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655B1 -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655B1
KR102534655B1 KR1020220090883A KR20220090883A KR102534655B1 KR 102534655 B1 KR102534655 B1 KR 102534655B1 KR 1020220090883 A KR1020220090883 A KR 1020220090883A KR 20220090883 A KR20220090883 A KR 20220090883A KR 102534655 B1 KR102534655 B1 KR 102534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rts
railway vehicle
switch
vehicl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영
Original Assignee
(주)위드샤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드샤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위드샤인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90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vehicle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On-board control or communication systems
    • B61L15/0081On-board diagnosis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반 내 스위치의 ON/OFF 및 접촉 시간을 활용하여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각종 철도차량 부품의 수명을 예측하고, 철도차량 부품의 검수 및 교체 시기를 도출할 수 있는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철도차량 부품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배전반 내 스위치의 ON/OFF 횟수와 스위치의 접촉 시간을 측정하여 철도차량 부품의 수명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여 철도차량 부품의 장기 사용에 따른 고장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뿐만 아니라, 철도차량 부품의 조기 검수 또는 교체를 방지하여 철도차량 부품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철도차량 부품의 동작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수집된 모니터링 정보와 배전반 내 스위치의 ON/OFF 횟수와 스위치 접촉 시간을 기반으로 머신러닝을 통해 철도차량 부품의 수명 예측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Railway vehicle parts life prediction system using switchboard}
본 발명은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반 내 스위치의 ON/OFF 및 접촉 시간을 활용하여 철도차량에구비되는 각종 철도차량 부품의 수명을 예측하고, 철도차량 부품의 검수 및 교체 시기를 도출할 수 있는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CMS(Trai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은 열차 종합 관리 장치로서 반도체 기술, 소프트웨어 기술과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이용한 중앙 집중식 차내 정보 제어를 위한 시스템이다. TCMS는 직렬 전송선을 차량에 있는 터미널과 연결시켜 차량 내의 장치들을 제어 및 모니터링하는 열차 정보 관리 시스템이다.
TCMS는 기존 TGIS가 가지고 있던 기관사 지원 및 차량 상태 현시 기능을 확대하여 차량 내의 모든 시스템을 일괄적으로 감시, 제어하는 기능을 추가시킨 형태로, 자체적인 판단 능력이 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종합 관리 장치이다.
차량의 출고 기동시 차량 기동 및 차량 출고 점검을 자동적으로 실시하여 결과를 운전실의 기관사용 모니터에 현시하며 검수용 메모리장치에 기록한다. 이외에도 일상점검, 월상점검 등을 검수원의 지시하에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차량의 운행내용, 속도, 승차율, 주행거리, 에너지소비율, 사고기록 등을 자동적으로 검수용 메모리장치에 기록한다. 또한, 차량의 시운전시 시운전 정보 수집용 컴퓨터를 연결해 열차의 성능, 시운전 정보 등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출입문, 차량 내 조명장치, 방송장치, 냉난방기기, 행선 표시기, 비상 통화 장치, 연기 감지기 등 각종 철도차량 부품을 실시간으로 감시, 제어하며 이를 기관사가 직접 컨트롤할 수 있도록 모니터에 현시하며 고장 시 해당 부품을 자동으로 차단 및 백업하며 이를 검수용 메모리 장치에 기록한다.
종래에는 철도차량 부품의 검수 또는 교체가 일정 기간마다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철도차량 부품이 일정 기간마다 교체됨에 따라 교체 시기가 도래하기 전에 이미 수명이 다한 철도차량 부품이 교체되지 못하고 사용되어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수명이 아직 남아 사용이 가능한 철도차량 부품이 일정 기간이 지났다는 이유로 교체됨에 따라 철도차량의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철도차량 부품의 수명을 예측하여 검수 또는 교체 시기를 도출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653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차량 부품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배전반 내 스위치의 ON/OFF 횟수와 스위치의 접촉 시간을 측정하여 철도차량 부품의 수명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여 철도차량 부품의 장기 사용에 따른 고장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뿐만 아니라, 철도차량 부품의 조기 검수 또는 조기 교체를 방지하여 철도차량 부품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철도차량 부품의 동작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수집된 모니터링 정보와 상술한 배전반 내 스위치의 ON/OFF 횟수와 스위치 접촉 시간을 기반으로 머신러닝을 통해 철도차량 부품의 수명 예측 정확도를 높인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은, 철도차량에 설치되는 복수의 철도차량 부품; 상기 철도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철도차량 부품 각각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복수의 단위스위치가 설치되는 배전반; 상기 단위스위치의 ON/OFF 횟수 또는 접촉 시간, 상기 철도차량 부품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철도차량 부품의 검수 시기나 교체 시기를 도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단위스위치가 ON되었을 때, 상기 단위스위치와 상기 철도차량 부품 사이를 연결하는 전기 회로에 전류가 흐르는지 감지하고, 상기 단위스위치의 ON/OFF 횟수 및 상기 단위스위치가 ON되어 있는 접촉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 상기 철도차량 부품에 각각 설치되는 각종 센서를 통해 상기 철도차량 부품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철도차량 부품의 모니터링 정보를 수집하는 부품 모니터링부; 상기 부품 모니터링부로부터 수집된 상기 철도차량 부품의 동작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머신러닝을 통해 상기 철도차량 부품의 수명 예측 데이터가 상기 단위 스위치의 ON/OFF 횟수 및 접촉 시간 형태로 도출하는 제1도출부; 및 상기 제1도출부로부터 도출된 수명 예측 데이터에 따른 철도차량 부품의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는지 판단하는 제1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은,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전송되는 각 철도차량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철도차량의 운전실 서버; 및 상기 모니터링부 또는 상기 운전실 서버에서 전송되는 철도차량 부품의 검수 또는 교체 시기가 포함된 알림을 전송받는 외부 설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운전실 서버 또는 상기 외부 설비와 통신하는 제1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명 예측 데이터는, 상기 모니터링부에 구비된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수명 예측에 이용되는 데이터가 축적됨에 따라 상기 수명 예측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전실 서버는, 각 철도차량의 모니터링부 또는 상기 외부 설비와 통신하는 제2통신부; 각 철도차량의 모니터링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2데이터베이스; 각 철도차량의 모니터링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단위스위치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편성열차에 설치된 동일 철도차량 부품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편성열차에 설치된 동일 철도차량 부품에 대한 평균 수명 예측 데이터를 도출하는 제2도출부; 및 상기 제2도출부로부터 도출된 상기 평균 수명 예측 데이터에 따른 철도차량 부품의 검수 시기 또는 상기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는지 판단하는 제2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균 수명 예측 데이터는,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평균 수명 예측에 이용되는 데이터가 축적됨에 따라 상기 평균 수명 예측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판단부 또는 상기 제2판단부에 의해 상기 철도차량 부품의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외부 설비에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가 포함된 알림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은, 철도차량 부품을 동작시키기 위해 운전실 또는 조작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가 ON 되고, 상기 스위치가 ON 되면 해당 철도차량 부품과 전기적으로 회로가 구성된 각 철도차량의 배전반 내의 해당 단위스위치가 동작하는 스위치 ON 단계; 상기 스위치 ON 단계 이후 진행되며, 상기 단위스위치와 상기 철도차량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회로의 통전 여부, 상기 단위스위치의 접점 상태, 상기 단위스위치의 ON/OFF 횟수 및 상기 단위스위치의 접촉 시간을 수집하는 단위 스위치 모니터링 정보 수집 단계; 상기 스위치 ON 단계 이후 진행되며, 부품 모니터링부가 상기 철도차량 부품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철도차량 부품의 동작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가 수집되는 부품 모니터링 정보 수집 단계; 상기 단위스위치 모니터링 정보 수집 단계 및 상기 부품 모니터링 정보 수집 단계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모니터링부의 제1도출부에서 수명 예측 데이터를 도출하고, 도출된 수명 예측 데이터를 통해 상기 철도차량 부품의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를 도출하는 검수·교체 시기 도출 단계; 상기 검수·교체 시기 도출 단계에서 도출된 검수 시기나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는지 판단하는 검수·교체 시기 판단 단계; 및 상기 검수·교체 시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철도차량 부품의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다고 판단되면, 외부 설비에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를 포함하는 알림을 전송하는 알림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명 예측 데이터는, 상기 부품 모니터링부로부터 수집된 상기 철도차량 부품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머신러닝을 통해 상기 철도차량 부품의 수명이 상기 단위스위치의 ON/OFF 횟수 및 상기 단위스위치의 접촉 시간 형태로 도출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수·교체 시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철도차량 부품의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가 도래하지 않았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단위스위치 모니터링 정보 수집 단계 및 상기 부품 모니터링 정보 수집 단계가 재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명 예측 데이터는, 상기 단위스위치 모니터링 정보 수집 단계 및 상기 부품 모니터링 정보 수집 단계가 재진행됨에 따라 수집되는 추가 데이터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은 철도차량 부품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배전반 내 스위치의 ON/OFF 횟수와 스위치 접촉 시간을 측정하여 철도차량 부품의 교체 시기나 검수 시기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함으로써 철도차량 부품의 장기 사용에 따른 고장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철도차량 부품의 조기 검수 또는 교체를 방지하여 철도차량 부품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고,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철도차량 부품의 동작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수집된 모니터링 정보와 상술한 배전반 내 스위치의 ON/OFF 횟수와 스위치 접촉 시간을 기반으로 한 머신러닝을 통해 철도차량 부품의 수명 예측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모니터링 시스템의 배전반과 철도차량 부품의 연결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의 모니터링부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의 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에 의해 감지된 전류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의 단위스위치와 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의 연결 회로도 예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의 운전실 서버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 순서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은 철도차량에 탑재되는 복수의 철도차량 부품(100), 철도차량 내에 설치되며 복수의 철도차량 부품(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복수의 스위치가 구비되는 배전반(200), 철도차량 부품 및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300), 각각의 철도차량 모니터링부(30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철도차량의 운전실 서버(400) 및 운전실 서버(400)에서 전송되는 철도차량 부품의 검수 또는 교체 시기가 포함된 알림을 전송받는 외부 설비(500)를 포함한다.
배전반(200)에는 복수의 단위스위치(210)가 모듈화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배전반(200)에 설치된 각 단위스위치(210)는 해당 철도차량 부품(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해당 철도차량 부품(100)의 동작을 각 단위스위치(210)의 ON/OFF를 통해 제어한다. 즉, 철도차량의 출입문, 철도차량 내 조명 장치, 방송 장치, 냉난방 기기, 행선 표시기, 비상 통화 장치, 연기 감지기 등의 부품을 각 단위스위치(210)가ON/OFF를 통해 그 동작을 제어한다.
배전반(200) 내 단위스위치(210)는 N.F.B 스위치, Relay 스위치, M.C 스위치, EOCR 스위치 중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스위치(210)는 배전반에 설치된 커넥터에 결합됨으로써 커넥터와 케이블로 배전반과 연결된 철도차량 부품(100)과 연결되어 전기 회로(220)를 형성한다.
특정 철도차량 부품(100)과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단위스위치(210)에 의해 철도차량 부품(100)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회로(220)에 전기가 흐르는 폐회로가 구성되면 해당 단위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철도차량 부품(100)이 동작하고, 단위스위치(210)에 의해 철도차량 부품(100)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회로(220)에 전기가 흐르지 않는 개회로가 구성되면 해당 단위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철도차량 부품(100)은 동작하지 않게 된다.
배전반(200) 내부에는 구비되는 복수의 단위스위치(210)는 하나의 모듈 형태로 구비되며, 각 단위스위치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문제가 발생한 단위스위치(210) 하나만 수리하거나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보수에 용이하고, 유지·보수에 드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모니터링부(300)는 철도차량 부품(100)을 동작시키는 스위치(미도시, 운전실에 구비되어 기관사 또는 관계자가 조작함)의 ON/OFF에 따라 단위스위치(210)의 ON/OFF 횟수와 단위스위치(210)의 접촉 시간을 카운팅한 데이터 및 단위스위치(210)의 접점 불량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철도차량 부품(100)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철도차량 부품(10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철도차량 부품(100)의 고장이나 상태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부품(100)의 동작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각 철도차량의 배전반에 구비되거나, 각 철도차량의 일정한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단위스위치(210)의 ON/OFF 횟수와 단위스위치(210)의 접촉 시간을 카운팅한 데이터 및 철도차량 부품(100)의 동작 정보에 근거하여 철도차량 부품(100)의 수명을 예측하고, 그에 따른 철도차량 부품의 검수 시기나 교체 시기를 도출한다.
운전실 서버(400)는 모니터링부(300)에 저장된 단위스위치(210)의 ON/OFF 횟수와 단위스위치(210)의 접촉 시간 및 철도차량 부품(100)의 동작 정보를 전송받아 철도차량 부품(100)의 수명을 예측에 따른 검수 시기나 교체 시기를 운전실 모니터를 통해 기관사에게 안내하고, 운전실과 무선통신하는 외부 설비(5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철도차양의 운전실에 설치된다.
외부 설비(500)는 관리자 단말기(510)와 관제 설비(520)를 포함하고, 관리자 단말기(510)는 운전실 서버(400)로부터 철도차량 부품(100)의 동작 정보와 수명을 예측 정보에 따른 철도차량 부품(100)의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를 전송받기 위한 관리자 단말기 측 무선통신모듈, 관리자 단말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전송받은 철도차량 부품(100)의 동작 정보와 수명을 예측 정보에 따른 철도차량 부품(100)의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관리자 단말기(51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관제 설비(520)는 운전실 서버(400)로부터 철도차량 부품(100)의 동작 정보와 수명을 예측 정보에 따른 철도차량 부품(100)의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를 전송받기 위한 관제 설비(520) 무선통신모듈, 관제 설비(520)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전송받은 철도차량 부품(100)의 동작 정보와 수명을 예측 정보에 따른 철도차량 부품(100)의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관제 서버(5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모니터링 시스템의 배전반과 철도차량 부품의 연결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200) 내 단위스위치(210)와 철도차량 부품(10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배전반(200) 내에는 복수의 단위스위치(210)가 모듈 형태로 탑재되어 있고, 배전반(200)에는 철도차량 부품(100)과 연결된 커넥터와 케이블이 구비되며, 배전반(200)의 커넥터에 단위스위치(210)가 결합됨으로써 철도차량 부품(100)과 단위스위치(2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철도차량의 내부에는 출입문, 조명 장치, 방송 장치, 냉난방기기, 행선 표시기, 비상 통화 장치, 연기 감지기 등 복수의 부품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부품은 배전반(200) 내 단위스위치(210)의 ON/OFF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종래에는 일상 검수, 월상 검수, 6개월 검수, 1년 검수 2년 검수 등과 같이 미리 정해진 기간마다 철도차량 부품(100)에 대한 검수 또는 교체 작업이 수행되었기 때문에 부품의 수명이 다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교체되거나 사용 수명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검수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철도차량 부품(100)에 문제가 발생된 후 철도차량 부품(100)을 교체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은 단위스위치(210)의 ON/OFF 횟수와 단위스위치(210)의 접촉 시간을 기반으로 철도차량 부품(100)의 검수 시기와 교체 시기를 도출하여 철도차량 부품(100)의 수명이 다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교체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검수 시기와 교체 시기는 도래하지 않았으나 철도차량 부품(100)의 사용 횟수 또는 사용 시간 경과에 따른 노후화로 고장 등이 발생하여 철도차량의 운행에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의 모니터링부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니터링부(300)는 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310), 부품 모니터링부(320), 제1도출부(330), 제1판단부(340) 및 제1통신부(350)를 포함한다.
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310)는 배전반 내에 설치되는 각각의 단위스위치(210)와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각 단위스위치(210)가 ON/OFF 횟수를 카운팅하고, 각 단위스위치(210)가 ON되어 있는 접촉 시간을 카운팅하여 철도차량 부품(100)의 동작횟수 및 동작 시간을 카운팅하게 된다. 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310)는 I/O 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310)에서 카운팅되는 단위스위치(210)의 ON/OFF 횟수와 접촉 시간은 배전반(200) 내에 설치된 각각의 단위스위치(210)별로 ON/OFF에 따른 ON/OFF 횟수와 접촉 시간이 각각 카운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A 단위스위치의 ON/OFF 횟수는 5회, B 단위스위치의 ON/OFF 횟수는 37회로 따로 카운팅하는 것이다.
또한, 하나의 전기 회로(220) 상에 단위스위치(210)가 복수 개(릴레이, M.C, NFB)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각각의 단위스위치(210)별로 ON/OFF 횟수와 접촉 시간을 각각 카운팅한다.
부품 모니터링부(320)는 철도차량 부품(100)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철도차량 부품(100)에 구비된 각종 센서를 통해 수집된 철도차량 부품(100)의 동작 상태 등 각종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구비된다. 부품 모니터링부(320)로부터 수집된 철도차량 부품(100)의 동작 정보는 철도차량 부품(100)의 수명을 예측하기 위한 데이터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부품 모니터링부(320)는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복수의 철도차량 부품(100)에 대해 각각 구비된다.
예를 들어, 부품 모니터링부(320)에 의해 철도차량의 출입문 개폐에 소요되는 시간이 모두 수집 및 축적되어 출입문의 수명을 예측하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또는, 철도차량 내 냉난방장치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 바람 세기 등을 부품 모니터링부(320)가 측정한다. 부품 모니터링부(320)에 의해 측정되는 철도차량 내 냉난방장치의 온도 값 및 바람 세기 등의 데이터는 부품 모니터링부(320)에 축적되어 철도차량 내 냉난방기기의 수명을 예측하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또는, 철도차량 부품(100)의 고장 발생 현황을 부품 모니터링부(320)가 수집 및 축적하여 철도차량 부품(100)의 수명을 예측하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철도차량 부품(100)의 고장 발생 현황은 검수 기간 내에 발생한 고장 횟수 및 고장 원인, 사용 횟수 및 사용 시간에 따른 고장 횟수 및 고장 원인일 수 있다.
또한, 부품 모니터링부(320)로부터 수집되어 누적되는 데이터는 철도차량 부품(100)의 동작 정보 이외에 철도차량 부품(100)의 제작사에서 제시한 부품의 사용 연한 및 철도차량 부품(100)의 검수 관련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부품 모니터링부(320)로부터 수집되어 누적되는 데이터는 철도차량 부품(100)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동작 정보, 제작사에서 제시한 부품의 사용 연한, 및 검수 관련 정보 등 철도차량 부품(100)과 관련된 모든 정보일 수 있다.
제1도출부(330)는 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310)에서 카운팅된 단위스위치(210)의 ON/OFF 횟수와 접촉 시간, 부품 모니터링부(320)에서 수집 및 축적한 철도차량 부품(100)의 정보를 기반으로 철도차량 부품(100)의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를 도출한다.
다시 설명하자면,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부품 모니터링부(320)가 철도차량 부품(100)에 이상이 발생되거나, 고장이 발생되는지 모니터링하여 철도차량 부품(100)의 동작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간은 이미 정해진 철도차량 부품(100)의 검수 주기 또는 교체 주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철도차량 부품(100)은 단위스위치(210)의 ON/OFF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며, 미리 설정된 기간 이내에 고장이 발생할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된 기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1도출부(330)는 부품 모니터링부(320)에 저장된 철도차량 부품(100)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머신러닝을 통해 철도차량 부품(100)의 수명 예측 데이터가 단위 스위치(210)의 ON/OFF 횟수 및 단위 스위치(210)의 접촉 시간 형태로 도출된다.
즉, 제1도출부(330)는 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310)에서 카운팅하는 철도차량 부품(100)의 동작 횟수 및 동작 시간을 단위스위치(210)의 ON/OFF 횟수와 접촉 시간을 전송받으면서 부품 모니터링부(320)에서 수집되는 철도차량 부품(100)의 동작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아 실제 철도차량 부품(100)의 고장이 발생한 순간까지의 단위스위치(210)의 ON/OFF 횟수와 접촉 시간을 통해 철도차량 부품(100)의 동작 횟수 및 동작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철도차량 부품(100)의 동작 횟수 및 동작 시간이 기설정된 철도차량 부품(100)의 사용연한과 비교하여 사용연한이 도래하지 않았음에도 고장이 발생한 경우 사용연한을 고장이 발생한 시점에서 카운팅된 단위스위치(210)의 ON/OFF 횟수와 접촉 시간 이내로 단축하고, 기설정된 철도차량 부품(100)의 사용연한이 지난 후에도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설정된 철도차량 부품(100)의 사용연한을 연장할 수 있도록 철도차량 부품(100)의 수명 예측 데이터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도출부(330)를 통해 실제 철도차량 부품(100)의 수명 예측 데이터를 도출함으로 인해 철도차량 부품(100)의 고장 발생 이전에 철도차량 부품(100)을 교체하여 철도차량의 고장을 사전에 예방하고, 실제 검수 시기 및 교체 시기가 도래하지 않은 철도차량 부품(100)에 대해 기 설정된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다 하여 철도차량 부품(100)을 검수하거나 교체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여 철도차량 부품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고,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1도출부(330)로부터 도출된 철도차량 부품(100)의 수명 예측 데이터는 제1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된다. 제1도출부(330)가 철도차량 부품(100)의 수명 예측 데이터를 도출하는 시퀀스를 반복 진행함에 따라 철도차량 부품(100)의 수명 예측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한 수명 예측 데이터가 축적되고, 제1도출부(330)로부터 도출되는 단위 스위치(210)의 ON/OFF 횟수 및 단위 스위치(210)의 접촉 시간 형태로 도출되는 수명 예측 데이터의 정확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제1도출부(330)로부터 도출되는 철도차량 부품(100)의 수명 예측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제1도출부(330)는 도출된 수명 예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철도차량 부품(100)의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를 도출할 수도 있다.
제1판단부(340)는 제1도출부(330)로부터 도출된 수명 예측 데이터에 따른 철도차량 부품(100)의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는지 판단한다. 검수 시기나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다고 판단하는 시점은 검수 시기나 교체 시기의 일주일 전, 5일 전, 3일 전 등으로 관리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통신부(340)는 운전실 서버(400)와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310)에서 카운팅된 단위스위치(210)의 ON/OFF 횟수 및 접촉 시간, 부품 모니터링부(320)로부터 수집된 철도차량 부품(100)의 정보, 제1도출부(330)로부터 도출된 철도차량 부품(100)의 수명 예측 데이터, 제1판단부(340)에서 판단한 철도차량 부품(100)의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를 운전실 서버(400)에 전송하기 위해 구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의 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310)에 의해 감지된 전류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단위스위치와 연결된 전기 회로의 통전 횟수는 1회이지만, 통전 시간(t1)은 길다. 그러나, B 단위스위치는 통전 횟수는 복수 회이지만 통전 시간(t2)이 짧게 기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철도차량 부품(100)은 통전 패턴에 따라 수명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310)가 각 철도차량 부품(100)과 연결된 단위스위치(210)의 ON/OFF 횟수 및 접촉 시간을 측정하여 각 철도차량 부품별로 검수 시기 및 교체 시기를 도출하여 철도차량의 유지·보수에 용이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의 단위스위치와 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의 연결 회로도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스위치(210)와 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310)가 전기 회로 상에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이는 각각의 단위스위치를 각각의 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310)로 모니터링하기 위함이다.
또한, 단위스위치(210)가 병렬로 형성될 경우 제1단위스위치(221)에 대해 제1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311)가 설치되고, 제2단위스위치(222)에 대해 제2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312)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1단위스위치(221)와 제1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311)가 연결된 후방 및 제2단위스위치(222)와 제2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312)가 연결된 후방에는 역류 방지부(230)가 각각 설치된다.
역류 방지부(230)는 제1단위스위치(221)와 제2단위스위치(222) 중 어느 하나가 ON되고, 어느 하나가 OFF된 상태에서 ON된 단위스위치를 통과한 전기가 OFF된 단위스위치의 모니터링하기 위해 구비된 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로 전기가 흘러 OFF된 단위스위치를 ON된 단위스위치로 모니터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도 5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스위치가 릴레이 스위치(210-R)인 경우에는 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310-R)가 릴레이 스위치(210-R) 앞에서 연결되고, 릴레이 스위치 이외의 단위스위치인 경우에는 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가 단위스위치 뒤에서 연결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릴레이 스위치 이외의 단위스위치인 NFB 스위치(210-N)의 경우 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310-N)가 NFB 스위치(210-N) 뒤에서 연결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의 운전실 서버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전실 서버(400)는 제2통신부(410), 제2데이터베이스(420), 제2도출부(430), 제2판단부(440) 및 알림 생성부(450)를 포함한다.
제2통신부(410)는 각 철도차량의 모니터링부(300) 또는 외부 설비(500)와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모니터링부(300)로부터 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310)에 의해 측정된 단위스위치(210)의 ON/OFF 횟수와 접촉 시간, 부품 모니터링부(320)로부터 수집된 철도차량 부품(100)의 고장 등 동작 정보, 제1도출부(330)에서 도출된 철도차량 부품(100)의 수명 예측 데이터, 제1판단부(340)에서 도출된 철도차량 부품(100)의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운전실 서버(400)에서 각 철도차량의 모니터링부(300)에서 전송된 데이터에 의해 생성하는 데이터를 외부 설비(500)로 전송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2데이터베이스(420)에는 각 철도차량의 모니터링부(3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및 운전실 서버(400)에서 생성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2도출부(430)는 각 철도차량의 모니터링부(300)로부터 전송된 단위스위치 데이터를 전송받아 편성열차에 설치된 동일 철도차량 부품(100)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편성열차에 설치된 동일 철도차량 부품(100)에 대한 평균 수명 예측 데이터를 도출한다.
즉, 각 편성차량의 모니터링부(310)에 의해 측정된 단위스위치(210)의 ON/OFF 횟수와 접촉 시간, 부품 모니터링부(320)로부터 수집된 철도차량 부품(100)의 고장 등 동작 정보, 제1도출부(330)에서 도출된 철도차량 부품(100)의 수명 예측 데이터 중에서 동일 철도차량 부품(100)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한 후 동일 철도차량 부품(100)에서 고장이 발생한 순간까지의 단위스위치(210) ON/OFF 횟수와 접촉 시간을 통해 철도차량 부품(100)의 평균 동작 횟수 및 동작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철도차량 부품(100)의 평균 동작 횟수 및 동작 시간이 기설정된 철도차량 부품(100)의 사용연한과 비교하여 사용연한이 도래하지 않았음에도 고장이 발생한 경우 사용연한을 고장이 발생한 시점에서 카운팅된 단위스위치(210)의 평균 ON/OFF 횟수와 접촉 시간 이내로 단축하고, 기설정된 철도차량 부품(100)의 사용연한이 지난 후에도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설정된 철도차량 부품(100)의 사용연한을 더 연장할 수 있도록 철도차량 부품(100)의 평균 수명 예측 데이터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렇게 도출된 철도차량 부품(100)의 평균 수명 예측 데이터는 제2데이터베이스(420)에 저장된다.
제2판단부(440)는 제2도출부(430)에서 도출된 평균 수명 데이터에 따른 철도차량 부품(100)의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는지 판단한다. 검수 시기나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다고 판단하는 시점은 검수 시기나 교체 시기의 일주일 전, 5일 전, 3일 전 등으로 관리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300)의 제1판단부(340) 또는 운전실 서버(400)의 제2판단부(440)에서 철도차량 부품(100)의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다고 판단되었거나, 부품 모니터링부(320)로부터 수집된 철도차량 부품(100)의 고장 정보가 전송되면 모니터링부(300) 또는 운전실 서버(400)에서 알림 신호가 생성되어 운전실에 구비된 모니터 또는 알림 장치를 통해 기관사에게 알릴 수 있고, 제2통신부(410)를 통해 외부 설비(500)로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종래에는 미리 정해진 기간마다 철도차량 부품(100)을 검수하거나 교체했기 때문에 검수나 교체가 불필요한 상황임에도 검수나 교체가 수행되거나 검수나 교체가 필요한 시점이 경과하였음에도 검수나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철도차량 부품(100)에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으나, 본 발명은 단위스위치(210)의 ON/OFF 횟수 및 접촉 시간을 카운팅한 값과 철도차량 부품(100)의 동작 정보를 기반으로 철도차량 부품(100)의 수명을 예측하여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를 도출할 수 있기 때문에 철도차량 부품(100) 관리에 있어서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철도차량 부품(100)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철도차량의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ON 단계(S100), 단위스위치 모니터링 정보 수집 단계(S200), 부품 모니터링 정보 수집 단계(S300), 검수·교체 시기 도출 단계(S400), 검수·교체 시기 판단 단계(S500) 및 알림 전송 단계(S600)를 포함한다.
스위치 ON 단계(S100)는 철도차량 부품(100)을 동작시키기 위해 운전실 또는 조작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ON 시키는 단계로 스위치가 ON 되면 해당 철도차량 부품(100)과 전기적으로 회로가 구성된 각 철도차량의 배전반 내의 해당 단위스위치(210)가 동작하게 된다.
스위치 ON 단계(S100)가 진행되면 각 철도차량의 배전반에 구비된 단위스위치(210)가 ON되어 철도차량 부품(100)에 전기가 인가되어 철도차량 부품(100)이 동작하게 된다.
이때, 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310)는 단위스위치(210)가 정상적으로 접촉되었는지 감지하며, 단위스위치(210)의 ON/OFF 횟수와 단위스위치(210)의 접촉 시간을 카운팅하는 등 단위스위치의 동작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수집하는 단위스위치 모니터링 정보 수집 단계(S200)가 진행된다.
또한, 부품 모니터링부(320)는 철도차량 부품(100)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며 철도차량 부품(1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가 수집되는 부품 모니터링 정보 수집 단계(S300)가 진행된다.
단위스위치 모니터링 정보 수집 단계(S200) 및 부품 모니터링 정보 수집 단계(S300)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니터링부(300)의 제1도출부(330)에서 상기 철도차량 부품(100)의 수명 예측 데이터를 도출하여 제1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하고, 상기 철도차량 부품(100)의 수명 예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철도차량 부품(100)의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를 도출하는 검수·교체 시기 도출 단계(S400)가 진행된다.
검수·교체 시기 도출 단계(S400)에서는 단위 스위치(210)의 ON/OFF 횟수 및 단위 스위치(210)의 접촉 시간 형태로 도출된 수명 예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철도차량 부품(100)의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가 도출된다.
검수·교체 시기 도출 단계(S400) 이후, 제1판단부(340)가 검수·교체 시기 도출 단계(S500)를 통해 도출된 검수 시기나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는지 판단하는 검수·교체 시기 판단 단계(S500)가 진행된다. 이때, 검수 시기나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는지 판단하는 기준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검수·교체 시기 판단 단계(S500)에서 도출된 철도차량 부품(100)의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다고 판단되면, 관리자에게 이를 안내하기 위하여 운전실 서버(400)를 외부 설비(500)에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를 포함하는 내용의 푸시 알림 또는 메시지로 전송하여 관리자 단말기(510)나 관제 설비(520)에 출력되도록 하는 알림 전송 단계(S600)가 진행된다. 이때, 운전실 서버(400)는 운전실에 설치된 모니터 또는 알림 장치를 통해 기관사에게도 알림을 전달할 수 있다.
검수·교체 시기 판단 단계(S500)에서 도출된 철도차량 부품(100)의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가 도래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단위스위치 모니터링 정보 수집 단계(S200) 및 부품 모니터링 정보 수집 단계(S300)가 재진행되며, 단위스위치 모니터링 정보 수집 단계(S200) 및 부품 모니터링 정보 수집 단계(S300)가 재진행됨에 따라 수집되는 데이터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모니터링부(300)의 제1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수명 예측 데이터는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철도차량 부품
200 배전반
210 단위스위치
220 전기 회로
221 제1전기 회로
222 제2전기 회로
300 모니터링부
310 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
311 제1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
312 제2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
320 부품 모니터링부
321 제1데이터베이스
330 제1도출부
340 제1판단부
350 제1통신부
400 운전실 서버
410 제2통신부
420 제2데이터베이스
430 제2도출부
440 제2판단부
500 외부 설비
510 관리자 단말기
520 관제 설비
521 관제 서버

Claims (10)

  1. 철도차량에 설치되는 복수의 철도차량 부품;
    상기 철도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철도차량 부품 각각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복수의 단위스위치가 설치되는 배전반;
    상기 단위스위치의 ON/OFF 횟수 또는 접촉 시간, 상기 철도차량 부품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철도차량 부품의 검수 시기나 교체 시기를 도출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단위스위치가 ON되었을 때, 상기 단위스위치와 상기 철도차량 부품 사이를 연결하는 전기 회로에 전류가 흐르는지 감지하고, 상기 단위스위치의 ON/OFF 횟수 및 상기 단위스위치가 ON되어 있는 접촉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위스위치 모니터링부;
    상기 철도차량 부품에 각각 설치되는 각종 센서를 통해 상기 철도차량 부품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철도차량 부품의 모니터링 정보를 수집하는 부품 모니터링부;
    상기 부품 모니터링부로부터 수집된 상기 철도차량 부품의 동작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머신러닝을 통해 상기 철도차량 부품의 수명 예측 데이터가 상기 단위 스위치의 ON/OFF 횟수 및 접촉 시간 형태로 도출하는 제1도출부; 및
    상기 제1도출부로부터 도출된 수명 예측 데이터에 따른 철도차량 부품의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는지 판단하는 제1판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은,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전송되는 각 철도차량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철도차량의 운전실 서버; 및
    상기 모니터링부 또는 상기 운전실 서버에서 전송되는 철도차량 부품의 검수 또는 교체 시기가 포함된 알림을 전송받는 외부 설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운전실 서버 또는 상기 외부 설비와 통신하는 제1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명 예측 데이터는,
    상기 모니터링부에 구비된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수명 예측에 이용되는 데이터가 축적됨에 따라 상기 수명 예측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 서버는,
    각 철도차량의 모니터링부 또는 상기 외부 설비와 통신하는 제2통신부;
    각 철도차량의 모니터링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2데이터베이스;
    각 철도차량의 모니터링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단위스위치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편성열차에 설치된 동일 철도차량 부품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편성열차에 설치된 동일 철도차량 부품에 대한 평균 수명 예측 데이터를 도출하는 제2도출부; 및
    상기 제2도출부로부터 도출된 상기 평균 수명 예측 데이터에 따른 철도차량 부품의 검수 시기 또는 상기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는지 판단하는 제2판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수명 예측 데이터는,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평균 수명 예측에 이용되는 데이터가 축적됨에 따라 상기 평균 수명 예측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단부 또는 상기 제2판단부에 의해 상기 철도차량 부품의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외부 설비에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가 포함된 알림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
  7. 철도차량 부품을 동작시키기 위해 운전실 또는 조작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가 ON 되고, 상기 스위치가 ON 되면 해당 철도차량 부품과 전기적으로 회로가 구성된 각 철도차량의 배전반 내의 해당 단위스위치가 동작하는 스위치 ON 단계;
    상기 스위치 ON 단계 이후 진행되며, 상기 단위스위치와 상기 철도차량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회로의 통전 여부, 상기 단위스위치의 접점 상태, 상기 단위스위치의 ON/OFF 횟수 및 상기 단위스위치의 접촉 시간을 수집하는 단위 스위치 모니터링 정보 수집 단계;
    상기 스위치 ON 단계 이후 진행되며, 부품 모니터링부가 상기 철도차량 부품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철도차량 부품의 동작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가 수집되는 부품 모니터링 정보 수집 단계;
    상기 단위스위치 모니터링 정보 수집 단계 및 상기 부품 모니터링 정보 수집 단계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모니터링부의 제1도출부에서 수명 예측 데이터를 도출하고, 도출된 수명 예측 데이터를 통해 상기 철도차량 부품의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를 도출하는 검수·교체 시기 도출 단계;
    상기 검수·교체 시기 도출 단계에서 도출된 검수 시기나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는지 판단하는 검수·교체 시기 판단 단계; 및
    상기 검수·교체 시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철도차량 부품의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다고 판단되면, 외부 설비에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를 포함하는 알림을 전송하는 알림 전송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명 예측 데이터는,
    상기 부품 모니터링부로부터 수집된 상기 철도차량 부품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머신러닝을 통해 상기 철도차량 부품의 수명이 상기 단위스위치의 ON/OFF 횟수 및 상기 단위스위치의 접촉 시간 형태로 도출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수·교체 시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철도차량 부품의 검수 시기 또는 교체 시기가 도래하지 않았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단위스위치 모니터링 정보 수집 단계 및 상기 부품 모니터링 정보 수집 단계가 재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명 예측 데이터는,
    상기 단위스위치 모니터링 정보 수집 단계 및 상기 부품 모니터링 정보 수집 단계가 재진행됨에 따라 수집되는 추가 데이터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1020220090883A 2022-07-22 2022-07-22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 KR102534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883A KR102534655B1 (ko) 2022-07-22 2022-07-22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883A KR102534655B1 (ko) 2022-07-22 2022-07-22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655B1 true KR102534655B1 (ko) 2023-05-26

Family

ID=86536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883A KR102534655B1 (ko) 2022-07-22 2022-07-22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65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4459B2 (ja) * 1993-01-19 1995-10-11 旭化成工業株式会社 光学活性な(R)−N−ピペロニル−1,2,3,4−テトラヒドロ−ベンゾ[bチエノ[2,3−cピリジン−3−カルボアミド、その製造法およびその用途
KR20010069532A (ko) * 2001-04-13 2001-07-25 김양식 자동차소모품의 교체시기 감지장치가 적용된자동차원격시동기
JP2002209303A (ja) * 2001-01-11 2002-07-26 Hitachi Ltd モノレールの保守管理システム
KR101456534B1 (ko) 2013-06-17 2014-10-31 현대로템 주식회사 열차 제어 감시시스템 및 그 철도차량
KR20160099902A (ko) * 2015-02-13 2016-08-23 한태진 부품 수명관리 시스템
KR102167258B1 (ko) * 2019-02-21 2020-10-20 주식회사 글로비즈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
KR20220090980A (ko)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글로비즈 철도 차량의 도어의 결함을 진단하고 남은 수명을 계산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4459B2 (ja) * 1993-01-19 1995-10-11 旭化成工業株式会社 光学活性な(R)−N−ピペロニル−1,2,3,4−テトラヒドロ−ベンゾ[bチエノ[2,3−cピリジン−3−カルボアミド、その製造法およびその用途
JP2002209303A (ja) * 2001-01-11 2002-07-26 Hitachi Ltd モノレールの保守管理システム
KR20010069532A (ko) * 2001-04-13 2001-07-25 김양식 자동차소모품의 교체시기 감지장치가 적용된자동차원격시동기
KR101456534B1 (ko) 2013-06-17 2014-10-31 현대로템 주식회사 열차 제어 감시시스템 및 그 철도차량
KR20160099902A (ko) * 2015-02-13 2016-08-23 한태진 부품 수명관리 시스템
KR102167258B1 (ko) * 2019-02-21 2020-10-20 주식회사 글로비즈 상태 모니터링 기반의 철도차량 유지보수 플랫폼용 장치
KR20220090980A (ko)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글로비즈 철도 차량의 도어의 결함을 진단하고 남은 수명을 계산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362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impending failures in a locomotive
KR102031116B1 (ko) 전기차 충전기의 원격 자가진단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RU2608992C2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ки для рельсов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101940633B1 (ko) 철도차량 객실 실시간 감시 시스템
KR100288950B1 (ko) 철도의 신호설비 고장감시 시스템 및 방법
WO2009144820A1 (ja) 遠隔監視装置
WO2011118290A1 (ja) 移動体異常判断支援システム
JP4901349B2 (ja) 電気車の保全機能付きモニタ装置
KR20000059333A (ko) 철도차량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GB2378248A (en) A fault prediction system for vehicles
US20020062182A1 (en)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a train, and information transmitting system in a train
KR20180001953A (ko) 오작동 방지 기능을 구비한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212959B1 (ko) 철도차량의 통합배전반 시스템
KR102534655B1 (ko) 배전반을 이용한 철도차량 부품 수명 예측 시스템
JP7164407B2 (ja) 設備監視システム、転てつ機、軌道回路及び踏切装置
CN104712734B (zh) 用于轨道车辆的传动单元的监控单元
JP2004050898A (ja) リアルタイム車両管理サービスシステム
KR101559343B1 (ko) 철도차량 부품이력 및 상태진단 관리 분석 시스템
KR100644226B1 (ko) 씨비티씨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열차 자동 검수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220234837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wear of a transport system having sliding contacts
EP0928126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observ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an electrical device
CN114167846A (zh) 一种新能源汽车的远程故障诊断系统和方法
KR102533975B1 (ko) IoT 네트워크 및 AI 기반 철도차량용 차단기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1669401B1 (ko) 검사기기 사전 경보시스템
CN112325931B (zh) Pdu机器人触点异常诊断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