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4458A - 케이블 카 시스템 - Google Patents

케이블 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4458A
KR20160144458A KR1020167031522A KR20167031522A KR20160144458A KR 20160144458 A KR20160144458 A KR 20160144458A KR 1020167031522 A KR1020167031522 A KR 1020167031522A KR 20167031522 A KR20167031522 A KR 20167031522A KR 20160144458 A KR20160144458 A KR 20160144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ble
support frame
rocker
t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9857B1 (ko
Inventor
게르드 뒤르
Original Assignee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144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10Cable traction drives
    • B61B12/105Acceleration devices or deceleration devices other than bra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1/00Ski lift, sleigh lift or like trackless systems with guided towing cable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2Suspension of the load; Guiding means, e.g. wheels; Attaching tractio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4Devices for damping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10Cable traction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12Cable grippers; Haulage clips
    • B61B12/122Cable grippers; Haulage clips for aerial rope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5/00Combinations of railw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61B7/04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with suspended tracks serving as haulage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Ropes Or Cables (AREA)
  • Flexible Shafts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Handcart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Chain Conveyer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케이블 카 시스템은 견인 케이블(20)과, 상기 견인 케이블(20)에 결합될 수 있고, 클램핑 장치와 이착륙 장치(31)로 형성되는 운송 수단(3)을 가지고, 상기 운송 수단(30)은 경로를 따라 견인 케이블(20)에 결합되고, 스테이션에 들어갈 때 상기 연인 케이블(20)로부터 분리되며, 스테이션을 빠져나갈 때는 상기 견인 테이블(20)에 재차 결합되고, 스테이션에서의 운송 수단(3)의 움직임은 또한 기어 메커니즘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제어 타이어들(51, 52, 53)에 의해 이루어지고, 운송 수단(30)의 구동은 견인 케이블(20)에 관해 각각의 스테이션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풀리(6)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 타이어들(51, 52, 53)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구조(11) 상에 위치하는 지지 프레임(10)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 타이어들(51, 52, 53)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구조(1, 11)에 위치하는 지지 프레임(10)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 타이어들(51, 52, 53)의 구동을 구동 벨트(60)에 의해 상기 견인 케이블(20)로부터 전환시키는, 견인 케이블(20)에 관한 지지 풀리(6)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로커(7) 등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 벨트(60)는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풀리(6)와 적어도 하나의 제어 타이어(51a) 위에 놓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제어 타이어들(51, 52, 53)에 관한 구동을 전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풀리(6)가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벗 가능한 로커(7) 등은 상기 지지 프레임(10)에 관한 지지 구조(1, 11, 12) 상에 장착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벗 가능한 로커 등은 상기 지지 프레임(10)이 부착되지 않는 지지 구조상에 장착된다.

Description

케이블 카 시스템{CABLE CAR SYSTEM}
본 발명은 케이블 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케이블 카 시스템은 그것의 두 개의 종착 스테이션(end station) 각각에서 가이드 풀리(guide pulley) 위에서 안내되는 견인(hauling) 케이블과, 객실 또는 의자와 같은 운송 수단(vehecle)을 가지고, 이러한 운송 수단은 견인 케이블에 결합될 수 있고, 클램핑 장치와 이착륙 장치(undercarriage)로 형성되며, 경로(route)를 따라 견인 케이블에 결합되고, 스테이션에 들어갈 때 상기 연인 케이블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운송 수단은, 승객이 타고 내리는 스테이션을 통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착륙 장치에 의해 안내되고, 스테이션을 빠져나갈 때는 상기 견인 테이블에 재차 결합되며, 스테이션에서의 상기 운송 수단의 움직임은 또한 제어 타이어들, 즉 감속 타이어, 운반 타이어, 및 가속 타이어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타이어들은 기어 메커니즘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상기 견인 테이블로부터 상기 운송 수단이 분리된 후의 상기 운송 수단의 속도는 감속 타이어에 의해 감소되고, 상기 운송 수단은 승객이 타고 내리는 승객 승하차 영역 통과시에는 느린 속도로 운반 타이어에 의해 움직여지며, 상기 운송 수단의 속도는 상기 운송 수단이 견인 케이블과 재차 결합되어 스테이션을 밖으로 이동할 때는 가속 타이어에 의해 증가되고, 더군다나 상기 제어 타이어들의 구동은 견인 케이블에 관한 각각의 스테이션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풀리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 타이어들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구조에 위치하는 지지 프레임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 타이어들의 구동을 구동 벨트에 의해 상기 견인 케이블로부터 전환시키는, 견인 케이블에 관한 지지 풀리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로커 등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 벨트는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풀리와 적어도 하나의 제어 타이어 위에 놓인다.
이러한 종류의 케이블 카 시스템은 EP2420424A1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알려진 케이블 카 시스템은, 제어 타이어들에 관한 구동이 전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풀리를 거쳐 지지 프레임까지 견인 케이블을 통과하는 충격과 진동이, 적어도 하나의 피벗 가능한 로커(rocker) 상의 베어링(bearing)을 통해 상당히 감소되기 때문에 제어 타이어들에 관해 지지 프레임 상에 위치하는 단단한 지지 핀(pin)에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풀리가 장착된다는 점에서, 제어 타이어들에 관한 구동이 견인 케이블에 관한 지지 풀리들 중 적어도 하나를 거쳐 견인 케이블로부터 전환되는 케이블 카 시스템들에 비해 유리하다.
하지만, 이러한 알려진 케이블 카 시스템으로는 제어 타이어들의 구동이 구동 벨트에 의해 견인 케이블로부터 전환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커는 제어 타이어들에 관한 지지 프레임 상에 위치하고, 이로 인해 크게 완충이 되더라도 지지 프레임까지 충격과 진동이 지나가고 이로 인해 잡음 방출과 같은 이롭지 못한 효과들을 야기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이들 이롭지 못한 효과를 사실상 회피 또는 심지어 완전히 제거하는 문제와 관계된다.
이는 구동이 제어 타이어에 관해 전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풀리가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벗 가능한 로커 등이 지지 프레임에 관한 지지 구조물 상에 장착되거나 지지 프레임이 부착되지 않는 지지 구조물 상에 적어도 하나의 피벗 가능한 로커 등이 장착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라 이루어진다.
그럴 경우 지지 프레임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구조물은 지지 기둥(column)과 그 위에 위치한 크로스 빔(cross beam)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로커가 크로스 빔의 두 말단 부분 중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크로스 빔의 끝 부분에는 추가 빔이 제공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로커가 그 위에 장착된다.
제어 타이어들에 관한 지지 프레임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구조물 상에 위치하고, 이러한 지지 구조물은 지지 기둥과 크로스 빔으로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피벗 가능한 로커가 이러한 크로스 빔의 한쪽 끝 부분에 위치하고, 지지 프레임이 이러한 크로스 빔 상에 고정되지 않는, 제어 타이어들에 관한 구동이 전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풀리를 지원하는 크로스 빔이 추가 지지 기둥에 제공된다.
적어도 제어 타이어를 하나씩 가지고 있는 구동 벨트에 의한 끌고 가기(entrainment)를 위해 각각 결합되는 두 개의 지지 풀리가 장착되는 두 개의 로커 등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피벗 가능한 로커 등에 관한 지지 빔이 그러한 지지 프레임에 관한 단단한 지지 구조물에 직접 부착되고, 따라서 마찬가지로 단단하다면, 지지 빔까지 견인 케이블로부터 지나가는 충격과 진동은 지지 프레임에 관한 지지 구조물에 의해 흡수됨으로써, 어떠한 충격이나 진동도 제어 타이어들에 관한 지지 프레임에 옮겨지지 않는다. 만약 지지 프레임이 로커가 장착되는 지지 빔에 부착되지 않는다면, 이러한 이유로 인해 어떠한 충격 또는 진동도 지지 프레임에 옮겨질 수 없다.
그러므로 알려진 종래 기술에 연관된 이롭지 못한 효과들은 두 개의 구조상 구성 각각을 통해 회피된다.
이제 본 발명의 주제를 도면들에 예시된 2가지 전형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지지 타이어에 관한 지지 프레임이 위치하는 지지 구조물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카 시스템의 스테이션의 제1 실시예를 부등각 투영도로 보여주는 도면.
도 1a는 확대된 스케일로, 도 1의 A 부분을 상세하게 부등각 투영도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지지 타이어에 관한 지지 프레임이 위치하는 지지 구조물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카 시스템의 스테이션의 제2 실시예를 부등각 투영도로 보여주는 도면.
도 2a는 확대된 스케일로, 도 2의 B 부분을 상세하게 부등각 투영도로 보여주는 도면.
도 1로부터 명백한 것처럼, 케이블 카 시스템의 예시된 스테이션은 두 개의 지지 기둥(1, 1a)에 의해 지지되고 대략 수직으로 정렬된 축을 가지고 가이드 풀리(2)가 장착되는 지지 프레임(10)을 가지며, 이러한 가이드 풀리(2) 위에서 견인 케이블(20)이 안내된다. 이러한 케이블 카 시스템이 동작하는 동안, 바람직하게는 힐 스테이션(hill station)에 위치한 구동 모터를 통해, 예컨대 7m/초의 속도로 가이드 풀리(2) 위에서 견인 케이블(20)이 돌아가며 움직여진다. 이 경우 객실인, 이착륙 장치(31)로 형성된 운송 수단(3)은 견인 케이블(20)에 결합될 수 있다. 운송 수단(3)은 경로(route) 상에서 견인 케이블(20)에 결합된다. 스테이션으로 들어갈 때, 운송 수단(3)은, 이착륙 장치(31)에 의해 가이드 레일(4)을 따라 스테이션을 통해 운송 수단(3)이 움직여지는 견인 케이블(20)로부터 분리된다. 스테이션을 빠져나갈 때는, 운송 수단(3)이 재차 견인 케이블(20)에 결합된다. 가이드 레일(4)은 그것들의 두 개의 자유로운 끝 부분(end)에서 입구 깔때기(inlet funnel)로 형성된다.
운송 수단(3)들의 움직임 방향은 화살표 C에 의해 표시된다.
지지 프레임(10) 상에 장착되고, 기어 수단에 의해 끌고 가기 위해 서로에 결합되는 제어 타이어(51, 52, 53)는 스테이션을 통해 운송 수단(3)을 움직이는 역할을 한다. 스테이션으로의 입구에 위치한 제1 그룹의 제어 타이어(51)는, 견인 케이블(20)로부터 분리된 운송 수단(3)의 속도가, 예컨대 7m/초로부터 예컨대 0.3m/초로 감소되는 감속 타이어로서의 역할을 한다. 여기서 후속하는 제2 그룹의 제어 타이어(52)는 운반 타이어로서의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운반 타이어를 통해 운송 수단(3)이 승객들이 올라타고 내릴 수 있는 스테이션의 입구 및 출구 영역을 통해, 예컨대 0.3m/초의 속도로 안내된다. 가속 타이어의 역할을 하는 제어 타이어(53)들의 제3 그룹에 의해, 운송 수단(3)의 속도는 예컨대 7m/초까지 다시 증가되어, 스테이션을 빠져나갈 때 가속 타이어 위에서 이러한 속도로 회전하는 견인 케이블(20) 상에 운송 수단(3)이 결합된다.
견인 케이블(20)은 그것에 의해 돌려지는 지지 풀리(6) 위에서 안내된다. 제어 타이어(51, 52, 53)는, 견인 케이블(20)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풀리(6)까지의 회전을 위해 벨트(6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어 타이어(51a)가 결합되는 식으로 구동된다.
도 1로부터 또한 명백한 것처럼, 지지 기둥들(1, 1a)은 그것들의 상부 끝 부분에서 형성되고, 이 경우 크로스 빔(11, 11a)의 두 말단 부분에 제어 타이어(51, 52, 53)에 관한 지지 프레임(10)이 부착된다.
도 1a로부터 특히 명백한 것처럼, 크로스 빔(11)에 단단히 부착되는 지지 빔(12)은 크로스 빔(11)의 한쪽 끝과 지지 프레임(10)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지지 빔(12) 상에는 두 개의 로커(7)가 장착되고, 그러한 로커들 상에는 견인 케이블(20)에 관한 두 개의 지지 풀리(6)가 장착된다. 구동 벨트(60)는 지지 풀리(6)의 두 개의 쌍 각각의 위에 놓이고, 두 개의 가이드 풀리(6) 위에 놓이며, 또한 제어 타이어(51a)의 위에 각각 놓인다. 두 개의 지지 풀리(6)는 벨트 면(face)(6a)들로 형성되고, 두 개의 제어 타이어(51a)가 구동 벨트(60)에 관한 벨트 면(51b)들로 형성된다. 제어 타이어(51a)에 관한 구동은 로커(7) 상에 장착되는 두 개의 지지 풀리(6)를 거쳐 견인 케이블(20)로부터 구동 벨트(60)에 의해 전환된다.
제어 타이어(51a)는, 추가 제어 타이어(51, 52, 53)가 상승하거나 감소하는 회전 속도를 가지도록, 그러한 추가 제어 타이어(51, 52, 53)에 기어 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추가 빔(13)이 지지 빔(12)에 단단히 부착되고, 지지 프레임(10)이 이러한 추가 빔에 부착된다. 크로스 빔(11)이 있는 지지 기둥(1)과 지지 빔(12)이, 지지 프레임(10)에 관한 지지 구조물을 구성한다.
견인 케이블(20)에 관한 두 개의 지지 풀리(6)가 로커(7)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지지 풀리(6)들은 견인 케이블(20)에 의해 생긴 수직 움직임과 진동을 고르게 받는다. 로커(7)들이 크로스 빔(11)에 의해 지지 기둥(1)에 단단히 부착되는 지지 빔(12) 상에 장착되기 때문에, 지지 프레임(10)에 스트레스를 주고/주거나 소음을 야기하는 어떠한 충격 또는 진동도 지지 프레임(10)까지 거의 옮겨가지 않는다.
이제 도 2와 도 2a를 참조하여 제2의 전형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예는 사실상 도 1과 도 1a에 따른 전형적인 실시예와 일치한다. 그러므로 도 1과 도 1a에 대한 설명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도 1과 도 1a에 관한 차이점은 지지 프레임(10)이 지지되는 지지 기둥(1a) 외에, 제어 타이어(51, 52, 53)에 관한 구동이 견인 케이블(20)로부터 전환되지만, 이로 인해 지지 프레임(10)이 지지되지 않는, 크로스 빔(1b)이 있는 제2 지지 기둥(1b)이 존재하고, 크로스 빔(11c)이 있는 제3 지지 기둥(1c)이 제공되어 지지 프레임(10)이 지지되고, 그 경우 지지 프레임(10)이 크로스 빔(11c) 상에 고정된다는 점이다.
특히, 도 2a로부터 볼 수 있는 것처럼, 지지 빔(12b)은 지지 기둥(1b) 상에 위치하는 크로스 빔(11b)의 한쪽 끝에 단단히 고정된다. 이러한 크로스 빔(12b) 상에는 두 개의 로커(7)가 장착되고, 견인 케이블(20)에 관한 두 개의 지지 풀리(6)가 그 위에 장착된다. 크로스 빔(11b)이 있는 지지 기둥(1b)과 지지 빔(12b)이 두 개의 로커(7)에 관한 지지 구조물을 구성한다. 지지 풀리(6)의 벨트 면(6a) 각각의 위에서 구동 벨트(60)가 안내되고, 두 개의 가이드 풀리(61) 위에 놓이며, 또한 각각 하나의 제어 타이어(51a) 위에 놓인다. 지지 프레임(10)은 크로스 빔(11b)이나 지지 빔(12b)에 부착되지 않는다. 로커(7), 지지 풀리(6), 및 제어 타이어(51a)와의 그것들의 결합의 기능은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이와 비교하여, 지지 프레임(10)은 또한 크로스 빔(11c)이 있는 지지 기둥(1c)에 의해 지지되고, 이 경우 지지 프레임(10)은 크로스 빔(11c)의 끝에 단단히 고정된다.
지지 프레임(10)이 로커(7)들이 장착되는 크로스 빔(11b)에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이롭지 못한 효과들을 야기하는 어떠한 충격 또는 진동도 로커(7)들로부터 지지 프레임(10)으로 옮겨가지 않는다.

Claims (5)

  1. 가이드 풀리(2) 위에서 시스템의 두 개의 종착 스테이션에서 안내되는 견인 케이블(20)을 포함하고, 상기 견인 케이블(20)에 결합될 수 있고 클램핑 장치와 이착륙 장치(31)로 형성되는 객실 또는 의자와 같은 운송 수단(3)을 가지는 케이블 카 시스템에 있어서,
    경로를 따라 견인 케이블(20)에 결합되고 스테이션에 들어갈 때는 상기 견인 케이블(20)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운송 수단(3)은, 승객이 타고 내리는 스테이션을 통해 가이드 레일(4)을 따라 이착륙 장치(31)에 의해 안내되고, 스테이션을 빠져나갈 때는 상기 견인 테이블(20)에 재차 결합되며,
    스테이션에서의 상기 운송 수단(3)의 움직임은 또한 제어 타이어들, 즉 감속 타이어(51), 운반 타이어(52), 및 가속 타이어(53)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타이어들은 기어 메커니즘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상기 견인 테이블(20)로부터 상기 운송 수단(3)이 분리된 후의 상기 운송 수단(3)의 속도는 감속 타이어(51)에 의해 감소되고,
    상기 운송 수단(3)은 승객이 타고 내리는 승객 승하차 영역 통과시에 속도가 느린 운반 타이어(52)에 의해 또한 움직여지며, 상기 운송 수단(3)의 속도는 상기 운송 수단(3)이 견인 케이블(20)과 재차 결합되어 스테이션을 밖으로 이동할 때는 가속 타이어(53)에 의해 증가되고, 또한 상기 제어 타이어들(51, 52, 53)의 구동은 견인 케이블(20)에 관하여 각 스테이션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풀리(6)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 타이어들(51, 52, 53)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구조(1, 11)상에 위치하는 지지 프레임(10)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 타이어들(51, 52, 53)의 구동을 구동 벨트(60)에 의해 상기 견인 케이블(20)로부터 전환시키는, 상기 견인 케이블(20)에 관한 지지 풀리(6)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로커(7) 등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 벨트(60)는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풀리(6)와 적어도 하나의 제어 타이어(51a) 위에 위치하는 케이블 카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 타이어들(51, 52, 53)에 관한 구동을 전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풀리(6)가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벗 가능한 로커(7) 등은 상기 지지 프레임(10)에 관한 지지 구조(1, 11, 12) 상에 장착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벗 가능한 로커(7) 등은 상기 지지 프레임(10)이 부착되지 않는 지지 구조(1b, 11b, 12b)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카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10)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구조물은, 지지 기둥(1)과 상기 지지 기둥(1) 상에 위치한 크로스 빔(11)으로 구성되고, 상기 크로스 빔(11)의 두 말단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커(7)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카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로커(7)가 장착되는 지지 빔(12)이 상기 크로스 빔(11)의 말단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카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타이어(51, 52, 53)에 관한 지지 프레임(10)은 지지 기둥(1a, 1c)과 크로스 빔(11a, 11c)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구조물 상에 위치하고, 한쪽 말단에 적어도 하나의 지지 풀리(6)가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커(7)가 존재하는 크로스 빔(11b)을 포함하는 추가의 지지 기둥(1b)이 제공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커(7)로부터 제어 타이어(51, 52, 53)에 대한 구동이 전환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10)은 상기 크로스 빔(11b)에 부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카 시스템.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지지 풀리(6)가 장착되는 두 개의 피벗 가능한 로커(7)가 제공되고, 상기 두 개의 지지 풀리(6)는 각각 구동 벨트(60)를 거쳐 적어도 상기 제어 타이어(51a) 각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카 시스템.
KR1020167031522A 2014-04-10 2014-12-04 케이블 카 시스템 KR101869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269/2014A AT515733B1 (de) 2014-04-10 2014-04-10 Seilbahnanlage
ATA269/2014 2014-04-10
PCT/AT2014/000217 WO2015154106A1 (de) 2014-04-10 2014-12-04 Seilbahnan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458A true KR20160144458A (ko) 2016-12-16
KR101869857B1 KR101869857B1 (ko) 2018-06-21

Family

ID=52423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522A KR101869857B1 (ko) 2014-04-10 2014-12-04 케이블 카 시스템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10112624B2 (ko)
EP (1) EP3129268B1 (ko)
JP (1) JP6261762B2 (ko)
KR (1) KR101869857B1 (ko)
CN (1) CN106061818B (ko)
AR (1) AR099699A1 (ko)
AT (1) AT515733B1 (ko)
AU (1) AU2014390653B2 (ko)
BR (1) BR112016017695B1 (ko)
CA (1) CA2940193C (ko)
CL (1) CL2016002563A1 (ko)
ES (1) ES2715669T3 (ko)
MA (1) MA39312A1 (ko)
MX (1) MX2016013288A (ko)
NZ (1) NZ722592A (ko)
PE (1) PE20161568A1 (ko)
PL (1) PL3129268T3 (ko)
RU (1) RU2653648C1 (ko)
SI (1) SI3129268T1 (ko)
TR (1) TR201903379T4 (ko)
WO (1) WO20151541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5733B1 (de) * 2014-04-10 2016-02-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anlage
AT517873B1 (de) * 2015-10-15 2019-04-15 C D C Chain Drive Crane Gmbh Seilbahnlaufwagen
AT520445B1 (de) 2017-10-19 2019-04-15 Innova Patent Gmbh Reifenförderer für Transportmittel
CN110901662B (zh) * 2019-12-05 2020-10-30 赵教先 一种缆车设备
CN113991528B (zh) * 2021-12-01 2024-04-02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梧州局 输电线拖运移动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3450A (ja) * 1994-12-28 1996-07-16 Nippon Cable Co Ltd 索道の脱索防止装置
KR20120018056A (ko) * 2010-08-19 2012-02-29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케이블철도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45433B1 (fr) * 1983-05-02 1985-08-30 Pomagalski Sa Station d'extremite d'un telesiege ou d'une telecabine de hauteur reglable
FR2568208B1 (fr) * 1984-07-26 1988-03-18 Pomagalski Sa Dispositif de propulsion dans les stations des cabines ou des sieges d'une telecabine ou d'un telesiege
FR2661147B1 (fr) * 1990-04-24 1992-07-24 Pomagalski Sa Station d'extremite de tension d'un teleporteur.
JPH0659183U (ja) * 1993-01-26 1994-08-16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自動循環式索道の搬器移送用の駆動力取出装置
FR2740417B1 (fr) * 1995-10-25 1998-01-02 Pomagalski Sa Teleporteur debrayable a module de prise de mouvement
CH692694A5 (de) * 1997-12-19 2002-09-30 Garaventa Holding Ag Seilbahnanlage.
EP2072367A1 (de) * 2007-12-17 2009-06-24 Innova Patent GmbH Seilbahnanlage mit einem Trag- bzw. Förderseil
ATE518714T1 (de) * 2008-07-24 2011-08-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anlage
EP2213543A1 (de) * 2009-01-29 2010-08-04 Innova Patent GmbH Riemenscheibe für eine Seilbahnanlage und Bausatz zu deren Herstellung
ES2398735T3 (es) * 2010-07-29 2013-03-21 Innova Patent Gmbh Instalación de teleférico y procedimiento para su funcionamiento
AT12625U1 (de) * 2010-10-18 2012-09-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anlage
AT513351A1 (de) * 2012-09-13 2014-03-15 Innova Patent Gmbh Station für eine Seilbahnanlage
AT515098B1 (de) * 2013-11-28 2015-06-15 Innova Patent Gmbh Anlage zur Beförderung von Personen
AT515733B1 (de) * 2014-04-10 2016-02-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anl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3450A (ja) * 1994-12-28 1996-07-16 Nippon Cable Co Ltd 索道の脱索防止装置
KR20120018056A (ko) * 2010-08-19 2012-02-29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케이블철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6017695A2 (ko) 2017-08-08
AU2014390653B2 (en) 2017-07-06
CN106061818A (zh) 2016-10-26
RU2653648C1 (ru) 2018-05-11
AR099699A1 (es) 2016-08-10
WO2015154106A1 (de) 2015-10-15
CA2940193C (en) 2018-03-13
ES2715669T3 (es) 2019-06-05
US10112624B2 (en) 2018-10-30
NZ722592A (en) 2017-06-30
CL2016002563A1 (es) 2017-01-27
AU2014390653A1 (en) 2016-08-11
CA2940193A1 (en) 2015-10-15
JP2017510500A (ja) 2017-04-13
JP6261762B2 (ja) 2018-01-17
EP3129268B1 (de) 2019-02-06
EP3129268A1 (de) 2017-02-15
AT515733B1 (de) 2016-02-15
CN106061818B (zh) 2018-09-25
US20170144675A1 (en) 2017-05-25
MX2016013288A (es) 2017-01-18
KR101869857B1 (ko) 2018-06-21
TR201903379T4 (tr) 2019-04-22
BR112016017695B1 (pt) 2022-07-26
AT515733A1 (de) 2015-11-15
PE20161568A1 (es) 2017-01-29
MA39312A1 (fr) 2017-02-28
SI3129268T1 (sl) 2019-03-29
PL3129268T3 (pl)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857B1 (ko) 케이블 카 시스템
JP5933937B2 (ja) 索道システム
KR101462714B1 (ko) 케이블철도시스템
RU2481212C2 (ru) Подвесная канатная дорога (варианты)
CN103661408B (zh) 用于缆道系统的站台
US10787180B2 (en) Cable transport installation
CN108290581B (zh) 空中运输装备
US20080011181A1 (en) Cableway system having at least one conveying cable
JP2011005959A (ja) 索条牽引式輸送設備
JP2018030439A (ja) 索条牽引式輸送設備の原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