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334B1 -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334B1
KR102223334B1 KR1020190119556A KR20190119556A KR102223334B1 KR 102223334 B1 KR102223334 B1 KR 102223334B1 KR 1020190119556 A KR1020190119556 A KR 1020190119556A KR 20190119556 A KR20190119556 A KR 20190119556A KR 102223334 B1 KR102223334 B1 KR 102223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centric shaft
power transmission
fastener
tool holder
direction ch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근
Original Assignee
자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자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9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8Flexible shafts; Clutches or the like; Bearings or lubricating arrangements; Drives or transmissions
    • A61C1/181Bearings or lubricating arrangements, e.g. air-cushion b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6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electr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2Angle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8Flexible shafts; Clutches or the like; Bearings or lubricating arrangements; Drives or transmissions
    • A61C1/185Drives or transmis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핸드피스(Handpiece)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각 구성들간에 동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키고, 각 구성들이 상호 용이하게 결합 분리되도록 이루어져, 효율적인 사용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핸드피스는,
전단부에는 편심축이 구비되고 후단부에는 종동기어가 구비된 동력전달샤프트와;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측면에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의 편심축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방향전환요홈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구가 끼워지는 공구끼움공이 형성된 공구홀더와;
내부에 상기 동력전달샤프트가 내재되는 내부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수용부의 전단부에는 상기 공구홀더가 직선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지지홀이 형성된 동력전달케이싱과;
상기 동력전달케이싱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동력전달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동력발생수단이 구비된 손잡이케이싱; 으로 구성된 핸드피스에 있어서,
상기 편심축에는 슬라이드베어링이 결합되어, 편심축과 상기 방향전환요홈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핸드피스를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핸드피스는, 본 발명의 각 구성들간에 동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키고, 각 구성들이 상호 용이하게 결합 분리되도록 이루어져,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비용절감 등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각 구성들에 대한 교체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핸드피스{A HANDPIECE}
본 발명은 치과용 핸드피스(Handpiece)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각 구성들간에 동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키고, 각 구성들이 상호 용이하게 결합 분리되도록 이루어져, 효율적인 사용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541778호(2015.07.29.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치과치료용 핸드파일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핸드피스』이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내부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좌우측 방향으로 반복회전하는 운동과 상하로 반복왕복하는 운동을 포함하는 복합운동으로 변환시켜서, 핸드파일에 회전력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완충부재 및 편심베어링이 상기 핸드파일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핸드파일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상기 선행기술은, 핸드파일의 파절(破節)을 방지하는 기술이긴 하나,
각 구성들간의 결합 분리가 용이하지 않고, 각 구성들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로 인하여, 사용 및 관리에 불편함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각 구성들간에 동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키고, 각 구성들이 상호 용이하게 결합 분리되도록 이루어져, 효율적인 사용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핸드피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핸드피스는,
전단부에는 편심축(1111)이 구비되고 후단부에는 종동기어(1121)가 구비된 동력전달샤프트(110)와;
상기 동력전달샤프트(11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측면에 상기 동력전달샤프트(110)의 편심축(1111)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방향전환요홈(12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구가 끼워지는 공구끼움공(122)이 형성된 공구홀더(120)와;
내부에 상기 동력전달샤프트(110)가 내재되는 내부수용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수용부(131)의 전단부에는 상기 공구홀더(120)가 직선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지지홀(132)이 형성된 동력전달케이싱(130)과;
상기 동력전달케이싱(13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동력전달샤프트(110)를 회전시키는 동력발생수단(141)이 구비된 손잡이케이싱(140); 으로 구성된 핸드피스에 있어서,
상기 편심축(1111)에는 슬라이드베어링(115)이 결합되어, 편심축(1111)과 상기 방향전환요홈(121)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핸드피스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베어링(115)의 단부 외주연 둘레에는 상기 방향전환요홈(121)의 주변 공구홀더(120) 외주면에 밀착되는 단턱부(1151)가 형성되어, 상기 단턱부(1151)가 편심축(1111)의 안정적인 회전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심축(1111)의 단부에는 절개요홈(1113)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요홈(1113)의 양측 내벽에는 고정요홈(1114)이 편심축(1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요홈(1114)에는 조임구(1115)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편심축(1111)과 상기 슬라이드베어링(115)이 상호 용이하게 결합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임구(1115)의 단부에는 조임구(1115)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구형상의 걸림부(1116)가 형성되고, 상기 편심축(1111) 고정요홈(1114)의 내측단부에는 상기 조임구(1115)의 걸림부(1116)가 끼워지는 걸림부걸림홀(1117)이 형성되며, 상기 조임구(1115) 걸림부(1116)의 단부에는 탄성절개홀(1118)이 형성되어,
조임구(1115)의 삽입 시, 조임구(1115)의 탄성절개홀(1118)이 탄성적으로 오므려졌다가 삽입된 후 벌어지면서 조임구(1115)가 상기 편심축(1111)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구홀더(120)의 방향전환요홈(121)은, 공구홀더(120)의 측면에 타원형상으로 함몰 형성되고, 내측 둘레를 따라 가이드면(1211)이 형성되어, 상기 편심축(1111)이 상기 방향전환요홈(121)의 가이드면(1211)을 따라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핸드피스는,
본 발명의 각 구성들간에 동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키고, 각 구성들이 상호 용이하게 결합 분리되도록 이루어져,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비용절감 등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각 구성들에 대한 교체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각 구성들이 상호 결합된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동력전달샤프트, 공구홀더, 동력전달케이싱, 손잡이케이싱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동력전달샤프트와 부싱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부싱과 동력전달케이싱의 결합관계를 측면에서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구홀더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동력전달케이싱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베어링의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편심축의 다양한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방향전환요홈의 다른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을 기준으로 동력전달케이싱(130)의 방향을 전방, 손잡이케이싱(140)의 방향을 후방이라 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핸드피스는(100),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부에는 편심축(1111)이 구비되고 후단부에는 종동기어(1121)가 구비된 동력전달샤프트(110)와;
상기 동력전달샤프트(11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측면에 상기 동력전달샤프트(110)의 편심축(1111)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방향전환요홈(12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구가 끼워지는 공구끼움공(122)이 형성된 공구홀더(120)와;(도 5 참조)
내부에 상기 동력전달샤프트(110)가 내재되는 내부수용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수용부(131)의 전단부에는 상기 공구홀더(120)가 직선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지지홀(132)이 형성된 동력전달케이싱(130)과;(도 2 및 도 6 참조)
상기 동력전달케이싱(13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동력전달샤프트(110)를 회전시키는 동력발생수단(未圖示)이 구비된 손잡이케이싱(140);
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케이싱(130)의 내부에 지지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상기 동력전달샤프트(11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결합되는 삽입공(151)이 구비된 부싱(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회전하는 동력전달샤프트(110)와 비회전하는 동력전달케이싱(130)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상기 부싱(150)이 자연스럽게 감소시킨다.
이때, 상기 부싱(150)의 양단부에는 삽입공(151)과 연통되도록 안착요홈(15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착요홈(152)에는 윤활베어링(153)이 결합되어, 상기 부싱(150)에 끼워진 동력전달샤프트(110)가 보다 원할하게 회전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상기 부싱(150)의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면부(154)가 형성되고, 상기 면부(154)에는 상기 삽입공(151)과 연통되는 오일공(155)이 형성된다.
부싱(150)이 결합된 상기 동력전달샤프트(110)를 상기 동력전달케이싱(130)의 내부수용부(131)에 삽입 시, 경우에 따라 부싱(150)과 동력전달케이싱(130)의 마찰에 의해 삽입이 용이하지 않거나, 동력전달케이싱(130)의 내부에서 상기 부싱(150)의 회전이 원할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부싱(150)에 형성된 면부(154)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샤프트(110)가 상기 동력전달케이싱(130)의 내부수용부(131)에 원할하게 삽입됨은 물론, 원할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싱(150)의 외주연 중단부에는 외주연 둘레를 따라 스토퍼부(156)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동력전달케이싱(130)의 내부수용부(131)에는 내주연 둘레를 따라 상기 스토퍼부(156)에 대응하는 대응스토퍼부(133)가 형성된다.(도 3 및 도 6 참조)
한편, 도 4는 부싱(150)이 결합된 동력전달샤프트(110)가 상기 동력전달케이싱(130)과 결합된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면부(154)와 접하는 스토퍼부(156)에는 연결요홈(157)이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연결요홈(157)에 인접한 면부(154)와 상기 대응스토퍼부(133) 사이에는 유로공(158)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오일공(155)을 통해 오일이 주입되어 상기 동력전달샤프트(110)가 보다 원할하게 회전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연결요홈(157) 및 유로공(158)을 통해 에어가 용이하게 이동함으로써, 상기 에어가 오일의 원할한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상기 유로공(158)을 통해 오일이 유입될 수도 있다.
동력전달샤프트(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축(1111)이 구비된 편심캠(111), 종동기어(1121)가 구비된 기어부싱(112), 상기 편심캠(111)과 기어부싱(112)을 상호 연결하는 회전축(113)으로 상호 분리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편심캠(111)과 기어부싱(112)에는 상기 회전축(113)의 양단부가 각각 끼워지는 수용홈(1112)과 끼움홈(1122)이 형성되며,
상호 결합되는 회전축(113) 및 편심캠(111)에는 제1결합공(1131)이 일치되게 형성되고, 상호 결합되는 회전축(113) 및 기어부싱(112)에는 제2결합공(1132)이 일치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공(1131) 및 제2결합공(1132)에는 고정핀(114)이 결합되어, 상기 편심캠(111), 회전축(113), 기어부싱(112)이 상호 결합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결국, 상기 편심캠(111)은 부싱(150)의 전단부와 근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기어부싱(112)은 부싱(150)의 후단부와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샤프트(110)의 각 구성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결국,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결합 분리가 편리한 구성으로 인하여, 각 구성마다 필요시 교체가 용이하며, 특히 세척 등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공구홀더(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에서 언급한대로 측면에 상기 동력전달샤프트(110)의 편심축(1111)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방향전환요홈(12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구가 끼워지는 공구끼움공(122)이 형성되는데, 편심축(1111)이 상기 방향전환요홈(121)에 삽입되도록 배치된 후, 방향전환요홈(121)의 좌우내벽을 외측으로 밀어내듯이 편심회전을 하게 되어, 공구홀더(120)를 좌우방향을 따라 직선운동 시키게 된다.
부연하면, 상기 방향전환요홈(121)의 좌우폭은 상기 편심축(1111)의 단부가 삽입되되 편심축(1111)의 직경과 근접하도록 이루어지며, 방향전환요홈(121)의 상하폭은 편심축(1111)의 회전직경보다 크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방향전환요홈(121)의 좌우방향은 가이드면(1211)이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되지만, 상하방향은 가이드면(1211)이 형성되지 않고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편심축(1111)은 일정범위의 회전직경을 형성하면서 회전을 하게 되는데, 방향전환요홈(121)의 상하폭은 편심축(1111)의 상하회전직경보다 크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편심축(1111)의 회전력이 공구홀더(120)의 상하방향으로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공구홀더(120)의 좌우방향으로는 상기 가이드면(1211)을 밀어내듯이 회전을 시키게 된다.
결국, 상기 동력전달케이싱(130)의 수직지지홀(132)에서 상기 공구홀더(120)는 편심축(1111)의 회전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구홀더(120)의 타측면에는 가이드요홈(123)이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요홈(123)은 공구홀더(120)의 후단부에서 중단부까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케이싱(130)의 수직지지홀(132)에는 상기 가이드요홈(123)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1321)가 형성된다.(도 6 참조)
따라서 상기 편심축(1111)이 상기 방향전환요홈(121)의 좌우내벽을 외측으로 밀어내듯이 편심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돌기(1321)에 걸리어있는 공구홀더(120)는 회전하지 않고 좌우방향을 따라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도 7 참조)
결국, 상기 동력전달샤프트(110)의 회전운동이 공구홀더(12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이다.
동력전달케이싱(1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홀(132) 및 상기 내부수용부(131)가 형성된 콘트라앵글(130A)과,
일단부가 상기 콘트라앵글(130A)의 후단부 외주연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체결부싱(130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트라앵글(130A)의 후단부에는 후단부 둘레를 따라 결합티스(13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케이싱(140)의 전단부에는 상기 콘트라앵글(130A)의 결합티스(134)와 치합되는 대응결합티스(142)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도 2 참조)
상기 체결부싱(130B)의 내주연에는 암나사(1301)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케이싱(140)의 전단부 외주연에는 체결부싱(130B)의 암나사(1301)와 대응하는 수나사(143)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도 2 참조)
따라서 상기 동력전달케이싱(130)과 손잡이케이싱(140)이 상호 용이하게 결합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언급한대로 상기 손잡이케이싱(140)에는 동력발생수단(未圖示)이 내재되는데,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모터(未圖示)와,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종동기어(1121)와 치합되도록 연결된 구동기어(未圖示)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구동기어가 종동기어(1121)에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회전축(111)이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케이싱(140)에 내재되는 동력발생수단은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축(1111)에는 슬라이드베어링(115)이 결합되어 편심축(1111)과 상기 방향전환요홈(121)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베어링(115)의 단부가 상기 방향전환요홈(121)에 결합되어, 편심축(1111)과 방향전환요홈(121)이 직접적으로 접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베어링(115)의 단부 외주연 둘레에는 상기 방향전환요홈(121)의 주변 공구홀더(120) 외주면에 밀착되는 단턱부(115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단턱부(1151)가 공구홀더(120)의 외주면을 견고하게 밀착하고 있는 상태에서 편심축(1111)이 회전을 하게 되므로, 편심축(1111)에 결합된 슬라이드베어링(115)이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을 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편심축(1111)과 방향전환요홈(121)이 상호 결합되어 직접적으로 접한 상태에서 편심축(1111)이 회전함에 따라, 편심축(1111)과 방향전환요홈(121) 사이에 마찰이 증가하여 이에 따라 열이 발생하며, 소음이 증가하고, 특히 편심축(1111)과 방향전환요홈(121)의 마모가 빠르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편심축(11110과 방향전환요홈(121)이 형성된 공구홀더(120)를 빈번히 교체함에 따라, 관리비용이 증가하는 등 불편함이 발생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슬라이드베어링(115)이 편심축(1111)과 방향전환요홈(121)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키므로 편심축(1111)과 방향전환요홈(121)의 사이의 마모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시간이 지나면서 상기 슬라이드베어링(115)에 마모등의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슬라이드베어링(115)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본 발명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축(1111)의 단부에는 절개요홈(1113)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요홈(1113)의 양측 내벽에는 고정요홈(1114)이 편심축(1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요홈(1114)에는 조임구(1115)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편심축(1111)과 상기 슬라이드베어링(115)이 상호 용이하게 결합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구(1115)의 단부에는 조임구(1115)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구(球)형상의 걸림부(1116)가 형성되고, 상기 편심축(1111) 고정요홈(1114)의 내측단부에는 상기 조임구(1115)의 걸림부(1116)가 끼워지는 걸림부걸림홀(1117)이 형성되며, 상기 조임구(1115) 걸림부(1116)의 단부에는 탄성절개홀(1118)이 형성되어, 조임구(1115)의 삽입 시, 조임구(1115)의 탄성절개홀(1118)이 탄성적으로 오므려졌다가 삽입된 후 벌어지면서 조임구(1115)가 상기 편심축(1111)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편심축(1111)에 상기 슬라이드베어링(115)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대한 효율적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구홀더(120)의 방향전환요홈(121)은 공구홀더(120)의 측면에 타원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면(1211)은 방향전환요홈의 내측(상하좌우) 둘레를 따라 연이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편심축(1111)이 상기 방향전환요홈(121)의 가이드면(1211)을 따라 용이하게 회전하게 되므로, 편심축(1111)과 방향전환요홈(121) 사이의 마찰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핸드피스"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핸드피스
110 ; 동력전달샤프트
111 ; 편심캠
1111 ; 편심축
1112 ; 수용홈
1113 ; 절개요홈
1114 ; 고정요홈
1115 ; 조임구
1116 ; 걸림부
1117 ; 걸림부걸림홀
1118 ; 탄성절개홀
112 ; 기어부싱
1121 ; 종동기어
1122 ; 끼움홈
113 ; 회전축
1131 ; 제1결합공
1132 ; 제2결합공
114 ; 고정핀
115 ; 슬라이드베어링
1151 ; 단턱부
120 ; 공구홀더
121 ; 방향전환요홈
1211 ; 가이드면
122 ; 공구끼움공
123 ; 가이드요홈
130 ; 동력전달케이싱
130A ; 콘트라앵글
130B ; 체결부싱
1301 ; 암나사
131 ; 내부수용부
132 ; 수직지지홀
1321 ; 가이드돌기
133 ; 대응스토퍼부
134 ; 결합티스
140 ; 손잡이케이싱
141 ; 동력발생수단
142 ; 대응결합티스
143 ; 수나사
150 ; 부싱
151 ; 삽입공
152 ; 안착요홈
153 ; 윤활베어링
154 ; 면부
155 ; 오일공
156 ; 스토퍼부
157 ; 연결요홈
158 ; 유로공

Claims (5)

  1. 전단부에는 편심축(1111)이 구비되고 후단부에는 종동기어(1121)가 구비된 동력전달샤프트(110)와;
    상기 동력전달샤프트(11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측면에 상기 동력전달샤프트(110)의 편심축(1111)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방향전환요홈(12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구가 끼워지는 공구끼움공(122)이 형성된 공구홀더(120)와;
    내부에 상기 동력전달샤프트(110)가 내재되는 내부수용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수용부(131)의 전단부에는 상기 공구홀더(120)가 직선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지지홀(132)이 형성된 동력전달케이싱(130)과;
    상기 동력전달케이싱(13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동력전달샤프트(110)를 회전시키는 동력발생수단(141)이 구비된 손잡이케이싱(140);으로 구성된 핸드피스에 있어서,
    상기 편심축(1111)에는 슬라이드베어링(115)이 결합되어, 편심축(1111)과 상기 방향전환요홈(121)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베어링(115)의 단부 외주연 둘레에는 상기 방향전환요홈(121)의 주변 공구홀더(120) 외주면에 밀착되는 단턱부(1151)가 형성되어, 상기 단턱부(1151)가 편심축(1111)의 안정적인 회전을 유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편심축(1111)의 단부에는 절개요홈(1113)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요홈(1113)의 양측 내벽에는 고정요홈(1114)이 편심축(1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고정요홈(1114)에는 조임구(1115)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편심축(1111)과 상기 슬라이드베어링(115)이 상호 용이하게 결합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피스.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구(1115)의 단부에는 조임구(1115)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구형상의 걸림부(1116)가 형성되고, 상기 편심축(1111) 고정요홈(1114)의 내측단부에는 상기 조임구(1115)의 걸림부(1116)가 끼워지는 걸림부걸림홀(1117)이 형성되며, 상기 조임구(1115) 걸림부(1116)의 단부에는 탄성절개홀(1118)이 형성되어,
    조임구(1115)의 삽입 시, 조임구(1115)의 탄성절개홀(1118)이 탄성적으로 오므려졌다가 삽입된 후 벌어지면서 조임구(1115)가 상기 편심축(1111)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피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홀더(120)의 방향전환요홈(121)은, 공구홀더(120)의 측면에 타원형상으로 함몰 형성되고, 내측 둘레를 따라 가이드면(1211)이 형성되어, 상기 편심축(1111)이 상기 방향전환요홈(121)의 가이드면(1211)을 따라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피스.
KR1020190119556A 2019-09-27 2019-09-27 핸드피스 KR102223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556A KR102223334B1 (ko) 2019-09-27 2019-09-27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556A KR102223334B1 (ko) 2019-09-27 2019-09-27 핸드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334B1 true KR102223334B1 (ko) 2021-03-05

Family

ID=75164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556A KR102223334B1 (ko) 2019-09-27 2019-09-27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3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446B1 (ko) * 2011-11-10 2013-07-24 박병활 신경치료용 핸드피스
KR101541778B1 (ko) * 2014-04-07 2015-08-0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치과 치료용 핸드파일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핸드피스
KR101909009B1 (ko) * 2017-04-24 2018-10-17 (주)세신정밀 핸드피스의 콘트라 앵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446B1 (ko) * 2011-11-10 2013-07-24 박병활 신경치료용 핸드피스
KR101541778B1 (ko) * 2014-04-07 2015-08-0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치과 치료용 핸드파일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핸드피스
KR101909009B1 (ko) * 2017-04-24 2018-10-17 (주)세신정밀 핸드피스의 콘트라 앵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42178A (en) Flexible coupling for separable shafts
EP1398518A3 (en) Drive shaft coupling device with oil supply
US9903397B2 (en) Oil pump
KR102223334B1 (ko) 핸드피스
JP2005103728A (ja) 圧縮空気ねじ締め機
KR101701042B1 (ko) 기어 백래시 조정장치
JPWO2016009750A1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TW201225839A (en) Fishing reel gear attachment structure
CN109882015B (zh) 自动开门机
KR20190015172A (ko) 낚시용 스피닝 릴
KR101640343B1 (ko) 등속 조인트
US20120288822A1 (en) Dental Hand Instrument having an Elongate Handle Sleeve
JP5834627B2 (ja) ギアポンプ
JPH0754973A (ja) 動力伝達装置
JP5785929B2 (ja) 歯科用ハンドピース
JP2007192334A (ja) 動力伝達機構
CN107753090B (zh) 一种骨手术用磨钻
JP6114974B2 (ja) 回転切削工具
KR101840320B1 (ko) 문신장치
JP6480897B2 (ja) 工具保持具とモータとの接続構造
JP6354984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EP2083194A4 (en) FLUID POWER TRANSMISSION
TWI571574B (zh) Lubrication Harmonic Reducer
JP2006254785A (ja) 作業装置の潤滑構造
KR101532844B1 (ko) 변속기의 리버스 기어 조립용 지그 및 그를 이용한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