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651B1 - 모바일 기반 철도운영자 정보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반 철도운영자 정보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651B1
KR101624651B1 KR1020140149303A KR20140149303A KR101624651B1 KR 101624651 B1 KR101624651 B1 KR 101624651B1 KR 1020140149303 A KR1020140149303 A KR 1020140149303A KR 20140149303 A KR20140149303 A KR 20140149303A KR 101624651 B1 KR101624651 B1 KR 101624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situation
central server
information
man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4063A (ko
Inventor
오세찬
김민수
김경희
정종덕
창상훈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49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651B1/ko
Publication of KR20160054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반 철도운영자 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철도차량의 운전이나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현장 담당자가 구비하며 철도차량의 이례상황 및 유지보수상황에 대한 대응메뉴얼이 저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된 대응메뉴얼에서 매칭되는 이례상황조치 메뉴얼 또는 고장조치 메뉴얼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표출되도록 관제사의 원격지령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관제센터의 중앙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차량이나 관련 구조물 등의 사고 및 고장 등 이례상황 발생시 기관사나 유지보수자 등의 현장 운영자와 관제센터의 실시간 양방향 정보전송을 통해 인적오류를 저감하여 신속하고도 정확한 대응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기반 철도운영자 정보 제공시스템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BASED ON MOBILE FOR RAILWAY OPERRATOR}
본 발명은 모바일 기반 철도운영자 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의 사고 또는 고장과 같은 이례상황이나 철도차량 및 시설물 등의 유지보수상황이 발생시 종합적인 철도시스템을 모니터링하는 관제센터와 철도차량의 기관사 및 유지보수 담당자가 혼란없이 현장 상황에 대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모바일을 기반으로 철도운영자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과학기술의 급진적인 발전에 힘입어 철도 분야에 있어서도 안정성과 운영 효율성 등의 향상을 위한 기술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철도전용주파수의 확보 및 LTE 방식을 이용한 철도무선망의 적용이 본격적으로 가시화됨에 따라서 철도의 운영 및 유지보수 업무에 무선통신 기술의 활용이 가능해졌다. 또한, 철도차량의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의 자동화에 따라 최근 도시철도의 경우 1인 승무가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철도차량 운행 중 사고 또는 고장과 같은 이례상황이 발생한 경우 대처가 기능하도록 하기 위한 감시 시스템들이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예로서 등록특허 제10-0965555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TRS를 이용한 실시간 열차 고장 정보의 이중화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열차 운행을 제어하도록 중앙제어장치를 탑재하고 있어, 열차의 노선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에 따라 열차 운행을 제어하고 운행 중의 고장정보를 생성하도록 열차의 전두부와 후두부에 각각 위치하는 전두부 차상 컴퓨터 장치 및 후두부 차상 컴퓨터 장치와; 상기 전두부 차상 컴퓨터 장치의 고장을 감지하며, 상기 전두부 차상 컴퓨터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운행정보 중고장정보를 검출하여 단문메시지 형태의 고장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전두부 차상 컴퓨터 장치의 일 측에 연결되어 있는 주 TRS와; 전두부의 차상 컴퓨터 장치 혹은 주 TRS가 고장일 경우 상기 주 TRS와의 통신을 절체하고, 상기 후두부 차상 컴퓨터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운행정보 중 고장정보를 검출하여 단문메시지 형태의 고장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후두부 차상 컴퓨터 장치의 일 측에 연결되어 있는 부 TRS와; 상기 주 TRS 혹은 부 TRS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고장신호를 전송받도록 관제실에 설치되어 있는 열차고장정보 분석 시스템과; 상기 주 TRS 혹은 부 TRS에서 생성된 고장신호를 상기 열차고장정보 분석 시스템으로 무선 전송하는 TRS통신망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고장 정보 전송 시스템의 경우 열차의 전두부 차상 컴퓨터 장치 및 후두부 차상 컴퓨터 장치에서 열차의 운행 중 고장정보를 생성하여 열차고장정보 분석 시스템으로 전송해주어 열차의 감시가 가능한 부분에 대한 고장정보는 신속하게 수집할 수 있지만, 감시가 불가능한 사고나 고장에 대해서는 정보 수집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철도차량에서 사고 또는 고장과 같은 이례상황 발생시 통상적으로는 관제사의 경우 사고 또는 고장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하지 못한 채 기관사 또는 현장근무자의 음성통신과 관제화면으로 표출되는 고장 내역에 의존하여 판단을 내려야하는 문제가 있으며, 기관사 또는 현장근무자의 경우 관제와 음성통화 내용에 의존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사고 고장 상황에서 기관사가 당황하게 됨으로써 혼란스러울 수 있고 인적 오류로 인한 2차 사고로 번질 우려가 있다.
또한, 철도차량은 그 종류마다 유지보수 매뉴얼이 다르고, 철도차량의 고장상황에 대해서 기관사의 통화 내용만으로는 정확한 판단을 내리기 어렵고, 방대한 유지보수 매뉴얼을 휴대하기도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상의 현실적인 문제들에 의해 철도차량의 사고 또는 고장과 같은 이례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신속한 복구가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다.
참고문헌1 : 등록특허 제10-096555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사고 또는 고장과 같은 이례상황이나 철도차량 및 시설물 등의 유지보수상황이 발생시 관제센터의 관제사와 철도차량의 기관사 또는 유지보수자 등의 현장 담당자가 혼란없이 현장 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모바일 기반의 철도운영자 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모바일 통신을 통해 관제센터의 관제사가 철도차량의 현장 담당자로부터 철도차량의 사고 또는 고장과 같은 이례상황이나 철도차량 및 시설물 등의 유지보수상황을 수신시 현장 상황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고, 그에 적합한 철도운영자 정보를 제공하여 좀 더 정확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여 2차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모바일 기반의 철도운영자 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기관사 또는 유지보수자가 구비하고, 철도차량의 이례상황 및 유지보수상황에 대한 대응메뉴얼이 저장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러기드(Rugged)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져 철도차량의 사고 또는 고장을 포함하는 이례상황이나 철도차량 및 시설물의 유지보수상황을 포함하는 현장정보를 위치정보와 함께 현장 음성 또는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형태로 관제센터의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관제센터의 관제사와 화상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현장정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된 대응메뉴얼에서 매칭되는 이례상황조치 메뉴얼 또는 고장조치 메뉴얼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표출되도록 관제사의 원격지령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관제센터의 중앙서버; 및 관제센터에 구비되어 중앙서버에서 수신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음성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현장정보를 출력하여 관제사가 분석할 수 있도록 하고, 분석에 따른 원격지령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제용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관제용 단말기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정보에 관제센터에서의 표식과 지시사항을 추가한 조치영상을 입력하여 중앙서버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때, 상기 조치영상은 중앙서버에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례상황이나 유지보수시에는 주기적 또는 데이터 통신시에 상기 중앙서버에 위치보고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차량이나 관련 구조물 등의 사고 및 고장 등 이례상황 발생시 기관사나 유지보수자 등의 현장 운영자와 관제센터의 실시간 양방향 정보전송을 통해 인적오류를 저감하여 신속하고도 정확한 대응을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철도 관련 사고 및 방대한 고장 처리 및 유지보수 매뉴얼의 휴대성과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관제센터에서의 원격지령에 의한 매뉴얼 호출로 인한 분명하고 신속한 이례상황 대응이 가능하고, 실시간 현장 영상의 전송을 통해 관제에서 사고 및 고장상황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과 조치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반 철도운영자 정보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반 철도운영자 정보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대응 메뉴얼 표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반 철도운영자 정보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이례상황 보고 및 그에 따른 조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반 철도운영자 정보 제공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반 철도운영자 정보 제공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주행중에 사고 및 고장 등의 이례(異例)상황이나 철도차량 및 시설물 등의 유지보수상황이 발생시 관제센터의 관제사와 철도차량의 기관사 또는 유지보수자 등의 현장 담당자가 혼란없이 현장 상황에 대한 대응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반 철도운영자 정보 제공시스템은 철도차량의 운전을 담당하는 기관사 또는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철도차량의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유지보수자 등의 현장 담당자가 구비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철도차량의 감시 및 제어를 수행하는 관제센터(200)의 중앙서버(21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철도차량의 기관사 또는 유지보수자 등의 현장 담당자가 구비하는 것으로, 철도차량의 사고 또는 고장 등의 이례상황이나 철도차량 및 시설물 등의 유지보수상황 등의 현장정보를 관제센터(200)의 중앙서버(210)로 전송한다.
이에 관제센터(200)의 관제사는 중앙서버(210)를 통해 현장정보가 수신되면, 현장상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그에 따른 원격지령정보를 중앙서버(210)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철도차량의 운전을 담당하는 기관사 또는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철도차량의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유지보수자 등의 현장 담당자가 구비하는 것으로 러기드(Rugged)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특정 산업적 용도만으로 사용하는 산업용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최근 대중화되고 있는 산업용 태블릿 PC, 스마트폰을 사용함으로써 시스템 구축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철도차량의 기관사 또는 유지보수 담당자 등의 현장 담당자가 철도차량의 사고 또는 고장과 같은 이례상황에 대한 조치 메뉴얼 및 철도차량 및 시설물 등의 유지보수상황에 대한 유지보수 메뉴얼 등의 대응메뉴얼이 저장된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데이터베이스(DB) 형태로 구축하여 별도의 책자 등을 들고 다니지 않아도 손쉽게 검색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대응메뉴얼은 중앙서버(210)에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파일 형태로 등록 및 저장되는 것으로, 사용자 인증 등을 통해 허용된 기관사 또는 유지보수자 등의 현장 담당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응메뉴얼을 전송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등록 관리한다.
이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주기적인 위치보고 및 단말상태보고가 가능하고, 실시간 음성 및 영상 전송이 가능하도록 통신기능, 위치정보수신을 위한 GPS수신기, 카메라 등이 내장된 공지의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현장 담당자(1)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통해 철도차량의 고장이나 유지보수 등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현장정보를 중앙서버(2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현장정보는 위치정보는 물론이고 내장 마이크 및 카메라를 통한 현장 상황에 대한 음성 및 영상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철도차량의 사고발생시 종전에 기관사가 관제와의 음성통화(휴발성 데이터)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되는 것과 달리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관제센터(200)의 관제사(2)와의 화상통화와 함께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구축된 대응메뉴얼을 원격으로 호출하여 기관사 등의 현장 담당자(1)의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디스플레이 시켜줌으로써 인적오류로 인한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 경우 관제사(2)의 지시를 메모형태 또는 문자 등의 방법으로 함께 지원 가능하다.
이를 위해 중앙서버(21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실시간 연동운영되며, 상기 중앙서버(210)는 관제센터(200) 내의 관제사(2)가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및 영상 등의 현장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한 후, 디스플레이 가능한 관제용 단말기(220)로 출력하여 관제사(2)가 현장정보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중앙서버(210)는 철도차량의 기관사 또는 유지보수자 등의 현장 담당자(1)를 등록 관리하며, 그에 따라 등록된 현장 담당자(1)의 모바일 디바이스(100)에만 이례상황 대응 메뉴얼을 제공하며 철도차량의 고장 이나 유지보수 등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현장정보를 수신하며, 관제사(2)의 원격지령정보를 전송한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관제사(2)는 관제용 단말기(220)를 통해 표시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단말위치와 현장상태가 표시되면, 이를 통해 철도차량의 사고 또는 고장상황을 분석하여 원격지령정보를 입력한다.
이와 같은 원격지령정보는 중앙서버(210)에 등록 저장됨은 물론 상기 해당 현장 담당자(1)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된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대응메뉴얼에서 원격지령정보에 매칭되는 이례상황 조치 메뉴얼 또는 고장조치 메뉴얼을 표출하여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관제사(2)는 관제용 단말기(220)를 통해 원격지령정보만을 송출하는 이외에도, 좀 더 정확한 상황파악 및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현장 담당자(1)의 모바일 디바이스(100)와의 실시간 음성 및 영상전송, 문자, 이미지 등의 데이터 전송, 그리고 필요에 따라 각종 데이터(워드, 이미지 등) 파일 및 변경된 운행 스케쥴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현장 담당자(1)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통해 중앙서버(210)로 수신되어 관제용 단말기(220)로 표시되는 현장정보에 현장 영상(동영상 또는 이미지)이 포함되는 경우, 관제사는 수신된 영상에 식별 표시 및 코멘트를 달아 조치영상을 재송부한다. 이 경우 조치영상은 원격지령정보에 포함되거나 또는 별도로 전송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치영상은 중앙서버(210)를 거쳐 현장 담당자(1)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되며, 중앙서버(210)에서도 조치영상 정보를 등록 관리한다.
이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예로 철도차량의 기관사가 열차 고장발생시 초동 대처를 해야하는 상황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카메라 기능을 통해 철도차량의 어떤 장치에서 결함이 있는지에 대해 관제 전문가와 상의 함으로써 빠른 조치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때, 관제센터(200)에서는 기관사의 모바일 디바이스(100) 상에 메모형태로 지시사항에 대한 표현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이례상황이나 유지보수시에는 주기적 또는 데이터 통신시에 관제센터(200)의 중앙서버(210)에 위치보고를 수행함으로써 관제센터(200)에서 실제 기관사의 위치에 따른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반 철도운영자 정보 제공시스템의 운영 예를 설명한다.
현장 담당자(1)의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관제센터(200)의 중앙서버(21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우선 현장 담당자(1)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이용해 중앙서버(210)에 등록하거나 또는 해제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현장 담당자(1)의 등록 이후에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통해 중앙서버(210)로 현장 담당자(1)의 위치와 상태를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중앙서버(210)에서 현장 담당자(1)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 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위치에 따라 주변 시설물의 종류 터널, 교량, 화기 주의지점, 사구간 등을 고려하여 사고 고장 발생시 제공되는 조치내용이 달라 질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에는 철도차량의 사고 고장 등의 이례상황이나 유지보수 상황 발생시 그에 대한 조치시 활용할 수 있는 대응메뉴얼이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어 있어, 필요한 경우 현장에서 기관사 또는 유지보수자 등의 현장 담당자(1)가 관련 매뉴얼을 직접 검색하며 조치할 수 있다.
한편, 철도차량 등의 사고 또는 고장상황과 같은 이례상황이 발생하거나 유지보수 상황이 발생한 경우 현장 담당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통해 음성정보와 영상정보 등을 포함하는 현장 정보를 중앙서버(210)로 전송하여 자문을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장정보는 중앙서버(210)로 수신되면 관제용 단말기(220)로 표출해 줌으로써 전문가인 관제사(2)가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원격지령정보를 관제사(2)가 관제용 단말기(220)를 통해 입력하면 중앙서버(210)를 거쳐 현장 담당자(1)의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사전에 저장된 유지보수 매뉴얼 및 이례상황에 대한 조치 매뉴얼을 원격으로 지정하여 모바일 화면에 표출하도록 원격지령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현장 영상이 수신되는 경우 관제사(2)가 관제용 단말기(220)를 통해 추가적으로 드로잉 등의 방식으로 표식과 지시사항을 추가한 조치영상을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전송하여 현장 담당자가 좀더 정확하고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변경된 스케줄을 데이터 형태로 전송 또는 스캔파일 이미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고, 지시사항은 메모 또는 문자로 전송함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현장 담당자 2: 관제사
100: 모바일 디바이스 200: 관제센터
210: 중앙서버 220: 관제용 단말기

Claims (8)

  1. 철도차량의 기관사 또는 유지보수자가 구비하고, 철도차량의 이례상황 및 유지보수상황에 대한 대응메뉴얼이 저장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러기드(Rugged)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져 철도차량의 사고 또는 고장을 포함하는 이례상황이나 철도차량 및 시설물의 유지보수상황을 포함하는 현장정보를 위치정보와 함께 현장 음성 또는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형태로 관제센터의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관제센터의 관제사와 화상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현장정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된 대응메뉴얼에서 매칭되는 이례상황조치 메뉴얼 또는 고장조치 메뉴얼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표출되도록 관제사의 원격지령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관제센터의 중앙서버; 및
    관제센터에 구비되어 중앙서버에서 수신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음성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현장정보를 출력하여 관제사가 분석할 수 있도록 하고, 분석에 따른 원격지령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관제용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관제용 단말기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정보에 관제센터에서의 표식과 지시사항을 추가한 조치영상을 입력하여 중앙서버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철도운영자 정보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치영상은 중앙서버에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철도운영자 정보 제공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례상황이나 유지보수시에는 주기적 또는 데이터 통신시에 상기 중앙서버에 위치보고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반 철도운영자 정보 제공시스템.
KR1020140149303A 2014-10-30 2014-10-30 모바일 기반 철도운영자 정보 제공시스템 KR101624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303A KR101624651B1 (ko) 2014-10-30 2014-10-30 모바일 기반 철도운영자 정보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303A KR101624651B1 (ko) 2014-10-30 2014-10-30 모바일 기반 철도운영자 정보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063A KR20160054063A (ko) 2016-05-16
KR101624651B1 true KR101624651B1 (ko) 2016-05-31

Family

ID=56099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303A KR101624651B1 (ko) 2014-10-30 2014-10-30 모바일 기반 철도운영자 정보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6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38565A (zh) * 2021-09-24 2021-12-24 中国科学院近代物理研究所 一种医用重离子加速器控制智能运维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141B1 (ko) * 2002-10-21 2005-11-29 에스케이 주식회사 차량 장착 단말기 및 차량 종합 관리 서버와, 이 차량장착 단말기를 사용한 차량 종합 관리 시스템
JP2011250573A (ja) * 2010-05-26 2011-12-08 Mitsubishi Electric Corp 列車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列車情報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141B1 (ko) * 2002-10-21 2005-11-29 에스케이 주식회사 차량 장착 단말기 및 차량 종합 관리 서버와, 이 차량장착 단말기를 사용한 차량 종합 관리 시스템
JP2011250573A (ja) * 2010-05-26 2011-12-08 Mitsubishi Electric Corp 列車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列車情報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063A (ko) 201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7726B2 (en) Enhanced rail worker protection warning system (PWS)
CN103632560B (zh) 智能公交车站牌
CN103632561B (zh) 智能公交车站牌
WO2020094650A1 (en) Railway trackside worker safety system
JP5312210B2 (ja) 列車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列車情報表示方法
JP685967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624651B1 (ko) 모바일 기반 철도운영자 정보 제공시스템
JP2010228576A (ja) 継電連動装置監視機能付きctc駅装置
JP5033774B2 (ja) 鉄道保守作業管理システム
KR101708338B1 (ko) 열차 운행 감시 시스템
JP2005289309A (ja) 列車接近警報システム
CN103072859A (zh) 一种rfid电梯监测控制板
KR20070066498A (ko) 열차무선데이터 통신시스템
JP2017013578A (ja) 列車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列車運行管理方法
KR20170108271A (ko) 비콘을 활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
JP2013139205A (ja) 列車保安情報伝送システムおよび列車保安情報伝送方法
JPH09107410A (ja) 保守員の位置把握システム
JP2006059059A (ja) 動態管理システム
CN113204040B (zh) 轨道交通工程车监控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A3144328A1 (en) Board signage safety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JP2017013584A (ja) 乗務員運用支援システム
JP2017047741A (ja) 列車接近警報システム
GB2577960A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personnel
KR20020046291A (ko) 씨비티씨를 이용한 열차 방호 무선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190030139A (ko)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이를 이용한 열차 관제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