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5487A - 곡물 건식 세척기능을 겸비한 자동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건식 세척기능을 겸비한 자동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5487A
KR20160145487A KR1020160059594A KR20160059594A KR20160145487A KR 20160145487 A KR20160145487 A KR 20160145487A KR 1020160059594 A KR1020160059594 A KR 1020160059594A KR 20160059594 A KR20160059594 A KR 20160059594A KR 20160145487 A KR20160145487 A KR 20160145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rain
cooking
grains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9311B1 (ko
Inventor
함용승
Original Assignee
함용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용승 filed Critical 함용승
Publication of KR20160145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1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with dispens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건식 세척기능을 겸비한 자동 조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저장부에서 조리용기로 이어지는 곡물의 이송부 상에 설치되어 설정한 분량으로 곡물을 설정한 시간 동안 수용하고, 설정한 시간 내에 내부에 구비한 연삭부와 수용한 곡물을 충돌시키는 것으로 곡물의 표면을 연삭하며(갈아내며), 곡물의 표면으로부터 떼어진 이물질(찌꺼기)을 분리 배출하고, 연삭이 이루어진 곡물을 상기 조리용기로 배출토록 하는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로부터 배출되는 연삭된 곡물이 담기는 상기 조리용기에 상기 연삭된 곡물에 대응하도록 설정한 양의 조리용수를 공급하는 급수부와; 상기 조리용기에 연삭된 곡물과 조리용수가 담긴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이송부의 곡물 이송과 상기 세척부의 구동과 상기 급수부의 구동 및 상기 가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곡물 건식 세척기능을 겸비한 자동 조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방법{Automatic cooker having the dry cleaning function of grain and method of cooking using the same as}
본 발명은 곡물 건식 세척기능을 겸비한 자동 조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각종 조리재료를 입자상으로 형성한 것을 포함한 곡물 중 조리에 필요한 양의 곡물을 물의 사용을 배제한 건조한 상태에서 세척한 후, 조리 대기상태인 조리용기에 조리용수와 함께 공급하여 조리를 시행토록 하는 곡물 건식 세척기능을 겸비한 자동 조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은 벼, 보리, 콩, 조, 기장, 수수, 밀, 옥수수 따위를 통칭하는 것으로 곡류라고도 말한다. 그리고 곡물 중에 쌀은 벼에서 겨(껍질)을 벗겨낸 알갱이로서, 주로 아시아에서 재배되어 가장 일반적인 식량자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곡물들은 단일 품목으로 또는 혼합 품목 및 제조자의 선택에 따른 곡물들을 혼합한 가공 품목으로도 조리가 이루어지는데, 대부분 물에 씻은 후에 물에 넣은 상태로 일정 시간 가열하는 방식으로 조리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쌀을 이용하여 밥을 조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쌀통에서 일정량 꺼낸 쌀을 물로 깨끗하게 씻어 쌀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정과정과, 세정된 쌀을 냄비와 같은 조리용기에 담은 상태에서 일정량의 물을 넣고 버너나 가스레인지 등의 가열기구를 이용하여 일정시간 가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곡물을 직접 조리하여 취식하는 일련의 과정은 바쁜 현대인들, 특히 맞벌이, 독신가구들에게는 번거롭고 귀찮게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식품업계는 소비자가 간단히 데워 먹을 수 있는 다양한 즉석조리식품을 개발 및 시판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위의 식품업계의 추세와 더불어, 현대 사회에서는 즉석조리식품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소비자가 간편하게 곡물을 조리할 수 있는 전기조리용기와 같은 곡물취사기의 개발 및 판매가 시행되고 있다.
따라서, 현시대는 전기조리용기와 같은 곡물취사기를 이용하여 종래보다 간편하게 조리를 할 수 있으며, 곡물의 종류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열강도나 가열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편리성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곡물취사기는 여전히 사용자가 별도로 보관중인 곡물을 직접 꺼내는 과정, 사용자가 곡물을 별도의 세정용기 또는 조리용기에 넣은 상태에서 직접 물로 세정하는 과정, 세정된 곡물과 조리용수를 조리용기에 직접 넣는 과정은 사용자가 손수 실행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남아 있었다.
또한, 판매되는 곡물은 충분히 세척한 후 포장한 것이라 하여도, 그 세척에 대한 신뢰가 어렵고, 많은 시간이 경과 한 후에는 곡물 표면의 색상이 변화하는 등 세척에 대한 신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간편한 조작을 통하여 곡물 분량을 계량하고, 계량된 곡물을 자동으로 세정 또는 세척하고, 세정 또는 세척된 곡물의 조리를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는 곡물 자동 조리장치에 대한 개발 요구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86501호(1999.03.20.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곡물을 계측하여 세척조로 공급하고, 세척조에서 물의 사용을 배제하고 건식으로 곡물을 세척한 후 조리용기에 공급하는 것으로 조리에 필요한 곡물 양 조절과 세척에 필요한 시간단축 등의 조리에 필요한 일련 공정의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곡물 건식 세척기능을 겸비한 자동 조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곡물의 종류와 곡물의 건조 상태 등에 따라 곡물의 세척정도 조절과 조리용수 및 조리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곡물 건식 세척기능을 겸비한 자동 조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건식 세척기능을 겸비한 자동 조리장치는, 저장부에서 조리용기로 이어지는 곡물의 이송부 상에 설치되어 설정한 분량으로 곡물을 설정한 시간 동안 수용하고, 설정한 시간 내에 내부에 구비한 연삭부와 수용한 곡물을 충돌시키는 것으로 곡물의 표면을 연삭하며(갈아내며), 곡물의 표면으로부터 떼어진 이물질(찌꺼기)을 분리 배출하고, 연삭이 이루어진 곡물을 상기 조리용기로 배출토록 하는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로부터 배출되는 연삭된 곡물이 담기는 상기 조리용기에 상기 연삭된 곡물에 대응하도록 설정한 양의 조리용수를 공급하는 급수부와; 상기 조리용기에 연삭된 곡물과 조리용수가 담긴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이송부의 곡물 이송과 상기 세척부의 구동과 상기 급수부의 구동 및 상기 가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수용하는 곡물이 하측으로 쏠리도록 하고, 그 쏠림이 집중되는 부위에 배출구를 형성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척부는 곡물 유입부와 곡물 배출부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세척유닛과; 상기 세척유닛 내부에 진공압을 제공하도록 연결한 펌핑유닛과; 상기 세척유닛과 상기 펌핑유닛의 연결 부위에 설치가 이루어져, 곡물 또는 연삭된 곡물을 걸러 내고, 이물질이 상기 펌핑유닛의 진공압에 의해 통과하게 하는 필터;를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저장부의 배출구와 상기 세척부의 곡물 유입부 사이를 연통하게 연결하는 제 1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가 이루어져 회전수에 의해 설정한 분량의 곡물을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세척부로 이송시키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일단이 상기 세척부의 곡물 배출부와 연결이 이루어지고, 타단은 설정 위치에 놓인 조리용기의 개구 상부에 있도록 설치한 제 2 이송관;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곡물 유입부에는 상기 제 1 이송관을 통해 상기 세척부로의 곡물 유입을 단속하고, 상기 제 1 이송관으로 진공압이 전달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 1 개폐부의 설치가 이루어지고, 상기 곡물 배출부에는 상기 세척부에서 상기 제 2 이송관을 통한 상기 곡물의 배출을 단속하는 제 2 개폐부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세척유닛은, 상기 곡물 유입부의 하부에 설치하여 상기 곡물 유입부를 통한 곡물을 수용토록 하는 외통과; 상기 외통 내에 설치한 교반날개와; 상기 외통의 내면 및/또는 상기 교반날개의 외면에 마련한 상기 연삭부; 및 상기 외통 및/또는 상기 교반날개를 회전시키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저장부에 조리를 위한 곡물을 저장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리를 시행함에 있어서, 조리 용량의 곡물을 물을 사용하는 습식세척을 배제하여 물 사용의 억제와 그에 따른 오염수의 생성을 방지하면서 건식세척으로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세척한 곡물을 세척 이후 즉석에서 조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곡물의 종류와 곡물의 건조 상태 등에 따라 곡물의 세척정도 조절과 조리용수 및 조리시간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알맞은 조리조건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곡물 건식 세척기능을 겸비한 자동 조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계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척부 중 외통과 교반날개의 상대적 회전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살표 Ⅲ 부분을 확대하여 본 발명의 세척부 구성 및 이들 구성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일단의 표현은 해당 구성을 기준으로 곡물 또는 이물질의 이송이 시작되는 부위 또는 그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타단은 일단의 반대 방향에 있는 부위 또는 그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건식 세척기능을 겸비한 자동 조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건식 세척기능을 겸비한 자동 조리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표현한 바와 같이, 크게 본체부(B), 저장부(10), 이송부(20), 세척부(30), 급수부(50), 가열부(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체부(B)는, 곡물(예를 들어, 쌀, 보리, 현미, 가공곡물 등)과 조리용수를 각각 수용할 수 있는 공간 즉, 곡물을 수용하는 저장부(10)와 조리용수를 수용하여 공급토록 하는 급수부(50)의 설치 공간을 마련하며, 조리용기(W)까지 거치토록 할 뿐 아니라 이미 설정한 위치에 놓인 조리용기(W)를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가열부(60)를 포함한 본 발명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그 일 예로서 도 1의 본체부(B)를 살펴보면, 상부에 이미 정해진 양의 곡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저장부(10)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저장부(10)는 수용한 곡물이 자중에 의해 저장부(10)의 하부 방향으로 집중하여 쏠리도록 한 구조(예를 들어 깔때기, 호퍼 형상의 것)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체부(B)는, 저장부(10)의 하부와 연통하게 연결이 이루어져, 저장부(10)로부터 조리용기(W)로 이송시키는 이송부(20)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술한 저장부(10)와 저장부(10)에 대응 설치가 이루어지는 이송부(20)는 하나의 본체부(B)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개수로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각각의 저장부(10)에 대하여 각기 다른 종류의 곡물을 담도록 하며, 제어부(70)는 이송부(20)를 통한 각 저장부(10)의 각기 다른 종류의 곡물을 함께 세척부(30)로 이송하거나, 각기 다른 종류의 곡물을 세척부(30)를 통한 세척이 이루어지는 수순으로 공급하거나, 콩류 등 세척이 불필요한 곡물은 세척부(30)를 통과하게 하여, 조리용기(W)로 이송되게 하며, 조리용기(W) 내에서 혼합한 곡물의 취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이송부(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저장부(10)의 하부에 형성한 배출구(12)와 연통하게 연결이 이루어지고, 타단이 저장부(10)의 하부에 있으면서 세척부(30)의 상부에 마련한 곡물 유입부(32)에 연결한 제 1 이송관(22)을 구비한다.
또한, 이송부(20)는, 제 1 이송관(2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회전시에 회전수 또는 회전각도에 따라 설정 분량의 곡물을 제 1 이송관(22)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즉, 저장부(10)의 배출구(12)에서 세척부(30)의 곡물 유입부(32)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류(24)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송부(20)는, 제 1 이송관(22)과 관련하여 제 1 이송관(22)의 일단 부위 또는 타단 부위에 제어신호의 수신으로부터 상술한 스크류(24)를 회전시키는 모터(26)(예를 들어 서보모터, 스테핑모터 등)를 구비한다.
또한, 이송부(20)는, 일단이 상술한 세척부(30)에 마련한 곡물 배출부(34)와 연결이 이루어지고, 타단이 이미 설정 위치에 놓인 조리용기(W)의 개구 상부에 있도록 설치한 제 2 이송관(28)을 구비한다.
이때, 도 1에 도시한 구성에 따르면, 제 2 이송관(28)의 일단은 상부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제 2 이송관(28)의 타단은 하측에 있도록 하여, 제 2 이송관(28) 내에 곡물의 유입이 이루어질 경우에, 곡물은 자중에 의해 제 2 이송관(28)의 타단을 통해 이미 설정한 위치에 놓인 조리용기(W) 내부로 낙하하여 담기도록 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상술한 세척부(30)의 곡물 유입부(32)와 곡물 배출부(34)에는, 각각 곡물의 통과를 단속하는 개폐부(32a, 34a)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즉, 곡물 유입부(32)에는 제 1 이송관(22)을 통해 세척부(30)로 곡물이 무분별하게 이송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제 1 개폐부(32a)를 설치하고, 또 곡물 배출부(34)에는 세척부(30)에서 세척이 안된 곡물이 제 2 이송관(28)으로 무분별하게 이동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제 2 개폐부(34a)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저장부(10)는 조리용기(W)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또 그 하부에 배출구(12)를 형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록 도면으로 표현하지는 않았으나, 제 1 이송관의 일단이 곡물이 고이는 저장부의 하부에 위치시켜 스크류의 구동 또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상측으로 끌어올리며 배관을 통해 이송시키는 형식의 설계로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즉, 상술한 저장부(10)는 굳이 상부에 설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나, 가능한 곡물이 자중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는 저장부(10)의 설치 위치가 조리용기(W)의 설치 위치보다는 상부에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크류(24)를 포함한 제 1 이송관(22)의 설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부(10)의 호퍼 형상에 따른 경사면을 따라 하부에서 상부로 곡물을 이송시키도록 한 것은, 곡물이 의도하지 않게 자중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과 호퍼 형상 부위에 대한 제 1 이송관(22)의 설치를 집적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이루는 세척부(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10)에서 조리용기(W)로 이어지는 곡물의 이송부(20) 상에 그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세척부(30)의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세척부(3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저장부(10)로부터 설정한 분량으로 곡물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부위 즉, 제 1 이송관(22)의 타단부와 연통하여 제 1 개폐부(32a)를 구비한 곡물 유입부(32)와 연결이 이루어져 이미 설정한 분량(예를 들어 1인분, 2인분, 3인분, 1/2인분, 1/3인분, … 분량)의 곡물을 수용하고, 수용하는 곡물을 이미 설정한 시간 내에 표면을 연마하여(갈아내어) 세척하는 세척유닛을 구비한다.
또한, 세척부(30)는 세척과정에서 떼어진 이물질(찌꺼기)을 진공압으로 분리 배출토록 하는 펌핑유닛을 구비한다.
상술한 세척유닛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세척이 완료된 곡물(이물질을 제외한 연삭이 완료된 곡물)을 조리용기(W)로 이동하게 하는 제 2 이송관(28)의 일단에 곡물의 이송을 단속하는 제 2 개폐부(34a)를 구비한 곡물 배출부(34)와 연결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세척유닛은, 내부에 연삭부(36)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연삭부(36)와 수용한 곡물이 상호 충돌하게 하는 것으로 곡물의 표면을 연삭하고(갈아내고), 곡물의 표면으로부터 떼어진 이물질(찌꺼기)을 분리 배출토록 하는 펌핑유닛과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펌핑유닛은, 세척유닛과 연통하게 연결하여 이물질의 통로를 이루는 덕트(42)를 구비하고, 세척유닛과 덕트(42)의 사이 즉, 덕트(42)의 일단부에는, 곡물 또는 연삭이 완료된 곡물을 세척유닛 내에 잔류하도록 거르고, 상대적으로 곡물 또는 연삭이 완료되어 곡물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고 가벼운 이물질을 통과시키는 필터(44)를 구비한다.
이러한 펌핑유닛의 연결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통(38)의 회전 또는 교반날개(40)의 회전 또는 외통(38)과 교반날개(40)가 상호 다른 속도로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전함에 있어서, 연삭부(36)를 포함한 교반날개(40)와 접촉 내지 충돌하지 않을 정도(간섭이 없는 정도)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덕트(42)의 타단부에는, 제어신호의 수신에 따라 덕트(42)와 필터(44)를 통해 세척유닛 내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펌프(46)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펌프(46)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있을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기로는 세척유닛 내에 지속적인 진공압을 제공토록 팬을 구동시키는 것을 제시할 수 있고, 또 펌프(46)와 덕트(42)의 타단부 사이에는 진공압에 의해 유도 이송되는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하는 거름망 등의 포집부(48)를 더 구비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술한 제 1, 2 개폐부(32a, 34a)는, 세척부(30) 내에 진공압이 작용할 때에 진공압의 손실을 방지하는 기능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 1 개폐부(32a)는 진공압의 영향으로 제 1 이송관(22) 내에 있는 곡물이 세척과정의 중간 또는 그 이후에 세척부(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제 2 개폐부(34a)는 세척부(30)에서 곡물의 세척이 완료되기 전에 곡물이 조리용기(W)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과 제 2 이송관(28)을 통한 외부의 습기가 세척부(3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세척부(30)의 구성 중 세척유닛은, 곡물 유입부(32)의 하부에 그 설치가 이루어지며, 제 1 개폐부(32a)의 개방에 따라 곡물 유입부(32)를 통해 곡물을 수용하는 외통(38)과, 외통(38)의 내부에서 외통(38)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교반날개(40)와, 외통(38)의 내면 또는 교반날개(40)의 외면 및 외통(38)의 내면과 교반날개(40)의 외면에 마련한 연삭부(36) 및 외통(38)을 회전시키거나 또는 교반날개(40)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외통(38)과 교반날개(40)를 상호 상대적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49)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세척유닛를 이루는 각 구성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외통(38)은, 상술한 곡물 유입부(32)와 곡물 배출부(34) 및 펌핑유닛에 대하여 연통하게 연결이 이루어지고, 본체부(B) 내에서 고정 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외통(38)은 곡물 유입부(32)를 통해 낙하하는 곡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개방한 원통형 용기 형상의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외통(38)이 상부 중 일부를 개방한 것으로 이루어진 경우, 외통(38)은 제 1 개폐부(32a)를 포함한 곡물 유입부(32)와 제 2 개폐부(34a)를 포함한 곡물 배출부(34) 및 펌핑유닛 각각에 대응하여 연통하거나 연통 가능한 형태로 본체부(B) 내에 고정 설치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외통(38)이 상부 중 일부를 개방한 것으로 회전하도록 설치한 경우에, 후술하는 동력부(49)의 서보모터 또는 스테핑모터를 제어하여 외통(38)의 개방된 상부와 곡물 유입부(32) 또는 곡물의 배출이 있도록 한 부위와 곡물 배출부(34)에 대응하도록 회전 위치가 결정되게 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외통(38)이 상부 전체를 개방한 것이며, 또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일 경우, 외통(38)의 상부에는 외통(38)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외통(38)의 상부를 막고, 또 곡물 유입부(32)에 대응하여 연통하는 개구를 형성한 차단부재(도시 안됨)를 본체부(B)에 고정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차단부재는 외통(38) 내에서 연삭 과정에 있는 곡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외통(38)의 측벽 일부 또는 바닥의 가장자리 부위 일부는 상술한 제 2 개폐부(34a)로 이루어지거나, 제 2 개폐부(34a)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연통 가능한 별도의 개구 또는 도어(도시 안됨)를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외통(38)의 내면 또는 외통(38)의 내면 역할을 하는 다른 구성들의 표면(예를 들면, 외통(38)의 내벽면과 바닥면, 예시한 차단부재 중 외통(38)의 내부와 접하는 표면, 예시한 도어 중 외통(38)의 내부와 접하는 표면, 외통(38) 내부에 접하는 도어의 표면, 또 다른 예시에서 외통(38) 내부와 연통하면서 외통(38)과 근접하여 설치될 수 있는 제 1, 2 개폐부(32a, 34a)의 표면)에는 연삭부(36)가 마련된다.
이러한 연삭부(36)는 해당 표면을 부식 또는 샌딩 처리 등의 방법으로 거칠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해당하는 표면에 거칠기를 갖는 연삭패드를 설치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세척유닛과 연통하는 펌핑유닛은, 상술한 외통(38)이 고정 설치되는 경우, 외통(38)의 측벽이나 바닥 또는 천장 및 천장을 대신하는 차단부재를 통해 덕트(42)의 일단부를 연통하게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외통(38)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설치 구성에 있어서, 펌핑유닛은, 원통 형상의 외통(38) 바닥 또는 상부의 회전 중심 부위에 베어링 등을 이용하여 외통(38)의 회전을 저해하지 않도록 덕트(42)의 일단부를 통상의 방법으로 연통하게 연결하거나, 외통(38)이 회전하도록 함과 동시에 차단부재를 고정 설치한 구성에 있어서는 차단부재의 일부에 외통(38)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덕트(42)의 일단부를 연결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펌핑유닛에는 덕트(42)를 통한 진공압의 제공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부(도시 안됨)를 더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세척유닛을 구성하는 교반날개(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술한 외통(38)의 내부에서 외통(38)에 대하여 상호 간의 상대적인 회전이 이루어지게 설치가 이루어진다.
즉, 교반날개(40)는, 외통(38)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는 구성일 때에,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는 외통(38)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외통(38)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교반날개(40)는 외통(38)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위한 기술 구성으로 예시하자면, 비록 도면을 첨부하지는 않았으나 교반날개(40)는 태양기어를 구비하여 회전하고, 외통(38)은 태양기어로부터 유성기어로 동력을 전달받아 태양기어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링기어를 구비한 통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밖에 외통(38)과 교반날개(40)는 상호 그 회전 중심을 동축 선상에 있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각각의 동력부(49)를 연결한 구성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교반날개(40)는 외통(38) 내부에 수용한 곡물을 연삭하는 과정에서 곡물이 구비한 연삭부(36)에 대하여 접촉 가능성을 높이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한 교반날개(40)의 형상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통(38)과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물리적인 충돌이 이루어진 곡물들이 외통(38)의 내벽 방향으로 이동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교반날개(40)의 선단부가 외통(38)의 내벽에 대한 법선 방향을 기준으로 외통(38)의 회전 방향 또는 교반날개(40) 회전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연삭부(36)는, 외통(38)과 마찬가지로 교반날개(40)의 표면에도 마련할 수 있다.
즉, 연삭부(36)는, 외통(38)의 내측벽과 바닥면 및 차단부재를 포함한 천장면에 마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교반날개(40)의 외측 표면에 마련한 것일 수 있으며, 외통(38)의 내측벽과 바닥면과 차단부재를 포함한 천장면 및 교반날개(40)의 외측 표면에 모두 마련한 것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교반날개(40)는, 외통(38)의 내측벽, 바닥면, 차단부재를 포함한 천장면 및 필터(44) 표면에 대하여 상호 상대적인 회전시 접촉을 방지토록 간격을 두고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통(38)과 교반날개(40) 사이의 간격은 이미 설정한 시간 동안 연삭이 이루어진 곡물이 끼이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갖도록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통(38)의 회전 또는 교반날개(40)의 회전 또는 외통(38)과 교반날개(40)의 회전은, 각각에 대응하여 연결한 동력부(49)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동력부(49)는 제어부(70)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외통(38)의 회전 또는 교반날개(40)의 회전 및 외통(38)과 교반날개(40)의 상대적 회전에 대하여 외통(38) 및/또는 교반날개(40)에 해당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서보모터 또는 스테핑모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동력부(49)에 의한 세척 시간은, 해당 곡물의 종류와 그 곡물의 수용량에 대응하여 반복적인 시험을 통해 얻은 결과를 제어부(70)에 구비한 데이터베이스(도시 안됨)에 저장하고, 이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에 따라 제어부(70)가 동력부(49)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밖에 본체부(B)는, 상술한 곡물의 이송라인과는 별개로 조리용수의 공급라인(52)과 밸브(54)를 포함하는 급수부(50)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면 또는 상부에 조작부(O)와 디스플레이부(D/P)를 마련할 수 있고, 또 상술한 세척부(30)의 세척유닛과 펌핑유닛을 포함한 메인터넌스를 포함하여 본체부(B)의 전방 및/또는 후방에 도어(D1, D2)를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술한 급수부(50)는, 이미 설정된 위치에 놓인 조리용기(S)에 조리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공급량은 이미 설정한 위치에 놓인 조리용기(S)에 담기는 곡물량에 대응하도록 하는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른 밸브(54)의 개폐로 조절이 이루어진다.
즉, 제어부(70)는 사용자의 조작부(O) 조작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해당하는 곡물량을 세척부(30)로 이송시켜 세척(연삭)한 후 이미 설정한 위치에 놓인 조리용기(S)로 공급함과 더불어 급수부(50)를 통해 세척 이후의 곡물량에 대응하는 조리용수의 양을 결정하여 이미 설정한 위치에 놓인 조리용기(S)에 공급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본체부(B)에 마련한 가열부(60)는 이미 설정한 위치에 놓이는 조리용기(S)의 하부에 위치하고, 조리용기(S) 내에 이미 설정한 분량의 곡물과 조리용수의 수용 여부 및 조리용기(S)의 상부에 뚜껑(L)이 얹혀진 상태까지 확인한 제어부(70)의 제어신호를 받아 조리용기(S)를 가열하여 조리토록 한다.
여기서, 상술한 본체부(B)에는 조리용기(S)의 뚜껑(L)에 대응하는 부위에 초음파 센서, 포토커플러, 뚜껑(L)의 특정 부위에 특정 마크 또는 자성체를 구비토록 한 각각에 대하여 마크를 인식하는 이미지센서 또는 마그네틱 센서 등의 뚜껑 감지센서(SS)를 더 구비토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70)는 뚜껑 감지센서(SS)를 통해 조리용기(S)의 개방을 확인한 상태에서 조리용기(S)에 곡물과 조리용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후 조리용기(S)가 뚜껑(L)에 의해 닫힌 것을 확인한 상태에서 상술한 가열부(60)를 구동시켜 조리를 시작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가열부(60) 또는 가열부(60) 주연의 본체부(B)에는, 상술한 가열부(60)의 상부인 이미 설정한 위치에 조리용기(S)가 놓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제어부(70)에 인가하여 곡물 이송과 세척 및 가열을 통한 조리의 실시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정렬센서(AS)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그 작동의 실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70)는 조리를 위한 저장부(10) 내의 곡물의 종류를 포함한 데이터를 구비한 상태를 기반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70)는 사용자에 의해 조리용기(S)가 가열부(60) 위에 정렬되어 놓인 상태를 확인하고,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O)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며, 제 1 개폐부(32a)를 통해 곡물 유입부(32)가 개방된 상태에 있도록 하고, 동시에 제 2 개폐부(34a)를 통한 곡물 배출부(34)가 폐쇄된 상태에 있도록 한 후 이미 설정한 분량의 해당 곡물을 저장부(10)에서 세척부(30)로 이송시키도록 모터(26)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를 통해 이미 설정한 분량의 곡물은, 스크류(24)의 구동에 의해 제 1 이송관(22)과 곡물 유입부(32)를 통해 이송되어 세척부(30)의 외통(38) 내에 담기고, 이를 확인 또는 판단한 제어부(70)는 모터(26)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제 1 개폐부(32a)를 차단토록 한다.
이어서 제어부(70)는 외통(38) 및/또는 교반날개(40)를 회전시켜 외통(38) 내에 수용한 곡물로 하여금 연삭부(36)와 충돌시켜 연삭에 따른 세척을 진행함과 동시에 펌핑유닛을 구동시켜 연삭에 의해 곡물로부터 떼어진 이물질만을 분리 배출토록 한다.
이때, 제어부(70)에 의한 세척 시간은, 앞서 밝힌 바와 같이, 해당 곡물의 종류와 분량 및 그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근거로 동력부(49)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을 마치면, 제어부(70)는 이미 설정한 위치에 조리용기(S)가 정렬되어 놓인 상태 여부를 다시 확인함과 동시에 조리용기(S)의 개구에 대한 개방 상태를 확인한 후, 곡물 배출부(34)의 제 2 개폐부(34a)를 개방함과 동시에 외통(38) 내의 연삭 과정을 완료한 곡물을 조리용기(S) 내에 담기도록 이송시킨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이미 설정한 위치에 조리용기(S)가 정렬되어 놓인 상태 여부를 다시 확인함과 더불어 조리용기(S)의 개구에 대한 개방 상태를 확인한 후 급수부(50)를 통한 조리용수를 공급한다.
여기서, 조리용수의 공급은, 위의 세척된 곡물이 조리용기에 공급되기 전 또는 위의 세척된 곡물이 조리용기에 공급되는 과정 또는 위의 세척된 곡물이 조리용기에 공급된 이후 중 어느 한 시기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위의 과정이 이루어지면, 제어부(70)는 조리용기(S)의 상부에 뚜껑(L)이 설치된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뚜껑(L)의 설치가 필요한 경우에 대하여 디스플레이부(D/P) 및/또는 경고음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뚜껑(L)을 설치토록 안내할 수 있다(뚜껑의 설치가 반듯이 필요가 없는 조리의 경우 생략할 수 있음).
이로부터 뚜껑(L)의 설치를 포함하여 가열을 통해 조리 준비가 완료된 상태를 확인한 제어부(70)는 가열부(60)를 구동시켜 조리를 시행토록 한다.
이어서 제어부(70)는 이미 설정한 시간이 경과하여 조리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그에 따른 판단을 디스플레이(D/P) 및/또는 경보음으로 그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부가적으로 제어부(70)는 조리 완료 후에 조리용기(S)가 이미 설정한 위치에 놓인 상태를 유지할 경우 가열부(60)를 제어하여 조리된 음식을 보온토록 하는 과정을 시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더하여 본체부(B)는 뚜껑(L)의 설치 또는 뚜껑(L)의 개폐를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조절하는 로봇(도시 안됨)을 더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술한 구성에 더하여 뚜껑(L)은 상부에 조리용기(S)로 곡물과 조리용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부위에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개폐유닛(도시 안됨)을 더 설치한 구성으로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된 곡물을 조리함에 있어서, 곡물의 세척과정을 포함한 조리과정이 일체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B: 본체부 D1, D2: 도어
O: 조작부 D/P: 디스플레이부
S: 조리용기 SS: 뚜껑 감지센서
L: 뚜껑 AS: 정렬센서
10: 저장부 12: 배출구
20: 이송부 22: 제 1 이송관
24: 스크류 26: 모터
28: 제 2 이송관 30: 세척부
32: 곡물 유입부 34: 곡물 배출부
32a, 34a: 개폐부 36: 연삭부
38: 외통 40: 교반날개
42: 덕트 44: 필터
46: 펌프 48: 포집부
49: 동력부 50: 급수부
52: 공급라인 54: 밸브
60: 가열부 70: 제어부

Claims (5)

  1.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부로부터 이미 설정한 위치에 놓인 조리용기로 곡물을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 상에 설치하여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이송 과정에 있는 곡물을 설정시간 동안의 수용과, 수용한 곡물을 설정시간 내에 내부에 구비한 연삭부와 충돌시키는 곡물 표면의 연삭과, 곡물의 표면으로부터 떼어진 이물질의 분리 배출과, 연삭이 이루어진 곡물을 상기 이송부를 통해 상기 조리용기로 이송시키도록 구동하는 세척부와;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에 연삭이 이루어진 곡물량에 대응하는 조리용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연삭이 이루어진 곡물과 조리용수를 공급받은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이송부를 통한 곡물의 이송량 제어와, 상기 세척부의 구동과, 상기 급수부를 통한 조리용수의 공급량 제어 및 상기 가열부를 통한 가열량과 가열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곡물 건식 세척기능을 겸비한 자동 조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저장부와 연통하는 곡물 유입부와 상기 조리용기로 이어지는 곡물 배출부 사이에 연결이 이루어진 세척유닛과;
    상기 세척유닛 내부에 진공압을 제공하도록 연결한 펌핑유닛과;
    상기 세척유닛과 상기 펌핑유닛의 연결 부위에 설치가 이루어져, 곡물 또는 연삭된 곡물을 걸러 내고, 이물질이 상기 펌핑유닛의 진공압에 의해 통과하게 하는 필터;를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건식 세척기능을 겸비한 자동 조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하부에 배출구를 갖는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저장부의 배출구와 상기 세척부의 곡물 유입부 사이를 연통하게 연결하는 제 1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가 이루어져 회전수에 의해 설정한 분량의 곡물을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세척부로 이송시키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일단이 상기 세척부의 곡물 배출부와 연결이 이루어지고, 타단은 설정 위치에 놓인 조리용기의 개구 상부에 있도록 설치한 제 2 이송관;
    를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건식 세척기능을 겸비한 자동 조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유입부에는 상기 제 1 이송관을 통해 상기 세척부로의 곡물 유입을 단속하고, 상기 제 1 이송관으로 진공압이 전달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 1 개폐부의 설치가 이루어지고,
    상기 곡물 배출부에는 상기 세척부에서 상기 제 2 이송관을 통한 상기 곡물의 배출을 단속하는 제 2 개폐부의 설치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건식 세척기능을 겸비한 자동 조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닛은,
    상기 곡물 유입부의 하부에 설치하여 상기 곡물 유입부를 통한 곡물을 수용하는 외통과;
    상기 외통 내에 설치한 교반날개와;
    상기 외통의 내면 및/또는 상기 교반날개의 외면에 마련한 상기 연삭부; 및
    상기 외통 및/또는 상기 교반날개를 회전시키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곡물 건식 세척기능을 겸비한 자동 조리장치.
KR1020160059594A 2015-06-10 2016-05-16 곡물 건식 세척기능을 겸비한 자동 조리장치 KR1017093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82148 2015-06-10
KR1020150082148 2015-06-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487A true KR20160145487A (ko) 2016-12-20
KR101709311B1 KR101709311B1 (ko) 2017-02-23

Family

ID=57734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594A KR101709311B1 (ko) 2015-06-10 2016-05-16 곡물 건식 세척기능을 겸비한 자동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31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8104A (zh) * 2017-11-03 2018-01-30 深圳市创新先进科技有限公司 一种炒菜机的辅料接头及辅料装置
WO2019031628A1 (ko) * 2017-08-09 2019-02-14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남양식품 조리 편의성 곡물 및 그를 이용한 곡물 가공품의 제조방법
CN109512268A (zh) * 2018-12-27 2019-03-26 顾建国 一种多功能智能煮饭器及控制方法
CN111035286A (zh) * 2019-12-26 2020-04-21 珠海优特智厨科技有限公司 投料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投料设备
WO2020135367A1 (zh) * 2018-12-28 2020-07-02 深圳市创新先进科技有限公司 辅料瓶、辅料装置、炒锅装置以及炒菜机
CN113974417A (zh) * 2021-06-03 2022-01-28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控制方法、加料方法、加料装置及烹饪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6501B1 (ko) 1996-06-26 1999-03-20 구자홍 전기밥솥의 운전방법
JP2003199672A (ja) * 2002-01-10 2003-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全自動炊飯器
KR100804135B1 (ko) * 2007-04-11 2008-02-19 손창구 곡물세척기
KR20140074811A (ko) * 2013-09-26 2014-06-18 함용승 즉석 조리 시스템
KR101443782B1 (ko) * 2013-10-04 2014-11-03 이종묵 자동취사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6501B1 (ko) 1996-06-26 1999-03-20 구자홍 전기밥솥의 운전방법
JP2003199672A (ja) * 2002-01-10 2003-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全自動炊飯器
KR100804135B1 (ko) * 2007-04-11 2008-02-19 손창구 곡물세척기
KR20140074811A (ko) * 2013-09-26 2014-06-18 함용승 즉석 조리 시스템
KR101443782B1 (ko) * 2013-10-04 2014-11-03 이종묵 자동취사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1628A1 (ko) * 2017-08-09 2019-02-14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남양식품 조리 편의성 곡물 및 그를 이용한 곡물 가공품의 제조방법
CN107638104A (zh) * 2017-11-03 2018-01-30 深圳市创新先进科技有限公司 一种炒菜机的辅料接头及辅料装置
CN109512268A (zh) * 2018-12-27 2019-03-26 顾建国 一种多功能智能煮饭器及控制方法
WO2020135367A1 (zh) * 2018-12-28 2020-07-02 深圳市创新先进科技有限公司 辅料瓶、辅料装置、炒锅装置以及炒菜机
CN111035286A (zh) * 2019-12-26 2020-04-21 珠海优特智厨科技有限公司 投料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投料设备
CN113974417A (zh) * 2021-06-03 2022-01-28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控制方法、加料方法、加料装置及烹饪设备
CN113974417B (zh) * 2021-06-03 2022-11-18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控制方法、加料方法、加料装置及烹饪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311B1 (ko)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311B1 (ko) 곡물 건식 세척기능을 겸비한 자동 조리장치
KR100633466B1 (ko) 다양한 종류의 밥을 지을 수 있는 자동취사장치
KR20160145486A (ko) 곡물 상태 기반 냉/온수 공급 조절 기능을 갖는 자동 조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방법
JP2000126034A (ja) 洗米供給方法及び洗米供給装置
US10849351B2 (en) Rice washer
US20180235405A1 (en) Rice washer
KR100318063B1 (ko) 라면 자동 판매장치
JP3706828B2 (ja) 一釜炊飯システム用自動洗米装置
JP4160076B2 (ja) 炊飯装置、炊飯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30371B1 (ko) 즉석 조리 시스템
JP2002224578A (ja) 粒体気流搬送装置及び同装置を用いた自動洗米装置
JP3538136B2 (ja) 穀物搬送機構
CN212117842U (zh) 配料设备
KR102003508B1 (ko) 국수 자동 조리 장치
CN220655359U (zh) 多功能电饭煲
CN206761586U (zh) 烹饪设备
KR200398809Y1 (ko) 다양한 종류의 밥을 지을 수 있는 자동취사장치
JP2006181366A (ja) プログラム
JPH08447A (ja) 自動炊飯器
KR102346837B1 (ko) 자동 곡물세척 및 요리 장치
JP2003144946A (ja) 自動炊飯器、自動炊飯方法、洗米装置、洗米方法、炊飯装置、炊飯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09108103A (ja) 精米機能を有する洗米炊飯装置
JP2001137723A (ja) 自動洗米機
JP2002239401A (ja) 精米機
JPH08322718A (ja) 洗米炊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