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765B1 -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765B1
KR100665765B1 KR1020050050095A KR20050050095A KR100665765B1 KR 100665765 B1 KR100665765 B1 KR 100665765B1 KR 1020050050095 A KR1020050050095 A KR 1020050050095A KR 20050050095 A KR20050050095 A KR 20050050095A KR 100665765 B1 KR100665765 B1 KR 100665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vehicle
components
informa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택
Original Assignee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김봉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김봉택 filed Critical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0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81On-board diagnosis or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40Handling position reports or trackside vehicle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은, 각 열차의 차량별 구성장치나 부품이 정상 동작시 예상되는 출력데이터에 대한 기준데이터를 구비하는 기준데이터 테이블; 및 운행중인 열차를 종합적으로 제어하는 종합제어관리장치(TCMS)로부터 각 열차의 차량별 구성장치나 부품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구성장치나 부품들의 상태를 판단하는 차량상태 판단모듈;을 포함하며, 차량상태 판단모듈의 판단결과는 열차를 수리하는 차량검사실로 실시간 통보된다. 이에 따르면, 주행중인 열차에 대한 영상을 통해 감시하거나, 주행중인 열차의 종합제어관리장치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 후, 열차의 구성장치나 부품들에 대한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함으로써 열차가 차량 검사실에 도착하기 전 열차의 고장내역을 미리 통보하여 열차의 진단 및 수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 한다. 또한, 감시대상 열차에 특별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이들 열차의 각 구성장치나 부품에 대한 상태정보를 시간순에 따라 로그파일로 생성해 둠으로써 추후 결함이 발생할 소지가 있는 부품에 대한 판단기준을 제시한다.
종합제어관리장치, 로그파일, 상태정보, 실시간 감시

Description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alfunction-information of tra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관리시스템의 세부적인 블록개념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을 서버 시스템과 접목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 : 감시카메라 112 : 녹음장치
210 : 열차 300 :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
310 : 주행기록부 320 : 기준데이터 테이블
330 : 차량상태 판단부 340 : 그래프 생성모듈
350 : 로그파일 생성모듈 360 : 출력모듈
370 : 인터페이스부
본 발명은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행중인 열차의 각 착량별 구성장치나 부속품에 대한 상태정보를 열차마다 마련되는 종합제어관리장치(TCMS : Trai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와 감시카메라를 통해 획득하고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열차의 결함 유무를 판단하여 종합사령실, 운전실, 및 열차를 수리하는 열차 검사실로 통보함으로써 열차사고를 최소화 하는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열차는 수많은 인명과 화물을 정해진 시간에 맞추어 대량으로 운송하는 가장 대중화된 수송수단의 하나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열차는 타 운송수단에 비해 고도의 안정성이 요구되며,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발생되는 인명손실과 재산피해는 막대하다.
따라서, 현재 승객이나 화물을 수송하는 디젤 및 전동차에는 열차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열차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종합제어관리장치가 탑재되고 있다.
종합제어관리장치는 열차의 주요장치, 예컨대 전원장치, 공압장치, 출입문 개패장치, 팬터그래프, 제동장치, 신호장치, 구동장치, 에어 컨디셔너 및 기타 열차를 구성하는 다양한 부품들과 접속되며, 이들 부품들의 상태를 전달받거나 운전실에서 이들 부품들을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이때, 종합제어관리장치와 각 부품은 접속되는 배선을 최소화하고 높은 안정 성을 얻기 위해 RS-485나 CAN 프로토콜에 따른 직렬 인터페이스가 적용된다. 한편, 열차에 종합제어관리장치가 탑재된다 하더라도 열차는 주행중 사고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통상 열차는 주행중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가까운 차량 검사실에서 검사 및 수리조치를 받게된다. 차량 검사실은 문제가 발생한 열차가 차량 검사실에 도착한 이후에 열차를 진단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여야 하므로 열차의 고장 부위를 진단 및 수리하는데 많을 시간을 소모해야 한다.
이에 본 출원인은 열차에 문제가 발생 시, 열차가 차량 검사실에 도착하기 전 열차의 고장내역을 미리 통보함으로써 열차의 진단 및 수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 하는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열차에 문제가 발생 시, 열차가 차량 검사실에 도착하기 전 열차의 고장내역을 미리 통보함으로써 열차의 진단 및 수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 하는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시 카메라 및 녹음장치를 이용하여 열차를 실시간 모니터링 후 열차에 사고가 발생시, 열차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종합사령실로 이를 알려 열차사고시 발생되는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 하는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차를 구성하는 각 부품에 대한 상태를 시 간순에 따라 순차로 저장해 둠으로써 추후 결함이 발생할 소지가 있는 부품에 대한 판단기준을 제시하는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각 열차의 차량별 구성장치나 부품이 정상 동작시 예상되는 출력데이터에 대한 기준데이터를 구비하는 기준데이터 테이블; 및
운행중인 열차를 종합적으로 제어하는 종합제어관리장치(TCMS)로부터 상기 각 열차의 차량별 구성장치나 부품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구성장치나 부품들의 상태를 판단하는 차량상태 판단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상태 판단모듈의 판단결과는 상기 열차를 수리하는 차량검사실로 실시간 통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상태 판단모듈에서 상기 각 부품별로 판단된 결과에 대한 로그파일을 생성하는 로그파일 생성모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로그파일을 각 열차별로 저장하며, 상기 각 열차의 차량별 구성장치나 부품의 고장 여부에 대한 이력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그파일이나 고장이력에 대하여 분석 및 통계화하는 분석부; 및
상기 로그파일이나 고장이력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데이터 테이블은, 상기 각 열차별로 마련되며, 상기 차량상태 판단모듈의 판단결과는, 상기 열차를 모니터링하는 종합 사령실로 제공된 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행중인 열차를 실시간 촬상하는 촬상장치; 및 상기 운행중인 열차, 및 상기 열차 주변의 소리를 녹취하는 녹음장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촬상장치와 상기 녹음장치에 의해 얻어진 영상신호와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록하는 녹화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운행중인 열차의 종합제어관리장치로부터 각 열차의 차량별 구성장치나 부품에 대한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상태정보와 기설정된 기준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구성장치나 부품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판단단계의 판단결과를 각 열차별로 기록하는 단계; 상기 각 열차별로 기록된 상태정보 및 판단결과를 토대로 상기 각 열차의 고장이력을 생성하고 이를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고장이력을 토대로 상기 각 열차에 대한 수리 시점을 열차 검사실에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감시카메라 및 녹음장치로부터 각 열차에 대한 주행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차의 주행상태가 기 설정된 기준을 벗어난 경우, 해당 열차에 대한 정보를 표시후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경고하는 단계는, 상기 열차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종합 사령실로 통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300"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다.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300)은 감시카메라(111)나 녹음장치(112)를 통해 각 열차(예컨대 210)의 주행상태를 감시 및 녹화한다.
감시카메라(111)와 녹음장치(112)는 열차가 구동하는 각 선로에 일정 간격(예컨대 100M)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현재 경인지역의 전철의 경우, 지하구간에는 영상이나 소리를 녹화하기 위한 감시카메라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구간이 많으며, 이 구간에서 사고가 발생시, 열차 운전자 이외에 이를 확인할 방법이 전무하다. 감시카메라(111)는 통상의 CCD 카메라가 사용되며, 지하터널 구간에는 적외선 감시카메라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300)은 각 열차의 주 운전실에 마련되는 종합제어관리장치(TCMS)(211)를 통해 각 열차를 구성하는 차량별 구성장치나 부품, 예컨대 전원장치, 공압장치, 출입문 개패장치, 팬터그래프, 제동장치, 신호장치, 구동장치, 에어 컨디셔너 및 기타 열차를 구성하는 다양한 부품들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열차의 이상 유무, 차량별 구성장치나 부품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열차에 이상이 있는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차량검사실(400)로 통보하여 열차가 운행을 마친 후 진단 및 수리를 최단시간 내에 수행 가능하도록 한다.
만일 열차에 심각한 문제(제동장치의 파손, 전원장치의 이상, 출입문의 개패 이상 등)가 진단되는 경우 이를 종합사령실에 알려 열차의 운행을 즉각 중단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300)의 세부적인 블록개념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300)은 주행기록부(310), 기준데이터 테이블(320), 차량상태 판단모듈(330), 분석부(340), 로그파일 생성모듈(350), 출력모듈(360), 및 인터페이스 모듈(I/F)(370)이 구비된다.
주행기록부(310)는 감시카메라(111) 및 녹음장치(112)를 통해 획득된 영상과 음성을 기록하거나 재생하여 열차의 상태를 감시하며, 영상과 음성의 저장을 위해 비디오 테이프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를 구비할 수 있다.
기준데이터 테이블(320)은 열차에 탑재된 종합제어관리장치(TCMS)(211)에서 출력되는 각 차량별 구성장치나 부품의 상태정보 중 각 부품이 정상적일때 출력하는 데이터를 구비한다. 일 예로서, 열차가 주행중 승객이 승차 및 하차하는 출입문은 폐쇄 상태이어야 하며, 이때의 데이터값이 제1논리값 이라고 가정하면, 열차가 주행중인 상태에서 종합제어관리장치(TCMS)(211)를 통해 수신받는 상태정보중 출입문에 관련된 데이터값은 제1논리값이어야 한다.
삭제
삭제
마찬가지로, 열차가 주행중 열차의 전원장치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이 제1전압(예컨대 1500V)인 경우 기준데이터 테이블(320)은 이에 대한 디지털 값을 구비하며, 이값을 종합제어관리장치(TCMS)(211)에서 출력전압을 센싱하여 제공한 값과 비교하게 된다.
즉, 기준데이터 테이블(320)은 각 열차에 탑재된 종합제어관리장치(TCMS)(211)에서 정상적으로 출력되어야 할 제어값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허용 가능한 오차범위에 대한 값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차량상태 판단모듈(330)은 종합제어관리장치(TCMS)(211)에서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상태정보와 기준데이터 테이블(320)을 비교하여 열차를 구성하는 차량별 각 구성장치나 부품의 상태를 판단한다.
열차의 운전실에 마련되는 열차종합제어관리장치(211)는 열차의 추진제어장치, 제동장치, 보조전원장치, 고전압장치 및 각종 승객서비스 장치로부터 피드백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컴퓨터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존에 열차종합제어관리장치(211)로 각 기기로부터 피드백되어 오는 신호정보를 이용하여 기준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각 기기의 상태를 판단한다.
이때, 종합제어관리장치(TCMS)(211)에서 제공되는 상태정보가 제1논리값(예컨대 논리 하이)과 제2논리값(예컨대 논리 로우)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값이 아니라 속도, 전압, 및 공압과 같이 시간에 따라 변동되는 아날로그 값인 경우, 차량상태 판단모듈(330)은 기준데이터 테이블(320)에 마련된 오차범위에 대한 값을 참조하여 양부를 판정하게 된다.
여기서 오차범위는, 전압값의 경우 "기 정해진 전압(예컨대 1500V)에 대해 상하 5%내" 와 같이 정해질 수 있다.
이를 부언 설명하면, 운행중인 열차를 종합적으로 제어하는 종합제어관리장치 (TCMS)(211)는 기존의 열차에도 장착되어 있으며, 이 제어관리 장치 (211)는 열차의 구동시 각 부품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가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 신호는 전문가라도 사양서에 의하여 점검하여야 되기 때문에 고장여부를 쉽게 판별할 수가 없다.
또한 이와같이 출력되는 신호가 오차의 범위내에 있는지 여부도 문제가 되므로 이를 비교할 수 있는 기준데이터 테이블 (320)이 필요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TCMS (211)의 출력신호와 기준데이터 테이블 (320)를 비교하여 각 부품의 이상 여부시에도 오차 범위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연산하기 위하여 하드웨어적으로 연산되는 판단모듈 (330)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판단모듈에 의하여 간단히 논리 "1" 및 논리 "0"의 신호를 얻어 출력하도록 하여 쉽게 이상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로그파일 생성모듈(350)은 차량상태 판단모듈(330)에서 열차의 차량별 각 구성장치나 부품별로 진단된 결과를 각 열차별로 생성한다. 진단결과 구성장치나 부품에 결함이 있거나 오차범위를 초과하는 구성장치나 부품에 대한 값에는 별도의 식별자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식별자는 결함이 발생한 부품의 항목에 별도의 숫자코드(예컨대 "0000")를 삽입하거나 "ERROR"와 같은 텍스트를 삽입할 수 있다.
삭제
분석부(340)는 로그파일 생성모듈(350)에서 생성된 진단결과에 대하여 검수 자가 알아보기 쉽게 분석 및 통계화한다. 바람직하게는 분석 및 통계화한 결과를 그래프화한다. 이하, 이러한 분석부를 그래프 생성모듈이라 한다.
또한, 그래프 생성모듈(340)은 종합제어관리장치(TCMS)(211)에서 제공되는 상태정보값이 아날로그 값, 예컨대 차량의 속도, 전압, 및 공압과 같이 시간에 따라 변동 가능한 값인 경우 이를 검수자가 알아보기 쉽게 그래프화 한다.
이에 따라, 검수자는 그래프를 통해 열차가 주행중 비 정상적인 전압, 공압, 및 속도의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 값이 시간에 따라 기록되는 바, 비 정상적인 아날로그 값이 발생한 위치를 추적할 수도 있다.
여기서, 그래프 생성모듈(340)에 의해 생성된 그래프는 파일의 형태로 변환되거나 인터페이스 모듈(I/F)(370)을 통해 실시간으로 차량검사실(400)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출력모듈(360)은 모니터 및 프린터와 같은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300)을 운용하는 측에서 열차의 운행상태를 즉각 감시하거나 열차의 차량별 각 구성장치나 부품별로 진단된 결과를 인쇄할 수 있도록 한다.
인터페이스 모듈(I/F)(370)은 주행기록부(310)에서 녹화된 영상이나 그래프 생성모듈(340)에서 생성된 파일 및 로그파일 생성모듈(350)에서 생성된 로그파일을 기 약정된 인터페이스에 의해 차량검사실(400)로 제공한다.
이때, 차량검사실(400)과 인터페이스 모듈(I/F)(370)은 유무선 통신수단, 모바일 통신수단 또는 전력선 통신방식 등으로 접속되며, 바람직하게는 RS-485나 CAN 프로토콜과 같은 직렬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며, 이 외에 IEEE 802.11 계열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 되어도 무방하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을 서버 시스템과 접목한 일 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300)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되, 열차의 각 차량별 구성장치나 부품별, 또는 각 열차별로 생성된 로그파일을 시간 순으로 데이터베이스(DB)(301)에 기록함으로써 각 부품에 대한 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데이터베이스(301)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매체를 구비하며, 각 열차의 주행기록, 및 각 열차의 구성장치나 부품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록한다.
이에 따라, 차량검사실(400)의 검수자는 열차의 각 부품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가 되는지의 여부를 판다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장치에서 출력되는 고압이 열차가 주행하는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10000V 에서 지속적으로 낮아지거나 높아지는 경우 이는 전원장치가 열화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차량 검수자는 열차가 고장을 일으키기전에 이를 미리 감지하여 전원장치를 교체하거나 수리를 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301)는 열차의 각 부품에 문제가 없더라도 각 부품의 상태를 시간순으로 저장함으로써 차량 검수자가 데이터베이스(301)에 기록된 정보를 토대로 열차를 구성하는 부품의 열화시기를 판단하고, 이를 근거를 열차가 고장을 일으키기전에 조치할 수 있도로 한다.
여기서, 상기한 시스템은 도 3을 통해 설명된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열차의 차량별 구성장치나 부품에 심각한 결함이 발생된 경우 이를 송수신부(302)를 통해 종합사령실에 즉각 알려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 고장정보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를 나타낸다.
먼저,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300)은 종합제어관리장치(TCMS)(211)를 통해 각 열차별로, 각 열차의 차량별 구성장치나 부품에 대해 모니터링 한다(S501).
다음으로,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300)이 감시카메라(111) 및 녹음장치(112)를 통해 열차의 주행상태를 감시하는 경우(S502), 감시카메라(111)와 녹음장치(112)를 통해 녹화된 영상을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300)을 운용하는 운용자가 육안으로 관찰한다.
관찰결과 열차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탈선하는 중대한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S507), 운용자는 이러한 주행상태정보를 종합사령실(410)과 차량검사실(400)로 통보(S506)함으로써 승객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열차가 신속히 수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300)이 열차의 운전실에 탑재되는 종합제어관리장치(TCMS)(211)를 통해 각 열차의 차량별 구성장치나 부품에 대한 상태정보를 감시하는 경우,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300)은 각 열차별 종합제어관리장치(TCMS)(211)를 통해 각 열차의 차량별 구성장치나 부품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한다(S503).
다음으로, 차량상태 판단모듈(330)은 각 열차별로 제공되는 상태정보를 기준데이터 테이블(320)에 기록된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S504) 각 열차별 부품들 중 결함이 발생한 부품을 판단한다.
이때, 차량상태 판단모듈(330)은 결함이 발생하지 않은 부품에 대한 상태정보값은 로그파일 생성모듈(350)로 제공하거나 인터페이스 모듈(I/F)(37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301)에 제공함으로써 추후 고장이 발생할 소지가 있는 부품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삼도록 한다.
비교 결과, 특정 열차 차량의 구성장치나 부품에 결함이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S505) 해당 열차에 대해 생성된 로그파일, 또는 그래프 파일은 차량검사실로 제공되어 해당 열차가 신속하게 수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300)은 검수대상 열차들에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이들 각각의 열차를 구성하는 부품에 대한 판단결과를 로그파일로 변환하고, 데이터베이스(DB)(301)에 저장함으로써 추후 고장이 발생할 소지가 있는 열차 및 부품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삼는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 및 수정은 본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행중인 열차에 대한 영상을 통해 감시하거나, 주행중인 열차의 종합제어관리장치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 후, 열차의 차량별 구성장치나 부품들에 대한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함으로써 열차가 차량 검사실에 도착하기 전 열차의 고장내역을 미리 통보하여 열차의 진단 및 수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 한다.
또한, 감시대상 열차에 특별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이들 열차의 각 부품에 대한 상태정보를 시간순에 따라 로그파일로 생성해 둠으로써 추후 결함이 발생할 소지가 있는 부품에 대한 판단기준을 제시한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각 열차의 차량별 구성장치나 부품이 정상 동작시 예상되는 출력데이터에 대한 기준데이터를 구비하는 기준데이터 테이블; 및
    운행중인 열차를 종합적으로 제어하는 종합제어관리장치(TCMS)로부터 상기 각 열차의 차량별 구성장치나 부품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구성장치나 부품들의 상태를 판단하는 차량상태 판단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차량상태 판단모듈의 판단결과가 상기 열차를 수리하는 차량검사실로 실시간 통보되게 구성하고, .
    상기 운행중인 열차를 실시간 촬상하는 촬상장치;
    상기 운행중인 열차, 및 상기 열차 주변의 소리를 녹취하는 녹음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운행중인 열차의 종합제어관리장치로부터 각 열차의 차량별 구성장치나 부품에 대한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상태정보와 기설정된 기준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구성장치나 부품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판단단계의 판단결과를 각 열차별로 기록하는 단계;
    상기 각 열차별로 기록된 상태정보 및 판단결과를 토대로 상기 각 열차의 고장이력을 생성하고 이를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고장이력을 토대로 상기 각 열차에 대한 수리 시점을 열차 검사실에 통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감시카메라 및 녹음장치로부터 각 열차에 대한 주행상태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열차의 주행상태가 기 설정된 기준을 벗어난 경우, 해당 열차에 대한 정보를 표시후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고장정보 관리 방법.
  12. 삭제
KR1020050050095A 2005-06-11 2005-06-11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665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095A KR100665765B1 (ko) 2005-06-11 2005-06-11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095A KR100665765B1 (ko) 2005-06-11 2005-06-11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5765B1 true KR100665765B1 (ko) 2007-01-09

Family

ID=37867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095A KR100665765B1 (ko) 2005-06-11 2005-06-11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57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215A (ko) 2015-05-29 2016-12-08 (주)로코시스텍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23015B1 (ko) 2016-06-30 2017-04-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스마트 제동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61755A (ko) * 2019-11-20 2021-05-2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동차 스마트 유지보수 시스템
CN115973125A (zh) * 2023-02-15 2023-04-18 慧铁科技有限公司 一种处理铁路货车脱轨自动制动装置故障的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215A (ko) 2015-05-29 2016-12-08 (주)로코시스텍 교통운송수단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23015B1 (ko) 2016-06-30 2017-04-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스마트 제동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61755A (ko) * 2019-11-20 2021-05-2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동차 스마트 유지보수 시스템
KR102262655B1 (ko) * 2019-11-20 2021-06-0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동차 스마트 유지보수 시스템
CN115973125A (zh) * 2023-02-15 2023-04-18 慧铁科技有限公司 一种处理铁路货车脱轨自动制动装置故障的方法
CN115973125B (zh) * 2023-02-15 2023-06-06 慧铁科技有限公司 一种处理铁路货车脱轨自动制动装置故障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2426B2 (en) On-train rail track monitoring system
US69964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inbound vehicle inspection
US82459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ailroad wayside monitoring
KR101829645B1 (ko) 철도 차량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US6301531B1 (en) Vehicl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0665765B1 (ko) 열차 고장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72472B1 (ko) 열차의 종합 검사 및 관리시스템
DE60013882T2 (de) Fernüberprüfung von Software-Konfigurationsinformation
AU769740B2 (en) A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failures in a power resistive grid of a vehicle
KR20060127339A (ko) 열차운행정보를 이용한 열차안전관제시스템 및열차안전관제방법
US20170050652A1 (en) Method for providing a diagnostic message in a rail vehicle
KR20110071691A (ko) 정보 통합형 철도 시스템
WO2020078137A1 (zh) 一种铁路信号系统故障智能分析的平台
US20210179054A1 (en) System For Train Terminal Test
KR20230098654A (ko) 연결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23786A (ko) 열차운행 안전관리시스템
KR102349606B1 (ko) 철도용 이벤트레코드 시스템
US201600913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Redundancy Storage
CN112446980B (zh) 提出最小概率故障的增强型部件故障诊断方法
KR102347592B1 (ko) 정비원 위치 확인을 통한 사고 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100644226B1 (ko) 씨비티씨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열차 자동 검수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41505B1 (ko) 차상컴퓨터 시험시스템 및 방법
KR200238911Y1 (ko) 씨비티씨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열차 자동 검수시스템
US11580796B1 (en) Automatic problem detection from sounds
JP2012194858A (ja) 車両用ドア駆動制御検査装置、車両用ドア駆動制御検査方法および車両用ドア駆動制御検査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