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9270A - 어버먼트 캐리어 - Google Patents

어버먼트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270A
KR20160139270A KR1020150073856A KR20150073856A KR20160139270A KR 20160139270 A KR20160139270 A KR 20160139270A KR 1020150073856 A KR1020150073856 A KR 1020150073856A KR 20150073856 A KR20150073856 A KR 20150073856A KR 20160139270 A KR20160139270 A KR 20160139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carrier
present
handle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3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마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마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마음
Priority to KR1020150073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9270A/ko
Priority to PCT/KR2016/005217 priority patent/WO2016190587A1/ko
Publication of KR20160139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2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1Abutment monobloc with rest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pandable or compressibl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와 체결 시 어버트먼트의 연결이 용이하고, 어버트먼트가 구강 내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어버트먼트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어버트먼트의 상면이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임플란트 전용 드라이버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안내공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측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어버먼트 캐리어{Abutment Carrier}
본 발명은 어버트먼트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플란트와 체결 시 어버트먼트의 연결이 용이하고, 어버트먼트가 구강 내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어버트먼트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Implant)는 인체 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나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인공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 등의 금속재료로 만든 치근을 이가 빠져 나간 잇몸 속의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은 임플란트 전용 드릴을 사용하여 치조골에 천공한 시술공에 픽스쳐(Fixture)를 식립하여 치조골에 골 융합시킨 다음 상기 픽스쳐에 어버트먼트(Abutment)를 결합시킨 후 상기 어버트먼트에 최종 보철물을 씌움으로써 완성된다.
이때, 상기 픽스쳐에 어버트먼트를 결합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손가락이나 펜치로 어버트먼트를 잡은 후 어버트먼트의 가운데 형성된 구멍에 드라이버를 넣어 나사를 조이기 때문에 어버트먼트 설치 시 고도의 집중력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좁은 구강에서 손가락으로 어버트먼트를 잡아야 하기 때문에 어버트먼트 설치가 불편하고, 환자를 눕혀 놓은 상태에서 시술을 하기 때문에 시술 과정 중 어버트먼트를 놓칠 경우 어버트먼트가 환자의 목으로 넘어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임플란트와 체결 시 어버트먼트의 연결이 용이하고, 어버트먼트가 구강 내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어버트먼트 캐리어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어버트먼트 캐리어는 어버트먼트의 상면이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임플란트 전용 드라이버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안내공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측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몸체의 외면 중 상기 손잡이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치실이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면과 밀착되도록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의 수용공간에 삽입된 어버트먼트가 수용공간에 밀착되어 어버트먼트와 어버트먼트 캐리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몸체의 양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만 잡고도 어버트먼트를 취급할 수 있어 어버트먼트의 취급이 용이해지고, 어버트먼트의 취급이 용이하므로 픽스쳐에 어버트먼트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손잡이를 잡고 어버트먼트를 취급하기 때문에 어버트먼트가 손가락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에 치실을 연결하여 어버트먼트 캐리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어버트먼트 캐리어가 손가락에서 이탈되더라도 어버트먼트가 목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버트먼트 캐리어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어버트먼트 캐리어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캐리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버트먼트 캐리어의 배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캐리어는 어버트먼트의 상면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2)과 안내공(22)이 형성된 몸체(10) 및 상기 몸체(10)의 양측에서 돌출된 손잡이(2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중앙에 안내공(2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어버트먼트의 상면(즉, 상면)이 내입되어 수용되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된다.
이때, 안내공(22)은 임플란트 전용 드라이버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픽스쳐에 어버트먼트를 결합시킬 때 임플란트 전용 드라이버를 안내하여 어버트먼트와의 정확한 결합을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12)은 외부에서 별도의 힘이 가해지기 전에 상기 어버트먼트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면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10)는 수용공간(12)이 어버트먼트의 상면보다 작더라도 상기 어버트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게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몸체(10)가 금속이나 신축성이 없는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어버트먼트와 수용공간(12)의 크기 차이가 발생될 때 상기 어버트먼트가 어버트먼트 캐리어와 쉽게 분리될 수 있어 어버트먼트를 어버트먼트 캐리어에 체결하여 환자의 구강 내에 배치시킬 때 상기 어버트먼트가 어버트먼트 캐리어에서 분리되어 환자의 목으로 넘어갈 수 있으므로 상기 어버트먼트가 수용공간(1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10)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게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20)는 작업자가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 캐리어를 잡기 쉽도록 하기 위해 상기 몸체(10)의 양측에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20)는 상기 몸체(1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거나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20)가 상기 몸체(1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때 상기 손잡이(20)는 몸체(10)와 동일하게 신축성을 갖거나 몸체(10)와 다르게 단단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0)는 상기 몸체(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몸체(10)와 분리되게 형성된 후 나사/볼트 결합 등과 같은 다양한 결합방법에 의해 상기 몸체(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어버트먼트 캐리어는 픽스쳐에 어버트먼트를 결합시킨 후 상기 어버트먼트에서 어버트먼트 캐리어를 분리시킬 때 작업자의 잘못으로 인해 어머트먼트 캐리어가 작업자의 손에서 벗어나 환자의 구강으로 넘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몸체(10)에 치실(또는 연결줄)을 걸 수 있는 연결고리(14)가 더 형성될 수 있고, 이 연결고리(14)는 몸체(10)의 외면에서 상기 손잡이(20)가 형성되지 않은 면 중 어느 한 면에 형성되거나 한 쌍의 손잡이(2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어버트먼트 캐리어를 이용하여 픽스쳐에 어버트먼트를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30)의 상면을 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수용공간(12)에 삽입시킨다.
이때, 어버트먼트(30)의 상면이 수용공간(12)에 밀착되게 상기 수용공간(12) 내부로 삽입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어버트먼트(30)에서 손을 떼더라도 어버트먼트(30)와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 캐리어가 분리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어버트먼트(30)를 몸체(10)의 수용공간(12) 내에 삽입시킨 후에는 한 손으로 손잡이(20)를 잡고, 상기 어버트먼트(30)를 환자의 구강 내에 설치된 픽스쳐 위에 배치시킨 후 다른 손으로 임플란트 전용 드라이버(40)를 상기 안내공(22)에 넣어 픽스쳐에 어버트먼트(30)를 결합시킨다.
상기 어버트먼트(30)가 픽스쳐에 결합되면, 손잡이(20)를 잡고 상기 어버트먼트 캐리어를 상기 어버트먼트(30)에서 빼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캐리어는 몸체(10)의 수용공간(12)에 삽입된 어버트먼트(30)가 상기 수용공간(12)에 밀착되어 어버트먼트(30)와 어버트먼트 캐리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몸체(10)의 양측으로 돌출된 손잡이(20) 만 잡고도 어버트먼트(30)를 이동시킬 수 있어 어버트먼트(30)의 취급이 용이해지고, 어버트먼트(30)의 취급이 용이하므로 픽스쳐에 어버트먼트(3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캐리어는 작업자가 손잡이(20)를 잡고 어버트먼트(30)를 취급하기 때문에 어버트먼트(30)가 손가락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10)에 치실을 연결하여 어버트먼트 캐리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어버트먼트 캐리어가 손가락에서 이탈되더라도 어버트먼트(30)가 목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몸체 12 : 수용공간
14 : 연결고리 20 : 손잡이
22 : 안내공 30 : 어버트먼트
40 : 임플란트 전용 드라이버

Claims (3)

  1. 어버트먼트의 상면이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임플란트 전용 드라이버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안내공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양측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캐리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면 중 상기 손잡이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치실이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캐리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면과 밀착되도록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캐리어.
KR1020150073856A 2015-05-27 2015-05-27 어버먼트 캐리어 KR2016013927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856A KR20160139270A (ko) 2015-05-27 2015-05-27 어버먼트 캐리어
PCT/KR2016/005217 WO2016190587A1 (ko) 2015-05-27 2016-05-18 어버트먼트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856A KR20160139270A (ko) 2015-05-27 2015-05-27 어버먼트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270A true KR20160139270A (ko) 2016-12-07

Family

ID=57394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856A KR20160139270A (ko) 2015-05-27 2015-05-27 어버먼트 캐리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139270A (ko)
WO (1) WO201619058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2831B2 (ja) * 1995-05-24 2005-04-27 株式会社ジーシー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アバットメント選択具
KR200255069Y1 (ko) * 1999-05-19 2001-12-13 장경삼 치과용 스크류 드라이빙 툴
KR100918997B1 (ko) * 2007-10-26 2009-09-25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어버트먼트 체결장치
US20120322030A1 (en) * 2010-02-18 2012-12-20 Alpha Bio Tec Ltd. Modular abutment system for tilted dental implants
KR101437376B1 (ko) * 2012-10-31 2014-09-15 주식회사 제노스 임플란트 시술용 어버트먼트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0587A1 (ko) 201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06014A1 (en) Dental implant
US6913465B2 (en) Dental implant delivery system
JPH0780002A (ja) 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ー及び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ー用鉗子
EP1096898A1 (en) Implant carrier with gripping fingers
CA2908299C (en) Integrated dental implant component and tool for placement of a dental implant component
KR100918997B1 (ko) 어버트먼트 체결장치
KR101181924B1 (ko) 임플란트 시술기구
KR101360952B1 (ko) 임플란트용 보조장치, 임플란트용 보조기구 및 보관용기
JP2018521700A (ja) 歯科用部材の配置装置
KR102258699B1 (ko) 멤브레인 리프팅 장치
EP2907473B1 (en) Palatal implant for overdenture
KR101098194B1 (ko) 파절된 지대주 제거 장치
KR101437376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어버트먼트 홀더
JP2013521089A (ja) 歯科インプラントにトルクを印加するためのエクステンション・ツール
KR20160139270A (ko) 어버먼트 캐리어
KR101515790B1 (ko) 힐링어버트먼트 취부용 지그
KR101387574B1 (ko) 임플란트용 픽스쳐 식립 장치
KR101729247B1 (ko) 코핑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KR200493997Y1 (ko) 치과용 픽스츄어 시술 커넥터
KR102159525B1 (ko) 임플란트용 픽스쳐의 개질방법
KR100923275B1 (ko) 치과용 뼈 절단공구
KR20150020086A (ko) 크라운 제거장치
KR101538917B1 (ko) 임플란트용 치은 절개 및 박리를 위한 블레이드 핸들
KR102062505B1 (ko) 치과 임플란트를 위한 투피스형 임프레션 코핑
JP2013236855A (ja) 歯科用アバットメントを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ーから取り外すための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