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817B1 - 코일 부품 - Google Patents

코일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817B1
KR101846817B1 KR1020160080507A KR20160080507A KR101846817B1 KR 101846817 B1 KR101846817 B1 KR 101846817B1 KR 1020160080507 A KR1020160080507 A KR 1020160080507A KR 20160080507 A KR20160080507 A KR 20160080507A KR 101846817 B1 KR101846817 B1 KR 101846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il
substrate
resin wall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432A (ko
Inventor
히토시 오쿠보
마사즈미 아라타
마나부 오타
유야 카나메
요시히로 마에다
다카히로 가와하라
호쿠토 에다
시게키 사토
교우헤이 이기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3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3Insulation between winding turns, between wind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본 개시에 의하면, 권회부의 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코일 부품이 제공된다. 코일 부품(1)에 의하면, 수지벽(18)의 상단부의 폭(d2’)이 하단부의 폭(d2”)보다 넓고, 상기 수지벽(18) 사이에 연장되는 권회부(14)에서는 상단부의 폭이 하단부의 폭보다 좁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권회부(14)는 기판(11) 측의 단면적이 큰 안정된 단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권회부(14)는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이러한 코일 부품(1)에서는 기판(11)의 두께 방향(도 5의 상하 방향)이나 면 방향(도 5의 좌우 방향)으로부터의 압력에 기인하는 권회부(14)의 변형이나 붕괴가 억제된다.

Description

코일 부품{COIL COMPONENT}
본 개시는 코일 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표면 실장형의 평면 코일 소자 등의 코일 부품이 민간용 기기, 산업용 기기 등의 전기 제품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소형 휴대 기기에서는 기능의 충실화에 따라, 각각의 디바이스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단일의 전원에서 복수의 전압을 얻을 필요가 생겼다. 그래서, 이러한 전원 용도 등에도 표면 실장형의 평면 코일 소자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코일 부품은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10010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 개시된 코일 부품은 기판의 안쪽 및 바깥쪽 면에 각각 평면 소용돌이상의 공심 코일이 설치되고, 공심 코일의 자심 부분에서 기판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스루홀 도체에 의해 공심 코일들이 접속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10010호
상술한 공심 코일은 기판 위에 설치된 시드 패턴에, Cu 등의 도체 재료를 도금 성장시킴으로써 형성되지만, 기판의 면 방향으로의 도금 성장에 의해 코일의 권회부의 간격이 좁아진다. 코일의 권회부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는, 코일의 절연성 저하가 걱정되기 때문에 더 확실하게 절연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코일이 서로 이웃하는 권회부의 사이에 수지벽을 설치하여 확실한 절연을 도모하는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다만, 코일 부품에는, 기판 두께 방향이나 면 방향에서의 압력이 부가되는 것이 고려되고, 상기 압력에 기인하는 변형이나 붕괴가 생기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강도가 상기 권회부에는 요구된다.
본 개시의 일측면에 따른 코일 부품은 기판과, 기판의 주면 위에 도금 성장으로 설치된 코일과, 기판의 주면 위에 설치되고, 코일의 권회부가 사이에 연장되는 복수의 수지벽을 갖는 수지체와, 자성분 함유 수지로 이루어지고, 기판의 주면의 코일과 수지체를 일체로 덮는 피복 수지를 구비하고, 수지벽은 상단부의 폭이 하단부의 폭보다 넓다.
이러한 코일 부품에서는 수지벽의 상단부의 폭이 하단부의 폭보다 넓고, 상기 수지벽 사이에 연장되는 권회부에서는 상단부의 폭이 하단부의 폭보다 좁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권회부는 기판측의 단면적이 큰 안정된 단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권회부는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이러한 코일 부품에서는 기판 두께 방향이나 면 방향에서의 압력에 기인하는 권회부의 변형이나 붕괴가 억제된다.
수지벽의 폭은 상기 수지벽의 측면이 경사면이 되도록, 상단부에서 하단부를 향하여 점차 좁아지는 형태라도 좋고, 또한 상기 수지벽의 측면에 계단부가 형성되도록, 상단부에서 하단부를 향하여 단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라도 좋다.
또한, 수지체의 수지벽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상인 형태라도 좋다. 이때, 수지체의 수지벽의 단면은 저변의 길이에 대한 높이의 비가 1보다 크고, 상기 수지벽이 기판의 주면의 법선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형태라도 좋다.
또한, 코일의 권회부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상인 형태라도 좋다. 이때, 코일의 권회부의 단면은 저변의 길이에 대한 높이의 비가 1보다 크고, 상기 권회부의 단면이 기판의 주면의 법선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형태라도 좋다.
또한, 수지체의 수지벽의 높이가 코일의 권회부의 높이보다 높은 형태라도 좋다. 이 경우, 권회부는 높이 방향에 걸쳐 설계 치수대로의 두께가 될 수 있다. 또한, 권회부들이 수지벽을 넘어 접하는 사태가 의미있게 회피된다.
또한, 수지체는 기판의 주면 위에 코일이 도금 성장되기 전에 설치되고, 코일의 권회부는 수지체의 수지벽에 접착되어 있지 않은 형태라도 좋다.
또한, 기판의 주면 위에 복수 늘어선 수지벽 중, 가장 밖에 위치하는 수지벽의 두께가 내측에 위치하는 수지벽의 두께보다 두꺼운 형태라도 좋다.
본 개시에 의하면, 권회부의 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코일 부품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코일 부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코일 부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기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기판의 시드 패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의 1공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6은 코일의 권회부 위에 설치되는 절연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의 1공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코일 부품의 제조 방법의 1공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수지벽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설명에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코일 부품의 구조에 대하여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시와 같이 XYZ 좌표를 설정한다. 즉, 평면 코일 소자의 두께 방향을 Z 방향, 외부 단자 전극의 대면 방향을 Y 방향, Z 방향과 Y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X 방향으로 설정한다.
코일 부품(1)은 대략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의 대향하는 한 쌍의 단면을 덮도록 하여 설치된 한 쌍의 외부 단자 전극(30A,30B)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일 부품(1)은 일례로서, 긴 변 2.0mm, 짧은 변 1.6mm, 높이 0.9mm의 치수로 설계된다.
이하에서는 본체부(10)를 제작하는 순서를 나타내면서, 또한 코일 부품(1)의 구조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본체부(10)는 도 2에 도시한 기판(11)을 포함하고 있다. 기판(11)은 비자성의 절연 재료로 구성된 평판 직사각형상의 부재이다. 기판(11)의 중앙 부분에는 주면(11a,1lb) 사이를 연결하도록 관통된 대략 원형의 개구(12)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11)로서는, 글래스 클로스(Glass Gloth)에 시아네이트 수지(BT(비스말레이미드·트리아진) 레진:등록상표)가 함침된 기판으로, 판 두께 6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BT레진 이외에 폴리이미드, 아라미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기판(11)의 재료로서는 세라믹이나 유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기판(11)의 재료로서는 대량 생산되고 있는 프린트 기판 재료가 바람직하고, 특히 BT 프린트 기판, FR4 프린트 기판, 또는 FR5 프린트 기판에 사용되는 수지 재료가 가장 바람직하다.
기판(11)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주면(11a,1lb)에 후술하는 코일(13)을 도금 성장시키기 위한 시드 패턴(13A)이 형성되어 있다. 시드 패턴(13A)은 기판(11)의 개구(12) 주변을 회전하는 나선 패턴(14A)과, 기판(11)의 Y 방향에 관한 단부에 형성된 단부 패턴(15A)을 갖고, 이들 패턴(14A,15A)이 연속적 또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주면(11a) 측에 설치되는 코일(13)과 다른 쪽의 주면(1lb) 측에 설치되는 코일(13)에서는 전극 인출 방향이 반대이고, 그러므로, 한쪽의 주면(11a) 측의 단부 패턴(15A)과 다른 쪽의 주면(1lb) 측의 단부 패턴은, 기판(11)의 Y 방향에 관한 서로 다른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2로 돌아가, 기판(11)의 각 주면(11a,1lb) 위에는 수지체(17)가 설치되어 있다. 수지체(17)는 공지된 포트리소그래피에 의해 패터닝된 후막 레지스트이다. 수지체(17)는 코일(13)의 권회부(14)의 성장 영역을 획정하는 수지벽(18)과, 코일(13)의 인출 전극부(15)의 성장 영역을 획정하는 수지벽(19)을 갖는다.
도 4는 시드 패턴(13A)을 사용하여 코일(13)을 도금 성장시켰을 때의 기판(11)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코일(13)의 도금 성장에는 공지된 도금 성장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코일(13)은 구리로 구성되고 있고, 시드 패턴(13A)의 나선 패턴(14A) 위에 형성된 권회부(14)와, 시드 패턴(13A)의 단부 패턴(15A) 위에 형성된 인출 전극부(15)를 갖는다. 코일(13)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시드 패턴(13A)과 같이 기판(11)의 주면(11a,1lb)에 평행하게 연재(延在)하는 평면 소용돌이상의 공심 코일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기판 상면(11a)의 권회부(14)는 상면측에서 보아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좌회전의 소용돌이이고, 기판 하면(1lb)의 권회부(14)는 하면측에서 보아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좌회전의 소용돌이이다. 기판 상면(11a) 및 기판 하면(1lb)의 양쪽 코일(13)은 예를 들면, 개구(12)의 근방에 별도 설치된 관통공을 통하여 단부들이 접속된다. 양쪽 코일(13)에 일 방향으로 전류를 흘렸을 때에는, 양쪽 코일(13)의 전류가 흐르는 회전 방향이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코일(13)에서 발생하는 자속이 중첩되어 서로 강화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도금 성장 후의 기판(11)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1) 위에는 기판(11)의 법선 방향(Z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사각형상 단면(도 5에서는 사다리꼴형상 단면)의 수지벽(18)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수지벽(18) 사이에서 코일(13)의 권회부(14)가 Z 방향으로 성장한다. 코일(13)의 권회부(14)는 그 성장 영역이 도금 성장 전에 기판(11) 위에 형성된 수지벽(18)에 의해 미리 획정되어 있다.
코일(13)의 권회부(14)는 나선 패턴(14A)의 일부인 시드부(14a)와, 시드부(14a) 위에 도금 성장시킨 도금부(14b)로 구성되어 있고, 시드부(14a) 주변에 도금부(14b)가 서서히 성장해 감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코일(13)의 권회부(14)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수지벽(18) 사이에 구획 형성된 공간을 채우도록 성장하여, 수지벽(18) 사이에 구획 형성된 공간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결과, 코일(13)의 권회부(14)는 기판(11)의 법선 방향(Z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형상이 된다. 즉, 수지벽(18) 사이에 구획 형성되는 공간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코일(13)의 권회부(14)의 형상이 조정되고, 설계한 대로의 형상으로 코일(13)의 권회부(14)를 형성할 수 있다.
코일(13)의 권회부(14)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수지벽(18) 사이를 성장할 때, 성장 영역을 획정하는 수지벽(18)의 내측면에 접하면서 성장해 간다. 이때, 코일(13)의 권회부(14)와 수지벽(18) 사이에는 기계적 결합도 화학적 결합도 생기지 않는다. 즉, 코일(13)의 권회부(14)는 수지벽(18)과 접착되지 않은 채 도금 성장하고, 비접착 상태에서 수지벽(18) 사이에 개재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비접착 상태」란, 앵커 효과 등의 기계적 결합 및 공유 결합 등의 화학적 결합이 생기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수지벽(18)은 사각형상 단면(도 5에서는 상저(上底)보다도 하저(下底)가 짧은 사다리꼴형상 단면)을 갖고, 상단부의 폭(d2’)이 하단부의 폭(d2”)보다 넓게 되어 있다. 수지벽(18), 더 구체적으로는 수지벽(18)의 측면(18a)이 경사면이 되도록, 상단부에서 하단부를 향하여 점차 좁아지고 있다. 수지벽(18)의 단면 치수는 일례로서, 높이 50 내지 300㎛, 상단부의 폭(두께) 5 내지 30㎛, 하단부의 폭(두께) 5 내지 30㎛, 하단부의 폭(저변)에 대한 높이의 비 5 내지 30이다. 수지벽(18)의 단면 치수는 높이 180 내지 300㎛, 상단부의 폭(두께) 5 내지 12㎛, 하단부의 폭(두께) 5 내지 12㎛, 하단부의 폭에 대한 높이의 비 15 내지 30이라도 좋다. 또한, 수지벽(18)의 하단부의 폭(d2”)은 상단측의 폭(d2’)의 80% 내지 30%로 할 수 있다. 수지벽(18)의 상단부의 폭(d2’)을 하단부의 폭(d2”)에 대하여 넓게 하는 것은, 예를 들면, 포토리소그래피의 노광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코일(13)의 권회부(1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저보다도 하저가 긴 사다리꼴형상 단면을 갖고, 그 단면 치수는 일례로서, 높이 80 내지 260㎛, 폭(두께) 40 내지 260㎛, 하단부의 폭(저변)에 대한 높이의 비 1 내지 5이다. 코일(13)의 권회부(14)의 하단부의 폭에 대한 높이의 비는 2 내지 5라도 좋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13)의 권회부(14)의 상면(14c)은 상측에 돌출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코일(13)의 권회부(14)의 상면(14c)은 중앙부에서는 기판(11)의 주면(11a)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지만, 수지벽(18) 근방의 단부에서는 곡선 형상으로 점차 하강하고 있다. 그리고, 코일(13)의 권회부(14)의 상면(14c)에서는 기판(11)의 주면(11a)에 대한 상대 위치 에 관하여, 상면(14c)의 수지벽(18)과 접하는 높이 위치가, 상면(14c)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최고의 높이 위치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13)의 권회부(14)의 높이(h)는 수지벽(18)의 높이(H)보다도 낮은 것(h<H)이 바람직하다. 즉, 코일(13)의 권회부(14)의 도금 성장이 수지벽(18)의 높이(H)보다도 낮은 위치에서 멈추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13)의 권회부(14)의 높이(h)가 수지벽(18)의 높이(H)보다도 낮으면, 권회부(14)는 높이 방향에 걸쳐 설계 치수대로의 두께가 된다. 또한, 코일(13)의 권회부(14)의 높이(h)가 수지벽(18)의 높이(H)보다 높으면, 서로 이웃하는 권회부(14)들이 접촉하거나 후술하는 절연체(40)나 접합층(41)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게 되는 사태가 생기고, 코일(13)의 내압 저항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한, 수지벽(18)에 의해 구성된 공간은 상단이 개방되어 있고, 수지벽(18)의 상단부가 권회부(14)의 상측을 덮도록 돌아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권회부(14)의 상측의 설계 자유도가 높다. 즉, 권회부(14) 위에 임의의 층을 형성하는 형태도 어떤 층도 형성하지 않는 형태도 선택할 수 있다.
권회부(14) 위에 층을 형성할 경우에는, 각종의 층 형태나 층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회부(14) 위에, 후술하는 피복 수지(21)에 포함되는 금속 자성분과 권회부(14) 사이의 절연성을 높이기 위해서, 절연체(40)를 설치할 수 있다. 절연체(40)는 절연 수지 또는 절연 자성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절연체(40)는 권회부(14)의 상면(14c)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하는 동시에, 권회부(14)와 수지벽(18)을 일체로 덮고 있다. 또한, 절연체(40)는 권회부(14)만을 선택적으로 덮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권회부(14)와 절연체(40) 사이의 접합성을 높이기 위해서, 소정의 접합층(예를 들면, 산화에 의한 구리 도금의 흑화층)(41)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지벽(18) 중, 가장 밖에 위치하는 수지벽(18)의 두께(d1)가 내측에 위치하는 수지벽(18)의 두께(d2)보다 두꺼운 것(d1>d2)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코일 부품(1)의 제작시나 사용시에 받는 Z 방향의 압력에 대하여 강성이 부여된다. 두께가 두꺼운 수지벽(18)을 가장 밖의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이 부분에서 주로 상기 압력을 받아낸다. 강성의 관점에서는, 양단에 위치하는 수지벽(18)의 양쪽이 내측에 위치하는 수지벽(18)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코일(13)의 도금 성장은 기판(11)의 양쪽 주면(11a,1lb)에서 행해진다. 양쪽 주면(11a,1lb)의 코일(13)들은 기판(11)의 개구에서 각각의 단부들이 접속되어 도통된다.
기판(11) 위에 코일(13)을 도금 성장시킨 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1)은 피복 수지(21)로 전체적으로 덮인다. 즉, 피복 수지(21)가 기판(11)의 주면(11a,1lb)의 코일(13)과 수지체(17)를 일체로 덮는다. 수지체(17)는 피복 수지(21) 안에 남은 채 코일 부품(1)의 일부를 구성한다. 피복 수지(21)는 금속 자성분 함유 수지로 이루어지고, 웨이퍼 상태의 기판(11) 위에 형성되며, 그 후에 경화됨으로써 형성된다.
피복 수지(21)를 구성하는 금속 자성분 함유 수지는 금속 자성분이 분산된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금속 자성분은 예를 들면 철 니켈 합금(퍼멀로이 합금), 카르보닐 철, 아몰퍼스, 비정질 또는 결정질의 FeSiCr계 합금, 샌디스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 자성분 함유 수지에 사용되는 수지는 예를 들면 열경화성의 에폭시 수지이다. 금속 자성분 함유 수지에 포함되는 금속 자성분의 함유량은 일례로서 90 내지 99wt%이다.
또한, 다이싱하여 칩화함으로써 도 8에 도시한 본체부(10)를 얻을 수 있다. 칩화한 후, 필요에 따라 바렐 연마 등에 의해 엣지의 모따기를 행하여도 좋다.
마지막으로, 본체부(10)의 단부 패턴(15A)이 노출된 단면(Y 방향에서 대향하는 단면)에, 단부 패턴(15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외부 단자 전극(30A,30B)을 설치함으로써, 코일 부품(1)이 완성된다. 외부 단자 전극(30A,30B)은 코일 부품을 탑재하는 기판의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전극이며, 복수층 구조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단자 전극(30A,30B)은 단면에 수지 전극 재료를 도포한 후, 그 수지 전극 재료에 금속 도금을 행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외부 단자 전극(30A,30B)의 금속 도금에는 Cr, Cu, Ni, Sn, Au, 납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코일 부품(1)에 의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벽(18)의 상단부의 폭(d2’)이 하단부의 폭(d2”)보다 넓고, 상기 수지벽(18) 사이에 연장되는 권회부(14)에서는 상단부의 폭이 하단부의 폭보다 좁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권회부(14)는 기판(11) 측의 단면적이 큰 안정된 단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권회부(14)는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이러한 코일 부품(1)에서는 기판(11)의 두께 방향(도 5의 상하 방향)이나 면 방향(도 5의 좌우 방향)으로부터의 압력에 기인하는 권회부(14)의 변형이나 붕괴가 억제된다.
특히, 수지벽(18)은 그 측면(18a)이 경사면이 되도록, 상단부에서 하단부를 향하여 점차 좁아지고 있기 때문에, 권회부(14)는 응력이 부가되었을 때에 측면의 어느 부분에도 응력이 집중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권회부(14)는 기판(11)의 두께 방향이나 면 방향에서의 압력에 대한 강도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수지벽(18)의 상단부의 폭(d2’)이 하단부의 폭(d2”)보다 넓게 되어 있음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수지벽(18) 사이에 구획 형성되는 공간의 상부 개구의 협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환언하면, 상기 공간 위에 수지벽(18)의 상단부가 돌출하여, 상기 공간을 수지벽(18)의 상단부가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공간의 내부에서 코일(13)의 권회부(14)를 도금 성장시킬 때에, 상기 공간에서 도금부(14b)가 넘치는 사태가 억제되고, 그 결과, 권회부(14) 사이에서 단락이 생기는 사태도 억제된다.
또한, 수지벽(18)의 하단부의 폭(d2”)이 상단부의 폭(d2’)보다 좁게 되어 있음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수지벽(18) 사이에 구획 형성되는 공간이 넓은 저면적을 갖는다. 그러므로, 수지벽(18)의 하단부의 측면과 시드부(14a) 사이에 충분한 클리어런스를 확보하면서 시드부(14a)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시드부(14a)의 폭이 넓어지면, 그에 따라 시드부(14a)와 도금부(14b) 사이의 접합 영역이 넓어지기 때문에, 코일(13)과 기판(11) 사이의 접합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코일 부품(1)에 의하면, 코일(13)의 권회부(14)의 상면(14c)이 수지벽(18)과 접하는 높이 위치가, 상면(14c)에서의 최고의 높이 위치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권회부(14)로부터, 수지벽(18)을 통하여 서로 이웃하는 권회부(14)까지의 연면 거리의 연장을 도모할 수 있고, 서로 이웃하는 권회부(14) 사이에서 내압이 향상된다.
또한, 코일 부품(1)에 의하면, 복수의 수지벽(18) 사이에 코일(13)의 권회부(14)가 비접착 상태로 개재하기 때문에, 코일(13)의 권회부(14)와 수지벽(18)이 서로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다. 그러므로, 코일 부품(1)의 사용 환경이 고온이 되었을 때 등의 주변 온도에 변화가 있어, 코일(13)의 권회부(14)와 수지벽(18) 사이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에 기인하는 응력이 생긴 경우에도, 코일(13)의 권회부(14)와 수지벽(18)이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그 응력이 완화된다.
또한, 코일 부품(1)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수지체(17)의 수지벽(18) 사이에 개재하도록, 코일(13)의 권회부(14)가 도금 성장되어 있다. 즉, 피복 수지(21)로 코일(13)을 덮기 전에, 코일(13)의 권회부(14) 사이에는 이미 수지벽(18)이 개재하고 있다. 그러므로, 코일(13)의 권회부(14) 사이에 수지를 별도로 충전할 필요가 없고, 수지벽(18)에 의해 코일(13)의 권회부(14) 사이의 수지의 치수 정밀도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코일 부품(1)은 상술한 형태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지벽의 단면 형상은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면 형상이라도 좋다. 도 9에 도시한 수지벽(18A)은 측면(18a)에 단부(18b)가 형성되도록, 상단부에서 하단부를 향하여 단계적으로 좁아지고 있다. 수지벽(18A)도 상술한 수지벽(18)과 같이 상단부의 폭(d2’)이 하단부의 폭(d2”)보다 넓고, 상기 수지벽(18) 사이에 연장되는 권회부(14)에서는 상단부의 폭이 하단부의 폭보다 좁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권회부(14)는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이러한 코일 부품(1)에서는 기판(11)의 두께 방향(도 8의 상하 방향)이나 면 방향(도 8의 좌우 방향)으로부터의 압력에 기인하는 권회부(14)의 변형이나 붕괴가 억제된다.

Claims (10)

  1. 기판과,
    상기 기판의 주면 위에 도금 성장으로 설치된 코일과,
    상기 기판의 주면 위에 설치되고, 상기 코일의 권회부가 사이에 연장되는 복수의 수지벽을 갖는 수지체와,
    자성분 함유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판의 주면의 상기 코일과 상기 수지체를 일체로 덮는 피복 수지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벽은 상단부의 폭이 하단부의 폭보다 넓은, 코일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벽의 폭은 상기 수지벽의 측면이 경사면이 되도록, 상단부에서 하단부를 향하여 점차 좁아지는, 코일 부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벽의 폭은 상기 수지벽의 측면에 계단부가 형성되도록, 상단부에서 하단부를 향하여 단계적으로 좁아지는, 코일 부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체의 수지벽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상인, 코일 부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체의 수지벽의 단면은 저변의 길이에 대한 높이의 비가 1보다 크고, 상기 수지벽이 상기 기판의 주면의 법선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코일 부품.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권회부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상인, 코일 부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권회부의 단면은 저변의 길이에 대한 높이의 비가 1보다 크고, 상기 권회부의 단면이 상기 기판의 주면의 법선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코일 부품.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체의 수지벽의 높이가 상기 코일의 권회부의 높이보다 높은, 코일 부품.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체는 상기 기판의 주면 위에 상기 코일이 도금 성장되기 전에 설치되고,
    상기 코일의 권회부는 상기 수지체의 수지벽에 접착되어 있지 않은, 코일 부품.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주면 위에 복수 늘어선 수지벽 중, 가장 밖에 위치하는 수지벽의 두께가 내측에 위치하는 수지벽의 두께보다 두꺼운, 코일 부품.
KR1020160080507A 2015-06-30 2016-06-28 코일 부품 KR101846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31265A JP6716866B2 (ja) 2015-06-30 2015-06-30 コイル部品
JPJP-P-2015-131265 2015-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432A KR20170003432A (ko) 2017-01-09
KR101846817B1 true KR101846817B1 (ko) 2018-04-10

Family

ID=57811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507A KR101846817B1 (ko) 2015-06-30 2016-06-28 코일 부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716866B2 (ko)
KR (1) KR1018468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55847B2 (en) 2017-03-07 2020-08-2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electronic component
KR101994758B1 (ko) 2017-10-16 2019-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박막형 인덕터
KR102069632B1 (ko) 2018-02-22 2020-01-23 삼성전기주식회사 인덕터
KR102016497B1 (ko) 2018-04-02 2019-09-02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KR102178529B1 (ko) 2019-05-07 2020-11-13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전자부품
KR102163420B1 (ko) 2019-05-13 2020-10-08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전자부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3684A (ja) 2003-02-21 2004-09-09 Tdk Corp 高密度インダ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355742A (ja) 2003-05-29 2004-12-16 Shinka Jitsugyo Kk 薄膜コイルおよびその形成方法ならびに薄膜磁気ヘ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135056A (ja) 2004-11-05 2006-05-25 Shinko Electric Ind Co Ltd プリント基板内蔵型平面バラン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7178B2 (ja) * 2002-07-31 2007-08-15 Tdk株式会社 パターン化薄膜形成方法
JP4199047B2 (ja) * 2003-05-16 2008-12-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薄膜インダクタ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10010A (ja) 2004-01-26 2005-08-04 Tdk Corp コイル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面実装型コイル素子
JP2006278912A (ja) * 2005-03-30 2006-10-12 Tdk Corp コイル部品
JP2006310716A (ja) * 2005-03-31 2006-11-09 Tdk Corp 平面コイル素子
JP2010080550A (ja) * 2008-09-24 2010-04-08 Taiyo Yuden Co Ltd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6102420B2 (ja) * 2013-03-29 2017-03-29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JP6312997B2 (ja) * 2013-07-31 2018-04-18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コイル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インダ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3684A (ja) 2003-02-21 2004-09-09 Tdk Corp 高密度インダ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355742A (ja) 2003-05-29 2004-12-16 Shinka Jitsugyo Kk 薄膜コイルおよびその形成方法ならびに薄膜磁気ヘ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135056A (ja) 2004-11-05 2006-05-25 Shinko Electric Ind Co Ltd プリント基板内蔵型平面バラン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16866B2 (ja) 2020-07-01
KR20170003432A (ko) 2017-01-09
JP2017017140A (ja) 201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176B1 (ko) 코일 부품
KR101798370B1 (ko) 코일 부품
KR101846817B1 (ko) 코일 부품
KR101751224B1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871657B1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JP6429609B2 (ja)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90020B1 (ko) 코일 부품
KR101790016B1 (ko) 코일 부품
KR101846150B1 (ko) 코일 부품
KR102669918B1 (ko) 코일 부품
JP6428204B2 (ja)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428203B2 (ja)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0047938A (ja) 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2019033282A (ja)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