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543A - 컨택트 및 그 컨택트를 사용하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컨택트 및 그 컨택트를 사용하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543A
KR20160140543A KR1020160159177A KR20160159177A KR20160140543A KR 20160140543 A KR20160140543 A KR 20160140543A KR 1020160159177 A KR1020160159177 A KR 1020160159177A KR 20160159177 A KR20160159177 A KR 20160159177A KR 20160140543 A KR20160140543 A KR 20160140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iece
contact piece
connection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니치 마시야마
타카노부 요시미
유키오 사이토
케이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0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5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7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5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onsisting of at least two resilient arms contacting the same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9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multiple contact p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커넥터의 길이 피치 방향 및 짧은(폭) 방향의 소형화를 할 수 있어 소형화해도 파손되지 않고, 안정된 접촉(접속) 신뢰성을 얻을 수 있는 구조의 컨택트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목적은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접속 대상물과 접속하는 접속부(209)를 가지는 컨택트(20)에 대해, 2개의 측벽(202)과 측벽(202)를 연결하는 연결벽(203)을 가지는 대략 コ자형 모양을 한 본체부(201)을 갖추어 2개의 측벽(202)에서 상대물과의 끼움결합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 및 제 2 접촉편(204), (205)를 마련하고, 제 1 및 제 2 접촉편(204), (205)의 자유단 측에, 상대물의 동일면과 접촉하는 활 형상을 한 제 1 및 제 2 접촉부(206), (207)을 상하에 마련해 제 1 및 제 2 접촉부(206), (207)가 상대물과 롤(roll) 면접촉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이다.

Description

컨택트 및 그 컨택트를 사용하는 커넥터 {CONTACT AND CONNECTOR USING THE CONTACT}
본 발명은, 산업 기기나 전기 기기나 전자 기기 등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이용하는 컨택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구조이며, 커넥터의 길이(longitudinal) 피치 방향 및 짧은(폭) 방향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소형화해도 파손되지 않고, 안정된 접촉(접속) 신뢰성을 얻을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컨택트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접속 대상물에 접속하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고정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절연물에 보호 유지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접촉부는, 통상, 1개소에서의 접촉이 많지만, 접촉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2개소에서 접촉시키는 경우도 볼 수 있다. 상기 접속부는, 접속 대상물(기판이나 플렉서블(flexible) 인쇄 기판(이하 FPC라고 한다)이나 케이블 등)에 납땜이나 압접, 압착, 프레스피트(pressfit)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로서는, 적어도, 상기 컨택트와 상기 절연물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상기 컨택트가 상기 절연물에 압입이나 용착이나 일체 성형 등에 의해 보호 유지되고 있다.
하기에, 본 출원인이 2점 접촉으로서 이미 제안한 문헌으로 특허 문헌1(특개 2006-134687)과 특허 문헌 2(특개 2009-230945)이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 2006-134687 [특허 문헌 2] 특개 2009-230945
고객으로부터 커넥터의 소형화(길이 피치 방향 및 짧은(폭) 방향의 소형화)에 대한 요구가 강하며, 소형화해도 강도 면에서 문제가 없고, 또한, 안정된 접촉(접속) 신뢰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1의 구조에서는, 길이 피치 방향의 소형화가 불가능하고, 특허 문헌 2의 구조에서는, 짧은(폭) 방향의 소형화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해서 만들어진 것으로, 간단한 구조이면서 커넥터의 길이 피치 방향 및 짧은(폭) 방향의 소형화를 할 수 있고, 소형화해도 파손되지 않고, 안정된 접촉(접속) 신뢰성을 얻을 수 있는 구조의 컨택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으로, 절연물에 보호 유지 및 배열되는 컨택트이며,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접속 대상물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는 컨택트에 있어서,
2개의 측벽과 해당 측벽을 연결하는 연결벽을 가지는 대략 コ자형 모양을 한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측벽에서 상대물과의 끼움결합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 및 제 2 접촉편을 마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편의 자유단 측에, 상기 상대물의 동일면과 접촉하는 활 형상을 한 제 1 및 제 2 접촉부를 상하에 마련하고,
상기 제 1 및 제2 접촉부가 상대물과 롤(roll) 면접촉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이다.
(2) 상기 컨택트는, 상기 절연물에 보호유지하기 위한 고정부를, 적어도 상기 2개의 측벽 중 어느 한 쪽에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 기재의 컨택트이다.
(3) 상기 절연물에 보호유지하기 위한 고정부를, 상기 연결벽보다 상부의 접촉부 측에서, 적어도 상기 2개의 접촉편의 어느 한 쪽에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 기재의 컨택트이다.
(4) 상기 컨택트는, 상기 본체부를 밀착하여 구부려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 (2) 또는 (3) 기재의 컨택트이다.
(5) 제 2 접촉편을 선단으로부터 대략 활 모양으로 접어 꺾는 한편, 제 1 접촉편의 선단을 대략 L자 모양으로 구부려 접어, 상기 제 1 접촉편과 상기 제 2 접촉편의 선단끼리가 감싸는(wrap)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 (2) 또는(3), (4) 기재의 컨택트이다.
(6) 상기 제 1 접촉편과 상기 제 2 접촉편의 선단끼리를 감싸게(wrap) 해, 유효 끼움결합 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 기재의 컨택트이다.
(7) 상기(1)~(6) 중 어느 1개의 컨택트를, 2개의 상기 제 1및 제2 접촉부가 마주보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접촉편 또는 상기 제 2 접촉편의 어느 하나의 측벽끼리를 연결부에 의해 연결하여, 2개의 상기 컨택트를 일체 구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이다.
(8)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컨택트는, 절연물에 보호 유지 및 배열되는 컨택트이며,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접속 대상물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는 컨택트에 있어서,
저벽에서 상대물과의 끼움결합 방향으로 돌출하며, 또한, 접어 꺾인 모양의 제 1 접촉편을 마련하고,
상기 저벽과 연결하는 측벽으로부터 상대물과의 끼움결합 방향으로 돌출한 제 2 접촉편을 마련하고,
상기 제 1 접촉편의 제 1 접촉부와 상기 제 2 접촉편의 제 2 접촉부를 폭 방향의 동일 위치에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이다.
(9) 상기 컨택트는, 상기 측벽을 대략 수직으로 구부려 접음과 동시에 상기 제 2 접촉편을 굴곡 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 1 접촉편의 제1 접촉부와 상기 제 2 접촉편의 제2 접촉부를 폭 방향의 동일 위치에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8) 기재의 컨택트이다.
(10) 상기 컨택트는, 상기 측벽을 비스듬하게 구부려 접음으로써 상기 제 1 접촉편의 제 1 접촉부와 상기 제 2 접촉편의 제2 접촉부를 폭 방향의 동일 위치에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8) 기재의 컨택트이다.
커넥터(connector)는, 상기(1) 내지 (10) 기재의 컨택트와 해당 컨택트를 보호 유지 및 배열하는 절연물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컨택트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이며, 커넥터의 길이 피치 방향 및 짧은(폭) 방향의 소형화를 할 수 있어 소형화해도 파손되지 않고, 안정된 접촉(접속)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컨택트를 사용하는 커넥터로, 커넥터의 길이 피치 방향 및 짧은(폭) 방향의 소형화를 할 수 있어 소형화해도 파손되지 않고, 안정된 접촉(접속)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3)의 구조라면, 싱글 접점과 더블 접점으로 절연물을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어 연결벽 부분이 전향 없이, 안정된 접속을 얻을 수 있다. 상기(5)와 (6) 같은 구조로 한다면, 상대물과 끼움결합했을 때에 있어서 접촉하기 시작한 후 부터 완전 끼움결합까지의 거리인 유효 끼움결합 공간(유효 접촉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유효 끼움결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으로, 다소 끼움결합 부족이 있을지라도 접속 불량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상기(7) 기재의 컨택트는, 대전류용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도 1]
(A) 본 발명의 컨택트(contact)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B) 본 발명의 컨택트를, 접속 대상물의 접속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
(A) 본 발명의 컨택트를 이용한 커넥터(connector)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B) 본 발명의 컨택트를 이용한 커넥터를, 접속 대상물의 접속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C) 본 발명의 컨택트를 이용한 커넥터를, 컨택트의 삽입 구멍 부분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
(A) 절연물을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B) 절연물을 끼움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접속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C) 절연물을, 컨택트의 삽입 구멍 부분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
(A) 밀접하여 구부린 경우의 본 발명의 다른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B) 밀접하여 구부린 경우의 본 발명의 다른 본 발명의 컨택트를, 접속 대상물의 접속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
(A) 본 발명의 또 다른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B) 본 발명의 또 다른 본 발명의 컨택트를, 접속 대상물의 접속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C) 본 발명의 또 다른 본 발명의 컨택트를 이용한 커넥터를, 컨택트의 삽입 구멍 부분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
(A) 본 발명의 도5와는 다른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B) 본 발명의 도5와는 또 다른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
(A) 본 발명의 도1의 컨택트를,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한 것을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B) 본 발명의 도4의 컨택트를,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한 것을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C) 본 발명의 도5의 컨택트를,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한 것을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D) 본 발명의 도5의 컨택트를, (A)~(C)와는 다른 측벽을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한 것을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
(A) 보호 유지 위치를 바꾼 본 발명의 다른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B) (A)의 컨택트를 이용한 커넥터를, 컨택트의 삽입 구멍 부분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9]
(A) 보호 유지 위치를 바꾼 본 발명 도1의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B) 보호 유지 위치를 바꾼 본 발명의 도4의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C) 보호 유지 위치를 바꾼 본 발명의 도5의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절연물(40)에 보호 유지 및 배열되는 컨택트(20)이며,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접속 대상물과 접속하는 접속부(209)를 가지는 컨택트(20)에 있어서, 2개의 측벽(202)과 해당 측벽(202)를 연결하는 연결벽(203)을 가지는 대략 コ자형 모양을 한 본체부(201)을 구비하고, 상기 2개의 측벽(202)보다 상대물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돌출하는 제 1 및 제 2 접촉편 (204), (205)을 마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편 (204), (205)의 자유단 측에, 상기 상대물의 동일면과 접촉하는 활 형상을 한 제 1 및 제 2 접촉부(206), (207)을 상하에 마련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부(206), (207)가 상대물과 롤(roll) 면 접촉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이다.
즉, 본 발명의 컨택트(20), (30)은 상자모양으로 구부리거나, 또는 밀착하여 구부린 본체부(201), (301)의 2개의 측벽(202)로부터 각각 2개의 접촉편(204), (205), (304), (305)를 끼움결합 방향으로 돌출시켜, 각각의 자유단 측에 접촉부 (206), (207), (306), (307)을 마련하여, 상대물의 동일면과 상하에 롤면접촉을 시킨 것이다.
도 1 내지 도 9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커넥터(10)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B)는 본 발명의 컨택트를, 접속 대상물의 접속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컨택트를 이용한 커넥터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B)는 본 발명의 컨택트를 이용한 커넥터를, 접속 대상물의 접속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C)는 본 발명의 컨택트를 이용한 커넥터를, 컨택트의 삽입 구멍 부분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A)은 절연물을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B)는 절연물을 끼움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접속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C)는 절연물을, 컨택트의 삽입 구멍 부분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A)는 밀접하게 구부린 경우의 본 발명의 다른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B)는 밀접하게 구부린 경우의 본 발명의 다른 본 발명의 컨택트를, 접속 대상물의 접속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본 발명의 컨택트를, 접속 대상물의 접속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본 발명의 컨택트를 이용한 커넥터를, 컨택트의 삽입 구멍 부분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6(A)은 본 발명의 도 5와는 다른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B)는 본 발명의 또 도 5와는 다른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도 1의 컨택트를,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한 것을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B)는 본 발명의 도 4의 컨택트를,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한 것을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C)는 본 발명의 도 5의 컨택트를,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한 것을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D)는 본 발명의 도 5의 컨택트를, (A)~(C)와는 다른 측벽을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한 것을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A)은 보호 유지 위치를 바꾼 본 발명의 다른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B)는 (A)의 컨택트를 이용한 커넥터를, 컨택트의 삽입 구멍 부분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9(A)는 보호 유지 위치를 바꾼 본 발명의 도 1의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B)는 보호 유지 위치를 바꾼 본 발명의 도 4의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C)는 보호 유지 위치를 바꾼 본 발명의 도 5의 컨택트를, 상대물의 끼움결합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상기 커넥터(10)을 설명하기 전에, 상기 상대물과 상기 접속 대상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상대물로서는, 커넥터나 기판, FPC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커넥터다. 상기 접속 대상물로서는, 기판이나 플렉서블(flexible) 인쇄 기판(이하 FPC라고 한다)이나 케이블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기판이며, 상기 기판에는, 상기 커넥터(10)의 컨택트(20), (30)가 실장되는 랜드와 해당 랜드로부터 연장되어, 전자 부품 등에 연결되는 패턴이 마련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컨택트(20), (30), (50), (70), (80)을 이용한 커넥터(1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커넥터(10)는, 적어도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기판에 실장하는 접속부(209), (309), (509), (709), (809)를 가지는 컨택트(20), (30), (50), (70), (80)과 해당 컨택트 (20), (30), (50), (70), (80)가 보호 유지 및 배열되는 절연물(40)을 구비하고 있다.
우선, 본 발명의 핵심인 상기 컨택트(2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컨택트(20)은 금속제이며, 공지 기술의 프레스 가공이나 절삭 가공에 의해 제작된다. 상기 컨택트(20)의 재질로서는, 탄력성이나 도전성, 치수 안정성 등이 요구되므로, 황동이나 베릴륨동이나 인청동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택트(20)는 상기 절연물(40)에 압입에 의해 고정하고 있지만, 고정할 수 있다면 어떤 것이어도 가능하고, 갈고리(랜스(lance))나 용착이나 일체 성형 등이 있다.
상기 컨택트(20)은, 적어도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촉부(206), (207)와 기판에 실장하는 접속부(209)를 가지고, 추가적으로 상기 절연물(40)에 고정하는 고정부(208)을 가진다.
상기 컨택트(20)은, 상자 모양으로 구부려 형성된 대략 コ자형 모양의 본체부 (201)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201)은 2개의 측벽(202), (202)와 해당 측벽(202), (202)를 연결하는 연결벽(203)으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상기 측벽(202), (202)로부터 각각 끼움결합 방향으로 돌출한 2개의 제 1 접촉편(204)과 제 2 접촉편(205)이 마련되어 있다.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편(204), (205)의 자유단 측에는, 상기 상대물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부(206)과 제 2 접촉부(20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부(206), (207)는 상기 상대물의 동일면에서, 상하에서 롤 면접촉 하고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편(204), (205)는, 상기 상대물과 접촉하기 쉽도록, 접촉편의 형상ㆍ크기는 접촉력이나 커넥터의 소형화나 강도나 탄성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편(204), (205)는, 상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접촉부(206)과 상기 제 2 접촉부(207)는 상기 상대물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접촉하기 쉽도록 활처럼 굽어져 있다. 상기 제 1 접촉부(206)가 상기 상대물의 위(끼움결합 방향측)에서, 상기 제 2 접촉부(207)가 상기 상대물의 아래(끼움결합 방향의 반대측)에, 상하에 롤면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 접촉부(206)과 상기 제 2 접촉부(207)의 형상ㆍ크기는, 상기 상대물에 따라서 접촉 안정성이나 커넥터의 소형화, 강도,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상기 접속부(209)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기판에의 접속 방법으로는 납땜(표면 실장이나 딥)이나 압접, 압착, 프레스 피트(press fit)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택트(20)은 기판 실장 타입이며, 납땜에 의해 실장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208)는 상기 절연물(40)에 고정할 수 있다면 어떤 것이어도 가능하고, 압입이나 갈고리(랜스)나 용착, 일체 성형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연물(40)에 압입에 의해 보호 유지 및 고정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208)는 2개의 상기 측벽(202) 부분의 자유단 측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208)의 형상ㆍ크기는, 보호 유지력이나 가공성, 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상기 고정부(208)는 상기 측벽(202)에, 화살촉 모양의 돌기를 마련해 상기 절연물(40)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0.1 ~ 0.3 mm정도의 상자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다.
다음으로, 절연물(40)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절연물(40)은 전기 절연성의 플라스틱이며, 공지 기술의 사출 성형이나 절삭에 의해 제작되어, 절연물의 재질로서는 치수 안정성이나 가공성이나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PBT)나 폴리아미드(66PA, 46PA), 액정 폴리머(LCP),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나 이러한 합성 재료들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된다.
상기 절연물(40)은 대략 상자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절연물(40)은,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402)와 길이 피치 방향의 양측의 플랜지(403)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절연물(40)의 본체(402)에는, 상기 컨택트(20)가 보호 유지 및 배열되는 삽입 구멍(40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삽입 구멍(401)에 상기 컨택트(20)는 압입이나 갈고리(랜스), 용착, 일체 성형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택트(20)은 압입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삽입 구멍(401)의 형상ㆍ크기는, 상기 컨택트(20)를 보호 유지할 수 있다면 어떤 것이어도 가능하며, 보호 유지력이나 강도, 가공성, 소형화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되어 있다.
상기 본체(402)에는, 상기 상대물이 들어가는 끼움결합구(1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끼움결합구(12)의 형상ㆍ크기는, 상기 상대물과 끼움결합할 수 있으면 충분하지만, 상기 상대물의 형상ㆍ크기에 따라, 강도나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상기 플랜지(403)에는, 보다 접속 대상물에 강고하게 접속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구(60)을 장착하는 장착구멍(40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장착구멍(404)은 상기 고정구(60)를 장착할 수 있으며, 보호 유지 강도나 보호 유지력, 가공성, 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상기 플랜지(403)의 접속 대상물과의 접속 측에는, 상기 접속 대상물에의 오접속을 방지하기 위한 오삽입 방지 핀(405)이 본 실시예에서는 마련되어 있다. 상기 오삽입 방지 핀(405)의 형상ㆍ크기는,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역할이나 강도,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단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오삽입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구(6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고정구(60)은 금속제이며, 공지 기술의 프레스 가공이나 절삭 가공에 의해 제작된다. 상기 고정구(60)의 재질로서는, 탄력성이나 도전성, 치수 안정성 등이 요구되므로, 황동이나 베릴륨동이나 인청동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구(60)은 상기 절연물(40)의 플랜지(403)의 장착구멍(404)에, 압입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지만, 고정할 수 있다면 어떤 것이어도 괜찮고, 갈고리(랜스)나 용착, 일체 성형 등이 있다.
다음으로, 도 4의 다른 컨택트(30)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는, 상술한 컨택트(20)과의 차이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컨택트(20)의 차이는, 상기 본체부(201)의 형성하는 방법에 있다. 상기 컨택트(20)이 상자모양으로 구부러진 것에 반하여, 상기 컨택트(30)은 밀착하여 구부러진 것으로, 길이 피치 방향을 한층 더 소형화시키고 있다. 판 두께의 2배의 치수이다.
다음으로, 도 5를 바탕으로, 추가적으로, 다른 컨택트(50)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상술한 컨택트(20)과의 차이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컨택트(20)의 차이는, 제 2 접촉편(505)의 한 쪽을 선단에서 대략 활 모양으로 접어 꺾고, 또한, 또 제 1 접촉편(504)의 한 쪽의 선단을 대략 L자 모양으로 구부려 접어, 상기 제 1 접촉편(504)과 상기 제 2 접촉편(505)의 선단끼리가 감싸도록(wrap)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효 끼움결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상대물을 가이드하기도 한다. 단, 상기 상대물과 완전하게 끼움결합했을 때에는, 상기 제 1 접촉편(504)과 상기 제 2 접촉편(505)의 선단끼리는 접하지 않도록 설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접촉편(504)과 상기 제 2 접촉편(505)의 선단끼리가 감싸도록 함으로써, 상대물과 끼움결합했을 때에 있어서 접촉하기 시작한 후 부터 완전 끼움결합까지의 거리인 유효끼움결합 공간(유효접촉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촉부(506)와 상기 제 2 접촉부(507)의 간격을, 0.3~0.6 mm정도 수준으로 억제함으로써, 유효끼움결합 공간의 충분한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도 7을 바탕으로, 연결부(21), (31), (51)에 의해 일체 구조로 된 도1과 도4와 도 5의 컨택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난 컨택트(90)은, 도1과 도4와 도5의 컨택트(20), (30), (50)의 2개의 상기 제 1 접촉부(206), (306), (506) 및 제 2 접촉부(207), (307), (507)가 마주보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접촉편(204), (304), (504)측 혹은 상기 제 2 접촉편(205), (305), (505)측 중 어느 하나의 측벽(202), (302), (502)끼리를 연결부(21), (31), (51)에 의해 연결한 것이다. 상기 연결부(21), (31), (51)의 형상ㆍ크기는, 커넥터의 소형화나 상대물의 크기ㆍ형상, 사용 용도, 강도,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다음으로, 도6(A)을 바탕으로, 추가적으로 다른 컨택트(70)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상술한 컨택트(20)과의 차이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컨택트(20)의 차이는, 상기 연결부(203)에 상당하는 저벽(703)으로부터 상대물과의 끼움결합 방향으로 돌출하며, 또한, 접어 꺾인 모양의 제 1 접촉편(704)를 마련하고, 상기 저벽(703)과 연결하는 측벽(702)로부터 상대물과의 끼움결합 방향으로 돌출한 제 2 접촉편(705)를 마련하고, 상기 제 1 접촉편(704)의 제 1 접촉부(706)과 상기 제 2 접촉편(705)의 제 2 접촉부(707)을 폭 방향의 동일 위치에 있게 한 것이다. 상기 제 1 접촉편(704)의 제 1 접촉부(706)와 상기 제 2 접촉편(705)의 제 2 접촉부(707)를 폭 방향의 동일 위치에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측벽(702)를 대략 수직으로 구부려 접음과 동시에 상기 제 2 접촉편(705)를 굴곡시키고 있다.
다음으로, 도6(B)를 바탕으로, 추가적으로, 다른 컨택트(80)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상술한 컨택트(20)과의 차이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컨택트(20)의 차이는, 상기 연결부(203)에 상당하는 저벽(803)으로부터 상대물과의 끼움결합 방향으로 돌출하며, 또한, 접어 꺾인 모양의 제 1 접촉편(804)를 마련하고, 상기 저벽(803)과 연결하는 측벽(802)로부터 상대물과의 끼움결합 방향으로 돌출한 제 2 접촉편(805)를 마련하여, 상기 제 1 접촉편(804)의 제 1 접촉부(806)과 상기 제 2 접촉편(805)의 제 2 접촉부(807)을 폭 방향의 동일 위치에 있게 한 것이다. 상기 제 1 접촉편(804)의 제 1 접촉부(806)으로 상기 제 2 접촉편(805)의 제 2 접촉부(807)을 폭 방향의 동일 위치에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측벽(802)를 비스듬하게 접어 구부리고 있다.
마지막으로, 도8 및 도9를 바탕으로, 상기 고정부(208)의 위치를 바꾼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고정부(208)의 위치가 바뀐 것만으로, 그 밖의 것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절연물(40)에, 상기 컨택트(20), (30), (50)을 삽입했을 때에 전향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208)의 위치를, 상기 연결벽(203), (303), (503)보다 상부의 접촉부 측에서, 적어도 상기 2개의 접촉편 중 어느 한 쪽에 마련했다. 즉, コ자형 모양이나 밀착하여 구부린 연결벽(203), (303), (503)이나 측벽(202), (302), (502)는 상기 절연물(40)의 삽입 구멍(401)으로부터 기판 측으로 돌출하는 구조로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에 상기 고정부(208)를 마련함으로써 싱글 접점과 더블 접점으로 절연물(40)을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활용예로서는, 산업 기기나 전기 기기나 전자 기기 등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이용하는 컨택트에 활용되며, 특히, 간단한 구조이며, 커넥터의 길이 피치 방향 및 짧은(폭) 방향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여, 소형화해도 파손되지 않고, 안정된 접촉(접속) 신뢰성을 얻을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10 커넥터
12 끼움결합구
20, 30, 50, 70, 80, 90 컨택트
201, 301, 501 본체부
202, 302, 502, 702, 802 측벽
203, 303, 503 연결벽
204, 304, 504, 704, 804 제 1 접촉편
205, 305, 505, 705, 805 제 2 접촉편
206, 306, 506, 706, 806 제 1 접촉부
207, 307, 507, 707, 807 제 2 접촉부
208, 308, 508, 708, 808 고정부
209, 309, 509, 709, 809 접속부
703, 803 저벽
21, 31, 51 연결부
40 절연물
401 삽입 구멍
402 본체
403 플랜지
404 장착구멍
405 오삽입 방지 핀
60 고정구

Claims (11)

  1. 절연물에 보호 유지 및 배열되는 컨택트(contact)이며,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접속 대상물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는 컨택트에 있어서,
    2개의 측벽과 해당 측벽을 연결하는 연결벽을 가지는 대략 コ자형 모양을 한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측벽에서 상대물과의 끼움결합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 및 제 2 접촉편을 마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편의 자유단 측에, 상기 상대물의 동일면과 접촉하는 활 형상을 한 제 1 및 제 2 접촉부를 상하에 마련하고,
    상기 제 1 및 제2 접촉부가 상대물과 롤(roll) 면접촉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물에 보호 유지하기 위한 고정부를, 적어도 상기 2개의 측벽의 어느 한 쪽에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물에 보호 유지하기 위한 고정부를, 상기 연결벽에서 상부의 접촉부 측에서, 적어도 상기 2개의 접촉편의 어느 한 쪽에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4. 청구항 1,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밀착하여 구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5. 청구항 1, 2, 3 또는 4에 있어서, 제 2 접촉편을 선단으로부터 대략 활 모양으로 접어 꺾고, 또한, 제 1 접촉편의 선단을 대략 L자 모양으로 구부려 접어, 상기 제 1 접촉편과 상기 제 2 접촉편의 선단끼리가 감싸는(wrap)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편과 상기 제 2 접촉편의 선단끼리를 감싸게 하여, 유효 끼움결합 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제 1 및 제2 접촉부가 마주보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접촉편 또는 상기 제 2 접촉편 중 어느 하나의 측벽끼리를 연결부에 의해 연결하여, 2개의 상기 컨택트를 일체 구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8. 절연물에 보호 유지 및 배열되는 컨택트이며,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접속 대상물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는 컨택트에 있어서,
    저벽으로부터 상대물과의 끼움결합 방향으로 돌출하며, 또한, 접어 꺾인 모양의 제 1 접촉편을 마련하고,
    상기 저벽과 연결하는 측벽으로부터 상대물과의 끼움결합 방향으로 돌출한 제 2 접촉편을 마련하고,
    상기 제 1 접촉편의 제 1 접촉부와 상기 제 2 접촉편의 제 2 접촉부를 폭 방향의 동일 위치에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측벽을 대략 수직으로 구부려 접음과 동시에 상기 제 2 접촉편을 굴곡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 1 접촉편의 제 1 접촉부와 상기 제 2 접촉편의 제 2 접촉부를 폭 방향의 동일 위치에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측벽을 비스듬하게 구부려 접음으로써, 상기 제 1 접촉편의 제 1 접촉부와 상기 제 2 접촉편의 제 2 접촉부를 폭 방향의 동일 위치에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11. 청구항 1 내지 10 기재의 컨택트와 해당 컨택트를 보호 유지 및 배열하는 절연물을 구비하는 커넥터.
KR1020160159177A 2014-08-06 2016-11-28 컨택트 및 그 컨택트를 사용하는 커넥터 KR201601405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60213 2014-08-06
JP2014160213 2014-08-06
JPJP-P-2014-245440 2014-12-04
JP2014245440 2014-12-04
JP2015044202A JP6006356B2 (ja) 2014-08-06 2015-03-06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使用するコネクタ
JPJP-P-2015-044202 2015-03-0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910A Division KR101739067B1 (ko) 2014-08-06 2015-08-04 컨택트 및 그 컨택트를 사용하는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543A true KR20160140543A (ko) 2016-12-07

Family

ID=561246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910A KR101739067B1 (ko) 2014-08-06 2015-08-04 컨택트 및 그 컨택트를 사용하는 커넥터
KR1020160159177A KR20160140543A (ko) 2014-08-06 2016-11-28 컨택트 및 그 컨택트를 사용하는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910A KR101739067B1 (ko) 2014-08-06 2015-08-04 컨택트 및 그 컨택트를 사용하는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2) JP6006356B2 (ko)
KR (2) KR1017390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3221B (zh) * 2016-07-13 2020-03-13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弹性端子
JP6776085B2 (ja) 2016-10-05 2020-10-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360939B1 (ja) 2017-03-30 2018-07-18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多接点コネクタ
JP6356860B1 (ja) * 2017-04-13 2018-07-11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60915B2 (ja) * 2017-05-29 2020-03-11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861603B2 (ja) * 2017-09-25 2021-04-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端子
CN109326909A (zh) * 2018-11-20 2019-02-12 安费诺商用电子产品(成都)有限公司 一种高密度大功率卡类连接端子以及连接器
JP2021061124A (ja) * 2019-10-04 2021-04-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端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4687A (ja) 2004-11-05 2006-05-25 D D K Ltd カードコネクタ
JP2009230945A (ja) 2008-03-21 2009-10-08 D D K Ltd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0808B2 (ja) * 1995-02-28 1998-03-04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ンタクト構造および電気接続用コネクタ
JP2000299150A (ja) * 1999-04-15 2000-10-24 Mitsubishi Electric Corp 接続デバイス
JP3117439B1 (ja) * 1999-07-06 2000-12-11 山一電機株式会社 挟接形ソケット
JP5001193B2 (ja) * 2008-02-19 2012-08-1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197216B2 (ja) * 2008-08-05 2013-05-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多接点端子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5486121B1 (ja) * 2013-07-24 2014-05-0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4687A (ja) 2004-11-05 2006-05-25 D D K Ltd カードコネクタ
JP2009230945A (ja) 2008-03-21 2009-10-08 D D K Ltd 電気コネクタ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49346B2 (ja) 2018-06-27
JP2016110966A (ja) 2016-06-20
JP6006356B2 (ja) 2016-10-12
JP2016173998A (ja) 2016-09-29
KR101739067B1 (ko) 2017-05-23
KR20160017624A (ko) 201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067B1 (ko) 컨택트 및 그 컨택트를 사용하는 커넥터
JP5250450B2 (ja) 電気コネクタ
US9608349B2 (en) Contact having two contact portions with their central lines in one plane
JP5185731B2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用固定具及び該固定具を用いる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6249676B2 (ja) 電気コネクタ
US7540770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539873B1 (ko) 기판 접속용 단자
JPWO2019077840A1 (ja) 電気コネクタ
JP5665585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5294217A (ja) 圧接型コンタク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JP5134943B2 (ja) コネクタ
JP4854096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101859028B1 (ko)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 및 이 연결 구조에 의해 형성된 쉘, 이 쉘을 구비하는 커넥터
KR20090090247A (ko) 접속용 소켓
JP6681655B2 (ja) 同軸コネクタ
JP7266513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US20090298345A1 (en) Connector
JP2008171627A (ja) 雌型端子金具
JP2016100216A (ja) 基板用端子
JP5567882B2 (ja) 電気コネクタ
US9941649B2 (en) Interboard connection connector with battery connector
JP2019067685A (ja) 基板用コネクタ
JP6472966B2 (ja) コネクタ装置
JP2012043763A (ja)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用いたコネクタ
JP2016184557A (ja)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用いた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