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446B1 - 신경치료용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신경치료용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446B1
KR101289446B1 KR1020110116954A KR20110116954A KR101289446B1 KR 101289446 B1 KR101289446 B1 KR 101289446B1 KR 1020110116954 A KR1020110116954 A KR 1020110116954A KR 20110116954 A KR20110116954 A KR 20110116954A KR 101289446 B1 KR101289446 B1 KR 101289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andpiece
casing member
hole
neurothera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1673A (ko
Inventor
박병활
Original Assignee
박병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활 filed Critical 박병활
Priority to KR1020110116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446B1/ko
Publication of KR20130051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A61C5/42Files for root canals; Handgrips or gui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A61C5/46Nerve extractors, e.g. needles; Means for removing broken parts of endodont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A61C5/48Means for preventing loss of endodontic instruments during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핸드피스의 헤드 상부를 원터치 방식으로 가압하는 것만으로 핸드파일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시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핸드파일이 좌우 방향으로 연속 회동 됨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연속 이동되면서 신경관 내부를 삭제함에 따라 삭제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핸드파일이 파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신경치료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치료용 핸드피스는 일측에는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전방에는 헤드가 마련되며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헤드 측까지 연장되는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드피스부재와, 상기 헤드의 내측에 위치되고 내부에는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외주연 일측에는 상기 회전축의 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여부에 따라 수직 및 회전 운동 되는 케이싱부재와, 상기 설치공간 내에 결합되되 상부가 상기 케이싱부재의 외측으로 돌출 위치되어 가압시 상기 설치공간 내에서 탄성적으로 수직이동되고 상기 케이싱부재의 수직 및 회전운동에 연동되며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그 외주연에 구비되는 다수의 고정구가 수직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장착공간의 내외로 이동되는 수직이동부재와, 상기 고정구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설치공간 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부에는 날카로운 파일이 마련되어 상기 케이싱부재의 수직 및 회전운동시 이에 연동되며 신경관 내부를 삭제하는 핸드파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경치료용 핸드피스{HANDPIECE FOR ENDODONTIC TREATMENT}
본 발명은 신경치료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헤드 상부를 원터치 방식으로 가압하는 것만으로 핸드파일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시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핸드파일이 좌우 방향으로 연속 회동 됨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연속 이동되면서 신경관 내부를 삭제함에 따라 삭제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핸드파일이 파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신경치료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근관치료(神經治療, endodontic treatment)란 일반적으로 신경치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치과에서 가장 많이 행해지는 진료 중 하나이다. 이 치료는 충치가 심하거나 치아가 부러져 치아의 신경조직인 치수에까지 세균 감염이 진행되었을 경우, 신경조직을 제거한 후 그 자리를 불활성(inert) 재료를 충전하는 방법으로 이루어 진다.
이러한 근관치료는 치아의 썩은 부위를 제거하고 치료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신경관이 있는 부분까지 치료부위를 확대해 준 다음, 파일(file)을 신경관에 넣고 길이를 측정하여 남아있는 치수조직을 긁어내는 시술을 하게 된다. 이때 신경관을 넓히는데는 주로 파일(file)과 같은 뾰족한 기구들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파일은 내부에 소형 구동모터가 내장된 핸드피스의 선단부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에 연동되어 운동되면서 신경관 내부를 삭제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파일이 상하 방향으로 운동되는 핸드피스와,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는 핸드피스를 각각 구비해 놓고 사용하는 실정이었다.
또한 이와 같이 상하 방향 운동되는 핸드피스와 좌우 방향 회동되는 핸드피스를 개별적으로 사용할 경우 신경관 내에서 상하 방향 운동이 여의치 않아 과부하가 걸리거나 또는 좌우 회동 운동이 여의치 않아 과부하가 걸리게 될 경우 시술자가 이를 빠르게 인지하지 못하여 파일이 파절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치과용 핸드피스의 헤드 상부를 원터치 방식으로 가압하는 것만으로 핸드파일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시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신경치료용 핸드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핸드파일이 좌우 방향으로 연속 회동 됨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연속 이동되면서 신경관 내부를 삭제함에 따라 삭제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핸드파일이 파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신경치료용 핸드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일측에는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전방에는 헤드가 마련되며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헤드 측까지 연장되는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드피스부재와, 상기 헤드의 내측에 위치되고 내부에는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외주연 일측에는 상기 회전축의 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여부에 따라 수직 및 회전 운동 되는 케이싱부재와, 상기 설치공간 내에 결합되되 상부가 상기 케이싱부재의 외측으로 돌출 위치되어 가압시 상기 설치공간 내에서 탄성적으로 수직이동되고 상기 케이싱부재의 수직 및 회전운동에 연동되며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그 외주연에 구비되는 다수의 고정구가 수직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장착공간의 내외로 이동되는 수직이동부재와, 상기 고정구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설치공간 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부에는 날카로운 파일이 마련되어 상기 케이싱부재의 수직 및 회전운동시 이에 연동되며 신경관 내부를 삭제하는 핸드파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치료용 핸드피스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몸체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회전축 일단에 연결되는 모터가 구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몸체와 연통 된 상기 헤드의 상부에는 중앙에 제 1 관통구가 형성되는 캡이 개폐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상기 헤드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제 1 관통구와 연통되는 제 2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설치공간은 상기 케이싱부재의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상기 설치공간은, 상측 내주연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부재의 상단면에 제 3 관통구를 형성하는 제 1 수직벽과, 상기 제 1 수직벽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확장 형성되는 경사벽과, 상기 경사벽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단턱과, 상기 단턱으로부터 하향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하측 내주연에 형성되는 제 2 수직벽을 따라 형성되는데, 상기 제 2 수직벽이 형성된 상기 케이싱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제 3 관통구와 동일한 크기의 제 4 관통구가 형성된 하단체결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케이싱부재의 외주연 일측에는 가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는 상기 가압홈 내에 위치되되 상기 회전축에 편심되게 장착되는 편심캠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편심캠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수직 및 회전운동 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편심캠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은 상기 편심캠의 직경보다는 크고 그 회전반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는 원형 홈으로 형성되되 그 깊이는 상기 편심캠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부재의 회동을 위해 상기 편심캠은 상기 장착홈 내에서 이격 위치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장착공간은 상기 수직이동부재의 하부면에 제 5 관통구가 형성되도록 내측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외주연 일측에는 상기 장착공간과 연통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 내에는 구 형상의 고정구가 위치되어 상기 수직이동부재의 수직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경사벽에 의해 상기 장착공간의 내외로 이동되며, 상기 관통공의 하부 외주연 상에는 상기 단턱에 지지되는 걸림턱이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과 하단 체결부재 사이에는 탄성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수직이동부재를 상기 설치공간 내에서 상부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핸드파일부재는 상기 장착공간 내에 삽입 가능하도록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연 상에는 상기 장착공간 내부로 이동된 상기 고정구에 의해 가압 고정될 수 있도록 장착홈이 오목 형성되어 상기 수직이동부재의 하강시에는 확장 형성되는 상기 경사벽에 의해 상기 장착공간 외부로 이동된 고정구가 상기 장착홈 내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핸드파일부재가 상기 장착공간 내에서 분리 가능하고, 상기 수직이동부재의 상승시에는 상향 축소 형성되는 상기 경사벽에 의해 상기 장착공간 내부로 이동되는 고정구가 상기 장착홈 내에 가압 위치되면서 상기 핸드파일부재가 상기 장착공간 내에 위치고정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치료용 핸드피스에 따르면 첫째, 치과용 핸드피스의 헤드 상부를 원터치 방식으로 가압하는 것만으로 핸드파일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시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둘째, 핸드파일이 좌우 방향으로 연속 회동 됨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연속 이동되면서 신경관 내부를 삭제함에 따라 삭제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핸드파일이 파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치료용 핸드피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치료용 핸드피스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치료용 핸드피스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치료용 핸드피스의 케이싱부재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치료용 핸드피스의 수직이동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치료용 핸드피스의 핸드파일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치료용 핸드피스의 작동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치료용 핸드피스의 부분확대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치료용 핸드피스의 작동도.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치료용 핸드피스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치료용 핸드피스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치료용 핸드피스의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치료용 핸드피스의 케이싱부재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치료용 핸드피스의 수직이동부재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7a 및 도 7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치료용 핸드피스의 작동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치료용 핸드피스의 부분확대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9a 내지 도 9d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치료용 핸드피스의 작동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치료용 핸드피스(1)는 일측에는 몸체(1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10)의 전방에는 헤드(120)가 마련되며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헤드(120) 측까지 연장되는 회전축(111)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드피스부재(100)와, 상기 헤드(120)의 내측에 위치되고 내부에는 설치공간(240)이 형성되며 외주연 일측에는 상기 회전축(111)의 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111)의 회전 여부에 따라 수직 및 회전 운동 되는 케이싱부재(200)와, 상기 설치공간(240) 내에 결합되되 상부가 상기 케이싱부재(200)의 외측으로 돌출 위치되어 가압시 상기 설치공간(240) 내에서 탄성적으로 수직이동되고 상기 케이싱부재(200)의 수직 및 회전운동에 연동되며 내부에는 장착공간(310)이 형성되어 있어 그 외주연에 구비되는 다수의 고정구(350)가 수직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장착공간(310)의 내외로 이동되는 수직이동부재(300)와, 상기 고정구(350)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설치공간(240) 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부에는 날카로운 파일(420)이 마련되어 상기 케이싱부재(200)의 수직 및 회전운동시 이에 연동되며 신경관 내부를 삭제하는 핸드파일부재(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핸드피스부재(100)는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선형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에는 추후에 설명될 핸드파일부재(40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술한 핸드피스부재(100)는 일측에는 몸체(110)가 구비되고 이 몸체(110)의 전방에는 헤드(120)가 마련되며 몸체(110)의 내부에는 헤드(120) 측까지 연장되는 회전축(111)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전술한 몸체(110)는 시술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 일측에는 전술한 회전축(111) 일단에 연결되는 모터(117)가 구동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이 모터(117)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11) 상에는 다수의 베어링(115)이 설치되어 회전축(111)이 몸체(110) 내부에서 안전하게 회전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전술한 몸체(110)와 연통 형성되는 헤드(120)는 내부가 중공 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중심축은 몸체(110)의 중심축과 서로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헤드(120)의 상부에는 중앙에 제 1 관통구(123)가 형성되는 캡(121)이 개폐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헤드(120)의 하부 중앙에는 제 1 관통구(123)와 연통되는 제 2 관통구(125)가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캡(121)은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헤드(120)의 내부에 장착되기 위한 입구의 역할을 하는 것이고, 제 1 관통구(123)는 추후에 설명될 수직이동부재(300)의 상단이 시술자에 의해 가압 가능하게 돌출 위치되기 위한 것이며, 제 2 관통구(125)는 추후에 설명될 핸드파일부재(400)이 장착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헤드(120)의 내측에는 도 4에 도시되는 케이싱부재(200)가 위치되는데 이 케이싱부재(200)는 회전축(111)의 회전에 연동되고 동시에 그 내부에 장착되는 수직이동부재(300) 및 핸드파일부재(400)를 연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헤드(120)의 내측에 위치되고 내부에는 설치공간(240)이 형성되며 외주연 일측에는 회전축(111)의 단부가 연결되어 회전축(111)의 회전 여부에 따라 수직 및 회전 운동된다.
이와 같은 케이싱부재(200)는 헤드(120)의 내주연에 그 외주연이 밀착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측방향 유동이 구속되는데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의 회동은 가능하며 헤드(120)의 상부, 즉 제 1 관통구(123) 측과는 다소의 여유공간을 두도록 이격 배치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수직이동은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설치공간(240)은 케이싱부재(200)의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설치공간(240)은, 상측 내주연에 형성되며 케이싱부재(200)의 상단면에 제 3 관통구(220)를 형성하는 제 1 수직벽(241)과, 제 1 수직벽(241)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확장 형성되는 경사벽(243)과, 경사벽(243)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단턱(245)과, 단턱(245)으로부터 하향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하측 내주연에 형성되는 제 2 수직벽(247)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수직벽(247)이 형성된 케이싱부재(200)의 하단에는 제 3 관통구(220)와 동일한 크기의 제 4 관통구(230)가 형성된 하단체결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설치공간(240) 내에는 추후에 설명될 수직이동부재(300)가 수직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데 수직이동부재(300)의 상부는 제 1 수직벽(241) 내에 위치되어 제 3 관통구(220)를 통해 외부로 돌출 위치된다. 또한 수직이동부재(300)의 고정구(350)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수직이동부재(300)가 수직이동됨에 따라 하향 확장되도록 테이퍼진 경사벽(243)을 타고 관통공(340)의 내외로 이동되면서 고정구(350)에 의해 장착공간(310) 내에 가압 고정된 핸드파일부재(400)를 탈착하게 된다. 또한 수직이동부재(300)의 걸림턱(330)이 단턱(245)의 하단에 지지됨으로써 수직이동부재(300)가 설치공간(24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동시에 걸림턱(330) 하단과 하단 체결부재(249) 상단 사이에는 탄성스프링(360)이 개재되어 수직이동부재(300)를 상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케이싱부재(200)의 외주연 일측에는 가압홈(210)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축(111)의 단부에는 가압홈(210) 내에 위치되되 회전축(111)에 편심되게 장착되는 편심캠(113)이 구비되어 케이싱부재(200)는 회전축(111)의 회전시 편심캠(113)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수직 및 회전운동 된다.
이때 편심캠(113)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장착홈(410)은 편심캠(113)의 직경보다는 크며 그 회전반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는 원형 홈으로 형성되되 그 깊이는 상기 편심캠(113)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되며 케이싱부재(200)의 회동을 위해 편심캠(113)은 장착홈(410) 내에서 이격 위치되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는 편심캠(113)이 가압홈(210) 내에서 회전됨에 따라 케이싱부재(200)의 운동변화를 도 9a 내지 도 9d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a는 편심캠(113)이 가압홈(210)의 6시 방향에서 9시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로 가압홈(210)의 9시 방향을 편심캠(113)이 가압하는 상태이며, 편심캠(113)의 가압에 따라 케이싱부재(20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된다.
도 9b는 편심캠(113)이 가압홈(210)의 9시 방향에서 12시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로 가압홈(210)의 12시 방향을 편심캠(113)이 가압하는 상태이며, 편심캠(113)의 가압에 따르 케이싱부재(200)는 헤드(120) 내에서 제 1 관통구(123) 측으로 수직 상승된다.
도 9c는 편심캠(113)이 가압홈(210)의 12시 방향에서 3시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로 가압홈(210)의 3시 방향을 편심캠(113)이 가압하는 상태이며, 편심캠(113)의 가압에 따라 케이싱부재(20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된다.
도 9d는 편심캠(113)이 가압홈(210)의 3시 방향에서 6시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로 가압홈(210)의 6시 방향을 편심캠(113)이 가압하는 상태이며, 편심캠(113)의 가압에 따라 케이싱부재(200)는 헤드(120) 내에서 제 2 관통구(125) 측으로 수직 하강된다.
이때 도 9a 내지 9d는 편심캠(113)이 해당 위치에 정위치 되었을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실제로는 이와 같은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바 케이싱부재(200)는 헤드(120) 내부에서 좌우회동 및 수직방향이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전술한 설치공간(240) 내에는 도 5에 도시되는 수직이동부재(300)가 결합되는데 이 수직이동부재(300)는 케이싱부재(200)의 설치공간(240) 내에 위치되어 케이싱부재(200)와 연동되거나 가압시에는 설치공간(240) 내에서 탄성적으로 수직이동되며 추후에 설명될 핸드파일부재(400)를 탈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직이동부재(300)는 설치공간(240) 내에 결합되되 상부가 제 3 관통구(220)를 통해 케이싱부재(200)의 외측으로 돌출 위치되어 가압시 설치공간(240) 내에서 탄성적으로 수직이동되고 케이싱부재(200)의 수직 및 회전운동에 연동되며 내부에는 장착공간(310)이 형성되어 있어 그 외주연에 구비되는 다수의 고정구(350)가 수직이동 여부에 따라 장착공간(310)의 내외로 이동된다.
또한 전술한 장착공간(310)은 수직이동부재(300)의 하부면에 제 5 관통구(320)가 형성되도록 내측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외주연 일측에는 장착공간(310)과 연통되는 다수의 관통공(340)이 형성되고 관통공(340) 내에는 구 형상의 고정구(350)가 위치되어 수직이동부재(300)의 수직이동 여부에 따라 경사벽(243)에 의해 상기 장착공간(310)의 내외로 이동되며, 관통공(340)의 하부 외주연 상에는 단턱(245)에 지지되는 걸림턱(330)이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걸림턱(330)과 하단 체결부재(249) 사이에는 탄성스프링(360)이 개재되어 수직이동부재(300)를 설치공간(240) 내에서 상부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게 된다.
제 3 관통구(220) 및 제 1 관통구(123)를 통해 헤드(120)의 외부로 노출된 수직이동부재(300)의 상부를 가압하면 수직이동부재(300)가 수직하강 되는데 이때 걸림턱(330)과 하단 체결부재(249) 사이의 탄성스프링(360)은 수축되며 고정구(350)는 관통공(340)의 외부로 이동된다. 가하고 있던 압력을 제거하면 수축된 탄성스프링(360)이 복원되면서 수직이동부재(300)가 수직상승 된다. 이와 같은 수직이동부재(300)의 이동은 전술한 케이싱부재(200)의 설치공간(240)에서 충분히 설명된 바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수직이동부재(300)의 장착공간(310) 내에는 제 5 관통구(320)를 통해서 핸드파일부재(40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이 핸드파일부재(400)는 케이싱부재(200) 및 수직이동부재(300)와 연동되면서 신경관 내부를 삭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관통공(340) 상에 위치되는 전술한 고정구(350)의 이동 여부에 따라 설치공간(240) 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부에는 날카로운 파일(420)이 마련되어 케이싱부재(200)의 수직 및 회전운동시 이에 연동 되면서 신경관 내부를 삭제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핸드파일부재(400)는 장착공간(310) 내에 삽입 가능하도록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연 상에는 장착공간(310) 내부로 이동된 고정구(350)에 의해 가압 고정될 수 있도록 장착홈(410)이 오목 형성되어 수직이동부재(300)의 하강시에는 확장 형성되는 경사벽(243)에 의해 상기 장착공간(310) 외부로 이동된 고정구(350)가 장착홈(410) 내에서 이탈되면서 핸드파일부재(400)가 장착공간(310) 내에서 분리 가능하다. 또한 수직이동부재(300)의 상승시에는 상향 축소 형성되는 경사벽(243)에 의해 상기 장착공간(310) 내부로 이동되는 고정구(350)가 장착홈(410) 내에 가압 위치되면서 핸드파일부재(400)가 장착공간(310) 내에 위치고정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 시예에 따른 신경치료용 핸드피스(1)의 전체적인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삭제할 신경관의 길이에 맞는 핸드파일부재(400)를 선택한 후 수직이동부재(300)의 상부를 가한 상태에서 핸드파일부재(400)를 제 5 관통구(320)를 통해 장착공간(310) 내로 삽입하는데 이때 고정구(350)는 하향 확장되는 경사벽(243)을 따라 관통공(340)의 외부로 이동된 상태이다.
핸드파일부재(400)의 삽입후 수직이동부재(300)에 가하고 있던 압력을 제거하면 탄성스프링(360)에 의해 수직이동부재(300)가 수직상승되고 이때 고정구(350)는 상향 축소되는 경사벽(243)을 따라 관통공(340) 내부로 이동되면서 장착공간(310) 내에 위치되어 있는 핸드파일부재(400)의 장착홈(410) 측을 가압해 분리되지 않도록 위치고정 한다. 이와 같이 원터치 방식으로 가압하는 것만으로 핸드파일부재(400)를 간편하게 장착 및 교체 할 수 있어 시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핸드피스부재(100)에 전원을 인가해 모터(117)를 구동시키고 이 모터(117)에 축 연결된 회전축(111)이 함께 회전되며 회전축(111)의 선단에 구비된 편심캠(113) 또한 가압홈(210) 내에서 회전된다.
가압홈(210) 내에서 회전되는 편심캠(113)은 회전방향에 따라 가압홈(210)에 힘을 가해 케이싱부재(200)가 헤드(120) 내에서 연속적으로 좌우회동 및 수직이동되게 하며, 이 케이싱부재(200)에 결합되는 수직이동부재(300)와 수직이동부재(300) 내에 장착되는 핸드파일부재(400) 또한 연동된다. 따라서 핸드파일부재(400)의 선단에 날카롭게 형성되는 파일(420)에 의해서 신경관 내부가 삭제되는데 이때 파일(420)이 좌우 방향으로 연속 회동 됨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연속 이동되면서 신경관 내부를 삭제함에 따라 삭제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파일(420)이 파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신경치료용 핸드피스 100 : 핸드피스부재
110 : 몸체 111 : 회전축
113 : 편심캠 115 : 베어링
117 : 모터 120 : 헤드
121 : 캡 123 : 제 1 관통구
125 : 제 2 관통구 200 : 케이싱부재
210 : 가압홈 220 : 제 3 관통구
230 : 제 4 관통구 240 : 설치공간
241 : 제 1 수직벽 243 : 경사벽
245 : 단턱 247 : 제 2 수직벽
249 : 하단 체결부재 300 : 수직이동부재
310 : 장착공간 320 : 제 5 관통구
330 : 걸림턱 340 : 관통공
350 : 고정구 360 : 탄성스프링
400 : 핸드파일부재 410 : 장착홈
420 : 파일

Claims (7)

  1. 일측에는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전방에는 헤드가 마련되며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헤드 측까지 연장되는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드피스부재;
    상기 헤드의 내측에 위치되고 내부에는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외주연 일측에는 상기 회전축의 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여부에 따라 수직 및 회전 운동 되는 케이싱부재;
    상기 설치공간 내에 결합되되 상부가 상기 케이싱부재의 외측으로 돌출 위치되어 가압시 상기 설치공간 내에서 탄성적으로 수직이동되고 상기 케이싱부재의 수직 및 회전운동에 연동되며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그 외주연에 구비되는 다수의 고정구가 수직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장착공간의 내외로 이동되는 수직이동부재; 및
    상기 고정구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설치공간 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부에는 날카로운 파일이 마련되어 상기 케이싱부재의 수직 및 회전운동시 이에 연동되며 신경관 내부를 삭제하는 핸드파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치료용 핸드피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회전축 일단에 연결되는 모터가 구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몸체와 연통 된 상기 헤드의 상부에는 중앙에 제 1 관통구가 형성되는 캡이 개폐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상기 헤드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제 1 관통구와 연통되는 제 2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치료용 핸드피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간은 상기 케이싱부재의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상기 설치공간은, 상측 내주연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부재의 상단면에 제 3 관통구를 형성하는 제 1 수직벽과, 상기 제 1 수직벽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확장 형성되는 경사벽과, 상기 경사벽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단턱과, 상기 단턱으로부터 하향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하측 내주연에 형성되는 제 2 수직벽을 따라 형성되는데, 상기 제 2 수직벽이 형성된 상기 케이싱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제 3 관통구와 동일한 크기의 제 4 관통구가 형성된 하단체결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치료용 핸드피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의 외주연 일측에는 가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는 상기 가압홈 내에 위치되되 상기 회전축에 편심되게 장착되는 편심캠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편심캠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수직 및 회전운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치료용 핸드피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편심캠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홈은 상기 편심캠의 직경보다는 크고 그 회전반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는 원형 홈으로 형성되되 그 깊이는 상기 편심캠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부재의 회동을 위해 상기 편심캠은 상기 가압홈 내에서 이격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치료용 핸드피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간은 상기 수직이동부재의 하부면에 제 5 관통구가 형성되도록 내측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외주연 일측에는 상기 장착공간과 연통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 내에는 구 형상의 고정구가 위치되어 상기 수직이동부재의 수직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경사벽에 의해 상기 장착공간의 내외로 이동되며, 상기 관통공의 하부 외주연 상에는 상기 단턱에 지지되는 걸림턱이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과 하단 체결부재 사이에는 탄성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수직이동부재를 상기 설치공간 내에서 상부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치료용 핸드피스.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파일부재는 상기 장착공간 내에 삽입 가능하도록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연 상에는 상기 장착공간 내부로 이동된 상기 고정구에 의해 가압 고정될 수 있도록 장착홈이 오목 형성되어 상기 수직이동부재의 하강시에는 확장 형성되는 상기 경사벽에 의해 상기 장착공간 외부로 이동된 고정구가 상기 장착홈 내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핸드파일부재가 상기 장착공간 내에서 분리 가능하고, 상기 수직이동부재의 상승시에는 상향 축소 형성되는 상기 경사벽에 의해 상기 장착공간 내부로 이동되는 고정구가 상기 장착홈 내에 가압 위치되면서 상기 핸드파일부재가 상기 장착공간 내에 위치고정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치료용 핸드피스.
KR1020110116954A 2011-11-10 2011-11-10 신경치료용 핸드피스 KR101289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954A KR101289446B1 (ko) 2011-11-10 2011-11-10 신경치료용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954A KR101289446B1 (ko) 2011-11-10 2011-11-10 신경치료용 핸드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673A KR20130051673A (ko) 2013-05-21
KR101289446B1 true KR101289446B1 (ko) 2013-07-24

Family

ID=48661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954A KR101289446B1 (ko) 2011-11-10 2011-11-10 신경치료용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44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778B1 (ko) 2014-04-07 2015-08-0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치과 치료용 핸드파일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핸드피스
WO2015199274A1 (ko) * 2014-06-24 2015-12-30 주식회사 세양 파일 회전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신경 치료용 핸드피스
WO2016060392A1 (ko) * 2014-10-14 2016-04-21 (주) 올비트앤 헤드 부위의 구조가 개선된 치과 치료용 기구
KR200488108Y1 (ko) * 2018-09-21 2018-12-13 김용서 가이드를 이용한 임플란트 수술 시 사용하는 플랩리스 전용 수동 골막 제거기
KR200488611Y1 (ko) * 2018-09-21 2019-02-27 김용서 서지컬 가이드를 이용한 플랩리스 임플란트 수술 시 사용하는 치조골 트리머
KR102223344B1 (ko) * 2019-09-27 2021-03-05 자인텍 주식회사 핸드피스
KR102223334B1 (ko) * 2019-09-27 2021-03-05 자인텍 주식회사 핸드피스
JP2021090718A (ja) * 2019-12-10 2021-06-17 計芳 鈴木 ファイルの往復動発生具およびファイル付きの往復動発生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339B1 (ko) * 2016-08-01 2019-05-20 김종곤 근관치료용 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740Y1 (ko) * 2000-12-12 2001-05-15 이상일 치아삭제용 핸드피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740Y1 (ko) * 2000-12-12 2001-05-15 이상일 치아삭제용 핸드피스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778B1 (ko) 2014-04-07 2015-08-0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치과 치료용 핸드파일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핸드피스
WO2015199274A1 (ko) * 2014-06-24 2015-12-30 주식회사 세양 파일 회전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신경 치료용 핸드피스
WO2016060392A1 (ko) * 2014-10-14 2016-04-21 (주) 올비트앤 헤드 부위의 구조가 개선된 치과 치료용 기구
KR200488108Y1 (ko) * 2018-09-21 2018-12-13 김용서 가이드를 이용한 임플란트 수술 시 사용하는 플랩리스 전용 수동 골막 제거기
KR200488611Y1 (ko) * 2018-09-21 2019-02-27 김용서 서지컬 가이드를 이용한 플랩리스 임플란트 수술 시 사용하는 치조골 트리머
KR102223344B1 (ko) * 2019-09-27 2021-03-05 자인텍 주식회사 핸드피스
KR102223334B1 (ko) * 2019-09-27 2021-03-05 자인텍 주식회사 핸드피스
JP2021090718A (ja) * 2019-12-10 2021-06-17 計芳 鈴木 ファイルの往復動発生具およびファイル付きの往復動発生具
JP7098109B2 (ja) 2019-12-10 2022-07-11 計芳 鈴木 ファイルの往復動発生具およびファイル付きの往復動発生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673A (ko) 201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446B1 (ko) 신경치료용 핸드피스
KR100619145B1 (ko)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JP4852183B2 (ja) インプラント用器具及びインプラント用器具のガイドシステム
AU2007215700B2 (en) An implant drill
KR100660374B1 (ko)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US8480682B2 (en) Device for limiting the drilling depth of a drill
KR101192662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CN107847303B (zh) 牙科用种植体
JPS6159729B2 (ko)
US20170189136A1 (en) Implant surgical guide apparatus
BR102014026897A2 (pt) conjunto protético dentário, compreendendo um implante dentário e uma prótese dentária transfixada
KR100660375B1 (ko)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KR20120070570A (ko) 외과용 줄
KR100948616B1 (ko) 스토퍼가 구비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2104908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서지컬 가이드
TWI392483B (zh) 用於牙科手機之鑽孔定位集骨器
KR100936292B1 (ko) 블록 본 이식 시술용 드릴기구
KR100929258B1 (ko) 의료용 탭핑기구
KR20190085301A (ko) 상악동 점막 거상용 드릴
KR102276544B1 (ko)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드릴 어셈블리
KR101375872B1 (ko) 치과용 골 채집기
TWM612955U (zh) 機頭限位導引筒狀結構及其工具組
KR200365219Y1 (ko) 시술봉(tip)에 스토퍼가 구성된 치과용오스테톰(osteotomes)
JP6187862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のドリリングシステム
KR101860636B1 (ko) 임플란트용 드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