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0086A - 크라운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크라운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0086A
KR20150020086A KR20140103179A KR20140103179A KR20150020086A KR 20150020086 A KR20150020086 A KR 20150020086A KR 20140103179 A KR20140103179 A KR 20140103179A KR 20140103179 A KR20140103179 A KR 20140103179A KR 20150020086 A KR20150020086 A KR 20150020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wn
support rod
bodies
tooth
hing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3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9667B1 (ko
Inventor
노국경
Original Assignee
노국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국경 filed Critical 노국경
Priority to PCT/KR2014/00751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23121A1/ko
Publication of KR20150020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6Dentists' forceps or clamps for removing crowns
    • A61C3/162Dentists' forceps or clamps for removing crowns acting by lever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14Dentists' forceps or the like for extracting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라운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술자가 크라운의 협설측 교합면에 각각 집게부 양측을 균등하게 건 다음, 집게부 하단에 구비된 지지봉을 이웃하는 치아 교합면에 위치시키고 지렛대 방식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치아에 손상없이 크라운만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크라운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크라운의 협설측에 균등하게 힘이 가해져서 치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은 지렛대 작용을 이용하여 크라운을 제거하기 때문에 시술자가 크라운을 제거하는데 상대적으로 작은 힘을 가해도 되고, 그로인해 섬세하게 크라운을 치아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크라운 제거장치{CROWN REMOVING APPARATUS}
본 발명은 크라운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시술자가 크라운의 협설측 치경부에 각각 집게부 양측을 균등하게 건 다음, 집게부 방향에 구비된 지지봉을 이웃하는 치아 교합면에 위치시키고 지렛대 방식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치아에 손상없이 크라운만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크라운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충치란 치과용어로 치아우식증이라고 하며, 치태 형태로 치아에 서식하는 세균이 음식물 찌꺼기와 결합하여 배출되는 산에 의해 치아의 표면이 부식되어 손상되는 제 증상을 말하는 것이다. 충치는 크게 4 단계로 진행되는데, 제1 단계는 충치가 법랑질까지만 진행이 된 상태로 자각 증상이 없다. 제2 단계는 충치가 상아질까지 진행이 된 상태로 이가 시린 정도의 증상이 나타난다. 제3 단계는 충치가 치수까지 침범한 상태로 통증이 수반된다. 제4 단계는 치수가 완전히 부패하고 이 뿌리까지 염증이 전파된 상태로 저작이 곤란한 정도의 염증이 발생한다.
이에, 단계별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진다. 제1 단계에서는 우식 부위를 떼어내고, 떼어낸 자리를 레진 등으로 가볍게 수복한다. 제2 단계에서도 마찬가지로 우식 부위를 떼어내는데, 이때 떼어낸 부위는 크기가 크기 때문에 골드 인레이(Gold Inlay)를 사용해 수복한다. 제3 단계에서는 충치의 제거량이 많을 뿐 아니라, 신경이 손상되어 치질이 약해지므로 크라운을 씌워 주어야 한다. 제4 단계에서는 제3 단계와 거의 동일한 치료를 하며, 심한 경우 발치로 이어진다.
특히, 충치 치료의 제3 및 4 단계에서 사용되는 크라운은 충치의 우식 부위를 제거하고 생긴 와동 등에 적절한 재료를 충전한 뒤, 그 위에 씌워 주는 보철물로서, 약해진 치아를 보호하고, 우식부위를 감싸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크라운을 씌우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물(2)을 채운 치아(1) 위에 시멘트와 같은 접착제(3)를 도포하고, 그 위에 크라운(4)을 씌워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이 크라운(4)을 이용하는 보철물은 사용되는 재료의 종류와, 환자의 칫솔질 습관 등에 따라 5년에서 10년 정도의 수명을 가지며, 따라서 수명이 다한 뒤에는 반드시 크라운을 제거하고, 치료를 다시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치아(1)에 씌어져 있던 기존의 크라운(4)을 제거하여야 하는 바, 지금까지는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구 들이 제안된 바 있다.
도 2에 도시된 보철물제거용 집게(111)는 가위 형태로 되어 있으며, 짧은 집게 다리(113) 안쪽에 돌출된 지지턱(115)을 지점으로 하여 긴 집게 다리(117)를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치아(1)에서 크라운(4)을 돌려 빼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집게(111)는 크라운(4)과 접촉하는 집게 다리(113,117)의 하단 내측면에 이빨(119)이 돌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접촉면에서 미끄럼이 발생하므로 크라운(4)이 쉽게 빠지지 않고, 과도한 힘을 가하는 경우 치아(1)까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이 집게(111)는 크라운(4)만을 효율적으로 쉽게 제거할 수가 없었다는 문제가 있었고, 그러다 보니 불필요한 힘이 치아(1)쪽에 가해져서 치아가 더 손상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도 3에 도시된 갈고리 형태의 보철물 제거기(211)는 몸체를 이루는 봉체(213), 이 봉체(213)의 선단에 나사 결합된 걸이훅(215), 그리고 봉체(213) 후단의 확경부(219)를 타격하도록 봉체(213) 위에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진 타격체(217)로 구성되는 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걸이훅(215)의 팁(221)을 크라운(4)의 하단 테두리 부분에 걸고, 타격체(217)에 의해 확경부(219)를 타격함으로써 크라운(4)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갈고리 형태의 보철물 제거기(211)는 봉체(213)에 끼워서 슬라이딩되는 타격체(217)의 관성력을 다시 봉체(213)에 미치게 함으로써 크라운을 제거하는 기구지만, 이 보철물 제거기(211)도 마찬가지로 타격체(217)에 의한 타격 시 걸이훅(215)의 팁(221)이 움직이면서 주위의 치아나 잇몸에 상처를 입힐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시술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타격체(217)의 관성력은 너무 빠른 순간에 봉체(213)에 가해지므로 시술자가 타격순간에 집중하지 않거나, 또는 약간의 실수만으로도 치아나 잇몸이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외에도 디스크형 회전톱을 사용하거나 도르래를 이용하는 등 크라운을 제거하는 다양한 시술 방식이 제안된 바 있으나, 시술 시 안전성이나 편리성이 고려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도 2, 3에 도시된 보철물 제거기는 공히, 크라운(4)의 어느 한쪽에 편중된 힘이 가해지므로 단지 크라운(4)만을 깔끔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치아(1)를 손상할 수 있다는 문제가 가장 크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시술자가 크라운의 협설측 치경부에 각각 집게부 양측을 균등하게 건 다음, 집게부 방향에 구비된 지지봉을 이웃하는 치아 교합면에 위치시키고 지렛대 방식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치아에 손상없이 크라운만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크라운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후단에 각각 작동손잡이(14)가 구비되어져 있고, 전방 소정부에 힌지공(16)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전단에 크라운(4)의 협설측 치경부를 밀착시켜 잡는 집게부(17)가 형성된 제 1, 2 몸체(12a,12b)와; 상기 힌지공(16)에 요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34)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결합부(34)의 상단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돌리는 회전부(32)가 형성되고, 그 결합부(34)의 내주연에 암나사가 형성된 힌지부재(30)와; 상기 힌지부재(30)의 내주연 암나사에 체결되는 수나사(22)가 외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2 몸체(12a,12b)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부재(30)에 체결되며, 하단에 수평으로 통공(24)이 형성된 지지봉 조절로드(20)와; 상기 지지봉 조절로드(20)의 통공(24)에 요입되어 결합되고, 크라운(4)을 제거할 치아에 이웃하는 치아 교합면에 안착되는 지지봉(2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힌지부재(30)는 그 하단 결합부(34)가 힌지공(16)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C’형상의 이탈 방지링(36)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봉(26)은 그 전후방에 각각 지지봉(26)이 지지봉 조절로드(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부재(28)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힌지부재(30)와 지지봉 조절로드(20)는 상호 회전되어 상기 제 1, 2몸체(12a,12b)에 대한 상기 지지봉(26)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집게부(17)는 상기 제 1, 2 몸체(12a,12b)와 각각 연장된 제 1, 2 집게(18a,18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2 집게(18a,18b)는 그 하단이 중앙방향으로 오목하게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라운 제거장치는 크라운의 협설측에 균등하게 힘이 가해져서 치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은 지렛대 작용을 이용하여 크라운을 제거하기 때문에 시술자가 크라운을 제거하는데 상대적으로 작은 힘을 가해도 되고, 그로 인해 섬세하게 크라운을 치아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크라운을 씌운 치아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보철물제거용 집게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또 다른 종래의 보철물 제거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철물 제거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제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제거장치를 도시한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제거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제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제거장치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제거장치(10)는 시술자가 크라운의 협설측 치경부에 각각 집게부 양측을 균등하게 건 다음, 집게부 방향에 구비된 지지봉을 이웃하는 치아 교합면에 위치시키고 지렛대 방식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치아에 손상없이 크라운만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제거장치(10)는 가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후단에 각각 작동손잡이(14)가 구비되어져 있고, 전방 소정부에 힌지공(16)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전단에 크라운(4)의 협설측 치경부를 밀착시켜 잡는 집게부(17)가 형성된 제 1, 2 몸체(12a,12b)가 구성된다.
상기 제 1, 2 몸체(12a,12b)는 일반 가위 형태를 갖지만, 상기 집게부(17)는 상기 제 1, 2 몸체(12a,12b)와 각각 연장된 제 1, 2 집게(18a,18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2 집게(18a,18b)는 그 하단이 중앙방향으로 오목하게 절곡되어져 있다.
따라서, 제거해야할 크라운(4)의 협설측 치경부에 상기 제 1, 2 집게(18a,18b)의 하단을 균등하게 밀착하여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제거장치(10)는 상기 힌지공(16)에 요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34)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결합부(34)의 상단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돌리는 회전부(32)가 형성되고, 그 결합부(34)의 내주연에 암나사가 형성된 힌지부재(30)와; 상기 힌지부재(30)의 내주연 암나사에 체결되는 수나사(22)가 외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2 몸체(12a,12b)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부재(30)에 체결되며, 하단에 수평으로 통공(24)이 형성된 지지봉 조절로드(20) 및 상기 지지봉 조절로드(20)의 통공(24)에 요입되어 결합되고, 크라운(4)을 제거할 치아에 이웃하는 치아 교합면에 안착되는 지지봉(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힌지부재(30)와 지지봉 조절로드(20)는 상호 회전되어 상기 제 1, 2몸체(12a,12b)에 대한 상기 지지봉(26)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크라운(4)이 제거되어야 할 환자의 경우 치아(1)의 높이가 모두 상이하고, 치아(1)의 형태가 상이하므로 상기 힌지부재(30)와 지지봉 조절로드(20)가 상호 회전되어서 상기 지지봉(26)의 위치를 적절한 위치가 되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지지봉(26)에 대해 제 1, 2 몸체(12a,12b)가 최적의 지렛대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봉 조절로드(20)나 지지봉(26)은 상기 크라운 제거장치(10)로부터 이탈되어도 되고, 다시 지지봉 조절로드(20)가 상기 힌지부재(30)에 대해 다시 재결합되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 상기 힌지부재(30)는 상기 힌지공(16)으로부터 이탈될 필요가 없으므로 고정되게 구성되어져 있다.
즉, 상기 힌지부재(30)는 그 하단 결합부(34)가 힌지공(16)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C’형상의 이탈 방지링(36)이 결합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지지봉(26)은 그 좌우단에 각각 지지봉(26)이 지지봉 조절로드(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부재(28)가 결합되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제거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제거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제거장치(10)는 가위 형태로 구성된 제 1, 2 몸체(12a,12b)는 그 힌지공(16)에 힌지부재(30)를 요입시켜 이탈 방지링(36)이 힌지부재(30)의 하단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힌지부재(30)가 제 1, 2 몸체(12a,12b)에 고정되어져 있다.
그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재(30)의 내주연에 형성된 암나사에 대해, 지지봉 조절나사(20)의 외주연에 형성된 수나사(22)를 돌리면서 체결한다.
이때, 상기 제 1, 2 몸체(12a,12b)에 대해 상기 지지봉 조절나사(20)의 위치를 조절한다. 즉, 환자의 치아 형태나 치아 높이가 환자마다 상이하므로 그 치아 형태나 높이에 적합하게 상기 지지봉 조절나사(20)의 위치를 조절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지지봉(26)을 지지봉 조절나사(20)의 하단에 형성된 통공(24)에 결합시키고, 그 지지봉(26)의 전후방에 각각 결합부재(28)를 결합시켜 크라운 제거장치(10)의 조립을 완료한다.
그리고, 상기 크라운 제거장치(10)를 환자의 치아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 1, 2 집게(18a,18b)와, 해당 환자의 크라운(4)의 치경부가 밀착 접촉되면서, 동시에 상기 지지봉(26)의 크라운을 제거해야할 치아의 협설측 치아 교합면에 안착될 수 있는 높이가 되도록 상기 힌지부재(30)와 지지봉 조절로드(20)를 상호 회전시켜 조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봉(26)을 치아 교합면에 안착해둔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재(30)의 상단에 노출된 회전부(32)를 시술자가 파지하고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힌지부재(30)와 지지봉 조절로드(20)의 거리가 조절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봉(26)도 상기 통공(24)을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치아 교합면에 지지봉(26)이 잘 위치될 수 있게 수평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지지봉(26)의 안착 조절이 잘 이루어진 상태에서, 시술자는 상기 제 1, 2 몸체(12a,12b)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모으면, 상기 제 1, 2 집게(18a,18b)는 크라운 치경부에 밀착 결합된다.
그 상태에서 시술자는 상기 작동손잡이(14)를 하단으로 젖히게 되면, 상기 지지봉(26)에 대해 상기 제 1, 2 집게(18a,18b)가 지렛대 기능을 수행하여 크라운(4)이 제거되게 힘이 가해지는 바, 본 발명은 다른 보철물 제거기와는 다르게, 크라운(4)의 협설측에 균등하게 힘이 가해져서 치아(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지렛대 작용을 이용하여 크라운을 제거하기 때문에 시술자가 크라운을 제거하는데 상대적으로 작은 힘을 가해도 되고, 그로인해 섬세하게 크라운을 치아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제거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2a,12b:제 1, 2몸체, 14:작동손잡이,
16:힌지공, 18a,18b:제 1, 2집게,
20:지지봉 조절나사, 24:통공,
26:지지봉, 30:힌지부재,
36:이탈 방지링.

Claims (5)

  1. 가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후단에 각각 작동손잡이(14)가 구비되어져 있고, 전방 소정부에 힌지공(16)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전단에 크라운(4)의 협설측 치경부를 밀착시켜 잡는 집게부(17)가 형성된 제 1, 2 몸체(12a,12b)와;
    상기 힌지공(16)에 요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34)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결합부(34)의 상단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돌리는 회전부(32)가 형성되고, 그 결합부(34)의 내주연에 암나사가 형성된 힌지부재(30)와;
    상기 힌지부재(30)의 내주연 암나사에 체결되는 수나사(22)가 외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2 몸체(12a,12b)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부재(30)에 체결되며, 하단에 수평으로 통공(24)이 형성된 지지봉 조절로드(20)와;
    상기 지지봉 조절로드(20)의 통공(24)에 요입되어 결합되고, 크라운(4)을 제거할 치아에 이웃하는 치아 교합면에 안착되는 지지봉(2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30)는 그 하단 결합부(34)가 힌지공(16)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C’형상의 이탈 방지링(36)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26)은 그 좌우단에 각각 지지봉(26)이 지지봉 조절로드(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부재(28)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30)와 지지봉 조절로드(20)는 상호 회전되어 상기 제 1, 2몸체(12a,12b)에 대한 상기 지지봉(26)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제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17)는 상기 제 1, 2 몸체(12a,12b)와 각각 연장된 제 1, 2 집게(18a,18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2 집게(18a,18b)는 그 하단이 중앙방향으로 오목하게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제거장치.
KR1020140103179A 2013-08-14 2014-08-11 크라운 제거장치 KR101629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7514 WO2015023121A1 (ko) 2013-08-14 2014-08-13 크라운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6492 2013-08-14
KR1020130096492 2013-08-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086A true KR20150020086A (ko) 2015-02-25
KR101629667B1 KR101629667B1 (ko) 2016-06-13

Family

ID=52579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179A KR101629667B1 (ko) 2013-08-14 2014-08-11 크라운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6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6792A1 (ko) * 2016-07-18 2018-01-25 이지원 보철물 제거 장치
KR102199643B1 (ko) 2020-06-05 2021-01-07 신명섭 치아용 보철물 제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2173A (ja) * 2003-11-25 2005-06-16 Tadashi Tomii 歯科用プライヤ
WO2012048088A2 (en) * 2010-10-07 2012-04-12 Richard Golden Dental pliers with adjustable bumper
WO2013022488A2 (en) * 2011-08-09 2013-02-14 Lim Jang H Universal dental elev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2173A (ja) * 2003-11-25 2005-06-16 Tadashi Tomii 歯科用プライヤ
WO2012048088A2 (en) * 2010-10-07 2012-04-12 Richard Golden Dental pliers with adjustable bumper
WO2013022488A2 (en) * 2011-08-09 2013-02-14 Lim Jang H Universal dental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667B1 (ko) 201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ddle Nonsurgical retreatment
CA2835838C (en) Method and device for causing tooth movement
US3579829A (en) Pericortical dental implant and inserter therefor
US5833460A (en) Controlled force crown and bridge remover
AU2016269402B2 (en) A dental wedge
US6482007B2 (en) Dental wedge with handle
US20190231476A1 (en) Dental separator and matrix system for producing dental restorations
KR101629667B1 (ko) 크라운 제거장치
KR102258699B1 (ko) 멤브레인 리프팅 장치
KR101644790B1 (ko) 교합면 성형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US3754331A (en) Universal dental extraction forceps
KR20130049514A (ko) 베벨기어를 갖는 치아 발치용 엘리베이터
McCullock The removal of restorations and foreign objects from root canals.
US10945809B2 (en) Prosthodontic tool and method for placing and fitting crowns and inlays
WO2015023121A1 (ko) 크라운 제거장치
KR20160061118A (ko) 치과용 보철 제거 키트
US9345554B1 (en) Dental prosthetic and restoration removal system and method
KR101839982B1 (ko) 치아 보철물 제거 방법
KR101538917B1 (ko) 임플란트용 치은 절개 및 박리를 위한 블레이드 핸들
RU9098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травматичного удаления корней зубов
JP3162169U (ja) 抜歯用具
D’Souza et al. A better bond: Luting simplified
AU2020201283B2 (en) Dental surgery method and device
Jain et al. An innovative approach for atraumatic tooth extraction for immediate implant placement by using Sapian extraction kit: a case report
Schoenbaum et al. Retrieval of a defective cement-retained implant prosthe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