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790B1 - 교합면 성형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 Google Patents

교합면 성형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790B1
KR101644790B1 KR1020150050766A KR20150050766A KR101644790B1 KR 101644790 B1 KR101644790 B1 KR 101644790B1 KR 1020150050766 A KR1020150050766 A KR 1020150050766A KR 20150050766 A KR20150050766 A KR 20150050766A KR 101644790 B1 KR101644790 B1 KR 101644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clusal surface
surface forming
stamp
handl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철
박광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박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박준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to KR1020150050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C5/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61C5/023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교합면 성형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기구는, 스탬프 파트(stamp part); 및 스탬프 파트의 일측에서 자연치아의 교합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며, 충치 치료 시 충전된 레진 상에 스탬핑되어 충치가 치료된 치아에 교합면을 성형시키는 교합면 성형 패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합면 성형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Occlusal surface molding device and ki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합면 성형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치가 치료된 치아에 자연치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교합면을 성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심미성이 높아지고, 교합이 정확하게 맞아 환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교합면 성형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의 충치 치료(cavity filling)란 치아 우식증(충치)으로 인해 치아 경조직의 손상이 있을 경우, 치과용 재료를 충전하여 치아의 기능이 회복될 수 있도록 하는 시술이다.
치아 경조직의 수복(우식으로 손상된 치아를 회복)을 위해서는 적절한 와동 형성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하기 때문에 충치 치료 시 충치 치아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이다.
여기서, 와동 형성이란 치아의 손상을 형태, 기능, 심미적으로 적절히 수복할 수 있도록 치아를 기계적으로 변형하는 작업을 말하며, 이렇게 만들어진 구멍을 와동이라고 한다.
와동 형성 과정에는 손상 받은 치아의 구조나 우식을 일으키는 세균이나 기존 수복물을 삭제하는 행위가 포함된다.
치아 경조직에 대한 와동 형성은 치과용 핸드피스(dental handpiece)라고 불리는 회전형 수동 절삭기구를 이용하여 시행할 수 있다.
한편, 와동에 충전되는 충전재의 종류로는 아말감, 광중합형 레진, 자기중합형 레진, 글래스 아이오노머, 금 인레이, 레진 인레이, 지르코니아(zirconia) 등이 있다.
이러한 충전재는 각기 장단점 등이 있어서 비용, 심미적인 면, 우식 정도, 환자의 요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레진을 이용하여 충치 치료를 진행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충치가 깊은 경우에는 마취하고 방습을 위해서 러버 댐을 한다. 여기서, 러버 댐(rubber dam)은 시술하는 치아만 격리하는 고무풍선 같은 장치를 일컫는다. 물론, 러버 댐이 반드시 갖춰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 와동을 형성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치과용 핸드피스를 이용해서 치아를 기계적으로 변형시켜 구멍을 형성한다. 이때, 충치가 깊은 경우에는 치아의 신경을 보호하는 약제를 도포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접착 표면에 산(acid)으로 부식 처리한다. 이때는 30~50% 인산 용액을 사용하게 되는데, 산부식 표면은 백묵처럼 뿌옇고 푸석하게 보일 수 있다. 이러한 시술 시 침에 오염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산부식 처리는 레진과 치아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한 화학적인 처리이다. 현미경적으로 보면 산주식이 된 치아면은 울퉁불퉁한 주름과 치면이 형성되어 부착력이 높아진다.
다음, 프라이머(primer, 접착제의 힘을 높여주는 약제)와 접착제를 바른 후, 레진을 충전하고 다진다.
레진을 충전하고 다진 연후에는 레진 충전 부위에 광(光)을 조사한다. 이처럼 광을 조사하면 물렁한 레진이 딱딱하게 굳게 되는데, 굳은 후, 적절한 방식으로 연마함으로써, 충치 치료가 완료된다.
한편,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이 레진을 이용한 충치 치료의 대표적인 방식인데,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와동에 레진을 충전시켜 다진 후, 광을 조사하여 레진을 고화시키는 단계 외에는 치료된 치아에 교합면을 성형시키는 작업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다.
다시 말해, 종래에는 충치 발생 부분에 와동을 형성한 후 와동에 레진을 충전시켜 고화시키는 단순한 시술이 진행되어 왔을 뿐 충치 치료가 완료된 치아에 자연 치아의 교합면을 그대로 성형시킬 수 없었다. 이는 별도의 교합면 성형기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의 경우, 충치가 치료된 치아에 자연치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교합면을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자연치아 상태처럼 교합이 정확하게 맞지 않아 불편함에 따른 환자의 불만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7032803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충치가 치료된 치아에 자연치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교합면을 성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심미성이 높아지고, 교합이 정확하게 맞아 환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교합면 성형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탬프 파트(stamp part); 및 상기 스탬프 파트의 일측에서 상기 자연치아의 교합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며, 충치 치료 시 충전된 레진 상에 스탬핑되어 상기 충치가 치료된 치아에 상기 교합면을 성형시키는 교합면 성형 패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면 성형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교합면 성형 패턴부는 치아 교합면의 표준 형상으로 미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스탬프 파트는 탄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핸들(handle)을 이용한 상기 스탬프 파트의 핸들링을 위하여 상기 스탬프 파트에 마련되는 캐리어 파트(carrier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탬프 파트와 상기 캐리어 파트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파트는 상기 스탬프 파트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핸들에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돌출형 캐리어 파트일 수 있다.
상기 캐리어 파트는 상기 스탬프 파트의 일측에서 홀(hole) 형태로 함몰되어 상기 핸들이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함몰형 캐리어 파트일 수 있다.
상기 캐리어 파트는 상기 스탬프 파트의 일측에서 홈(groove) 형태로 함몰되어 상기 핸들이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함몰형 캐리어 파트일 수 있으며, 상기 홈 형태의 함몰형 캐리어 파트는 비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키트 박스; 상기 키트 박스 내의 일측에 마련되는 교합면 성형기구; 및 상기 키트 박스 내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교합면 성형기구를 핸들링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교합면 성형기구는, 스탬프 파트(stamp part); 및 상기 스탬프 파트의 일측에서 상기 자연치아의 교합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며, 충치 치료 시 충전된 레진 상에 스탬핑되어 상기 충치가 치료된 치아에 상기 교합면을 성형시키는 교합면 성형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합면 성형기구는 상기 치아를 이루는 소구치와 대구치의 개수에 따라 다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상기 교합면 성형기구들의 스탬프 파트에 각각 마련되는 교합면 성형 패턴부는 치아 교합면의 표준 형상으로 미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스탬프 파트는 탄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교합면 성형기구는, 상기 핸들을 이용한 상기 스탬프 파트의 핸들링을 위하여 상기 스탬프 파트에 마련되는 캐리어 파트(carrier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탬프 파트와 상기 캐리어 파트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파트는 상기 스탬프 파트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핸들에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돌출형 캐리어 파트일 수 있다.
상기 캐리어 파트는 상기 스탬프 파트의 일측에서 홀(hole) 형태로 함몰되어 상기 핸들이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함몰형 캐리어 파트일 수 있다.
상기 캐리어 파트는 상기 스탬프 파트의 일측에서 홈(groove) 형태로 함몰되어 상기 핸들이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함몰형 캐리어 파트일 수 있으며, 상기 홈 형태의 함몰형 캐리어 파트는 비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치가 치료된 치아에 자연치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교합면을 성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심미성이 높아지고, 교합이 정확하게 맞아 환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치아의 구조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2는 어금니에 대한 충치 치료 전과 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용 키트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교합면 성형기구의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각각 충치 치료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기구의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기구의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기구의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기구의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저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치아의 구조를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2는 어금니에 대한 충치 치료 전과 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성인의 경우, 안쪽앞니와 가쪽앞니, 그리고 송곳니의 전치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을 구치부라 부른다.
구치부는 사이즈가 작은 소구치로부터 사이즈가 큰 대구치로 나뉠 수 있는데, 통상 어금니라 부르기도 한다.
전치부와 달리, 구치부를 이루는 어금니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교합면(occlusal surface)이 형성된다. 교합면은 어금니의 치관정부의 면을 가리키는데, 구치부에서는 이러한 교합면에 의해 음식을 저작할 수가 있다.
따라서 충치 치료 등의 이유로 교합면이 잘 맞지 않을 경우, 음식 저작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어 불편함을 호소할 수 있다.
좀 더 부연한다. 도 2의 (a)처럼 자연치아의 어금니에는 교합면이 형성되어 있는데, 우식으로 인해 어금니 경조직의 손상이 있을 경우, 치과용 재료, 예컨대 도 2의 (b)처럼 레진을 충전하여 치아의 기능이 회복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치료가 보편적인 충치 치료이다.
하지만, 도 2의 (b)와 같이 단순히 레진을 충전시켜 충치 치료를 완료할 경우, 도 2의 (a)처럼 원래 형성되어 있던 교합면이 사라지기 때문에 추후, 음식 저작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는 등 불편함을 호소하게 된다.
이에, 일부 치과 의사들의 경우, 도 2의 (b)의 레진 상면에 무작위로 일정한 홈을 내어 마치 교합면의 기능이 되도록 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정도의 행위만으로는 정확한 교합면을 얻어낼 수 없기 때문에 그 효과는 미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실제, 치과 치료 후, 어금니에 교합면을 형성시키지 못한 이유는 본 실시예와 같은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 교합면 성형기구(100)가 개발된 바 없기 때문인데, 본 실시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기구(100)를 사용할 경우, 도 2의 (c)처럼 레진 상에 교합면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교합면 자연치아의 교합면과 실질적으로 거의 유사한 형태이기 때문에 음식 저작 등에 전혀 지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용 키트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교합면 성형기구의 확대도이며, 도 5 내지 도 10은 각각 충치 치료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술한 도 2의 (c)처럼 충치가 치료된 치아에 자연치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교합면을 성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도 3과 같은 세트 구조, 즉 교합면 성형용 키트(110)의 형태로 제품화될 수 있다.
물론, 도 3과 같은 교합면 성형용 키트(110)의 형태로 제품화될 경우, 치과 치료 시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즉 교합면 성형용 키트(110)에 도 1의 어금니들에 대응되는 다수의 교합면 성형기구(100,100a~100g)가 마련되고, 이들을 핸들링하기 위한 핸들(130)이 갖춰질 경우, 교합면 성형기구(100,100a~100g) 중 하나를 선택해서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치과의사의 입장에서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도 3과 같은 교합면 성형용 키트(110)의 형태로 제품화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으나 도 4와 같은 교합면 성형기구(100)가 단독으로 제품화되거나 사용되더라도 관계는 없다. 따라서 도 3과 같은 교합면 성형용 키트(110)와 도 4와 같은 교합면 성형기구(100) 모두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3을 먼저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용 키트(110)는 키트 박스(120)와, 다수의 교합면 성형기구(100,100a~100g)와, 핸들(130)을 포함할 수 있다.
키트 박스(120)는 교합면 성형기구(100,100a~100g)들과 핸들(130)을 보관하는 케이스의 일종이다.
교합면 성형기구(100,100a~100g)들과 핸들(130)이 공기 중에 노출되어 있으면 세균 번식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교합면 성형기구(100,100a~100g)들과 핸들(130)은 키트 박스(120)에 담겨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면에는 키트 박스(120)를 극히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으나 키트 박스(120)는 힌지(H)에 의해 케이스가 펼쳐졌다 접혔다 하는 구조일 수 있다. 물론, 도시된 것과 달리, 키트 박스(120)가 서랍식 형태이어도 관계는 없다.
교합면 성형기구(100,100a~100g)들의 설명에 앞서 핸들(130)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핸들(130)은 키트 박스(120) 내의 타측에 마련되며, 교합면 성형기구(100,100a~100g)들을 핸들링하는 기구이다.
본 실시예에 적용된 핸들(130)은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공(131)이 도 4에 도시된 교합면 성형기구(100)의 캐리어 파트(103)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즉 도 7 및 도 8처럼 핸들(130)의 결합공(131)에 교합면 성형기구(100)의 캐리어 파트(103)를 끼워 교합면 성형기구(100)를 핸들링할 수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된 핸들(130)의 형태는 극히 단순화시킨 것일 뿐 핸들(130)의 헤드 부분이 회전되거나 핸들(130)의 헤드 부분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구조가 개선된 핸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교합면 성형기구(100,100a~100g)들은 키트 박스(120) 내의 일측에 마련되어 도 2의 (c)처럼 충치가 치료된 치아에 자연치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교합면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키트 박스(120) 내에 총 8개의 교합면 성형기구(100,100a~100g)들을 개시하고 있다. 8개의 교합면 성형기구(100,100a~100g)들은 도 1에서 비교적 잘 썩는 둘째큰어금니와 셋째큰어금니의 총 8개에 대응된다.
하지만, 전치부를 제외하고 구치부에 속한 모든 어금니들에 하나씩 대응되게 교합면 성형기구(100,100a~100g)들의 개수를 더 늘릴 수도 있을 것이므로 교합면 성형기구(100,100a~100g)들의 개수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이하에는 편의를 위해,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교합면 성형기구(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나머지, 교합면 성형기구(100a~100g)들 역시, 도 4에 도시된 교합면 성형기구(100)의 교합면 성형 패턴부(102)의 형상만이 일부 상이할 뿐 구조와 기능들은 모두 동일하다.
도 4를 참조하면, 교합면 성형기구(100)는 스탬프 파트(101, stamp part), 교합면 성형 패턴부(102), 그리고 캐리어 파트(103, carrier part)를 구비한다.
스탬프 파트(101)는 교합면 성형기구(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탬프 파트(101)는 마치 깔때기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하지만, 스탬프 파트(101)는 도시된 것을 벗어나 사각블록이나 원기둥과 같은 형상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스탬프 파트(101)는 실리콘, 플라스틱 등 일정한 탄성을 갖는 탄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교합면 성형 패턴부(102) 및 캐리어 파트(103)가 스탬프 파트(101)와 일체형 구조인 경우라면 교합면 성형 패턴부(102) 및 캐리어 파트(103) 역시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일 수 있다.
교합면 성형 패턴부(102)는 스탬프 파트(101)의 일측에서 자연치아의 교합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충치 치료 시 충전된 레진 스탬핑되어 충치가 치료된 치아에 교합면을 성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도 8처럼 레진을 충전시킨 후, 레진이 굳기 전에 교합면 성형 패턴부(102)가 레진 상에 찍혀져 고화됨으로써, 도 2의 (c)와 같은 형태로 레진 상에 교합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교합면 성형 패턴부(102)는 치아 교합면의 표준 형상으로 미리 제작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다수 개의 교합면 성형기구(100,100a~100g)들이 마련되고 각 교합면 성형기구(100,100a~100g)들은 도 1의 어금니에 각각 대응되는데, 이때 어금니들에 형성되는 교합면의 표준 형상이 교합면 성형 패턴부(102)로 미리 제작되는 것이다. 물론, 사람들마다 구지부의 교합면이 완전히 동일한 것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의 표준 형상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러한 표준 형상을 토대로 교합면 성형 패턴부(102)를 제작하고 있는 것이다.
스탬프 파트(101)의 일측에 이처럼 교합면 성형 패턴부(102)를 만들 때는 CAD 또는 CAM 자료를 이용해서 치아의 해부학적 형태 구현 범위 결정한 후, 내구성 및 탄성을 고려하여 소재, 예컨대 실리콘 소재를 이용해서 미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는 미세한 부분까지 정밀하게 표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물론, 스탬프 파트(101)의 일측에 교합면 성형 패턴부(102)를 형성시킴에 있어서 교합면의 표준 형상을 따르지 않고, 개인별 어금니 형상을 그대로 본 뜰 수도 있다. 이때는 치과 치료 전에 어금니 형상을 미리 획득한 후에, 이 형상에 따라 교합면 성형 패턴부(102)를 만들어 사용하면 된다.
캐리어 파트(103)는 핸들(130)을 이용한 스탬프 파트(101)의 핸들링을 위하여 스탬프 파트(101)에 마련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캐리어 파트(103)는 스탬프 파트(101)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핸들(130)에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돌출형 캐리어 파트(103)로 적용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기구(100)를 핸들링할 때는 도 7 및 도 8처럼 핸들(130)의 결합공(131)이 캐리어 파트(103)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교합면 성형기구(100)를 핸들링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캐리어 파트(103)는 스탬프 파트(101)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기구(100)를 이용해서 충치 치료를 진행하는 방법에 대해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5처럼 충치가 있는 경우, 치과용 핸드피스를 이용해서 도 6처럼 우식 영역에 와동을 형성시킨다. 만약, 충치가 깊은 경우에는 마취하고 방습을 위해서 러버 댐을 할 수도 있다.
다음, 와동 부분에 산부식 처리와 접착 처리를 한 후, 도 7처럼 레진을 충전시킨다.
이때, 충전된 레진이 곧바로 고화되는 것은 아니므로 레진 충전 후, 핸들(130)을 통해 교합면 성형기구(100)를 파지한 다음, 교합면 성형기구(100)의 교합면 성형 패턴부(102)가 도 7에서 도 8처럼 레진 상에 찍히도록 가압한다.
그런 다음, 도 9처럼 광 조사부(140)를 통해 레진을 고화시킨 후, 도 10처럼 교합면 성형기구(100)를 제거한다.
그러면, 교합면 성형기구(100)로 인해 레진 상의 표면에 자연치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교합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교합면은 레진이 고화되면서 완전히 굳은 상태이기 때문에 임의로 변형되지는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충치가 치료된 치아에 자연치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교합면을 성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심미성이 높아지고, 교합이 정확하게 맞아 환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교합면 성형기구(200~500)는 아래의 도 11 내지 도 14처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기구의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기구(200) 역시, 스탬프 파트(201, stamp part)와, 스탬프 파트(201)의 일면에 형성되는 교합면 성형 패턴부(202)와, 핸들링을 위한 캐리어 파트(203, carrier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캐리어 파트(203)는 스탬프 파트(201)의 일측에서 홀(hole) 형태로 함몰되어 핸들(230)의 끼움부(231)가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함몰형 캐리어 파트(203)로 적용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캐리어 파트(203)가 적용되더라도 핸들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충치가 치료된 치아에 자연치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교합면을 성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심미성이 높아지고, 교합이 정확하게 맞아 환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기구의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기구(300) 역시, 스탬프 파트(301, stamp part)와, 스탬프 파트(301)의 일면에 형성되는 교합면 성형 패턴부(302)와, 핸들링을 위한 캐리어 파트(303, carrier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교합면 성형 패턴부(302)는 별도로 제작된 후에 스탬프 파트(301)의 일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스탬프 파트(301)는 그대로 두고 교합면 성형 패턴부(302)만을 교체해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충치가 치료된 치아에 자연치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교합면을 성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심미성이 높아지고, 교합이 정확하게 맞아 환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기구의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기구(400) 역시, 스탬프 파트(401, stamp part)와, 스탬프 파트(401)의 일면에 형성되는 교합면 성형 패턴부(402)와, 핸들링을 위한 캐리어 파트(403, carrier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스탬프 파트(401)의 외표면 일측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기구(400)의 방향을 표시하는 마킹 패턴(404, marking pattern)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처럼 교합면 성형기구(400)에 마킹 패턴(404)이 형성될 경우, 교합면 성형기구(400)의 방향 설정이 용이해져서 초심자라 하더라도 교합면을 올바르게 성형시킬 수 있을 것임에 틀림이 없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충치가 치료된 치아에 자연치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교합면을 성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심미성이 높아지고, 교합이 정확하게 맞아 환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기구의 도면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기구(500) 역시, 스탬프 파트(501, stamp part)와, 스탬프 파트(501)의 일면에 형성되는 교합면 성형 패턴부(502)와, 핸들링을 위한 캐리어 파트(503, carrier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스탬프 파트(501)에 대하여 캐리어 파트(503)가 착탈식으로 마련된다. 이처럼 캐리어 파트(503)가 착탈식으로 마련될 경우, 도 3에 도시된 핸들(130)이나 혹은 도 11에 도시된 핸들(230) 중 아무 것이나 사용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충치가 치료된 치아에 자연치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교합면을 성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심미성이 높아지고, 교합이 정확하게 맞아 환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저면도이며, 도 17은 도 15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교합면 성형기구(600) 역시, 스탬프 파트(601, stamp part)와, 스탬프 파트(601)의 일면에 형성되는 교합면 성형 패턴부(602)와, 핸들링을 위한 캐리어 파트(603, carrier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캐리어 파트(603)는 스탬프 파트(601)의 일 측면에서 홈(groove)의 형태로 함몰되어 도시 않은 핸들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홈 형태의 캐리어 파트(603)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비원형 형상, 예컨대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처럼 캐리어 파트(603)가 비원형 형상, 예컨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경우, 핸들과의 결합 시 교합면 성형기구(600)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홈 형태의 캐리어 파트(603)의 깊이는 5mm 이상인 것이 핸들과의 결합에 이상적일 수 있지만 이의 수치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충치가 치료된 치아에 자연치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교합면을 성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심미성이 높아지고, 교합이 정확하게 맞아 환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교합면 성형기구 101 : 스탬프 파트
102 : 교합면 성형 패턴부 103 : 캐리어 파트
110 : 교합면 성형용 키트 120 : 키트 박스
130 : 핸들 131 : 결합공

Claims (17)

  1. 자연치아의 교합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며, 충치 치료 시 충전된 레진 상에 스탬핑되어 상기 레진의 표면에 상기 자연치아의 교합면을 그대로 성형시키는 교합면 성형 패턴부가 일측에 마련되는 스탬프 파트(stamp part); 및
    핸들(handle)을 이용한 상기 스탬프 파트의 핸들링을 위하여 상기 스탬프 파트에 마련되는 캐리어 파트(carrier part)를 포함하며,
    상기 스탬프 파트의 교합면 성형 패턴부는 상기 레진이 고화되기 전에 상기 레진 상에 스탬핑되며, 광 조사부의 작용으로 상기 레진이 고화되고 나면 상기 스탬프 파트가 상기 레진에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면 성형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면 성형 패턴부는 치아 교합면의 표준 형상으로 미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면 성형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 파트는 탄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면 성형기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 파트와 상기 캐리어 파트는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면 성형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파트는 상기 스탬프 파트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핸들에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돌출형 캐리어 파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면 성형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파트는 상기 스탬프 파트의 일측에서 홀(hole) 형태로 함몰되어 상기 핸들이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함몰형 캐리어 파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면 성형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파트는 상기 스탬프 파트의 일측에서 홈(groove) 형태로 함몰되어 상기 핸들이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함몰형 캐리어 파트이며,
    상기 홈 형태의 함몰형 캐리어 파트는 비원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면 성형기구.
  9. 키트 박스;
    상기 키트 박스 내의 일측에 마련되는 교합면 성형기구; 및
    상기 키트 박스 내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교합면 성형기구를 핸들링하는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교합면 성형기구는,
    자연치아의 교합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며, 충치 치료 시 충전된 레진 상에 스탬핑되어 상기 레진의 표면에 상기 자연치아의 교합면을 그대로 성형시키는 교합면 성형 패턴부가 일측에 마련되는 스탬프 파트(stamp part); 및
    핸들(handle)을 이용한 상기 스탬프 파트의 핸들링을 위하여 상기 스탬프 파트에 마련되는 캐리어 파트(carrier part)를 포함하며,
    상기 스탬프 파트의 교합면 성형 패턴부는 상기 레진이 고화되기 전에 상기 레진 상에 스탬핑되며, 광 조사부의 작용으로 상기 레진이 고화되고 나면 상기 스탬프 파트가 상기 레진에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면 성형기구는 상기 치아를 이루는 소구치와 대구치의 개수에 따라 다수 개로 마련되며,
    다수 개의 상기 교합면 성형기구들의 스탬프 파트에 각각 마련되는 교합면 성형 패턴부는 치아 교합면의 표준 형상으로 미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 파트는 탄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13. 삭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 파트와 상기 캐리어 파트는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파트는 상기 스탬프 파트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핸들에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돌출형 캐리어 파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파트는 상기 스탬프 파트의 일측에서 홀(hole) 형태로 함몰되어 상기 핸들이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함몰형 캐리어 파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파트는 상기 스탬프 파트의 일측에서 홈(groove) 형태로 함몰되어 상기 핸들이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함몰형 캐리어 파트이며,
    상기 홈 형태의 함몰형 캐리어 파트는 비원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KR1020150050766A 2015-04-10 2015-04-10 교합면 성형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KR101644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766A KR101644790B1 (ko) 2015-04-10 2015-04-10 교합면 성형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766A KR101644790B1 (ko) 2015-04-10 2015-04-10 교합면 성형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790B1 true KR101644790B1 (ko) 2016-08-03

Family

ID=56708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766A KR101644790B1 (ko) 2015-04-10 2015-04-10 교합면 성형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7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228A (ko) *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큐링 겸용 캐리어 및 그를 구비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KR20210039823A (ko) 2019-10-02 2021-04-12 주식회사 신일덴텍 교합면 성형키트
FR3120784A1 (fr) * 2021-03-17 2022-09-23 Dong Vu Dispositif médical sur mesure pour restaurer l’anatomie occlusale d’une d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0896A (en) * 1996-03-15 1999-04-06 Padial; Jose Jesus Castro Device for the application of an impression material to the occlusal surface of teeth
KR100249670B1 (ko) * 1997-07-08 2000-03-15 권중호 치관 보철용 왁스패턴모델을 제조하는 방법
KR20050003888A (ko) * 2003-07-04 2005-01-12 박준철 치아교합면 음형
JP5276786B2 (ja) * 2006-11-11 2013-08-28 斎史 杉本 歯形形成フィルムとそれを用いた人工歯冠の形成方法
KR20140051854A (ko) 2011-05-13 2014-05-02 머티어리얼리스 덴탈 엔.브이. 근관 치료에서 교합면 액세스 공동의 형상을 설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0896A (en) * 1996-03-15 1999-04-06 Padial; Jose Jesus Castro Device for the application of an impression material to the occlusal surface of teeth
KR100249670B1 (ko) * 1997-07-08 2000-03-15 권중호 치관 보철용 왁스패턴모델을 제조하는 방법
KR20050003888A (ko) * 2003-07-04 2005-01-12 박준철 치아교합면 음형
JP5276786B2 (ja) * 2006-11-11 2013-08-28 斎史 杉本 歯形形成フィルムとそれを用いた人工歯冠の形成方法
KR20140051854A (ko) 2011-05-13 2014-05-02 머티어리얼리스 덴탈 엔.브이. 근관 치료에서 교합면 액세스 공동의 형상을 설립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228A (ko) *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큐링 겸용 캐리어 및 그를 구비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KR101715751B1 (ko) 2015-08-28 2017-03-27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큐링 겸용 캐리어 및 그를 구비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KR20210039823A (ko) 2019-10-02 2021-04-12 주식회사 신일덴텍 교합면 성형키트
KR102253123B1 (ko) * 2019-10-02 2021-05-14 주식회사 신일덴텍 교합면 성형키트
FR3120784A1 (fr) * 2021-03-17 2022-09-23 Dong Vu Dispositif médical sur mesure pour restaurer l’anatomie occlusale d’une d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99260B (zh) 在患者的口中形成牙修复体的定制工具、套件和制备过程
US103837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rthodontic attachment fabrication and placement
KR101152851B1 (ko) 영상정합용 구내장착물
JP2020534053A5 (ko)
US20220117699A1 (en) Dental restoration molds
CN110507426B (zh) 一种口腔手术软硬组织保护颌垫的数字化制作方法
US6659772B2 (en) Provisional restorations for human teeth and method
KR101644790B1 (ko) 교합면 성형기구 및 그를 구비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Alencar et al. Reestablishment of esthetics with minimum thickness veneers: A one-year follow-up case report.
KR101478720B1 (ko) 치과 드릴의 가이드 장치 및 스텐트의 제조방법
CN115137505B (zh) 基于数字化技术的标准牙颌固位导板的制作工艺
KR101675500B1 (ko) 무치악 환자의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그의 제조방법
JP2023089305A (ja) 歯間隙間を閉鎖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KR101715751B1 (ko) 큐링 겸용 캐리어 및 그를 구비하는 교합면 성형용 키트
GONTIJO et al. Digital smile design as a tool in the planning of porcelain laminate veneers restoration
Malik et al. Restricted mouth opening-impressions making
TWI631937B (zh) 具有深度導件之植牙手術導板及其製備方法
KR101660484B1 (ko) 자연 치아 치은퇴축기 및 치은퇴축기를 갖는 임플란트
CN115531014B (zh) 一种牙冠延长术导板及其制造方法
KR102022360B1 (ko) 교육용 치아 모델 제조 방법 및 교육용 치아 모델
Srivastava et al. Aesthetic rehabilitation of diastema closure with lithium disilicate veneers: A case report
Bud Pre-restoration Procedures That Are Carried Out Before Direct Restoration
Lim et al. Retrofitting of a Fixed Dental Prosthesis after Fracture of an Abutment during Final Cementation
KR20240047504A (ko) 부분보철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3187227A1 (es) Férulas para carillas inyectad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4