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041A -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 - Google Patents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46041A KR20160146041A KR1020150082600A KR20150082600A KR20160146041A KR 20160146041 A KR20160146041 A KR 20160146041A KR 1020150082600 A KR1020150082600 A KR 1020150082600A KR 20150082600 A KR20150082600 A KR 20150082600A KR 20160146041 A KR20160146041 A KR 201601460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cuum
- cutting
- base
- unit
- thin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18—Holding the work by su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8—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 B23Q3/088—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using vacuum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05—Vacuum work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Di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 몸체를 이루면서 작업 테이블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내측의 상면 중 의 전방에는 진공흡입관을 통해 진공흡입력을 제공받는 진공홈이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내측의 상면 중 상기 진공홈의 후방으로는 상기 진공홈 내부의 진공흡입력을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유로가이드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하부베이스; 상부 몸체를 이루면서 블럭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측에 얹혀 고정되며, 다수의 진공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상부베이스; 상기 상부베이스의 상면에 얹혀 상기 각 진공홀을 덮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면으로는 단일의 박판 소재가 얹히며, 공기의 유입은 가능하되 이물질의 유입은 차단하는 미세한 메쉬체의 구조로 형성되면서 박판 소재로부터 각 단위 가공물의 절단 가공이 진행되는 도중 상기 각 단위 가공물이 진공 흡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홀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이 제공되며, 이를 통해 명판용 단위 문자와 같이 단일의 박판 소재로부터 복수의 단위 가공물에 대한 절단 가공시 상기 박판 소재로부터 해당 단위 가공물의 분리로 인해 야기되는 진공 파괴 현상을 방지하여 원활한 가공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공척에 관련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명판용 단위 문자와 같이 단일의 박판 소재로부터 복수의 단위 가공물에 대한 절단 가공시 상기 박판 소재로부터 해당 단위 가공물의 분리로 인해 야기되는 진공 파괴 현상을 방지하여 원활한 가공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판에 대한 가공시에는 그 가공의 정밀도 향상을 위해 해당 박판에 대한 유동이 방지될 수 있어야 하며, 이로써 종래에는 상기 박판의 가공시 박판을 고정하기 위해 진공흡착력을 이용하는 진공척(vacuum-chuck)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진공척은 다수의 진공홀을 통해 진공력을 제공함으로써 해당 진공척의 표면에 얹히는 가공물(박판)에 대한 안정적인 고정 상태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공보 제10-0176434호, 등록특허공보 제10-0998808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7260호, 특허공보 특1994-0001810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의 진공척은 가공물의 전 부위에 대한 고른 진공흡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될 뿐 다수의 분할된 단위 문자를 가공하는 등과 같이 단일의 박판 소재를 절단 가공하여 다수의 분할된 단위 가공물을 제조하는 용도로의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았던 문제점이 있었다.
즉, 단일의 박판 소재는 상기 진공척에 의해 전 부위가 고르게 진공흡착력을 제공받는 상태로 유지되지만, 해당 박판 소재로부터 어느 한 단위 가공물(예컨대, 단위 문자)을 가공하여 분리하게 될 경우에는 해당 단위 가공물이 위치된 부위에 대한 진공이 해제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그 주변 부위에 대한 진공이 일괄적으로 약해짐으로써 정밀 가공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것이다.
특히, 상기 단위 가공물의 가공시에도 이 단위 가공물의 일부가 단일의 박판 소재로부터 분리될 경우 상기 단위 가공물이 분리된 부위의 진공이 파괴됨에 따라 상기 단위 가공물 중 가장 마지막으로 박판 소재로부터 분리되는 부위에 대한 가공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비정상적인 가공이 이루어짐에 따른 가공 불량 역시 자주 발생될 수밖에 없었다.
이에 종래에는 각 단위 가공물의 전 부위를 고르게 가공하기 위해 작업 중 박판 소재를 손으로 누르면서 그 유동을 방지하는 행위를 수행하였으며, 이로 인한 안전 사고의 위험이 클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각 진공홀에 대한 위치를 매우 촘촘히 형성함으로써 전술된 진공 파괴에 대한 문제점이나 단위 가공물의 절단에 따른 가공물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해당 척의 제조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울 수밖에 없었을 뿐 아니라 가공시 발생되는 미세 칩(chip)이 해당 진공홀을 폐쇄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어 그 유지 보수나 청소가 매우 어려울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명판용 단위 문자와 같이 단일의 박판 소재로부터 복수의 단위 가공물에 대한 절단 가공시 상기 박판 소재로부터 해당 단위 가공물의 분리로 인해 야기되는 진공 파괴 현상을 방지하여 원활한 가공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은 하부 몸체를 이루면서 작업 테이블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내측의 상면 중 의 전방에는 진공흡입관을 통해 진공흡입력을 제공받는 진공홈이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내측의 상면 중 상기 진공홈의 후방으로는 상기 진공홈 내부의 진공흡입력을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유로가이드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하부베이스; 상부 몸체를 이루면서 블럭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측에 얹혀 고정되며, 다수의 진공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상부베이스; 상기 상부베이스의 상면에 얹혀 상기 각 진공홀을 덮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면으로는 단일의 박판 소재가 얹히며, 공기의 유입은 가능하되 이물질의 유입은 차단하는 미세한 메쉬체의 구조로 형성되면서 박판 소재로부터 각 단위 가공물의 절단 가공이 진행되는 도중 상기 각 단위 가공물이 진공 흡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홀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진공흡입관은 상기 하부베이스에 형성된 진공홈의 어느 일측편에 연통되게 위치되고,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각 유로가이드의 일단들은 상기 진공홈의 다른 일측편에 서로 이격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유로가이드은 그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서로가 점차적으로 벌어지도록 부채살 구조로 배치됨과 더불어 각 유로가이드의 끝단면은 상기 하부베이스의 내측 둘레벽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베이스의 상면 중 각 진공홀의 주변으로는 복수의 요입홈이 격자 구조로 각각 요입 형성되며, 상기 상부베이스의 상면 중 상기 각 진공홀의 둘레로는 상기 요입홈에 이르기까지 연통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진공홀을 통해 전달되는 진공흡입력의 제공 면적을 확장시키는 복수의 확장홈이 요입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패드는 종이재질 혹은, 섬유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은 각 유로가이드의 배치 구조와 진공흡입력의 제공 구조와 진공홀의 주변 구조 및 홀패드의 추가적 제공 구조를 통해 박판 소재로부터 복수의 단위 가공물을 절단 가공하는 도중 각 단위 가공물의 안정적인 진공 흡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치않은 진공 해제에 따른 박판 소재의 유동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각 단위 가공물에 대한 정밀 가공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의 홀패드는 단위 가공물에 대한 절단 가공시 발생되는 미세 이물질이 진공홀로 유입됨을 방지하는 필터의 역할도 함께 수행함으로써 진공홀의 막힘 현상에 따른 해당 부위의 진공 흡착 불량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더욱이 해당 홀패드는 하나의 박판 소재에 대한 각 단위 가공물의 절단 가공이 완료될 경우 버리는 소모성 제품으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절단 가공후 하부베이스나 상부베이스에 대한 청소를 별도로 수행하지 않고 홀패드만 교체하면 됨에 따라 작업 준비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에 박판 소재가 얹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 중 하부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 중 상부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에 얹혀 가공되는 박판 소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의 조립 과정 및 박판 소재를 얹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에 박판 소재가 얹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 중 하부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 중 상부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에 얹혀 가공되는 박판 소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의 조립 과정 및 박판 소재를 얹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각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에 의해 파지되는 박판 소재가 명판의 제조를 위한 박판의 플레이트임을 그 예로 함과 더불어 이 박판 소재로부터 절단 가공되어 제조되는 단위 가공물은 명판의 제조에 사용되는 단위 문자임을 그 예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에 박판 소재가 얹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 중 하부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 중 상부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에 얹혀 가공되는 박판 소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이하, “진공척”이라 함)은 크게 하부베이스(100)와, 상부베이스(200) 및 홀패드(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하부베이스(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척의 하부 몸체를 이루면서 작업 테이블(도시는 생략됨)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하부베이스(100)는 작업 테이블의 상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테두리단(1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과 더불어 내측 부위의 상면은 공기의 유동을 위한 공간(이하, “공기 유동공간”이라 함)(120)을 제공하도록 하향 요입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베이스(100)의 내측 상면 중 전방측 부위에는 진공홈(130)이 추가로 요입 형성된다. 상기 진공홈(130)은 상기 공기 유동공간과는 별도의 진공흡입력 제공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부위로써, 상기 하부베이스(100)의 전면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진공흡입관(140)을 통해 진공흡입력을 제공받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하부베이스(100)의 내측 상면 중 상기 공기 유동공간(120)에는 상기 진공홈(130) 내부의 진공흡입력을 상기 공기 유동공간(120)의 전 부위로 고르게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유로가이드(150)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공홈(130) 중 어느 일측에 상기 진공흡입관(140)이 연통되게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진공홈(130) 중 다른 일측에는 상기 각 유로가이드(150)의 일단들이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도록 한다. 즉, 각 유로가이드(150) 사이의 연통 부위가 상기 진공흡입관(140)의 연결 부위와는 최대한 멀리 위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진공흡입관(140)을 통해 제공되는 진공흡입력이 각 유로가이드(150)들 사이로 최대한 균일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유로가이드(150)는 그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서로가 점차적으로 벌어지는 부채살 구조로 배치됨과 더불어 각 유로가이드(150)의 끝단면은 상기 하부베이스(100)의 내측 둘레벽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함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제시하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하부베이스(100)의 공기 유동공간 전 부위로 고른 진공흡입력의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베이스(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척의 상부 몸체를 이루면서 상기 하부베이스(10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상부베이스(200)는 블럭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하부베이스(100)의 상측에 얹혀 고정되며, 상기 상부베이스(200)의 내측 부위로는 다수의 진공홀(210)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부베이스(100)의 외곽 둘레측 상면에는 씨일부재(예컨대, 오링 등)(160)가 구비되면서 상기 상부베이스(200)와의 접촉 부위가 기밀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상부베이스(200)의 상면 중 각 진공홀(210)의 주변으로는 복수의 요입홈(220)이 격자 구조로 각각 요입 형성되며, 상기 상부베이스(200)의 상면 중 상기 각 진공홀(210)의 둘레로는 일측이 상기 진공홀(210)에 연통됨과 더불어 타측은 그에 인접된 요입홈(220)과 연통되는 복수의 확장홈(230)이 요입 형성된다. 이러한 요입홈(220) 및 확장홈(230)은 상기 각 진공홀(210)을 통해 전달되는 진공흡입력의 제공 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한 부위이다.
즉, 상기한 요입홈(220)과 복수의 확장홈(203)에 대한 형상을 통해 진공홀(210)의 형성 갯수를 최소화하더라도 최대한 넓은 범위로의 고른 진공흡입력이 제공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진공홀(210)의 수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여 해당 진공척의 제조가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홀패드(300)는 박판 소재(10)로부터 절단되는 각 단위 가공물(11)이 그 절단이 이루어진 이후에도 해당 위치에 안정적으로 진공 흡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홀패드(300)는 상기 상부베이스(200)의 상면에 얹혀 상기 각 진공홀(210)을 덮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면으로는 단일의 박판 소재(10)가 얹히는 패드(pad) 구조로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홀패드(300)가 종이재질이나 부직포와 같은 섬유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미세한 틈을 갖는 메쉬체의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각 진공홀(210) 사이의 부위에 얹히는 박판 소재에 대하여도 원활한 진공 흡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더욱이 공기의 유입은 가능하되 이물질의 유입은 차단되도록 함에 따라 단위 가공물에 대한 절단 가공시 발생되는 미세 칩(chip)과 같은 이물질이 상기 진공홀(210)을 막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홀패드(300)를 미세 메쉬체의 구조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각 진공홀(210)을 통해 제공되는 진공흡입력이 해당 진공홀(210)과 일치되는 위치에만 집중되어 제공되는 것이 아닌 각 진공홀(210)의 주변 일부에까지 이르도록 고르게 분산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이 홀패드(300)에 얹히는 박판 소재(10)의 전 부위가 상기 진공흡입력을 고르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척을 이용한 단위 가공물(11)의 절단 과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척은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베이스(100)의 상면에 상부베이스(200)를 얹어서 볼트(도시는 생략됨)로 고정한 다음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베이스(200)의 상면에 홀패드(300)를 얹어서 각 진공홀(210)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폐쇄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며, 계속해서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패드(300)의 상면으로 가공하고자 하는 단일의 박판 소재(10)를 얹는다.
상기의 상태에서 진공흡입관(140)을 진공흡입력을 제공하게 되면 이 진공흡입력에 의해 하부베이스(100)의 진공홈(130) 내부가 진공화됨과 더불어 상기 진공홈(130) 내부와 연통되게 위치된 각 유로가이드(150)들 사이의 공기 유동공간(120)까지도 진공화된다.
이때, 상기 진공홈(130) 내부의 진공흡입관(140)이 연결되는 부위와 각 유로가이드(150)들 사이와 연통되는 부위는 서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특정 유로가이드(150)들 사이로의 진공흡입력이 집중됨은 방지되면서 각 유로가이드(150)들 사이의 전 부위로 진공흡입력이 최대한 고르게 제공된다. 더욱이, 상기 각 유로가이드(150)는 타단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거리가 점차 멀어지게 형성됨과 더불어 타단의 끝단면은 하부베이스(100)의 내벽면과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각 유로가이드(150)들 사이의 전 부위로 고른 진공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공기 유동공간(120)의 진공화가 이루어지면 상기 공기 유동공간(120)과 연통되게 형성된 각 진공홀(210)을 통해 상부베이스(200)의 상면으로 진공흡입력이 발생된다.
이때, 상기 상부베이스(200)의 상면으로 발생된 진공흡입력은 상기 상부베이스(200) 상면의 진공홀(210)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확장홈(230)으로 제공되면서 상기 상부베이스(200)에 얹혀 있는 홀패드(300)를 진공 흡착시키게 되며, 특히 상기 홀패드(300)는 미세한 틈을 갖는 메쉬체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해당 홀패드(300)의 전 부위를 통해 진공흡입력이 제공되어 상기 홀패드(300)의 상면에 얹힌 박판 소재(10)는 그의 전 부위가 상기 홀패드(300)를 통과하여 제공되는 진공흡입력을 제공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박판 소재(10)에 대한 가공을 통해 복수의 단위 가공물(11)에 대한 절단 작업이 진행되는 도중 상기 박판 소재(10)는 상기 홀패드(300)를 통해 제공되는 진공흡입력에 의해 홀패드(300)의 상면에 안정적인 진공 흡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어느 한 단위 가공물(11)의 절단이 진행되는 도중에는 그 절단 부위의 틈새를 통한 진공력의 누설이 발생되지만 이러한 진공력의 누설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홀패드(300)를 통해 해당 단위 가공물(11)의 전 부위가 균일한 진공흡입력을 제공받기 때문에 상기 단위 가공물(11)은 상기 홀패드(30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계속해서 진공 흡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로써 해당 단위 가공물(11)의 분리로 인한 진공 파괴 현상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척은 진공홈(130) 및 각 유로가이드(150)의 배치 구조와 진공홀(210)의 주변 구조 및 홀패드(300)의 추가적 제공 구조를 통해 박판 소재(10)로부터 복수의 단위 가공물(11)을 절단 가공하는 도중 각 단위 가공물(11)의 안정적인 진공 흡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치않은 진공 해제에 따른 박판 소재(10)의 유동 및 각 단위 가공물(1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각 단위 가공물(11)에 대한 정밀 가공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척의 홀패드(300)는 단위 가공물에 대한 절단 가공시 발생되는 미세 이물질이 진공홀(210)로 유입됨을 방지하는 필터의 역할도 함께 수행함으로써 진공홀(210)의 막힘 현상에 따른 해당 부위의 진공 흡착 불량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더욱이 해당 홀패드(300)는 하나의 박판 소재(10)에 대한 각 단위 가공물(11)의 절단 가공이 완료될 경우 버리는 소모성 제품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절단 가공후 하부베이스(100)나 상부베이스(20))에 대한 청소를 별도로 수행하지 않고 홀패드(300)만 교체하면 됨에 따라 작업 준비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10. 박판 소재
11. 단위 가공물
100. 하부베이스 110. 테두리단
120. 공기 유동공간 130. 진공홈
140. 진공흡입관 150. 유로가이드
160. 씨일부재 200. 상부베이스
210. 진공홀 220. 요입홈
230. 확장홈 300. 홀패드
100. 하부베이스 110. 테두리단
120. 공기 유동공간 130. 진공홈
140. 진공흡입관 150. 유로가이드
160. 씨일부재 200. 상부베이스
210. 진공홀 220. 요입홈
230. 확장홈 300. 홀패드
Claims (5)
- 하부 몸체를 이루면서 작업 테이블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내측의 상면 중 의 전방에는 진공흡입관을 통해 진공흡입력을 제공받는 진공홈이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내측의 상면 중 상기 진공홈의 후방으로는 상기 진공홈 내부의 진공흡입력을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유로가이드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하부베이스;
상부 몸체를 이루면서 블럭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측에 얹혀 고정되며, 다수의 진공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상부베이스;
상기 상부베이스의 상면에 얹혀 상기 각 진공홀을 덮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면으로는 단일의 박판 소재가 얹히며, 공기의 유입은 가능하되 이물질의 유입은 차단하는 미세한 메쉬체의 구조로 형성되면서 박판 소재로부터 각 단위 가공물의 절단 가공이 진행되는 도중 상기 각 단위 가공물이 진공 흡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홀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입관은 상기 하부베이스에 형성된 진공홈의 어느 일측편에 연통되게 위치되고,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각 유로가이드의 일단들은 상기 진공홈의 다른 일측편에 서로 이격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유로가이드은 그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서로가 점차적으로 벌어지도록 부채살 구조로 배치됨과 더불어 각 유로가이드의 끝단면은 상기 하부베이스의 내측 둘레벽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베이스의 상면 중 각 진공홀의 주변으로는 복수의 요입홈이 격자 구조로 각각 요입 형성되며,
상기 상부베이스의 상면 중 상기 각 진공홀의 둘레로는 상기 요입홈에 이르기까지 연통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진공홀을 통해 전달되는 진공흡입력의 제공 면적을 확장시키는 복수의 확장홈이 요입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패드는 종이재질 혹은, 섬유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2600A KR101703650B1 (ko) | 2015-06-11 | 2015-06-11 |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2600A KR101703650B1 (ko) | 2015-06-11 | 2015-06-11 |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6041A true KR20160146041A (ko) | 2016-12-21 |
KR101703650B1 KR101703650B1 (ko) | 2017-02-08 |
Family
ID=57734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2600A KR101703650B1 (ko) | 2015-06-11 | 2015-06-11 |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3650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825191A (zh) * | 2017-12-05 | 2018-03-23 | 郑州格瑞塔电子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钢板加工用夹持固定装置 |
CN108032105A (zh) * | 2017-12-05 | 2018-05-15 | 郑州格瑞塔电子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机械加工的钢板夹持工装 |
KR20190061880A (ko) * | 2017-11-28 | 2019-06-05 |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 진공척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처리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02621A (ja) * | 1997-04-22 | 1998-11-13 | Nec Kansai Ltd | 薄板シャドウマスクの異物吸引除去装置 |
KR200287037Y1 (ko) * | 2002-05-15 | 2002-08-30 | 주식회사 하인메카트로닉스 | 진공척 |
KR20130046751A (ko) * | 2011-10-28 | 2013-05-08 | 임권현 | 진공척의 흡착구조 |
-
2015
- 2015-06-11 KR KR1020150082600A patent/KR10170365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02621A (ja) * | 1997-04-22 | 1998-11-13 | Nec Kansai Ltd | 薄板シャドウマスクの異物吸引除去装置 |
KR200287037Y1 (ko) * | 2002-05-15 | 2002-08-30 | 주식회사 하인메카트로닉스 | 진공척 |
KR20130046751A (ko) * | 2011-10-28 | 2013-05-08 | 임권현 | 진공척의 흡착구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1880A (ko) * | 2017-11-28 | 2019-06-05 | 주식회사 원익아이피에스 | 진공척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처리장치 |
CN107825191A (zh) * | 2017-12-05 | 2018-03-23 | 郑州格瑞塔电子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钢板加工用夹持固定装置 |
CN108032105A (zh) * | 2017-12-05 | 2018-05-15 | 郑州格瑞塔电子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机械加工的钢板夹持工装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03650B1 (ko) | 2017-0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3650B1 (ko) | 단위 가공물 절단 가공용 진공척 | |
KR101963851B1 (ko) | 진공 척 | |
KR101242420B1 (ko) | 흡착 테이블 | |
JP2015109416A (ja) | チャック装置 | |
JP6333141B2 (ja) | 切削ブレード交換システム | |
KR102104300B1 (ko) | 기판유지장치 | |
JP5944724B2 (ja) | チャックテーブル | |
TW201843011A (zh) | 凸緣機構 | |
KR101973211B1 (ko) | 절삭 장치의 척 테이블 기구 | |
JP5932457B2 (ja) | チャックテーブル及びチャックテーブルを備える加工装置 | |
KR102198429B1 (ko) | 진공흡착 cnc 가공장치 | |
WO2011129002A1 (ja) | 保持装置およびレーザ加工装置 | |
KR101705842B1 (ko) | 진공 척테이블 | |
CN109119370B (zh) | 切削装置 | |
JP4865306B2 (ja) | テープ貼り機 | |
JPH09174364A (ja) | 半導体ウエハのユニバーサルチャックテーブル | |
TW201606868A (zh) | 分斷裝置 | |
KR20160032976A (ko) | 진공 챔버용 뷰포트 모듈 | |
CN212019770U (zh) | 具有石英底座的精密陶瓷工作台 | |
JP2010260318A (ja) | 吸着ステージ | |
KR20140118749A (ko) | 웨이퍼 접착 장치 | |
JP2014150206A (ja) | 板状物の搬送装置 | |
KR20180005493A (ko) | 칩 비산 방지장치 | |
TWI826605B (zh) | 過敏診斷晶片以及製造過敏診斷晶片的方法 | |
JP6985039B2 (ja) | チャックテーブ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