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139A -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이를 이용한 열차 관제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이를 이용한 열차 관제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139A
KR20190030139A KR1020170161902A KR20170161902A KR20190030139A KR 20190030139 A KR20190030139 A KR 20190030139A KR 1020170161902 A KR1020170161902 A KR 1020170161902A KR 20170161902 A KR20170161902 A KR 20170161902A KR 20190030139 A KR20190030139 A KR 20190030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in
section
user
application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0652B1 (ko
Inventor
김신
Original Assignee
김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신 filed Critical 김신
Publication of KR20190030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04M1/72572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 관제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같은 범용 휴대용 전자 단말기를 철도교통관제센터의 종합관제실과 연동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열차 관제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종합 관제실에 제공하고, 종합 관제실은 그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주변지역에 대한 열차 정보 및 급단전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발생 가능한 긴급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이를 이용한 열차 관제시스템 및 방법{SAFETY APPRICATION PROGRAM, TRAIN CONTROL NETWORK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차 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범용 휴대용 전자 단말기를 철도교통관제센터의 종합관제실과 연동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열차 관제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철도 운용 업체에서는 예상치 못한 열차사고를 방지하고, 효율적이고 안전한 열차의 운행을 위해 선로로부터 떨어진 원격지 곳곳에 관제실을 설치 및 운영하고 있다. 각 관제실은 철도교통관제센터의 종합 관제실과 연결되어 있으며, 각 관제실에 상주하는 관제사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하여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선로구간을 출입하는 열차들을 감시하고, 각 열차의 기관사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열차들 간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열차들간의 열차충돌에 의한 대형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사고방지 시스템은 열차간 사고를 방지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각 지역의 시설물 및 선로의 공사, 유지보수를 위해 현장에 배치된 작업자들에게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는 보호 시스템은 별도로 운영되고 있다.
특히, 종래 많은 안전상의 위험이 존재하는 고속철도 등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중인 보호설비로서, 작업자 보호장치(CPT), 역구내 작업자보호장치(TZEP) 등은 관리자의 취급 후 관제사의 승인절차를 거쳐 진행되는 구조로서, 담당자들의 실수 또는 오조작 등의 인적사고로 그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고속철도가 아닌 일반철도 구간에는 이러한 보호설비가 구비되지 않는 실정이다.
이러한 작업자에 대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시스템 중 하나로서, 열차와 작업자간 직접 통신하여 열차운행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도 1은 종래 열차접근 경보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열차접근 경보 시스템에서는, 각 현장 작업자에게 신호 수신기(1)를 배포하고, 그 신호수신기(10)를 통해 GPS 좌표를 출력하는 위성(Satellite, 3)으로부터 송출되는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자신의 위치를 판단한다. 그리고, 열차(5)는 위성(3)으로부터 송출되는 GPS 좌표를 수신하여 신호 수신기(1)에 전송하고, 신호 수신기(1)는 열차(5)로부터 전송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정보와 비교하며, 열차(5)가 자신의 위치로 접근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경보음, 경고등, 안내멘트 및 문자 메시지를 통해 열차 접근을 작업자에게 알리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작업자 보호 시스템에서는, 각 작업자에게 별도의 전용 신호 수신기(1)를 배포해야 하고, 이에 따른 시스템 구축 비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작업자에게 복수의 열차가 접근하는 경우 작업자는 어떤 경로의 열차가 접근하는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고압 전철선의 경우 작업자가 해당 구간의 급단전 정보를 정확히 인지하고 있지 않으면, 열차에 의한 사고 이외의 누전 등으로 인한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종래 안전시스템에서는 이러한 감전사고에 대한 별도의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각 지역 철도구간에서 작업중인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를 통하여 열차 정보 및 급단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작업현장에서 손쉽게 현재 상황을 입력할 수 있는 GUI를 제공하여 경고알림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작업환경을 구축하는데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 어플레케이션 프로그램은, 단말기에 설치되어 관제서버와 연동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 사용자의 설정을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GUI를 제공하여 단말의 현재 위치를 관제서버에 전송하는 제1 섹션과, 정보통신망을 통해 현재 시점에서의 열차 정보 또는 급단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섹션의 설정에 따라 상기 열차 정보 또는 급단전 정보에 각각 포함된 CTC 데이터 및 SCADA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작업현장에서 열차 진입 또는 급전 시작에 따른 경고를 제공하는 제2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에 저장된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열차 관제시스템은, 상기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응하는 열차 정보 및 급단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관제서버와, 상기 관제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열차 정보 및 급단전 정보를 각각 생성하는 열차집중제어장치 및 급단전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설정을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GUI를 제공하여 단말의 현재 위치를 관제서버에 전송하는 제1 섹션과, 정보통신망을 통해 현재 시점에서의 상기 열차 정보 또는 급단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섹션의 설정에 따라 상기 열차 정보 또는 급단전 정보에 각각 포함된 CTC 데이터 및 SCADA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작업현장에서 열차 진입 또는 급전 시작에 따른 경고를 제공하는 제2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서버와 연동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열차 관제방법은, 상기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가 위치정보를 수신 및 상기 관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관제서버가 위치정보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 상기 열차집중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열차 정보 및 상기 급단전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급단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열차정보 및 급단전 정보에 각각 포함된 CTC 데이터 또는 SCADA 데이터에 대응하여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하나이상의 단말기가 상기 관제서버에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메뉴선택에 따라 현재 작업구간 및 경고 알림을 설정하는 단계와, 정보통신망을 통해 현재 시점에서의 상기 열차 정보 또는 급단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열차 정보 또는 급단전 정보에 각각 포함된 CTC 데이터 및 SCADA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작업현장에서 열차 진입 또는 급전 시작에 따른 경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이를 이용한 열차 관제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종합 관제실에 제공하고, 종합 관제실은 그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주변지역에 대한 열차 정보 및 급단전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발생 가능한 긴급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이를 이용한 열차 관제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가 작업현장에서 손쉽게 현재 상황을 입력할 수 있는 GUI를 제공하고, CTC 데이터 또는 SCADA 데이터를 통해 경고설정 및 경고를 수신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작업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열차접근 경보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열차 관제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열차 관제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열차가 양방향으로 운행하는 단선에서의 알림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b는 열차가 상행선 및 하행선에서 각각 운행하는 복선에서의 알림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도 8b,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화면 및 선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작업입력 화면 및 선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모듈(Module)" 및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모듈(Module)",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의 컴포넌트와 등가 혹은 둘 이상의 컴포넌트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버 또는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하드웨어 모두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이를 이용한 열차 관제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열차 관제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열차 관제시스템은,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열차 관제시스템으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하나이상의 단말기(100)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단말기(100)에 대응하는 안전정보의 생성을 제어하는 관제서버(200) 및, 관제서버(200)의 제어에 따라, 단말기(100)에 상기 안전정보를 제공하는 복수의 제어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이상의 단말기(100)는 각 지역의 선로 및 시설물 현장에 배치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데이터를 생성, 가공 및 전송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100)는 GPS 수신모듈을 탑재하고 있으며, 정보 통신망을 통해 철도교통관제센터 종합관제실의 관제서버(200)에 접속하여 GPS 신호에 의해 산출된 좌표에 따른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일예로서, 단말기(100)로는 다양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고, 정보 통신망에 손쉽게 접속할 수 있으며, 다수의 사람들에게 널리 보급되어 있는 스마트 폰, 노트북, PDA 및, 태블릿 PC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관제서버(200)는 철도교통관제센터 종합관제실에 설치되며, 각 지역에 설치된 열차집중 제어장치(Centralized Traffic Control; CTC, 310) 및 급단전 제어장치(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CADA, 320)과 연결되어 있고, 각 제어장치(30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기(100)들에 적합한 열차 정보 및 급단전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제서버(200)는 각 단말기(100)들의 위치정보와 제어장치(300)들의 동작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모니터링부(210)와, 위치정보에 따라 제어장치(300)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동시에, 각 제어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열차 및 급단전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관리하는 제어부(220) 및, 각 단말기(100) 및 제어장치(300)의 관제를 위해 요구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300)는, 크게 열차집중 제어장치(310) 및 급단전 제어장치(320)로 구분될 수 있다. 열차집중 제어장치(310)는 관제서버(200)의 제어에 따라, 폐색 정보와 복수의 열차에 대한 열차번호 및 운행 스케줄 정보 등에 기초하여 충돌 가능성이 있는 열차들의 열차번호와, 해당 선로구간을 담당하고 있는 해당 관제사의 콘솔 ID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 및 추출함으로써 관제되는 열차(30)들의 운행을 감시하여 충돌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열차집중 제어장치(310)는 관제서버(2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각 단말기(100)들의 위치정보에 기초한 인접 열차(30)들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열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급단전 제어장치(320)는 각 지역에 설치된 복수의 변전소(50)와 연결되어 구간별 급단전 정보를 관제서버(200)에 제공하는 동시에,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각 단말기(100)들의 위치정보에 기초한 인접 선로들에 대한 급단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차 관제시스템은, 관제서버(200)가 현장의 사용자들이 일반적으로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100)를 통해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기(100)에 적절한 안전정보를 설정하고 제어신호를 통해 제어장치(300)가 안전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현장의 사용자가 작업 중 위험발생을 예상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열차 관제시스템에 따르면,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함에 따라, 기본적으로 내장된 통화기능을 통해 종합 관제실에 현장 상황을 직접 보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현장 작업자뿐만 아니라 열차의 기관사에게도 동일한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을 할당하여 동일 서비스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열차 관제시스템은, 작업자들이 무단으로 작업현장을 벗어나는 상황을 감독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으며, 고속철도 뿐만 아니라, 광역철도 및 지하철 등의 어떠한 철도 운용 업체들도 활용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차 관제시스템에 포함되는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단말기(100)는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모듈(110)과, 정보통신망 접속을 통해 산출된 위치신호를 송신하거나, 안전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120)과, 단말기(100)의 구동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30)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140)와, 단말기 전체의 구동을 제어하며, 설치된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0)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150)와, OS(Operatoin System, 161)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0)이 저장 및 상주되는 메모리(160)를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110)은 GPS 위성 및/또는 기준국으로부터 위성신호 및/또는 위치보정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즉, GPS 모듈(110)은 GPS 위성에서 지속적으로 송신하는 GPS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함과 아울러 상기 기준국에서 송신하는 위치보정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단말기(100)의 현재위치에 대한 위치데이터, 궤도데이터 및 시간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좌표데이터를 얻게 된다.
통신모듈(120)은 정보 통신망과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단말기(100)가 GPS 신호의 획득에 따라 위치정보를 생성하면, 이를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통신모듈(120)은 송신세션 이외에도 수신세션을 동시에 처리하여 인접한 제어장치들로부터 안전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Display, 130)는 단말기(100)의 구동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비디오 어뎁터(Video Adapter)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0)은 현재 사용자의 위치와, 수신한 안전정보에 기초한 폐색구간별 열차 정보, 각 구간별 급단전 정보를 도면화된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30)로는, 소형의 전자 단말기에 적합한 소형의 액정표시소자(LCD), 전기영동소자(EPD) 및 유기전계발광소자(OLED)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Interface, 140)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0)은 아이콘(Icon) 및 텍스트박스(Text Box)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작업위치를 설정하여 해당 구간의 열차 정보 및 급단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140)는 전술한 디스플레이(130)와 일체형인 터치패널(Touch Panel)로 구현될 수 있다.
AP(Application Processor; 150)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이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에 적합한 시스템 온 칩(SOC)일 수 있으며, OS(161) 및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0)을 실행하고 단말기(100)의 각 모듈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P(150)는 메모리(160)상에 저장되어 있는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600)을 실행하여 안전정보 등을 제공함에 있어서, GPS 모듈(110)을 제어하여 수신한 GPS 신호에 기초한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정보를 통신모듈(120)을 제어하여 정보 통신망을 거쳐 관제서버로 송신하게 된다.
이러한 AP(150)를 포함한 각 구성장치들은 내부적으로 서로 시스템 버스(System Bus)에 의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 버스는 메모리 버스(Memory Bus)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Memory Controller), 주변 장치 버스(Peripheral Device) 및 다양한 버스 아키텍처들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Local Bus)를 비롯한 소정의 버스구조들을 하나이상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단말기(100)를 구동하기 위한 OS(161)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0)이 저장될 뿐만 아니라, 기타 프로그램 들이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종류에 따라 실행시 프로세스가 상주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60)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60)에 저장된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0)은 위치정보의 전송기능과 안전정보의 표시기능과 관련된 작업을 각각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프로그램 섹션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프로그램 섹션은 복수의 프로그램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설치되는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600)은, 크게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관제서버에 전송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경고를 설정하는 제1 프로그램 섹션(610)과, 인접한 지역의 제어장치들로부터 열차 정보 또는 급단전 정보를 수신하고, 경고를 표시하는 제2 프로그램 섹션(6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프로그램 섹션(610)은 GPS 위성 또는 정보통신으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611)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작업구간에 대한 정보요청을 입력받는 정보 요청부(612)와, 생성된 위치정보 또는 정보요청을 상기 관제서버에 전송하는 위치정보 처리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로그램 섹션(610)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작업구간에 대한 현재상황을 입력받는 상황 입력부(61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위치정보 처리부(613)는,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현재상황에 대한 연관관계를 설정하여 상기 관제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위치정보 수신부(611)는 GPS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GPS 신호 및/또는 기준국에서 송신하는 위치보정신호를 전송받아 단말기의 현재위치에 대한 위치데이터, 궤도데이터 및 시간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좌표데이터를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정보 요청부(61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지도상의 특정지역을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간입력기능을 선택하면 화면상에 도면형태의 지도를 표시하고, 특정 지역을 선택하면 해당 지역에 대한 좌표데이터를 위치정보 처리부(613)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위치정보 처리부(613)는 그 좌표데이터를 관제서버에 전송하고, 관제서버는 해당 지역의 제어장치에 요청하여 열차 정보 또는 급단전 정보를 단말기에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자신과 인접한 구간에 대한 열차 정보뿐만 아니라, 현재상황을 확인하고자 하는 특정 지역의 급단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위치정보 처리부(613)는 산출된 좌표데이터에 근거하여 현재 단말기에 대한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모듈을 통해 관제서버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위치정보 처리부(613)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특정 지역의 폐색구간 또는 급단전구간에 대한 정보를 관제서버에 요청하거나, 또는 현재위치에 기초한 작업관련 정보를 종합 관제실 및 타 지역의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상황 입력부(614)는 사용자가 현재 작업구간에서 발생한 다양한 정보를 종합 관제실 및 타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여 정보를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현장의 사용자는 작업전 보고된 사항뿐만 아니라, 작업도중 인지된 시설물 상태 또는 기타 위해사항 등에 대하여 보고할 수 있으며, 상황 입력부(614)는 아이콘, 텍스트 박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현재상황이 입력되면, 이를 위치정보 처리부(613)를 통해 관제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황 입력부(614)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각 선로의 명칭을 선택할 수 있는 텍스트 박스 및 스크롤 등을 포함하는 GUI(6141)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관제서버에서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컨버터(6143)와, 각 지역의 선로의 명칭, 위치 및 구간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6145)를 포함할 수 있다.
GUI(6141)는 현장의 작업중인 작업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선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그래픽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GUI(6141)는 복수의 메뉴로 구성될 수 있고, 각 메뉴에는 작업현장에 해당하는 선로명, 작업구간 입력, 경보구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메뉴에 표시된 선로명 등을 선택하여 경보를 원하는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컨버터(6143)는 GUI(6141)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관제서버가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는 선로명, 위치, 구간명과 같은 문자 데이터와, 경보알림 시간과 같은 숫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를 그대로 관제서버에 전송하는 것이 아닌, 관제서버에서 식별이 용이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전송하게 된다.
데이터 베이스(6145)는 GUI(6141)에서 제공하는 메뉴에 포함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GUI(6141)는 데이터 베이스(6145)와 연동하여 선로명, 선로구간 등을 추출하고, 메뉴에 삽입하여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데이터 베이스(6145)는 통신모듈을 통해 일정한 시점마다 관제 서버와 통신하여 수집되는 선로에 대한 정보, 일예로서 새로운 선로가 개통되었거나 기존 선로가 연장되는 등의 최신 정보로 그 저장내용이 갱신될 수 있다.
관제서버는 전송된 상황의 출처를 단말기 ID를 통해 식별하고, 등록된 타 단말기들에 제어장치를 통해 해당 상황을 공유하게 된다. 또는, 관제서버는 제어장치를 거치지 않고, 정보통신망을 통해 푸시 데이터(Push Data) 형태로 타 단말기들에 상기 상황을 직접 전송하는 방식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상황 입력부(614)를 통해 알림 시작위치 및 작업위치를 직접 설정하여 열차진입여부에 따른 경고알림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선로가 1호부터 11호까지 폐색구간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현재 폐색구간 7호에서 작업하고 있다고 할 때, 사용자는 알림 시작위치를 폐색구간 5호 내지 9호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차가 설정된 폐색구간 5호 또는 9호로 진입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열차접근 경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후, 열차가 작업위치인 폐색구간 7호 선로를 지나가게 되면 경고알림을 해제하게 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 입력부(614)를 통한 사용자 설정방법 및 경고알림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2 프로그램 섹션(620)은 단말기가 수신한 안전정보에 기초하여 각 선로에 대한 폐색구간 및 급단전구간을 판단하는 구간 판단부(621)와, 판단된 폐색구간 또는 급단전구간을 지도상에 반영하는 맵핑부(622)와, 상기 폐색구간 및 급단전 구간이 도시된 지도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구간 판단부(621)는, 통신모듈을 통해 각 지역의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안전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에 인접한 각 구간들에 대한 폐색구간 및 급단전 구간을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안전정보는 관제센터의 제어에 따라 추출된 특정 지역에서의 열차 정보 및 급단전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열차 정보는 열차집중제어장치(CTC)로부터 제공되는 철도의 열차운행 감시 및 통제정보이고, 급단전 정보는 구간별 급단전제어장치(SCADA)로부터 제공되는 변전소 및 구분소의 전기 공급 및 차단에 관련된 정보이다.
구간 판단부(621)는 이러한 안전정보에서 열차 정보 및 급단전 정보를 각각 CTC 데이터(6211) 및 SCADA 데이터(6215)로 분류하고, 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지도상에 도시될 폐색구간 또는 급단전구간을 판단하게 된다.
폐색구간은 700 m 내지 800 m 로 나뉘어 정의될 수 있고, 폐색구간에 열차가 진입하면 그 구간은 적색신호로 설정되어 다른 열차가 진입하지 못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 CTC 데이터(6211) 및 SCADA 데이터(6215)를 작업자의 단말기에 송신하여 열차의 접근을 미리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맵핑부(622)는, 구간 판단부(621)에 의해 판단된 폐색구간 또는 급단전 구간을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지도상에 반영하는 역할을 한다. 일예로서, 상기 지도는 통상적인 전자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지도 API의 호출을 통해 생성할 수 있으며, 지도상에 포함된 열차구간에 상기 폐색구간 또는 급단전 구간을 매핑(mapping) 하는 방식으로 지도를 구현할 수 있다.
정보 표시부(623)는 폐색구간 또는 급단전구간이 도시된 지도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도와 이에 포함된 열차구간은 도면화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사용자는 폐색구간에 대한 정보를 통해 작업중인 선로에 대한 위험발생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고, 또한 급단전구간을 통해 감전사고 위험을 예측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열차 관제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열차 관제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열차 관제방법은, 중앙 관제서버(200) 및 이와 연결된 각 지역의 제어장치(300)간에 제어정보를 송수신(S100)하는 상태(S100)를 전제로 하며, 각 현장의 사용자들이 소지한 단말기에 설치된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에 따라, 제1 프로그램 섹션(610)이 GPS 신호를 수신한다(S110). 이후 제1 프로그램 섹션(610)은 GPS 신호에 따른 좌표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게 된다(S111).
이어서, 제1 프로그램 섹션(610)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위치정보를 관제서버(200)에 제공하고(S112), 관제서버(200)는 해당 단말기(100)를 식별하고 전송된 위치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단말기(100)에 대한 안전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필요데이터를 수집한다(S120). 상기 S120 단계에서는, 위치정보를 전송한 단말기(100)에 대한 데이터와, 모든 구간별 열차 정보 및 급단전 정보 중에서 그 단말기(100)와 인접한 구간의 제어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 및 추출하게 된다. 여기서, 급단전 정보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관제서버(200)는 수집된 필요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제어장치(300)에 안전정보를 생성할 것을 제어신호를 통해 요청한다(S121). 이에 응답하여 제어장치(300)는 해당 구간에 대한 열차 정보 및 급단전 정보를 추출하고(S131), 이에 대응하여 안전정보를 생성한다(S132).
이어서, 제어장치(300)는 생성한 안전정보를 정보 통신망을 통해 제2 섹션(S620)에 제공한다(S133). 안전정보를 수신한 단말기(100)의 제2 프로그램 섹션(620)은 안전정보에 포함된 열차 정보 및 급단전 정보에 대응하여 기초하여 각 선로에 대한 폐색구간 및 급단전 구간을 판단한다(S140).
다음으로, 제2 프로그램 섹션(620)은 판단된 폐색구간 및 급단전 구간을 지도상에 반영하고(S141), 지도화면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한다(S142).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필요에 따라 제1 프로그램 섹션(610)은 사용자로부터 경고알림 시작위치 및 작업위치를 입력받아, 그 설정에 따라 해당 폐색구간에 열차가 진입하면, 경고알림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된 지도 및 지도상의 선로구간의 상태를 확인하여, 위험발생을 예상할 수 있고 미리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의 일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단말기(700)의 화면상에 초기화면을 제공하고, 수신된 GPS 신호에 기초하여 지도화면(701)에 사용자의 현재위치(702)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은 지도화면(701)상에 상기 GPS 신호에 따른 좌표데이터(705)를 수치화하여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GPS 신호에 따른 위치정보를 관제서버에 제공하고, 관제서버의 제어에 따라 해당 지역의 열차 정보 및 급단전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정보의 제공을 요청한다.
그리고, 안전정보를 수신하면,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안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에서 인접한 구간들에 대한 폐색구간 및 급단전구간을 화면상에 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도 6b는 지도화면(710)상에 사용자의 위치(712)와 인접한 선로의 폐색구간을 표시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면에서는 사용자 주변의 폐색구간(715)들을 나타내고 있고, 빗금으로 표시된 부분은 열차가 인접한 폐색구간으로서 교통관제센터 및/또는 지역관제 조작반의 현황판에는 적색으로 표시되고, 나머지 부분은 녹색으로 표시된다.
이에 따라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지도화면(710)상에 경고문구(716)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c는 사용자에 요청에 따른 급단전 정보에 대한 지도화면(720)을 예시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작업위치(743)를 설정하면 지도화면(720)상에 설정된 위치에 인접한 선로(725)들에 대하여 급전선로(721) 및 단전선로(722)가 매핑(Mappinig)되어 표시된다. 설정된 작업위치(743)는 지시아이콘(724) 형태로 지도화면(720)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지시아이콘(724)을 터치하는 동작으로 통해 위치를 이동시켜 작업위치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d는 사용자가 작업현장에서 발생하는 기타 상황을 종합 관제실에 보고시,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GUI를 예시한 것으로,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황 입력화면(730)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주변상황 및 작업현장에서 확인된 위해사항 등을 입력하여 종합 관제실에 보고할 수 있다. 상황 입력화면(730)은 하나이상의 아이콘 또는 텍스트 박스 등을 포함하는 GUI(731)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현장상황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알림 시작위치 및 작업위치를 직접 설정하여 열차진입여부에 따른 경고알림을 수신할 수 있다. 도 7a는 열차가 양방향으로 운행하는 단선에서의 알림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b는 열차가 상행선 및 하행선에서 각각 운행하는 복선에서의 알림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선로가 1호부터 11호까지 폐색구간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현재 폐색구간 7호에서 작업하고 있다고 할 때, 사용자는 알림 시작위치를 폐색구간 5호 내지 9호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열차가 진입하는 폐색구간은 상황실에서 적색으로 확인될 수 있고, 나머지 구간은 녹색으로 확인될 수 있다. 이후, 예를 들면 '1207호' 열차 또는 '2011호' 열차가 설정된 폐색구간 5호 또는 9호로 진입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열차접근 경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도 6b 참조).
이후, 열차가 작업위치인 폐색구간 7호 선로를 지나가게 되면 경고알림을 해제하게 하게 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행선에서 작업중인 사용자가 현재 폐색구간 7호에 있으며, 알림 시작위치를 폐색구간 상행 5호로 설정할 수 있으며, '1207호' 열차가 상행 5호에 진입하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경고알림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열차가 상행 7호를 지나치게 되면, 경고알림을 해제하게 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상행선과 하행선은 인접하여 있으므로, 상행선뿐만 아니라 하행선에 대한 경고알림도 함께 설정할 수 있으며, 하행 9호에 대하여 알림 시작위치를 설정하면, 상행선과 동일한 경고알림을 수신할 수 있다.
도 8a, 도 8b,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작업위치 입력 화면 및 선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작업현장에서 자신이 소지한 단말기(800)에 설치된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GUI를 통해 하나 이상의 작업구간 및 이에 따른 경보구간을 입력할 수 있다.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작업구간 입력화면(810)은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할 수 있고, 각 메뉴는 스크롤 버튼 및 텍스트 입력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화면(810)은 현재 작업중인 대표 선로명을 입력하는 작업선 입력창(811)과, 대표 선로에서 작업구간을 폐색구간 단위로 입력하는 작업구간 입력창(813)과, 폐색구간에 따라 경보구간을 입력하는 경보구간 입력창(81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입력창은 서로간의 상위개념 및 하위개념으로 구분될 수 있고, 작업선 입력창(811)에 상위계층인 대표 선로가 입력되면, 작업구간 입력창(813) 및 경보구간 입력창(815)에는 그 대표 선로에 해당하는 폐색구간만이 데이터 베이스에서 추출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8b는 도 8a의 입력창에 입력된 선로 및 구간설정에 따른 선로정보 표시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입력된 선로의 구간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상행선 및 하행선 구간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각 폐색구간에 열차가 진입하지 않는 구간을 녹색(green)으로 표시되며,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주변의 폐색구간 상의 열차진입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9a는 사용자에 의한 경고구간의 설정 이후, 열차가 작업지역으로 접근시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경고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경고화면(820)은 현재 작업중인 선로의 폐색구간을 이미지로 표시하는 열차운행 정보창(821) 및 텍스트 형태의 구체적 열차 접근 정보를 표시하는 경고창(825)을 포함할 수 있다.
열차운행 정보창(821)은 설정된 선로에 대한 폐색구간 이미지를 표시하게 되며, 열차가 운행중인 폐색구간은 적색(red)으로, 나머지 구간을 녹색(green)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경고창(825)은 현재 열차의 위치를 보다 상세하게 알려줄 수 있으며, 해당 열차의 열차번호 및 그 열차가 운행중인 폐색구간을 텍스트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도 9b는 도 8a의 열차운행 정보창에 표시되는 선로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경부 상행선의 사용자의 위치 및 그 상행선의 폐색구간 3에 접근하는 '1234호' 열차의 위치를 선로 색상 및 열차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1234호' 열차의 위치는 단말기의 구간 판단부가 열차 정보의 CTC 데이터를 활용하여 판단하고, 선로 이미지에 반영할 수 있다. 도 9b에서는 폐색구간 5에서 작업하고 있는 사용자가 경보설정을 폐색구간 3으로 입력한 예를 나타내고 있고, 이러한 경우 열차가 폐색구간 4에 진입하게 되면, 그 700 m 떨어진 지점, 즉 폐색구간 5에 위치한 사용자의 단말기가 경보를 알리게 된다.
한편, 작업 또는 장비의 종류에 따라 대피시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설정 이후 언제라도 사용자는 경보구간을 재설정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작업입력 화면 및 선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열차 정보 이외에도 급단전 정보에 포함된 SCADA 데이터를 이용하여 급단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작업현장에서 자신이 소지한 단말기(800)에 설치된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GUI를 통해 급단전과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작업구간 및 이에 따른 경보구간을 입력할 수 있다.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작업구간 입력화면(830)은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할 수 있고, 각 메뉴는 스크롤 버튼 및 텍스트 입력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화면(830)은 현재 작업중인 대표 선로명을 입력하는 작업선 입력창(832)과, 대표 선로에서 작업구간을 급전소(SP) 또는 보조급전소(SSP) 단위로 선택 및 입력하는 작업구간 입력창(834)과, 급전 시작전 알림을 설정하는 급전알림 설정창(836) 및, 단전여부를 텍스트로 표시하는 단전여부 알림창(838)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입력창은 서로간의 상위개념 및 하위개념으로 구분됨에 따라 작업선 입력창(832)에 상위계층인 선로가 입력되면, 작업구간 입력창(834) 및 경보구간 입력창(815)에는 그 선로에 대응하는 보조급전소(SSP)만이 데이터 베이스에서 추출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10b는 사용자는 경고구간의 설정 이후, 열차가 작업지역으로 접근시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경고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경고화면(820)은 현재 작업중인 선로의 급단전 정보를 이미지로 표시하는 급단전 정보창(841) 및 텍스트 형태의 구체적 열차 접근 정보를 표시하는 경고창(84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고창(845)은 SCADA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시간 이후의 선로에 대한 급전시작 시간을 알려줄 수 있다.
도 10c는 도 10b의 급단전 정보창에 표시되는 선로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특정 선로에 위치한 사용자 및 그 선로에 포함된 보조급전소(SSP)의 급전 및 단전상태를 색상으로 표시하게 되며, 도면에서는 행신SSP - 서울SSP간, 영등포SSP - 구로SSP 간 급전중임에 따라 적색(red)으로 표시하고 서울SSP - 영등포 SSP간 단전중임에 따라 녹색(green)으로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단전구간에 해서는 급전에 재개되는 시간을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급단전 구간 및 시간은 단말기의 구간 판단부가 급단전 정보의 SCADA 데이터를 활용하여 판단하고, 선로 이미지에 반영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30 : 열차 50 : 변전소
100 : 휴대용 단말기 200 : 관제서버
210 : 모니터링부 220 : 제어부
230 : 데이터베이스 300 : 제어장치
310 : 열차집중 제어장치 320 : 급단전 제어장치

Claims (7)

  1. 단말기에 설치되어 관제서버와 연동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
    사용자의 설정을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GUI를 제공하여 단말의 현재 위치정보를 관제서버에 전송하는 제1 섹션; 및
    정보통신망을 통해 현재 시점에서의 열차 정보 또는 급단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섹션의 설정에 따라 상기 열차 정보 또는 급단전 정보에 각각 포함된 CTC 데이터 및 SCADA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작업현장에서 열차 진입 또는 급전 시작에 따른 경고를 제공하는 제2 섹션
    을 포함하는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섹션은,
    GPS 위성 또는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
    상기 위치정보와 관련된 상기 열차 정보 또는 급단전 정보의 요청을 입력받는 정보 요청부;
    상기 요청을 상기 관제서버에 전송하는 위치정보 처리부; 및
    하나 이상의 그래픽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메뉴선택에 따라 현재 작업구간 및 경고 알림을 설정하는 상황 입력부
    를 포함하는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입력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각 선로의 명칭을 선택할 수 있는 텍스트 박스 및 스크롤 등을 포함하는 GUI;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관제서버에서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컨버터; 및
    각 지역의 선로의 명칭, 위치 및 구간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를 포함하는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섹션은,
    상기 단말기가 수신한 열차 정보 또는 급단전 정보로부터 각각 상기 CTC 데이터 또는 SCADA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CTC 데이터 또는 SCADA 데이터에 따라 선로에 대한 폐색구간 또는 급단전 구간을 판단하는 구간 판단부;
    판단된 폐색구간 또는 급단전 구간을 지도상에 반영하는 맵핑부; 및
    상기 폐색구간 및 급단전 구간이 도시된 지도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
    를 포함하는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표시부는,
    사용자가 입력한 경보설정 구간과 현재 열차가 진입한 폐색구간이 일정 구간내 인접하면 경보를 출력하고,
    상기 위치정보가 사용자가 입력한 급단전 구간에 대응하면 급전이 재개되는 시간을 표시하는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6. 기록매체에 저장된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열차 관제시스템으로서,
    상기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응하는 열차 정보 및 급단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관제서버; 및
    상기 관제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열차 정보 및 급단전 정보를 각각 생성하는 열차집중제어장치 및 급단전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설정을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GUI를 제공하여 단말의 현재 위치를 관제서버에 전송하는 제1 섹션; 및
    정보통신망을 통해 현재 시점에서의 상기 열차 정보 또는 급단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섹션의 설정에 따라 상기 열차 정보 또는 급단전 정보에 각각 포함된 CTC 데이터 및 SCADA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작업현장에서 열차 진입 또는 급전 시작에 따른 경고를 제공하는 제2 섹션
    을 포함하는 열차 관제시스템.
  7. 관제서버와 연동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열차 관제방법으로서,
    상기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하나 이상의 단말기가 위치정보를 수신 및 상기 관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위치정보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 열차집중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열차 정보 및 급단전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급단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열차 정보 및 급단전 정보에 각각 포함된 CTC 데이터 또는 SCADA 데이터에 대응하여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하나이상의 단말기가 상기 관제서버에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의 메뉴선택에 따라 현재 작업구간 및 경고 알림을 설정하는 단계;
    정보통신망을 통해 현재 시점에서의 상기 열차 정보 또는 급단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열차 정보 또는 급단전 정보에 각각 포함된 CTC 데이터 및 SCADA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작업현장에서 열차 진입 또는 급전 시작에 따른 경고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열차 관제 방법.
KR1020170161902A 2017-09-13 2017-11-29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이를 이용한 열차 관제시스템 및 방법 KR1020206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069 2017-09-13
KR20170117069 2017-09-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139A true KR20190030139A (ko) 2019-03-21
KR102020652B1 KR102020652B1 (ko) 2019-09-11

Family

ID=66036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902A KR102020652B1 (ko) 2017-09-13 2017-11-29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이를 이용한 열차 관제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6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688B1 (ko) * 2021-05-04 2021-10-05 구스텍 주식회사 지능형 자동 급단전 지령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2855A (ja) * 1995-03-29 1996-10-18 Hitachi Ltd 鉄道保守員安全管理システム
JP2013165420A (ja) * 2012-02-13 2013-08-22 Toshiba Corp 異常通知機能付電鉄用受変電システム
JP2016055765A (ja) * 2014-09-09 2016-04-21 九州旅客鉄道株式会社 列車接近警報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2855A (ja) * 1995-03-29 1996-10-18 Hitachi Ltd 鉄道保守員安全管理システム
JP2013165420A (ja) * 2012-02-13 2013-08-22 Toshiba Corp 異常通知機能付電鉄用受変電システム
JP2016055765A (ja) * 2014-09-09 2016-04-21 九州旅客鉄道株式会社 列車接近警報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688B1 (ko) * 2021-05-04 2021-10-05 구스텍 주식회사 지능형 자동 급단전 지령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652B1 (ko) 201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275B1 (ko)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1229500A (ja) 空港の陸上車両に関するリアルタイムな追跡および管理技術
KR101580188B1 (ko) 작업자 에러방지 무선센서 네트워크 종합시스템
CN103499965A (zh) 智能变电站物联网辅助监控系统
CN103400622A (zh) 核电站主控制室监控模式切换方法和系统
CN113225683A (zh) 基于人员定位的电厂作业安全自动管控系统及管控方法
CN103869219A (zh) 输电网的故障处理方法和装置
CN112365246A (zh) 一种基于ai+gis+bim的智慧管廊综合管理平台
CN202880605U (zh) 物联网电梯综合监控系统
CN104076777A (zh) 一种基于终端的沥青拌和站无线调度系统及调度方法
CN104944239A (zh) 一种电梯维保及检测信息公示系统及实现方法
CN104377835A (zh) 一种配电防误智能终端
KR102020652B1 (ko) 세이프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이를 이용한 열차 관제시스템 및 방법
CN104242449A (zh) 一种服务于调度应用的遥视信息管理的实现方法
CN103676863A (zh) 一种采用数字化技术的核电厂报警显示装置
CN103780473A (zh) 一种井下led智能显示管理辅助系统
KR101998650B1 (ko) 재난 발생 신고에 대한 수보 관리 시스템
CN102385375A (zh) 基于物联网技术的控制室屏柜监护系统
KR101937244B1 (ko) 포괄적 유지보수 전용 시스템
KR101879943B1 (ko) 터널 교통안전방재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036041B1 (ko) 전력확보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61576B1 (ko) Iec61850 기반 현장정보 처리반
CN203930936U (zh) 倒闸操作监控系统
JP4232015B2 (ja) 列車接近警報システム
CN111754003A (zh) 一种应急指挥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