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2929A - 발진자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발진자 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2929A
KR20160142929A KR1020150078569A KR20150078569A KR20160142929A KR 20160142929 A KR20160142929 A KR 20160142929A KR 1020150078569 A KR1020150078569 A KR 1020150078569A KR 20150078569 A KR20150078569 A KR 20150078569A KR 20160142929 A KR20160142929 A KR 20160142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urnace
cooling water
heat insulating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5537B1 (ko
Inventor
조훈
최경환
김선기
서정혁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78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537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00Treatment of fused masses in the ladle or the supply runners before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3/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진자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모듈 및 상기 베이스모듈의 일측에 구비되어, 로의 내부에 삽입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발진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발진자 거치 장치{APPARATUS FOR CRADLING VIBRATOR}
본 발명은 발진자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의 내부에 진동을 가하기 위한 발진자를 이동시켜 다양한 조건의 로에 범용적으로 진동을 가할 수 있는 발진자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주조 등을 이용한 금속제품 생산 방식에 있어서 로를 이용하여 금속 용탕을 제조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금속 용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단일 금속 또는 다양한 금속의 합금을 함께 용융시켜 금속 용탕을 형성하는데, 이때 금속과 함께 혼입되는 불순물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용탕 내부에 가스가 발생한다.
이러한 가스는 금속 용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용탕 내 가스 농도를 낮추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고, 그 중 용탕 내부에 진동을 인가하여 가스 농도를 낮추는 방안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작업자가 직접 진동장치를 로의 내부로 삽입하여 로의 내부에 진동을 인가하는 경우, 로에서 방출되는 복사열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환경이 매우 열악하고, 작업자가 부상을 당할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로의 내부로 삽입되는 진동장치가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냉각수가 유출되어 로의 내부로 유입되면 용탕 내부의 금속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동시에 냉각수의 유입으로 인하여 로 내부의 금속이 튀어 오르거나, 폭발하는 경우, 작업자가 심각한 부상을 당할 위험성이 매우 높고, 작업장 및 작업도구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로의 내부에 미리 진동장치를 구비하는 로가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경우 진동장치는 로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없고, 진동장치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동장치를 구비하는 로를 제조하는데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로의 내부에 진동을 가하기 위한 발진자를 이동시켜 다양한 조건의 로에 범용적으로 진동을 가할 수 있는 발진자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는 베이스모듈 및 상기 베이스모듈의 일측에 구비되어, 로의 내부에 삽입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발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모듈은 상기 베이스모듈을 이동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모듈은 상기 베이스모듈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승강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발진모듈은 상기 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진모듈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의 단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부의 하면 일측에 상기 진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진모듈은 상기 단열부 및 상기 진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냉각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진모듈은 상기 진동부 및 상기 베이스모듈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는 상기 발진모듈의 진동부를 냉각하는 냉각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각모듈은 상기 진동부의 내부에 냉각수를 공급 및 회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진모듈은 상기 냉각수가 상기 진동부와 인접한 부위에서 유출되는 경우, 유출된 상기 냉각수의 낙하를 방지하며 유출된 상기 냉각수를 유도하는 유출냉각수 유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출냉각수 유도부는 소정의 면적과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조건의 용해로, 보온로 등에 범용적으로 진동을 인가할 수 있다.
둘째, 보다 안전하게 로의 내부에 진동을 인가할 수 있다.
셋째, 진동을 인가할 수 있는 로를 별도로 제조하는데 소모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의 발진모듈을 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의 발진모듈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의 발진모듈이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를 이용하여 로의 내부에 진동을 인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의 발진모듈을 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의 발진모듈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의 발진모듈이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는 베이스모듈(100) 및 발진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모듈(100)은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의 본체가 되는 구성으로, 본체(110) 및 승강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10)는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장치 또는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가 쓰러지지 않도록 무게중심을 본체(110)쪽에 유지할 수 있는 무게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는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가 다양한 로에 자유롭게 진동을 가할 수 있도록, 베이스모듈(10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112)는 로와 인접한 작업소의 지면을 따라 전후좌우로 베이스모듈(100)을 이동시키며, 본 실시예에서는 바퀴의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12)의 구성은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궤도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도 있다.
구동부(112)의 구성을 통해 베이스모듈(100)에 구비된 발진모듈(200)을 로에 삽입하기 적합한 위치로 베이스모듈(100)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승강부(120)는 베이스모듈(100)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10)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기둥 및 후술하는 발진모듈(200)이 상하로 이동하는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12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승강부(120)는 발진모듈(200)이 가이드(122)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나사(124) 및 모터(12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승강부(120)의 구성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후술하는 발진모듈(200)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면 그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승강부(120)의 구성 없이 본체에 발진모듈(200)이 직접 결합하여 구비되는 구성도 적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승강부(120)의 구성을 통하여 보다 용이하게 로의 내부에 진동을 인가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통하여 로의 내부에 진동을 인가하는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진모듈(200)은 베이스모듈(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로의 내부에 진동을 인가하는 구성으로, 진동부(210) 및 단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210)는 로의 내부에 삽입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초음파 진동을 로의 내부로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진동부(210)는 로 내부의 고온환경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로의 내부에 효과적으로 진동을 인가하도록 마련된다면, 그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단열부(220)는 전술한 진동부(210)를 로의 내부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로 내부에서 방출되는 복사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가 파손되거나, 또는 인근의 작업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사열을 차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열부(220)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의 형태로 형성되고, 단열부(220) 플레이트의 하면에 단열재(22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단열재(222)가 구비된 단열부(220)의 하면 일측에 전술한 진동부(210)가 구비되어, 진동부(210)가 로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진동부(210)의 주변을 통해 방출되는 로의 복사열이 단열부(22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단열부(220)는 진동부(210)가 전술한 베이스모듈(100)과 이격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역시, 로의 복사열로 인해 베이스모듈(1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열부(220)는 플레이트 형태의 일측이 전술한 베이스모듈(100)의 승강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 형태의 단열부(220)의 일측이 전술한 승강부(120)의 가이드(122) 및 나사(124)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나사(124)를 감싸는 부위는 나사(124)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단열부(220)는 나사(124)의 회전을 통해 승강부(12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나사(124)가 회전할 때 나사(124)의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된 단열부(220)로 나사(124)의 회전력이 전달되는데, 동시에 단열부(220)는 가이드(122)를 감싸고 있으므로, 가이드(122)는 단열부(220)가 나사(124)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단열부(220)는 나사(12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단열부(220)는 플레이트 형태의 일측이 승강부(120)와 결합되는 구조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프레임(224)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단열부(220)의 둘레를 따라 단열부(220)의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낙하방지프레임(226)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보강프레임(224) 및 낙하방지프레임(226)은 플레이트 형태의 단열부(220)가 승강부(120)와 결합된 상태에서 단열부(220)를 보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외에 보강프레임(224) 및 낙하방지프레임(226)의 추가적인 효과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는 냉각모듈(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모듈(300)은 전술한 발진모듈(200)의 진동부(210) 및 단열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냉각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냉각모듈(300)은 진동부(210)를 냉각하는 구성으로, 별도의 장치를 통해 냉각수를 진동부(210)의 내부로 공급 및 회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냉각모듈(300)을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는 진동부(210)와 냉각모듈(300)을 연결하는 파이프(310)를 통해 공급될 수 있으며, 이때 파이프(310)는 진동부(210)가 로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로에서 방출되는 복사열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전술한 단열부(220)의 상부에서 진동부(210)와 연결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냉각모듈(300)에 의해 냉각수가 진동부(210)의 내부를 순환하며 진동부(210)를 냉각시키고, 이러한 구성은 진동부(210)가 로 내부의 열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진동부(2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모듈(300)은 본 실시예와는 달리 전술한 베이스모듈(100) 본체(110)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단열부(220)를 냉각하기 위하여 단열부(220)의 내부에 냉각유로가 형성되고, 단열부(220)의 냉각유로에 냉각수를 공급 및 회수하는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구성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를 이용하여 로의 내부에 진동을 인가하는 과정에서, 진동부(210)와 파이프(310)의 연결부위에서 냉각수가 유출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유출된 냉각수가 로의 내부로 유입되면 로 내부의 제품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뿐 아니라, 다량의 냉각수가 유입되는 경우에 로 내부로부터 고온의 금속 용액이 튀거나 폭발을 일으켜 다양한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의 발진모듈(200)은 유출냉각수 유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유출냉각수 유도부는 진동부(210)와 인접한 부위에서 냉각수가 유출되는 경우에, 유출된 냉각수의 낙하를 방지하며 유출된 냉각수를 로의 입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출냉각수 유도부는 소정의 면적과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플레이트는 전술한 발진모듈(200)의 단열부(220) 플레이트일 수 있다.
즉, 발진모듈(200)의 단열부(220)는 진동부(210)가 구비되는 부위의 두께가 베이스모듈(100)과 결합되는 부위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진동부(210)로부터 베이스모듈(100)을 향해 하방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진동부(210)의 상부에서 냉각수가 유출되었을 때 유출된 냉각수는 단열부(220)의 상부로 낙하하여 로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단열부(220)의 상부로 낙하한 냉각수는 단열부(220) 상부의 경사로 인해 베이스모듈(100) 쪽으로 유동할 수 있다.
즉, 유출된 냉각수가 로의 입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보강프레임(224) 및 낙하방지프레임(226)의 구성은 유출된 냉각수가 경사를 따라 유도되는 과정에서 냉각수의 유도 방향을 보다 명확하게 하고, 냉각수가 단열부(220)의 외측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그리고, 유출된 냉각수를 보다 정확하게 유도하기 위하여 단열부(220) 플레이트의 상부에 홈이 형성될 수도 있고, 발진모듈(200)에 유출냉각수를 배출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구성 등이 더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유도된 유출냉각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별도의 처리장치가 더 구비되는 등 유출냉각수 유도부의 구성은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의 진동부(21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냉각수의 유출이 발생하더라도, 이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진모듈(200)은 전술한 진동부(210) 및 베이스모듈(100) 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례로, 각각 다른 크기로 형성된 복수개의 단열부(220a, 220b, 220c)가 구비되고, 크기 순서대로 서로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복수개의 단열부(220a, 220b, 220c)가 상호 슬라이딩 하면서 단열부(220)의 길이가 변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단열부(220a, 220b, 220c)는 각각 하면에 단열재가 구비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하나의 실시예일뿐, 단열부(220)의 길이가 변화하여 진동부(210) 및 베이스모듈(100) 간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면 길이조절부의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통해, 보다 큰 사이즈의 로의 내부 중심에 진동을 인가하거나, 로의 입구로 접근성이 나쁜 경우에도 진동을 인가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의 사용양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를 이용하여 로의 내부에 진동을 인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를 이용하여 로의 내부에 진동을 인가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는 베이스모듈(100)에 구비된 구동부(112)를 통해 작업 현장의 지면을 따라 전후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베이스모듈(100)이 이동하면서 발진모듈(200)에 구비된 진동부(210)의 위치가 로(F) 입구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의 위치를 조정 할 수 있다.
베이스모듈(100)의 모듈의 위치가 설정되면, 베이스모듈(100)의 승강부(120)를 따라 발진모듈(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로(F)의 입구의 높이에 맞춰 발진모듈(200)을 하강하면 진동부(210)의 하부가 로(F)의 내부로 삽입되고, 로(F)에 삽입된 진동부(210)는 진동을 발생시켜 로(F) 내부 용탕의 가스 농조를 낮추고, 용탕 결정립을 미세화 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로(F)의 내부에서 방출되는 복사열은 단열부(220)에 의해 차단되어, 베이스모듈(100) 및 냉각모듈(300)의 파이프(310)를 보호하고, 냉각모듈(300)은 냉각수를 순환시켜 로(F) 내부에 삽입된 진동부(210)를 냉각하며 진동부(210)를 보호할 수 있다.
로(F)에 진동을 인가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승강부(120)를 따라 발진모듈(200)이 상향 이동하고, 베이스모듈(100)이 이동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진자 거치 장치를 회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및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조건의 용해로, 보온로 등에 범용적으로 진동을 인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로에 범용적으로 진동을 가할 수 있으므로, 진동을 가할 수 있는 로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어, 진동을 가할 수 있는 로를 별도로 제조하는 데 소모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진동기를 로에 삽입하지 않고 별도의 거치 장치를 이용하며, 로의 복사열을 차단하고, 냉각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베이스모듈
110 : 본체
112 : 구동부
120 : 승강부
122 : 가이드 124 : 나사
126 : 모터
200 : 발진모듈
210 : 진동부
220 : 단열부
222 : 단열재 224 : 보강프레임
226 : 낙하방지프레임
300 : 냉각모듈
310 : 파이프

Claims (10)

  1. 베이스모듈; 및
    상기 베이스모듈의 일측에 구비되어, 로의 내부에 삽입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는 발진모듈;
    을 포함하는 발진자 거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모듈은,
    상기 베이스모듈을 이동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되는 발진자 거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모듈은,
    상기 베이스모듈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승강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발진모듈은,
    상기 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발진자 거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모듈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의 단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부의 하면 일측에 상기 진동부가 구비되는 발진자 거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모듈은,
    상기 단열부 및 상기 진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냉각모듈을 더 포함하는 발진자 거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모듈은,
    상기 진동부 및 상기 베이스모듈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발진자 거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모듈의 진동부를 냉각하는 냉각모듈을 더 포함하는 발진자 거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모듈은,
    상기 진동부의 내부에 냉각수를 공급 및 회수하는 발진자 거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모듈은,
    상기 냉각수가 상기 진동부와 인접한 부위에서 유출되는 경우, 유출된 상기 냉각수의 낙하를 방지하며 유출된 상기 냉각수를 유도하는 유출냉각수 유도부가 형성되는 발진자 거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냉각수 유도부는,
    소정의 면적과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발진자 거치 장치.
KR1020150078569A 2015-06-03 2015-06-03 발진자 거치 장치 KR101725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569A KR101725537B1 (ko) 2015-06-03 2015-06-03 발진자 거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569A KR101725537B1 (ko) 2015-06-03 2015-06-03 발진자 거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929A true KR20160142929A (ko) 2016-12-14
KR101725537B1 KR101725537B1 (ko) 2017-04-14

Family

ID=57575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569A KR101725537B1 (ko) 2015-06-03 2015-06-03 발진자 거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5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4617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레이들 자동 개공장치
KR20040053504A (ko) * 2002-12-14 2004-06-24 주식회사 포스코 연주공정 주형직하에서의 용강누출 감시방법
KR20100038530A (ko) * 2008-10-06 2010-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실린더 헤드 제작용 탈가스 장치
KR20120084455A (ko) * 2011-01-20 2012-07-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탈가스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4617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레이들 자동 개공장치
KR20040053504A (ko) * 2002-12-14 2004-06-24 주식회사 포스코 연주공정 주형직하에서의 용강누출 감시방법
KR20100038530A (ko) * 2008-10-06 2010-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실린더 헤드 제작용 탈가스 장치
KR20120084455A (ko) * 2011-01-20 2012-07-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탈가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537B1 (ko) 2017-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9622B2 (ja) 半導体材料からなる配向された状態で凝固されたブロック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6242645B2 (ja) プラズマ溶解装置及びプラズマ溶解方法
JP2016059927A (ja) 半田鏝
KR101725537B1 (ko) 발진자 거치 장치
KR100955497B1 (ko) 로내 감시 카메라 장치
JP5788691B2 (ja) 金属溶製用溶解炉およびこれを用いた金属の溶製方法
JP5758313B2 (ja) 鋳造装置
KR20100116855A (ko) 일렉트로 가스용접용 수냉식 동담금 가스출구형상
JP2015040640A (ja) アルミ溶解保持炉
JP4655292B2 (ja) 電子ビームを用いたスクラップシリコンの精錬装置
KR101765973B1 (ko) 아크 용해로 장치
JP2011083778A (ja) 三次元造形方法及び三次元造形装置
JP3759933B2 (ja) 高融点金属の電子ビーム溶解方法
US20090294408A1 (en) Air-cooled copper shoes for electroslag welding applications
KR20130075861A (ko) 몰드 냉각제어장치
JP6303638B2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及び溶融ガラス供給装置
CN219805545U (zh) 一种能够预定位的激光切割机
JP6089193B2 (ja) 半田処理装置
KR101977359B1 (ko) 주조장치
KR101804670B1 (ko) 일렉트로 슬래그 재용해로
KR101830482B1 (ko) 슈라우드 노즐 거취장치
KR102264963B1 (ko) 냉각유닛을 포함하는 레이저 적층장치
CN1777486A (zh) 热力去除割缝油井衬管的毛刺的装置和方法
KR20100052127A (ko) 일렉트로 가스용접의 동담금
KR20130117274A (ko) 용융물 제거장치, 이를 구비하는 주편 절단장치 및 그 제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