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515A - 적어도 양극성인 하나 이상의 전극을 이용하여 조직을 처치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적어도 양극성인 하나 이상의 전극을 이용하여 조직을 처치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515A
KR20160140515A KR1020160066589A KR20160066589A KR20160140515A KR 20160140515 A KR20160140515 A KR 20160140515A KR 1020160066589 A KR1020160066589 A KR 1020160066589A KR 20160066589 A KR20160066589 A KR 20160066589A KR 20160140515 A KR20160140515 A KR 20160140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issue
thickness
bipolar
appl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5253B1 (ko
Inventor
일리야 크룩리코브
Original Assignee
웰코메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코메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웰코메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140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61B8/085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involving measuring tissue layers, e.g. skin,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76Array electrodes (including any electrode arrangement with more than one electrode for at least one of the polar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61Removing layer of skin tissue, e.g. wrinkles, scars or cancerous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321Head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61B2018/00458Deeper parts of the skin, e.g. treatment of vascular disorders or port wine stains
    • A61B2018/00464Subcutaneous fat, e.g. liposuction, lipo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61B2018/1246Genera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output polarity
    • A61B2018/126Genera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output polarity bipo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95Electrodes being detachable from a support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61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easuring dimensions, e.g.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63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easuring volume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양극성인 하나 이상의 전극을 이용해서 조직을 처치하기 위한 장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 조직의 진피 층의 두께( d ) 또는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
및/또는
- 조직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진피 층 경계부에서의 조직의 반사 계수( k ) 또는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
에 따라 양극성 전극의 전극 간격( L )이 사전에 설정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양극성인 2개 이상의 전극으로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키는 장치의 용도 및 고주파 전류를 이용하여 인체 조직을 처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어도 양극성인 하나 이상의 전극을 이용하여 조직을 처치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TISSUE BY MEANS OF AT LEAST ONE AT LEAST BIPOLAR ELECTRODE}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적어도 양극성인 하나 이상의 전극을 이용하여 조직을 처치하기 위한 장치의 설정 방법, 청구항 9에 따른 적어도 양극성인 2개 이상의 전극으로 고주파 전류를 발생하기 위한 장치의 용도, 및 청구항 10에 따른 고주파 전류를 이용하여 인체 조직을 처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직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인체 조직의 피부 또는 피하 층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통상 애플리케이터(applicator)가 피부 상에 올려지는데, 애플리케이터는 단극성, 양극성 또는 다극성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극에 의하여,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RF) 전류가 의도된 열을 발생시키기 위해 피하 조직 내부에 공급된다.
DE 102 24 154 A1에는, 조직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를 구비하고, 인체 조직의 정맥류를 전기 외과술적으로 처치하기 위한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DE 697 33 556 T2에는, 조직 내에서 사전에 설정된 깊이의 절제(ablation)에 도달하도록 전극들의 간격 및 전극들의 폭이 선택되는, 접촉 전기 응고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EP 0 873 722 A1에는, 트랜스듀서를 이용하여 심근의 심장 초음파(echocardiographic) 두께 측정을 실행할 수 있는, 심장 내막 처치용 설비가 공지되어 있다.
DE 603 12 348 T2에는, 조직을 밀봉 및 절단하기 위한 전극 어셈블리가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1) 혈관에 제공되는 압력 및 2) 전도성 조직 접촉면들(전극들)의 갭 간격과 같은 파라미터가 폐쇄될 혈관의 두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다수의 적용예에서, 고주파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진피 또는 피하 지방의 의도된 가열에 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US 2010/0211060 A1에는, 적용될 지방 층의 두께에 따라 고주파 전류의 주파수가 선택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치료의 목적이 아니라 특히 미용적 목적 또는 의료의 목적으로 인체 조직에 적용하는 것은 발생하는 열에 대해 그리고 발생하는 열의 위치에 대해 정확한 지식을 필요로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조직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불충분한 가열 및/또는 관련이 없는 층의 가열로 인해 목적 영역에서 원하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양극성인 하나 이상의 전극을 이용하여 조직을 처치하기 위한 공지된 방법 및 장치를, 투입되는 에너지의 양 및 가열 장소에 대한 더 정확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적어도 양극성인 하나 이상의 전극을 이용하여 조직을 처치하기 위한 장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의해서 해결된다. 상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청구항 2 내지 8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전극은 적어도 양극성인 전극으로 구현되고, 따라서 이러한 전극은 전극 간격( L )을 두고 배치된 2개 이상의 전극을 구비한다.
적어도 양극성인 하나 이상의 전극을 이용하여 조직을 처치하기 위한 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 양극성 전극들의 전극 간격( L )이 사전에 설정되며, 전극 간격( L )은,
- 조직의 진피 층의 두께( d ) 또는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
및/또는
- 조직의 표면으로부터 멀리 배치된 진피 층 경계부에서의 조직의 반사 계수( k ) 또는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
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출원인의 발견에 근거를 두고 있다: 고주파 전류 및 특히 무선 주파수 전류는 인체 조직을 처치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에서 사용된다. 이 방법은, 원하는 조직의 목적 층을 상기와 같이 처치하는 주된 효과가 투입되는 고주파 전류로 인한 가열을 근거로 한다고 추정되었다. 이 경우, 목적 층은 진피 층 및/또는 더 깊은 곳에 놓여 있는 지방 층[sWAT(subcutaneous white adipose tissue; 피하 백색 지방 조직)로도 명명됨]일 수 있다.
조직의 목적 층(통상적으로는 진피 층 또는 WAT-층)에서 충분한 온도 상승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목적 영역에서 상응하게 높은 전류 밀도에 도달해야 한다. 원칙적으로, 지금까지는, 고주파 전류의 주파수 및 진폭 높이와 같은 상응하는 파라미터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목적 영역에서 항상 충분히 높은 전류 밀도가 성취될 수 있다고 추정되었다. 그러나, 출원인의 조사 및 추정은, 조직의 층 구조가 고주파 전류의 전류 흐름 경로에 현저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결과적으로 처치 결과가 이웃하는 조직 층들의 전기적인 특성에, 특히 2개 층의 경계면에서의 전기 반사 계수 및/또는 개별 층들의 두께에 의존하게 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이는, 특히 조직의 진피 층의 두께 및/또는 조직의 표면으로부터 멀리 배치된 진피 층 경계부(특히 진피 층/sWAT 경계부)에서의 조직의 반사 계수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해주었다.
이와 같은 출원인의 추정은, 한편으로는 진피 층의 상이한 전기적인 특성 및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층들, 특히 sWAT-층의 상이한 전기적인 특성, 그리고 상기 층들 사이에서의 반사 계수가 전류 흐름 패턴에 현저한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그에 상응하게 온도 상승의 장소 및 높이에 중대한 효과를 야기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드러난 사실은, 개별 층들, 예를 들어 sWAT-층의 선택적인 가열에 대한 지금까지의 가정이 전술된 효과들을 경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지금까지 가정된 파라미터들이 처치시에 원하는 가열을 야기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RF-처치에서 적용되는 전형적인 주파수에 대해, sWAT-층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로부터 전기적으로 차폐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전극, 예를 들어 양극성 전극을 이용하여 피부를 통해 유입되는 고주파 전류는 층 구조 내에서 실질적으로 진피 층에 집중되며, 그 결과 sWAT-층의 열은 지금까지의 가정에 비해 현저히 더 적게 발생한다. 이로써, 결과를 통해 볼 때, 진피 층의 두께에 따라 및/또는 조직의 표면으로부터 멀리 배치된 진피 층 경계부에서의 전술된 조직의 반사 계수에 따라 양극성 전극의 구성을 사전에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럼으로써, 원하는 영역의 또는 원하는 조직 층의 훨씬 더 정확한 가열, 특히 sWAT-층의 훨씬 더 정확한 가열이 가능해진다.
출원인의 추정은, 전형적인 적용 시나리오를 위해서는, 전류 흐름 패턴을 정확하게 고려한 경우에 sWAT-층 내에서 사전에 설정된 층 영역의 최대 가열을 위한 양극성 전극의 최적의 전극 간격이, 진피 층 및 sWAT-층의 상이한 전기적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은 전류 흐름 경로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지금까지 가정된 최적의 전극 간격과 2배까지 상이하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범주 안에는, 전극 간격( L )을 진피 층의 두께 또는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따라 뿐만 아니라 조직의 표면으로부터 멀리 배치된 진피 층 경계부에서의 반사 계수 또는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따라 사전에 설정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최적화된 결과가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범주 안에는, 2개 파라미터 중 하나를 일정한 것으로서 가정하는 것 그리고 다른 파라미터만을 처치할 조직의 구체적인 조건에 따라 선택하는 것도 포함되어 있다.
출원인의 조사는, 특히 인체에서는 진피 층의 두께가 양극성 전극들의 최적의 전극 간격을 사전에 설정하는 것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그렇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간략한 일 실시예에서는, 반사 계수의 값이 일정한 것으로서, 다시 말해 당시에 처치될 조직의 구체적인 값과 무관하게 가정되고, 양극성 전극들의 전극 간격이 당시에 처치될 조직의 진피 층의 두께에 따라 선택된다.
사전에 설정된 전극 간격( L )을 선택한 후에, 장치는 고주파 전류로써 조직의 처치를 실행하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에는, 의료적 및/또는 미용적 처치, 특히 비-치료적인 처치가 다루어질 수 있다. 특히, 비-치료적인 처치를 위한 장치를 설정하는 방법이 적합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 조직을 처치하기 위한 장치의 특히 간단한 설정이 이루어지는데, 복수의 애플리케이터가 선택을 위해 제공되며, 이 경우 각각의 애플리케이터는 적어도 양극성인 하나 이상의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애플리케이터의 양극성 전극들의 전극 간격은 상이하다. 따라서, 특정 하나의 애플리케이터를 사전에 설정함으로써 양극성 전극의 전극 간격( L )의 사전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식별 표지, 특히 식별 컬러를 사전에 설정함으로써 특정 애플리케이터가 사전에 설정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애플리케이터가 예를 들어 번호, 이름, 그래픽적인 상징물 및/또는 컬러와 같은 상이한 식별 표지를 구비하고, 이로써 진피 층의 두께에 따라 및/또는 전술된 반사 계수에 따라 예를 들어 식별 컬러와 같은 식별 표지가 사전에 설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양극성 전극의 최적의 전극 간격( L) 을 갖는 애플리케이터를 간단한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최적의 전극 간격( L) 을 갖는 애플리케이터가 상기 애플리케이터에서의 광학 신호, 특히 발광 신호에 의해 사전에 설정되어,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활성 광학 신호를 갖는 애플리케이터를 간단한 방식으로 선택하게 됨으로써, 취급의 추가적인 간소화에 도달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범주 안에는, 제어 유닛을 이용해서 전극들의 상이한 전극 간격( L )이 사전에 설정될 수 있는, 특히 조절될 수 있는, 양극성 전극 장치를 구비한 애플리케이터가 제공되는 것, 그리고 제어 유닛이 전극 간격( L )에 맞추어 구성됨으로써 전극 간격( L )이 사전에 설정되는 것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진피 층의 두께 및/또는 전술된 반사 계수와 같은 파라미터를 입력한 후에 자동으로 제어 유닛의 구성이 이루어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애플리케이터는 최적의 전극 간격( L )에 맞추어 조절된다.
이 경우, 전극 간격( L )이 두께( d )에 따라 사전에 설정됨으로써, 특히 간단하면서도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취급이 이루어지며,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 의해서 두께( d )(또는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계산 유닛이 제공되고, 이 계산 유닛은 두께( d )에 따라서 전극 간격( L )을 사전에 설정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따라서,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양극성 전극들의 전극 간격이 구체적으로 처치될 조직의 진피 층의 두께( d )에 따라 선택된다는 것이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적용 부위에서 조직의 두께( d )가 측정된다. 이와 같은 측정은 공지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특히 초음파 측정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예컨대 Krackowizer, O., Brenner, E. (2008) 표피 및 진피의 두께, 정맥학, 8, 페이지 83 내지 92 참조). 이 경우, 두께 측정의 측정 데이터로부터 두께( d )를 결정하기 위해 두께 측정- 및 평가 유닛이 제공되도록 전반적인 자동화가 이루어진다는 점이 특히 바람직하며, 이 경우 두께 측정의 결과는 자동적으로 전극 간격( L )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진피 층의 두께를 수동으로 입력할 필요가 없으며, 진피 층의 두께는 실행된 두께 측정을 토대로 하여 자동으로 결정된다.
진피 층의 두께( d )는 특히 인체 적용 부위에 따라 변한다. 그렇기 때문에,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 두께( d )는 인체 적용 부위에 따라, 특히 인제 얼굴에서의 적용 부위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처치 당시의 환자에게서 두께 측정이 실행될 필요가 없으므로 간소화될 수 있다. 오히려, 예를 들어 인체의 이마, 뺨 또는 다른 영역과 같은 당시의 처치 부위에서의 진피 층 두께의 평균값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평균값은 예를 들어 표의 형태로 기록되어 상응하게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사실은, 사용자로 하여금 처치 부위에 따라 양극성 전극들의 최적의 전극 간격( L )을 결정하도록 프로그래밍된 계산 유닛에 사용자가 처치 부위를 입력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 인체 처치 부위는 진피 층의 두께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된다.
적어도 양극성의 하나 이상의 전극을 이용하여 인체 조직을 처치하기 위한, 특히 인체 조직을 비-치료적으로 처치하기 위한 방법은 복수의 단계를 포함하며, 단계 a 에서는, 적어도 양극성의 하나 이상의 전극을 이용하여 조직을 처치하기 위한 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전술된 방법, 특히 이와 같은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양극성 전극의 전극들의 전극 간격( L )이 사전에 설정된다. 그 다음의 단계 b 에서는, 양극성 전극을 이용하여 고주파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인체 조직의 처치가 이루어지되, 특히 비-치료적인 방식으로 인체 조직의 처치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전극 간격( L )을 갖는 양극성 전극을 인체 조직을 처치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도에 의해 해결되며, 이 경우 전극 간격( L )은,
- 조직의 진피 층의 두께( d ) 또는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
및/또는
- 조직의 표면으로부터 멀리 배치된 진피 층 경계부에서의 조직의 반사 계수( k ) 또는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다. 이에 따라, 전술된 장점들, 특히 조직의 일 층, 특히 sWAT-층의 의도된 가열을 더 정확하게 사전에 설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청구항 10에 따른 고주파 전류를 이용하여 인체 조직을 처치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청구항 11 내지 15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너레이터, 적어도 양극성의 하나 이상의 제1 전극 및 하나 이상의 제2 전극을 구비한다. 이들 양극성 전극은 제너레이터와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되며, 이 경우 2개의 양극성 전극은 상이한 전극 간격( L )을 갖는다.
중요한 사실은,
- 조직의 진피 층의 두께( d ) 또는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
및/또는
- 조직의 표면으로부터 멀리 배치된 진피 층 경계부에서의 조직의 반사 계수( k ) 또는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
에 따라 전극 간격( L )을 사전에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더 정밀한 처치를 가능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다른 무엇보다 우선 원하는 가열 장소의 정밀한 사전 설정을 위해서는 전술된 파라미터들 중 하나 또는 2개에 따라 전극들의 전극 간격( L )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서문에 언급된 발견이 상기와 같은 장치의 구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서문에 언급된 장점들이 나타난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제너레이터와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되는 애플리케이터를 구비한다. 이 장치는 또한 제1 양극성 전극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1 교체 캡 및 제2 양극성 전극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2 교체 캡을 구비하며, 이들 교체 캡은 애플리케이터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형성되어, 에지 부재에 배치된 교체 캡의 양극성 전극이 제너레이터와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최적의 전극 간격( L )의 선택이 상응하는 교체 캡의 선택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교체 캡에 예를 들어 번호, 상징물 및/또는 컬러 마크와 같은 식별 표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직을 처치하기 위한 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서 이미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장치가 사전에 설정된 전극 간격( L )에 따라 상응하는 교체 캡의 특성을 출력하도록 형성된 식별 특성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범주에는, 상이한 전극 간격을 갖는 복수의 교체 캡을 제공하는 것, 특히 5개 내지 20개의 범위의 교체 캡을 제공하는 것이 포함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 장치는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터를 구비하며, 이 경우 제1 전극은 제1 애플리케이터에 배치되고, 제2 전극은 제2 애플리케이터에 배치되며, 이 경우 각각의 애플리케이터는 광학 디스플레이, 특히 발광 수단을 구비한다. 설정 수단은, 애플리케이터의 광학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전에 설정된 전극 간격( L )에 따라 상응하는 애플리케이터의 광학 디스플레이가 작동되도록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특히 간단하면서 오류 발생 가능성이 없는 이용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설정 수단은,
- 조직의 진피 층의 두께( d ) 또는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
및/또는
- 조직의 표면으로부터 멀리 배치된 진피 층 경계부에서의 조직의 반사 계수( k ) 또는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
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유닛을 구비한다. 설정 수단은 또한 사전에 설정될 전극 간격( L )을 결정하기 위한 평가 유닛을 구비한다. 입력 유닛 및 평가 유닛은 특히 스크린, 키보드 및/또는 터치에 민감한 스크린과 같은 상응하는 입력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통상적인 컴퓨터로 형성될 수 있다.
입력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입력 유닛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적용 유형 리스트로부터 사용자에 의해서 인체 적용 부위가 선택될 수 있음으로써, 두께( d )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가 적용 부위만을 입력하고, 원하는 적용 부위에서의 진피 층의 두께( d )에 대한 추론을 가능하게 하는 입력 데이터에 따라 양극성 전극들의 전극 간격( L )이 사전에 설정됨으로써, 조작이 현저히 간단해진다. 이 경우, 터치에 민감한 스크린상에 인체가 도시되고, 사용자가 대응하는 지점을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처치 부위를 선택하며, 전형적인 진피 층의 두께에 상응하게 상기 처치 부위에서 최적의 전극 간격( L )이 사전에 설정됨으로써, 특히 간단한 입력이 가능해진다.
상기 장치는 진피 층의 두께( d )를 측정하기 위한 두께 측정 유닛, 예컨대 초음파 두께 측정 유닛을 포함하고, 이 두께 측정 유닛이 측정된 두께( d )를 설정 수단에 전달하도록, 특히 자동으로 전달하도록, 설정 수단과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정확성은 더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시에는, 처치될 조직의 구체적인 처치 부위에서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측정을 이용해 두께가 결정되고, 이어서 진피 층의 측정된 두께에 따라 양극성 전극의 최적의 전극 간격( L )이 사전에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특히 이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를 실시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특히 이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의해 실시되도록 형성된다.
적용 유형에 따라, 목적 층의 가열을 위해 상이한 최적화 모델이 유리할 수 있다: 즉, 제1의 점 최적화 모델에서는 사전에 설정된 깊이(z)에서 가열을 위한 최적의 전극 간격( L )을 결정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다른 적용을 위해서는, 영역 최적화 모델에서 깊이 층, 즉 깊이(h 1 )에서 출발하여 깊이(h 2 )까지 미치는 깊이 범위의 가열을 위한 최적의 전극 간격( L )을 가열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피하 지방 층(sWAT)의 깊이(z)에서 가열을 위한 최적의 전극 간격( L )을 결정하기 위한 공식 및 수치적인 예가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기술될 것이다. 깊이(z)는 피부 표면에 대해 수직이고 (피부 경계부의) 피부 표면으로부터 출발해서 (외부로) 측정된 간격이 된다.
발명자의 분석 및 추정은, 이 경우 최적의 간격( L )이 예를 들어 아래의 공식 1을 수치적으로 풀이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Figure pat00001
(공식 1)
상기 공식에서 k 는 진피/sWAT 경계면에서의 반사 계수를 나타한다. 이 반사 계수는 아래의 공식 2에 의해서 규정된다:
Figure pat00002
(공식 2)
여기서, σd는 진피 층의 전기 전도성, σs는 sWAT-층의 전기 전도성. 여기에서 알 수 있는 사실은, 최적의 간격이 이들 층의 전기 전도성의 절대값에 의존하지 않고, 오히려 다만 반사 계수( k )의 규정에 따른 이들 층의 비율에만 의존한다는 것이다.
μ는 공식 3에 따른 원하는 깊이(z) 대 진피 층 두께( d )의 비율이다:
Figure pat00003
(공식 3)
ν는 공식 4에 따른 전극의 최적의 깊이( L ) 대 진피 층 두께( d )의 비율이다:
Figure pat00004
(공식 4)
본 실시예에서 토대가 되는 모델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L L 1 lay 로서도 지칭된다.
이제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진피 층의 두께( d ) 및 진피 층과 sWAT-층 간의 반사 계수가 사전에 설정되면, 상기 공식 1에 따른 공지된 수치적인 방법에 의하여 sWAT-층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깊이(z)를 위해 적용을 위한 최적의 전극 간격( L )이 결정될 수 있고, 그에 상응하게 적용시에 고려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범주 안에는, 예를 들어 전술된 바와 같이 상이한 전극 간격을 갖는 복수의 교체 캡을 제공함으로 인해 또는 예를 들어 상이한 전극 간격을 갖는 복수의 애플리케이터를 제공함으로 인해 복수의 불연속적인 전극 간격이 제공되는 것이 포함된다. 이들 경우에 최적화는 바람직하게는, 계산된 최적의 간격에 가장 가까운 기존의 전극 간격이 적용을 위해 사용되거나 예를 들어 상응하는 교체 캡 또는 상응하는 애플리케이터의 식별 표지를 사전에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호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전극 간격의 최상으로 가능한 최적화를 위해서는, 반사 계수( k ) 뿐만 아니라 진피 층의 두께( d )도 개별 적용 부위에 따라 사전에 설정되고, 이들 2개의 파라미터에 따라 전술된 바와 같이 최적의 전극 간격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발명자의 조사는, 진피 층의 두께에 대한 의존성이 인체의 전형적인 적용 부위를 위한 반사 계수의 변동에 비해 더 큰 최적의 전극 간격( L )의 변동을 야기한다는 사실을 결과로서 보여주었다. 따라서,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반사 계수가 일정한 것으로, 다시 말해 적용 부위와 무관한 것으로서 가정되고, 다만 진피 층의 두께만 적용 부위에 따라 선택된다. 이 경우에, 반사 계수( k )는 바람직하게 0.905으로 가정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공식 1의 수치적인 평가로부터 얻어지는 예시적인 결과들을 보여준다:
Figure pat00005
제1 열에는, 진피 층의 두께( d )와 원하는 깊이(z) 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비율 μ가 기재되어 있다. 즉, 값 μ = 1은, 진피 층/sWAT-층 경계부에 대응하는 sWAT-층의 깊이에 대한 최적화가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2 열에는, 최적의 전극 간극( L ) 대 진피 층의 두께의 비율 ν가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μ = 1에 대한 값 1.487은, 전극들이 최적의 경우에 진피 층의 두께의 1.487배에 상응하는 간격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3 열에는, 본 발명의 타당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진피 및 sWAT-층 내에서의 전기 전도성의 불균일성이 무시될 수 있음으로써 전체 조직이 전기 전도성과 관련하여 균일한 것으로서 가정될 수 있는 경우에 나타나게 될 최적화 값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결정된 최적의 간격( L ) 대 전기적으로 균일한 조직을 가정할 때 나타나게 될 간격( L 1 hom )의 비율이 기재되어 있다.
표 1에서, 예를 들어 진피 층의 4배에 해당하는(표의 마지막 행) 깊이를 위한 최적화를 원하는 경우, 지금까지 가정된 값들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전극 간격의 편차가 28%를 초과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수치적인 예로서는, 0.5 mm에 해당하는 진피 층의 전형적인 두께가 가정될 수 있다. 이때 1 mm 깊이의 sWAT-층 내에서의 처치를 원한다면, 다시 말해 진피/sWAT-층 경계 층에 대한 sWAT-층의 간격이 0.5 mm인 경우에 최대 에너지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전극 간격을 최적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면, 표 1의 2열로부터 최적의 전극 간격이 나타난다: 이 경우에 μ는 2이고, 이로써 표 1에 따라 L 대 진피 층의 두께( d )의 비율은 3.272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실을 통해, 상기의 원하는 적용예를 위한 진피 층의 두께 0.5 mm로써는 1.636 mm에 해당하는 최적의 전극 간격( L )이 나타나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표 1은 일정한 것으로서 가정된, 다시 말해 부위와 무관한 것으로 가정된 반사 계수 k = 0.905에 대한 계산 예들을 나타낸다.
다음의 표 2에는, 반사 계수에 대한 의존성이 명확하게 나타나 있다:
Figure pat00006
표 2는, 진피 층의 두께의 2배에 해당하는 깊이에서의 원하는 처치를 위한 최적의 전극 간격을 상이한 반사 계수( k )에 대해 나타낸다. 제1 열에는, 상응하게 반사 계수( k )가 기재되어 있다. 제2 열은, 표 1에서와 마찬가지로 최적의 전극 간격( L ) 대 진피 층의 두께( d )의 비율을 보여준다. 제3 열도 표 1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 및 공식 1에 따라 결정된 최적의 전극 간격( L ) 대 균일한 전기 전도성을 갖는 조직을 가정할 때 결정된 전극 간격( L )의 비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표 2에서 k = 0.905의 2열은 μ = 2를 갖는 표 1에 대한 계산의 기재 사항에 상응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이하에서는, 전극 간격의 최적화가 sWAT-층 내에 있는 깊이 범위를 위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의 계산 공식이 제시될 것이며, 이 경우 제1 깊이( h 1 )에서 제2 깊이( h 2 ) 까지의 깊이 범위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결정된다. 깊이(z)와 유사하게, 깊이( h 1, 2 )는 피부 표면의 sWAT-층 내에서 피부 표면에 대해 수직인 간격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최적의 전극 간격( L )이 아래의 공식 5로부터 얻어진다:
Figure pat00007
(공식 5)
공식 1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공식에서 k 는 공식 2에 따른 반사 계수를 지칭한다. μ1은 공식 3과 유사하게 h1과 진피 층 두께 간의 비율을 지칭하고, μ2는 h2와 진피 층 두께 간의 비율에 상응한다:
Figure pat00008
(공식 6)
본 실시형태에서 토대가 되는 모델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L L 2 lay 로도 지칭된다. L 2 lay 는 예를 들어 공식 5를 수치적으로 풀이함으로써 얻어지며, 본 실시형태에서도 ν는 전극들의 최적의 간격( L ) 대 진피 층 두께( d )의 비율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9
(공식 7)
표 3에서, 3열에는 서로 다른 반사 계수( k ) 및 사전에 설정된 상이한 층[ h 1 , h 2 ]["스트립(Strip)"]에 대해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최적의 전극 간격(L 2 lay ) 대 진피 층 두께( d )의 비율이 기재되어 있고, 4열에는 최적의 전극 간격 대 균일한 전기 전도성을 갖는 조직을 가정할 때 결정된 전극 간격(L 2 hom )의 비율이 기재되어 있다.
Figure pat00010
예를 들어 진피 층의 두께( d )에 해당하는 깊이에서 시작하여 진피 층의 2배 두께( 2d )에 해당하는 깊이에서 끝나는 sWAT-층의 일 부분 층을 위한 최적화가 필요하다면, 전형적인 반사 계수( k )를 위해서는 표 3의 2행에 따라 0.905가 결과적으로 나타나고, 이로써 최적의 전극 간격 대 진피 층의 비율은 5.203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진피 층의 두께가 0.5 mm인 경우에 0.5 mm 내지 1 mm에 해당하는 sWAT-층 깊이에서 최적의 가열을 원한다면, 2행에 따라 최적의 간격( L ) 대 진피 층 두께의 비율은 5.203이고, 따라서 이 경우에 최적의 전극 간격은 2.601 mm이다. 표 3의 4열, 2행에 따르면, 이와 같은 결과는 조직의 균일한 전기 전도성을 가정했을 때의 결과로부터 125%를 초과하는 수치만큼 벗어난다.
그러나, 전술된 파라미터에서, 표 3의 5행에 따라 1 mm 내지 1.5 mm의 sWAT-층 깊이에서 최적의 가열을 원하는 경우에는, 최적의 전극 간격이 진피 층의 두께의 9.781배가 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대략 4.890 mm가 된다.
일 양극성 전극의 전극들(다시 말해 개별 전극들)의 전형적인 최적의 간격( L )은 0.5 mm 내지 10 mm의 범위, 특히 1 mm 내지 5 mm의 범위 내에 놓인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특히 이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의 양극성 전극의 간격( L )은 상기 범위 안에 놓인다.
따라서, 적어도 양극성의 전극은 전술된 바와 같이 전극 간격( L )을 두고 배치된 2개 이상의 전극(개별 전극으로도 명명됨)을 구비한다.
이 경우에, 전류를 조직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각각의 전극의 접촉 면은 상이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기술적으로 복잡하지 않게 제조될 수 있는 원형의 접촉 면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촉 면은 선 형태로, 타원형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2개의 전극은 바람직하게는 평행하게 배열되면서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원형의 접촉 면은 바람직하게 0.5 mm 내지 10 mm의 범위, 특히 1 mm 내지 3 mm의 범위 내의 직경을 갖는다.
또한, 하나의 전극은 복수의 접촉 면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선 형태, 점선의 형태로 배치된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복수의 접촉 면을 갖는 전극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바람직하게는 점선의 형태로 형성된 2개의 전극은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때, 하나의 전극의 개별 접촉 면은 0.5 mm 내지 10 mm 범위의,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5 mm의 범위의 (면 중간 점들의)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전극 간격( L )은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특히 전술된 계산에서 2개의 전극의 면 중간점들의 간격을 지칭한다.
하나의 애플리케이터 상에 복수의 양극성 전극이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더 큰 면 영역에 전류가 동시에 공급될 수 있다.
전극에 의해 조직 내부로 유입되는 전류 파라미터는 자체적으로 공지된 파라미터에, 특히 RF-처치에서 공지된 파라미터에 상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RF-전류의 주파수는 0.5 MHz 내지 10 MHz의 범위, 특히 1 MHz 내지 5 MHz의 범위 내에 놓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들 및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애플리케이터를 위한 교체 캡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2는 2개의 애플리케이터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3은 진피 층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유닛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4는 복수의 양극성 전극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터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각각의 도면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이다.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동일한 작용을 하는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고주파 전류에 의하여 인체 조직을 처치하는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너레이터(1)를 구비한다. 이 제너레이터(1)는 가요성 케이블을 통해 애플리케이터(3)와 연결된다. 애플리케이터(3)는 양극성 전극을 갖는 교체 캡을 가지는데, 여기서는 예를 들어 도 1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교체 캡(4a 내지 4d)을 가지며, 그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애플리케이터(3)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따른 장치는 또한 고주파 전류가 공급될 조직의 진피 층의 두께(d)에 따라 전극 간격(L)을 사전에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2)을 구비한다.
상기 설정 수단(2)은 또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며, 이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는 예를 들어 고주파 전류의 주파수 및 진폭과 같은 다른 처치 파라미터를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수단은 터치에 민감한 스크린으로 형성되나, 키보드와 같은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교체 캡들은 각각 좌측 전극 및 우측 전극을 갖는 하나 이상의 양극성 전극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교체 캡 4a에 대해 좌측 전극(l) 및 우측 전극(r)이 표시되어 있다. 양극성 전극은 전극 간격( L )을 갖는다. 이 전극 간격은 예를 들어 교체 캡 4a에 대해서는 L4a로, 교체 캡 4d에 대해서는 L4d로 표시되어 있다. 즉, 교체 캡들(4a 내지 4d)은 쌍으로 서로 다른 전극 간격( L )을 갖는다.
사용자는 이때 처치될 부위에서의 조직의 진피 층 두께( d )를 설정 수단(2)에 입력한다. 또한, 사용자는 진피 층 아래에 있는 sWAT-층 내에 에너지 유입에 의해 가열이 이루어져야 하는 깊이(z)도 입력한다. 설정 수단(2)은, 사전에 설정된 두께( d ) 및 원하는 깊이(z)에 따라 공식 1을 수치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최적의 전극 간격( L )을 계산하는 계산 유닛을 구비한다. 이를 위해, 반사 계수 k = 0.905가 사전에 확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반사 계수는 필요시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설정 수단(2)의 계산 유닛 내에는 교체 캡(4a 내지 4d)의 양극성 전극의 전극 간격( L )이 사전에 결정되어 있다. 계산 유닛은, 결정된 최적의 전극 간격에 가장 가까운 전극 간격( L )을 갖고 사용자에게 이 전극 캡에 상응하는 특성을 출력해줄 전극 캡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극 캡들은 철자 a, b, c 및 d로 표시되어 있으며, 그에 상응하게 이 교체 캡의 철자는 어느 교체 캡이 최적의 전극 간격에 가장 가까운지를 설정 수단에서 보여준다. 대안적으로, 교체 캡을 선택하기 위한 다른 특성들, 특히 컬러 특성들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이때 설정 수단에 의해 표시된 교체 캡을 취하고, 이 교체 캡을 애플리케이터(3)에 삽입한다. 애플리케이터(3) 및 교체 캡은, 사용자에 의해 삽입될 때 애플리케이터(3)와 교체 캡의 양극성 전극의 전기 전도성 연결 및 이로써 유연한 케이블을 통한 제너레이터(1)와의 전기 전도성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제너레이터(1)에 의해서 발생하는 고주파 전류를 조직에 공급하기 위하여, 애플리케이터(3)를 이용해서, 상기 애플리케이터 상에 삽입된 교체 캡의 양극성 전극을 조직 상에 올려 놓는다.
여기서, 교체 캡들(4a 내지 4d)은 개별 양극성 전극의 전극들의 아래와 같은 간격( L ) 및 개별 양극성 전극의 전극들의 접촉 면의 아래와 같은 직경을 갖는다:
Figure pat00011
전극 직경에는, 본 실시예의 구체적인 값 외에 바람직한 값 범위가 각각 괄호 안에 추가로 기재되어 있다.
고주파 전류를 이용한 처치는 사전에 설정된 기간 동안 사전에 설정된 주파수 및 진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응하게 제너레이터(1)를 제어하고 교류 주파수를 갖는 프로그램을 설정 수단(2) 내에서 사전에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교류 주파수는 WO 2009/112181호에 기술된 주파수 교체와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설정 수단(2)에 의해서 진피 층의 두께( d )를 사전에 설정하는 과정은 진피 층의 두께( d )에 상응하는 데이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사용자는 단지 뺨, 이마, 목 또는 다른 부위들과 같은 인체의 처치 부위만을 사전에 설정하면 된다. 이 경우, 설정 수단이 인체에 있는 다양한 처치 부위가 기재된 선택 리스트를 사전에 제공하고, 사용자가 그 중에서 하나의 처치 부위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정 수단(2)에는 개별 처치 부위에 대해 각각 전형적인 진피 층 두께가 기억되어 있으며, 이 전형적인 진피 층 두께는 추후에 양극성 전극의 최적의 전극 간격(L)을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그러나, 서로 다른 사람에게서는 인체에 있는 동일한 처치 부위에서도 진피 층의 두께가 다르기 때문에,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치료할 구체적인 사람의 처치 부위에서의 진피 층 두께( d )가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진피 층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전술된 제1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서는, 설정 수단(2)이 표로서만, 예를 들어 종이 형태로만 주어진다. 이 표는 일정한 전기 반사 계수 k = 0.905를 위한 진피 층에 대한 다양한 두께 값 및 sWAT-층의 최적의 가열이 이루어져야만 하는 다양한 깊이(z)를 포함한다. 이때, 사용자는 진피 층의 가장 가까운 두께뿐만 아니라 처치 부위 및 원하는 처치 깊이에서 당시의 두께에 대해 가장 가까운 깊이(z)까지도 포함하는 행을 표에서 검색한다. 이 행에는, 상기와 같은 파라미터 조합을 위해서 가장 적합한 양극성 전극의 전극 간격( L )을 갖는 교체 캡이 각각 기재되어 있다. 그 다음에, 사용자는 지정된 교체 캡을 애플리케이터(3) 상에 삽입하고, 전술된 바와 같이 적용을 시작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도 1에 따른 제1 실시예와 현저하게 상이한 내용들만 기술될 것이다:
도 2에 따른 장치도 제너레이터(1) 및 설정 수단(2)을 구비한다. 그러나, 제너레이터(1)는 각각 가요성 전기 라인을 통해 제1 애플리케이터(3a) 및 제2 애플리케이터(3b)와 연결되어 있다. 도 2의 하부에는 각각의 애플리케이터(3a 및 3b)의 처치 면에 대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터(3a)의 양극성 전극은, 전극 간격(L3b)을 갖는 애플리케이터(3b)의 양극성 전극에 비해 더 큰 전극 간격(L3a)을 갖는다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본 경우에 L3a = 4.5 mm이고, L3b = 1 mm이다.
상기 제2 실시예에서도, 설정 수단(2)은 진피 층의 두께( d )에 따라 최적의 전극 간격( L )을 결정하고, 최적의 전극 간격에 가장 가까운 전극 간격( L )을 갖는 가장 가까운 애플리케이터를 결정한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예컨대 LED-광이 선택된 애플리케이터 내에서 파워-온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간단한 방식으로 이와 같은 광학 신호를 참조하여 적용을 위해서 적합한 전극 간격( L )을 갖는 애플리케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도 3에는, 도 1에 따른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제너레이터(1), 설정 수단(2) 및 애플리케이터(3)가 제공되며, 애플리케이터(3)는 도 1에 따른 설명과 유사하게 도 1에 도시된 교체 캡(4a 내지 4d)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장치와 상이하게,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진피 층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두께 측정 유닛(5)을 추가로 구비하며, 이 두께 측정 유닛은 설정 수단(2)과 연결되어 있다.
두께 측정 유닛은 초음파를 이용하는 측정 유닛으로 구현된다. 사용자는 먼저 처치 부위에서 진피 층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하여 두께 측정 유닛(5)을 사용한다. 측정 결과는 자동으로 설정 수단(2)으로 전달되며, 이 설정 수단은 - 도 1에 대해 기술된 바와 같이 - 그 측정 결과에 따라서 최적의 전극 간격( L ) 및 이 최적의 전극 간격에 가장 가까운 교체 캡을 결정한다.
제1 실시예에서 기술된 기능들에 추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를 위한 또 하나의 선택 가능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최적의 가열이 이루어져야 하는 sWAT-층 내에서의 깊이, 또는 제1 깊이( h 1 )로 시작하여 제2 깊이( h 2 )( h 1 h 2 보다 작다)로 끝나는 sWAT-층 내에서의 깊이 범위를 선택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모드를 선택하면, 최적의 전극 간격의 결정은 앞에서 공식 4에 대해 기술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도 4는, 복수의 양극성 전극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각각의 전극은 일직선의 점선에 따라 복수의 원형 접촉 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4는, 이용시에 조직상에 올려지는 애플리케이터의 적용 면에 대한 평면도를 보여준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터는 5개의 양극성 전극(bE1 내지 bE5)을 구비한다. 이들 5개의 양극성 전극은 각각 일직선의 점선 형태로 형성된 좌측 전극 및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우측 전극을 하나씩 가진다. 양극성 전극 bE1을 예로 들면, 좌측 전극은 l로, 우측 전극은 r로 표시되어 있다. 이때, 점선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따라서, 간격 L 은 좌측 전극과 우측 전극 사이에 있는 모든 접촉 면에 대해 각각 동일하다. 예로써, 제1 양극성 전극 bE1에 대해 간격 L bE1 이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 면들은 1 mm의 직경을 갖는다. 일 전극의 2개 접촉 면의 수직 간격( D v )은 2 mm이다.
따라서, 도 4에 따른 구성에 의해서는, 도면에 도시된 5개의 양극성 전극을 이용하여 조직에의 적용이 병행적으로 및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5개의 양극성 전극은 각각 제너레이터와 연결된다.
도 4에 따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모든 실시예들에서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교체 캡들이 각각 도 4에 도시된 평면도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애플리케이터(3a 및 3b)가 도 4에 도시된 평면도에 상응하게 복수의 양극성 전극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교체 캡들 또는 애플리케이터들 각각은 전극 간격( L )과 관련하여 서로 상이하다.

Claims (15)

  1. 적어도 양극성인 하나 이상의 전극을 이용해서 조직을 처치하기 위한 장치를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 조직의 진피 층의 두께( d ) 또는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
    및/또는
    - 조직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진피 층 경계부에서의 조직의 반사 계수( k ) 또는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
    에 따라 양극성 전극의 전극 간격( L )이 사전에 설정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애플리케이터가 선택을 위해 제공되고, 각각의 애플리케이터(3a, 3b)는 하나 이상의 양극성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애플리케이터들의 양극성 전극들의 전극 간격( L )은 서로 상이하며,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터 중에 특정 애플리케이터(3a, 3b)가 사용을 위해 사전에 결정됨으로써, 상기 전극 간격( L )이 사전에 설정되며, 특히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터(3a, 3b)는 식별 표시, 특히 식별 컬러를 미리 설정함으로써 사전에 특정되며, 및/또는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터(3a, 3b)는, 상기 애플리케이터(3a, 3b)에서의 광학 신호, 특히 발광 신호에 의해 사전에 특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양극성 전극 장치를 갖는 애플리케이터가 제공되고, 제어 유닛에 의해 전극들의 상이한 전극 간격( L )이 조절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전극 간격( L )에 맞추어 형성됨으로써 전극 간격( L )이 사전에 결정되어서, 상기 애플리케이터의 전극들의 전극 간격(L)이 제어 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간격( L )은 상기 두께( d )에 따라 사전에 결정되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두께( d )가 입력되는 계산 유닛이 제공되고, 상기 계산 유닛은 상기 두께( d )에 따라 전극 간격( L )을 사전에 설정하도록 프로그래밍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용 부위에서의 조직의 두께( d )는, 특히 초음파 측정에 의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 및 제5항에 있어서,
    두께 측정의 데이터로부터 두께( d )를 결정하기 위하여 두께 측정- 및 평가 유닛이 제공되며, 상기 두께 측정의 결과는 자동적으로 전극 간격( L )을 결정 및 사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d )가 인체에서의 적용 부위에 따라, 특히 인체 얼굴에서의 적용 부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적어도 양극성인 하나 이상의 전극을 이용해서 인체 조직을 처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상기 양극성 전극의 전극 간격( L )을 사전에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양극성 전극을 이용하여 고주파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인체 조직을 미용적 처치(cosmetic treatment)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적어도 양극성인 2개 이상의 전극으로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키는 장치의 용도로서,
    인체 조직을 처치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양극성 전극이 상이한 전극 간격( L )을 가지며,
    상기 전극 간격( L )은,
    - 조직의 진피 층의 두께( d ) 또는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
    및/또는
    - 조직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진피 층 경계부에서의 조직의 반사 계수( k ) 또는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
    에 따서 선택되는,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키는 장치의 용도.
  10.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너레이터(1), 하나 이상의 제1 양극성 전극 및 제2 양극성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양극성 전극은 상기 제너레이터와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되고, 상기 2개의 양극성 전극은 상이한 전극 간격( L )을 가지는, 고주파 전류를 이용하여 인체 조직을 처치하는 장치에 있어서,
    - 조직의 진피 층의 두께( d ) 또는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
    및/또는
    - 조직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진피 층 경계부에서의 조직의 반사 계수( k ) 또는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
    에 따라 전극 간격( L )을 사전에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2)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조직 처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너레이터(1)와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되는 애플리케이터(3), 제1 양극성 전극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1 교체 캡, 및 제2 양극성 전극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2 교체 캡을 구비하며, 상기 교체 캡(4a, 4b, 4c, 4d)은 상기 애플리케이터(3)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형성되어, 상기 애플리케이터(3)에 배치된 교체 캡의 양극성 전극이 제너레이터(1)와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체 캡(4a, 4b, 4c, 4d)은 상이한 식별자, 바람직하게는 컬러 식별자를 가지며, 특히 상기 장치는 사전에 설정된 전극 간격( L )에 따라 대응하는 교체 캡의 식별자를 출력하도록 형성된 식별자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조직 처치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터(3a, 3b)를 구비하고, 제1 전극은 상기 제1 애플리케이터(3a, 3b)에, 제2 전극은 상기 제2 애플리케이터(3a, 3b)에 배치되며, 각각의 애플리케이터(3a, 3b)는 광학 디스플레이, 특히 발광 수단을 구비하며,
    설정 수단(2)은 각각의 애플리케이터의 광학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전에 설정된 전극 간격( L )에 따라 대응하는 애플리케이터의 광학 디스플레이가 작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조직 처치 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2)은,
    - 조직의 진피 층의 두께( d ) 또는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
    및/또는
    - 조직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진피 층 경계부에서의 조직의 반사 계수( k ) 또는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
    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유닛, 및 사전에 설정될 수 있는 전극 간격( L )을 결정하기 위한 평가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조직 처치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유닛은, 사용자에 의해서 인체 적용 부위가 선택됨으로써, 특히 입력 유닛에 의해 사전에 제공된 적용 부위 리스트로부터 인체 적용 부위가 선택됨으로써, 상기 두께( d )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조직 처치 장치.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진피 층의 두께( d )를 측정하기 위한 두께 측정 유닛(5), 특히 초음파 두께 측정 유닛(5)을 포함하며, 상기 두께 측정 유닛(5)은 측정된 두께( d )를 설정 수단(2)에 특히 자동으로 전달하기 위해, 특히 자동으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설정 수단(2)과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조직 처치 장치.
KR1020160066589A 2015-05-28 2016-05-30 적어도 양극성인 하나 이상의 전극을 이용하여 조직을 처치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852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08469.4A DE102015108469A1 (de) 2015-05-28 2015-05-28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Gewebe mittels zumindest einer zumindest bipolaren Elektrode
DE102015108469.4 2015-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515A true KR20160140515A (ko) 2016-12-07
KR102585253B1 KR102585253B1 (ko) 2023-10-06

Family

ID=56008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589A KR102585253B1 (ko) 2015-05-28 2016-05-30 적어도 양극성인 하나 이상의 전극을 이용하여 조직을 처치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097881B1 (ko)
JP (1) JP6882753B2 (ko)
KR (1) KR102585253B1 (ko)
CN (1) CN106175926A (ko)
DE (1) DE102015108469A1 (ko)
ES (1) ES2911307T3 (ko)
RU (1) RU2661001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20138B4 (de) 2016-10-21 2022-06-23 Wellcomet Gmbh Applikator zum Einbringen von hochfrequenten Strömen in den menschlichen Körper
JP6718410B2 (ja) * 2017-05-12 2020-07-08 株式会社リンクス 電気刺激装置及び電気刺激ユニット
IT201800004257A1 (it) * 2018-04-05 2019-10-05 Dispositivo per indurre calore in un tessuto animale
EP3870090B1 (en) 2018-10-23 2023-09-27 Aesthetics Biomedical, Inc. Systems for inducing collagen regener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83251A1 (en) * 2006-07-27 2008-07-31 Zion Azar Apparatus and method for non-invasive treatment of skin tissue
JP2011194772A (ja) * 2010-03-23 2011-10-06 Seiko Epson Corp スタンプ洗浄装置
WO2013156911A1 (en) * 2012-04-16 2013-10-24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and system for skin treatment
US20140249609A1 (en) * 2011-11-16 2014-09-04 Btl Holdings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skin treatmen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9880A (en) * 1996-04-12 1998-06-23 Novacept Moisture transport system for contact electrocoagulation
EP0873722A1 (de) * 1997-04-24 1998-10-28 Sulzer Osypka GmbH Gerät für eine endokardiologische Behandlung
AU732188B2 (en) * 1997-08-13 2001-04-12 Surx, Inc. Noninvasive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shrinking of tissues
DE10224154A1 (de) * 2002-05-27 2003-12-18 Celon Ag Medical Instruments Vorrichtung zum elektrochirurgischen Veröden von Körpergewebe
DE60312348T2 (de) * 2002-10-04 2008-01-24 Covidien Ag Elektrodenanordnung zum versiegeln und schneiden von gewebe
WO2009109196A1 (de) 2008-03-03 2009-09-11 Wellcomet Gmbh System und verfahren zur erzeugung von ultraschallwellen
US20100211060A1 (en) 2009-02-13 2010-08-19 Cutera, Inc. Radio frequency treatment of subcutaneous fat
JP2011194172A (ja) * 2010-03-24 2011-10-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美容装置
JP2013523346A (ja) * 2010-04-06 2013-06-17 ホライラ,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肺治療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20029498A1 (en) * 2010-07-30 2012-02-02 Daniel Igor Branovan Bipolar Radio Frequency Ablation Instrument
US20140257036A1 (en) * 2013-03-11 2014-09-11 Ohio University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Thermal Effects Of Tissue Ablation On A Tissue Of A Pati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83251A1 (en) * 2006-07-27 2008-07-31 Zion Azar Apparatus and method for non-invasive treatment of skin tissue
JP2009544399A (ja) * 2006-07-27 2009-12-17 ポルロジェン リミテッド 皮膚組織の非侵襲的治療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11194772A (ja) * 2010-03-23 2011-10-06 Seiko Epson Corp スタンプ洗浄装置
US20140249609A1 (en) * 2011-11-16 2014-09-04 Btl Holdings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skin treatment
WO2013156911A1 (en) * 2012-04-16 2013-10-24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and system for skin trea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5108469A1 (de) 2016-12-01
RU2016120974A (ru) 2017-11-30
RU2661001C2 (ru) 2018-07-11
KR102585253B1 (ko) 2023-10-06
JP2016221283A (ja) 2016-12-28
EP3097881A1 (de) 2016-11-30
ES2911307T3 (es) 2022-05-18
CN106175926A (zh) 2016-12-07
JP6882753B2 (ja) 2021-06-02
EP3097881B1 (de)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7614B2 (en) Multi-probe system using bipolar prob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5841140B2 (ja) エネルギーを対象物に付与するためのエネルギー付与装置
CN110691555B (zh) 用于热消融失真检测的系统和方法
US7367974B2 (en) Electrode array for tissue ablation
KR20160140515A (ko) 적어도 양극성인 하나 이상의 전극을 이용하여 조직을 처치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400056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smetic skin treatment
JP2017529169A (ja) ミニ電極を用いた組織の診断および治療
JP2017521169A (ja) 皮膚の第1の内側領域及び第2の内側領域を加熱するための無線周波数電流を用いる処置装置
CN105030226B (zh) 心脏附近的电极的放置
KR102038007B1 (ko) 의료용 rf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118115A (ko) 제어된 rf 처리 및 rf 생성기 시스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118639B1 (ko) Rf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06456972A (zh) 射频皮肤处理设备
KR101690425B1 (ko) 생체 조직에 대한 전기적 물성 변화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US20200179063A1 (en) Semi-automated ablation system
CN115969501A (zh) 高频率单极电穿孔消融
CN114305655A (zh) 使用绝对阈值和相对阈值检测电极接触
US20220023651A1 (en) Rf treatment device, medical rf device, and control methods therefor
KR20210056522A (ko) Rf에너지를 이용하는 치료기기용 피부 패치, 이를 이용하는 rf에너지를 이용한 치료기기, 그 제어방법 및 rf에너지를 이용한 피부치료방법
KR20200068615A (ko) Rf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EP2881057A1 (en) Apparatus for creating linear lesions in body tissue within a body vessel
US20200345413A1 (en) Monophasic-enabled catheter with microelectrodes and method of using same for local detection of signals
CN117281609A (zh) 一种组织阻抗监测消融导管装置及消融损伤的预测方法
KR20230047905A (ko) 조직 치료를 위한 디바이스 및 전극 포지셔닝을 위한 방법
WO2024023205A1 (en) Electric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