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7360A - 주목, 뽕나무 및 여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주목, 뽕나무 및 여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7360A
KR20160147360A KR1020150084002A KR20150084002A KR20160147360A KR 20160147360 A KR20160147360 A KR 20160147360A KR 1020150084002 A KR1020150084002 A KR 1020150084002A KR 20150084002 A KR20150084002 A KR 20150084002A KR 20160147360 A KR20160147360 A KR 20160147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berry
extract
leaves
prevent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6036B1 (ko
Inventor
오동석
Original Assignee
오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동석 filed Critical 오동석
Priority to KR1020150084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036B1/ko
Publication of KR20160147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 추출물에 대한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혼합된 추출물은 혈당 강하 효과가 우수하여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주목, 뽕나무 및 여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Taxus cuspidata, Morus alba L. and Momordica charantia L.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mellitus and mam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식습관이 서구화됨에 따라 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및 당뇨병과 같은 생활 습관병의 발생율이 현저히 증가하고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한국인의 당뇨병 발생율은 최근 10년 사이에 급증하여, 한국인의 사망요인 중 4위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당뇨병(Diabetes mellitus)은 인슐린의 절대적 결핍 또는 저항성으로 인한 당대사 기능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소모성 질환으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신적인 무기력과 저항성 저하, 혈관장애, 뇌경색, 심근경색 등 기타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는 등의 여러 증상 및 징후를 일으키고, 소변에서 포도당을 배출하게 된다(Danaei, G. et al., 2011). 당뇨병의 진단은 혈액검사로 진단하며, 증상이 없는 경우 8시간 이상 금식 후에 측정한 혈당이 126㎎/㎗ 이상이거나, 경구 당부하 검사 2시간 후 혈당이 200㎎/㎗ 이상인 경우를 당뇨병이라 한다. 물을 많이 마시거나 소변이 많아지고 체중이 감소하는 동시에 식사와 무관하게 측정한 혈당이 200㎎/㎗ 이상일 때도 당뇨병으로 진단한다.
당뇨병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성인병 중의 하나로서,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급속한 경제 성장과 더불어 당뇨병 유병률이 7~8%에 달하며, 특히 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당뇨병 환자들의 합병증에 대한 고통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당뇨병에 걸린 후 10~20년이 지나면 체내 거의 모든 기관이 손상을 받아 당뇨성 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당뇨성 백내장(diabetic cataract), 당뇨성 신증(diabetic nephropathy), 당뇨성 신경병증(diabetic neuropathy) 등으로 나타난다. 만성 당뇨성 신증은 혈액 투석 치료 및 말기 신부전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으며, 당뇨성 백내장은 실명을 초래하고 결국엔 죽음에 이른다.
당뇨병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식이요법이나 운동요법 및 약물요법 등을 병행하고 있는데, 이들 모두 지속적으로 정상 혈당을 유지시켜 당뇨합병증을 예방 또는 지연시키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현재까지 당뇨병 또는 이로 인한 합병증 등에 대한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아직도 완전한 치료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에 있어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과 관련된 기능성 식품이나 의약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주목(朱木, Taxus cuspidata)은 겉씨식물 구과식물아강 주목목 주목과의 상록 교목으로 한국, 일본, 중국 동북부, 시베리아 등에 분포하며 고산 지대에서 주로 서식한다. 일본산으로 원줄기가 곧게 서지 않고 밑에서 여러 개로 갈라지는 것은 눈주목(var. nana)이라고 하며, 잎이 보다 넓고 회색이 도는 것은 회솔나무(var. latifolia)라고 하며 울릉도와 북쪽에서 자란다. 원줄기가 비스듬히 자라면서 땅에 닿은 가지에서 뿌리가 내리는 것은 설악눈주목(Taxus caespitosa)이라고 하며 설악산 대청봉 근처에서 눈잣나무와 같이 자란다. 가지가 사방으로 퍼지고 큰 가지와 원대는 홍갈색이며 껍질이 얕게 띠 모양으로 벗겨진다. 잎은 줄 모양으로 나선상으로 달리지만 옆으로 벋은 가지에서는 깃처럼 2줄로 배열하며, 길이 1.5~2.5㎜, 너비는 2~3㎜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에 황록색 줄이 있다. 잎맥은 양면으로 도드라지고 뒷면에는 가장자리와 중륵 사이에 연한 황색의 기공조선(氣孔條線, 잎이 숨쉬는 부분으로 보통 잎 뒤에 흰 선으로 나타남)이 있다.
뽕나무(Morus alba L.)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뽕나무과 뽕나무속에 속한 낙엽 교목 또는 관목을 총칭하며, 원산지는 온대, 아열대 지방이다. 작은 가지는 회색빛을 띤 갈색 또는 회색빛을 띤 흰색이고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잎은 달걀 모양 원형 또는 긴 타원 모양 원형이며 3~5개로 갈라지고 길이 10㎝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다. 잎자루와 더불어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뽕나무의 잎은 상엽(桑葉)이라 하여 발열, 감창, 두통, 해수, 안질, 수종(水腫), 각기, 구갈(口渴) 등의 증상에 치료제로 쓰였으며, 껍질은 상백피(桑白皮)라 하는데, 이것은 칼로 바깥쪽 껍질을 긁어낸 다음 속의 흰 껍질을 벗겨 말린 것이다. 상기 상백피에는 해열, 이뇨, 진해, 소종(消腫)의 효능이 있어 폐열해수(肺熱咳嗽), 기관지염, 소변불리, 수종, 각기 등에 치료제로 쓰여 왔다.
여주(Momordica charantia L.)는 박과(Cucurbitaceae)에 속하는 채소 또는 약용식물로, 열대나 아열대 지역에서 자란다. 주로 열매를 식용으로 이용하는데, 이는 쓴 맛이 강하다. 열매가 어릴 때는 녹색을 나타내다가 더 성숙되면 오렌지색으로 변하며 나중에는 과육이 터져 빨간색 가종피가 노출되고 종자는 일반적으로 브라운색을 나타낸다. 일본, 중국, 동남아지역에서는 주로 미숙과를 식용으로 재배하고 있으나 어린잎을 식용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여주에는 지방, 조단백질, 수용성 식이섬유, 미네랄, 에센셜 오일, 후라보노이드, 페놀산, 글리코시드, 크리테르펜 등 다양한 일차, 이차대사산물이 풍부하며, 특히, 미숙과에는 비타민 C와 비타민 A가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주가 함유하고 있는 이차대사산물(secondary metabolites) 중 쿠커비테인-타입 트리테르페노이드(cucurbitane-type triterpenoids)가 주요 기능성 물질로 알려져 왔으며, 이는 항비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연구되어 왔다.
또한, 여주의 쓴맛에는 식물스테롤(phytosterol) 배당체들과 많은 종류의 아미노산, 갈락트론산, 시트룰린, 펙틴 등의 성분이 들어 있어, 혈당강하 기능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식물인슐린(p-insulin)이라고도 불리는 여주의 주요 기능성 성분인 펩타이드성 물질 카란틴(charantin)은 인슐린 분비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베타세포를 활성화시켜,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함으로써 혈당을 낮춰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Sathishsekar, D. et al., 2005.).
한편, 상기 주목, 뽕나무 및 여주에 관련된 선행문헌으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427784호에는 인삼 및 뽕나무 추출물이 항당뇨 효과가 있음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전보고(Zhang D. et al., 2012)에 따르면 주목나무로부터 분리된 다당류(polysaccharide)가 당뇨에 효과가 있음이 나타나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862096호에는 베타-글루칸 및 여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뇨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964603호에는 주목과 뽕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당뇨병의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나, 선행문헌에 본 발명의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 추출물이 당뇨병의 치료 효과가 있음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가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964603호, 주목과 뽕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당뇨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2010년 06월 10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427784호, 인삼 및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2014년 08월 01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862096호, 베타-글루칸 및 여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뇨 조성물, 2008년 09월 30일, 등록.
Danaei, G. et al., National, regional, and global trends in fasting plasma glucose and diabetes prevalence since 1980: systematic analysis of health examination surveys and epidemiological studies with 370 country-years and 2ㅇ7 million participants, Lancet, 378(9785), 31-40, 2011. Sathishsekar, D. et al., Beneficial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 seeds in the treatment of STZ-induced diabetes in experimental rats, Biol. Pharm. Bull., 28(6), 978-983, 2005. Zhang, D. et al., Antidiabetic activity of Taxus cuspidata polysaccharid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Int. J. Biol. Macromol., 50(3), 720-724, 2012.
본 발명의 목적은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주목(Taxus cuspidata), 뽕나무(Morus alba L.) 및 여주(Momordica charantia L.)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주목 및 뽕나무의 잎과 줄기 100 중량부 기준으로, 여주 열매 5~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목 및 뽕나무의 잎과 줄기 100 중량부는, 주목의 잎과 줄기 및 뽕나무의 잎과 줄기가 3~1 : 1~3의 중량비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목(Taxus cuspidata), 뽕나무(Morus alba L.) 및 여주(Momordica charantia L.)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일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1공정) 주목의 잎과 줄기, 뽕나무의 잎과 줄기 및 여주 열매를 세척, 건조 및 0.2~3㎝로 세절하는 단계;
(2공정) 상기 주목 및 뽕나무의 잎과 줄기 100 중량부 기준으로, 여주 열매 5~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3공정) 상기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물에 중량대비 10~50배의 정제수를 넣고 가열하는 단계; 및,
(4공정) 상기 가열된 주목, 뽕나무 및 여주 추출물을 여과한 후 고형분을 제거하고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주목 및 뽕나무의 잎과 줄기 100 중량부 기준으로, 여주 열매 5~15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여주 열매 6~10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고, 상기 혼합범위를 벗어나서 추출한 혼합 추출물은 혈당 강하 효과가 좋지 않다.
본 발명은,
(1공정) 주목의 잎과 줄기, 뽕나무의 잎과 줄기 및 여주 열매를 세척, 건조 및 0.2~3㎝로 세절하는 단계;
(2공정) 상기 주목 및 뽕나무의 잎과 줄기 100 중량부 기준으로, 여주 열매 5~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3공정) 상기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물에 중량대비 10~50배의 정제수를 넣고 가열하는 단계; 및,
(4공정) 상기 가열된 주목, 뽕나무 및 여주 추출물을 여과한 후 고형분을 제거하고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3공정의 추출용매는 정제수,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제수를 이용하여 추출하였을 경우에는 고형분을 제거한 여액을 바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감압농축한 농축액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 단계는 70~125℃에서 1~10시간 동안 가열할 수 있으며, 직접적인 가열보다 추출물을 제조하는 통상의 중탕기를 이용하여 중탕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공정에서 가열된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추출물은 상온으로 식힌 후, 고형분을 제거하지 않는 상태에서 다시 동일 조건으로 재가열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4공정의 가열 과정을 마친 추출물의 여과 시, 고형분을 가라앉혀 추출물을 여과할 때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솜, 거름종이, 부직포, 여과지, 가는 체 등을 이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 여액은 별도의 가공 없이 멸균 및 밀봉 포장하여 그대로 사용되거나 당뇨병의 치료를 위한 약학 제제나 건강기능식품에 포함되어 사용될 수 있고, 여과 여액은 성인 60㎏ 기준으로 100~150㎖씩 하루에 1~3회 복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약 혼합 추출물은 상법에 따라, 유기용매(알코올, 에테르, 아세톤 등)에 의한 추출, 헥산과 물의 분배,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방법 등, 식물체 성분의 분리 추출에 이용되는 공지의 방법을 단독 또는 적합하게 조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획 또는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LH-20 column chromatography), 이온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ion exchange resin chromatography),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실리카겔 진공 액체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vacuum liquid chromatography)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 추출물은 그대로 사용하거나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을 통해 분말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에 0.001~100 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 추출물에 대한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혼합 추출물은 혈당 강하 효과가 우수하여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 추출물 제조>
먼저 하기 표 1을 참고하여, 주목의 잎과 줄기, 뽕나무의 잎과 줄기 및 여주 열매를 정제수에 세척한 후 건조하였다. 상기 세척 및 건조된 주목의 잎과 줄기, 뽕나무의 잎과 줄기 및 여주 열매를 사방 1㎝로 세절한 뒤, 정제수 292.5ℓ를 더하여 120℃에서 4시간 동안 중탕 가열하였다. 가열이 완료된 상기 혼합물은 다시 같은 조건에서 한 번 더 중탕 가열한 후, 고형분을 가라앉히고 여과하여 여액을 수거함으로써, 실시예 1 내지 3의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 추출물을 얻었다.
조건 주목(㎏) 뽕나무(㎏) 여주(㎏) 총 중량(㎏)
실시예 1 3.6 3.6 0.6 7.8
실시예 2 3.65 3.65 0.5 7.8
실시예 3 3.55 3.55 0.7 7.8
<비교예 1. 비교대상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추출물을 제조하되, 하기 표 2를 참고하여 비교예 1 내지 6을 제조하였다.
조건 주목(㎏) 뽕나무(㎏) 여주(㎏) 총 중량(㎏)
비교예 1 - - 7.8 7.8
비교예 2 3.9 - 3.9 7.8
비교예 3 - 3.9 3.9 7.8
비교예 4 1.95 1.95 3.9 7.8
비교예 5 3.85 3.85 0.1 7.8
비교예 6 2.4 2.4 3 7.8
<실험예 1. 급성 독성 실험>
실험하기 전 저녁부터 절식시킨 ICR 웅성마우스(체중 24±1g) 7마리씩을 한 군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분말을 경구투여 한 뒤, 행동의 이상 유무를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는 리치필드 제이 티 및 윌콕슨 에프의 방법에 따라 LD50 값을 산출하였으며, 이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조건 LD50 (mg/kg) 투여 경로
실시예 1 > 2000mg/kg 경구
실시예 2 > 2000mg/kg 경구
실시예 3 > 2000mg/kg 경구
로시글리타존(Rosiglitazone)* > 1000mg/kg 경구
* : 아반디아 정 / Avandia Tab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의 추출물을 경구 투여 시 당뇨병 치료제인 로시글리타존(Rosiglitazone)만큼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동물 혈당 강하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혼합 추출물에 대한 혈당 강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자발성 당뇨병 실험동물인 db/db 당뇨병 마우스를 대상으로 혈당 강하 효과를 실험하였다.
먼저, 동물에 경구 투여할 수 있도록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6의 추출물 각각을 동결건조하였다. 이후 실험군으로 당뇨병이 발현된 10주령의 웅성 db/db 마우스를 사육 환경에 2주간 적응시킨 후 혈중 포도당 농도가 600㎎/㎗ 내외의 당뇨병 마우스를 실험대상 동물로 선정하였다.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는 대조군과,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6의 추출물을 투여하는 군의 각 군당 실험동물 수는 5마리씩으로 하였다. 시료의 조제 및 투여를 위해 상기 동결건조된 추출물들을 0.5% CMC(Carboxymethyl-cellulose)액을 사용하여 현탁액으로 조제하여 사용하였고, 각 추출물 500㎎/㎏(체중)을 경구 투여하였다.
혈당의 측정은 비 공복상태에서 매일 오전 중에 꼬리에서 채혈하여 글루코스 옥시다아제법(Glucose oxidase method)으로 혈당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조건 혈청 중의 글루코스 함량(㎎/㎗)
1일 5일 10일
대조군(무처리군) 598.2±2.5 593.5±2.4 597.4±3.2
실시예 1 592.3±1.6 404.4±1.1 306.4±1.5
실시예 2 588.8±1.1 398.8±2.8 327.1±1.6
실시예 3 590.8±1.9 411.5±1.4 317.5±2.4
비교예 1 595.5±1.8 496.2±2.7 423.5±3.1
비교예 2 591.4±2.4 486.6±1.3 420.4±2.3
비교예 3 597.7±1.5 492.5±1.5 431.2±1.8
비교예 4 591.1±1.4 444.7±0.9 370.2±2.2
비교예 5 587.6±0.3 437.1±1.6 386.7±1.4
비교예 6 595.4±1.8 431.2±2.1 375.4±1.5
표 4의 결과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의 추출물을 처리한 군은, 비교예 1 내지 6의 추출물 및 대조군(무처리군)에 비해 우수한 혈당 강하 작용을 나타내어,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임상 혈당 강하 확인>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의 추출물의 여과 여액 각각을, 남자 20명, 여자 20명의 당뇨병 환자 40명에게 아침, 저녁으로 하루에 두 번 120㎖씩 30일간 섭취하게 한 후 5일 간격으로 혈당을 측정하였다. 혈당의 측정은 8시간 이상 금식한 후에 자가 혈당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추출물을 섭취하지 않는 당뇨병 환자들을 비교하였다.
혈당은 하기 표 5와 같이, 5일 내지 30일 동안 측정하였으며, 각 추출물을 섭취한 당뇨병 환자들(남자 20명, 여자 20명)에 대한 혈당이 정당 혈당으로 회복된 인원수를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이때, 혈당 수치가 126㎎/㎗ 이하의 혈당으로 내려간 것을 정상 혈당으로 회복하였다는 기준으로 하였다.
조건 투여일수에 따른 정상혈당 인원(명)
5일 10일 15일 20일 25일 30일
대조군 0 0 0 0 0 0 0 0 0 0 0 0
실시예 1 2 2 5 5 8 7 11 11 13 14 16 16
실시예 2 3 2 5 5 7 8 11 10 15 13 18 16
실시예 3 2 3 4 6 6 9 10 11 14 13 17 17
비교예 1 0 0 0 0 0 0 1 0 1 1 2 2
비교예 2 0 0 0 0 0 0 0 1 1 2 2 3
비교예 3 0 0 0 0 1 0 1 0 2 1 3 2
비교예 4 1 1 1 2 3 4 6 6 8 10 10 12
비교예 5 1 2 2 3 4 5 7 8 9 9 11 10
비교예 6 1 2 2 2 4 5 7 7 11 9 13 11
표 5의 결과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추출물은 비교예 1 내지 6 및 대조군에 비해, 당뇨병 환자의 혈당을 정상으로 회복시키는 효과와 지속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
제제예 1-1. 정제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 추출물 20g을 락토오스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석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1-2. 주사제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 추출물을 1g, 염화나트륨 0.6g 및 아스코르브산 0.1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를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제제예 2. 식품 제조>
제제예 2-1. 조리용 양념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 추출물을 0.2~10 중량%로 조리용 양념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2.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 추출물을 0.1~5.0 중량%로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3.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 추출물을 0.1~1.0 중량%로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 추출물을 0.1~1.0 중량%로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5. 야채주스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 추출물을 0.5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주스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6. 과일주스 제조
본 발명 실시예 1의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 추출물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7)

  1. 주목(Taxus cuspidata), 뽕나무(Morus alba L.) 및 여주(Momordica charantia L.)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주목 및 뽕나무의 잎과 줄기 100 중량부 기준으로, 여주 열매 5~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목 및 뽕나무의 잎과 줄기 100 중량부는, 주목의 잎과 줄기 및 뽕나무의 잎과 줄기가 3~1 : 1~3의 중량비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4. 주목(Taxus cuspidata), 뽕나무(Morus alba L.) 및 여주(Momordica charantia L.)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주목 및 뽕나무의 잎과 줄기 100 중량부 기준으로, 여주 열매 5~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목 및 뽕나무의 잎과 줄기 100 중량부는, 주목의 잎과 줄기 및 뽕나무의 잎과 줄기가 3~1 : 1~3의 중량비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1공정) 주목의 잎과 줄기, 뽕나무의 잎과 줄기 및 여주 열매를 세척, 건조 및 0.2~3㎝로 세절하는 단계;
    (2공정) 상기 주목 및 뽕나무의 잎과 줄기 100 중량부 기준으로, 여주 열매 5~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
    (3공정) 상기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물에 중량대비 10~50배의 정제수를 넣고 가열하는 단계; 및,
    (4공정) 상기 가열된 주목, 뽕나무 및 여주 추출물을 여과한 후 고형분을 제거하고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목, 뽕나무 및 여주의 혼합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20150084002A 2015-06-15 2015-06-15 주목, 뽕나무 및 여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36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002A KR101736036B1 (ko) 2015-06-15 2015-06-15 주목, 뽕나무 및 여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002A KR101736036B1 (ko) 2015-06-15 2015-06-15 주목, 뽕나무 및 여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360A true KR20160147360A (ko) 2016-12-23
KR101736036B1 KR101736036B1 (ko) 2017-05-16

Family

ID=57736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002A KR101736036B1 (ko) 2015-06-15 2015-06-15 주목, 뽕나무 및 여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0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096B1 (ko) 2007-04-06 2008-10-09 주식회사 글루칸 베타-글루칸 및 여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항당뇨 조성물
KR100964603B1 (ko) 2010-03-02 2010-06-21 오동석 주목과 뽕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당뇨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27784B1 (ko) 2012-08-23 2014-08-13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인삼 및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482B1 (ko) * 2009-10-08 2010-03-24 오동석 주목과 뽕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당뇨 또는 고혈압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096B1 (ko) 2007-04-06 2008-10-09 주식회사 글루칸 베타-글루칸 및 여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항당뇨 조성물
KR100964603B1 (ko) 2010-03-02 2010-06-21 오동석 주목과 뽕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당뇨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27784B1 (ko) 2012-08-23 2014-08-13 재단법인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인삼 및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anaei, G. et al., National, regional, and global trends in fasting plasma glucose and diabetes prevalence since 1980: systematic analysis of health examination surveys and epidemiological studies with 370 country-years and 2ㅇ7 million participants, Lancet, 378(9785), 31-40, 2011.
Sathishsekar, D. et al., Beneficial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 seeds in the treatment of STZ-induced diabetes in experimental rats, Biol. Pharm. Bull., 28(6), 978-983, 2005.
Zhang, D. et al., Antidiabetic activity of Taxus cuspidata polysaccharid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Int. J. Biol. Macromol., 50(3), 720-724, 20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6036B1 (ko) 201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055B1 (ko) 항산화 및 면역기능 증진 활성을 갖는 덖음차 조성물
KR101419463B1 (ko)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KR101691205B1 (ko) 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27784B1 (ko) 인삼 및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101261029B1 (ko) 칠면초를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76941B1 (ko) 토종 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e et al. Food functionality of Opuntia ficus-indica var. cultivated in Jeju Island
EP2641604A2 (en) Composition containing styraxlignolide a or the aglycone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asthma
KR101671961B1 (ko) 으름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KR101513240B1 (ko) 생약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KR101731152B1 (ko) 다래순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20100003045A (ko) 천일염 및 한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예방용 조성물
KR101453455B1 (ko)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1736036B1 (ko) 주목, 뽕나무 및 여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KR102414431B1 (ko) 엉겅퀴, 민들레, 여주, 돼지감자, 양파, 꾸지뽕, 아로니아 및 생강을 포함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070097868A (ko) 양파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1350826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45704B1 (ko) 키누레닉산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EP2155220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Herba Ephedrae and Thallus Laminariae seu Eckloniae for use in supressing obesity
KR100865900B1 (ko) 복합생약추출물(occ-ⅰ) 또는 이의분말(occ-ⅱ)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484312B1 (ko) 땃두릅이 함유된 음료
KR101618215B1 (ko)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16211B1 (ko) 풋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639283B1 (ko) 건강 추출물 및 석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