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487A - 코일 부품 - Google Patents

코일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487A
KR20160140487A KR1020160065438A KR20160065438A KR20160140487A KR 20160140487 A KR20160140487 A KR 20160140487A KR 1020160065438 A KR1020160065438 A KR 1020160065438A KR 20160065438 A KR20160065438 A KR 20160065438A KR 20160140487 A KR20160140487 A KR 20160140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il
substrate
wall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8370B1 (ko
Inventor
히토시 오쿠보
마사즈미 아라타
마나부 오타
유우야 가나메
요시히로 마에다
다카히로 가와하라
호쿠토 에다
시게키 사토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0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487A/ko
Priority to KR1020170145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12Insulating of wind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6Printed circuits incorporating printed electric components, e.g. printed resistor, capacitor, inductor
    • H05K1/165Printed circuits incorporating printed electric components, e.g. printed resistor, capacitor, inductor incorporating printed i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2017/048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encapsulating core, e.g. made of resin and magnetic pow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권회부의 두께 변화가 억제된 코일 부품이 제공된다. 코일 부품에 의하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수지벽 각각과, 상기 한 쌍의 수지벽 사이의 시드부는, 소정 거리만큼 이간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수지벽 사이에서, 시드부 위에 성장되는 도금부가 균등하게 성장하기 쉬워져 있다. 따라서, 도금 성장에 의해, 표면이 완만하고, 두께 변화가 억제된 권회부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 부품{COIL COMPONENT}
본 개시는 코일 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표면 실장형의 평면 코일 소자 등의 코일 부품이, 민생용 기기, 산업용 기기 등의 전기 제품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소형 휴대 기기에서는, 기능의 충실화에 따라, 각각의 디바이스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단일의 전원으로부터 복수의 전압을 얻을 필요가 생기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전원 용도 등에도 표면 실장형의 평면 코일 소자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코일 부품은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10010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 개시된 코일 부품은, 기판의 안쪽 및 바깥쪽 면에 각각 평면 소용돌이 형상의 공심(空芯) 코일이 형성되고, 공심 코일의 자심 부분에 있어서 기판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스루홀 도체에 의해 공심 코일끼리가 접속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10010호
상술한 공심 코일은, 기판 위에 형성된 시드 패턴에, Cu 등의 도체 재료를 도금 성장시킴으로써 형성되는데, 기판의 면 방향으로의 도금 성장에 의해 코일의 권회부의 간격이 좁아진다. 코일의 권회부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는, 코일의 절연성 저하가 염려되므로, 보다 확실하게 절연하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코일의 서로 이웃하는 권회부의 사이에 수지벽을 설치하여 확실한 절연을 도모하는 기술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다만, 코일의 권회부를 도금 성장에 의해 형성할 때, 권회부가 기판에 대하여 기울어서 성장하고, 그로 인해 표면의 일부가 크게 패이고, 두께가 크게 변화하는 권회부가 얻어진다.
본 개시에 의하면, 권회부의 두께 변화가 억제된 코일 부품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코일 부품은, 기판과, 기판의 주면 위에 형성된 코일로서, 기판의 주면 위에 배치된 시드부와 상기 시드부 위에 도금 성장시킨 도금부를 갖는 코일부와, 기판의 주면 위에 형성되어, 코일의 권회부가 사이에 연장되는 복수의 수지벽을 갖는 수지체와, 자성분 함유 수지로 이루어지고, 기판의 주면의 코일과 수지체를 일체적으로 덮는 피복 수지를 구비하고,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수지벽 각각과, 상기 한 쌍의 수지벽 사이의 시드부는, 소정 거리만큼 이간되어 있다.
이러한 코일 부품에 있어서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수지벽 각각과, 상기한 쌍의 수지벽 사이의 시드부는, 소정 거리만큼 이간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수지벽 사이에 있어서, 시드부 위에 성장되는 도금부가 균등하게 성장하기 쉬워져 있다. 따라서, 도금 성장에 의해, 표면이 완만하고 두께 변화가 억제된 권회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수지벽 사이의 시드부는, 적어도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수지벽의 중간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형태라도 좋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수지벽 각각과, 상기 한 쌍의 수지벽 사이의 시드부는, 등거리만큼 이간되어 있는 형태라도 좋다. 이것들의 경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수지벽의 중간 위치에 관하여 대칭 형상의 권회부가 얻어지기 쉽고, 두께 변화가 보다 한층 억제된다.
또한, 한 쌍의 수지벽 사이의 시드부의 폭을 W1로 하고, 상기 한 쌍의 수지벽의 간격을 W2로 했을 때에, W1/W2≥1/5인 형태라도 좋다. 이 경우, 시드부가 기판에 대하여 충분한 결합력을 갖고, 시드부가 기판으로부터 박리되는 사태가 억제된다.
또한, 수지체의 수지벽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상인 형태라도 좋다. 이때, 수지체의 수지벽의 종횡비가 1보다 크고, 상기 수지벽이 기판의 주면의 법선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형태라도 좋다.
또한, 코일의 권회부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상인 형태라도 좋다. 이때, 코일의 권회부의 단면은 종횡비가 1보다 크고, 상기 권회부의 단면이 기판의 법선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형태라도 좋다.
또한, 수지체의 수지벽의 높이가 코일의 권회부의 높이보다 높은 형태라도 좋다. 이 경우, 권회부는, 높이 방향에 걸쳐 설계 치수대로의 두께가 될 수 있다. 또한, 권회부끼리가 수지벽을 넘어서 접하는 사태를 의미 있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수지체는, 기판의 주면 위에 코일이 도금 성장되기 전에 형성되고, 코일의 권회부는, 수지체의 수지벽에 접착되어 있지 않은 형태라도 좋다.
또한, 기판의 주면 위에 복수 늘어선 수지벽 중, 가장 밖에 위치하는 수지벽의 두께가 안쪽에 위치하는 수지벽의 두께보다 두꺼운 형태라도 좋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코일 부품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코일 부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기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기판의 시드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의 일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6은, 코일의 권회부 위에 형성되는 절연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의 일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의 일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권회부의 도금 성장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권회부의 도금 성장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코일 부품의 구조에 대하여,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시한 바와 같이 XYZ 좌표를 설정한다. 즉, 평면 코일 소자의 두께 방향을 Z 방향, 외부 단자 전극의 대면 방향을 Y 방향, Z 방향과 Y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X 방향으로 설정한다.
코일 부품(1)은, 대략 직육면체형상을 띠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의 대향하는 한 쌍의 단면을 덮도록 하여 형성된 한 쌍의 외부 단자 전극(30A, 30B)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일 부품(1)은 일례로서, 장변 2.0mm, 단변 1.6mm, 높이 0.9mm의 치수로 설계된다.
이하에서는, 본체부(10)를 제작하는 수순을 나타내면서, 또한, 코일 부품(1)의 구조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본체부(10)는 도 2에 도시한 기판(11)을 포함하고 있다. 기판(11)은, 비자성의 절연 재료로 구성된 평판 직사각형상의 부재이다. 기판(11)의 중앙 부분에는 주면(11a, l1b) 간을 잇도록 관통된 대략 원형의 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기판(11)으로서는, 글래스 클로스(GLASS GLOTH)에 시아네이트 수지(BT(비스말레이미드·트리아진) 레진: 등록 상표)가 함침된 기판으로, 판 두께 60㎛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BT 레진 외에, 폴리이미드, 아라미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기판(11)의 재료로서는, 세라믹이나 유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기판(11)의 재료로서는, 대량 생산되고 있는 프린트 기판 재료가 바람직하고, 특히 BT 프린트 기판, FR4 프린트 기판, 또는 FR5 프린트 기판에 사용되는 수지 재료가 가장 바람직하다.
기판(11)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주면(11a, 11b)에, 후술하는 코일(13)을 도금 성장시키기 위한 시드 패턴(13A)이 형성되어 있다. 시드 패턴(13A)은, 기판(11)의 개구(12)의 주위를 도는 나선 패턴(14A)과, 기판(11)의 Y 방향에 관한 단부에 형성된 단부 패턴(15A)을 갖고, 이들 패턴(14A, 15A)이 연속적 및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주면(11a)측에 형성되는 코일(13)과 다른 쪽의 주면(11b)측에 형성되는 코일(13)에서는 전극 인출 방향이 반대이고, 그 때문에, 한쪽의 주면(11a)측의 단부 패턴(15A)과 다른 쪽의 주면(11b측)의 단부 패턴은, 기판(11)의 Y 방향에 관한 서로 다른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2로 돌아가서, 기판(11)의 각 주면(11a, 11b) 위에는 수지체(17)가 형성되어 있다. 수지체(l7)는 공지의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해 패터닝된 후막(厚膜) 레지스트이다. 수지체(17)는, 코일(13)의 권회부(14)의 성장 영역을 획정하는 수지벽(18)과, 코일(13)의 인출 전극부(15)의 성장 영역을 획정하는 수지벽(19)을 갖고 있다.
도 4는, 시드 패턴(13A)을 사용하여 코일(13)을 도금 성장시켰을 때의 기판(11)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코일(13)의 도금 성장에는 공지의 도금 성장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코일(l3)은 구리로 구성되어 있고, 시드 패턴(13A)의 나선 패턴(14A) 위에 형성된 권회부(14)와, 시드 패턴(13A)의 단부 패턴(15A) 위에 형성된 인출 전극부(15)를 갖고 있다. 코일(13)은, 평면으로 보았을 때, 시드 패턴(13A)과 마찬가지로 기판(11)의 주면(11a, 11b)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 소용돌이 형상의 공심 코일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 상면(11a)의 권회부(14)는, 상면측에서 보아 바깥쪽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좌회전하는 소용돌이이며, 기판 하면(11b)의 권회부(14)는 하면측에서 보아 바깥쪽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좌회전하는 소용돌이이다. 기판 상면(11a) 및 기판 하면(11b)의 양 코일(13)은 예를 들어, 개구(12)의 근방에 별도 마련된 관통공을 통하여 단부끼리가 접속된다. 양 코일(13)에 한 방향으로 전류를 흘렸을 때에는, 양 코일(13)의 전류가 흐르는 회전 방향이 동일해지기 때문에, 코일(13)에서 발생하는 자속이 중첩되어 서로 강하게 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도금 성장 후의 기판(11)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4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1) 위에는, 기판(11)의 법선 방향(Z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직사각형상 단면의 수지벽(18)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수지벽(18)의 사이에서 코일(13)의 권회부(14)가 Z 방향으로 성장한다. 코일(13)의 권회부(14)는 그 성장 영역이, 도금 성장 전에 기판(11) 위에 형성된 수지벽(18)에 의해 미리 획정되어 있다.
코일(13)의 권회부(14)는 나선 패턴(14A)의 일부인 시드부(14a)와, 시드부(14a) 위에 도금 성장시킨 도금부(14b)로 구성되어 있고, 시드부(14a) 주위에 도금부(14b)가 서서히 성장해 감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코일(13)의 권회부(14)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수지벽(l8) 사이에 구획 형성된 공간을 채우도록 성장하여, 수지벽(18)의 사이에 구획 형성된 공간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결과, 코일(13)의 권회부(14)는 기판(11)의 법선 방향(Z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형상이 된다. 즉, 수지벽(18)의 사이에 구획 형성되는 공간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코일(13)의 권회부(14)의 형상이 조정되고, 설계한 대로의 형상으로 코일(13)의 권회부(14)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시드부(14a)는, 좌우의 수지벽(18)과의 사이에 클리어런스(CL)가 형성되어 있고, 좌우의 수지벽(18) 각각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간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예에서는, 시드부(14a)의 중심이, 좌우의 수지벽(18)의 중간 위치(도의 일점 쇄선)에 위치하고 있고, 시드부(14a)의 좌우의 클리어런스(CL)는 같은 크기로 되어 있다. 또한, 시드부(14a)의 폭을 W1로 하고, 좌우의 수지벽의 간격을 W2로 했을 때에, W1/W2≥1/5로 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수지벽의 간격(W2)은 상술한 권회부(14)의 도금부(14b)의 두께(D)와 같다.
코일(13)의 권회부(14)의 단면 치수는 일례로서, 높이 50 내지 260㎛, 폭(두께) 10 내지 260㎛, 종횡비 1 내지 20이다. 코일(13)의 권회부(14)의 종횡비는 2 내지 10, 또는 10 내지 20이라도 좋다. 수지벽(18)의 단면 치수는 일례로서, 높이 50 내지 300㎛, 폭(두께) 5 내지 30㎛, 종횡비 5 내지 30이며, 10 내지 30이라도 좋다. 수지벽(18)의 단면 치수는, 높이 180 내지 300㎛, 폭(두께) 5 내지 12㎛, 종횡비 15 내지 30이라도 좋다. 시드부(14a)의 단면 치수는, 폭 5 내지 300㎛(예를 들어, 15㎛), 높이 2 내지 80㎛(예를 들어, 10㎛)이다. 또한, 클리어런스(CL)의 크기는 1 내지 40㎛(예를 들어, 20㎛)이다.
코일(13)의 권회부(14)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수지벽(18)의 사이를 성장할 때, 성장 영역을 획정하는 수지벽(18)의 안쪽면에 접하면서 성장해 간다. 이때, 코일(13)의 권회부(14)와 수지벽(18) 사이에는 기계적 결합도 화학적 결합도 생기지 않는다. 즉, 코일(13)의 권회부(14)는 수지벽(18)과 접착되지 않는 채로 도금 성장하고, 비접착 상태에서 수지벽(18)의 사이에 개재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비접착 상태」란, 앵커 효과 등의 기계적 결합 및 공유 결합 등의 화학적 결합이 생기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13)의 권회부(14)의 높이(h)는, 수지벽(18)의 높이(H)보다도 낮은 것(h<H)이 바람직하다. 즉, 코일(13)의 권회부(14)의 도금 성장이 수지벽(18)의 높이(H)보다도 낮은 위치에서 멈추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13)의 권회부(14)의 높이(h)가 수지벽(18)의 높이(H)보다도 낮으면, 권회부(14)는 높이 방향에 걸쳐 설계 치수대로의 두께가 된다. 또한, 코일(130)의 권회부(14)의 높이(h)가 수지벽(18)의 높이(H)보다 높으면, 서로 이웃하는 권회부(14)끼리가 접촉하거나 후술하는 절연체(40)나 접합층(41)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게 되거나 하는 사태가 생기고, 코일(13)의 내압 저항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한, 코일(13)의 권회부(14)의 두께(D)는 높이 방향에 걸쳐 균일하게 되어 있다. 이것은, 서로 이웃하는 수지벽(18)의 간격이 높이 방향에 걸쳐 균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형태에서는, 각 수지벽(18)의 두께(d1, d2)도, 코일(13)의 권회부(14)와 동일하게, 높이 방향에 걸쳐 균일하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서로 이웃하는 코일(13)의 권회부(14)의 간격이, 높이 방향에 걸쳐 균일하게 된다. 즉, 코일(l3)의 권회부(14)는 높이 방향에 관하여 국소적으로 얇게 되어 있는 개소(즉, 국소적으로 내압 저항이 저하되어 있는 개소)가 존재하지 않는, 또는 존재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수지벽(18)에 의해 구획 형성된 공간은 상단이 개방되어 있고, 수지벽(18)의 상단부가 권회부(14)의 상측을 덮도록 돌아서 들어가 있지 않기 때문에, 권회부(14)의 상측의 설계 자유도가 높다. 즉, 권회부(14) 위에 임의의 층을 형성하는 형태도 아무 층도 형성하지 않은 형태도 선택할 수 있다.
권회부(14) 위에 층을 형성할 경우에는 각종의 층 형태나 층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회부(14) 위에, 후술하는 피복 수지(21)에 포함되는 금속 자성분과 권회부(14) 사이의 절연성을 높이기 위해 절연체(40)를 형성할 수 있다. 절연체(40)는 절연 수지 또는 절연 자성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절연체(40)는 권회부(14)의 상면(14c)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하는 동시에, 권회부(14)와 수지벽(18)을 일체적으로 덮고 있다. 또한, 절연체(40)는 권회부(14)만을 선택적으로 덮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권회부(14)와 절연체 사이의 접합성을 높이기 위해, 소정의 접합층(예를 들어, 구리 도금의 산화에 의한 흑화층)(4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지벽(18) 중, 가장 밖에 위치하는 수지벽(18)의 두께(d1)가 안쪽에 위치하는 수지벽(18)의 두께(d2)보다 두꺼운 것(d1>d2)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코일 부품(1)의 제작시나 사용시에 받는 Z 방향의 압력에 대하여 강성(剛性)이 부여된다. 두께가 두꺼운 수지벽(18)을 가장 바깥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이 부분에서 주로 상기 압력을 받아낸다. 강성의 관점에서는, 양단에 위치하는 수지벽(18)의 양쪽이, 안쪽에 위치하는 수지벽(18)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코일(13)의 도금 성장은, 기판(11)의 양 주면(11a, 11b)에서 행해진다. 양 주면(11a, 11b)의 코일(13)끼리는 기판(11)의 개구에서 각각의 단부끼리가 접속되어 도통된다.
기판(11) 위에 코일(13)을 도금 성장시킨 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1)은 피복 수지(21)로 전체적으로 덮인다. 즉, 피복 수지(21)가 기판(11)의 주면(11a, 11b)의 코일(13)과 수지체(17)를 일체적으로 덮는다. 수지체(17)는 피복 수지(21) 안에 남은 채로 코일 부품(1)의 일부를 구성한다. 피복 수지(2l)는 금속 자성분 함유 수지로 이루어지고, 웨이퍼 상태의 기판(11) 위에 형성되고, 그 후, 경화됨으로써 형성된다.
피복 수지(21)를 구성하는 금속 자성분 함유 수지는 금속 자성분이 분산된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금속 자성분은 예를 들어 철 니켈 합금(퍼멀로이 합금), 카르보닐 철, 아몰퍼스, 비정질 또는 결정질의 FeSiCr계 합금, 샌더스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 자성분 함유 수지에 사용되는 수지는, 예를 들어 열경화성의 에폭시 수지이다. 금속 자성분 함유 수지에 포함되는 금속 자성분의 함유량은 일례로서 90 내지 99wt%이다.
또한, 다이싱하여 칩화함으로써, 도 8에 도시한 본체부(10)가 얻어진다. 팁화한 후, 필요에 따라 버렐 연마 등에 의해 엣지의 모따기를 수행해도 좋다.
마지막으로, 본체부(10)의 단부 패턴(15A)이 노출된 단면(Y 방향에서 대향하는 단면)에, 단부 패턴(15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외부 단자 전극(30A, 30B)을 형성함으로써 코일 부품(1)이 완성된다. 외부 단자 전극(30A, 30B)은 코일 부품을 탑재하는 기판의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전극이며, 복수층 구조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단자 전극(30A, 30B)은, 단면에 수지 전극 재료를 도포한 후, 그 수지 전극 재료에 금속 도금을 실시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외부 단자 전극(30A, 30B)의 금속 도금에는 Cr, Cu, Ni, Sn, Au, 땜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9, 10을 참조하면서 권회부(14)의 도금 성장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코일 부품(1)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드부(14a)와 좌우의 수지벽(18) 사이에 클리어런스(CL)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금부(14b)는 그 성장 단계(특히, 성장 초기 단계)에 있어서, 좌우의 수지벽(18)에 저해받기 어렵다. 따라서, 도금부(l4b)는 좌우 동일한 속도로 균등하게 윗 방향(기판(11)의 주면(11a)의 법선 방향)으로 성장한다. 그 결과, 얻어지는 권회부(14)의 두께도 대략 균일하고, 기판(11)의 주면(l1a)에 대하여 평행한 상면(14c)을 갖는 권회부(14)를 얻을 수 있다.
도 10에는, 비교를 위해, 시드부(14a)와 좌우의 수지벽(18) 사이에 클리어런스(CL)가 존재하지 않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클리어런스(CL)가 존재하지 않는 형태로서는, 시드부(14a)가 수지벽(18)에 접하거나, 수지벽(18)의 내부에 들어가거나 하는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도금부(14b)는 성장 초기 단계에 있어서, 접하고 있는 수지벽(18)에 의해 성장이 저해되고, 그 후, 기울어진 상태로 성장한다. 그 결과, 얻어지는 권회부(14)의 두께가 좌우로 크게 다르며, 좌우의 두께 변화가 큰 권회부(14)가 얻어진다. 도 10에 도시한 예에서는, 권회부(14)는 시드부(14a)가 수지벽(18)에 접하는 좌측의 두께가 두껍고, 우측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되어 있다. 이때, 권회부(14)의 상면(14c)은 기판(11)의 주면(11a)에 대하여 크게 경사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술한 코일 부품(1)에 의하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수지벽(18) 각각과, 상기 한 쌍의 수지벽(18) 사이의 시드부(14a)는, 소정거리만큼 이간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수지벽(18) 사이에서, 시드부(14a) 위로 성장되는 도금부(14b)가 균등하게 성장하기 쉬워져 있다. 따라서, 도금 성장에 의해, 표면이 완만하고, 두께 변화가 억제된 권회부(14)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코일 부품(1)에서는, 시드부(14a)가 좌우의 수지벽(18)의 중간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좌우의 클리어런스(CL)가 같은 크기이므로, 좌우의 수지벽(18)의 중간 위치에 관하여 대칭 형상의 권회부(14)가 얻어지기 쉽고, 두께 변화가 보다 한층 억제된다.
한편,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수지벽(18) 각각과, 상기 한 쌍의 수지벽(18) 사이의 시드부(14a)가 이간되어 있지 않은 경우, 두께 변화가 큰 권회부(14)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드부(14a)가 수지벽(18)의 내부에 들어간 경우에는, 그 개소의 수지벽(18)의 두께가 얇아지고, 수지벽(18)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는 권회부(14) 사이의 내압이 낮아진다는 불량도 생긴다.
코일 부품(1)에 있어서는, 시드부(14a)의 폭(W1)과 수지벽(18)의 간격(W2)이 W1/W2≥1/5란 관계를 충족하므로, 시드부(14a)가 기판(l1)으로부터 박리하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크기의 결합력이 얻어지도록 시드부(14a)의 폭이 설계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시드부(14a)가 기판(11)으로부터 박리하는 사태의 억제가 도모되어 있다.
또한, 코일 부품(1)에 의하면, 복수의 수지벽(18) 사이에 코일(13)의 권회부(14)가 비접착 상태로 개재하기 때문에, 코일(13)의 권회부(14)와 수지벽(18)이 서로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다. 따라서, 코일 부품(1)의 사용 환경이 고온이 되었을 때 등의 주변 온도에 변화가 있어, 코일(13)의 권회부(14)와 수지벽(18) 사이의 열팽창 계수의 차에 기인하는 응력이 생긴 경우라도, 코일(13)의 권회부(14)와 수지벽(18)이 상대 이동함으로써 그 응력이 완화된다.
또한, 코일 부품(1)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수지체(17)의 수지벽(18) 사이에 개재하도록 코일(13)의 권회부(14)가 도금 성장되어 있다. 즉, 피복 수지(21)로 코일(13)을 덮기 전에, 코일(13)의 권회부(14) 사이에는 이미 수지벽(18)이 개재하고 있다. 따라서, 코일(13)의 권회부(14) 사이에 수지를 별도로 충전할 필요는 없고, 수지벽(18)에 의해 코일(13)의 권회부(14) 사이의 수지의 치수 정밀도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코일 부품(1)은 상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드부(14a)의 좌우의 클리어런스(CL)의 크기는 반드시 같을 필요는 없고, 시드부(14a)와 수지벽(18) 각각의 사이에 클리어런스(CL)가 형성되어 있으면, 시드부(l4a)는 한쪽의 수지벽(18)측에 치우쳐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Claims (11)

  1. 기판과,
    상기 기판의 주면 위에 형성된 코일로서, 상기 기판의 주면 위에 배치된 시드부와 상기 시드부 위에 도금 성장시킨 도금부를 갖는 코일과,
    상기 기판의 주면 위에 형성되고, 상기 코일의 권회부가 사이에 연장되는 복수의 수지벽을 갖는 수지체와,
    자성분 함유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판의 주면의 상기 코일과 상기 수지체를 일체적으로 덮는 피복 수지를 구비하고,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수지벽 각각과, 상기 한 쌍의 수지벽 사이의 상기 시드부는, 소정 거리만큼 이간되어 있는, 코일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지벽 사이의 상기 시드부는, 적어도 상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수지벽의 중간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코일 부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수지벽 각각과, 상기 한 쌍의 수지벽 사이의 상기 시드부는, 등거리만큼 이간되어 있는, 코일 부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지벽 사이의 상기 시드부의 폭을 W1로 하고, 상기 한 쌍의 수지벽의 간격을 W2로 했을 때에, W1/W2≥1/5인, 코일 부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체의 수지벽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상인, 코일 부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체의 수지벽의 종횡비가 1보다 크고, 상기 수지벽이 상기 기판의 주면의 법선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코일 부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권회부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상인, 코일 부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권회부의 단면은 종횡비가 1보다 크고, 상기 권회부의 단면이 상기 기판의 주면의 법선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코일 부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체의 수지벽의 높이가 상기 코일의 권회부의 높이보다 높은, 코일 부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체는, 상기 기판의 주면 위에 상기 코일이 도금 성장되기 전에 형성되고,
    상기 코일의 권회부는, 상기 수지체의 수지벽에 접착되어 있지 않은, 코일 부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주면 위에 복수 늘어선 수지벽 중, 가장 밖에 위치하는 수지벽의 두께가 안쪽에 위치하는 수지벽의 두께보다 두꺼운, 코일 부품.
KR1020160065438A 2015-05-29 2016-05-27 코일 부품 KR101798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210A KR102370813B1 (ko) 2015-05-29 2017-11-02 코일 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10591 2015-05-29
JP2015110591A JP6447369B2 (ja) 2015-05-29 2015-05-29 コイル部品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210A Division KR102370813B1 (ko) 2015-05-29 2017-11-02 코일 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487A true KR20160140487A (ko) 2016-12-07
KR101798370B1 KR101798370B1 (ko) 2017-11-16

Family

ID=5739766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438A KR101798370B1 (ko) 2015-05-29 2016-05-27 코일 부품
KR1020170145210A KR102370813B1 (ko) 2015-05-29 2017-11-02 코일 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20026328A KR102401620B1 (ko) 2015-05-29 2022-02-28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210A KR102370813B1 (ko) 2015-05-29 2017-11-02 코일 형성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20026328A KR102401620B1 (ko) 2015-05-29 2022-02-28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559417B2 (ko)
JP (1) JP6447369B2 (ko)
KR (3) KR101798370B1 (ko)
CN (1) CN106205956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963A (ko) * 2017-12-15 2019-06-25 삼성전기주식회사 인덕터
KR20200000413A (ko) * 2017-10-25 2020-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인덕터
KR20200045729A (ko) 2018-10-23 2020-05-06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전자 부품
US10930425B2 (en) 2017-10-25 2021-02-2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Indu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547B1 (ko) * 2014-12-12 2018-02-26 삼성전기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832560B1 (ko) * 2015-08-07 2018-02-26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792364B1 (ko) * 2015-12-18 2017-11-01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2163056B1 (ko) * 2015-12-30 2020-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전자 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830329B1 (ko) * 2016-07-19 2018-02-21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파워 인덕터
KR101883070B1 (ko) * 2016-10-25 2018-07-27 삼성전기주식회사 인덕터
US10629362B2 (en) * 2017-01-23 2020-04-2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755847B2 (en) * 2017-03-07 2020-08-2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electronic component
KR101952867B1 (ko) * 2017-03-30 2019-02-27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442382B1 (ko) 2017-07-25 2022-09-14 삼성전기주식회사 인덕터
KR101973439B1 (ko) 2017-09-05 2019-04-29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KR102064041B1 (ko) * 2017-12-11 2020-01-08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KR102052806B1 (ko) * 2017-12-26 2019-12-09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KR20190087829A (ko) * 2018-01-17 2019-07-25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KR102004813B1 (ko) * 2018-02-09 2019-07-29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코일 부품의 제조방법
KR102016498B1 (ko) * 2018-04-02 2019-09-02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
KR102016497B1 (ko) 2018-04-02 2019-09-02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KR102016496B1 (ko) * 2018-04-06 2019-09-02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80650B1 (ko) * 2018-09-21 2020-02-24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및 코일 부품의 제조방법
JP7456134B2 (ja) * 2019-12-03 2024-03-27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KR20220074412A (ko) * 2020-11-27 2022-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0010A (ja) 2004-01-26 2005-08-04 Tdk Corp コイル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面実装型コイル素子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7796B2 (en) * 2002-02-08 2005-12-20 Headway Technologies, Inc. Wiring patter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thin film magnetic he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227719B2 (en) * 2003-01-24 2007-06-05 Headway Technologies, Inc. Thin film magnetic he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191506B2 (ja) 2003-02-21 2008-12-03 Tdk株式会社 高密度インダ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349468A (ja) * 2003-05-22 2004-12-09 Tdk Corp コイル基板及び表面実装型コイル素子
JP2006135056A (ja) 2004-11-05 2006-05-25 Shinko Electric Ind Co Ltd プリント基板内蔵型平面バラン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2053439A1 (ja) * 2010-10-21 2012-04-26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929401B2 (ja) * 2012-03-26 2016-06-08 Tdk株式会社 平面コイル素子
KR101397488B1 (ko) * 2012-07-04 2014-05-20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코일 부품 및 그의 제조 방법
JP5741615B2 (ja) * 2013-03-14 2015-07-01 Tdk株式会社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5008316A1 (ja) * 2013-07-19 2015-01-22 株式会社Leap コイル部品及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6312997B2 (ja) * 2013-07-31 2018-04-18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コイル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インダクタ
TWI488198B (zh) * 2013-08-02 2015-06-11 Cyntec Co Ltd 多層線圈之製造方法
JP6000314B2 (ja) * 2013-10-22 2016-09-28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メカニ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チップ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42725B1 (ko) * 2014-03-07 2019-01-28 삼성전기 주식회사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188450B1 (ko) * 2014-09-05 2020-12-08 삼성전기주식회사 파워 인덕터용 코일 유닛, 파워 인덕터용 코일 유닛의 제조 방법, 파워 인덕터 및 파워 인덕터의 제조 방법
KR102118490B1 (ko) * 2015-05-11 2020-06-03 삼성전기주식회사 다층 시드 패턴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0010A (ja) 2004-01-26 2005-08-04 Tdk Corp コイル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面実装型コイル素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413A (ko) * 2017-10-25 2020-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인덕터
US10930425B2 (en) 2017-10-25 2021-02-2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Inductor
US11398340B2 (en) 2017-10-25 2022-07-2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Inductor
KR20190071963A (ko) * 2017-12-15 2019-06-25 삼성전기주식회사 인덕터
KR20200045729A (ko) 2018-10-23 2020-05-06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전자 부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59417B2 (en) 2020-02-11
KR20170125776A (ko) 2017-11-15
CN106205956B (zh) 2020-01-03
KR20220032037A (ko) 2022-03-15
US11557427B2 (en) 2023-01-17
US20160351316A1 (en) 2016-12-01
CN106205956A (zh) 2016-12-07
JP2016225465A (ja) 2016-12-28
KR102370813B1 (ko) 2022-03-07
JP6447369B2 (ja) 2019-01-09
KR101798370B1 (ko) 2017-11-16
KR102401620B1 (ko) 2022-05-25
US20200143980A1 (en)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370B1 (ko) 코일 부품
KR101879176B1 (ko) 코일 부품
KR101751224B1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846817B1 (ko) 코일 부품
JP6429609B2 (ja)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71657B1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790020B1 (ko) 코일 부품
KR101790016B1 (ko) 코일 부품
KR101846150B1 (ko) 코일 부품
KR102669918B1 (ko) 코일 부품
JP6428204B2 (ja)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20189679A1 (en) Coil component
JP6428203B2 (ja)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033282A (ja)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0047938A (ja) 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