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3018A - 차량용 토션 스테빌라이저 - Google Patents

차량용 토션 스테빌라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3018A
KR20160143018A KR1020150079004A KR20150079004A KR20160143018A KR 20160143018 A KR20160143018 A KR 20160143018A KR 1020150079004 A KR1020150079004 A KR 1020150079004A KR 20150079004 A KR20150079004 A KR 20150079004A KR 20160143018 A KR20160143018 A KR 20160143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ain shaft
shaft
present
to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서운
Original Assignee
심서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서운 filed Critical 심서운
Priority to KR1020150079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3018A/ko
Publication of KR20160143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10Damping action or dam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토션 스테빌라이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용 토션 빔을 보강하도록 배치되는 메인 샤프트부(12); 상기 메인 샤프트부(12)를 차량의 하부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연결부(16);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16)는, 상기 메인 샤프트부(12)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차량의 하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섀시 연결부(16A); 상기 메인 샤프트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차량 휘일의 댐퍼 샤프트에 연결되는 댐핑 연결부(16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토션 스테빌라이저{Autombile tortion stabilizer}
본 발명은 차량용 토션 스테빌라이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토션빔의 기능을 보완하여 차량의 안전한 주행, 편안한 주행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새로운 차량용 토션 스테빌라이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 장치는 차축과 차체 사이를 연결시켜 주행 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적절히 감쇠시켜, 차체의 손상과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작용한다. 즉,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유연성을 제공하여 노면의 거침으로부터 차체가 영향을 받지 않게 하면서 불규칙한 노면을 주행할 수 있게 하면서, 노면에 대하여 적절한 조향 및 캠버 위치에 휠을 유지시킴과 더불어 차륜에 의해서 발생하는 수평 및 횡력 그리고, 제동 및 구동력에 대응함과 아울러 차체의 롤링(Rolling)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차량의 선회 시에는 원심력을 차체의 하중이 쏠리게 되면서 기울어지게 되는 현상을 방지해, 차체의 평형을 유지토록 하는 일종의 토션 바의 역할을 하는 토션 빔(Torsion Beam)이 설치된다.
이러한 토션 빔은 재료의 회전강성을 이용하여 좌우 차륜의 상대 변위를 억제하는데 즉, 양쪽 차륜이 동시에 상승/하강할 경우에는 작동하지 않다가 좌우 차륜이 반대방향으로 움직일 때(차가 회전할 때), 비틀리면서 좌우 차륜의 상대 변위를 줄여 차량 자세를 안정시키며 차량 구동력 및 회전력을 향상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을 하는 토션 빔은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주행 시 변화는 현가 장치의 특성으로 인해 롤 이외 범프(리바운드) 시와 같은 경우에는 승차감이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토션 빔에 모터를 달아서 모터로 토션 빔의 댐핑 특성을 조절해, 특히 차량이 선회할 때 발생되는 과다한 롤을 방지하기도 한다.
그런데, 차량의 현가 장치의 안정적인 조정에 의해 차량의 보다 안전한 주행이 필요시되는데, 기존에는 토션 빔 이외에는 차량의 토션을 안정화시키는 별다른 수단이 없어서 여러 가지 문제가 초래된다.
즉, 기존에는 차축이 회전시 한쪽으로 급격히 쏠리며 하중 또한 배이상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토션 빔 만으로는 차축의 회전시 급격히 쏠리는 현상과 하중이 급격히 증가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에는 토션 빔 등이 받는 하중이 배이상으로 증가하여서 차량을 안정적으로 코너링하기에 미흡한 단점이 있으며, 차량의 직진성에 있어서 부드럽지 못하고 주행 능력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지그재그 운행시에 토션 빔 등의 텐션 작용이 미흡하여 롤링 현상(차량의 휘일이 헛도는 현상)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이는 차량의 회전 반복 운행시 수평적 중심을 잡아주는 기능이 미비하고 안정적 곡선 주행에 있어서 미흡하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차량에 인원초과 승차하여 곡선구간 주행시에 급격한 쏠림현상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기존에는 저가 고가 반복적인 도로에서 흔히 피쉬테일 현상이 발생된다. 피시테일이란 차량의 밑을 지나는 바람이 비교적 가벼운 지점인 차량 뒤편을 들어올려 물고기 꼬리처럼 좌우로 흔들게하는 현상으로, 차량 주행중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게 되는데, 기존에는 이러한 일반 도로와 고가 도로의 반복적인 도로 구간에서 흔히 피쉬테일 현상이 발생된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9-0009547호(2009. 01.23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0507117호(2005.08.01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04-0052434호(2004.06.23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축이 회전시 한쪽으로 급격히 쏠리어 하중이 배이상 증가하는 등의 경우를 방지하고, 토션빔이 받는 하중을 반사적으로 밀어올려서 안정적으로 코너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과 같이 차량의 안전 주행과 편안한 주행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는 새로운 차량용 토션 스테빌라이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용 토션 빔을 보강하도록 배치되는 메인 샤프트부(12); 상기 메인 샤프트부(12)를 차량의 하부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연결부(16);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16)는, 상기 메인 샤프트부(12)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차량의 하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섀시 연결부(16A); 상기 메인 샤프트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차량 휘일의 댐퍼 샤프트에 연결되는 댐핑 연결부(16B);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션 스테빌라이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토션 스테빌라이저는 차축이 회전시 한쪽으로 급격히 쏠리어 하중이 배이상 증가하는 경우를 방지하고, 토션이 받는 하중(토션빔이 받는 하중)을 반사적으로 밀어올려서 안정적으로 코너링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기존에는 차축이 회전시 한쪽으로 급격히 쏠리어 하중 또한 배이상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토션스테빌라이저는 토션이 받는 하중을 반사적으로 밀어올려서 안정적으로 코너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토션스테빌라이저는 좌우 양측 Y자 형식을 채택하여 직진성에 부드럽고 탁월한 주행을 할 수 있게 되며, 지그재그 운행시 좌우양측의 텐션작용으로 롤링을 감소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 반복구간 운행시 수평적 중심역활을 도와주며 안정적 곡선주행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원초과 승차하여 곡선구간 주행시에도 차량의 급격한 쏠림현상을 막아준다.
또한, 본 발명은 저고가 반복적인 도로에서 흔히 발생되는 피쉬테일 현상을 대폭감소시켜 안정적인 드라이브에 기대 부흥한다.
기존의 토션바의 역활은 단지 일정부분을 잡아주는 역할만 했다면 본 발명의 토션스테빌라이저는 추가적 기능을 최대한 보완하여 한층더 업그레이드된 제품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주요소재는 스틸환봉 C.M 45C 를 선택하여 토션스테빌라이저 중심에 탄소 처리후 반동성 능력을 최대한 살려줌으로써 좌우 수평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좌우 수평성이라 함은 본 발명의 토션 스테빌라이저 자체의 좌우 균형을 유지함은 물론 차량에 장착시 차량의 좌우 수평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토션 스테빌라이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일측면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토션 스테빌라이저의 실제 사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토션 스테빌라이저를 차량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토션 스테빌라이저는 차량용 토션 빔을 보강하도록 배치되는 메인 샤프트부(12)와, 이러한 메인 샤프트부(12)를 차량의 하부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연결부(16)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16)는 섀시 연결부(16A)와 댐핑 연결부(16B)를 구비한다.
상기 섀시 연결부(16A)는 메인 샤프트부(12)의 양단부에 구비된 것으로, 차량의 하부 프레임에 연결됨으로써 메인 샤프트부(12)를 차량의 하부 프레임에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댐핑 연결부(16B)는 메인 샤프트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차량 휘일의 댐퍼 샤프트에 연결된다.
한편, 메인 샤프트부(12)의 양단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벌어진 확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확장부에 섀시 연결부(16A)와 댐핑 연결부(16B)가 구비된다.
메인 샤프트부(12)는 적어도 두 개의 제1메인 샤프트(12A)와 제2메인 샤프트(12B)가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메인 샤프트(12A)와 제2메인 샤프트(12B) 중에서 제2메인 샤프트(12B)의 양단부측에서 일정 길이만큼 제1메인 샤프트(12A)에서 벌어지도록 연장된 앵글 샤프트부(12AS)를 구비한다. 상기 제1메인 샤프트(12A)와 제2메인 샤프트(12B)의 앵글 샤프트부(12AS)에 의해 상기 확장부가 형성된다.
상기 확장부에 섀시 연결부(16A)와 댐핑 연결부(16B)가 구비된다.
상기 섀시 연결부(16A)는 제1메인 사프트의 양단부와 제2메인 샤프트(12B)의 앵글 샤프트부(12AS)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차량의 휘일 안쪽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섀시 연결패널로 구성된다. 이때, 섀시 연결패널에는 볼트 등의 체결구가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체결구홀이 구비된다.
상기 댐핑 연결부(16B)는 댐핑 연결 샤프트(16BS)와 댐핑 연결보스(16BO)를 구비한다.
상기 제1메인 샤프트(12A)와 앵글 샤프트부(12AS)에 댐핑 연결 샤프트(16BS)가 결합되어 있다. 댐핑 연결 샤프트(16BS)는 차량의 휘일 안쪽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댐핑 연결보스(16BO)는 댐핑 연결 샤프트(16BS)에 구비된다. 댐핑 연결보스(16BO)는 휘일에 연결된 댐퍼 샤프트와 결합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차량용 토션 스테빌라이저를 장착할 때에는 메인 샤프트가 차량의 토션빔 내부로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섀시 연결패널에 구비된 체결구홀을 관통하도록 볼트 등의 체결구를 결합하고, 상기 체결구를 차량의 하부 프레임에 조여준다. 한편, 상기 댐핑 연결부(16B)를 구성하는 댐핑 연결보스(16BO)를 차량의 댐퍼 샤프트 일측으로 돌출된 연결블록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댐핑 연결보스(16BO)에 형성된 체결구홀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결합하고, 상기 체결구를 댐퍼 샤프트의 상기 연결블록에 체결하면 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차량용 토션 스테빌라이저가 토션빔의 아래에서 토션빔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토션 스테빌라이저는 차축이 회전시 한쪽으로 급격히 쏠리어 하중이 배이상 증가하는 경우를 방지하고, 토션이 받는 하중(토션빔이 받는 하중)을 반사적으로 밀어올려서 안정적으로 코너링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좌우양측 Y자 형식을 채택하여 직진성에 부드럽고 탁월한 주행을 할 수 있게 설계되었으며, 지그재그 운행시 좌우 양측의 텐션작용으로 인하여 롤링(차량 휘일의 롤링)을 감소시킨다. 좌우 양?P Y자 형식은 상기 제1메인 샤프트(12A)와 제2메인 샤프트(12B)의 앵글 샤프트부(12AS)에 의해 형성된 상기 확장부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회전 반복구간 운행시 수평적 중심 역할을 안정적으로 도와주어서 안정적 곡선주행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인원초과 승차하는 경우라도 곡선구간 주행시 급격한 쏠림현상을 막아주며, 저고가 반복적인 도로에서 흔히 발생되는 피쉬테일 현상을 대폭감소시켜서 안정적인 드라이브에 기대 부흥하는 효과가 있다. 저고가 반복적인 도로라 함은 일반 도로와 고가 도로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구간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저고가 반복적인 도로에서 피쉬테일 현상이 생기는 경우를 대폭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차량의 안전한 운행에 상당한 도움이 된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토션바의 역할은 단지일정부분을 잡아주는 역활만 한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토션스테빌라이저는 상기와 같은 추가적 기능을 최대한 보완하여 한층더 업그레이드된 제품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주요소재는 스틸환봉 C.M 45C 를 선택하여 스테빌라이저 중심에 탄소처리후 반동성 능력을 최대한 살려줌으로서 좌우 수평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좌우 수평성이라 함은 차량의 주행시의 좌우 수평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좌우 수평성을 유지한다는 것은 그만큼 차량의 안전 주행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메인 샤프트부(12)가 양쪽에 하향으로 연장된 메인 경사 샤프트부를 구비하고, 메인 경사 샤프트부에 상기 Y자 형식의 확장부가 연결되어 있어서, 본 발명의 스테빌라이저를 차량의 토션바에 결합 장착하였을 때에 메인 경사 샤프트부가 다른 부분보다 더 아래로 내려와 있어서 차량 주행시 댐핑 능력을 메인 경사 샤프트부가 더 높여주므로 차량의 안전한 주행 및 편안한 주행에 더욱더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2. 메인 샤프트부 12A. 제1메인 샤프트
12B. 제2메인 샤프트 16. 연결부
16A. 섀시 연결부 16B. 댐핑 연결부

Claims (5)

  1. 차량용 토션 빔을 보강하도록 배치되는 메인 샤프트부(12);
    상기 메인 샤프트부(12)를 차량의 하부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연결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션 스테빌라이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6)는,
    상기 메인 샤프트부(12)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차량의 하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섀시 연결부(16A);
    상기 메인 샤프트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차량 휘일의 댐퍼 샤프트에 연결되는 댐핑 연결부(16B);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션 스테빌라이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샤프트부(12)의 양단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벌어진 확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확장부에 상기 섀시 연결부(16A)와 상기 댐핑 연결부(16B)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션 스테빌라이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샤프트부(12)는 적어도 두 개의 제1메인 샤프트(12A)와 제2메인 샤프트(12B)가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메인 샤프트(12A)와 상기 제2메인 샤프트(12B) 중에서 상기 제2메인 샤프트(12B)의 양단부측에서 일정 길이만큼 상기 제1메인 샤프트(12A)에서 벌어지도록 연장된 앵글 샤프트부(12AS)를 구비하여, 상기 제1메인 샤프트(12A)와 상기 제2메인 샤프트(12B)의 상기 앵글 샤프트부(12AS)에 의해 상기 확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확장부에 상기 섀시 연결부(16A)와 상기 댐핑 연결부(16B)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션 스테빌라이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 연결부(16A)는,
    상기 제1메인 사프트의 양단부와 상기 제2메인 샤프트(12B)의 상기 앵글 샤프트부(12AS)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차량의 휘일 안쪽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섀시 연결패널로 구성되며,
    상기 댐핑 연결부(16B)는,
    상기 제1메인 샤프트(12A)와 상기 앵글 샤프트부(12AS)에 결합되어 차량의 휘일 안쪽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댐핑 연결 샤프트(16BS);
    상기 댐핑 연결 샤프트(16BS)에 구비되어 상기 휘일에 연결된 댐퍼 샤프트와 결합되는 댐핑 연결보스(16BO);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션 스테빌라이저.
KR1020150079004A 2015-06-04 2015-06-04 차량용 토션 스테빌라이저 KR20160143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004A KR20160143018A (ko) 2015-06-04 2015-06-04 차량용 토션 스테빌라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004A KR20160143018A (ko) 2015-06-04 2015-06-04 차량용 토션 스테빌라이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018A true KR20160143018A (ko) 2016-12-14

Family

ID=57576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004A KR20160143018A (ko) 2015-06-04 2015-06-04 차량용 토션 스테빌라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301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434A (ko) 2002-12-17 2004-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커플드 토션 빔 현가장치
KR100507117B1 (ko) 2002-12-16 2005-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이중 비율 토션 빔 액슬
KR20090009547A (ko) 2007-07-20 2009-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현가장치의 토션 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117B1 (ko) 2002-12-16 2005-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이중 비율 토션 빔 액슬
KR20040052434A (ko) 2002-12-17 2004-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커플드 토션 빔 현가장치
KR20090009547A (ko) 2007-07-20 2009-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현가장치의 토션 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7053B2 (en) Electromobility vehicle
CN106167068B (zh) 机动车后轮可正立跳动的独立悬架机构
KR100726568B1 (ko) 토션 바 타입 차량용 리어 현가장치
US5456486A (en) Rear wheel suspension for vehicle
KR20160143018A (ko) 차량용 토션 스테빌라이저
KR101529002B1 (ko) 차량용 서스펜션시스템 보조 장치
JP5220478B2 (ja) 姿勢維持装置を備えた自転車
CN210882479U (zh) 三轮车的后悬挂结构
CN107107970A (zh) 拖拉机
KR20140073134A (ko) 차체 자세 제어장치
KR100968170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JPH11151922A (ja) 車軸の懸架装置
JP3523575B2 (ja) 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100527769B1 (ko) 차량의 현가장치
JP4706367B2 (ja) 運搬車の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
JP2003237335A (ja) サスペンション構造
CN215793053U (zh) 全地形车
JP2019069731A (ja) タンデム車軸懸架装置
KR102240958B1 (ko) 주행안정성과 부드러운 승차감을 위한 차량 로어암 제어 장치
KR20070030569A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구조
JP2006290100A (ja) 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
JP2003159923A (ja) 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101393546B1 (ko) 자동차의 능동 제어 현가장치
KR100952003B1 (ko) 스테빌라이저바의 마운팅 구조
KR100962190B1 (ko) 스테빌라이저 바용 클램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