은 외부 장비와 통신하고 있을 때, (디바이스(10)의 부근에 있을 수 있거나 없을 수 있는) 외부 장비(80)의 부근에 있는 물체들은 또한 디바이스(10)의 무선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예들 들어, 외부 장비(80)와 디바이스(10) 사이를 이동하고 있는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등).
신호 품질 문제 및 다른 성능 문제와 같은 안테나 관련 성능 문제는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들(102A, 102B)과 같은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들을 능동적으로 조정하고, 안테나 포트 선택을 조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디바이스(10)의 무선 회로의 동작을 조정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처리될 수 있다.
무선 회로 제어 알고리즘은 제어 회로(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안테나 조정은, 디바이스(10)의 현재 동작 상태에 대한 지식에 기초하고,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고, 커넥터 사용 정보에 기초하고, 수신된 신호 강도 정보 또는 다른 신호 정보에 기초하고, 외부 장비(88)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고/하거나, 안테나 임피던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회로(30)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실시간으로 안테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해 피드백을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회로가 도 5에 도시된다. 도 5의 회로는, 도 4의 안테나(40A) 및/또는 안테나(40B) 또는 디바이스(10)의 다른 안테나들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40)(예를 들어, 안테나(40A), 안테나(40B) 등)는 조정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회로(124)를 통해 커플러(122)에 결합될 수 있다. 커플러(122)는 안테나(40)로 그리고 그로부터 흐르는 안테나 신호를 탭핑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커플러(122)로부터 탭핑된 안테나 신호는 송수신기 회로(90)의 수신기 또는 별도의 수신기를 사용하여 처리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커플러(122)는 탭핑된 안테나 신호를 수신기(90')에 제공할 수 있다. 처리 회로(30)(예컨대,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내의 회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의 회로, 및/또는 다른 제어 회로)는 송수신기(90) 및 수신기(90')에 결합될 수 있다. 제어 경로(128)는, 임피던스 정합 회로(124)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도록(예를 들어, 원하는 레벨의 안테나 성능을 유지하도록) 안테나(40)를 조정하기 위해(예를 들어, 안테나(40) 내의 튜닝가능한 컴포넌트(102)를 조정함으로써 안테나(40)를 튜닝하기 위해) 처리 회로(30)에 의해 사용될 수 있고/있거나, 커플러(122)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송수신기 회로(90) 내의 송신기에 의해 송신되고 있는 탭핑된 버전의 신호들을 수신기(90')에 제공하거나 안테나(40)로부터 반사된 대응하는 탭핑된 버전의 송신된 신호들을 수신기(90')에 제공하도록 커플러(122)를 지향시키기 위해). 안테나(40)에 대한 송신 및 반사된 신호들을 처리함으로써, 안테나(40)의 임피던스의 위상 및 크기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수집될 수 있다. 안테나(40)의 임피던스의 위상 및 크기는 안테나(40)의 동작이 디바이스(10)의 동작 환경(예를 들어, 디튜닝된 안테나(40)를 갖는 외부 물체의 존재)에 의해 영향을 받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센서는 또한 디바이스(10)의 동작 환경을 결정하기 위해 디바이스(10)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디바이스(10)는 (예로서) 용량성 근접 센서 또는 광 기반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센서 데이터를 제어 회로(30)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는 외부 물체가 센서로부터 특정 거리에 있음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디바이스(10)는 커넥터 센서들을 가질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예를 들어, 압력 감응형 스위치와 같은 커넥터 센서, 또는 디바이스(10) 내의 커넥터 포트에 플러그된 커넥터의 존재 및 부재를 검출하는 기타 센서 메커니즘(예를 들어, 광 기반 센서 등)을 가질 수 있다. 커넥터 존재(그리고, 원하는 경우, 커넥터 유형)는 또한 디바이스(10)의 제어 회로 내의 통신 포트 회로를 사용하여 구현된 커넥터 센서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음향 신호는 오디오 센서를 사용하여 수집될 수 있고, 가속도계는 디바이스 움직임 및 지구에 대한 디바이스(10)의 배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나침반 또는 자이로스코프는 디바이스 배향 및 움직임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카메라 및 주변 광 센서와 같은 광 기반 센서는 디바이스(10)가 동작하고 있는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온도 센서는 디바이스 온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기타 센서들은 디바이스(10)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의 동작 중에, 제어 회로(30)는 디바이스(10)의 현재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튜닝가능한 안테나 컴포넌트들(예컨대, 도 4의 컴포넌트들(102A 및/또는 102B)과 같은 컴포넌트들) 및 다른 무선 회로(34)를 어떻게 조정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서, 디바이스(10)의 사용자가 안테나(40B)의 부근에 디바이스(10)를 유지하고 있다(예를 들어, 간극들(20) 중 하나를 커버함으로써 안테나(40B)를 디튜닝하는 그립(grip)을 사용하여)는 시나리오를 고려한다. 이 시나리오에서, 안테나(40B)를 튜닝하는 것(즉, 사용자의 손이 있는 경우에도 안테나(40B)의 만족스러운 동작을 보장하는 상태로 안테나(40B)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안테나로 전환하는 것(즉, 안테나(40A)를 안테나(40B) 대신에 사용하는 것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안테나 튜닝 조정 및 안테나 포트 조정을 행하는 것에 부가하여, 송수신기(90)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거나, 무선 회로(34)의 동작 주파수를 조정하거나(예를 들어, 상이한 주파수 및/또는 대역으로 전환하거나), 제1 무선 기술과 제2 무선 기술의 사용 간에 전환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디바이스(10)의 동작 환경의 검출된 변화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의 무선 동작을 조정하기 위해, 정합 회로(124)를 튜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디바이스(10)의 예시적인 무선 회로의 일반화된 도면이 도 6에 도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는 다수의 안테나들(40)을 가질 수 있다. 안테나들(40)은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들(102)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때때로 어퍼처 튜닝 능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테나(40)는 임피던스 정합 회로(124)와 같은 연관된 임피던스 정합 회로를 가질 수 있다. 방향성 커플러(122)는 임피던스 정합 회로(124)와 스위칭 회로(15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스위칭 회로(150)는 송수신기 회로(90) 내의 하나 이상의 개별 RF 송수신기 회로를 각각의 안테나(40)에 결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 회로(150)는 때때로 안테나 선택 회로 또는 안테나 포트 선택 회로로 지칭될 수 있다.
동작 중에, 제어 회로(30)는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커플러들(122)로부터 안테나 임피던스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 회로(30)는 또한 외부 장비(80)가 무선 링크(82)를 통해 디바이스(10)에 전송하고 있는 정보를 외부 장비(80)로부터 수집할 수 있고, 센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수신된 신호 강도 정보, 신호-대-잡음비 정보, 및 송수신기 회로(90)로부터의(또는 외부 장비(80)로부터의) 다른 신호 품질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디바이스(10) 상의 현재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어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또는 다른 코드가 활성인지)를 수집할 수 있고, 디바이스(10) 상의 다른 정보 및 디바이스(10)의 동작 환경을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회로(30)는 경로들(152)과 같은 경로들에 제어 커맨드들을 발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30)는, 원하는 송수신기 회로를 활성화하고, 원하는 동작 주파수에 튜닝하고,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 등을 위한 커맨드들을 송수신기 회로(90)에 발행할 수 있고, 송수신기 회로 (90) 내에서 적절한 송수신기(무선 장치)를 사용하여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으로 전환하기 위한 커맨드들을 스위칭 회로(150)에 발행할 수 있고,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다른 조정들 등을 행하기 위한 커맨드들을 임피던스 정합 회로(124) 및/또는 안테나들(40) 내의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들(102)에 발행할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수 또는 송수신기들(90)이 디바이스(10)에 사용될 수 있다. 각 무선 장치(송수신기 회로) 내의 송신기 및 수신기의 수는 (예로서) 2개 이상일 수 있다. 포트 스위치(150)는 도 6에 도시된 곳이나 또는 무선 회로(34)의 다른 곳에 위치될 수 있다. 커플러(122)는 포트 스위치(150)와 임피던스 정합 회로(124) 사이에 위치될 수 있거나 무선 회로(34)의 다른 곳에 위치될 수 있다. 튜닝 안테나(들)(40)에 대한 조정가능한 컴포넌트들은 안테나(40)의 안테나 공진 요소에 결합될 수 있고, 안테나(40)와 연관된 복귀 경로에 개재될 수 있고, 공진 요소의 연장된 부분들에 결합될 수 있고, 기타 등등이 있을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포트 스위치(150)를 사용하여 포트 선택을 행함으로써, 안테나(들)(40) 내의 튜닝가능한 컴포넌트(102)를 사용하여 안테나 어퍼처 튜닝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임피던스 정합 회로(124)를 튜닝함으로써, 그리고 다른 회로 조정을 행함으로써, 무선 성능을 실시간으로 체계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다. 최적화는 이전에 특성화된 디바이스 성능 메트릭(performance metric)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디바이스 특성화를 수행함에 있어서, 디바이스(10)가 방사 성능 기준, 특정 흡수율(SAR) 기준 등과 같은 원하는 성능 기준을 만족할 수 있게 결합 안테나 시스템 설정이 바람직하게 식별된다. 최적화는 하나 이상의 무선 장치(송수신기(90))에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상황들(예를 들어, 디바이스(10)의 사용자의 신체가 디바이스(10)의 부근에 있을 때)에서, 디바이스(10)의 안테나 회로는 송신된 방사선이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멀리 이동되도록 보장하여, 특정 흡수율(SAR) 레벨(RF 전력의 흡수)을 줄이는 것을 돕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들과 같은 조정은 방사 성능을 향상시키고 디바이스(10)에 의한 RF(radio-frequency) 및 직류(DC)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임피던스 정합 회로(124)의 튜닝은 안테나 방사 패턴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지만, 다양한 동작 조건에서 임피던스 정합을 개선함으로써 무선 성능을 최적화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동작 중에, 디바이스(10)는 디바이스(10)의 사용자에 의해 디바이스(10)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고(즉, 디바이스(10)에 대한 사용 시나리오가 확인될 수 있음), 디바이스(10)를 위한 동작 환경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안테나(40)가 근처의 물체 등에 의해 로딩되는지 여부)를 수집할 수 있다. 예로서, 디바이스(10)는 사용자가 음성 전화 호출을 하고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고, 디바이스(10)가 특정 배향(세로방향, 가로방향 등)으로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가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기타 등등이 있을 수 있다. 사용 정보는 디바이스(10)가 어떻게 송신 전력을 조정하고, 정합 회로를 조정하고, 안테나(들)(40)를 튜닝하고, 포트 스위치(15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으로 전환하는지 등을 결정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또한 방향성 커플러(122)로부터의 임피던스 측정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가 디바이스(10)의 부근의 인접 물체의 존재에 의해 디튜닝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다른 영향을 받았지를 간접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대응하는 무선 회로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 사용 및 안테나 조정 설정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다른 제어 회로(30)에 연결된 센서들로부터의 정보, 방향성 커플러(122)로부터의 안테나 임피던스 측정치, 수신된 신호 정보(예를 들어, 수신된 신호 강도 정보, 신호-대-잡음 정보, 및 송수신기 회로(90)로부터의 다른 정보), 무선 회로(34)의 전력 증폭기로부터 이용가능한 전력에 대한 지식, 무선 회로(34)에 의해 현재 사용 중인 무선 기술에 대한 정보, 외부 장비(80)(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 기지국, 또는 수신된 신호 품질 정보, 송신된 신호 정보, 링크 품질 등과 같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다른 무선 기지국)로부터의 기지국 정보, 및 다른 입력들에 기초하여 확인될 수 있다.
디바이스(10)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사용 시나리오는, 인증 모드들(예를 들어, 빈 공간, 손과 머리, 메뉴 버튼이 왼쪽에 있는 가로방향, 메뉴 버튼이 오른쪽에 있는 가로방향), 실제 사용자의 왼손 세로 모드, 왼손 및 열 모드, 오른손 모드, 오른손 및 머리 모드, 왼쪽 메뉴 버튼을 갖는 실제 사용자 게이밍 그립(손들이 가로방향 디바이스의 대향하는 좌측 및 우측 에지들을 잡고 있음), 오른쪽 메뉴 버튼을 갖는 실제 사용자 게이밍 그립, 읽기 사용자 신체 측면 1, 측면 2 등, 금속 테이블 모드(들), 나무 테이블 모드(들), 유리 테이블 모드(들) 등을 포함한다.
정적 및 동적 환경에서 디바이스(10)에 대한 현재의 사용 시나리오를 결정하기 위하여, 디바이스(10)는, 헤드폰 잭 센서 또는 헤드폰이 디바이스(10)의 오디오 잭에 플러그되고 사용자를 위한 오디오 콘텐츠를 재생하는 데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디바이스(10) 내의 다른 회로로부터의 정보와 같은 센서 정보, 독 커넥터 또는 다른 데이터 커넥터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포트 커넥터가 안테나들(40) 중 하나 이상 안테나의 부근에 있는 커넥터 포트에 플러그인되어 안테나 성능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정보, 디바이스(10)에 대한 배향을 나타내는 자이로스코프 센서와 같은 센서들로부터의 정보, 가속도계(예컨대, 예를 들어 디바이스(10)가 세로 또는 가로 모드로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디바이스(10)의 배향 정보 및/또는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로부터의 정보, 하나 이상의 근접 센서(예컨대,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물체가 안테나의 부근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용량성 근접 센서, 광 기반 근접 센서 등), 사용자의 뺨, 귀, 몸, 손가락, 또는 손이 디바이스(10) 및/또는 디바이스(10) 내의 안테나(들)(40)에 인접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14)와 연관된 용량성 터치 센서(예컨대,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형성된 근접 센서)와 같은 터치 스크린 센서들, 이미지 센서들(예컨대,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 등), 및 스피커 회로(예를 들어, 스피커폰 스피커와 같은 제1 스피커가 오디오를 재생하는 데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 이어 스피커(ear speaker)와 같은 제2 스피커가 오디오를 재생하는 데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 등을 나타내는 오디오 회로)로부터의 정보, 음성 마이크로폰과 같은 제1 마이크로폰 및/또는 비디오 마이크로폰과 같은 제2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마이크로폰 데이터, 주변 광 센서로부터의 주변 광 센서 정보, 글로벌 위치추적 시스템 수신기 또는 다른 위성 내비게이션 시스템 수신기로부터의 정보, 나침반으로부터의 나침반 정보, 가속도계로부터의 진동 데이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시나리오에 대한 정보는 안테나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수집될 수 있다. 안테나 임피던스 데이터는,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방향성 커플러(122)로부터의 안테나 피드백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수집될 수 있다. 안테나 임피던스는 사용 시나리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이 안테나를 로딩할 때, 디바이스(10)가 금속 테이블 대 유전체 테이블 표면 상에 있을 때 등). 안테나(들)(40)에 대한 안테나 임피던스는 하나 이상의 셀룰러 전화 안테나, 하나 이상의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안테나(들), 및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안테나 또는 다른 안테나들에 대한 커플러(122)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측정될 수 있다. 안테나 임피던스에 대한 실제 및 가상(크기 및 위상) 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안테나 임피던스 정보는 또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40), 둘 이상의 안테나(40), 3개 이상의 안테나(40)(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 안테나,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안테나, 근거리 통신 안테나 등) 등에 대해 수집될 수 있다.
디바이스(10) 내의 무선 장치(예컨대, 무선 송수신기 회로(90))는 디바이스(10)가 실시간으로 디바이스(10)의 무선 회로를 제어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1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시나리오 및 다른 디바이스 정보는 송수신기들(90)로부터의 수신된 신호 전력 정보, 송수신기들(90)로부터의 신호-대-잡음비 정보, 송수신기들(90)로부터의 다른 신호 품질 정보, 채널들 및/또는 주파수 대역이 활성인 지식 등에 기초하여 수집될 수 있다. 일례로서, 송수신기 회로(90) 내의 베이스밴드 집적회로는 신호 품질 또는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RSSI) 메트릭과 같은 강도 메트릭에 대한 값을 생성할 수 있다. RSSI 정보 및/또는 베이스밴드 집적회로에 의해 생성되는 수신된 신호들에 대한 다른 정보는 안테나 성능(예를 들어, 특정 안테나들이 디튜닝되거나 차단되고 있는지 여부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송수신기들(90)은 또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채널 품질 표시자 및 랭크 표시자, 송신 전력 레벨 등과 같은 정보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회로(34)를 조정하기 위한 최적화 알고리즘은 디바이스(10)의 제어 회로(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최적화(제어) 알고리즘은 다수의 링크들에 걸친 신호-대-잡음비(예를 들어, 상이한 각각의 송수신기들(90)과 연관된 링크들에 대한 신호-대-잡음비 값들)와 같은 신호 기반 메트릭에 대한 신호의 가중된 합산에 기초할 수 있다). 가중된 합산에서, 신호-대-잡음비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모두에서 합산될 수 있다. 제어 알고리즘의 가중치는 하나의 송수신기를 다른 송수신기들보다 우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 송수신기는 바람직하지 않은 셀룰러 전화 호 중단(cellular telephone call drop)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송수신기보다 우선될 수 있다.
송수신기에 대한 업링크의 신호-대-잡음비는 사용 시나리오, 안테나 효율, 및 송수신기들(선형 및 비선형 효과를 포함할 수 있음) 간의 잠재적 간섭(공존 문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신호-대-잡음비 최적화(예를 들어, 가중치 최적화 함수를 사용하는)에 기초하여 무선 회로(34)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알고리즘은, 송수신기들로 하여금 원하는 통신 링크 품질을 유지하는 송신 전력 레벨을 유지하면서 송신 전력을 감소시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게 할 수 있다.
제어 알고리즘의 가중치는 동적일 수 있다. 동적 가중치는 채용되는 송수신기들의 동작 모드들의 함수로서 실시간으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중치는 어느 송수신기들(90)이 사용 중이고 신호들을 송신하고 있는지와 같은 인자들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가중치는 또한 송신 전력 값 및 각 송수신기의 동작 주파수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요인은 적절한 무선 회로 조정으로 처리할 수 있는 송수신기들 간에 공존 문제(간섭 문제)가 있는지 여부에 영향을 준다.
일반적으로, 신호-대-잡음비 값은 또한 채널 페이딩(channel fading), 경로 손실, 동일 채널 간섭 등과 같은 효과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안테나 효율 패턴은 실시간으로 조정되어 이러한 효과들을 완화할 수 있다(예를 들어, 안테나 튜닝은 빔(beam)이 효과적으로 안테나의 패턴을 형성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디바이스(10)에 대한 가중된 최적화 함수 또는 다른 무선 제어 알고리즘 설정에서 적절한 신호-대-잡음비 가중치는 디바이스(10)에 대한 예상 동작 조건들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 디바이스(10)의 성능을 특성화함으로써 식별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제어 알고리즘은 각 송수신기가 어떤 무선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고려할 수 있다. 동시에 다수의 활성 제어 루프가 사용될 수 있으며, 각각은 상이한 각각의 송수신기의 무선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일부 상황들에서, 최적화는 송신 전력에 대해서만 수행될 수 있다(업링크 신호-대-잡음비의 대표로서). 예로서, 하나의 제어 루프가 디바이스(10)에 대한 현재의 사용 시나리오를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식별된 사용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안테나(들)(40)를 튜닝할 수 있다. 사용 시나리오 표시자들은 안테나 튜닝 설정에 대한 새 업데이트가 필요하도록 사용 시나리오가 충분히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히스테리시스는 무선 회로 설정이 과도하게 토글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임피던스 정합 회로(124)를 조정함으로써 임피던스 튜닝을 위해 디바이스(10)에 의해 추가적인 제어 루프가 사용될 수 있다. 임피던스 튜닝 제어 루프는 (예를 들어, 그렇지 않으면 동일한 대역폭의 다중 제어 루프들의 동시 동작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제어 문제들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 설정 제어 루프와 같은 다른 제어 루프보다 높은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송수신기 전력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 루프는 유사하게 다른 제어 루프와 상이한 대역폭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원하는 경우). 임피던스 튜닝은 원하는 임피던스가 송수신기 회로들(90)에 제공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50 옴 임피던스 또는 다른 임피던스 값). 안테나(들)(40)는 다양한 잠재적인 사용 시나리오 하에서 유사한 임피던스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들)(40)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제어 알고리즘은, 첫 번째로 현재의 사용 시나리오(예를 들어, 손 시나리오 등)를 결정하는 것, 두 번째로 사용 시나리오에 최적이라고 믿어지는 방식으로 안테나 포트를 설정하고 안테나 튜닝을 조정하는 것(예를 들어, 포트 스위치(150)를 사용하여 적절한 포트에서 송수신기에 각각의 안테나(40)를 결합하고, 각각의 안테나를 튜닝하는 것 등에 의해), 세 번째로 (예를 들어, 잠재적으로 대역-특정, 채널-특정, 및/또는 무선 기술-특정인 설정을 이용하여) 무선 성능을 더욱 최적화하기 위해 정합 회로(124)의 임피던스를 포함한다. 설정이 각 잠재적 동작 시나리오 하에 최적인 결정은, 총 방사 전력(TRP), 총 등방성 감도(TIS), 및 특정 흡수율(SAR)을 포함하는 정적 및 동적 환경에서 전체 시스템(및 다중 무선 장치) 특성화를 포함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다수의 송수신기들(90) 간에 성능의 절충이 이루어질 수 있다(예를 들어, 하나의 기술 또는 송수신기가 다른 기술/송수신기와 절충되는 환경에서 하나의 기술/송수신기를 다른 것보다 선호하도록). 임피던스 튜닝은 각각의 안테나(40)로의 그리고 그로부터의 전력 전달을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원하는 경우, 다른 파라미터들이 최적화될 수 있다(예를 들어, 안테나 임피던스를 목표 값들에 정합). 시스템 레벨 성능은 반드시 안테나(40)로부터의 복귀 손실을 최소화하지 않으면서 최적화될 수 있다. 최적화는 안테나들(40) 사이의 격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송수신기 공존이 잠재적인 우려인 시나리오에서). 임피던스 조정(예를 들어, 정합 회로(124)에 대한)은 시스템 레벨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론트 엔드 모듈(커플러(122)와 안테나(40) 사이에 개재된 회로) 내에 내장된 임피던스 튜닝 회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성 커플러(122)로부터의 피드백을 사용하여 이루어진 안테나 임피던스 측정은 향상된 성능(예를 들어, 송신 감도 상실(desensitization)을 줄이기 위해 더 높은 전력 레벨에서 필요할 때 듀플렉서 격리를 개선)을 달성하기 위해 프론트 엔드 모듈 회로에 제공되는 부하를 최적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디바이스(10)의 무선 회로를 3개의 상이한 모드 중 하나로 배치하는 제어 알고리즘을 고려한다. 3개의 모드들 중 제1 모드에서, 도 4의 안테나(40A)와 같은 상부 안테나가 사용으로 전환되고, 3개의 모드들 중 제2 모드에서, 도 4의 안테나(40B)와 같은 하부 안테나가 사용으로 전환되고 제1 안테나 튜닝이 제공되며(즉, 도 4의 튜닝가능한 인덕터(102B)와 같은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는 제1 설정으로 설정됨), 3개의 모드들 중 제3 모드에서, 하부 안테나는 사용으로 전환되고 제2 안테나 튜닝이 제공된다(즉, 튜닝가능한 인덕터(102B) 또는 다른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들은 제1 설정과 상이한 제2 설정으로 설정됨). 제2 모드는 하부 안테나를 위한 도 1의 간극들(20)과 같은 간극들이 사용자의 손이나 다른 외부 물체로 덮여 있지 않을 때 디폴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3 모드는 사용자의 손 또는 다른 물체가 존재하고 제2 모드에서 하부 안테나의 동작에 악영향을 미칠 때 사용될 수 있다. 제1 모드는 하부 안테나와 연관된 성능 저화(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 또는 다른 외부 물체 등의 존재로 인한 성능 저하)를 피하기 위해 상부 안테나로 전환하는 것이 유용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에 대한 이러한 유형의 무선 회로를 조정하는데 포함된 예시적인 동작들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단계(200)에서, 디바이스(10)는 자신의 현재의 안테나 모드(예를 들어, 본 예에서 상부 안테나 모드(UAT), 제1 튜닝 모드의 하부 안테나(LAT 모드 1), 또는 제2 튜닝 모드의 하부 안테나(LAT 모드 2))에서 동작될 수 있다. 단계(200)의 동작 동안, 디바이스(10)는 센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상태 및 다른 디바이스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안테나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고, 로컬 링크 정보(예를 들어, 로컬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로부터의 신호-대-잡음비 정보, 수신된 신호 강도 정보 등)를 수집할 수 있고, 셀룰러 기지국 또는 다른 외부 장비로부터 링크 정보(예를 들어, 신호-대-잡음비 정보 또는 외부 장비(80)로부터 디바이스(10)로 무선으로 송신되는 다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200)의 동작들 동안 수집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는 무선 성능 기준이 충족되고 있는지 여부 또는 안테나 모드 조정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드 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디바이스(10)는 적절한 동작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에 대한 현재의 동작 모드는, UAT, LAT 모드 1 또는 LAT 모드 2로부터 이러한 안테나 모드들의 세트로부터 선택된 다른 모드로(예를 들어, UAT로부터 LAT 모드 1 또는 LAT 모드 2로, LAT 모드 1로부터 LAT 모드 2 또는 UAT로, 또는 LAT 모드 2로부터 UAT 또는 LAT 모드 1로) 전환될 수 있다. 어느 모드로 전환할지에 대한 결정은 미리 이루어질 수 있거나(즉, 미리결정된 패턴이 사용될 수 있음), 전환 직전에 이루어지는 대체 안테나/모드의 샘플에 기초할 수 있거나, 다른 적절한 안테나 전환 방식들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라인(204)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이어서 처리는 단계(200)로 루프백할 수 있고, 디바이스(10)는 디바이스(10)에 대해 새로 선택된 동작 모드를 사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디바이스(10)는 더 많은 모드들(예를 들어, 다중 UAT 모드들 등)로 동작할 수 있다. 안테나가 상부 안테나 모드 또는 2개의 상이한 하부 안테나 모드들 중 하나에서 동작될 수 있는 디바이스(10)에 대한 포트 전환 시나리오의 사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도 8은 무선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실시간 무선 회로 조정을 행하면서 디바이스(10)를 동작시키는 것과 관련된 예시적인 단계들의 일반화된 흐름도이다.
단계(206)에서, 디바이스(10)는 하나 이상의 입력을 수집할 수 있다. 디바이스(10)에 의해 수집될 수 있는 입력의 예들은, 센서 데이터, 원격 기지국으로부터의 정보, 안테나 임피던스, 베이스밴드 집적회로 또는 디바이스(10) 내의 다른 제어 회로로부터의 및/또는 기지국과 같은 외부 장비로부터의 신호 품질 정보, 디바이스(10)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의 상태 및 디바이스(10)의 동작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디바이스(10)의 사용자에 의해 음성 호출이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 오디오 포트 및/또는 다른 커넥터 포트가 디바이스(10)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 등)를 포함한다.
단계(206)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는 디바이스(10)에 대한 현재의 사용 시나리오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208)). 디바이스(10)는 예를 들어, 외부 물체가 디바이스(10)의 부근에 위치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디바이스(10) 내의 안테나가 인접한 물체 및/또는 특정 전기적 특성(전도성, 유전성 등)을 갖는 물체의 존재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배향 기반 안테나 성능 변화가 고려될 수 있도록 디바이스(10)가 지구에 대해 어떻게 배향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고, 디바이스(10)가 사용자에 의해 어떻게 유지되고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고, 기타 등등이 있을 수 있다.
단계(208)에서 식별된 사용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는 적절한 동작을 취할 수 있다(단계(210)). 디바이스(10)는, 예를 들어, 튜닝가능한 컴포넌트(102)를 조정함으로써 안테나 튜닝를 조정할 수 있고, 안테나 임피던스 정합 회로(124)를 조정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개별 송수신기(90) 각각에 대해 원하는 안테나를 사용으로 전환하도록 안테나 포트 선택 스위치(150)를 조정할 수 있고, 송신 전력들을 조정할 수 있고, 어느 무선 기술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조정할 수 있고/있거나, 다른 송수신기 및 무선 회로 설정을 조정할 수 있다. 라인(21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어서 처리는 추가의 입력이 수집될 수 있도록 단계(206)로 루프백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안테나 거동에 대한 측정(예를 들어, 안테나(40)가 외부 물체와의 접촉의 존재 또는 부재 또는 환경 조건의 다른 변화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임피던스 측정)을 행하기 위한 커플러는, 다수의 커플러들을 사용하여 그리고/또는 안테나 피드 이외의 안테나(40)의 부분들에 위치되는 커플러들을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이는 도 9의 예에 예시된다. 도 9의 안테나(40)는 역F 안테나 공진 요소(106) 및 안테나 접지(104)를 갖는 역F 안테나이다. 안테나 공진 요소(106)는 주 공진 요소 아암(108)을 갖는다. 도 9의 아암(108)은 고대역 및 저대역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2개의 분기를 갖는다. 원하는 경우, 공진 요소(106)에 대한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복귀 경로(110) 및 피드(112)는 안테나 공진 요소 아암(108)과 안테나 접지(104) 사이에 병렬로 결합된다.
도 9의 예시적인 예에서, 안테나(40)의 거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 2개의 커플러, 즉 커플러(122A) 및 커플러(122B)가 사용된다. 커플러(122A)는 피드 경로(112) 상의 송수신기(90)와 안테나(40) 사이에 개재되고 안테나(40)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도 6의 방향성 커플러(122)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다. 도 9의 예에서 커플러(122B)는 튜닝 회로 경로(240)에 개재되어 있다. 튜닝 경로(240)는 튜닝가능한 컴포넌트(102)(예컨대, 조정가능한 인덕터)를 포함한다. 커플러(122B)는 경로(240)에서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데(예를 들어, 외부 물체의 존재 또는 부재로 인해 디바이스(10)의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실시간으로 컴포넌트(102)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해 등) 사용될 수 있다. 수신기(90')는 커플러(122A)에 의해 탭핑된 신호를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수신기(90")는 커플러(122B)에 의해 탭핑된 신호를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8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는 디바이스(10)에 대한 현재의 사용 시나리오를 결정 시에 커플러들(122A, 122B)과 같은 하나 이상의 커플러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안테나(40)가 사용자의 손 또는 다른 외부 물체에 의해 접촉될 때, 커플러(122B)는 경로(240)의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할 수 있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적절한 교정 동작을 취할 수 있다(도 8의 단계(212)). 일부 구성들에서, 안테나(40)와 접촉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존재 또는 부재로 인한 임피던스의 변화는 커플러(122A)의 위치에서 커플러를 사용하여 측정될 때보다 커플러(122B)의 위치에서 커플러를 사용하여 측정될 때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커플러(122B)의 사용은 커플러(122A)만을 사용하여 추출하기가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상황들에서, 이들 위치 둘다로부터 그리고/또는 안테나(40)의 구조물들 내의 하나 이상의 다른 위치에서 커플러들로부터 측정치들을 수집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유형의 커플러가 안테나(40)에서 측정치들을 수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예를 들어, 전력 분배기, 4-포트 커플러, 하나 이상의 3-포트 커플러 등), 이러한 커플러들은 안테나(40)의 임의의 부분들(예를 들어, 튜닝 경로, 복귀 경로, 공진 요소의 일부,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안테나(40)의 일부분 등) 상에서 임피던스 측정을 행할 수 있다. 도 9의 구성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안테나를 통해 RF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무선 RF 송수신기 회로, 안테나를 튜닝하는 튜닝가능한 컴포넌트, 및 외부 장비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안테나를 튜닝하기 위해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를 튜닝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외부 장비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무선 RF 송수신기 회로와 안테나 사이에 결합된 조정가능한 안테나 임피던스 정합 회로를 포함하며, 제어 회로는 조정가능한 안테나 임피던스 정합 회로를 조정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안테나와 무선 RF 송수신기 회로 사이에 개재된 커플러를 포함하며, 제어 회로는 안테나에 대한 안테나 임피던스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커플러를 사용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는 안테나 임피던스 정보에 기초하여 안테나를 튜닝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는 안테나 임피던스 정보에 기초하여 조정가능한 안테나 임피던스 정합 회로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는 외부 장비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조정가능한 안테나 임피던스 정합 회로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장비는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기지국을 포함하고, 제어 회로는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안테나를 튜닝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는 전자 디바이스 내의 다수의 안테나들 중 하나이고, 무선 RF 송수신기 회로는 다수의 송수신기들을 포함하고, 전자 디바이스는 송수신기들과 무선 RF 송수신기 회로 사이에 결합된 안테나 포트 선택 회로를 더 포함하며, 제어 회로는 안테나 포트 선택 회로를 조정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센서를 포함하며, 제어 회로는 센서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조정가능한 안테나 임피던스 정합 회로를 조정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센서를 포함하며, 제어 회로는 센서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안테나를 튜닝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는 근접 센서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는 가속도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 내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입력을 수집하는 단계, 입력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사용 시나리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사용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제1 안테나가 사용되는 제1 동작 모드와, 제2 안테나가 제1 안테나 튜닝과 함께 사용되는 제2 동작 모드와, 제2 안테나가 제1 안테나 튜닝과 상이한 제2 안테나 튜닝과 함께 사용되는 제3 동작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안테나들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는 가속도계를 포함하고 입력을 수집하는 단계는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배향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는 자이로스코프를 포함하고, 입력을 수집하는 단계는 자이로스코프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안테나는 상부 안테나이고, 제2 안테나는 하부 안테나이며, 입력을 수집하는 단계는 신호-대-잡음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대-잡음비 정보는 업링크 신호-대-잡음비 및 다운링크 신호-대-잡음비를 포함하며, 방법은 적어도 업링크 신호-대-잡음비 및 다운링크 신호-대-잡음비에 동적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안테나, 안테나들을 통해 RF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무선 RF 송수신기 회로, 무선 RF 송수신기 회로 내의 송수신기들에 안테나들을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스위칭 회로, 안테나들에 결합된 조정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회로, 적어도 방향성 커플러, 및 안테나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임피던스 측정을 행하기 위해 방향성 커플러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며, 제어 회로는 조정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회로를 조정하는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주 안테나 공진 요소 아암, 안테나 접지, 및 튜닝 경로를 갖고, 튜닝 경로는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주 안테나 공진 요소 아암과 안테나 접지 사이에 결합되며, 방향성 커플러는 튜닝 경로에 위치되고, 제어 회로는 튜닝가능한 컴포넌트에 대한 임피던스 측정을 행하기 위해 방향성 커플러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는, 센서 정보, 방향성 커플러로부터의 정보, 외부 장비로부터의 정보, 신호-대-잡음비 정보, 및 수신된 신호 강도 정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정보에 기초하여,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를 튜닝하고 스위칭 회로를 조정한다.
전술한 사항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기술된 실시예들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20)

  1. 외부 장비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전자 디바이스로서,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통해 RF 신호(radio-frequency signal)를 송신 및 수신하는 무선 RF 송수신기 회로(wireless radio-frequency transceiver circuitry);
    상기 안테나를 튜닝(tuning)하는 튜닝가능한 컴포넌트; 및
    상기 외부 장비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테나를 튜닝하기 위해 상기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를 튜닝하는 제어 회로
    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RF 송수신기 회로와 상기 안테나 사이에 결합된 조정가능한 안테나 임피던스 정합 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조정가능한 안테나 임피던스 정합 회로를 조정하는, 전자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와 상기 무선 RF 송수신기 회로 사이에 개재된 커플러(coupl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안테나에 대한 안테나 임피던스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상기 커플러를 사용하는, 전자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안테나 임피던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테나를 튜닝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안테나 임피던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정가능한 안테나 임피던스 정합 회로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외부 장비로부터 수신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정가능한 안테나 임피던스 정합 회로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비는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테나를 튜닝하는, 전자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 내의 다수의 안테나들 중 하나이고, 상기 무선 RF 송수신기 회로는 다수의 송수신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송수신기들과 상기 무선 RF 송수신기 회로 사이에 결합된 안테나 포트 선택 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안테나 포트 선택 회로를 조정하는, 전자 디바이스.
  9. 제2항에 있어서,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센서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정가능한 안테나 임피던스 정합 회로를 조정하는, 전자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센서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안테나를 튜닝하는, 전자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근접 센서인, 전자 디바이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가속도계인, 전자 디바이스.
  13. 제1 및 제2 안테나들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 내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제어 회로를 사용하여 입력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사용 시나리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안테나가 사용되는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제2 안테나가 제1 안테나 튜닝과 함께 사용되는 제2 동작 모드와, 상기 제2 안테나가 상기 제1 안테나 튜닝과 상이한 제2 안테나 튜닝과 함께 사용되는 제3 동작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가속도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을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디바이스 배향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자이로스코프(gyroscope)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을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자이로스코프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는 상부 안테나이고, 상기 제2 안테나는 하부 안테나이며, 상기 입력을 수집하는 단계는 신호-대-잡음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대-잡음비 정보는 업링크(uplink) 신호-대-잡음비 및 다운링크(downlink) 신호-대-잡음비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상기 업링크 신호-대-잡음비 및 상기 다운링크 신호-대-잡음비에 동적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전자 디바이스로서,
    복수의 안테나;
    상기 안테나들을 통해 RF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무선 RF 송수신기 회로;
    상기 무선 RF 송수신기 회로 내의 송수신기들에 상기 안테나들을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스위칭 회로;
    상기 안테나들에 결합된 조정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회로;
    적어도 방향성 커플러; 및
    상기 안테나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임피던스 측정을 행하기 위해 상기 방향성 커플러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하는 제어 회로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조정가능한 임피던스 정합 회로를 조정하는, 전자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주 안테나 공진 요소 아암(main antenna resonating element arm), 안테나 접지, 및 튜닝 경로를 갖고, 상기 튜닝 경로는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주 안테나 공진 요소 아암과 상기 안테나 접지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방향성 커플러는 상기 튜닝 경로에 위치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튜닝가능한 컴포넌트에 대한 임피던스 측정을 행하기 위해 상기 방향성 커플러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하는, 전자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센서 정보, 상기 방향성 커플러로부터의 정보, 상기 외부 장비로부터의 정보, 신호-대-잡음비 정보, 및 수신된 신호 강도 정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튜닝가능한 컴포넌트를 튜닝하고 상기 스위칭 회로를 조정하는, 전자 디바이스.
KR1020167033407A 2014-06-20 2015-05-20 튜닝가능한 안테나, 조정가능한 안테나 임피던스 정합 회로 및 안테나 스위칭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 KR101900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10,240 2014-06-20
US14/310,240 US9444425B2 (en) 2014-06-20 2014-06-20 Electronic device with adjustable wireless circuitry
PCT/US2015/031738 WO2015195269A1 (en) 2014-06-20 2015-05-20 Electronic device with tunable antennas, adjustable antenna impedance matching circuitry and antenna switch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975A true KR20160147975A (ko) 2016-12-23
KR101900174B1 KR101900174B1 (ko) 2018-09-18

Family

ID=53484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407A KR101900174B1 (ko) 2014-06-20 2015-05-20 튜닝가능한 안테나, 조정가능한 안테나 임피던스 정합 회로 및 안테나 스위칭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44425B2 (ko)
KR (1) KR101900174B1 (ko)
CN (1) CN106575970B (ko)
DE (1) DE112015002917T5 (ko)
WO (1) WO2015195269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314A1 (ko) * 2017-03-28 2018-10-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WO2020159208A1 (ko) * 2019-01-29 2020-08-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의 임피던스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22005061A1 (ko) * 2020-06-29 2022-0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설정을 최적화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2108193A1 (ko) * 2020-11-18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30040269A (ko) * 2021-09-15 2023-03-22 애플 인크. 무선 회로부 감도 저하 검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1974A1 (en) * 2014-07-25 2016-01-28 Mediatek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adjusting at least one antenna to improve efficiency of other coexisting antenna (s) and relat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10177744B2 (en) * 2014-10-30 2019-01-08 Mediatek Singapore Pte. Lt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antenna tuning
US9300781B1 (en) * 2014-12-19 2016-03-29 HTC Corpo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188092A1 (en) * 2014-12-22 2016-06-30 Paneratech, Inc. Touchscreen antenna system and design method thereof
US20160204839A1 (en) * 2015-01-12 2016-07-14 Futurewei Technologies, Inc. Multi-band Antenna for Wearable Glasses
US9523727B2 (en) 2015-01-13 2016-12-2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impedance measurement circuitry
US10122399B2 (en) * 2015-03-10 2018-11-06 Mediatek Inc. Antenna ground and feed swapping in handheld applications
US20160307010A1 (en) * 2015-04-16 2016-10-20 Hand Held Produc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uning an antenna of a mobile computing device
US9667290B2 (en) * 2015-04-17 2017-05-3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millimeter wave antennas
KR102337177B1 (ko) * 2015-04-21 2021-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9425831B1 (en) * 2015-05-21 2016-08-23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US10805760B2 (en) * 2015-07-23 2020-10-13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Orientation aware audio soundstage mapping for a mobile device
US10374653B2 (en) * 2015-08-13 2019-08-06 Laird Technologies, Inc. V2X antenna systems
CN105306699B (zh) * 2015-09-30 2019-04-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和信息处理方法
US10554240B2 (en) 2015-12-28 2020-02-04 Apple, Inc. Wireless electronic device with radio-frequency sensors
TWI656692B (zh) * 2015-12-31 2019-04-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通訊裝置
JP2017192014A (ja) * 2016-04-13 2017-10-1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7403999B (zh) * 2016-05-18 2022-04-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谐天线
US10312582B2 (en) 2016-05-27 2019-06-04 Futurewei Technologies, Inc. Closed loop aperture tunable antenna
KR102503683B1 (ko) 2016-06-14 2023-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755679B1 (en) * 2016-07-08 2017-09-05 Nxp B.V. Load dependent receiver configuration
US20190149181A1 (en) * 2016-08-04 2019-05-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requency band selection
KR102529686B1 (ko) * 2016-09-01 2023-05-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립 상태를 인식하는 방법
US10863474B2 (en) 2016-10-21 2020-12-08 Qualcomm Incorporated Millimeter-wavelength network map for use in a beamforming procedure
US9912075B1 (en) * 2017-02-23 2018-03-06 Tekcem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unable passive antennas and a tuning unit, and apparatus for radio communication using this method
US10484112B2 (en) 2017-02-24 2019-11-19 Apple Inc. Dynamically adjustable antennas for wearable devices
CN107331979B (zh) 2017-06-22 2021-03-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天线电路及移动终端
CN109217881B (zh) * 2017-06-30 2021-07-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发射天线切换方法、基站和终端
CN107464987B (zh) * 2017-07-14 2019-11-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可重构天线控制方法、装置及移动电子设备
CN107547101B (zh) * 2017-08-25 2020-09-22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共用射频天线的移动终端
CN107547104A (zh) * 2017-08-29 2018-01-0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天线调整方法和装置
US10804617B2 (en) 2017-09-11 2020-10-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shared antenna structures and split return paths
KR102415271B1 (ko) 2017-09-22 2022-07-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스웰링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장치
CN107919919B (zh) * 2017-11-27 2021-04-20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一种双通路发射功率切换检测电路、装置及移动终端
EP3713201A4 (en) * 2017-12-29 2020-12-3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ANTENNA SWITCHING CIRCUIT, ANTENNA SWITCHING PROCESS AND ELECTRONIC DEVICE
CN108055410A (zh) * 2017-12-29 2018-05-1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天线切换电路、天线切换方法以及电子装置
CN108092009A (zh) * 2018-01-19 2018-05-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天线组件及电子设备
US10193597B1 (en) * 2018-02-20 2019-01-29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slots for handling near-field communications and non-near-field communications
CN108712178A (zh) * 2018-04-25 2018-10-26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智能调谐天线的方法、装置和移动终端
KR102552460B1 (ko) * 2018-05-11 2023-07-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모드로 동작하는 rfic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US11304071B2 (en) * 2018-09-24 2022-04-12 Qualcomm Incorporated Radio control based on operational performance feedback
CN110971742A (zh) * 2018-09-28 2020-04-07 深圳市诚壹科技有限公司 天线切换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819306B2 (en) * 2018-10-24 2020-10-27 Thinkom Solutions, Inc. Lossless lobing circuit for multi-subarray tracking
KR20200077024A (ko) 2018-12-20 2020-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열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안테나 집합체의 전력 백오프 방법
CN109728835B (zh) * 2019-02-19 2024-03-12 深圳市飞亚达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多频段收发高隔离度的电路装置
CN111628805A (zh) * 2019-02-27 2020-09-04 海信集团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0048756A (zh) * 2019-04-24 2019-07-23 闽江学院 一种改善移动通信终端手握性能的天线方法
CN111987084B (zh) * 2019-05-24 2022-07-26 方略电子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制造方法
CN110444885A (zh) * 2019-08-28 2019-11-12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天线组件、手机、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12153716B (zh) * 2019-09-24 2024-02-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传输路径选择方法及装置、存储介质
US11533640B2 (en) * 2019-11-01 2022-12-20 Qualcomm Incorporated Machine learning-assisted use case classification and adaptive antenna tuning
US11437867B2 (en) * 2020-01-03 2022-09-06 Nucurre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and data transfer utilizing multiple antenna receivers
US11316745B2 (en) * 2020-01-14 2022-04-26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odular communication system
CN111313986B (zh) * 2020-02-26 2022-10-21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一种测试电路结构及天线测试方法
KR102347921B1 (ko) 2020-02-28 2022-01-0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위상 배열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CN113497643B (zh) * 2020-04-02 2022-10-18 华为技术有限公司 天线调谐方法、装置、电子设备和网络侧设备
US11368181B2 (en) * 2020-06-30 2022-06-21 Apple Inc. Duplexer with balanced impedance ladder
CN114584156B (zh) * 2020-12-02 2024-05-10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监控设备及其通信控制方法
CN116390115A (zh) * 2021-12-22 2023-07-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感知、感知配置方法、装置及通信设备
WO2023171885A1 (ko) * 2022-03-07 2023-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송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7353A (en) 1992-04-01 1994-08-09 At&T Bell Laboratories Capacitive proximity sensors
JPH0697713A (ja) 1992-07-28 1994-04-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ンテナ
US5463406A (en) 1992-12-22 1995-10-31 Motorola Diversity antenna structure having closely-positioned antennas
US5777693A (en) 1994-10-04 1998-07-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versity receiving apparatus for a mobile unit
GB2294326A (en) 1994-10-06 1996-04-24 Scapa Group Plc Moisture detection meter
US5650597A (en) 1995-01-20 1997-07-22 Dynapro Systems, Inc. Capacitive touch sensor
JP3299065B2 (ja) 1995-01-30 2002-07-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複合スイッチ
US5854972A (en) 1996-05-16 1998-12-29 Motorola, Inc. Circuit for adjusting transmit power
US5956626A (en) 1996-06-03 1999-09-21 Motorola,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electromagnetic wave proximity sensor
US5805067A (en) 1996-12-30 1998-09-08 At&T Corp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etector method and apparatus for safe wireless communication
US5864316A (en) 1996-12-30 1999-01-26 At&T Corporation Fixed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proximity detector method and apparatus for safe wireless communication
US5905467A (en) 1997-07-25 1999-05-18 Lucent Technologies Inc. Antenna divers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DE19743123B4 (de) 1997-09-30 2005-11-24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Xsys Division) Gmbh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Auswahl eines von mehreren Empfängern einer Diversity-Empfangsanlage
JPH11234162A (ja) 1998-02-09 1999-08-27 Nec Corp 携帯型通信装置
GB9901789D0 (en) 1998-04-22 1999-03-1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ntenna diversity system
JPH11312988A (ja) 1998-04-30 1999-11-09 Nec Corp マイクロ波・ミリ波送信方法と送信装置
TW412896B (en) 1998-07-28 2000-11-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mmunication apparatus, mobile radio equipment, base station and power control method
US6329958B1 (en) 1998-09-11 2001-12-11 Tdk Rf Solutions, Inc. Antenna formed within a conductive surface
JP2000151317A (ja) 1998-11-10 2000-05-30 Hitachi Ltd 送信機および電力増幅器
JP2000216610A (ja) 1998-11-19 2000-08-04 Nec Corp 携帯電話アンテナの人体接触の検知、報知の装置及び方法
CA2364445A1 (en) 1999-03-05 2000-09-14 Katrin A Flotti Jacobsen A microstrip antenna arrangement in a communication device
US6408187B1 (en) 1999-05-14 2002-06-18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behavior of a communications device based upon environmental conditions
SE516536C2 (sv) 1999-10-29 2002-01-29 Allgon Ab Antennanordning omkopplingsbar mellan ett flertal konfigurationstillstånd i avhängighet av två driftsparametrar samt därtill hörande metod
US6242982B1 (en) 1999-11-10 2001-06-05 Scientific-Atlanta, Inc. Amplifier with self setting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US6384681B1 (en) 2000-01-07 2002-05-07 Spectrian Corporation Swept performance monitor for measuring and correcting RF power amplifier distortion
WO2002005443A2 (en) 2000-07-07 2002-01-17 Ericsson Inc.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rf output power capped when the device operates in very close proximity to a human body
US6380899B1 (en) 2000-09-20 2002-04-30 3Com Corporation Case with communication module having a passive radiator for a handheld computer system
JP2002151923A (ja) 2000-11-13 2002-05-24 Samsung Yokohama Research Institute Co Ltd 携帯端末機
US6985739B2 (en) 2000-12-15 2006-01-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mission and congestion control in a CDMA-based mobile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S6529088B2 (en) 2000-12-26 2003-03-04 Vistar Telecommunications Inc. Closed loop antenna tuning system
JP2002217803A (ja) 2001-01-15 2002-08-02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無線端末装置
US6862433B2 (en) 2001-02-06 2005-03-01 Motorola, Inc. Antenna system for a wireless information device
GB0104282D0 (en) 2001-02-21 2001-04-11 Cambridge Silicon Radio Ltd Communication system
US6761316B2 (en) 2001-03-27 2004-07-13 Symbol Technologies, Inc. Compact auto ID reader and radio frequency transceiver data collection module
US6483463B2 (en) 2001-03-27 2002-11-19 Centurion Wireless Technologies, Inc. Diversity antenna system including two planar inverted F antennas
TW504857B (en) 2001-05-31 2002-10-01 Wistron Neweb Corp Radio wave transmitter with omni-directional radiation field and radio communicatio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02368853A (ja) 2001-06-08 2002-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無線装置
US7146139B2 (en) 2001-09-28 2006-12-05 Siemens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SAR values
US7039435B2 (en) 2001-09-28 2006-05-02 Agere Systems Inc. Proximity regulation system for use with a portable cell phone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7053629B2 (en) 2001-09-28 2006-05-30 Siemens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oximity of a body
EP1306922A3 (en) 2001-10-24 2006-08-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ntenna structure, methof of using antenna structure and communication device
JP2003216318A (ja) 2002-01-23 2003-07-31 Tama Tlo Kk 入力表示装置
US6879293B2 (en) 2002-02-25 2005-04-12 Tdk Corporation Antenna device and electric appliance using the same
US7016705B2 (en) 2002-04-17 2006-03-21 Microsoft Corporation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networked battery-operated device using sensors
US6657595B1 (en) 2002-05-09 2003-12-02 Motorola, Inc. Sensor-driven adaptive counterpoise antenna system
JP4074781B2 (ja) 2002-05-23 2008-04-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6611227B1 (en) 2002-08-08 2003-08-26 Raytheon Company Automotive side object detection sensor blockage detection system and related techniques
US6978121B1 (en) 2002-11-05 2005-12-20 Rfmd Wpa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dual-mode radio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40067906A (ko) 2003-01-21 2004-07-3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평면 안테나, 안테나 유닛 및 방송 수신 단말 장치
US20040176083A1 (en) 2003-02-25 2004-09-09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distractions of mobile device users
US7113087B1 (en) 2003-04-08 2006-09-26 Microsoft Corporation Proximity sensing based on antenna impedance variation
US6985113B2 (en) 2003-04-18 2006-01-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adio antenna apparatus provided with controller for controlling SAR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radio antenna apparatus
US6822611B1 (en) 2003-05-08 2004-11-23 Motorola, Inc. Wideband internal antenna for communication device
GB0319518D0 (en) 2003-08-19 2003-09-17 Plextek Ltd Location monitoring apparatus
US8023984B2 (en) 2003-10-06 2011-09-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t power for mobile wireless devices with multi-mode operation of antenna
US7181251B2 (en) 2003-10-22 2007-02-20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ulti orientation user interface
US7149483B1 (en) 2003-10-28 2006-12-12 Magnolia Broadband Inc. Amplifying diversity signals using power amplifiers
EP1533915A1 (en) 2003-11-20 2005-05-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A method for adjust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a radio transmitter, and a device for the same
US7522846B1 (en) 2003-12-23 2009-04-21 Nortel Networks Limited Transmission power optimization apparatus and method
TWI229473B (en) 2004-01-30 2005-03-11 Yageo Corp Dual-band inverted-F antenna with shorted parasitic elements
EP1564896A1 (en) 2004-02-10 2005-08-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Impedance matching for an antenna
US20050245204A1 (en) 2004-05-03 2005-11-03 Vance Scott L Impedance matching circuit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653883B2 (en) 2004-07-30 2010-01-26 Apple Inc. Proximity detector in handheld device
JP4445343B2 (ja) 2004-08-10 2010-04-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Icタグ実装液晶表示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826875B2 (en) 2004-08-13 2010-11-02 Broadcom Corporation Multiple network wake-up
JP4538651B2 (ja) 2004-08-25 2010-09-08 学校法人立命館 無線通信機器
KR100652667B1 (ko) 2004-09-07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834813B2 (en) 2004-10-15 2010-11-16 Skycros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daptively controlling antenna parameters to enhance efficiency and maintain antenna size compactness
US7187332B2 (en) 2005-02-28 2007-03-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human interface diversity antenna and related methods
GB2423191B (en) 2005-02-02 2007-06-20 Toshiba Res Europ Ltd Antenna unit and method of transmission or reception
JP4578262B2 (ja) 2005-02-10 2010-11-10 株式会社フジクラ 頭部検知機能付きヘッドレスト及びヘッドレスト制御システム
KR101690164B1 (ko) 2005-03-04 2016-12-27 애플 인크. 다기능 휴대용 장치
US20060205368A1 (en) 2005-03-14 2006-09-14 Motorola, Inc. Selecting an optimal antenna according to an operating state of a device
US20060244663A1 (en) 2005-04-29 2006-11-02 Vulcan Portals, Inc. Compact, multi-element antenna and method
DE102005035935B4 (de) 2005-07-28 2016-02-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raftfahrzeugtürgriff mit integriertem kapazitiven Sensor, induktiver Sendeantenne und einer Anordnung zum Vermindern von Fehlauslösungen des kapazitiven Sensors
US7633076B2 (en) 2005-09-30 2009-12-15 Apple Inc. Automated response to and sensing of user activity in portable devices
WO2007116790A1 (ja) 2006-04-03 2007-10-18 Panasonic Corporation アンテナ内蔵半導体メモリモジュール
KR100691631B1 (ko) 2006-05-04 2007-03-12 삼성전기주식회사 역f 안테나 및 이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8009759A (ja) 2006-06-29 2008-01-17 Toyota Motor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
US8781522B2 (en) 2006-11-02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Adaptable antenna system
WO2008078142A1 (en) 2006-12-22 2008-07-03 Nokia Corporation An apparatus comprising a radio antenna element and a grounded conductor
US7595759B2 (en) 2007-01-04 2009-09-29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s with isolated antennas
US8289248B2 (en) 2007-04-05 2012-10-16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Light sensor within display
JP4960153B2 (ja) 2007-06-19 2012-06-27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US7896196B2 (en) 2007-06-27 2011-03-01 Joseph S. Kanfer Fluid dispenser having infrared user sensor
JP2009032570A (ja) 2007-07-27 2009-02-12 Fujikura Ltd 人体接近検出装置
WO2009022387A1 (ja) 2007-08-10 2009-02-19 Panasonic Corporation 携帯無線機
US8892049B2 (en) 2007-10-10 2014-11-18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s with antenna power monitoring
US7916089B2 (en) 2008-01-04 2011-03-29 Apple Inc. Antenna isolation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7999748B2 (en) 2008-04-02 2011-08-16 Apple Inc. Antennas for electronic devices
US8255009B2 (en) 2008-04-25 2012-08-28 Apple Inc.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s circuitry with power supply voltage and gain control
US8159399B2 (en) 2008-06-03 2012-04-17 Apple Inc. Antenna diversity system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8417296B2 (en) 2008-06-05 2013-04-09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proximity-based radio power control
US8068798B2 (en) 2008-08-15 2011-11-2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Full closed loop auto antenna tun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KR101513637B1 (ko) 2008-12-31 201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정보 표시방법
US8326221B2 (en) 2009-02-09 2012-12-0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proximity-based content synchronization
US8432322B2 (en) 2009-07-17 2013-04-30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apacitive proximity sensors for proximity-based radio-frequency power control
US8466839B2 (en) 2009-07-17 2013-06-1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parasitic antenna resonating elements that reduce near field radiation
WO2011022067A1 (en) 2009-08-21 2011-02-24 Aleksandar Pance Methods and apparatus for capacitive sensing
US8131232B2 (en) 2009-10-09 2012-03-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tuning
US8571600B2 (en) 2010-02-26 2013-10-29 Cisco Technology, Inc.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wireless devices
US8781420B2 (en) 2010-04-13 2014-07-15 Apple Inc. Adjustable wireless circuitry with antenna-based proximity detector
CN102835036A (zh) 2010-09-21 2012-12-19 美国博通公司 比吸收率的发射功率管理
WO2012066559A1 (en) 2010-11-16 2012-05-24 Muthukumar Prasad Smart directional radiation protection system for wireless mobile device to reduce sar
CN204991921U (zh) 2011-02-04 2016-01-20 艾利佛公司 无线通信装置
US9026059B2 (en) 2011-02-17 2015-05-05 Futurewei Technologies, Inc. Adaptive maximum power limiting using capacitive sensing in a wireless device
US8326385B2 (en) 2011-04-05 2012-12-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proximity based transmitted power control and related methods
US9024823B2 (en) 2011-05-27 2015-05-05 Apple Inc. Dynamically adjustable antenna supporting multiple antenna modes
US9002283B2 (en) 2011-08-01 2015-04-07 Apple Inc. Antenna switching system with adaptive switching criteria
US9100974B2 (en) 2012-04-12 2015-08-04 Fidelity Comtech, Inc. System for continuousl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wireless networks with mobile users
EP2722996B1 (en) 2012-10-22 2014-12-17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frequency tuning utilizing a determined use case
US9793616B2 (en) 2012-11-19 2017-10-17 Apple Inc. Shared antenna structures for near-field communications and non-near-field communications circuitry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314A1 (ko) * 2017-03-28 2018-10-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180109616A (ko) * 2017-03-28 2018-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US10924154B2 (en) 2017-03-28 2021-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 and method therefor
WO2020159208A1 (ko) * 2019-01-29 2020-08-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의 임피던스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22005061A1 (ko) * 2020-06-29 2022-0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설정을 최적화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2108193A1 (ko) * 2020-11-18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30040269A (ko) * 2021-09-15 2023-03-22 애플 인크. 무선 회로부 감도 저하 검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44425B2 (en) 2016-09-13
DE112015002917T5 (de) 2017-04-06
US20150372656A1 (en) 2015-12-24
CN106575970A (zh) 2017-04-19
KR101900174B1 (ko) 2018-09-18
WO2015195269A1 (en) 2015-12-23
CN106575970B (zh) 201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174B1 (ko) 튜닝가능한 안테나, 조정가능한 안테나 임피던스 정합 회로 및 안테나 스위칭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
KR102193509B1 (ko) Rf 센서를 갖는 무선 전자 디바이스
KR101979183B1 (ko) 대칭 스위칭 아키텍처를 갖는 안테나
JP6703565B2 (ja) 調節可能な多重入出力アンテナ構造体
KR101737274B1 (ko) 슬롯들 및 모노폴들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 캐비티 안테나들
US10498011B2 (en) Electronic devices having closed-loop antenna adjustment capabilities
US9742459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sensors and antenna monitor for controlling wireless operation
US9179299B2 (en) Adjustable wireless circuitry with antenna-based proximity detector
JP5758545B2 (ja) 適応スイッチング基準によるアンテナスイッチングシステム
JP6574005B2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のための動的に調節可能なアンテナ
US8532697B2 (en) Electronic device with passively combined antennas
EP2528165A1 (en) Dynamically adjustable antenna supporting multiple antenna modes
KR20150003908U (ko) 근거리 및 비근거리 통신들을 위한 안테나들
US20150338523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rray of Satellite Navigation System Antenn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