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620A - 에어 캡 내장 단열 초배지 - Google Patents

에어 캡 내장 단열 초배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620A
KR20160146620A KR1020160168465A KR20160168465A KR20160146620A KR 20160146620 A KR20160146620 A KR 20160146620A KR 1020160168465 A KR1020160168465 A KR 1020160168465A KR 20160168465 A KR20160168465 A KR 20160168465A KR 20160146620 A KR20160146620 A KR 20160146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p
wallpaper
attached
air
sealing lay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
Original Assignee
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 filed Critical 김수
Priority to KR1020160168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6620A/ko
Publication of KR20160146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6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캡 내장 단열 초배지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내부에 밀폐된 구조로 내장되어 단열성이 향상되면서 습기 유입이 방지되도록 하는 에어 캡 내장 단열 초배지에 관한 것이다. 에어 캡 내장 단열 초배지는 다수 개의 공기 돌기가 배열된 에어 캡(11); 및 에어 캡(11)의 양쪽 면에 부착되는 밀폐 층(13a, 13b)을 포함하고,상기 밀폐 층(13a, 13b)은 종이 또는 부직포가 되고, 밀폐 층(13a, 13b)의 하나에 벽지(14)가 부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 캡 내장 단열 초배지{An Underpaper of a Wall Having a Embedded Air Cap}
본 발명은 에어 캡 내장 단열 초배지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내부에 밀폐된 구조로 내장되어 단열성이 향상되면서 습기 유입이 방지되도록 하는 에어 캡 내장 단열 초배지에 관한 것이다.
벽지(Wallpaper)는 벽면의 보호 및 실내공간의 장식을 위하여 사용되는 종이와 같은 소재로 만들어지고, 마감재 중 가장 큰 시공 면적을 가지므로 실내공간의 이미지를 창조하는 주요 구성요소가 된다. 벽지는 벽면에 밀착되어 시공 직후의 모습대로 오래도록 보존될 수 있어야 하나, 실내 또는 외부와 실내의 경계에 서있는 벽면이 처한 환경적 요인으로 인하여 벽지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결로현상은 겨울철에 흔히 발생하는 현상으로, 실내외의 온도차가 심할 때 더운 공기층의 습기가 차가운 벽체나 천장에 이슬이 되어 맺히는 현상을 말한다. 결로현상은 벽지에 물 얼룩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습윤 환경의 조성으로 인한 곰팡이의 발생 및 번식을 촉진시킨다. 이는 장기적으로 보존되고 사용되어야 할 벽지를 훼손시킬 뿐만 아니라 진드기 및 각종 세균의 발생을 야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인체에 각종 호흡기 및 피부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한편, 벽지는 벽면과의 낮은 밀착력으로 인하여 정배작업이 수행되기 이전에 초배작업이 선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외관상으로 드러나는 벽지를 대신하여 초배지는 콘크리트 벽면과 같이 고르지 못한 벽면에 평탄면을 제공하여 표현 마감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 부직포와 같은 초배지를 사용함으로써 벽지에서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완화할 수 있다. 벽지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점을 초배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해결될 수 있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벽지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10-2014-0100722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기재 층; 상기 기재 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에어 캡 층; 및 상기 에어 캡 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인쇄 층을 포함하는 에어 캡 층을 갖는 벽지에 대하여 개시한다.
실용신안공개번호 20-2014-0005692는 실내나 방과 같은 곳에 사용하는 종이나 환지 또는 목욕탕 또는 다용도실에 사용하는 비닐 시트로 이루어진 벽지와; 상기 벽지의 일면에 압착되어 부착된 PE 폼과; 상기 PE 폼에 일면이 밀착되어 접착됨과 더불어 타면에는 접착부가 구비되는 에어 캡과; 상기 접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밀착된 박리 시트를 포함하는 보온 보냉 차음 벽지 시트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에어 캡이 적용된 벽지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지만 에어 캡의 배치 효과에 따른 단열이 향상되면서 이와 동시에 결로 현상이 완전하게 방지되도록 하는 층 구조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 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1: 특허공개번호 10-2014-0100722(2014년08월18일 공개, 엘지하우시스) 에어 캡 층을 갖는 벽지 선행기술2: 실용신안공개번호 20-2014-0005692(2014년11월06일 공개, 김종암) 보온 보냉 차음 벽지 시트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 캡의 양쪽 측면에 배치되는 밀폐 층에 의하여 단열 효과가 향상되고 결로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에어 캡 내장 단열 초배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에어 캡 내장 단열 초배지는 다수 개의 공기 돌기가 배열된 에어 캡; 및 에어 캡의 양쪽 면에 부착되는 밀폐 층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 층은 종이 또는 부직포가 되고, 밀폐 층의 하나에 벽지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에어 캡 내장 단열 초배지는 상기 에어 캡과 밀폐 층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 필름을 더 포함하고, 밀폐 층은 투명 폴리프로필렌이 부착된 부직포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밀폐 층은 서로 이격되도록 선형으로 배치된 심 접착 선 및 심 접착 선의 사이에 배열된 유동 접착 선을 포함하고, 상기 심 접착선 및 유동 접착 선에 의하여 기체 단열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초배지는 에어 캡의 양면에 밀폐 층 또는 흡수 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단열성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결로 현상이 완전히 방지될 수 있도록 하여 벽지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추가적인 공기 유동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벽지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초배지는 단열 및 습기 유입의 방지로 인하여 벽지의 곰팡이 발생이 방지되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초배지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배지가 생산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배지에서 밀폐 층이 접착되는 구조 및 투명성을 가진 벽지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초배지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초배지는 다수 개의 공기 돌기가 배열된 에어 캡(11); 및 에어 캡(11)의 양쪽 면에 부착되는 밀폐 층(13a, 13b)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 층(13a, 13b)은 종이 또는 부직포가 되고, 밀폐 층(13a, 13b)의 하나에 벽지(14)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배지는 주거 공간, 업무 공간 또는 휴식 공간과 같이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벽면 또는 천정 면의 내장재를 말한다. 초배지는 콘크리트 면, 단열 내장재 또는 다른 소재의 위쪽에 부착될 수 있고, 초배지에 벽지(14)가 부착될 수 있다. 다만 밀폐 층(13a)의 소재에 따라 벽지(14)가 부착되지 않고 초배지만 시공될 수 있다. 또한 초배지가 일정 기간 사용되고 이후 벽지(14)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벽지(14)의 부착이 가능한 초배지는 다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별히 에어 캡(11)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캡(air cap)(11)은 공기와 같은 기체가 채워진 돌기가 배열된 필름 층을 말한다. 각각의 돌기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부피를 가질 수 있고, 다수 개의 돌기가 필름에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돌기는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에어 캡(11)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종류가 될 수 있다.
에어 캡(11)은 PE(폴리에틸렌)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원기둥 형상의 기체 돌기가 밀집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기체는 공기와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에어 캡(11)의 제조 과정에서 기체 돌기에 채워질 수 있다. 기체 돌기와 기체 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은 공기로 채워지거나 감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에어 캡(11)은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거나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에어 캡(11)이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 기체 돌기를 제외한 부분은 예를 들어 0.1 내지 0.9 기압과 같은 낮은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다. 에어 캡(11)은 공기 돌기의 높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밀폐 공간은 에어 캡(11)의 양쪽에 부착되는 접착 필름(12a, 12b)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접착 필름(12a, 12b)은 에어 캡(11)의 양쪽 면에 접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비닐과 같은 합성수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0.1 내지 10 mm의 두께의 박막 형태가 될 수 있다. 접착 필름(12a, 12b)은 에어 캡(11)의 양쪽 면에 열융착 방식, 가압 방식 또는 이들의 혼합 방식으로 접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에어 캡(11)의 양쪽 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 필름(12a, 12b)을 부착시키면서 기체 돌기를 서로 연결하고, 기체 돌기 사이의 공기를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감압된 밀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에어 캡(11)의 내부 공간이 반드시 감압된 밀폐 공간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기체 돌기와 기체 돌기 사이에 온도에 따른 공기 팽창에 기초하여 적절한 여유 공간이 형성되도록 기체 돌기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기체 돌기의 위쪽 면은 접착 필름(12a)의 부착을 위하여 평면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원기둥의 한쪽 면 형상이 될 수 있다.
접착 필름(12a, 12b)은 에어 캡(11)의 양쪽 면에 부착될 수 있고, 각각의 접착 필름(12a, 12b)에 밀폐 층(13a, 13b)이 부착될 수 있다. 밀폐 층(13a, 13b)은 종이 또는 부직포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0.5 내지 5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밀폐 층(13a, 13b)이 종이가 되는 경우 접착제에 의하여 밀폐 층(13a, 13b)은 접착 필름(12a, 12b)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밀폐 층(13a, 13b)이 부직포가 되는 경우 열융착 또는 열 가압 방식으로 밀폐 층(13a, 13b)이 접착 필름에 부착되거나 또는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밀폐 층(13a, 13b)이 접착 필름(12a, 12b)에 부착되면 본 발명에 따른 초배지가 완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초배지의 한쪽 면에 벽지(14)가 부착될 수 있다.위에서 접착 필름(12a, 12b)이 에어 캡(11)에 독립적으로 부착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되었다. 에어 캡(11)은 자체적으로 아래쪽 또는 위쪽 면에 PE와 같은 소재의 필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 필름(12a, 12b)은 밀폐 층(13a, 13b)에 먼저 접착이 되어 에어 캡(11)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 에어 캡(11)에 부착된 표면 필름에 접착 필름(12a, 12b)을 가진 밀폐 층(13a, 13b)이 부착되는 것에 의하여 에어 캡(11)과 밀폐 층(13a, 13b)이 쉽게 결합이 되면서 초배지의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에어 캡(11), 접착 필름(12a, 12b) 및 밀폐 층(13a, 13b)은 다양한 방법으로 서로 부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초배지는 에어 캡(11)을 중심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에어 캡(11)은 밀폐 공간을 형성하거나 또는 감압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밀폐 공간 또는 감압 공간이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초배지가 제조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배지가 생산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의 설명에서 에어 캡이 형성되는 장치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에어 캡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만들어질 수 있고, 연속 공정에 의하여 판지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한 쌍의 돌기 형성 롤러(R11, R12) 사이로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 소재의 에어 캡 기재가 투입되면서 기체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돌기 형성 롤러(R11, R12)의 표면에 기체 돌기 원형이 만들어질 수 있고, 투입되는 에어 캡 기재에 원기둥 형상의 기체 돌기가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기체 돌기가 형성되면서 한 쌍의 접착 필름(12a, 12b)이 접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 캡 기재가 투입되는 한 쌍의 돌기 형성 롤러(R11, R12)의 아래쪽 및 위쪽으로 접착 필름(12a, 12b)이 투입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접착 필름에 접착제가 미리 부착될 수 있고, 한 쌍의 돌기 형성 롤러(R11, R12)의 내부에 히터가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히터의 작동에 의하여 한 쌍의 돌기 형성 롤러(R11, R12)가 가열되고 이로 인하여 접착 필름(12a, 12b)이 에어 캡 기재에 접착될 수 있다. 한 쌍의 접착 롤러(R11, R12)는 적절한 압력을 가하도록 분리 간격이 조절될 수 있고, 접착 필름(12a, 12b)이 접착되면서 내부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접착 필름(12a, 12b)이 부착된 상태로 에어 캡 기재는 한 쌍의 접착 롤러(R21, R22) 사이로 투입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밀폐 층(13a, 13b)이 접착 필름(12a, 12b)에 부착되도록 한 쌍의 접착 롤러(R21, R22) 사이로 투입될 수 있다. 밀폐 층(13a, 13b)이 접착되는 면에 미리 심 테이프와 같은 접착제가 부착될 수 있고, 심 테이프 또는 접착제에 의하여 밀폐 층(13a, 13b)이 접착 필름(12a, 12b)에 접착될 수 있다. 한 쌍의 접착 롤러(R21, R22)의 내부에 히터가 내장될 수 있고, 한 쌍의 접착 롤러(21, R22) 사이의 간격은 접착을 위하여 요구되는 압력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밀폐 층(13a, 13b)이 접착 필름(12a, 12b)에 부착되면 초배지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이후 초배지의 한쪽 면에 벽지가 부착되어 단열 벽지가 만들어질 수 있다. 벽지의 부착은 예를 들어 벽지 및 접착 필름(12a, 12b)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이 된 것처럼, 에어 캡(11)은 자체적으로 아래쪽 또는 위쪽 면에 형성된 박막 보호 필름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접착 필름(12a, 12b)은 미리 밀폐 층(13a, 13b)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돌기 형성 롤러(R11, R12)에 박막 보호 필름이 투입되고, 한 쌍의 접착 롤러(R21, R22)에 접착 필름(12a, 12b)이 부착된 밀폐 층(13a, 13b)이 투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배지는 다양한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초배지는 내부에 에어 캡에 의하여 형성되는 단열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 캡에 의하여 형성된 단열층은 접착 필름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에어 캡의 외부에 단열층 및 공기 유동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지에서 밀폐 층이 접착되는 구조 및 투명성을 가진 초배지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가)를 참조하면, 밀폐 층(13a)이 접착 필름(12a)과 접촉되는 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선형으로 배치된 심 접착 선(132) 및 심 접착 선(132)의 사이에 배열된 유동 접착 선(13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심 접착선(132) 및 유동 접착 선(131)에 의하여 기체 단열층이 형성될 수 있다. 심(seam) 접착 선(132)은 밀폐 층(13a)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심 접착 선(132)은 일정한 간격으로 분리되어 서로 평행하도록 직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심 접착 선(132)은 접착 필름(12a)과 접착되어 밀폐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심 접착 선(132)은 열에 의하여 접착되는 열 접착제가 될 수 있다. 한 쌍의 심 접착 선(132) 사이에 형성되는 유동 접착 선(131)은 직선 형태로 연장되는 스트립 형상이 될 수 있다. 유동 접착 선(131)을 길이 방향을 따라 분리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동 접착 선(131)은 접착제 성분으로 형성될 수 있고 심 접착 선(132)과 마찬가지로 심 테이프(seam tape)와 같은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동 접착 선(131)은 한 쌍의 심 접착 선(132) 사이에 다수 행(Row)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유동 접착 선(131)은 적어도 하나의 분리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분리된 부분을 통하여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밀폐 층(13a)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의 (나)를 참조하면, 하나의 접착 필름(12b)에 밀폐 층을 대신하여 방수 층(31)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접착 필름(12a)에 부직포 층(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부직포 층(13)의 위쪽에 투명 수지 층(32)이 형성될 수 있다. 부직포 층(13)에 다양한 형태의 문양이 인쇄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투명 수지 층(32)은 예를 들어 투명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문양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발수성을 가지는 폴리프로필렌에 의하여 외부로 습기가 방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의 발수성은 외부로 습기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내부로 습기가 흡수되는 흡수 층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단열 초배지는 초배지의 외부에 별도로 문양이 형성될 필요가 없도록 하면서 초배지 문양이 장기간 보존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은 구조에서 폴리프로필렌이 벽지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는 폴리프로필렌 및 부직포가 밀폐 층 및 벽지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밀폐 층 또는 벽지는 다양한 소재 또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초배지는 에어 캡의 양면에 밀폐 층 또는 흡수 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단열성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결로 현상이 완전히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추가적인 공기 유동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벽지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에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에어 캡 12a, 12b: 접착 필름
13a, 13b: 밀폐 층 14: 벽지
131: 유동 접착 선 132: 심 접착 선

Claims (2)

  1. 다수 개의 공기 돌기가 배열된 에어 캡(11);
    에어 캡(11)의 양쪽 면에 부착되는 밀폐 층(13a, 13b); 및
    에어 캡(11)과 밀폐 층(13a, 13b)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 필름(12a, 12b);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 필름(12a, 12b)의 접착에 의하여 에어 캡(11)은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면서 0.1 내지 0.9 기압의 낮은 압력으로 유지되고, 상기 밀폐 층(13a, 13b)은 종이 또는 투명 폴리프로필렌이 부착된 부직포가 되고, 밀폐 층(13a, 13b)의 하나에 벽지(14)가 부착될 수 있는 에어 캡 내장 단열 초배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 층(13a, 13b)은 서로 이격되도록 선형으로 배치된 심 접착 선(132) 및 심 접착 선(132)의 사이에 배열된 유동 접착 선(131)을 포함하고, 상기 심 접착선(132) 및 유동 접착 선(131)에 의하여 기체 단열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캡 내장 단열 초배지.




KR1020160168465A 2016-12-12 2016-12-12 에어 캡 내장 단열 초배지 KR201601466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465A KR20160146620A (ko) 2016-12-12 2016-12-12 에어 캡 내장 단열 초배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465A KR20160146620A (ko) 2016-12-12 2016-12-12 에어 캡 내장 단열 초배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473A Division KR20160113501A (ko) 2015-03-21 2015-03-21 에어 캡 내장 단열 초배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620A true KR20160146620A (ko) 2016-12-21

Family

ID=57735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465A KR20160146620A (ko) 2016-12-12 2016-12-12 에어 캡 내장 단열 초배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662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0722A (ko) 2013-02-07 2014-08-18 (주)엘지하우시스 에어캡층을 갖는 벽지
KR20140005692U (ko) 2013-04-29 2014-11-06 김종암 보온보냉차음벽지시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0722A (ko) 2013-02-07 2014-08-18 (주)엘지하우시스 에어캡층을 갖는 벽지
KR20140005692U (ko) 2013-04-29 2014-11-06 김종암 보온보냉차음벽지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68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ulating a pipe
HRP20170830T1 (hr) Akustična regulirajuća sendvič ploča s perforacijom
US94823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ulating a pipe
KR20140128617A (ko) 공기층 단열을 이용한 복합·복층·단열방수공법
KR20160125930A (ko) 단열과 방습 특성을 가진 발포 초배지
KR200403182Y1 (ko) 층간소음 방지재
KR100593562B1 (ko) 층간소음 방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46620A (ko) 에어 캡 내장 단열 초배지
KR20160035955A (ko) 에어캡층이 구비된 단열, 안전용 벽지 및 바닥재
KR20160113501A (ko) 에어 캡 내장 단열 초배지
KR101186438B1 (ko) 보온단열 점착시트
KR20140085020A (ko) 건축물의 내단열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복합기능 단열재
KR20150105044A (ko)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CA2748741C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ulating a pipe
KR200493493Y1 (ko) 단열흡음완충 폼블럭
KR20150031914A (ko) 벽체용 단열마감재
JP3990340B2 (ja) 複合脱気用防水シート
KR101722111B1 (ko) 단열재용 알루미늄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6466A (ko) 단이 없는 버블시트를 구비한 초배지 제조방법과 그에 따른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 및 이를 이용한 초배지 도배 방법
CN211199108U (zh) 压花铝箔复合胶带
ES2675854T3 (es) Procedimiento de revestimiento
JP2009287274A (ja) 低放射率建材及びそれを用いた内装仕上げ構造
KR200473472Y1 (ko) 건축용 방통테이프
CN207313516U (zh) 一种冷凝管铝箔胶带
CN209037140U (zh) 一种具有负离子的墙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