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215A -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1215A
KR20160141215A KR1020150075877A KR20150075877A KR20160141215A KR 20160141215 A KR20160141215 A KR 20160141215A KR 1020150075877 A KR1020150075877 A KR 1020150075877A KR 20150075877 A KR20150075877 A KR 20150075877A KR 20160141215 A KR20160141215 A KR 20160141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control unit
signal
centr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5700B1 (ko
Inventor
오만근
박문오
전종현
Original Assignee
(주)로코시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코시스텍 filed Critical (주)로코시스텍
Priority to KR1020150075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700B1/ko
Publication of KR20160141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7Supervising of traffic control systems, e.g. by giving an alarm if two crossing streets have green light simultaneous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5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monitored vehicles as destination, e.g. accidents, stolen, rent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은 교통운송수단의 운행정보 또는 고장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운전자정보 현시장치 및 중앙관제장치로 송신하는 정보수집단말과; 상기 정보수집단말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에 따른 대응 메뉴얼을 출력하고, 상기 운전자정보 현시장치로 대응 지침을 송신하거나 상기 교통운송수단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상기 정보수집단말로 송신하는 상기 중앙관제장치와; 상기 정보수집단말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정보수집단말로 제어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중앙관제장치로 상태보고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운전자정보 현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VEHICLE}
본 발명은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차, 선박, 버스, 항공기 등의 교통 및 운송수단의 고장이나 상태정보, 운행정보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하기 위한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식정보화 사회의 고도화와 기술발전에 따라 산업 및 교통, 운송 분야에 정보처리 시스템이 널리 보급되어 있고, 재난재해에 관하여 자동화 장비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교통운송분야에도 자동화 정보처리장비가 도입되어 있다. 현재 대부분의 교통, 운송수단 장치에는 고장 및 운행상태 정보를 취합하는 종합관리장치가 도입 운영되고 있다.
특정 예로, 열차는 각종 기기의 고장정보 및 상태정보, 운행정보를 기관실의 열차종합관리장치(TCMS)에서 운전자현시장치 모니터를 통하여 기관사가 정보를 파악하고 그 정보를 관제소 관제사에게 전달한다.
또한 현재 여객선 및 화물선 등 선박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운영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열차나 선박과 관제소와의 통신현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열차나 선박에서 이상상황 발생을 알리는 알람경보가 발생하면 이를 승무원(예를 들면 기관장)이 판단하여 관제소로 도움을 요청하며, 관제소에서는 기관장의 판단 또는 기관장에게 질문을 하여 적절한 상황을 판단한 후 외부 기관에 도움을 요청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의 운영방식으로는 고장 또는 재난 등의 긴급상황 발생 시 운전자 또는 조작자의 심리적 불안감 등으로 대처가 미흡하거나 관제소로의 연락이 지연될 수 있고, 운전자나 조작자의 신변에 이상이 있는 경우 더 큰 문제나 재난을 야기할 개연성이 높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5765호(2007.01.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의 한계와 단점에 의해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다른 목적은, 열차, 선박, 버스, 항공기 등의 교통 및 운송수단의 고장이나 상태정보, 운행정보를 승무원뿐만 아니라 중앙관제센터에서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은 교통운송수단의 운행정보 또는 고장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운전자정보 현시장치 및 중앙관제장치로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정보수집단말과; 상기 정보수집단말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에 따른 대응 메뉴얼을 출력하고, 상기 운전자정보 현시장치로 대응 지침을 송신하거나 상기 교통운송수단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상기 정보수집단말로 송신하는 상기 중앙관제장치와; 상기 정보수집단말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정보수집단말로 제어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중앙관제장치로 상태보고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운전자정보 현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정보수집단말은 상기 교통운송수단의 구성장치나 부품들의 상태를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 또는 촬영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와; 상기 정보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태정보와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정보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태정보를 상기 운전자정보 현시장치 및 상기 중앙관제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운전자정보 현시장치 및 상기 중앙관제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교통운송수단에 고장이나 비상상황 발생시 승무원이나 승객이 이를 인지할 있도록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알림부와; 상기 정보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태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적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알림부를 통해 알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태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적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중앙관제장치로 알림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중앙관제장치는 상기 정보수집단말 및 상기 운전자정보 현시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교통운송수단의 고장이나 사고유형 및 그에 따른 대응 메뉴얼이 연동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정보수집단말로부터 수신한 교통운송수단의 상태정보를 출력하며, 고장이나 사고 발생시 해당 고장내용이나 사고유형 및 대응 메뉴얼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정보수집단말로부터 수신한 교통운송수단의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사고유형을 판단하고, 판단된 사고유형에 따른 대응 메뉴얼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읽어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운전자정보 현시장치로부터 상태보고신호 또는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차량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거나 승객들에게 긴급 대피를 위한 안내방송을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방법에 있어서, 정보수집단말에서 열차의 주기적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태정보를 운전자정보 현시장치로 전송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정보수집단말에서 열차의 주기적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이상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의 판단결과 이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정보수집단말은 알림부를 통해 알림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해당 상태정보 및 알림신호를 운전자정보 현시장치 및 중앙관제장치로 송신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중앙관제장치에서 상기 정보수집단말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에 따라 고장유형 또는 사고유형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른 대응 메뉴얼을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4 과정과; 상기 중앙관제장치에서 상기 운전자정보 현시장치 또는 승무원 단말로 호출신호를 송신하는 제5 과정과; 상기 중앙관제장치 또는 상기 운전자정보 현시장치에서 상기 정보수집단말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6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정보수집단말에 의해 수집된 차량의 상태정보를 운전자정보 현시장치뿐만 아니라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중앙관제실로도 통보하여 중앙관제실에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장이나 사고 등 이상상황(긴급상황) 발생시 기관사 일인이나 승무원들의 경험적인 판단에 의존하는 것에 비해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가능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열차나 선박과 관제소와의 통신현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정보수집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중앙관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1)은 정보수집단말(100)과, 운전자정보 현시장치(200)와, 중앙관제장치(300)를 포함한다. 또한, 승무원 단말(202, 2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수집단말(100)은 교통운송수단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운전자정보 현시장치(200) 및 중앙관제장치(300)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태정보는 해당 교통운송수단의 동작상태 전반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로서, 고장정보와 운행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교통운송수단이 열차인 경우 열차 운행 속도, 선행 또는 후행 열차와의 간격, 정차 여부, 객차 내의 온도, 습도, 출입문 개폐상태, 충돌사고 등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보수집단말(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수집부(110), 저장부(120), 알림부(130), 통신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수집부(110)는 차량의 구성장치나 부품들의 상태를 측정하는 각종 센서들과 차량 내부의 환경, 예를 들면 온도, 습도, 유독가스 등을 측정하기 위한 각종 센서 및 카메라, CCTV 등의 촬영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정보수집단말(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며, 특히 정보수집부(110)를 구성하는 각종 센서들의 측정값 및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을 저장한다.
상기 알림부(130)는 차량의 구성장치나 부품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차량 내부에 비상상황 발생시 승무원이나 승객이 이를 인지할 있도록 알림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알림 신호는 예를 들면, 비상벨, 음성메시지, 경고등 점멸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송출되거나 비상벨이 울림과 동시에 경고등이 점멸하면서 음성메시지가 출력되는 형태와 같이 시청각 복합적인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정보수집부(110)를 통해 수집된 상태정보를 상기 운전자정보 현시장치(200) 및 중앙관제장치(30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140)는 운전자정보 현시장치(200)와는 지그비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중앙관제장치(300)와는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정보수집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정보수집부(110)를 통해 수집된 상태정보를 통신부(140)를 통해 운전자정보 현시장치(200)와 중앙관제장치(300) 각각으로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정보수집부(110)를 구성하는 복수의 센서 및 촬영장치에 의해 센싱된(검출된) 각각의 신호를 저장부(120)에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적정 범위를 초과하는 이상상황 발생시 알림부(130)를 통해 알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50)는 정보수집부(110)를 통해 수집된 상태정보 중, 기준값을 초과하는 정보가 발생하거나 이상상황 발생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만 수집된 상태정보를 중앙관제장치(300)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상적인 상태정보를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통신 채널을 효율적인 사용 및 중앙관제장치(300)의 효과적인 관리를 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수집단말(100)에 의해 수집된 차량의 상태 정보가 운전자정보 현시장치(200)뿐만 아니라 중앙관제장치(300)에도 제공됨으로써 유사시 운전자뿐만 아니라 중앙관제실에서도 외부기관에 구조를 요청하는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운전자정보 현시장치(200)는 열차, 선박, 항공기 등의 운전석 전면에 구비되어 차량의 전반적인 운행상태를 파악하기 용이한 정보를 현시하기 위한 것으로, 정보수집단말(100)을 통해 수집된 차량의 상태나 고장, 차량 내부의 비상상황 발생 등을 계기판이나 모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운전자정보 현시장치(200)는 열차나 선박 등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장치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승무원 단말(202, 204)는 통상 승무원이 소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차량의 이상 발생 시 승무원이 운전실에서 이탈하여 차량을 점검하게 되며 이 경우 중앙관제장치(30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를 놓치지 않고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해준다. 여기서, 승무원 단말(202, 204)은 스마트폰(202)이나 무전기(204)가 될 수 있다.
상기 중앙관제장치(300)는 상기 정보수집단말(100)로부터 차량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상태 및 상태정보에 따른 대응 메뉴얼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운전자정보 현시장치(200) 또는 승무원 단말(202, 204)로 문제해결을 위한(대응 메뉴얼에 따른) 지시나 지침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제장치(300)는 소방서, 경찰서 등의 외부기관(미도시)에 구조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관제장치(300)는 운전자정보 현시장치(200) 또는 승무원 단말(202, 204)을 호출하여 응답이 없을 경우, 차량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송신하거나 승객들이 대피할 수 있도록 대피안내방송을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중앙관제장치(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310), 저장부(320), 표시부(330), 입력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10)는 상기 정보수집단말(100)로부터 교통운송수단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운전자정보 현시장치(200) 또는 승무원 단말(202, 204)로 문제해결을 위한 지시나 지침을 송신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310)는 정보수집단말(100), 운전자정보 현시장치(200) 및 승무원 단말(202)과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20)는 중앙관제장치(3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며, 특히 고장이나 사고유형 및 그에 따른 대응 메뉴얼이 연동 저장되어 있어 정보수집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차량의 상태정보에 따라 대응 메뉴얼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330)는 상기 정보수집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교통운송수단의 상태정보를 표시출력(디스플레이)하며, 특히 고장이나 사고 발생시 해당 고장내용이나 사고유형 및 조치사항(대응 메뉴얼)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중앙관제장치 관리자가 대응 메뉴얼에 따라 고장이나 사고상황을 총괄지휘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표시부(3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표시부(330)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330)는 입력수단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34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키입력부(342) 및 마이크(34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키입력부(342)는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 및 각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키 입력부(342)는 긴급상황 발생시 교통운송수단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하거나 운전자정보 현시장치(200)로 긴급 알림신호 또는 호출신호나 문제해결을 위한 대응지침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344)를 통해 운전자정보 현시장치(200)로 운전자를 호출하는 음성신호를 입력하거나 문제해결을 위한 대응지침 또는 긴급 대피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50)는 중앙관제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정보수집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교통운송수단의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사고유형을 판단하고, 판단된 사고유형에 따른 대응메뉴얼을 저장부(320)로부터 읽어와 표시부(330)를 통해 출력하고, 운전자정보 현시장치(200)나 승무원 단말(202, 204)로 대응지침을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정보 현시장치(200)나 승무원 단말(202, 204)로부터 이상상황 발생에 대한 보고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호출시 응답이 없는 경우 차량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거나 승객들에게 긴급 대피를 위한 안내방송을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열차에 탑재된 정보수집단말을 이용해 운전자정보 현시장치와 중앙관제장치로 열차의 상태정보를 전송하고, 유사시에 중앙관제장치의 통합관제(총괄지휘) 하에 열차 내에 대피 안내방송을 송출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정보수집단말에서 정보수집부를 통해 열차의 주기적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태정보를 운전자정보 현시장치로 전송하며(S501), 상태정보를 수신한 운전자정보 현시장치에서 표시부를 통해 이를 디스플레이한다(S502).
다음으로, 정보수집단말에서 열차의 주기적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이상상황발생여부를 판단한다(S503).
S503 과정의 판단결과, 이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정보수집단말은 알림부를 통해 알림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해당 상태정보 및 알림신호를 운전자정보 현시장치 및 중앙관제장치로 송신한다(S504).
다음으로, 정보수집단말로부터 상태정보 및 이상상황 발생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수신한 운전자정보 현시장치 및 중앙관제장치에서 해당 상태정보 및 알림신호를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505, S506).
다음으로, 중앙관제장치에서 정보수집단말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에 따라 고장유형 또는 사고유형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른 대응 메뉴얼을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507). 여기서, 중앙관제장치는 고장유형 또는 사고유형에 따른 대응 메뉴얼을 운전자정보 현시장치로 전송하여 운전자정보 현시장치에서 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S508). 다른 예로, 운전자정보 현시장치는 사고유형에 따른 대응 메뉴얼을 중앙관제장치로부터 수신하지 않고 운전자정보 현시장치 자체에서 사고유형에 따른 대응 메뉴얼을 저장부로부터 읽어와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중앙관제장치를 통해 운전자 또는 승무원 호출신호를 입력받아 운전자정보 현시장치 또는 승무원 단말로 송신하면(S509) 운전자정보 현시장치 또는 승무원 단말에서 이를 수신한다(S510).
다음으로, 호출신호를 수신한 운전자정보 현시장치 또는 승무원 단말에서 호출에 대한 응답신호 또는 상태보고신호를 송신한다(S511).
다음으로, 중앙관제장치에서 운전자정보 현시장치 또는 승무원 단말로부터의 응답신호 수신여부를 판단한다(S512).
S512 과정의 판단결과 운전자정보 현시장치 또는 승무원 단말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중앙관제장치에서 정보수집단말로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하고(S513),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한 정보수집단말에서 해당 제어신호에 따른 제어동작을 수행한다(S514). 여기서 원격 제어신호는 열차에 주요 고장이나 사고 위험, 또는 실제로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해당 고장이나 사고 유형에 따른 정확한 조치를 유도할 수 있도록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하다. 원격 제어신호는 예를 들어 열차 차량간 거리가 기설정된 일정 간격 이내로 좁혀져 열차간 충돌 위험이 있는 경우 후속 열차의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급제동시킬 수 있는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신호는 승객의 안전한 대피를 유도하는 안내방송 등의 알림신호가 될 수 있다. 그 외, 원격 제어신호는 중요한 고장이나 사고로부터 승객의 안전 및 열차의 안전 운행을 확보할 수 있는 제반 신호가 될 수 있다.
S512 과정의 판단결과 운전자정보 현시장치 또는 승무원 단말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었으면, 중앙관제장치는 운전자정보 현시장치 또는 승무원 단말을 통해 고장 또는 사고 상황을 보고받아 정보를 공유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지침을 송신하는 등의 총괄지휘를 수행한다(S515).
다음으로, 운전자정보 현시장치에서 정보수집단말로 제어신호를 송신한다(S516). 여기서 제어신호는 열차의 운행에 관한 제반 제어신호를 포괄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열차의 운행속도조절, 운행정지, 열차 출입문 개폐, 열차 내부 온도조절, 안내방송 등에 관한 신호가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수집단말에 의해 수집된 차량의 상태정보를 운전자정보 현시장치뿐만 아니라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중앙관제실로도 통보하여 중앙관제실에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장이나 사고 등 이상상황(긴급상황) 발생시 기관사 일인이나 승무원들의 경험적인 판단에 의존하던 기존에 비해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가능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정보수집단말 110 : 정보수집부
120, 320 : 저장부 130 : 알림부
140, 310 : 통신부 150, 350 : 제어부
200 : 운전자정보 현시장치 202, 204 : 승무원 단말
300 : 중앙관제장치 330 : 표시부
340 : 입력부

Claims (5)

  1. 교통운송수단의 운행정보 또는 고장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운전자정보 현시장치 및 중앙관제장치로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정보수집단말과;
    상기 정보수집단말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에 따른 대응 메뉴얼을 출력하고, 상기 운전자정보 현시장치로 대응 지침을 송신하거나 상기 교통운송수단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상기 정보수집단말로 송신하는 상기 중앙관제장치와;
    상기 정보수집단말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정보수집단말로 제어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중앙관제장치로 상태보고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운전자정보 현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단말은
    상기 교통운송수단의 구성장치나 부품들의 상태를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 또는 촬영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와;
    상기 정보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태정보와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정보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태정보를 상기 운전자정보 현시장치 및 상기 중앙관제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운전자정보 현시장치 및 상기 중앙관제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교통운송수단에 고장이나 비상상황 발생시 승무원이나 승객이 이를 인지할 있도록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알림부와;
    상기 정보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태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적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알림부를 통해 알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태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적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중앙관제장치로 알림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제장치는
    상기 정보수집단말 및 상기 운전자정보 현시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교통운송수단의 고장이나 사고유형 및 그에 따른 대응 메뉴얼이 연동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정보수집단말로부터 수신한 교통운송수단의 상태정보를 출력하며, 고장이나 사고 발생시 해당 고장내용이나 사고유형 및 대응 메뉴얼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정보수집단말로부터 수신한 교통운송수단의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사고유형을 판단하고, 판단된 사고유형에 따른 대응 메뉴얼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읽어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운전자정보 현시장치로부터 상태보고신호 또는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차량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거나 승객들에게 긴급 대피를 위한 안내방송을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
  5.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방법에 있어서,
    정보수집단말에서 열차의 주기적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태정보를 운전자정보 현시장치로 전송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정보수집단말에서 열차의 주기적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이상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의 판단결과 이상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정보수집단말은 알림부를 통해 알림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해당 상태정보 및 알림신호를 운전자정보 현시장치 및 중앙관제장치로 송신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중앙관제장치에서 상기 정보수집단말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에 따라 고장유형 또는 사고유형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른 대응 메뉴얼을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4 과정과;
    상기 중앙관제장치에서 상기 운전자정보 현시장치 또는 승무원 단말로 호출신호를 송신하는 제5 과정과;
    상기 중앙관제장치 또는 상기 운전자정보 현시장치에서 상기 정보수집단말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6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방법.
KR1020150075877A 2015-05-29 2015-05-29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35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877A KR101735700B1 (ko) 2015-05-29 2015-05-29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877A KR101735700B1 (ko) 2015-05-29 2015-05-29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215A true KR20160141215A (ko) 2016-12-08
KR101735700B1 KR101735700B1 (ko) 2017-05-16

Family

ID=57576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877A KR101735700B1 (ko) 2015-05-29 2015-05-29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7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765B1 (ko) 2005-06-11 2007-01-09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0466B2 (ja) * 2010-05-26 2014-04-02 三菱電機株式会社 列車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列車情報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765B1 (ko) 2005-06-11 2007-01-09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5700B1 (ko) 201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48272C (en) Hazardous event alert systems and methods
RU2649251C2 (ru) Система обслуживания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функциональных блоков в рельсовом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KR20060127339A (ko) 열차운행정보를 이용한 열차안전관제시스템 및열차안전관제방법
CN102368345B (zh) 电梯的远程监视系统
US10745241B2 (en) Communication with a trapped passenger in a transportation system
JP2013100009A (ja) ホーム転落通知システム
KR20080061034A (ko) 비상 개폐 제어 열차 승강장 스크린도어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1735700B1 (ko)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4212238A (ja) 異常飛行通報システム
US1123872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activating self-test devices of sensors of a security system
KR20070066498A (ko) 열차무선데이터 통신시스템
KR20080051564A (ko) 열차 승강장 스크린도어 비상 개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89819B1 (ko) 무선 통신데이터를 활용한 기관사 안내경보 시스템
RU76153U1 (ru)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состояния подвижных объектов
US20210225163A1 (en) Wrong-way driving detection & prevention with roadside assistance
KR102348616B1 (ko)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
JP7099116B2 (ja) 車両管理システム、車載機、およびセンタ装置
KR100644226B1 (ko) 씨비티씨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열차 자동 검수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22765B1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차량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21079858A (ja) 列車運行保安装置
JP2010176612A (ja) 緊急停止連絡システム
KR100374153B1 (ko) 자동차 원격 진단/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24651B1 (ko) 모바일 기반 철도운영자 정보 제공시스템
KR101710353B1 (ko) 항공기 공역 이탈 자동 경고 시스템
US20230206757A1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dverse ev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