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9973A -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973A
KR20160139973A KR1020150075966A KR20150075966A KR20160139973A KR 20160139973 A KR20160139973 A KR 20160139973A KR 1020150075966 A KR1020150075966 A KR 1020150075966A KR 20150075966 A KR20150075966 A KR 20150075966A KR 20160139973 A KR20160139973 A KR 20160139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ccentric ring
follower
gea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1042B1 (ko
Inventor
윤철규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5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042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863Arrangements for adjusting or for taking-up backla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16H57/022Adjustment of gear shafts o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67Elements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69Bearings or seals
    • F16H57/0471B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16H2001/32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comprising eccentric crankshafts driving or driven by a gearing
    • F16H2057/0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는: 회동축이 구비되는 모터부; 회동축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되는 구동기어부; 구동기어부의 기어치와 치합되도록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되는 종동기어부; 및 모터부에 연결되고, 회동축을 이동시켜 구동기어부의 회전중심축과 종동기어부의 회전중심축 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거리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APPARATUS FOR ADJUSTMENT OF GEAR BACKLASH}
본 발명은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어의 회전시 발생되는 백래시를 조정하여 기어의 마모 방지와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백래시(backlash)란, 한 쌍의 기어가 맞물렸을 때 치면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말한다. 한 쌍의 기어를 매끄럽게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백래시가 필요하다. 백래시가 너무 작으면 윤활이 불충분하게 되기 쉬워서 치면끼리의 마찰이 커지고, 백래시가 너무 크면 기어의 맞물림이 나빠져 기어가 파손되기 쉽다.
종래 기어 간의 구동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은 기어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윤활유가 비산되어 기어의 표면에 실질적인 윤활 작용을 하지 못하여 기어의 마모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기어 자체의 백래시 조정이 불가능하여 가공 오차 및 기어의 등급에 따라 이상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어에 벨트가 연결되는 벨트 구동 방식은 벨트와 기어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고, 벨트 장력 조절에 따라서 벨트가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5133호(2014.10.28 공개, 발명의 명칭: 수직 다관절 도장로봇 손목축 기어 백래시 방지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어의 회전시 발생되는 백래시를 조정하여 기어의 마모 방지와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는: 회동축이 구비되는 모터부; 상기 회동축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되는 구동기어부; 상기 구동기어부의 기어치와 치합되도록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되는 종동기어부; 및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축을 이동시켜 상기 구동기어부의 회전중심축과 상기 종동기어부의 회전중심축 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거리조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거리조정부는 상기 모터부에 나사 체결되고, 중심부에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제1관통공에 결합되고 중심부에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편심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편심링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압입 결합되는 제1편심링; 및 상기 제1편심링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편심링의 중심과 편심되게 중심이 형성되는 제2편심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기어부는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회동축과 축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에는 일면이 개방되는 개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편심링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홈부가 형성되며, 체결부재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전면에 위치하는 커버부와 상기 모터부를 체결하고,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커버부와 상기 모터부의 체결 조임을 푼 상태에서, 상기 홈부를 이용하여 상기 편심링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구동기어부의 회전중심축과 상기 종동기어부의 회전중심축 간의 거리가 조정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종동기어부의 기어치가 윤활유에 잠기도록 상기 종동기어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윤활유 수용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종동기어부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종동기어부의 일면과 이격 설치되며, 상기 종동기어부에서 윤활유가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비산차단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산차단부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비산차단부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기어부의 회전중심축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오목하게 절취되는 오목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종동기어부에 동력전달축이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축에는 상기 종동기어부에서 윤활유가 상기 동력전달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베어링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어의 회전시 기어면에 윤활유가 자동적으로 윤활되어 기어의 마모로 인한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어 간의 축간 거리를 조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어 백래시를 조절하면서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어 간의 마모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기어의 사용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어 간의 마모 방지와 소음을 감소시켜 기어 간에 발생되는 동력 전달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와 거리조정부의 조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고정플레이트와 모터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와 거리조정부의 조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고정플레이트와 모터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는 모터부(10), 구동기어부(20), 종동기어부(30) 및 거리조정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동기어부(20)와 거리조정부(40)의 전면에는 커버부(5)가 구비된다.
모터부(10)는 일측에 회동축(11)이 구비되고, 회동축(11)을 축회동할 수 있게 동력을 제공한다. 회동축(11)가 형성된 모터부(10)의 일면(도 3 기준 좌측면)에는 일정 높이로 돌출된 결합부(12)가 형성된다. 결합부(12)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고정플레이트(41)의 제1관통공(42)에 삽입된다. 고정플레이트(41)가 편심링(45)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게 되면, 결합부(12)도 고정플레이트(41)와 같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회동축(11)도 결합부(12)와 같이 이동하게 된다.
구동기어부(20)는 회동축(11)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복수 개의 기어치(齒, tooth)가 형성된다. 구동기어부(20)는 회동축(1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구동기어부(20)와 치합된 종동기어부(30)에 모터부(10)의 동력을 전달한다
종동기어부(30)는 구동기어부(20)의 기어치와 치합되는 기어치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구동기어부(20)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된다. 종동기어부(30)는 종동기어부(30)의 중심에 연결된 동력전달축(90)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거리조정부(40)는 모터부(10)의 연결되고, 회동축(11)을 이동시켜 구동기어부(20)의 화전중심축과 종동기어부(30)의 회전중심축 간의 거리(D)를 조정한다. 거리조정부(40)는 고정플레이트(41)와 편심링(45)을 포함한다.
고정플레이트(41)는 모터부(10)와 커버부(5)를 나사체결하는 체결부재(70)이 관통되는 것으로, 중심부에 제1관통공(42)이 형성된다. 체결부재(70)가 관통되는 고정플레이트(41)의 관통공(미도시)은 체결부재(70)와 유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고정플레이트(41)의 제1관통공(42)을 통하여 회동축(11)이 노출되고, 제1관통공(42)에 결합부(12)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관통공(42)과 결합부(12)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서로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체결부재(70)가 고정플레이트(41)를 관통하여 고정플레이트(41)의 전면(도 7 기준 하측면)에 위치하는 커버부(5)와 모터부(10)를 체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편심링(45)의 회전 전에 체결부재(70)에 의하여 나사체결된 고정플레이트(41)와 모터부(10)의 체결상태를 먼저 느슨하게 한다. 여기서, 체결부재(70)의 체결상태를 느슨하게 하는 것은 커버부(5)에 삽입된 나사산이 고정플레이트(41)에 근접한 위치에 있도록 나사 조임을 푸는 것을 의미한다(도 8 참조).
고정플레이트(41)의 일면(도 3 기준 좌측면)에는 개구된 개구면(43)이 형성된다. 개구면(43)을 통하여 편심링(45)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개구면(43)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 편심링(45)을 회전시킴에 따라 고정플레이트(41)가 이동되면서 회동축(11)을 이동시키고, 회동축(11)에 연결된 구동기어부(20)도 같이 이동되면서 구동기어부(20)의 화전중심축과 종동기어부(30)의 회전중심축 간의 거리(D)가 조정될 수 있다.
편심링(45)은 제1관통공(42)에 삽입되어 고정플레이트(41)와 결합된다. 편심링(45)의 외경은 제1관통공(42)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편심링(45)이 회전하게 되면, 고정플레이트(41)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편심링(45)의 중심부에는 제2관통공(46)이 형성된다. 제1관통공(42)과 제2관통공(46)을 통하여 회동축(11)이 외부로 노출되고, 회동축(11)에 구동기어부(20)가 연결된다.
편심링(45)은 제1편심링(47)과 제2편심링(48)을 포함한다. 제1편심링(47)은 고정플레이트(41)에 결합되고, 제2편심링(48)은 제1편심링(47)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1편심링(47)의 중심과 제2편심링(48)의 중심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즉, 제2편심링(48)의 중심은 제1편심링(47)의 중심에서 벗어나도록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편심링(48)의 중심은 제2관통공(46)과 제1관통공(42)의 중심과 일치시키고, 제1편심링(47)의 중심이 제2편심링(48)의 중심에서 편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편심링(47)의 중심은 제2관통공(46)과 제1관통공(42)의 중심과 일치시키고, 제2편심링(48)의 중심이 제1편심링(47)의 중심에서 편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편심링(47)의 중심과 제2편심링(48)의 중심의 편심양은 3mm로 설정될 수 있다.
제1편심링(47)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홈부(49)가 형성된다. 개구면(43)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제1편심링(47)의 홈부(49)에 핀 등을 이용하여 삽입하고, 홈부(49)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고정플레이트(4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일방향(도 5 기준 반시계방향)으로 제1편심링(47)을 회전시키는 경우 고정플레이트(41)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구동기어부(20)의 화전중심축과 종동기어부(30)의 회전중심축 간의 거리(D)가 서로 가깝게 설정될 수 있다. 또는 타방향(도 5 기준 시계방향)으로 제1편심링(47)을 회전시키는 경우 고정플레이트(41)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구동기어부(20)의 화전중심축과 종동기어부(30)의 회전중심축 간의 거리(D)가 서로 멀어지게 설정될 수 있다. 제1편심링(47)의 회전방향에 따른 고정플레이트(41)와 구동기어부(20)의 이동방향은 제1편심링(47)과 제2편심링(48)이 서로 편심된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종동기어부(30)의 일측(도 5 기준 하측)에는 회전하는 종동기어부(30)의 기어치에 윤활유가 흡착되게 하는 윤활유 수용부(50)가 설치된다. 윤활유 수용부(50)는 윤활유가 수용될 수 있는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것으로, 종동기어부(30)가 회전하면서 윤활유 수용부(50)에 수용된 윤활유에 잠겨서 종동기어부(30)의 기어치에 윤활유가 흡착된다. 종동기어부(30)와 치합된 구동기어부(20)에도 윤활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동기어부(30) 또는 구동기어부(20)에 별도의 윤활유 공급 수단 또는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회전하는 종동기어부(30)의 기어치가 윤활유 수용부(50)에 수용된 윤활유를 흡착하면서 구동기어부(20)와 종동기어부(30) 간의 윤활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종동기어부(30)의 일면(도 2 기준 후면)에는 종동기어부(30)에 흡착된 윤활유가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비산차단부(60)가 이격 형성된다. 비산차단부(60)는 종동동기어부(30)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종동기어부(30)의 기어치에 흡착된 윤활유가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비산되는 윤활유는 비산차단부(60)의 표면을 따라서 아래에 위치한 윤활유 수용부(50)에 모이게 된다. 비산차단부(60)는 고정플레이트(41)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윤활유 수용부(50)에 수용된 윤활유가 비산차단부(60)에 의하여 비산 등으로 유실되는 것이 방지되어 윤활유의 추가 보충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윤활유 사용시간이 비산차단부(60)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연장될 수 있다.
비산차단부(60)는 거리조정부(40)의 고정플레이트(41)에 설치되는 부분을 단차지게 형성한다. 비산차단부(60)의 일면(도 2 기준 좌측면)에는 구동기어부(2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오목하게 절취되는 오목홈(61)이 형성된다.
종동기어부(30)에 설치된 동력전달축(90)에는 종동기어부(30)에 흡착된 윤활유가 동력전달축(9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베어링(80)이 설치된다. 베어링(80)은 동력전달축(90)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베어링(80)은 표면에 방수 및 방유를 위한 코팅 처리 등이 되어 있다. 윤활유는 베어링(80)에 의하여 동력전달축(9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고, 윤활유는 아래로 떨어져 윤활유 수용부(50)에 수용된다. 따라서 윤활유 수용부(50)에 수용된 윤활유가 베어링(80)에 의하여 윤활유의 이동이 방지되고 윤활유가 윤활유 수용부(50)에 수용되어 윤활유의 추가 보충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됨으로써 윤활유 사용시간이 베어링(80)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부(10)와 고정플레이트(41)를 체결하는 체결부재(70)를 느슨하게 푼다. 본 실시예에서 편심링(45)의 회전 전에 체결부재(70)에 의하여 나사체결된 고정플레이트(41)와 모터부(10)의 체결상태를 먼저 느슨하게 한다. 여기서, 체결부재(70)의 체결상태를 느슨하게 하는 것은 커버부(5)에 삽입된 나사산이 고정플레이트(41)에 근접한 위치에 있도록 나사 조임을 푸는 것을 의미한다(도 8 참조).
개구면(43)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제1편심링(47)의 홈부(49)에 핀 등의 도구를 삽입하고, 제1편심링(47)을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일방향(도 5 기준 반시계방향)으로 제1편심링(47)을 회전시키는 경우 고정플레이트(41)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구동기어부(20)의 화전중심축과 종동기어부(30)의 회전중심축 간의 거리(D)가 서로 가깝게 된다. 또는 타방향(도 5 기준 시계방향)으로 제1편심링(47)을 회전시키는 경우 고정플레이트(41)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구동기어부(20)의 화전중심축과 종동기어부(30)의 회전중심축 간의 거리(D)가 서로 멀어진다. 제1편심링(47)의 회전방향에 따라 구동기어부(20)와 종동기어부(30)의 축간 거리(D)가 조정된다.
구동기어부(20)의 화전중심축과 종동기어부(30)의 회전중심축 간의 거리(D) 조정은 구동기어부(20)의 화전중심축과 종동기어부(30)의 회전중심축 간의 거리(D)가 멀어서 소음이 발생되는 경우, 축간 거리(D)를 가깝게 조정하고, 구동기어부(20)와 종동기어부(30)가 서로 가까워 기어치의 마모가 심해지면 구동기어부(20)의 화전중심축과 종동기어부(30)의 회전중심축 간의 거리(D)를 멀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회전하는 종동기어부(30)는 윤활유 수용부(60)에 수용된 윤활유가 흡착됨으로써, 구동기어부(20)와 종동기어부(30) 간의 마모가 방지될 수 있다. 종동기어부(30)에 흡착된 윤활유는 비산차단부(60)에 의하여 비산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종동기어부(30)에 설치된 동력전달축(90)을 따라 이동되는 윤활유는 베어링(80)에 의하여 이동이 차단된다. 윤활유는 베어링(80)에 의하여 동력전달축(9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고 아래로 떨어져 윤활유 수용부(50)에 수용된다.
비산차단부(60)와 베어링(80)에 의하여 윤활유가 윤활유 수용부(50)로 모이게 되어 윤활유의 추가 공급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기어부(20)와 종동기어부(30)의 회전시 기어치에 윤활유가 자동적으로 윤활되어 기어치의 마모로 인한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거리조정부(40)에 의하여 구동기어부(20)의 화전중심축과 종동기어부(30)의 회전중심축 간의 거리(D)를 조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어의 백래시를 조절하면서 소음 발생을 줄일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기어부(20)와 종동기어부(30) 간의 마모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구동기어부(20)와 종동기어부(30)의 사용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기어부(20)와 종동기어부(30) 간의 마모 방지와 소음을 감소시켜 구동기어부(20)와 종동기어부(30) 간에 발생되는 동력 전달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5: 커버부 10: 모터부
11: 회동축 12: 결합부
20: 구동기어부 30: 종동기어부
40: 거리조정부 41: 고정플레이트
42: 제1관통공 43: 개구면
45: 편심링 46: 제2관통공
47: 제1편심링 48: 제2편심링
49: 홈부 50: 윤활유 수용부
60: 비산차단부 61: 오목홈
70: 체결부재 80: 베어링
90: 동력전달축
D: 구동기어부의 회전중심축과 종동기어부의 회전중심축 간의 거리

Claims (9)

  1. 회동축이 구비되는 모터부;
    상기 회동축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되는 구동기어부;
    상기 구동기어부의 기어치와 치합되도록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되는 종동기어부; 및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축을 이동시켜 상기 구동기어부의 회전중심축과 상기 종동기어부의 회전중심축 간의 거리를 조정하는 거리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조정부는
    상기 모터부에 나사 체결되고, 중심부에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제1관통공에 결합되고 중심부에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편심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링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압입 결합되는 제1편심링; 및
    상기 제1편심링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편심링의 중심과 편심되게 중심이 형성되는 제2편심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부는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회동축과 축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에는 일면이 개방되는 개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편심링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홈부가 형성되며,
    체결부재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전면에 위치하는 커버부와 상기 모터부를 체결하고,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커버부와 상기 모터부의 체결 조임을 푼 상태에서, 상기 홈부를 이용하여 상기 편심링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구동기어부의 회전중심축과 상기 종동기어부의 회전중심축 간의 거리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부의 기어치가 윤활유에 잠기도록 상기 종동기어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윤활유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부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종동기어부의 일면과 이격 설치되며, 상기 종동기어부에서 윤활유가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비산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차단부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비산차단부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기어부의 회전중심축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오목하게 절취되는 오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부에 동력전달축이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축에는 상기 종동기어부에서 윤활유가 상기 동력전달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
KR1020150075966A 2015-05-29 2015-05-29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 KR101701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966A KR101701042B1 (ko) 2015-05-29 2015-05-29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966A KR101701042B1 (ko) 2015-05-29 2015-05-29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973A true KR20160139973A (ko) 2016-12-07
KR101701042B1 KR101701042B1 (ko) 2017-01-31

Family

ID=57572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966A KR101701042B1 (ko) 2015-05-29 2015-05-29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04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871B1 (ko) * 2019-04-22 2020-04-0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KR102206659B1 (ko) * 2020-03-19 2021-01-2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WO2022211384A1 (en) * 2021-03-29 2022-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preloading of actuators
US11712804B2 (en) 2021-03-29 2023-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robotic motion control
US11731279B2 (en) 2021-04-13 2023-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tuning of robotics system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9413A1 (en) * 2005-04-04 2008-06-26 Thyssenkrupp Presta Ag Electromechanical Power Assisted Steering System
JP2009097676A (ja) * 2007-10-18 2009-05-07 Aisin Ai Co Ltd 動力伝達機構における潤滑構造
KR20090054486A (ko) * 2007-11-27 2009-06-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 기계의 기어 백래쉬 조절 장치
KR20150023999A (ko) * 2013-08-26 2015-03-06 한국정밀기계(주) 기어유닛 백래시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9413A1 (en) * 2005-04-04 2008-06-26 Thyssenkrupp Presta Ag Electromechanical Power Assisted Steering System
JP2009097676A (ja) * 2007-10-18 2009-05-07 Aisin Ai Co Ltd 動力伝達機構における潤滑構造
KR20090054486A (ko) * 2007-11-27 2009-06-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 기계의 기어 백래쉬 조절 장치
KR20150023999A (ko) * 2013-08-26 2015-03-06 한국정밀기계(주) 기어유닛 백래시 조절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871B1 (ko) * 2019-04-22 2020-04-0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WO2020218792A1 (ko) * 2019-04-22 2020-10-29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CN114097138A (zh) * 2019-04-22 2022-02-25 株式会社Kmw 天线用夹紧装置
KR102206659B1 (ko) * 2020-03-19 2021-01-2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안테나용 클램핑 장치
WO2022211384A1 (en) * 2021-03-29 2022-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preloading of actuators
US11712804B2 (en) 2021-03-29 2023-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robotic motion control
US11724390B2 (en) 2021-03-29 2023-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preloading of actuators
US11731279B2 (en) 2021-04-13 2023-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tuning of robotics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042B1 (ko) 201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042B1 (ko)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
CN109944917B (zh) 包括具有反向差速器轴承的差速器组件的轴组件
US10161463B2 (en) Driving force transmitting apparatus
JP3874479B2 (ja) スタッド付トラックローラ軸受
KR101837715B1 (ko) 급유기능을 갖는 동력전달장치
KR101755195B1 (ko)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
KR101982547B1 (ko) 자동변속기용 기어장치
JPH0821223A (ja) アイドルギヤ歯面潤滑油量可変機構
CN105019755B (zh) 用于门操作器的输出轴、门操作器以及相应的方法
US1028176A (en) Lubricating device.
JP2006254785A (ja) 作業装置の潤滑構造
KR101135257B1 (ko) 터닝센터 밀링 터렛의 베벨기어 윤활구조
JP6057467B2 (ja) 変速機
CN215861662U (zh) 传动装置
CN211167078U (zh) 一种衬套和转向器
KR20170077960A (ko) 자동변속기용 기어장치
KR102223334B1 (ko) 핸드피스
US10900554B2 (en) Vehicle transfer
KR101336567B1 (ko) 유성기어 감속기
US11986915B2 (en) Rotary table device
KR20180044634A (ko) 자동 변속기의 디프 드라이브 기어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변속기
CA3164555A1 (en) Chain drive oil separator
KR101914585B1 (ko) 변속장치
KR20170058478A (ko) 유성 기어 장치
KR200160473Y1 (ko) 베벨기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